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Galactosamine 유발 간염모델계에서 민들레 열수추출물의 예방효과

        박지영 인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간 질환은 일반적으로 간염에서, 간 섬유화, 간 경변, 간암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진행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초기 진행과정의 간염유발 인자로는 간 독성물질, 간염 virus, 약물, 알코올, 자기면역 반응 등이 있으며, 이들로 인한 반복되는 염증반응이 다음단계로의 진행을 유도한다. 따라서 이들의 초기반응을 저해할 수 있는 간 보호활성물질이나 간염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활성성분의 간 보호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200g 내외의 SD Rat에게 D-galactosamineHCl을 650mg/kg 씩 복강에 투여하여 간염을 유발하고 민들레의 간기능 개선효과를 혈액과 간조직의 생화학적 변화를 통해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식이군 (C), 3% 민들레 열수 추출물 식이를 먹인 후 식염수를 투여한 군 (DWE-C), 정상식이 후 갈락토사민 투여 군 (GaIN-C), 1.5% 민들레 열수 추출물 식이를 먹인 후 갈락토사민을 투여한 군 (DWE-Ⅰ), 3.0% 민들레 열수 추출물 식이를 먹인 후 갈락토사민을 투여한 군 (DWE-Ⅱ)으로 구성된 5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민들레 분쇄시료 1Kg에 10배 분량의 3차 증류수를 넣고 환류하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였으며 민들레 열수 추출물의 회수율은 30%로 실험 식이에 사용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1.5% diet와 3% diet를 제조하는데 각각 1kg당 15g과 30g의 dandelion water extract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혈청 AST, ALT와 ALP의 활성은 GaIN-C군이 C군에 비교하여 증가하였고, DWE-Ⅰ군과 DWE-Ⅱ군은 정상식이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GaIN-C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혈청에서의 TNF-α가 GaIN의 투여에 의해서 증가되었으며 DDWE-Ⅰ군, DWE-Ⅱ군에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함량은 GaIN-C군이 C군에 비교하여 증가하였고 DWE-Ⅰ군, DWE-Ⅱ군은 정상식이군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GaIN-C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GSH 농도와 항산화효소계 활성은 GaIN-C군이 C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DWE-Ⅰ군, DWE-Ⅱ군은 GaIN-C군과 비교 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민들레 열수 추출물이 AST, ALT와 ALP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GSH 농도를 증가시키며 활성산소 해독계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서 GaIN으로 인한 간손상에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복분자 부산물 급여에 따른 돈육의 이화학적 및 항산화적 품질특성 규명

        박지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is known to hav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due to its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ounds. Large amounts of by-products are produced during the processing of wines or juices using Korean black raspberry. To determine the effect of Rubus coreanus by-products (RC) for swine growth, RC extract powder was fed at 0.3 % to sixty Berkshires and LYD (crossbred pig) for 38 days before slaughtering. The loin muscles were collected from control and RC supplemented pigs and analyz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meat quality and sensory evaluation.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lor values, water-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of the lo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RC supplementation. The tenderness and juiciness of sensory evaluation, however, showed better scores in Berkshire loin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lower shear force values of Berkshire loins(P<0.05). TBARS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values of BR loin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expect that the antioxidant function of pork can be improved by supplementing the Rubus coreanus by-products to swi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eeding effects of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RC) by-product supplementation on pork meat quality. A separate study according to sex was conducted in 120 Berkshire pigs (60 sows and 60 barrows) supplemented with RC by-product single ingredient feed at 0% and 0.3% dietary level. After the 60-day feeding trial and slaughtering, the loins were collected for analyzing its meat quality properties. The proximate compositions, color values, water-holding capacities, cooking loss, shear force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RC supplementation, however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x. The loins from RC-fed sows have lower TBARS values than in control (p<0.05). Also, the loins from RC-fed barrows showed 4.2-6.6% greater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refore, the by-products of Rubus coreanus can be supplemented in pigs to improve the antioxidative qualities of pork.

