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특수 대학원 교육 만족도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연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entering graduate school of the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would signifies their expert development which would be accompanied by their identity being lifted to offer ultimately their subjects qualified social welfare service.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what graduate school should practice to fulfill the users' need by grasping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currently attending special graduate school and their demand level for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by confirming the factor affecting the identity of the specialized job & its level. 127 people attending social welfare related special graduate schools at Daegu, Gyeongbuk, Busanm Gyeongnam areas as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chosen to survey and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and general traits such as sex, age, attended terms, and work environmental traits such as institutes' pattern, position, their grade as the social worker, whether they major in social welfare, motivation of entering graduate school, the level of demand for curriculum,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inquiry into the differences in their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 occupation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ended terms of graduate school and in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graduate school entering showed their activity oriented motivation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aduate school attended terms, position, their grade as the social workers. Second, the inquiry into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graduate school's attended terms, institutes' pattern, post and grade as the social workers and whether they major in social welfare. Third, he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depending on general &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institutes' pattern. Fourth, the inquiry into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from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especially, considerable differences existed in goal oriented motivation, the subfactor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oriented motivation. Fifth, the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goes with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subfactor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uch as the curriculum, network, school image areas Sixth, the practice of regression analysis in search for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identity of the social workers and their relative influence showed the curriculum area among institutes' pattern, the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such as activity oriented motivation, goal oriented motivation, learning oriented motiv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ppeared to be influential on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Seventh, the inquiry into the level of demand of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showed that they preferred twice a week less then 60 minutes per time as the class hour and form, and various ways of class such as professor's lecture + discussion based learning + seminar(students' present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about 15. Besides, they felt that writing thesis is necessary in graduate school curriculum showing their preference for optional subjects to required subjec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 identity of the profession of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the students attending special graduate schools, were prepared as below First, the role of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of each course under the reality of the plenty of the overlap of subjects and their contents due to unclear curriculum for bachelor's, master's and doctor's course in special graduate school, should be modified into the way to clear that Second, the special graduate schools have to check out the demand of the social workers and analyze it to reflect it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optional subjects preferred by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focused instead of required subjects centered current curriculum in open of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widening the subjects selection, along with open of optional subjects as required subjects for the social worker who need to obtain certificate to complete the subjects necessary for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e. Third, the whole graduate schoo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ways such as special lecture etc to increase educational environment, lecture quality, student welfare and educational accomplishment, keep and develop the students' close mutual relationship practicing the education students really want as the way of fulfilling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대학원 진학 현상이 사회복지사의 전문능력개발을 의미하며 이것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높아져 궁극적으로는 대상자에게 수준 높은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할 것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현재 특수 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교육만족도를 알아보고 대학원 교육과정 요구도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영향의 정도를 확인하여 대학원 교육이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대학원 교육의 현실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 부산․경남 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관련 특수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27명을 대상으로 전문직 정체성과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 대학원 재학학기, 직무환경 특성인 기관유형, 직위, 사회복지자격증 급수, 학부사회복지 전공유무, 대학원 진학동기, 교육과정 요구도, 교육만족도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진학동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대학원 재학학기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진학동기의 하위요인으로는 활동지향형 동기와 대학원 재학학기, 직위, 사회복지자격증 급수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대학원 재학학기, 기관유형, 직위, 사회복지자격증 급수, 학부사회복지 전공유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기관유형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원 진학동기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육만족도와 대학원 진학동기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목적지향형 동기와 학습지향형 동기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만족도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과정 영역, 네트워크 영역, 학교이미지 영역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관유형, 대학원 진학동기의 하위요인인 활동지향형 동기, 목적지향형 동기, 학습지향형 동기, 교육만족도 중 교육과정 영역이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주 2회 60분이하의 수업시간과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교수강의+토론식학습+세미나(학생발표)와 같은 다양한 방법의 수업형태와 15명 내외의 수강인원에 대한 요구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논문 작성이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목 선호도에서는 필수 과목 보다는 선택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교육만족도 및 전문직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특수 대학원에서의 명확하지 않은 학사, 석사, 박사과정의 교육과정으로 인해 교과과목이나 교과내용이 많이 중복되고 있는 현실에서 각 과정의 사회복지 교육의 역할분담이 적절하고 명확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 대학원은 사회복지 전공 교육과정의 구성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요구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구성에 반영하여야 한다. 필수과목 중심으로 짜여진 현재의 커리큘럼을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커리큘럼을 개설하여 교과목 선택의 폭을 넓이고 사회복지사자격증 취득이 필요한 종사자들에게는 필수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하여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환경의 개선과 강의 질 향상, 학생복지 증진,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특강 등 전반적인 대학원 교육을 개선해 나가며 학생들과의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 발전시켜 학생들이 실제로 원하는 교육을 실천하여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에재학중인상담전공교육대학원생의 첫상담실습참여경험에관한합의적질적연구

