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 주택가격 변동패턴에 관한 연구

        주용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주택가격의 변동패턴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교차상관관계분석과 그랜저인과관계검정법 그리고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구축을 통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이다. 실증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거시경제변수와 전국주택가격 그리고 거시경제변수와 대구광역시주택가격 간에 교차상관관계분석과 그랜저인과관계검정을 실시하여 “거시경제변수는 전국과 대구광역시 주택가격에 상이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금대출금(HL), 종합주가지수(KOSPI), 소비자물가지수(CPI), 광의통화(M2), 경상수지(BCA) 등은 전국주택가격(NHP)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중에서 전국주택가격에 먼저 영향을 끼치고 지역경제에 속해 있는 대구광역시의 주택가격에는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었다. 둘째,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과 CD수익율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한 상관강도가 전국주택가격에 대한 상관강도의 약 50% 정도로 약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환율(원/달러, FX)은 전국주택가격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해 상관하는 방향성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넷째, 주거용건축허가면적(CP)은 전국주택가격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하여 무상관인 것으로 판별하였다. 그랜저인과관계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주택매매가격에 그랜저인과하는 거시경제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 광의통화(M2), 환율(원/달러, FX), CD수익률, 경상수지(BCA) 등이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그랜저인과하는 거시경제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광의통화(M2), 종합주가지수(KOSPI) 등으로 결과가 서로 상이하였다. 실증분석의 두 번째 단계로 본 연구의 목적인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변동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대구경제변수조합(DEVP, Daegu Economic Variables Pool)간에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구축을 통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 을 실시하였다. VECM 모형은 변수의 숫자를 9개로 채택한 Full Model과 변수의 숫자를 5개로 제한한 Reduced Model로 이원화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VECM 모형별로 계수추정을 실시하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모형내의 각 변수들의 자기회귀계수의 유의도 검정과 각 모형의 설명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Full VECM과 Reduced VECM의 계수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Full VECM(2)의 추정결과 전월의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등의 회귀계수 값이 p-value 5% 유의수준 내의 값을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Adjusted R-squared 값은 0.6091을 나타냈다. Reduced VECM(2)의 추정결과 Full VECM(2)에서와 같이 전월의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등이 p-value 5% 유의수준 내의 값을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물가지수의 회귀계수의 값과 유의도가 Full VECM(2)에서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Adjusted R-squared 값이 0.6192로 Full VECM(2)에서의 0.6091보다 조금 더 높았지만 두 모형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VECM 모형별로 실시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ull VECM(2)의 구성을 통한 분석결과이다. 충격반응분석의 결과로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부터 시차 10까지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의 변동 그리고 다음으로 소비자물가지수(DCPI),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등의 순서로 그리고 시차 15부터 시차 24까지는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에서는 실업율(DUR),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의 순서로 시차 5에서는 실업율(DUR),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시차 10에서는 실업율(DUR), 예금은행대출금(DBL) 시차 15에서는 예금은행대출금(DBL), 실업율(DUR) 시차 20에서는 예금은행대출금(DBL), 종합주가지수(KOSPI) 시차 24에서는 종합주가지수(KOSPI), 예금은행대출금(DBL)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의 충격에 대해 충격의 방향과 반대인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였다. Full VECM(2)에서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이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해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순서가 시차의 흐름에 따라 안정되지 않고 계속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분산분해분석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그 자체, 지역경제변수인 대구광역시의 소비자물가지수(DCPI),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 그리고 지역경제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광공업생산액(DIP), 실업율(DUR),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무역수지(DTB) 등의 순서로 설명력 비중을 나타냈다. 둘째, Reduced VECM(2) 모형의 구성을 통한 분석결과이다. 