      •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행동과 과시소비 성향에 관한 연구

        박지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초 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 성향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개인 특성 변인, 심리적 특성 변인, 소비자 교육 변인, 인터넷 이용 행동 변인에 따라 청소년의 과시소비 성향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며 이러한 변인들이 과시소비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소비생활 지도와 학교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남·여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그 중 457명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 α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t-test, ANOVA, Duncan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과시소비 성향은 2.80으로 나타나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유명상표 지향’이 가장 높고, ‘유행 및 타인 지향’과 ‘수입품 지향’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소비자의 개인특성 변인에 따른 과시소비 성향은 학년, 월 평균 용돈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2학년이 1학년보다 과시소비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용돈이 많은 집단이 과시소비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 변인에 따른 과시소비 성향은 물질주의 성향과 소비생활 의사소통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물질주의성향과 소비생활 의사소통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과시소비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소비자의 인터넷 이용 행동 변인에 따른 과시소비 성향은 인터넷 이용 행동 중 인터넷 하루 평균 이용시간, 이용 용도, 인터넷 쇼핑몰 이용경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물건의 종류, 인터넷 쇼핑몰 이용 이유, 인터넷 쇼핑몰 방문 경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터넷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길때, 인터넷의 이용 용도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일때,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경험이 많을때,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물건이 주로 의류 및 패션용품일때, 인터넷 쇼핑몰 이용한 이유가 충동구매일때, 인터넷 쇼핑몰을 방문하게 된 경로가 친구들의 권유에 따른 것일때 과시소비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물질주의 성향, 월 평균 용돈, 소비생활 의사소통도, 인터넷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 성향을 25% 설명해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청소년 소비자의 인터넷 이용 행동과 과시소비 성향에 관해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소비행동에 인터넷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인터넷 이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인터넷을 활용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한편, 청소년에게 건전한 소비 교육을 통해 물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배양하는 노력이 가정과 학교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Biphasic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혈청 지질상의 분석

        박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최근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각각 전기영동한 후 Chol/Trig ComboTM (Helena Laboratories, Japan)로 구분 염색하여 그 양상을 검색하는 biphasic electrophoresis법이 소개되었다. 저자는 대학병원 내과 외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biphasic electrophoresis법을 이용하여 혈청 지질양상, Fredrickson 형별 고지혈증 분류 및 변성 LDL (modified LDL; m-LDL) 등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6년 4월부터 동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내과 외래를 방문한 초진 환자 4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TP III guideline에 따라 콜레스테롤 200 mg/dL 및 중성지방 150 mg/dL를 기준으로 대조군과 고지혈증 군으로 나누었다. 효소법으로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biphasic electrophoresis 후 분석 소프트웨어(ED BANK, Helena Laboratories, Japan)를 이용하여 HDL, VLDL, LDL 및 m-LDL 등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고콜레스테롤혈증 군은 HDL 및 LDL이, 고중성지방혈증 군은 HDL, VLDL, m-LDL이, 그리고 고콜레스테롤/고중성지방혈증 군은 VLDL 및 m-LDL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P <0.05). 한편 m-LDL 양성율은 대조군에서는 19.8% (46/232), 고콜레스테롤혈증 군은 23.6% (17.72), 고중성지방혈증 군에선 50.9% (28/55), 그리고 고콜레스테롤/고중성지방혈증 군에선 39.3% (22/56)이었다. 결론: 이 기계로 변성 LDL을 측정할 수 있었다. LDL은 중성지방 농도와 관계없이 고콜레스테롤혈증 군에서, 그리고 m-LDL과 VLDL은 콜레스테롤 농도와 관계없이 고중성지방혈증 군에서 각각 높았다.

