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직과정이 설치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 교사의 자질 관점으로

        최혜선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미용관련고등학교의 현황과 교원확보율을 조사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인격적인 교사, 전문적인 교사, 선도적인 교사로 분류하고.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가 가져야 하는 자질을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비교 ·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용과목 교사상 중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이 내용에 맞게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24개학교 26개학과 중 5개 학과(19.23%)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4개 학과(15.4%)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생이해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1개 학과(42.3%)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공동체 협력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8개 학과(69.2%)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의 평균 개설수는 4과목으로 평균 이상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총 13(50%)개 학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은 피부교과목이 2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목이 24%, 화장품과 메이크업 교과목이 22.7%, 교과교육론 교과목이 9.5%, 네일미용 교과목이 5.8%, 미용학개론 교과목이 4.9%, 공중보건학 교과목이 4.3%, 해부학 교과목이 3.2%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는 기본이수과목 중 일부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었고, 중등임용시험에 필요한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선도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을 비교 · 분석한 결과 국제화 영역에서는 호원대학교 뷰티미용학과를 제외한 25개(96.2%) 학과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정보화 영역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학과는 총 13개(50%) 학과로 나타났다. 산학연계 영역에서는 12개(46.2%)학과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교직이수가 설치된 4년제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들은 대체로 미용교사상에 맞게 잘 편성되어 있으나 특정 대학교에서는 임용시험에 대비한 몇몇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어 미용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목 편제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실제 분석을 병행하지 못했으며 앞으로는 학교별 교과목들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 curriculum at 4-year beauty school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f it is properly operated to train qualified teachers. This is done through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ecuring percentage of teachers at beauty related high schools, and also categorizing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to three of respectful, professional, and initiative according t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Univercity opened properly for the whole personal teachers training are 5 out of 24(26 Departm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t Konyang University has the most related. Vocational ethics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4 departments (15.4%) and Student understanding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11 departments (42.3%). Also, Collaborative learning courses are not set in 18 departments (69.2%). The number of Departments majors for the respectful teachers training course are average 4 courses, and about 13 departments (50%) have the courses more than average. Second, major course for the professional teachers training has the most skin courses of 25.6%, and also 22.7% of cosmetic and makeup courses, 9.5% of education courses, 5.8% of nail beauty courses, 4.9%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s, 4.3% of Public Health courses, and 3.2% of anatomy courses. Especially, department of cosmetics pharmacology at Daegu Hanui University, department of cosmetic science at Jungbu Univeristy and at Chungun University had only few of required courses and did not have others despite the necessity of the courses to pass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iddle school beauty teachers. Third, subject matters for the pacessetting teachers training, 25 departments (96.2%) except the department of Beauty at Howon Univeristy have internationalization courses, and 13 departments (50%) did not have informatization courses. For school-work links courses, 12 departments (46.2%) did not have. Most of univercity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re forming proper class for the beauty teachers qualification, but some specific universities has only few class for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They need to improve this by opening more required class. Also,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analyzing the subject table of organization so that could not cover the analysis of actual education class or contents. Hopefully, further study on the more details of the class and contents of each school should be composed in the future.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조혜원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주관적 불안과 통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백내장 수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줄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가 정보제공 영상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건양대학교 병원 안과 백내장 수술에 대한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 및 표준 지침을 기반으로 비디오를 만들었다.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국소마취하에 백내장 수술을 받을 예정인 4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동의서에 서명하고 설문지에 응답했다. 실험군은 시청각 자료를 제공받았고 대조군은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군에게는 스마트폰으로 시청각 자료를 제공하여 백내장 수술에 관해 친숙하게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상태불안 수준은 실험군이 평균 1.63±1.30점, 대조군이 4.10±2.25점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통증 정도의 차이는 2.75±2.06점이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평균 3.83±2.40점 낮았다(p<0.05). 실험군(Pearson correlation=0.452, p=0.014)은 불안과 통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험군 =0.205, 설명력 20.5%, β=0.452(p<0.05)로 수술 중 불안이 나타나 수술 중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수술 후 통증의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청각 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 수준이 낮았다. 또한 실험군의 수술전 불안이 수술 중 통증과 상관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정보 제공은 백내장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을 줄이는 효과적인 중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vision using audiovisual data o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duc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he investigator working as a nurse in Ophthalmology Department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produced a video of information provision. The researcher made the video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standard guidelines for cataract surgery in Ophthalmology Department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mposed. For subjects over 40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ophthalm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expect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All subjects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 signed the consent form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audiovisual material, and those in control group were not. To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udiovisual material was provided by their smartphone so that they could be familiar with it Results: The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surger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an average of 1.63±1.30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10±2.2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p<0.05).The difference in pain level was 2.75±2.06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83±2.40 points in the control group(p<0.05). The experimental group (Pearson correlation=0.452, p=0.014)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pain(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0.205, 20.5% explanatory power, β=0.452(p<0.05), indicating anxiety during surgery,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in during surg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ain increased after surgery.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udiovisual information had lower levels of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surger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audio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istical value that the preoperativ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rrelated with and had an effect on the pain during surgery.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an audiovisual materia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cataract surgery.