        윤선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첫 상 담 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 커리큘럼 중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좌를 수강하면서 상담 실습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25명의 경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큰 표본을 통해 모집단을 더 완벽하게 묘사하며 개별 사례의 특별함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은 25명의 경험 내 용으로부터 4개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경험에서 나타난 구체 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로서 기대감과 부담을 동시에 가짐’ 영역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첫 실습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을 보였지만 자신의 부족한 상담역량을 인식하 고 실습에 부담감을 느낀 경험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부담을 덜어내고자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모 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상담 수행과정에서 상담자로서 전문성의 한계를 절감함’ 영역에서는 상담 실습 중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 들이 상담 실습 중 경험한 다양한 어려움은 부족한 상담역량으로 내담자 선정 부터 막막하게 느껴짐, 전문성의 한계로 상담 방향을 확신하지 못한 채 성급 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신을 발견함, 주 호소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 해 상담 중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하여 당황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로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함’ 영역에서는 이전까지 학교 장면에 서 피상적인 일회성 상담을 해왔던 연구참여자들이 여러 회기의 과정으로서 상담을 진행하면서 상담에 자신감을 느끼고 상담자로서 자부심을 얻게 된 경 험들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 경험을 통해 공감과 지 지로 내담자의 깊은 내면을 끌어낼 수 있음을 배우고, 전문성을 높여 내담자 를 돕고자 하는 초심을 떠올리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이 영역에서는 상담자로서 내담자를 조력하여 상담 목표를 달성 해 보람을 느끼고, 실제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연구참여자들 스스로 자 부심과 자신감을 갖게 된 경험 등이 드러났다. 넷째, ‘실습제도 및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 절감’ 영역에서는 연구참여자들 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토대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이 주요 범주 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습에 직접 도움이 되는 과목 편성 필요, 실 습 내용을 충분히 연구하고 나눌 수 있는 사례연구 시간이 확보되어야 함, 졸 업 전 상담 실습이 한 번 뿐이라는 두려움과 아쉬움, 실습 중 상담자의 불안 을 낮추어 줄 슈퍼바이저의 지지와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함, 학교상담 매뉴 얼의 필요성 절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습 전, 중, 후에 초심상담자가 겪는 다양한 경험을 파악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전문상담사 양성과 관련되어 초심상담자가 겪는 어려움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가 되 기 위해 노력하는 양성과정에서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이 갖는 의미와 한계를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 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에 처음 참여하는 교육 대학원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상담 전공 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의의 의의과 가치를 확인하고 전문상담교사 양 성과정과 관련 해당 과목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 과목의 수정 및 보완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주요어 : 전문상담교사, 상담, 교육대학원,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 상담 실습

      • 직장인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경험과 의미

        금교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employee’s in the process of graduate dual degree acquisition. To this end, 7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of acquiring dual degree and its mea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selected was the narrative to analyze the conten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irst of all, the following are the experience of employee’s who have tried to acquire dual degree at their graduate schools. First, trial was initiated from their desire to get out of the academic complex and become socially recognized as someone in high social status. Second, the symbolism of dual degree was an opportunity to have confidence in learning. Third, it was autonomous study from their indeed desire without any force or interference, Fourth, they were addicted to study since they felt vacant or worried without study. Fifth, Study was developed to wisdom in terms of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ir works regardless of their ages. Sixth, they continued to study since they had motivation to keep developing their wisdom and experience. The meanings of such research participants' graduate dual degree acquisition are as follows. First, dual degree is to advance further from simple ski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further professionalism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to study following recent changes and new trends. Second, the dual degree is the practice of learning and teaching. Start of learning is to recognize one's own shortage and have humble attitude for study. Teaching is an act to lead followers to reach the level of their teachers. By showing one's changes, the dual degree can make the meaning of catharsis for the desire of learning. Fourth, dual degree means fusion and communication. If one studies new field without sticking to only one's major, one's knowledge will be extended greatly through fusion and integration process. Fifth, dual degree is preparation for the second life. It is to realize life of old age wiser.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cquiring graduate dual degree seems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and expansion in career or life in their workplace. 본 연구는 직장인이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복수학위취득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자료를 토대로 내용을 분석하는 내러티브 연구를 선택하였다. 먼저, 직장인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경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콤플렉스를 벗어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이다. 둘째, 복수학위가 가지는 상징성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학습의 즐거움 알게 되어 누구의 간섭이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난 학습이었다. 넷째, 공부를 중단하면 허전하고 불안하므로 공부도 중독성이 있음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공부는 나이와 상관이 없으며 일과 함께 전문성에서 지혜로 발전되었다. 여섯째, 경륜과 지혜가 학습동력으로 작용하여 계속학습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참여자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학위는 숙련의 해체이다. 이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새로운 트랜드의 변화에 따른 공부를 해야 한다. 둘째, 복수학위는 상구(배움)와 하화(가르침)의 실천이다. 상구(배움)의 시작은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겸손하게 배우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며, 하화(가르침)는 높은 수준을 가진 선진이 후진에게 선진의 수준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셋째, 자신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복수학위는 배움의 욕구에 대한 카타르시스의 의미가 된다. 넷째, 복수학위는 융‧복합과 소통이다. 전공에 얽매이지 말고 새로운 공부를 하면, 학문이 복합과 융합의 현상으로 작용하여 지식의 폭이 넓어진다. 다섯째, 복수학위는 제2의 인생준비이다. 길어지는 노년의 삶을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장인에게 대학원 복수학위취득이 직업이나 삶에 있어서 새로운 기회와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사목적 방안 연구 : 대구대교구를 중심으로