      • BSC 모형을 이용한 공급사슬보안성과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박지영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존에 무역 단계에서만 관심을 가졌던 물류보안이 이제는 제품의 제조단계에서 최종 도착 단계까지의 공급사슬로 범위가 확대되면서 세계 각 국의 물류보안제도가 생겨났고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효용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해지거나 알려진 것이 적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보안의 활동과 공급사슬보안의 성과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BSC(Balanced Scorecard)의 관점에서 공급사슬보안활동을 제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해서 공급사슬보안활동과 공급사슬보안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BSC관점에서 본 공급사슬활동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공급사슬보안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BSC의 학습 및 성장관점, 내부프로세스과점, 고객 관점, 재무 관점에서 7개의 주요 보안활동과 1개의 보안성과(8개의 이론변수), 24개의 세부 활동(24개의 측정변수)들을 제시하였다. BSC의 인과관계 모형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을 한 결과,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이론변수인 인적자원관리와 정보시스템관리는 내부프로세스 관점의 이론변수인 시설/화물관리, 보안프로세스, 위기관리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내부프로세스 관점의 보안프로세스와 위기관리 능력은 고객 관점의 이론변수인 보안프로세스와 위기관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관점의 보안프로세스와 위기관리능력은 재무적 관점인 물류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내부프로세스 관점의 시설/화물 관리는 물류보안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교에서의 활동 중심 소설 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연구

        박지영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ise concrete process and procedure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and examine its utility, by actually applying it to educational sites and carrying out its assessment with the actual assess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since it provides useful data enabling more reasonable performance assessment in educational sites, by concretely proposing practical alternativ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sufficient reviews regarding teaching-learning purposes in the literature class of the 7th curriculum to make the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implemented properly. Assessment is meaningful when reflecting the results of achievement measured on the original purposes to teaching-learning methods.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many educational sites where focus on assessing the results of achievement only without plans of how to connect teaching-learning purposes to assessment methods. As the result, it has led to lots of problems to concentrate on the 'knowledge'-centered assessment only, even though the actual classes are performed with 'activities'. In novel education,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judge appreciation levels of learners and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ies.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Chapter 2 aims to examin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plans in the literature class of the 7th curriculum revised to prove the efficiency and utility of the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in novel education and then, demonstrate what the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in novel education is suitable for purposes of the 7th curriculum revised, based on activity-centered literary views,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theori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ories of literary communication. Chapter 3 focuses on considering the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in novel education more definitely. First of all, principles of novel education a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student's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in novel education is proven. Then, two fundamental principles of novel performance assessment are investigated and a variety of the existing novel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are inspected. Also, a procedure model, 'Performance assessment planning - Performance assessment tool developing - Performance assessment guidance and application -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analysis - Feedback of results' is revised to plan and implement a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them, Chapter 4 targets on applying the activity-centered novel performance assessment developed to educational sites actually and analyzing its results. For this activity, firstly, using total 5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suggested in this paper, diverse after-reading activities such as 'Making lyrics', 'Expressing in poetic language', 'Making character webs', 'Drawing hearts', 'Analyzing characters', 'Comparison and analysis'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Secondly, varied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media. The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needs to chang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s the 7th curriculum puts stress on media and students are closely related to it, today.