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김순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95

        빠르게 변화하는 복잡한 현대 생활 속에서 대인관계, 학교와 직장에서의 일 수행 등은 여러 유형의 스트레스를 가져다준다. 스트레스는 암, 심장병, 고혈압 등의 신체 질환은 물론이고 정신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들은 능력 발휘 및 자기 계발을 위해 전문화된 교육 요구가 높아져 고학력화 현상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여자들은 24시간내에 가정, 직무, 학업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반응양상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12개 대학교와 경기도 소재의 2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여자 대학원생 163명이었으며, 2001년 9월 한 달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Cline 등(1992)이 개발한 표준화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와 미국 워싱톤 대학교 간호대학 스트레스 반응 관리 연구소에서 개발한 SOS(Symptom of Stress)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를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자 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6.28(±2.14)로 중상위 수준이었다. 2) 스트레스 수준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종교, 대학원의 수업형태, 현재 논문 준비 학기로 나타났다. 천주교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F=2.774, p=.043), 야간보다 주간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t=3.721, p=.000), 논문을 준비하는 학기의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t=2.240, p=.026). 3) 대학원 생활에서 느꼈던 스트레스의 원인은 과제물, 직장과의 병행, 시험, 발표, 논문 등이었다. 4) 대상자의 총 스트레스 반응양상 평균 점수는 1.23(±.54)으로 "아주 드물게"와 "가끔" 사이로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하위척도인 우울, 불안, 정서적 불안정, 인식력 장애가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보다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자주 나타났다. 5) 스트레스 반응양상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대학원의 수업형태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반응양상을 나타냈다(F=3.220, p=.043). 그리고 기혼보다는 미혼 대상자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았고(t=2.067, p=.040), 야간보다는 주간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상자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게 나타났다(t=2.322, p<.021). 6)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높았다(r=.373, p=.000).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더 자주 나타나므로 여자 대학원생이 지각한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보다 정신적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관리가 더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자 대학원생에게 알맞은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켜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e the level of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ubj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3 female graduate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with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for a month, september, 2001. The level of stress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stress response measured by Symptom of Stress(SOS) inventor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mean,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showed a mean score of 6.28±2.14. 2) The level of stress diffeed according to religion, class forms of graduate schools and the current term for preparing a graduation thesis. Catholics showed the highest stress levels(F=2.774, p=.043), and students at day graduate schools(t=3.721, p=.000) showed higher stress levels than ones at night graduate schools. Also, students in the term for preparing their graduation theses (t=2.240, p=.026) showed higher stress levels than ones in other terms. 3) The stress they have felt during their life of graduate schools was by reports, performance of studies and works at the same time, examination, presentation and thesis. 4) The stress response of the subjects showed a mean score 1.23±.54. The subscales related to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 depression symptoms, anxiety symptoms, emotional-anger symptoms and cognitive disorientation symptoms was higher than physical stress response. 5) The stress response differed according to age, marrige and class forms of graduate schools. The subjects of twenties showed the highest stress response(F=3.220, p=.043). There was higher stress response in unmarried than married(t=2.067, p=.040). The subjects at day graduate schools showed higher stress response than those at night graduate schools (t=2.322, p=.021). 6) There wa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of stress level and that of SOS score(r=.373, p=.000).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were stress levels of female graduate students, the more appeared stress response. Since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was shown more than physical stress response, concern rather about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than about physical stress response against female graduate students's stress should be needed. Therefore we should provide more attentive care for sound mental health of female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proper techniques to control and care for female graduate students's stress should be developed, and we should help them to relax their stress symptoms and keep the optimum health for their active life by applying such techniques.

      • 한국과 미국 대학원의 무용치료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이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사회는 모든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대문명의 발달에 따라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적 측면에서도 예술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예술치료영역으로까지 확대되어 점차 활성화 되어 가고 있다. 무용치료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로서 움직임을 통해 개인의 감정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즉흥적인 동작표현의 특성을 치료의 매개체로 사용하여 인간의 심리를 분석하는 심리치료이다. 무용치료는 194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분야이며 현재 국내에서도 무용치료에 대한 교육이 여러 대학 및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무용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은 무용치료 전공의 교육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무용치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무용치료사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정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원의 무용치료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내용 및 현황을 비교해 봄으로써 앞으로 국내 무용치료 교육의 학문적, 실제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무용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 학교로는 한국의 경우 국내 대학원 중 무용치료전공이 개설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순천 향 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을 선정하여 연구하였으며, 미국의 경우 미국무용치료협회에서 인가한 학교 중 예술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Lesley University Graduate Program,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 The Naropa Institute Graduate Program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학위 및 자격증으로 나뉘어 비교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에 있어서 한국과 미국 모두 공통적으로 무용치료사 양성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내용에 있어서 미국은 무용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구체적인 과목들로 구성되어있는 반면 한국은 통합적이거나 세분화되지 못한 일반론에 그치고 있었다. 학점 이수에 있어서도 미국은 평균 60학점인 것에 비해 한국은 30학점으로 거의 절반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셋째, 자격증에 있어서 미국은 무용치료협회에서 국가적으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발급하여 치료사의 능력과 수준을 엄격히 평가하고 인정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아직 공신력 있는 자격증 제도가 국가적 차원에서 발급되고 있지 않다. 무용치료는 이론적 기초로서 지식세계를 갖추어야 함을 물론이고 실질적인 치료 연구 과 임상 실 경험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져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한국 무용치료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다양성과 실용성을 갖춘 교과목 개설,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이수학점의 확대, 국가자격증 제도의 확립 등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리고 미국에 비해 한국 무용치료의 역사가 매우 짧은 이유도 있겠지만 앞으로 무용치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보다 깊이 있는 교육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국가와 사회는 무용치료에 대한 가치와 효과에 대한 일반적 인식 변화와 실용적 기반 구축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everything is changing rapidl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for culture and art is getting higher according to developing of modern civilization. As a result, art has important position in educational aspect and this trend is getting vitalized and expanded to the field of art therap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s. Dance therapy is a field of art therapy and it is psychological therapy that expresses individual’s emotion and feeling freely by the movement and it uses spontaneous action expression as a healing link and analyzes the mentality of human. Dance therapy was developed in 1940 USA and the education of dance therapy has been doing still in various colleg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The curriculum of study of dance therapist is the basic course to meet the purpose of dance therapy. In spite of short history of dance therapy in Korea, to see the intention of dance therapy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the proper curriculum of study for dance therapist urgently. Therefore,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curriculum of study for dance therapist of Korea and USA and compares the contents and situation between them and it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 academic and actual development and provid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urriculum of study for dance therapists. The research selected graduate schools that have the dance therapy curriculum in Korea such as Seoul women’s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of professional therapeutic technology, Daeje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ports, Soonchunh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also selected schools that was established with purpose of art education with the permission from the US dance therapy association in USA such as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 The Naropa Institute Graduate Program, Lesley University Graduate Program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degree and license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Korea and USA both have th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direction for dance therapists in common in purpose of education. Second,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USA has specific subjects for theory and reality of dance therapy on the contrary the content of Korea is just integrated and not specific generalities. For the credit, the average credit is 60 in USA and the Korea’s is 30 so Korea is the half of USA. Third, for the license, US dance therapy association issues the license which is reputable nationally in USA meanwhile there is no issued reputable license yet nationally. Dance therapy needs not only theory but also practical therapy research and clinical experience essentially. Therefore, to improve Korean dance therapy, there are several issues to be solved. Getting variety of curriculum of study, opening the practical subjects more, expanding of credit and establishing the national license are those issues above urgently. Of course Korean history of dance therapy is shorter than USA,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ance therapy, the thoughtful research and 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should be done continuously and Korean government and society should give more attention and support to dance therapy to establish the practical foundation and change the general awareness over the worth and effect of dance therapy.