        권호섭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medicine develops and sense of hygiene improves,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longer and the 'aging society' has come. As we never experienced the aging society,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problem that could be caused by the aging society. The main cause of the concern is related to finance. We tend to see the aging society regards to finance; the decrease of labor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cost to support seniors. Seniors are treated as an obstacle in the modern IT society where individual competence and new knowledge are valued. Society devalued seniors as the main cause of various social problems and even describes the aging society as 'a national timing bomb' or 'the shadow of disaster'. As a result, seniors are getting isolated and suffer various difficulty. On the contrary, church regards seniors as the blessed creature of God, symbol of wisdom and people to be respected. So, a church accepts aging as a blessing and a big project. Following this, Daegu Archdiocese carries out various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However,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are far less paid attention comparing with the pastoral projects for the youth. Daegu Archdiocese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Such effort would be helpful to make a social trend which accepts old age as a blessing and mission, and play a big role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seniors. This thesis gives priority to reconfirm the meaning of the old age and its value following the less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seek the ways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senior. In addition, this thesis plans to grasp the state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by Daegu Archdiocese, and suggest substantial guideline to improve and develop the projects. This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A similar study had been done at the graduate school in Catholic University in 2009. It is the thesis by Chan Young Choi for his graduate degree; The role of the catholic church to activate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in the aging society - mainly by Archdiocese of Seoul and Uijeongbu. However, the thesis is about the activity in Seoul and Uijeongbu, and a study about the activity in Daegu Archdiocese needs to be done. Therefore, in chapter I this thesis overviews the aging society and the life of the seniors in general. In chapter II this thesis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ld age and its value through bible, documents kept in the church and the catholic church, and confirm the lesson of the catholic church regards to seniors. In chapter III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 of the aging society in Daegu Archdiocese and in the ares under its jurisdiction, and examines the state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and problems. Finally in chapter IV this thesis finds the purpose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to set a correct direction and the goal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following the guideline of the projects. This thesis also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based on Daegu Archdiocese and its parish church.

      • 이공계 대학원생의 그릿(Grit)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

        차유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 전일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보다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에는 사회적 지지와 동료의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인내와 열정을 의미하는 그릿(Grit)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전국 대학원 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절차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 Macro Process의 Bootstrapping을 실시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그릿,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은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동료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그릿 수준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이 유의한 부분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이공계 대학원생, 그릿(Grit),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 Mos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who study full-time, complain of high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as most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erform research tasks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laboratory,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greatly affect the stress they experience. Grit, which means individual patience and passion,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resour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previously studied a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stress. In this study, I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on the effects of grit on academic stress. Data from 206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procedur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cro Process's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it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t this tim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act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 words: A graduate stud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

        이경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s for job conversion. For it,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epth interview for 7 employees with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rom Jun. to Dec. 2018. As a result, 3 great ranges and 8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or job conversion. were drawn. First is the change of value changing new view and recognition. Second is confidence improvement,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change recovering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is changes of actual life that obtain pleasure of leaning, formation of personal network, and family supports. From the above results,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may let them challenge new works with confidence and be analyzed as appearance of identity finding the work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living a subjective life. 본 연구는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대학원 경험이 있는 재직자 7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는 크게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첫째, 새로운 시각과 인식이 바뀌는 가치관의 변화이다. 둘째, 자신감 향상과 동기부여, 그리고 흥미와 적성을 되찾는 심리적 변화이다. 셋째, 배움의 즐거움과 인적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가족의 지지를 얻는 실생활의 변화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재직자들의 대학·대학원 경험은 자신감을 얻어 새로운 일을 도전하게 하고, 적성에 맞는 일을 되찾아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정체성의 발현이라 해석할 수 있다.