충격반응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5부터 시차 15까지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의 변동,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충격에 대한 민감도가 크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차 20부터 시차 24까지는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0부터 시차 24까지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분산에 대해서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 지역경제변수인 소비자물가지수(DCPI),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지역경제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거시경제변수인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지역경제변수인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설명력 비중(백분율)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ECM 모형별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주택가격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가 변동하는 것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그 다음으로 대구광역시의 지역경제변수인 소비자물가지수(DCPI) 그리고 거시경제변수 중에서 자산선택(portfolio selection)적 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와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의 영향과 지역경제의 펀더멘탈(fundamental)적 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identify the causing factors of the volatility of the Daegu housing pri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ruled regional housing markets without any discrimination against national housing markets. The macroeconomic tools like a liquidity control policy were mostly applied onto the national wide. This sort of wrong housing policy has distorted regional housing markets like Daegu's due to the different regional housing market status and regional economic fundamentals from those of nationa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letter, four statistical methodologies, which were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use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set up throug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The statistical null hypothesis() that The macroeconomic variables undiscriminatingly affected the Daegu housing prices against the national housing prices was tested thru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se are the macroeconomic variables which were selected and used; Broad Money, Consumer Price Index, Blance of Current Account, Foreign Exchange, Corporate Bonds, 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 Korean Stock Price Index, Housing Loan and Residential Construction Permits. And the statistical null hypothesis() was turned out to be rejected. To clarify the causing economic variables to the fluctuations of the Daegu housing prices, the Daegu Economic Variables Pool(DEVP) was set up. The DEVP was consisted of 8 regional economic variables and 2 macroecnomic variables; Daegu Large Retail Sales, Daegu Consumer Price Index, Daegu Unemployment Rate, Daegu Trade Blance, Daegu Industrial Products, Daegu Bank Loan, Daegu Construction Permits and the macroecnomic variables which were KOSPI and Corporate Bonds. Then three statistical methods which were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executed between the Daegu Housing Prices and DEVP. Two different VECM were made. One was a full model which had 10 variables including Daegu housing prices itself variable and the other was a reduced model which had 6 variables including a target variable. The adjusted of those two models were almost the same which were 0.6091(full model) and 0.6192(reduced model)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different models. And Daegu housing prices itself, Daegu CPI and KOSPI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ithin 5% CI from two models. Also under the same conditions, two different VAR models were made to compare the outputs with the outputs of VECMs. Consequently, the Daegu housing prices itself, Daegu Consumer Price Index, KOSPI, Corporate Bonds, Daegu Bank Loans and the Daegu Large Retail Sales were turned out as the key factors of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That is, the Daegu housing prices itself was the biggest causing variable of the fluctuations of the Daegu housing prices and the Daegu Consumer Price Index which was the regional economic variable came next. And the KOSPI which was a macro economic variable and the Corporate Bonds, the Daegu Bank Loans and the Daegu Large Retail Sales in the order.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mplies these points. First,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do not affect the national-base housing prives and regional Daegu housing prices. Second, there exists a limit to fully explain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only with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Third,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were derived from the regional economic variables and macro economic variables. but there also exists a limitation to explain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without Daegu housing prices itself variable.