      •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학위관련 교과과정 연구

        손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미국의 교과과정과 비교해봄으로써 각 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특수한 기능과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의 개선 및 편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의 대학원 체제와 음악교육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된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을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기능상의 차이점과 미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음악교과과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음악교육 석사과정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의 체제와 교과과정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교과과정의 편성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지에서 조사한 사범대학원(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순위에 나와 있는 10개의 우수학교들 중 음악교육전공을 설치한 3개(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University of Oregon)의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의 교육대학원은 2000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10개의 우수교육대학원 중 음악교육전공이 설치된 6개(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우석대학교, 영남대학교, 공주대학교)의 대학과 일반대학원 음악교육이 설치된 2개(서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의 대학을 중심으로 학위취득 요건과 학사운영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설정교과목은 임의대로 영역별, 학교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 모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과정과 이미 취득한 교사들을 위한 과정이 통합하여 개설됨으로 현직교사들에게 알맞은 교과목이 부족하여 교사재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학위취득을 위한 요건이 대학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대학의 기능에 부합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의 대학간 과목 수 ,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교과내용학 영역에서 가장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으며 음악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다섯째,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설정과목이 부족하다. 여섯째, 각 대학별 교과 영역에 대한 필수학점 설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사재교육과 교원양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대학원과 연구기능을 가진 일반대학원 모두 국악과목에 대한 설정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이 설치된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은 기능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 음악교육의 전문화를 위해 교원재교육 프로그램, 교원양성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교육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bot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s within South Korea as well as that of the USA. By close examination of the specific function and educational objective of each institution, this study will ultimately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 current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aim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are also analyzed and compared. Furthermore, the functional differences in different institutions in South Korea is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e US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reorganize the concept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can eventually lead us to the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USA this study investigates 3 schools (the 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and University of Oregon) which have music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anked amongst the top 10 in the U. S. media.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it is to find a curriculum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music education major from 6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oosuk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that are ranked in the top 10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2000 and 2 general graduate schools(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paper study concludes as follows; 1. Certificate programs and degree courses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courses and programs for non-teachers. 2. The criterion for the certification of teachers must be more strictly standardized because curr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have very different standards. 3. The number of subjects offered, pedagogy of courses and music in each university is unbalanced. 4. There is a shortage of core music pedagogy subjects. 5. In preparation for South Korea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an increased focus on international music subject is necessary. 6. The required cred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music major needs to be standardized for all of the university. 7. Korean Universities have a duty to pay homage to traditional korean music, Unfortunately, they are not meeting these duti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is no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that offer music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e need teacher retraining program, specialization and variety in research programs on music education to develop and professionalize our education program.

      • 기혼여성이 느끼는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갈등

        강설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Although women are very active in the modern society, Korean women's social activities are still restricted. Women try to find a breakthrough through education and more women are pursuing higher education. As college education is already popular in Korea, more women seek graduate programs for even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graduate school education actually contribute to women's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lso, women who pursue graduate school education should consider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n their stage of life. Therefore, married women most clearly represent the conflict women experience in Korea's higher education as they are requir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 a traditional member of the family on one hand and attempt to pursue higher goals in their social activities through graduate schoo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as particularly necessary because it can verify how paternal ideologies influence women's academic achievements by examining married women's experience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Most preceded studies, however, could not examine the academic experience of women in graduate schools and how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affect their academic learning.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first, it intended to examine how married women's family life affects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ir graduate school education. Second, it intended to examine the conflicts married women experience between graduate schools and family life; last, it intended to examine how married women respond to the conflict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studies were performed on women's status in Korea's higher education and married women's social activities. Women's status in Korea's higher education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s and preceded studies and the paternal ideologies that affect the meaning and formation of gender role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that still exist in the society. By doing so, the causes of conflicts that married women in Korea experience in family life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the meaning of increased social life of married women was explored to examine the forms of conflicts they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e purpose was to presume the conflicts married women could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education. Additionally, related preceded studies were examined on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academic learning. This study adopted qualitative methods.