      •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 분석

        곽소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al belief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mathematical belief. These are research questions which this study focuses on in accordance with its stated goal: 1. What is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2. What is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mathematical belief?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survey. 106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four majors of 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Daegu and 1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responded in the questionnair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re classified by gender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classified by gender, major, educational level and career.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nly of the questions related to belief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among the mathematical belief categories developed by TEDS-M. Data collection was done online via google spreadsheet. The results of the belief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learning were divided into sub-belief and analyzed by SPSS program. Some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result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have ‘rules and procedures’ as their belief in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subcategories of it. There is a strong belief in the ‘inquiry process’ about the belief of learning mathematic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 instruction’ category of the subcategories. In other words, the male preservice teachers have a little more ‘teacher instruction’ belief about the learning mathematics than the female one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regard the nature of mathematics as a ‘inquiry process’ and have a ‘student-led’ belief about the learning mathematic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belief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gender and majors. In the mathematical belief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rules and procedures' and 'inquiry process' which are subcategories of belief about the nature of learning mathematics. As a result of post-hoc analysis, 'students or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mathematics education' show a difference in beliefs with 'college graduates' and 'students or graduates of general graduate’. Specifically, they have the highest belief in the ‘inquiry process’, and have the lowest belief in ‘rules and procedures’. In comparison of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care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lief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Third, comparing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ules and procedures' subcategories of the nature of mathematic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quiry proce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more likely to agree on 'inquiry process' th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learning, although they show a common tendency to be 'student-l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eacher instruction' category.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higher 'student-led' belief th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을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신념을 비교하며, 현직 초등교사를 성별, 전공별, 학력별, 경력별로 분류하여 세분화된 구체적인 신념을 파악하고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은 어떠한가? 나.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은 어떠한가? 다.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설문조사 기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조사에는 대구시 소재의 D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4개 학과 106명의 예비 초등교사와 대구 지역 현직 초등교사 120명이 참여하였다. 예비 초등교사는 성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였고, 현직 초등교사는 성별, 전공별, 학력, 경력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TEDS-M에서 개발한 수학적 신념 범주 중 수학 본질 및 수학 학습과 관련한 문항들만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google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수학 본질과 학습에 대한 신념 설문 결과는 하위 세부 신념으로 구분하여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규칙과 절차’를 수학 본질 신념으로 지니고 있고 수학 본질에 대한 하위 범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탐구의 과정’을 수학 학습 신념으로 여기고 있고, 수학 학습 신념의 하위 범주 중 ‘교사 지시’ 범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남자가 여자에 비해 조금 더 ‘교사 지시’적인 수학 학습 신념을 지니고 있다. 둘째, 현직 초등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수학 본질을 ‘탐구의 과정’으로 여기고 있고 수학 학습에 대해서는 ‘학생 주도’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 성별과 전공별로 현직 초등교사 집단을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면, 수학 본질과 학습 신념에서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학력별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 연구에서는 수학 본질의 하위 범주인 ‘규칙과 절차’, ‘탐구의 과정’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사후분석 검증결과 ‘수학교육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자’가 ‘대학교 졸업자’와 ‘일반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자’와 신념의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탐구의 과정’에서 가장 높은 신념을 지니고 있고, ‘규칙과 절차’에 가장 낮은 신념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경력별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 비교 분석에서는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서 둘 다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본질 신념을 비교해보면 수학 본질에 대한 하위 범주 중 ‘규칙과 절차’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지만 ‘탐구의 과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현직 초등교사가 예비 초등교사에 비해 ‘탐구의 과정’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학 학습 신념에 대해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학생 주도’적인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반면 ‘교사 지식’ 범주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현직 초등교사가 예비 초등교사에 비해 조금 더 높은 ‘학생 주도’적인 신념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대구 주택가격 변동패턴에 관한 연구

        주용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주택가격의 변동패턴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교차상관관계분석과 그랜저인과관계검정법 그리고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구축을 통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이다. 실증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거시경제변수와 전국주택가격 그리고 거시경제변수와 대구광역시주택가격 간에 교차상관관계분석과 그랜저인과관계검정을 실시하여 “거시경제변수는 전국과 대구광역시 주택가격에 상이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금대출금(HL), 종합주가지수(KOSPI), 소비자물가지수(CPI), 광의통화(M2), 경상수지(BCA) 등은 전국주택가격(NHP)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중에서 전국주택가격에 먼저 영향을 끼치고 지역경제에 속해 있는 대구광역시의 주택가격에는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었다. 둘째,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과 CD수익율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한 상관강도가 전국주택가격에 대한 상관강도의 약 50% 정도로 약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환율(원/달러, FX)은 전국주택가격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해 상관하는 방향성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넷째, 주거용건축허가면적(CP)은 전국주택가격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하여 무상관인 것으로 판별하였다. 그랜저인과관계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주택매매가격에 그랜저인과하는 거시경제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 광의통화(M2), 환율(원/달러, FX), CD수익률, 경상수지(BCA) 등이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그랜저인과하는 거시경제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광의통화(M2), 종합주가지수(KOSPI) 등으로 결과가 서로 상이하였다. 