      • 일반주거지역 밀도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주용성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mitation on the height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 class one and two has worsened living environments of those residential areas contrary to its original classification purposes of grouping into three classes by The National Territory & Planning Law and Municipal Ordinances which became effective from July, 2003. Allowed lower densities, higher building-to-land ratios in class two than those in class three and limitation on the heights which now was revised and enacted from as high as 15 floors to the average height of its 18 floors as in september 2008 would certainly still be insufficient with limted improvements. Providing with larger open space is beneficiary for the sunlight, the ventilation of air, the sky-view. Affordability of containing community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such as work-out areas, more of gardens, water fountains, paths through forest, shallow streams, etc. is the core value to achieve a high leveled living satisfaction. Therefore, larger open space could be an utmost substantial variable to obtain environmental-friendly living environment. Eventually, larger open space would be obtainable by means of descending building-to-land ratios. To get the larger open spaces under fixed Floor Area Ratios, One need to get the proposed F.A.R to the direction of vertical not of that of horizontal. To prove that theoretical hypothesis, Simulations have been performed which were to get a certain trend or a mathematical function. Simulations which have been performed were to get a change of Open Space when the heights of a residential building were getting up one by one under a fixed F.A.R. With the obtained results, A sort of negative logarithmic function graphs were derived. The change rates of O.S. were big between lower stories and then the rates were getting smaller as stories getting up. And then classifying data about bulk controls of 88 apartment buildings complex into 2 groups of class 2 and 3 have been performed.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this paper was proved from that classification. Class 2 was higher than class 3 with Coverage ratio by 0.0443 point. Finally, 16 lots of Class 1 and 3 apartments buildings complexes of Class 2 and 3 of each totally 6 of them have been analyzed to double check the current status and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the same. Abolishing heights limit could be a key resolution to straighten this current distorted phenomena. Local governments can use the same kind of concept of this paper's simulation. That will lead them to use a kind of a systematic bulk control method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New York's Height Factor method.

      • 重峯 趙憲의 實踐哲學 硏究