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decided into passive media activities to find out some cases that novels changed into movies, musicals and plays, and comparing and appreciating them, and positive media activities to express appreciation results of novels in animation and UCC. As the result,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ed in these activities, among various activities. Thirdly,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ombines reading novels with writing essays and discussion activities, was implemented. Recently, essay and discussion are being highlighted as hot topics in Korean language class. Commonly,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approaching essay and discussion activities with non-literary materials, but when asking them to do after-reading activities including writing essays after appreciating novels and discussing values of novel characters in groups, most of students were interested in them and approached them more easily. While various after-reading activities suggested previously focus on writing, this activity focuses on combini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ogether, and thus has big significance. Reading Resume was the fourth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this activity is that it helps students review and reflect on their reading activities and setting up proper reading plans by themselves. In this study, reading resume of this researcher was first developed and used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is activity. Lastly, students were asked to read novels for 10 minutes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is activity helps students create a calm atmosphere, by reading books before the class without making a loud noise, and that's its biggest strength. It is a meaningful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since beyond the meaning of 'assessment', it helps students choose books suitable for their levels with interest, accept and appreciate them, and create new results based on them, as a teaching-learning process. Based on these activities,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ly, when concretely applying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to the actual novel class, students positively took park in and reacted to it. Secondly, the activity-centered novel performance assessment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appreciation abilities of novels creatively and deeply. Thirdly, the activity-centered novel performance assessment is appropriate to highlight characteristics of novels and achieve purposes of novel educ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tudent's activity-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in novel education is consistent with Korean language purposes in the 7th curriculum to cultivate mature cultural citizens, by developing students' abilities to understand a variety of lives and improving aesthetic emotions, accepting or producing literary works. 본 연구는 활동 중심 소설 수행평가 방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절차를 구안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 실제 평가자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여 그 효용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갖고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정 7차 교육과정 중 문학교육과정의 교수 학습 목표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거쳐 활동 중심의 소설교육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행평가의 현장적 대안 방법을 구체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타당한 수행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평가는 본래 목표에 대한 달성도를 측정해서 그 결과를 교수-학습에 반영할 때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목표와 평가의 방식을 연결하여 계획을 세우지 않고 결과물만을 가지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실제 수업은 ‘활동’으로 이루어지나 결국 평가는 ‘지식’ 중심이 되는 결과를 낳아버리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소설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상 수준을 판단하고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수행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2장에서는 소설교육에서 활동 중심 수행평가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먼저 개정 7차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을 살펴보고, 활동 중심의 문학관과 국내외의 다양한 수행평가 이론, 문학소통이론을 바탕으로 활동 중심의 소설 수행평가가 개정 7차 교육과정의 방향에 부합하는 평가의 방식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 3장에서는 활동 중심 소설 수행평가를 좀 더 명확히 검토해 보았다. 먼저 소설 교육의 원리를 살펴보며 소설교육에서 학생 활동 중심의 수행평가가 필요한 것임을 증명하고 소설 수행평가의 두 가지 기본 원리를 밝히며 기존에 제시되었던 다양한 소설 수행평가의 방법을 점검해 보았다. 또한 수행평가를 계획하고 시행하기 위한 절차 모형을 모색하여 ‘수행평가 계획하기-수행평가 도구 개발하기-수행평가 안내 및 적용하기-수행평가 결과 분석하기-결과 피드백하기’의 모형을 구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제 4장에서는 활동 중심 소설 수행평가를 직접 개발하여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소설 수행평가는 모두 다섯 가지 방식이었다. 첫 번째로 노래 가사 만들기, 시로 표현하기, 인물망 만들기, 추리해 보기, 마음 그리기, 인물 분석하기, 비교 분석하기, 인터뷰하기 등의 다양한 독후 활동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소설을 매체와 관련시켜 다양한 수행평가를 시행하였다.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매체를 중시하며 요즘 학생들도 매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수행평가의 방식도 변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한 수행활동이었다. 이 수행평가는 소설이 영화, 뮤지컬, 연극 등으로 바뀐 예를 찾고 비교 감상하는 소극적인 매체 관련 활동과 소설을 감상하고 그 결과를 애니메이션, UCC 등으로 표현해보는 적극적 의미의 매체 활동으로 구분해 시행했는데 학생들의 참여도가 가장 좋은 활동이었다. 세 번째 활동으로는 소설 읽기와 논술, 토론 활동을 연계한 수행평가를 실시했다. 최근 학교 현장에서 국어과의 화두는 논술과 토론이다. 흔히 학생들이 비문학적인 제재를 가지고 논술과 토론에 접근하면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소설 작품을 감상하고 등장 인물의 가치관 등을 주제로 모둠별 토론을 하고 그 결과를 논술을 비롯한 독후 활동으로 실시해보았더니 비교적 재미있고 쉽게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앞서 제시했던 다양한 독후 활동이 쓰기 활동에 중점을 둔 수행평가라면 이 활동은 말하기와 듣기, 읽기, 쓰기가 결합된 활동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수행평가로 활용했던 방식은 바로 독서 이력서였다. 이것은 평가를 위한 의미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학생들이 자신의 독서에 대해 점검, 반성해보고 독서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다는 의미가 더욱 컸다. 그래서 연구자 본인의 독서 이력서를 먼저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시하였다. 마지막 다섯 번째 수행평가 활동으로 10분 소설책 읽기를 제시하였다. 이 수행평가는 교사 개인적으로는 수업 시작 전 책을 읽음으로써, 큰 소리 내지 않아도 쉽게 차분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다. 이 활동은 수행평가가 단순히 ‘평가’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의 과정으로 소설에 흥미를 가지고 자신의 수준에 맞춰 책을 선택하고, 수용·감상하며 창작에 이르는 과정에 이르는 하나의 방법이라는 점에 비추어봤을 때 의미 있는 활동 중심의 수행평가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활동 중심의 소설 수행평가의 절차 및 구체적인 방법의 적용은 소설 수업에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반응을 유도했다. 둘째, 활동 중심의 소설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소설에 대한 창의적이고 깊이 있는 문학에 대한 감상 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활동 중심의 소설 수행평가는 소설의 특성을 살리고 소설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평가 방식이다. 결론적으로 학생 활동 중심의 소설 수행평가 방법은 문학을 수용하거나 생산하면서 인간의 다양한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정서를 함양하여 성숙한 문화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는 개정 7차 교육과정의 국어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중소 제조업체를 위한 제조 데이터 분석시스템의 구현 성과에 대한 연구: 소성업종을 중심으로