실증분석의 두 번째 단계로 본 연구의 목적인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변동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대구경제변수조합(DEVP, Daegu Economic Variables Pool)간에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구축을 통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 을 실시하였다. VECM 모형은 변수의 숫자를 9개로 채택한 Full Model과 변수의 숫자를 5개로 제한한 Reduced Model로 이원화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VECM 모형별로 계수추정을 실시하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모형내의 각 변수들의 자기회귀계수의 유의도 검정과 각 모형의 설명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Full VECM과 Reduced VECM의 계수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Full VECM(2)의 추정결과 전월의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등의 회귀계수 값이 p-value 5% 유의수준 내의 값을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Adjusted R-squared 값은 0.6091을 나타냈다. Reduced VECM(2)의 추정결과 Full VECM(2)에서와 같이 전월의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등이 p-value 5% 유의수준 내의 값을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물가지수의 회귀계수의 값과 유의도가 Full VECM(2)에서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Adjusted R-squared 값이 0.6192로 Full VECM(2)에서의 0.6091보다 조금 더 높았지만 두 모형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VECM 모형별로 실시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ull VECM(2)의 구성을 통한 분석결과이다. 충격반응분석의 결과로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부터 시차 10까지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의 변동 그리고 다음으로 소비자물가지수(DCPI),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등의 순서로 그리고 시차 15부터 시차 24까지는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에서는 실업율(DUR),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의 순서로 시차 5에서는 실업율(DUR),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시차 10에서는 실업율(DUR), 예금은행대출금(DBL) 시차 15에서는 예금은행대출금(DBL), 실업율(DUR) 시차 20에서는 예금은행대출금(DBL), 종합주가지수(KOSPI) 시차 24에서는 종합주가지수(KOSPI), 예금은행대출금(DBL)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의 충격에 대해 충격의 방향과 반대인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였다. Full VECM(2)에서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이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해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순서가 시차의 흐름에 따라 안정되지 않고 계속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분산분해분석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그 자체, 지역경제변수인 대구광역시의 소비자물가지수(DCPI),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 그리고 지역경제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광공업생산액(DIP), 실업율(DUR),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무역수지(DTB) 등의 순서로 설명력 비중을 나타냈다. 둘째, Reduced VECM(2) 모형의 구성을 통한 분석결과이다. 충격반응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5부터 시차 15까지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의 변동,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충격에 대한 민감도가 크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차 20부터 시차 24까지는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0부터 시차 24까지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분산에 대해서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 지역경제변수인 소비자물가지수(DCPI),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지역경제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거시경제변수인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지역경제변수인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설명력 비중(백분율)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ECM 모형별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주택가격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가 변동하는 것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그 다음으로 대구광역시의 지역경제변수인 소비자물가지수(DCPI) 그리고 거시경제변수 중에서 자산선택(portfolio selection)적 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와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의 영향과 지역경제의 펀더멘탈(fundamental)적 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identify the causing factors of the volatility of the Daegu housing pri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ruled regional housing markets without any discrimination against national housing markets. The macroeconomic tools like a liquidity control policy were mostly applied onto the national wide. This sort of wrong housing policy has distorted regional housing markets like Daegu's due to the different regional housing market status and regional economic fundamentals from those of nationa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letter, four statistical methodologies, which were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use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set up throug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The statistical null hypothesis() that The macroeconomic variables undiscriminatingly affected the Daegu housing prices against the national housing prices was tested thru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se are the macroeconomic variables which were selected and used; Broad Money, Consumer Price Index, Blance of Current Account, Foreign Exchange, Corporate Bonds, 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 Korean Stock Price Index, Housing Loan and Residential Construction Permits. And the statistical null hypothesis() was turned out to be rejected. To clarify the causing economic variables to the fluctuations of the Daegu housing prices, the Daegu Economic Variables Pool(DEVP) was set up. The DEVP was consisted of 8 regional economic variables and 2 macroecnomic variables; Daegu Large Retail Sales, Daegu Consumer Price Index, Daegu Unemployment Rate, Daegu Trade Blance, Daegu Industrial Products, Daegu Bank Loan, Daegu Construction Permits and the macroecnomic variables which were KOSPI and Corporate Bonds. Then three statistical methods which were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executed between the Daegu Housing Prices and DEVP. Two different VECM were made. One was a full model which had 10 variables including Daegu housing prices itself variable and the other was a reduced model which had 6 variables including a target variable. The adjusted of those two models were almost the same which were 0.6091(full model) and 0.6192(reduced model)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different models. And Daegu housing prices itself, Daegu CPI and KOSPI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ithin 5% CI from two models. Also under the same conditions, two different VAR models were made to compare the outputs with the outputs of VECMs. Consequently, the Daegu housing prices itself, Daegu Consumer Price Index, KOSPI, Corporate Bonds, Daegu Bank Loans and the Daegu Large Retail Sales were turned out as the key factors of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That is, the Daegu housing prices itself was the biggest causing variable of the fluctuations of the Daegu housing prices and the Daegu Consumer Price Index which was the regional economic variable came next. And the KOSPI which was a macro economic variable and the Corporate Bonds, the Daegu Bank Loans and the Daegu Large Retail Sales in the order.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mplies these points. First,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do not affect the national-base housing prives and regional Daegu housing prices. Second, there exists a limit to fully explain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only with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Third,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were derived from the regional economic variables and macro economic variables. but there also exists a limitation to explain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without Daegu housing prices itself variable.