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note-taking, observation, and casual conversations. Questionnaires were created for the in-depth interviews in reference to preceded studies. Questionnaires were revis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before the actual interviews. Final questionnaires were reviewed by three doctorate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Interviewees were subscrib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using the bulletin board on campus, and recommendations; ten interviewee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convenient sampling. Interviews took place from July 2012 through October 2012 and the contents were transcribed to produce the research data along with the notes taken during each interview. Data analysis was performed repetitively throughout the study to deriv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meaning and purpose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were threefold: desire to learn, better career position, and shelter from family life. Each participant had more than one purpose. They found pleasure in learning and continued getting that pleasure through graduate studies. Also, they chose to take a graduate program when their current level of education does not guarantee the socioeconomic status they want. They also chose graduate studies because they needed something in superior to men in order to compete with men. Some participants had to choose graduate studies because of depression in marriage or after childbirth. Their economic circumsta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education. The premise of their graduate studies was the guarantee of sufficient source of funding for tuition and living expenses. Married graduate students with no income were relatively more intimidated in family life and more dominated by the paternal ideologies than married women who were working. Second, the conflicts married women experienced between graduate school and family life were caused by women's gender roles and the influence of paternal ideologies. The participants were worried about having to discontinue learning due to pregnancy, childbirth, or child-rearing and found it difficult to concentrate on learning. Also, they devoted less time to learning because of household chores. Some participants were receiving support from their families, while others were facing opposition and indifference of their families. Although most people would think that they would face the opposition of the in-laws, there were some participants who earned the support of the in-laws, but faced the opposition of their parents. Their colleagues and professors understood the difficult positions of married women in graduate school and showed consideration, but not many of them gave active help. The conflicts married women experience between graduate school and family life were considered as personal issues. Married women's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graduate studies were considered as daily episodes, failing to understand that it is affected by the paternal ideologies that still demand women to fulfill certain responsibilities in family life. This conceals the essence of issue as it is believed that their conflicts are caused by their failure to fulfill responsibilities. Third, participants took initiatives to find the solution to most of their conflicts. They believed that they have to endure the difficulties in graduate studies because it was their personal choice to pursue graduate studies. The conflicts were resolved with the help of families or relatives in many cases, but rarely with the help of others. When it comes to child-rearing, they could not seek outside help due to the discrepancies in quality. As most solutions require financial cost, except for handling the conflicts by themselves, they had to have the financial resources to pay the cost. Married women's solutions to focus on graduate studies were self-sacrifice or finding help my paying the price. Therefore, their immersion in higher education was difficult as their children grew and demanded more from them as mothers. As most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y were the best person to raise their children and admitted their responsibilities to look after their families, there was no active solution to improve their position. This study examined married women's meaning of graduate studies and conflicts and found that gender roles from paternal ideologies cause women to be excluded from higher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education is clear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life, especially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signed by the gender roles from paternal ideologies. Despite that married women are experiencing conflicts between graduate school and family life due to paternal ideologies, they perceive these conflicts as personal issues and are not actively searching for solutions. In other words, married women in graduate school tended to adjust to the domination of paternal ideologies despite their higher education and modern sociocultural background. Married women lacked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cause as well as active solutions and structural support from the school or social syst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identified that married women's conflicts between graduate studies and family life are caused because there is no guarantee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It implies that if married women have to resolve conflicts and continue academic learning with personal efforts only, the socioeconomic status they can achieve through graduate school education would be threatened by their family life.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인식과는 달리 한국 여성의 사회활동에는 여전히 제약이 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교육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자 하며, 그 열망은 고등교육에서의 여성 진학의 증가로 나타난다. 아울러, 대학교육이 보편화된 한국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기대는 점차 대학원으로 이동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원교육이 실제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에 기여하는가를 짚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원교육 시기는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임신, 출산, 양육을 비롯한 가정생활을 고려하여야 할 연령대에 속한다. 따라서 기혼여성은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이 요구하는 가정생활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한편으로는 대학원생활을 통해 사회활동에서의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고등교육에서 여성이 겪는 갈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또한 기혼여성의 대학원교육 경험을 통해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여성의 교육 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도출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대학원생활에서 여성이 어떤 교육 경험을 하고 있는지, 전통적인 성역할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이들의 학업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다음의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목적에 가정생활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둘째로, 기혼여성이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어떤 갈등을 겪고 있는지, 마지막으로는 그 갈등에 기혼여성이 대응하는 방법은 무언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한국 고등교육에서 여성의 위치와 기혼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해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통계와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 고등교육에서 여성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여전히 남아있는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을 이해하기 위해 성역할의 의미와 성역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기혼여성이 가정생활에서 겪는 갈등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기혼여성의 사회활동이 증가된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탐색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혼여성이 겪는 갈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을 짐작해 보기 위한 작업이었다. 아울러, 국내외에서 연구된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과 학업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본 연구와 관련한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과 메모, 관찰, 일상대화의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층 면담을 위해 연구목적에 따라 면담지를 구성하였고 선행 연구를 참고하였다. 본격적인 면담 실시 전에 사전인터뷰를 통해 면담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면담지는 교육학과 박사과정 세 명의 검토를 거쳐 완성하였다. 