        박지영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현재 세계는 산업과 정보통신기술 융합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가치사슬 전반의 다양한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소통하면서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루어내는 것을 말한다. 제조업에서 4차 산업혁명의 적용은 스마트 제조 혁신에 있다. 스마트 제조 혁신은 생산 현장의 정보를 모두 데이터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제조의 지능적 운영을 달성하는 것이다.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상과 문제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생산 현장에 적용 및 제어하여 최적의 생산 운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하지만, 중소 제조업체에 있어서 스마트 제조 혁신의 적용은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IT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많은 시간과 비용, 대기업 위주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 도입 목적을 잊고 데이터 수집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현상 등이 큰 장벽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중소 제조업체의 스마트 제조 혁신의 적용을 위한 제조 데이터 자동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고 성과를 측정하였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목표 지표를 수립하고, 그에 따른 제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ERP 시스템과 통합하여 다른 정보들과 함께 분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소성 업종의 중소 제조업체에 구현하여, 구현 전과 후의 생산성 지표를 측정하였고, 소성 공정을 포함하는 24개 중소 제조업체를 상대적 효율성을 DEA 기법에 의하여 분석하여 구현 성과를 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위해 2장에서 선행연구 및 이론적인 검토를 진행하였다. 2장의 1절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생산 운영 관리와 제조 생산성에 대한 개념과 종류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2절에서는 제조 데이터의 의미와 제조 데이터의 가치와 활용에 대한 선행 연구를 탐구하였다. 3절에서는 시스템 구현 성과 분석을 위한, 상대적 평가 방법인 DEA 기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절에서 시스템의 관련 기술인 디지털 전환, 사물인터넷, OPC-UA, ERP 시스템에 대한 관련 자료와 선행 연구들을 탐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적인 검토를 토대로 시스템을 설계하여, 소성 업종의 중소 제조업체에 구현하였다.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수집/축적/분석의 세 단계 Lay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조 데이터 기준 체계를 통해 데이터 수집과 축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확보된 데이터는 ERP 시스템의 기준정보와 연결되어,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4장에서는 시스템 구현 전과 후의 생산성 지표를 비교하여 직ˑ간접적인 영향으로 목표한 생산성지표가 모두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EA 기법으로 실행된 통계적 성과 평가를 실행한 결과 제조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생산 현장의 정보를 ERP 시스템까지 연계된 시스템을 구현하여 생산성 향상에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목표에 따른 단계적인 스마트 제조 혁신의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제조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이 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간업무시스템인 ERP 시스템에 연계되는 제조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는 제조실행시스템은 생산성과 효율성에서 성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제조현장에서의 지속적인 개선활동을 위해서는 딥러닝 데이터 학습모듈에 의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적용으로 제조최적화를 기할 수 있는 실험적 연구가 향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진정한 양도 여부에 따른 비등록자산유동화거래의 세무효과 : 유동화기업어음구조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영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During the financial crisis in the 1990s, the asset securitization wa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novative and effective financing tools. The Korean governments implemented the Act on Asset Backed Securitization Act ("ABS Act") in order to support and to facilitate clearing the accumulated non-performing loans ("NPL")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The ABS Ac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tivating the asset securitization and resolving the NPL of financial institution. However, the asset securitizations have been widely used as one of efficient methods to manage and to raise funds by targeting the normal bonds for hedging the credit risks or cultivating the profits from the transac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NPL in recent years. In this regards, the number of asset securitizations not regulated by the ABS Act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e stringent conditions and procedures required under the ABS Act for various transactions. The most important tax implication of asset securitizations depends on whether it would be regarded as a true sale for tax purposes. In this regard, Article 13 of ABS Act provides the required conditions for the true sale of asset securitization, which is regulated under ABS Act ("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Furthermore, in accordance with the tax ruling and the interpretation 52-14 of the Korea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the tax and accounting treatment for 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should follow the treatment under the Article 13 of the ABS Act. Therefore, the 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shall be treated as the true sale for tax purposes as it satisfies the condition prescribe in Article 13 of ABS Act. However, as there are no specific criteria for true sale of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the determination of true sale issues for the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should be based on general tax principles on a case-by-case basi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review tax effects of the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upon being