      • 국내육성 호밀품종의 조사료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 평가

        류정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기상 요인이 국내에서 육성하여 보급 중에 있는 곡우호밀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재배지역별 장기간의 곡우호밀 생육 및 수량 자료를 활용하여 한해, 도복 및 생육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둘째, 기후적지 판정 기준에 따라서 곡우호밀에 대한 대구지역과 수원지역의 기후 적합도 분석, 적지판정 관련 기상요인의 특성 평가 및 연차 간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후 인자를 고려한 적지 선정 및 안정 생산을 위한 재배환경 관리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곡우호밀의 재배기간 동안 주요 기상 요소의 지역별, 연도별 변화 평가, 기상요소가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상요소를 활용한 수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Ⅰ. 국내 육성 호밀 품종 곡우의 생육특성 분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곡우호밀의 지역적응시험 결과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한해 발생, 초장 및 건물비율은 지역 간, 연차 간 차이는 없었고, 도복은 대구지역이 평균 0.9, 수원지역은 4.8로 지역 간 차이가 있었으나(p<0.05), 연차 간 차이는 없었다(p<0.05). 출수소요일수는 대구지역이 평균 177일, 수원지역은 193일로 대구지역이 빨랐고(p<0.001), 이삭수는 대구지역보다 수원지역이 많았으며(p<0.05), 수확소요일수는 대구지역이 평균 184일, 수원지역은 199일로 대구지역이 짧았다(p<0.001). 또 생체수량은 대구지역이 평균 3,639 kg/10a, 수원지역이 5,066 kg/10a(p<0.001), 건물수량은 대구지역이 평균 709 kg/10a, 수원지역이 평균 992 kg/10a(p<0.001)으로 수원지역이 대구지역보다 많았으나, 연차 간 차이는 없었다(p<0.05). Ⅱ. 재배적지 분석과 곡우호밀의 생육 및 수량과의 관계 본 연구는 대구지역과 수원지역의 연차별 기상요소를 활용하여 곡우호밀의 기후 적합도 분석 실시, 기후 적합도 판정 요소별 지역 간, 연차 간 차이 분석, 기상요소와 생체수량, 건물수량, 출수소요일수, 수확소요일수 등 생육 및 수량과의 상관 및 주성분 분석을 통한 변수들 간 상호작용에 의한 요인들이 지역별, 연차 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대구와 수원지역 모두 저온에 의한 피해 가능성은 매우 낮았고, 3월에서 5월까지의 일평균기온은 19.8로 가중치를 환산한 최고 배점인 20점과 유사하여 봄 생육에 충분한 기온이 유지되었으며, 일평균기온인 5 ℃ 이상의 일수는 20.0을 나타내어 대구지역과 수원지역은 생육에 적합한 적지로 분류되었다. 10월부터 5월까지의 강우일수와 강수량은 수원지역이 대구지역보다 배점이 높았고, 종합점수는 대구지역 83.9, 수원지역은 87.6으로 기후 적합도는 가능(possible)으로 분류되었다. 강우일수(p=0.108), 종합배점(p=0.217), 3월에서 5월까지 일평균기온(p=0.319)의 순으로 기후 적합도에 영향을 주었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0월에서 5월까지 강우일수와 건물수량의 상관계수 0.444(p<0.05)로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 강수량은 건물수량과 상관계수는 0.490(p<0.05)으로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어 강우 인자가 건물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성분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PC1)은 기후 적합도 종합배점, 10월에서 5월까지의 강우일수와 강수량, 건물수량으로 수분 공급과 관련한 기후인자이었다. 총 분산에 대한 주성분의 설명력은 36.28%이었다. 제2주성분은 출수소요일수와 수확소요일수로 기상환경 특성에 따른 작물의 생육기간이며, 주성분의 설명력은 총 분산의 26.26%이었다. 제3주성분은 3월에서 5월까지의 일평균기온과 생체수량이었다. 제1주성분, 제2주성분 및 제3주성분은 총 분산에 대하여 76.64%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성분 점수의 2차원 평면 분포에서 대구지역의 제1주성분 점수는 –0.723 ± 1.736, 제2주성분 점수는 0.174 ± 0.542이며, 수원지역은 제1주성분 점수는 0.723 ± 1.389, 제2주성분 점수는 -0.174 ± 1.471으로 수원지역이 대구지역보다 강우일수, 강수량 등의 수분 공급력이 우수한 환경조건이었다. 주성분 점수의 연도별 분포 분석 결과, 제1주성분 점수가 높고 제2주성분 점수가 낮을 때 건물수량이 많았으며, 대구지역은 2010년, 2011년, 2012년, 수원지역은 2010년, 2011년, 2016년이 그에 해당되었다. Ⅲ. 곡우호밀 재배기간 동안 기상요소 변화 및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과 생산량 예측식 개발 본 연구는 대구 및 수원지역에서 곡우호밀의 재배기간 동안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상인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건물수량을 예측하는 모델식 개발과 경로분석을 통한 기상요소와 건물수량의 인과관계 분석 및 각 변수의 직접적, 간접적 영향에 대한 규모 추정을 실시하였다. 일평균기온은 대구지역이 수원지역보다 1.8 ℃ 정도 높았고, 적산온도 또한 대구지역이 121.8 ℃ 높았다. 대기의 건조 상태를 나타내는 수증기압 차이는 대구지역이 0.174 kPa 높았으나, 수증기압 차이의 적정범위인 0.4 ~ 1.2 kPa를 고려할 때 적정한 수준이었다. 일사량과 건물수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파종 후 10월의 일사량이 건물수량의 상관계수는 0.474(p<0.05)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2월의 일사량은 –0.414(p<0.05)로 부의 상관이었다. 대구지역의 평균 일사량은 11.8 MJ/m2/day, 수원지역은 10.7 MJ/m2/day 이었고, 누적일사량은 대구지역이 2,161.8 MJ/m2/day, 수원지역이 2,122.2 MJ/m2/day로 대구지역이 많았다. 대구지역의 평균 강수량은 25.1 mm 이었고, 수원지역은 22.8 mm로 대구지역이 약간 많았고, 증발산량은 대구지역이 평균 399.9 mm, 수원지역은 319.6 mm로 대구지역의 증발산량이 수원보다 연간 80.3 mm 많은 편이었다. 수분부족도와 건물수량과의 상관분석 실시 결과, 10월 수분 부족도는 상관계수 0.474(p<0.05)로 선형관계이었고, 2월은 –0.654(p<0.001)로 고도로 유의한 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건물수량을 예측하기 위한 다중회귀모델은 44.6%의 설명력(p<0.032)을 가지며, 누적일사량, 수확소요일수, 강수량의 회귀계수는 각각 0.101, 0.197, 0.853으로 건물수량과 양의 관계, 수분부족도는 –4.453으로 건물수량과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곡우호밀의 건물수량의 실측치와 예측치의 관계 (r2)는 0.446(p<0.0001)로 우수한 예측 결과를 나타내었다. 경로분석을 통한 기상요소와 건물수량의 인과관계 분석 결과, 곡우호밀의 건물수량에 대한 누적일사량의 직접효과는 0.1772, 간접효과는 –0.1205로 총 효과는 0.0567을 나타내었고, 강수량의 직접효과는 0.2225, 간접효과는 0.1293, 총 효과는 0.3518으로 곡우호밀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누적일사량에 비하여 강수량이 6.2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 번째 연구에서는 연차 간 발생하는 기상의 영향은 크지 않고 재배지역의 기상조건이 곡우호밀의 생육과 수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어 지역별 기상요소에 따른 재배적지 구분이 필요하며, 두 번째 연구에서는 곡우호밀의 생산성 변동에 강우일수, 강수량과 같은 수분 공급과 관련한 기상인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곡우호밀의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 강수 인자를 고려한 재배적지 선정과 토양수분 부족 시 관수 등 토양수분 관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세 번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에 비해 강우가 부족하면 한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토양수분 관리가 곡우호밀의 생산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적절한 수분 공급력을 유지하는 것이 곡우호밀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를 하므로 안정적인 호밀의 수량성 확보를 위해서 관수 등의 토양수분 유지가 가장 중요한 관리방법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론적으로 곡우호밀의 안정적인 건물 생산을 위해서 기상요소를 고려한 재배적지 선정,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일수 및 강수량 부족으로 재배기간 동안 수분부족도 증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관수 등 토양수분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growth and yield of forage rye(Secale cereale L.) “Gogu”,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by using long-term growth and yield data of forage rye for each growing region, characteristics of lodging, growth and quantity were analyzed and the effect on productivity was evaluated. Second, Daegu and Suwon for grain rye according to climatic criteria, analysis of regional climate suitability,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suitable sites, annual changes were investigated, and cultivation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s for stable production was suggested within analysis of impacts on productivity, selection of suitable sites considering climate factors. Thir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regional and annual changes of major meteorological factor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of forag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dry matter quantity, and to develop a quantity prediction formula using meteorological factors. Ⅰ.