        주용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重峯趙憲(1544~1592)是16世紀朝鮮時代的道學者. 重峯是試圖改革16世紀混亂的朝鮮的實踐儒學者, 也是遭遇壬辰倭亂與七百義士一同殉節的義兵長. 通常評價重峯的時候, 側重其改革思想家之實學思想和義兵長之義理思想的某一個方面的情況較多. 但是“重峯”人格中應該包括改革思想家的面貌和義兵長的面貌. 本稿的目的在于考察重峯作爲道學者之所以能夠完整地實踐兩個方面的基礎是什么, 兩個方面又表現爲何種面貌. 重峯的學問基于道學. 道學不把理想和現實分開考慮, 具有在現實中實現理想的强烈的實踐性. 雖然普遍理想不變, 現實却一直在變. 道的實現也根據時代和情況有所不同. 重峯的道學也不能與時代的情況分開去考慮. 重峯在踏入仕途的初期致力于改革當時的弊害, 但是隨着倭寇的侵略意圖愈加明瞭, 逐漸全力以赴去應對倭亂. 重峯之所以顯示出改革家和義兵長的特點, 是因爲他的學問和人格與當時的情況有着密切的關係. 重峯一生以栗谷李珥(1536~1584)、牛溪成渾(1535~1598)、土亭李之菡(1517~1578)爲師. 重峯的社會改革論受栗谷的影響頗深. 栗谷的改革論有兩個方向, 卽從根本出發推及實事和從實事出發推及根本. 重峯也是分別以“根本”和“事務”改進其改革論. 重峯的改革論體現在《東還封事》中. 《東還封事》由〈擬上十六條疏〉、〈質正官回還後先上八條疏〉組成. 〈十六條疏〉是關于根本的上疏; 〈八條疏〉是關于事務的上疏. 〈十六條疏〉說的是基于“格君論”的國王從“修己”到“安民”的對策; 〈八條疏〉則是關係到“士習”和“民風”的改善施策. 重峯通過這兩篇上疏文從“根本”和“實效”兩個方向展開其改革論. 重峯的義理思想反映在《抗義新編》. 《抗義新編》是重峯在發生壬辰倭亂的前幾年上疏的文章. 其義理思想的思想基礎是春秋精神. 春秋精神具有基于仁道、包容低文化的國家和民族、實現平和世界的傾向, 同時還包含着對抗不義的侵略確保民族自主性的積極的批判和抵抗精神. 重峯以仁道正義爲本, 抵抗倭寇無道的侵略. 但是重峯幷沒有一味地强調理想的價値. 在以人道爲本的同時還洞察現實的政勢. 重峯在壬辰倭亂勃發之前已經明確知道倭寇的侵略意圖, 上疏對應倭亂的實質性對策. 他上疏的對策在倭亂勃發之後一一應驗. 可是重峯的對策還未得以實施就遭遇了壬辰倭亂. 倭亂勃發之後, 重峯親自率領義兵奮戰, 在戰場上與七百義士共同殉節. 在歷史上, 與“七百義士”一同殉節實屬罕見. 在當時重峯沒有得到認可, 然而隨着歲月的流逝逐漸得到人們正確的理解和正當的評價. 重峯的學問和改革思想以及義理思想給後世帶來許多影響. 對國家的忠節和對外的抗爭意識被尊崇爲儒生的榜樣, 對現實的正確的判斷和具體的施策等社會改革論給後期實學思想的形成帶來影響. 重峯 趙憲(1544~1592)은 16세기 조선의 道學者이다. 중봉은 16세기말 조선이 봉착한 국가위기를 극복하고자 획기적 개혁안을 제시한 실천적 儒學者이며 壬辰倭亂을 당하여서는 七百義士와 함께 순절한 의병장이다. 일반적으로 중봉은 개혁사상가로서의 實學思想과 의병장으로서의 義理思想 중 어느 일면을 부각시켜 논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는 중봉이라는 인격 안에서 개혁사상가로서의 면모와 의병장으로서의 모습을 하나의 공통기반에서 합치시켜 보아야 한다. 중봉이 道學者로서 이러한 양 측면을 온전하게 실천할 수 있었던 학적 기반은 무엇이었으며, 그것은 어떤 모습으로 발휘되었는가를 살펴보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중봉의 학문은 道學에 기반한다. 도학은 理想과 현실을 분리시켜 생각하지 않으며 현실 속에 이상을 구현하려는 강한 실천성을 지닌다. 보편적 이상은 변하지 않는 것이지만 현실은 항상 변한다. 道를 실현하는 것도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중봉의 도학은 특히 시대적 상황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중봉은 仕路 초창기에 당시의 폐해들을 개혁하려는 방향으로 힘을 쏟았으나 일본의 침략의도가 명백해짐에 따라 점차 倭亂을 대비하는데 전력을 다하게 된다. 중봉이 개혁가로서나 의병장으로서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은 중봉의 학문과 인격이 당시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중봉은 평생 栗谷 李珥(1536~1584), 牛溪 成渾(1535~1598), 土亭 李之菡(1517~1578)을 스승으로 삼았다. 중봉의 사회개혁론은 율곡의 영향이 크다. 율곡의 개혁론은 근본으로부터 시작하여 실제적인 일에 미치는 방향과 실제적인 일로부터 시작하여 근본으로 미루어가는 방향이 있다. 중봉도 ‘根本’과 ‘事務’로 나누어서 개혁론을 개진한다. 중봉의 개혁론은 󰡔東還封事󰡕를 통해 잘 드러난다. 󰡔동환봉사󰡕는 「擬上十六條疏」 「質正官回還後先上八條疏」로 구성되어 있다. 「十六條疏」는 근본에 관한 것이며, 「八條疏」는 사무에 긴절한 것이다. 「16조소」는 ‘格君論’을 기반한 임금의 ‘修己’로부터 ‘安民’에 이르는 대책을 말하는 것이며, 「팔조소」는 ‘士習’과 ‘民風’에 관계된 개선책이다. 중봉은 이 두 상소문을 통해 사회개혁론을 ‘근본’과 ‘實效’의 방향으로 펴고 있다. 중봉의 義理思想은 󰡔抗義新編󰡕에 잘 드러난다. 󰡔항의신편󰡕은 중봉이 壬辰倭亂을 몇 년 앞두고 올린 글들이다. 그의 義理思想의 기반이 되고 있는 정신은 春秋精神이다. 춘추정신은 仁道에 바탕을 두고 문화가 낮은 국가와 민족을 포용하여 平和世界를 실현하려는 방향이 있으며, 동시에 不義의 침략에 대항하여 민족의 자주성을 확보하려는 적극적인 비판정신과 저항정신이 담겨있다. 중봉은 仁道와 正義를 기본으로 倭의 無道한 침략에 항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중봉은 다만 이상적인 가치만을 내세우지 않았다. 人道를 기반으로 하되 현실적인 정세 또한 통철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중봉은 임진왜란이 勃發하기 전에 왜의 침략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였고, 왜란에 대비한 실질적인 대책들을 올렸다. 그가 올린 대책들은 왜란이 일어난 뒤 정확하게 들어맞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중봉의 대책들은 실제로 시행이 되지 않은 채 임진왜란을 당하게 된다. 왜란이 발발한 후 중봉은 직접 義兵을 이끌고 奮戰하다 七百義士와 함께 殉節한다. 역사적으로 ‘칠백의사’가 함께 순절한 것과 같은 경우는 흔치 않은 일이다. 중봉은 세월이 갈수록 그의 사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중봉의 改革思想과 義理思想은 후세에 많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국가를 위한 충절과 대외적 항쟁의식은 선비의 표본으로 존숭되었으며 현실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구체적 시책 등의 사회개혁론은 후기 실학사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할 것이다.