treated as a true sale with emphasis onthe case of Asset Backed Commercial Paper ("ABCP"). In particular,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general tax guidelines of true sales which would be applicable to the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and to compare the tax implications depending on whetherthe transaction is treated as true sal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considering that a Special Purpose Vehicle ("SPV") is basically a separate legal entity, an asset securitization should be treated as a true sale for tax purposes, unless treated differently from legal perspectives. In this regard, the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under Article 4 of Corporate Income Tax Act should be restrictively applied. In addition, although such an asset securitization is regarded as a secured transaction for accounting purposes, the same treatment cannot necessarily be apply for tax purposes as the purpose and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could deviate from those of accounting principles. Second, the fact that the tax implication may b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can be regarded as true sale implies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cash flow. Therefore, such uncertainty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t a planning stage. In details, various tax aspects such as the income tax consequence on capital gain or loss from disposal of the asset, the entertainment expense, the dividend received deduction, and the education tax for financial institutions will b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the treatment of asset securitization whilethe practical guidance such as withholding obligations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Lastly, the specific criteria and conditions of true sale for the un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minimize the tax uncertainty. In consideration of the tax neutrality, such criteria should not differ from the ones set out for the registered asset securitization solely based on the registration status of the asset securitization. 1990년대 말 금융기관 및 기업의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부실채권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자산유동화거래를 통하여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던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것을 지원하고자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이하 “자산유동화법”)을 제정 및 시행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동 법률로 인하여 대한민국의 자산유동화거래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다는 점에서 이는 그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자산유동화거래는 부실채권의 처리라는 최초의 목적과는 달리 정상적인 채권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구조의 차익거래를 통하여 거래이익을 향유하거나 또는 신용위험을 회피하는 등 금융기관이나 기업의 가장 효율적인 자금운용 또는 자금조달의 금융기법으로 선택되어 실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자산유동화법에 따른 자산유동화거래(이하 “등록유동화거래”)의 경우 동 법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제약과 절차적인 요건들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이는 거래 당사자들의 다양한 구조화금융요구들을 모두 수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최근 동 법에 의하지 아니한 자산유동화거래(이하 “비등록유동화거래”)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세무 처리와 관련하여 자산유동화거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유동화기초자산에 대한 진정한 양도여부에 대한 판단이 될 것이다. 한편 자산유동화법 제13조에서는 진정한 양도의 조건을 열거하고 있으며 동 법에 따른 자산유동화의 경우 반드시 이러한 요건을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등록유동화거래의 경우 원칙적으로 이를 세무상 진정한 양도 여부의 판단 과정에서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현행 기업회계기준 해석 52-14 및 과세관청의 유권해석에서도 등록유동화거래의 경우 기본적으로 이를 진정한 양도로 보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해석을 비등록유동화거래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결국 비등록유동화거래의 경우에는 실무적으로 일반적인 세법상의 규정에 따라 사안별로 진정한 양도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양도여부에 따른 비등록자산유동화거래의 세무효과를 유동화기업어음구조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비등록유동화거래에 적용될 수 있는 진정한 양도에 대한 세무상 판단 기준을 검토하고 아울러 진정한 양도 여부에 따라 세무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사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유동화회사는 명목상으로 별개의 법인이므로, 법률적으로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자산보유자와 유동화회사와의 유동화기초자산의 이전은 기본적으로 진정한 양도로 보아야 할 것이다. 비록 법인세법 제4조에서 실질과세의 규정을 명시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조세법률주의의 기본이념은 원칙적으로 이러한 구성 요건의 외연을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실질과세의 규정은 제한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비록 경제적 실질을 중시하여 회계처리 과정에서 이를 담보차입거래로 해석한다고 하더라도 회계처리와 세무처리는 그 목적이 명확하게 다르므로 반드시 세무처리가 회계처리를 준용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둘째, 유동화 거래의 진정한 양도 여부에 따라 세무상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결국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결국 거래 당사자들은 동 거래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이와 같은 세무상 불확실성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화기업어음구조의 사례를 통해 같이 동 거래를 매각거래가 아닌 담보차입거래로 인식하는 경우 법인세법 상 유동화기초자산의 처분손익의 인식 여부, 관련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의 인식 여부 및 기타 이로 인한 접대비 및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 금액의 변동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를 비롯하여 교육세 부담도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이자비용에 대한 원천징수의무와 같은 절차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언급한 거래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형태의 자산유동화 거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세무상으로 비등록유동화거래의 진정한 양도에 대한 판단 기준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조세 중립성의 관점에서 단순히 등록 여부에 따라 세무상 효과가 달라져서는 안 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s on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Park Ji-Young Advisor: Choi Hanna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Nambu University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s to determine how general hospital nurs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affect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study’s subjects comprised of 245 ward nurses who provided direct care to patients in 5 hospital accreditation evaluation non-accredit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A and B.