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Domestic Forage Rye Cultivar Regional yield trial results analyzed from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entral Crop Depart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ld injury, plant height, and dry matter ratio between regions as well as between years. The average of lodging was 0.9 in Daegu and 4.8 in Suwon, respectively(effect of the region; p<0.05), but no differences(p<0.05) in lodging appeared between the years. The results appeared as follows; the average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was faster(p<0.001) in Daegu(177 days) than in Suwon(193 days); Suwon has a greater number of spike compared to Daegu(p<0.05); In harvesting days, Daegu was shorter than Suwon(184 vs 199 days; p<0.001). Biomass was an average of 3,639 kg/10a in Daegu and 5,066 kg/10a in Suwon(p<0.001). Dry matter yield was statistically(p<0.001) decreased for Daegu(709 kg/10a) compared that to Suwon(992 kg/10a),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p<0.05) between the years. Ⅱ. Analysis of climate suitability, relationship between growth and yield of forage rye cultivar This study carried out climate fitness analysis of forage rye “Gogu” by utilizing the annual weather factors of Daegu and Suwon regions, analysis of regional and annual differences by climate fitness determination factors, meteorological factors and biomass, dry matter yield, number of days of harvest, and number of harvest days. The influence of factor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variabl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growth and quantity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evaluated on regional and inter-annual change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both Daegu and Suwon seemed not to be damaged by low temperatures, and the score of average daily temperature from March to May was 19.8, which is similar to the 20.0 as the highest score converted by weight, so that the temperature sufficient for spring growth was maintained. The number of days above 5 ℃,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was 20.0, therefore, Daegu and Suwon were classified as suitable for growth. In terms of the number of days and amount of rainfall from October to May, the Suwon area had higher points than the Daegu area, and the overall score was 83.9 for Daegu area and 87.6 for Suwon area, so the climate suitability was classified as possible. The number of days of rainfall(p=0.108), the overall score(p=0.217), and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from March to May(p=0.319) effected on the climate fitness in that order.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number of days of rainfall from October to May had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dry matter yiel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44(p<0.05),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ith the dry matter yiel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90(p<0.05) showed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It was analyzed that the precipitation factor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ry matter yield. As a result of the component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PC1) was a climate factor related to moisture supply such as the overall score of climate suitability, the number of days of rainfall from October to May,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the amount of building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rincipal component for the total variance was 36.28%. The second main component was the number of days of seeding and harvesting and the growth period of cro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ther environ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ain component was 26.26% of the total variance. The third main component was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biomass from March to May.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nd the third principal component were analyzed to account for 76.64%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two-dimensional scatter plot distribution of principal component score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value in the Daegu area was -0.723 an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value was 0.174. In the Suwon area,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value was 0.723 an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value was –0.174. The Suwon area had a better water supply in terms of the number of days of rainfall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than the Daegu area. Whe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 was high an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score was low, the dry matter yields were lar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principal component scores by year. Ⅲ.