교내 게시판을 통한 자발적인 참여와 지인의 추천을 통해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목적 표집과 편의 표집에 따라 연구 참여자 1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2012년 7월부터 2012년 10월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은 전사하여 원자료로 구성하였으며, 면담 과정에서의 메모와 함께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진학의 의미와 목적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공부에 대한 열망, 더 나은 직업지위를 위한 선택, 가정생활로부터의 도피처로 선택한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나 세 가지 목적은 연구 참여자에 따라 중첩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부하는 것에서 기쁨을 느꼈고 대학원생활을 통해 그 기쁨을 이어나갔다. 또한, 현재의 대학원 진학 전의 학력으로 충분한 사회경제적 지위가 보장되지 않을 때 대학원 진학을 선택했다. 또 남성과 같은 지위에서 경쟁하기 위해서 남성보다 더 뛰어난 것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대학원에 진학했다. 또한 결혼 후 우울증이나, 산후 우울증 때문에 가정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대학원생활을 선택해야 했던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이때, 경제적인 상황은 기혼여성의 대학원진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비뿐만 아니라 생활비까지 보장이 되었을 때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다는 것이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의 전제였다. 이 과정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기혼여성보다 수입이 없는 기혼여자대학원생은 가정생활에서 상대적으로 더 위축되고,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더욱 종속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둘째,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여성의 성역할을 해야 하는 것과 은폐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영향 아래서 일어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임신과 출산, 양육으로 인한 학업 중단에 대한 걱정, 학업에 몰입하기 어려움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또한 자신의 책임인 집안일 때문에 학업에 들이는 시간을 줄였다. 이외에도 가족의 지지와 지원을 받는 연구 참여자도 있었으나, 가족의 반대, 무관심에 갈등을 겪는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시댁의 반대를 겪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편견과 달리 시댁이 지지를 하고, 친정이 반대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학원 동료와 교수도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해 주었지만, 적극적인 도움을 주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기혼여성이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경험하는 갈등은 개개인의 개인적인 일로 치부되고 있었다. 각자 갈등을 겪고, 그것이 여전히 여성에게 가정생활의 책임을 강요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영향이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은 각자 어려움을 해결해야 할 일상의 에피소드로 치부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기혼여성이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 때문에 일어나는 갈등으로 만들어 문제의 본질을 가리고 있었다. 셋째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겪는 갈등에 대해 대부분은 제일 먼저 스스로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원생활이 개인적인 선택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대학원생활에서의 어려움도 스스로 감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가족이나 친인척의 도움을 받아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 외의 외부의 도움을 받는 경우는 적었다. 양육에 관련된 문제에서는 외부인이나 외부기관의 질적인 차이 때문에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스스로 갈등에 대응하는 것 이외에는 대부분의 경우 경제적인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그만큼의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혼여성이 대학원생활을 할 때 학업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희생을 하거나, 비용을 지출하여 도움을 구하는 것이 현재의 대응책이었다. 이 과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데 엄마의 역할이 강화될수록 기혼여성의 고등교육에의 몰입은 어려워진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엄마인 자신이 가장 좋은 양육자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자신에게 가정생활을 돌봐야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혼여성이 자신의 위치를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은 부재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느끼는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갈등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고등교육에서 배제되는 데에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따른 성역할 분업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은 명백히 가정생활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그 핵심에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따르는 성(性)역할에 대한 책임과 의무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과정에서 기혼여성은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로 인한 갈등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갈등을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 높은 학력 수준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기혼여자대학원생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항하기보다는 순응하고 나아가 종속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한 기혼여성의 문제인식도, 그를 통한 적극적인 대응이 미진했으며, 대학이나 제도의 구조적인 지원도 부재했다는 점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을 통한 여성의 고등교육 현실은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을 보장하지 않는 원인과 그 배경을 확인한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와 같이 기혼여성이 개인적인 노력으로 갈등을 해결해 나가며 학업을 지속해야 한다면 대학원생활을 통해 이들이 얻을 수 있는 사회경제적 지위는 가정생활로 인해 위협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 연구 : 인문사회계열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PHAN, HOANG MY THUONG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주한 베트남인 대학원생이 쓴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의 특징과 어려움을 밝히고자 그들이 쓴 연구 보고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 여부는 쓰기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글쓰기 과목을 개설하는 대학교도 있고 그렇지 않은 대학교도 있어 유학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은 다양하다.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한국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기존 연구를 스스로 읽고 따라 쓰는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 베트남인 대학원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를 위한 연구가 여전히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들을 위한 쓰기 교육 지침서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주로 자기 주도 학습을 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자는 인문사회계열 전공자 37명의 베트남인 학습자이며 그들이 쓴 연구 보고서 63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대상인 보고서는 베트남인 유학생이 한국 대학원에서 처음 작성한 것이다. 학위논문과 달리 보고서는 한 학기 내 마무리하는 것으로 교수, 동기, 친구 등의 조력자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고 수정할 시간도 많지 않다. 따라서 첫 학기에 보고서를 쓸 때 필자의 목소리와 주장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필자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텍스트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연구 윤리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제대로 인식하기가 어렵다. 좋은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좋은 내용 외에도 보고서 장르에 알맞은 구조와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필자는 자기의 위치를 명확하게 정하며 자기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필자와 독자 간의 상호작용을 형성하기 위해 학술적 표현을 활발하게 쓰고 타당한 논거를 제시하며 성실한 태도로 연구해야 한다. 텍스트가 구성되었다고 하더라도 필자의 글에 대한 논리성과 설득력이 부족하거나 윤리성을 준수하지 않으면 독자의 공감과 신뢰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보고서를 잘 작성하려면 필자와 독자 차원, 텍스트 차원, 윤리적 차원의 요구에 맞춰서 글쓰기를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문헌조사, 담화분석, 심층면담, 전문가 면담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어는‘SVO’어순으로 주어를 생략하면 화자나 필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하지 않는다. 이 영향으로 베트남인 유학생은 한국어 보고서를 쓸 때 필자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지칭어를 쓰는 경향이 있다. 그들이 사용한 필자에 대한 지칭어는‘나, 본인, 연구자, 필자’등의 개인 필자를 지칭하는 어휘와‘우리’등의 공동체 필자를 지칭하는 어휘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필자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그들은‘생각하다, 보다, 믿다, 깨닫다’등의 사고도구어를 남용하기도 하였다. 둘째, 한국의 대학원에 입학한 후에 그들은 한국 담화 공동체에서 잘 쓰이는‘본 연구, 본 보고서, 본고’등의 숨겨진 필자에 대한 표현 및 한국어 피동법을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왜냐하면 한국어 피동법은 베트남어 피동법과 달리 어휘 측면뿐만 아니라 문법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 많고, 대부분 능동주어가 생략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베트남인 유학생은 필자의 목소리를 숨길 때 한국어 피동법 사용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다. 셋째,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구어체 언어 습관에 기인한 추측 표현인‘-을/ㄹ것 같다’라는 표지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확실성과 명확성, 그리고 객관성이 요구되는 학문 목적 글쓰기에서 추측 표현을 쓰면 설득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넷째, 베트남어로 작문할 때 교사-학생 간의 상하관계를 표현하는 경향성과 구어체 사용 습관에 기인하여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독자인 한국인 교수에게 공손한 태도로 표현하기 위해‘-습니다’표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에서는 독자인 교수가 학생보다 높더라도 존댓말을 쓰지 않고 필자와 독자 간의 동등한 위치를 나타내는‘-ㄴ/는다’표지를 써야 한다. 