      • 서명응(徐命膺)의 악론(樂論) 연구 : 선천학적(先天學的) 악론에 의한 제례악(祭禮樂)의 재구성

        주용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Seo Myoung-Eung’s theory of music. Seo Myoung-Eung(1716-1787) i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in charge of national projects related to music during King Yeongjo(英祖) and King Jeongjo(正祖). And he personally wrote a lot about music. He was the best music scholar of his time. He regarded the basis of truth as the order of heaven and earth. He called the field of exploring the order of heaven and earth to The study of the order of nature(先天學). His theory of music is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order of nature. He projects the laws of heaven and earth into the theory of music and incorporates various music theories. His theory of music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defined as the theory of music based on the study of the order of nature. His theory of music aims to reveal the harmonious order of heaven and earth to music. The premise of Seo Myoung-Eung’s theory of music is that music is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The structure of heaven and earth, the operation of heaven and earth, and the shape of heaven and earth should be reflected in the music as it is. Seo Myeong-eung uses two methods for the study of music. One is examining various theories about music and the other is to select one that matches the order of heaven and earth among the theories reviewed and apply a new interpretation to the theory. Regarding the generation of twelvenotes scale, he brought the theories of Sima Qian(司馬遷) and Zhu Xi(朱熹). He combines the theories with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ongruence of the numbers ‘9’ and ‘10’ of ancient figures Luoshu(洛書) and Hetu(河圖). Regarding the operation of twelvenotes scale, he finds the law in the operation of the sky and the sun. He calls the law a grip of the Great Bear(斗柄) and the orbit of the sun(日躔). A grip of the Great Bear symbolizes the operation of the sky, and the orbit of the sun represents the operation of the sun. A grip of the Great Bear rotates left and the orbit of the sun rotates right. Seo Myoung-Eung classifies the arrangement of instruments under the platform(堂下) and on the platform(堂上)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a grip of the Great Bear and the orbit of the sun. Musical instruments of under the platform are arranged as wind instruments, and musical instruments of on the platform are arranged as string instruments and songs. The principle used in the placement of musical instruments is the similarity of Qi(氣), which symbolizes the sky and the sun. The music used in under the platform proceeds to the lef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ky moves, and the music used in on the platform proceeds to the righ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n moves. The result of Seo Myoung-Eung’s theory of music is the ritual