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orage production, changes in meteorological factors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forage rye and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forage production In this study, changes in major meteor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roduction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of grain rye in Daegu and Suwon regions were investigated. Also, the impact on dry matter quantit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velops a model formula to predict forage dry matter quantity,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path analysis for evalu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quantity of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and response variables were evaluated.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was 1.8 ℃ higher in the Daegu area than in the Suwon area, and the accumulated temperature was also 121.8 ℃ higher in the Daegu area. The difference in water vapor pressure, which indicates the dry air condition, was 0.174 kPa higher in the Daegu area, but it was at an appropriate level considering the appropriate range of water vapor pressure difference of 0.4 ~ 1.2 kP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and the amount of dry matt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n October after sowing was 0.474(p<0.05),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n February was –0.414(p<0.05), which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verage solar radiation in the Daegu area was 11.8 MJ/m2/day, and the Suwon area was 10.7 MJ/m2/day, and the cumulative solar radiation was 2,161.8 MJ/m2/day in the Daegu area and the Suwon area. It was 2,122.2 MJ/m2/day, mostly in Daegu.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Daegu was 25.1 mm, and Suwon was 22.8 mm, which was slightly higher in Daegu. As for evapotranspiration, the averag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in Daegu was 399.9 mm and that of Suwon was 319.6 mm, which was 80.3 mm higher than Suwon.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water deficit and the dry matter quantity, the water deficit in October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74(p<0.05), and in February, it was –0.654(p<0.001), a high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show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the amount of dry matter has an explanatory power of 44.6%(p<0.032),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accumulated solar radiation, harvest days, and precipitation are 0.101, 0.197, and 0.853, respectively. The degree of water deficit was –4.453, which was analyze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yield of dry ma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and estimated dry matter yield of forage rye(r2) was 0.446(p<0.0001), indicating an excellent predictive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yield of dry matter through path analysis, the direct effect of cumulative solar insolation on the yield of dry matter was 0.1772, the indirect effect was –0.1205, and the total effect was 0.0567. The direct effect of precipitation was 0.2225 and the indirect effect. was 0.1293 and the total effect was 0.3518, which showed that the precipitation was 6.2 times greater than the cumulative insolation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n the dry matter of forage rye. From the above results, in the first study, the influence of annual weather is not significant and the weather conditions of the cultivation area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growth and yield of forage rye “Gogu”. In the second study, it was analyzed that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water supply, such as the number of days of rainfall and precipit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roductivity fluctuations of forage rye. Soil moisture management such as irrig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In addition, in the third study, soil moisture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securing the productivity of forage rye when the water deficit is high due to insufficient rainfall compared to the amount of evapo- transpi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cultivation management is to maintain soil water content such as irrigation to secure a stable yield of forage rye “Gogu”. Overall,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selection of a suitable cultivation site considering meteorological factors and soil moisture management such as irrigation should be performed for stable dry matter production of “Gogu” rye, and preparation for soil water deficit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due to the lack of rainfall days and rainfall by climate change.

      • 대구시 초등학생 전‧출입의 특성

        박영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구시 초등학생의 공간불균형의 실태분석과 이를 야기 시키는 전․출입 분포 패턴을 규명하고 초등학생의 전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2002년 한 해 동안 대구시 전출․입학생 41,500명중 계층별표본 추출한 16,505명이다. 전출․입의 공간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수, 교육환경 변수를 채택하여 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별 평균 학생 수와 성비를 비교해보면 대구시 구․군별 평균보다 학생 수가 많은 지역은 달서구와 수성구이며 특히 중구는 달성군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대구시 거주지의 교외화 현상으로 인한 중구의 학생 수 감소 현상이 심각하다. 둘째, 저․중․고학년 학생 수와 성비 분석 결과 수성구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 학생수가 훨씬 많은 학교가 집중되어 있어서 이는 자연스러운 인구 현상이라기보다는 지역에 따른 교육환경의 차로 인해 초등학교 고학년 무렵에 인구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며 성비도 크게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 전․출입 경향을 살펴보면 대구시내에서의 이동이 타지역간의 이동보다 월등히 높다. 특히 대구시내에서도 다른 구간의 이동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같은 구, 인접학구 순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인구 이동 패턴이 단거리 이동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출입은 신흥 고밀도 아파트 지역을 중심 집중되고 있다. 넷째, 전․출입자의 공간 분포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먼저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지역으로 거주지를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초등학교 주변에 고등학교가 많을수록 전입자 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학력 위주의 사회에서 초등학교의 전학을 고등학교까지 관련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