다섯째, 독자의 공감과 신뢰를 얻기 위해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자기와 독자를 포함하는‘우리’지칭어를 쓰고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빌리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비판력과 분석력이 약해서 주로 자기와 비슷한 사람의 목소리만 활용하고 자기와 반대되는 사람의 목소리는 활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여섯째,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를 할 기회가 적을수록 보고서의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 구성 및 학술적 표현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모국어의 작문 영향으로 독자의 영감과 흥미를 끌기 위해 보고서의 서론을 미괄식으로 시작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괄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본론에 필자의 주장과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의(definition), 비교(comparision), 대립(opposition), 인과(causality), 예(illustration), 인용(quotation), 요약(summary) 등의 논증 도식을 적용했는데 각 논증의 목적과 효과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텍스트의 논리성과 연결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결론은 보고서를 마무리하고 연구 결과와 연구 의의를 밝히는 부분인데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결론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해 매우 간략하게 쓰며, 독자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드러났다. 일곱째,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무지와 무시로 인해 표절을 범하는데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인식이 낮을수록 윤리적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밝힌 후에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베트남인 대학원생들을 다시 면담할 뿐만 아니라 베트남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한국인 전문가들의 의견도 수집하였다. 필자의 입장을 갖는 베트남인 대학원생과 독자의 입장을 갖는 한국인 전문가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이론과 실제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즉 교육 방안에는 필자와 독자 차원, 텍스트 차원, 윤리적 차원에 관련된 개념이나 양식을 제시하고 주의 사항을 먼저 강조하고 나서 보고서 쓰기 사례도 제공하였다. 이 교육 방안을 통해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필자의 위치와 목소리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필자와 독자 간의 좋은 상호작용을 맺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독자를 설득시키기 위해 보고서의 서론, 본론, 결론 등의 구조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어떤 학술적 표현을 적용해야 하는지 제시하였다. 셋째, 좋은 필자가 되려면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표절 예방, 인용 방식, 출처 밝히기, 참고문헌 작성 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공하였다. 특히, 필자와 독자 차원, 텍스트 차원, 윤리적 차원에서 모어 화자가 쓴 적절한 사례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베트남인 대학원생이 쓴 부적절한 사례 및 교육 방안의 샘플도 제시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 대학원에서 학문 목적 글쓰기를 더 잘 수행하고 보고서 쓰기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게 함으로써 한국 대학원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이수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글을 단순히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연구 참여자를 심층 면담하였고, 한국인 전문가의 의견도 수집했기 때문에 연구 문제를 더 전반적으로 밝히며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앞으로 한국의 대학원에 처음 입학하는 베트남인 유학생이나 베트남에서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를 공부하는 학생 누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문 목적 글쓰기 지침서를 활용한다면 보고서뿐만 아니라 학위 논문도 손쉽게 작성할 것이다. Korean Academic Writing such as Korean research reports in Korean language is not easy for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express their ideas logically and persuasively, students are required not only to be knowledgeable in the area of studies, but also to be good at writing skills as well. However, newly-entered Vietnamese students often have difficulties in academic writ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writing term papers for their courses, and more so for writing a graduating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Korean academic writing, such as research reports, written by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writing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studying 37 participants of Vietnamese students who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by analyzing 63 first-time written research reports by them at their Korean graduate schools. For this study,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discourse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expert interview were us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discourse analys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writing for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etnamese language follows the order of‘Subject-Verb-Object’; so to accurately convey the intention of the speakers or writers, the subject is not generally omitted. Due to this influence, Vietnamese students tend to use the terminology that reveals their voice when writing Korean reports. The terminology they used for the writers turned out to be a vocabulary that refers to individual writers, such as‘I, researcher, writer’, and community writers, such as‘We’. Also, to emphasize their arguments, they often tend to use perceptual verbs such as think, see, believe, and realize so much. Second, after entering 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y have difficulties in using expressions of hidden writers, such as‘this study, this report, and this paper’, which are well used in the Korean discourse community. This is because Korean passive structures in Korean language need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grammar as well as vocabulary with the omission of subjects, which is more complicated than the passive structures in Vietnamese language. For this reason, Vietnamese students have problems with the use of Korean passive language when hiding their voice. Third,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frequently use the structure‘-을/ㄹ 것 같다', which are speculative expressions in Korean due to their habit in using the spoken language. However, the use of speculative expressions in academic writing, which requires certainty, clarity, and objectivity, is often not suitable because it is less persuasive. Fourth, due to the tendency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use of colloquialism when writing in Vietnamese,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often use honorifics such as‘님’,‘제가/저는’,‘-(으)시’,‘-ㅂ/습니다’to express politely to their Korean professors. However, in Korean academic writing, even if the professor is in higher hierarchy than the student, students should use the‘-ㄴ/는다' endings to indicate the equal posi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rather than using honorifics. Fifth,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tend to use‘We’, which included the writer and the reader. They also borrow the voices of other researches to gain the readers’empathy and trust, so their criticism and analytical powers could often appear to be weak. Also, they have a tendency to use or quote only other opinions similar to theirs rather than including also those differing or opposing opinions. Sixth, the less opportunities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have in writing Korean academic papers, the more difficulties they have in organizing the report structure such as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report, and in using academic expressions.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s writing style, tend to begin the introduction of the report with periphrases to capture the readers’inspiration and interest. Also, for the main body of the report, with the proposition of arguments and opinions, a problem occurs that the purpose and effect of each argument could not be reached properly or the logic and connectivity of the text could not be maintained. When it comes to the conclusion of the report and revealing the finding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often do not fully appreciate its importance and tend to write it relatively briefly. Seventh,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commit plagiarism due to ignorance, neglect and the low awareness of writing ethic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lower the awareness, the more frequent the ethical problems occurred. After revea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port-writing education method, this researcher also collected opinions of Korean professors who instructed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is researcher’s study and perception of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on opinions of Korean experts in the position as reader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plan was developed.