music for the god of heaven, the god of earth, and the god of ancestors. He believes that the music used in rituals should most strictly reflect the order of heaven and earth. He reconstructs ritual music about the god of heaven, the god of earth, and the god of ancestors. Since the form of the national ritual music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have been no scholars except for Seo Myeong-eung who presented the entire process of ritual music in a new and specific way.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of music and The study of the order of nature of Seo Myeong-eung will be clearly presented. 본 논문은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의 악론(樂論)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명응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사상가로서 영조(英祖)와 정조(正祖) 시대에 악(樂)에 관한 문물정비를 담당한 당대 제일의 악학자(樂學者)였다. 그는 개인적으로도 악에 관해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저술들은 당시 악에 대한 여러 성과들 중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최고의 수준에 도달해 있었다. 서명응은 진리의 근간을 천지(天地)의 질서라고 여겼으며, 천지의 조화로운 질서를 탐구하는 분야를 선천학(先天學)이라고 보았다. 그는 선천학을 모든 학문의 근본으로 삼고, 인간생활의 다양한 방면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서명응의 악론(樂論)도 선천학의 현실구현의 연장선상에 자리하고 있다. 서명응은 천지(天地)의 법칙을 그의 악론(樂論)에 투영시키며, 다양한 이론을 통합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지닌 그의 악론을 선천학적 악론이라고 할 수 있다. 서명응의 선천학적 악론은 조화로운 천지의 질서를 악(樂)에 그대로 드러내려는데 그 지향점이 있다. 서명응의 악론(樂論)의 전제는 악(樂)은 천지(天地)의 조화(造化)라는 것이다. 천지의 구조, 천지의 운행법칙, 천지의 형상 등 조화(造化)의 법칙이 악(樂)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서명응은 악(樂)의 연구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동원하는데, 하나는 악(樂)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는 것이며, 하나는 검토된 이론 중 천지의 질서와 부합하는 것을 선택하여, 그 이론에 새로운 해석을 가하는 것이다. 서명응에게 있어서 악(樂)은 미적(美的) 수단이 아니라 진리의 구현을 위한 방법이다. 12율의 생성에 관하여 그는 사마천(司馬遷)과 주자(朱子)에게서 황종율척을 확정하는 법을 취했으며, 거기에 하도낙서(河圖洛書)의 9와 10의 일치라는 선천학적 해석을 가하고 있다. 12율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하늘과 해의 운행에서 법칙을 구하는데, 그 원리는 두병(斗柄)과 일전(日躔)이다. 그는 두병(斗柄)의 좌선(左旋)과 일전(日躔)의 우전(右轉)을 통해 당상악과 당하악의 악기와 악조의 진행을 새롭게 해석한다. 당상악은 현가(絃歌)로 구성하고 당하악은 포죽(匏竹)으로 구성하는데, 그 악기배치의 원리는 기(氣)의 유사성이다. 현가는 해[日]의 기(氣)에서 원리를 가져오고, 포죽은 하늘[天]의 기(氣)에서 원리를 가져온다. 당상악은 해의 움직이는 방향대로 우조→치조→각조→궁조의 순서로 진행하며, 당하악은 하늘의 움직이는 방향대로 궁조→각조→치조→우조의 순서로 진행한다. 당상악의 현가(絃歌)는 시(詩)로 표현되고, 당하악의 포죽(匏竹)은 악(樂)으로 표현된다. 시(詩)는 인심(人心)이 드러난 것이며, 악(樂)은 천심(天心)이 반영된 것이다. 서명응의 선천학적 전제와 방법을 통해 구성된 악론(樂論)의 결과물이 천신(天神), 지기(地祇), 인귀(人鬼)에 대한 제례악이다. 천지의 질서가 가장 엄격하게 구현되어야 할 곳이 천․지․인이 함께 모이는 제사라고 여긴 것이다. 그는 󰡔주례󰡕에 나오는 제례악이 천지의 질서와 부합한다고 보았으며, 그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가한다. 조선 전기에 국가의 제례악의 형식이 갖춰진 이후, 제례악의 전체 과정을 포괄적이면서 구체적으로 새롭게 제시한 학자는 서명응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명응의 선천학과 악론과의 관계가 분명하게 제시될 것이며, 그에 따라 천지의 질서와 악(樂)과의 깊은 연관성이 조명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이상적인 이론[선천학적 악론]이 구체화되는 과정[제례악의 재구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의 악론이 가진 실용적 의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