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whi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3 to 26, 2022.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u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atient safety competency scale, and patient safety and management activities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attempt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general hospital nurs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the impac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to aid in effectively manag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s. It is an investigative study. 1. In term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221 (96.1%) were female, 155 (67.4%) were single in their marital status, and 151 (65.7%)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for their final education. The average age was 32.2 years, and the average clinical experience was 3.5 years; 196 people (85.2%) were general nurses, and 186 people (80.9%) worked in 3 shifts. 2. The subjects’ degree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3.92±0.47 points out of 5, with 3.92±0.42 points out of 5 for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4.30±0.43 points out of 5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3.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age (F=3.22, p=.042) and position (F=4.11, p=.018). Patient safety compet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F=4.49, p=.012) and patient safety-related work experience (F=2.57, p=.011). In additi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reported patient safety accidents (F=3.85, p=.010)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dication error experience (F=3.50, p=.001) over the past 12 months. 4.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y (r=.62,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r=.60, p<.001). In addition, patient safety compete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64, p<.001). 5.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59.83, p<.00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ression model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tient safety competency (ß=.44, p<.001),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ß=.31, p<.001), and medication error experience (ß=-.15, p=.002)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50.7%.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tient safety competenc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medication error experience were influencing factor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fore, to promote general hospital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Furthermore,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uch as an increase in fees, should be sustained to continue systematic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s. ........................................................................................................................................... Key terms: patient safety, risk management, awareness, competence, general hospital 국문초록 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 지도교수: 최한나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도와 B광역시 소재 병원인증평가 미인증 종합병원 5곳에서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고 있는 병동 간호사 2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2년 9월 13일부터 2022년 9월 26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박미정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환자안전역량은 Lee & Jang(2012)의 도구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한미영과 정면숙(201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종합병원에서의 효율적인 환자안전간호활동 관리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자가 221명(96.1%), 결혼 상태는 미혼이 155명(67.4%),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151명(65.7%)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나이는 평균 32.2세, 임상경력 평균은 3.5년,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96명(85.2%),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자가 186명(80.9%)이었다. 2.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3.92±0.47점,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3.92±0.42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4.30±0.4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연령(F=3.22, p=.042)과 직위(F=4.11,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역량은 직위(F=4.49, p=.012)와 환자안전관련 업무경험(F=2.57, p=.011),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지난 12개월 동안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F=3.85, p=.010)와 투약오류경험 유무(F=3.5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환자안전역량(r=.62, p<.001), 환자안전간호활동(r=.60, p<.001),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간호활동(r=.6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회귀모형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9.83, p<.001). 환자안전역량(ß=.44, p<.001),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ß=.31, p<.001), 투약오류경험(ß=-.15, p=.00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으며, 이 변수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50.7%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투약오류경험 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향상을 위하여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종합병원에서의 체계적인 환자안전관리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지속을 위하여 수가 개선 등의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