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scheme suggested concepts and styles related to the category of writers and readers, the category of text, the category of writing ethics, which emphasized precautions, and provided examples of writing a report. This proposed educational plan hopes to provide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with several supports as follows. First, this educational plan will not only help confirm the student’s position and opinion, but also suggest ways in creating good interaction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Second, it suggests how the structure of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report could be made to persuade the readers and which academic expressions should be applied. Third, this educational research has the suggestions in how to raise awareness of writing ethics, how to prevent plagiarism, how to cite, identify sources, and write reference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give practical examples to Vietnamese Korean learners by presenting the appropriate examples written by Korean native writers, reader level, text level, and ethical level in the category of writers and readers, the category of text, the category of writing ethics, as well as samples of inappropriate cases written by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the modification methods. This research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of its kind in helping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to successfully complete academic writing at th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to reduce the burden of writing research reports. In particular, this study not only analyzed the research participants’writings, but also interviewe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depth and gathered the opinions of Korean professors. Hopefully, this research study would help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in Korean graduate schools or Korean language students in Vietnam in their academic writing such as reports or thesis/dissertation.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과 미국의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최은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대사회의 문화는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엄청난 지식과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시대의 국가의 대외경쟁력은 얼마나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적용 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그러한 인력을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그렇기에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교육에 투자하고 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한 교육개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더 나아가 교육학자, 교육행정관, 정책입안자들의 자질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위한 교육대학원의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적인 전문가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과 학사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하고 미국의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를 위한 교직과목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자격증 취득과정과 교사들을 위한 학위 과정이 따로 있었으면 한다. 둘째, 전공과 교직과목이 한 학기당 설정과목의 개설수의 부족과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한 강좌 당 학생수가 많다. 설정과목을 각각 다른 시간대에 개설하고, 한 학기당 설정교과목의 개설 수를 늘리면 과목당 학생 수가 줄어들게 되고 대학원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31%, 미술관련 이론 영역 46%,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0%, 미술실기 영역 11%, 기타 영역 2%로 나타났다. 미국의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53%, 미술관련 이론영역 4%, 미술실기 영역이 5%,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6%, 실습 영역이 13%, 기타 영역이 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미술관련 이론 영역에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어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교과과정에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에 보다 비중을 둔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한국과는 반대로 미술교과 교육학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어 미술관련 이론 영역의 과목이 부족하다. 넷째, 대학원으로써의 학문적 연구 기능을 살리려면 연구 및 세미나 영역에 대한 과목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분야의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꼭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실습과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영역에서의 실습이 필요하다. 미술교육은 더 이상 학교 안에서만 필요한 영역이 아니다.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과 정규 학교과정 이외의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오늘날의 교과 교육학 학문은 하루아침에 탄생한 것이 아니고 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학문자체가 교과로 그대로 통용되었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교육 연령이 다양해짐에 따라 학문을 그대로 전달하는 수준으로는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교과교육을 연구할 전문 인력이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도 교육대학원에 박사과정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최근 급속히 논의 되고 있다. 이 연구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미국의 학위제도와 설정 교과목을 소개함으로 우리나라에도 교육학박사 전문과정이 개발되어 좀 더 발전된 교과과정과 교과목이 개발되었으면 하고, 더 나아가 미술교과 교육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학문적 정립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culture in the current society is quickly changing and the world is full of various ki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Korea's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is age is dependent on how suitabl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we have are applied and how much manpower increased through education. Therefo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investing in education and doing research to reform it. It is by enhancing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hat we can obtain the most excellent results in educational reform. Education reform sh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current teachers, but also to educational scholars,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function,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educational professionals are tra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weak points and to improve a curriculum of Korean art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art education major with ones from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train art professionals in curriculum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subjects for current teachers in service is needed and even more certificate program and degree course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programs for non-teachers. Secon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lasses and the unskilled management, many students enroll in a class, various kinds of classes should be available throughout the day so that more smaller numbers of students are enrolled in a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classes are enhanced as a result. Third, there is a shortage of art educational subjects which are most important for the curriculum education. In reality, because the courses of art and art practice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unbalanced in Korea, other courses are not offered. Fourth,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of doing research and seminars in a graduate school, the study of the subjects about the research field is needed. Fifth, we need to take practice courses in more diverse areas. Practice courses not only in the school to be certified as a teacher, but also in other art educational fields are required because art education is needed outside the school. Especially the practice courses of an art education in the art museum and of a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We did not know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because it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long term with general academy as it is. Student are diverse in their ages, it is very difficult to just transfer academic knowledge. That's why the systematic design of the art curriculum education is getting more crucial in these days. Also because there is no manpower to research curriculum education in the profession, the movement to set up the Ph.D. degree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recent times. Various degre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created curriculums that are not in our educational system will be introduced to assist in developing diverse degree systems and professional courses for an educational doctoral degree.

      • 현직 중등 음악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

        강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관으로서 기능의 강화가 요구됨에 따라, 중등 음악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직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국의 중등 음악 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사 인식과 필요성, 현직 중등 음악 교사의 재교육을 위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수집된 설문조사의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자율 기술 문답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현직교사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직교사로서 인지하는 현행 교원재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교육의 방향성 등에 관한 질문도 함께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심층 인터뷰 자료는 크레스웰의 나선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최종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등 음악 교사들은 현행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을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기능보다, 예비 교원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그 기능이 강화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대학원을 교사를 위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인지하거나 진학하려는 욕구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부(2021b)의 교원양성체제 개편 정책 추진을 통한 교육대학원 기능 개편 계획에 따라, 현직 음악 교사의 교사 전문성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 발전 및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중등 음악 교사들이 교육대학원 재교육 과정을 통하여 기대하는 바는, 현장에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내용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없는 재교육에 관해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율 문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가 요구하는 현장성이 강조된 교육과정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 현장에 곧장 반영될 수 있는 역량 제고에 관한 필요성 요구에 따라, 본인 전공 외 타 음악 전공 실기 역량, 대중음악 등에 관한 교육과정 마련도 함께 간구 되었다. 더하여, 현직교사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고학점제, 과정중심 평가 등의 교육정책 재교육에 관한 필요도가 높았던 반면, 세계시민교육, 생태전환교육 등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는 교육내용과 테크놀로지에 관한 교사 재교육을 통해 이를 이해하고 음악 교과 수업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인지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두 가지 논의를 시사하고자 한다. 첫째, 현직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였을 때, 본인이 인지하는 재교육 영역의 필요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서 학점 이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체제 개편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령, 교육대학원을 진학하여 여러 가지 실기 역량에 관한 함양을 목표로 하였을 때, 대학원 재학 기간 중 원하는 만큼 이와 관련한 재교육을 받고 교육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수 체계를 자율화하여 수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이 현직교사들의 재교육 요구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교사의 개별 의지에 달려 있으므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교육과정을 제공함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함양 욕구를 고취하기 위한 외적 동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이 변화하면서 새롭게 현장에 도입해야 하는 교육내용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재교육 과정을 선택하였을 때, 외부적인 지원이 우선 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대학원에서는 교사가 본인의 교수 전문성에 관해 재고하고 이를 개발할 목적으로 진학하였을 때, 교사에게 현장 적합성이 높은 교육과정들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해당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을 위한 기능 강화 및 교육과정 재편에 관한 후속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 중등 음악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과 다양한 음악 교과 수업 실행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retraining of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39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cessity of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a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curriculum required for ncumbent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pecific cause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surveys and the answers of self-descriptive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For the interview, questions o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current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recognized as in-service teachers and the direc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re also composed, Creswell's spir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The final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music teachers perceived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institution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s training For this reason, they did not show a desir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mplied that music education major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as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incumbent music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what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ct throug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training course is the curriculum and contents that can actually be used in the fiel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not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field as unnecessar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answered quest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ing the field required by in-service teachers was about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improvement of competencies that can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classroom, it was also sought to prepare a curriculum for practical skills in music majors other than one's own major, popular music, etc. In addition, incumbent teachers had a high need for educational policy reeducation such as school credit system and process-based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new curriculum changes, while perceived needs for newly emphasized educational content and technology such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not very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discus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area recognized by incumbent teachers and reorganize the system so that the credit comple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you go to graduate school and aim to cultivate your ability to play various instruments, you should be able to provide classes by autonomousizing the method of completing lectures to retrain as much as you want and realize the purpose. To this end, various subjects that can meet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re-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 since it is up to the individual will of the teacher to go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xternal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spire the teacher's desire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by providing the re-educatio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selecting a re-education course so that the willingness to actively understand and accept the new educational contents to be introduced in the field as the curriculum changes, external support should first be followed. Thir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a teacher reconsiders his or her teaching expertise and goes on to develop it, he or she should develop and provide curriculums with high field suitability to teachers.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trengthening the fun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experti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implement various music curriculums.

      •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 사회는 2000년 이후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사회과는 사회와 국가의 요구를 민감하게 다루기 때문에 다문화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사회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데,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치로 미루어 현 예비 사회과 중등교사들이 교사가 될 시기에는 다문화 교육은 필수적인 주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의미에서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비교사 중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 인식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다양한 배경 변인을 갖춘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가정 학생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을 바라보는 일반학생의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문화적 효능감은 교사가 다문화적 환경에서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하며, 이러한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교적응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다문화 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도권에 소재하는 14개 대학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 162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해 연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e 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의 다문화 태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전체 평균이 4.08점으로 그렇다 수준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하위영역을 보면, 교사교육태도 4.26점,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 4.15점,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4.04점, 교사의 일반적 태도 3.92점 순으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 태도를 살펴보면, 교육대학원 학기는 다문화 태도 중 일반적 태도와 교사역할태도에서 3,4학기 학생이 1,2학기나 5,6학기 학생보다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직업은 교사의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태도,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서도 기타직군이 가장 높고 학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여부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와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1년 이상 체류 집단이 세 집단보다 좀 더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해외체류목적은 일반태도,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해외에 거주하거나 봉사 등의 기타 목적으로 체류한 집단이 어학연수, 유학, 여행 보다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험은 교사의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태도, 교육과정태도에서 다문화 관련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도는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다문화 보도자료에 관심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 보다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자녀 접촉여부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에서만 접촉이 있었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다문화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로, 종교유무, 중·고등학교 성장도시, 연령, 전공, 교육대학원 입학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적 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다문화 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3.67점이었고 인간관계증진측면 3.87점, 일반기능측면 3.79점, 다문화가정 배려측면 3.69점, 수업기능측면 3.39점 순으로 긍정적 효능감을 나타내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적 효능감을 살펴보면, 교육대학원 학기에서는 다문화가정배려측면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은 일반기능과 인간관계증진측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유무는 일반기능과 수업기능에서 종교가 없는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수업 수강경로는 인간관계증진 측면에서 학교 외 특강, 대학원수업, 학부수업, 기타경로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고등학교 성장도시는 일반기능, 인간관계증진, 다문화가정배려영역의 효능감 모두 특별시·광역시에서 자란 집단보다 읍·면, 중·소도시에서 자란 집단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험,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도, 다문화가정 자녀 접촉여부에서는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여부, 해외체류목적, 연령, 전공, 교육대학원 입학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다문화 태도 전체와 다문화적 효능감 전체의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r=.563(p<.001)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문화적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상관계수 r=.591(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교육과정태도가 r=.266(p<.01)으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문화적 효능감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일반기능 측면의 효능감에서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r=.539(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역할, 교사교육, 교육과정태도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다음 수업기능측면에서도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r=.507(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교사역할, 교사교육의 순으로 정적인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 외 인간관계증진과 다문화배려측면의 효능감에서도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태도, 교육과정태도 순의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다문화적 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수업기능측면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므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는 학습자료 개발 및 수업지도 과정이 포함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 수업 수강경험, 다문화가정 접촉,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이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태도 및 효능감을 형성하는 만큼,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는 직접 다문화 관련 경험을 해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country is expand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outburst of multicultural family, thus, a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 significant before everything else. Since social studies education, particularly, handles the demand of society and state sensitively, it is germane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Moreover, as judging from the figure of multicultural student, the chance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ecoming an essential issue are pretty excellent by the time when the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become the actual one.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are qualified with some diverse background factors among the preservice teachers. We carried out survey targeting o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1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 in metropolitan area. We have collected 177 papers overall, and selected 162 out of them as the object of research except for 15 papers which were answered faithless or by current or short-term teachers. For this study, we have used SPSS win 18.0 program to analyze, and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educa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corded each 4.08 and 3.67 points that are quite high by and large. On the other hand, the lesson function aspect was answered low relatively. Seco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are a correlation coefficient, r=.563(p<.001), and it showed high normal correlation. As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all those subordinate scopes turned up as static correlation. But in the aspect of lesson function, all showed th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except the attitude towards the education procedure. Third, as we look up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variabl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students in graduate school, the semester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instructor’s role attitude among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students in the third and fourth semester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from each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r in the fifth and sixth. Though the multicultural efficacy also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aspects of the consider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it didn’t turned up meaningful in the post-hoc comparison. The occupation, the status of living abroad, and the object of living abroad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only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First of all, the occupation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the teacher’s role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status of living abroad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object of living abroad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gender, religion status, the route of registering the multicultural lesson, and the senior secondary school growing c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First, the gende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hip as the male appeared higher than the female. For the religion status, the group with no religion showed statistically mor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lesson function than of the group with religion. The route of registering the multicultural less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s it appeared as the special lecture off the campus, the graduate course, the undergraduate study, and some other routes in the aspect of th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 In the senior secondary school growing city, the group grew up in the small towns and the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e domains of the general function, the improvement in the personal relations, and the consider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than of the group grew up in the metropolitan cities. The experience of registering less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and the contact condition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thus there has shown very clear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since the group has experiences of taking less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group with no such experience in the teacher’s general attitude, teacher’s role attitude, and the education procedure attitud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as all the subordinate scopes appeared higher. Fo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group with higher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and efficacy in both subordinate scopes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 with no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For the contact condition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group which has only experience in contact in the general attitude among the multicultural attitude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ttitude than of the group with no contact. On the other h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because the group which has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er efficacy than of the group with no contact. The gender, the major, and the purpose of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all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oth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Namely, although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relatively higher tha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reservice teacher, the aspect of the lesson function i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relatively lower. As a consequence, further expansion of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 and the lesson instruction process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experience in registering the lesson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contact with the multiculture,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has formed positive attitude and efficacy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 implies that more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the multiculture in person should be provided in aspect of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프로그램 개발전략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21세기는 지식 기반의 무한경쟁 사회이고, 지식과 감성의 융합이 경쟁 우위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시대이다. 또한 21세기는 브랜드 시대이다. 기업 가치 형성의 핵심적 요인인 브랜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 속에 바람직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브랜드 경영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대학은 시장에 부응해야 하는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폐쇄적인 상아탑’이 아니며 전통적인 학제, 교수 방법 등에서 탈피하여 시장 관점에서 학생, 기업, 정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와 요구에 부응하여 지속 가능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미 세계적인 명문대학들은 경쟁과 자율을 핵심가치로 삼는 세계 시장의 원리를 수용하며 차별화된 경쟁전략을 수행해왔다. 또한 국내의 유수 대학들도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해 각자의 전문화, 특성화된 분야를 확보하여 집중적으로 투자, 육성해 나가고 있다. 이화여대도 122년간 세계적인 전문 여성 교육의 본체로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최고 여성 지도자 배출을 위해 혁신과 도전을 추구해왔다. 이화여대가 당면한, 그리고 현재 목표로 하고 있는 글로벌 명문대학을 행한 행보를 위해 글로벌 기준과 시장 상황에 부합하여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이화’브랜드를 관리하는 체계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의 국내 핵심 거점으로서 파주 캠퍼스 교육 연구 복합단지 조성 준비에 맞춰 통일되고 체계적인 '이화'브랜드 정립을 시급히 마련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대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세우기 위해 먼저 브랜드의 정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 도출하였고, 또한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파워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적 구성 요소 중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요인들에 대해 다른 국내외의 대학들은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는지 실제 사례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 했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의 관리 방법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이화여대의 현재의 UBID 운용실태를 살펴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글로벌 최고 최대 명문 대학으로 나아가기 위한 UBID 정립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화여대를 위한 전용 서체 개발 및 고유 컬러 지정 등 UBID 전략을 제언하였다. 대학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발휘하여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일관성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 및 지속적인 유지, 보완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또한 브랜드 경쟁력의 제고에 경영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우리의 대학도 자랑스러운 세계 최고 브랜드로서 세계 속에 이름이 널리 알려지고 각인되어 당당히 우리의 이화 브랜드를 자랑하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We call the 21st century a knowledge-based infinite competitive society and the integra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has risen to the kernel of competitive advantage. Also, it is a century of brand. Brand, an essential factor of company’s value formation is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angible asset of enterprises. Every company around the world focuses on brand business strategy ultimately for building up desirable images in the heart of their consumers. In this era, universities are to maintain active correspondence in ever changing environment under industrial view that meets market’s needs. “Tower of Ivory“ or academic elitism is not an appropriate term for colleges anymore and they should deviate from traditional educational disciplinary and teaching methods. The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should meet values and demands of diverse interest groups such as students, companies,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s prominent universities have already accepted international market principle that regards competitiveness and autonomy as core concepts. In the same way, national top universities allocate chief notions in enhancing university’s brand values and in order to do so, they procure specialized fields and concentrate investing and fostering them. Ewha Womans University, world’s body of professional women’s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the country’s development and pursuit challenge and innovation for creating supreme women leaders for 122 years. To reach the current goal of being global leading university, Ewha is in need of integrated and specialized “Ewha” brand management system by global standards and market situation. And in a preparation of Paju Education and Research Campus Complex, nation’s hub base in global era, building integrated and organized “Ewha” brand is essential. This paper aims for developing specific university brand identity strategies for Ewha Womans University. First of all, it covers th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of brand definition and brand identity. This brings out brand identity constituents, effective brand management methods, and power brand construction techniques. Next, it compares and examines actual native and foreign university management cases of visual factors of brand identity constituents to deduce 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UBID) rat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After that, we look at the present condition of Ewha UBID and compare it for the necessity of UBID settlement of accomplishing global top leading university. And finally, it proposes UBID strategies for Ewha Womans University. In order to display competitive and spirited university brand, construction of concrete and consistent brand identity, constant preservation and complement, restless efforts to gain positive images are required. Focusing management capacities on brand competitive power is another prerequisite. Through these courses, Ewha will be identified and remembered as one of the best brand name. I expect to take great pride in watching Ewha brand stretch around the world s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