      • 대학생의 자기분화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영상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부권에 소재한 대학생 559명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 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자기분화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변량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진로결정수준도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 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변량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진로결정수준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호소하는 진로문제에 접근하고, 개입을 하는데 있어 함의를 제시하였고, 추후 연구 에서 연구되어야 할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earch is to obtain basic knowledge to guide future career decision of undergraduates by explaining how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affect their career decision level. To complete this search, Self-differentiation Scale Test, Self-efficacy Scale Test, and Career Decision Scale Test were taken to 559 undergraduates in central districts of South Korea. The data obtained by the three tests was explain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are two consequences of this search.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career decision lev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differentiation level affected career decision level more or less. Therefore, It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Also, the lower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was, the lower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Also,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level and career decision lev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efficacy level affected career decision level more or less. Therefore, It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level wa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Also, the lower the self-efficacy level was, the lower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To sum up, this search revealed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contributed significant variables to affect career decision level. That is, this search helped approach career problems of undergraduates and produce significant meaning in mediation. Also, this search included discussion to need to be searched through further searches.

      • 중국 속담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 연구

        고양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In this dissertation, the main research objects in teaching method of prover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China. Through the test book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rank of the difficulty level of the Korean proverb, we bring up a study of an effective Korean proverb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China. First, this article regards Korean proverb educational programs for Korean learners from China as the goal. The study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basic proverb structures、types、significance, flexibility in the use of proverb for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he study of Korean proverb educational programs for foreigners. At the same time, it also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proverb in Korean education. Second, it shows the summary 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mparing Chinese proverb and Korean proverb in dictionary and research works. And then, it gives a concrete analysis in the part of the types of the theme and the meaning construction, it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ype of the theme in Chinese proverb and Korean proverb, in the meaning significance and cultural background. Third, The passage analyzed emphatically teaching materials, TOPIK and Korean folktale from proverb teaching materials which Korean use were used frequently by Chinese learners, picked up proverb presented most frequently from daily teaching and tests, and made study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verbs education from these teaching materials. Finally, compared with these folktales with Chinese folktales, divide them into three categories: synonymous, synonymy and homograph. Separate the three categories of proverbs by difficulty levels of Prator . C. H to fit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constitute teaching plans against educating goals of words and expressions, grammar and culture etc.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애착과 자기통제력, 주관적 삶 만족의 관계

        김용환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자녀 애착과 자기통제력, 삶 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보아 대학생의 높은 자기통제력과 삶 만족을 위해 부모-자녀애착의 중요성을 알며 실제 대학 상담 장면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중부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애착척도(IPPA-R)와 한국판 자기통제력 척도(Self Control Scale), 삶 만족 척도(SWLS)로 자료 수집을 하여 한글판 SPSS 17.0을 사용하여 목적에 따라 상관분석과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자녀 애착과 자기통제력이 부분적인 상관을 가지며 특히 모와 자녀의 애착이 자기통제력에 더 많은 상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기통제력의 부재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학생들에게 있어 부모-자녀 애착 형성의 중요함을 확인 하였다. 둘째, 부모-자녀 애착과 삶 만족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대학생의 삶 만족을 높이기 위해 신뢰롭고 안정된 부모와의 애착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통제력과 삶 만족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아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자기통제력과 삶 만족간의 관계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통재력의 부재로 어려움이 있는 학생과 전반적인 삶 만족을 높이기 위해 부모와의 애착형성이 중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어려움을 겪는 학생의 상담 장면과 삶 만족을 높이기 위해 부모-자녀 애착의 연관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부모와 자녀의 교육등의 선행을 통해 안정적인 애착을 현성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한계점을 인식하여 다양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부모 인식 분석연구

        선용인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A Analysis Study on the Parental Perception of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Adult Development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18 to analyze parental perceptions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parental percep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2. Is there a difference in parental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3. Is there a difference in parental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and curriculum for the university-based developmental disabi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4. How do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based on universities? For research questions 1, 2, and 3, the final 20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M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R-program, and then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4. The research results on the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parents found that their children's "self-reliance in daily life" was the biggest concern, and if their children were 20 to 25 (60.0%), they we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self-reliance in daily life." As a motivation to eng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mothers answered that they were able to take "various programs," and fathers often answered that they had "no place to go after gradu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children live, they answered that they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mainly for the purpose of 'taking various programs' in large cities, and that they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socialit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The younger you are, the more you prefer to "take various programs," but the older you are, the more you are, the more you are looking for a place to go because you have nowhere to go, or you are willing to participate anywhere to promote sociality.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where the child attended.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such as welfare centers and day care centers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aking various programs."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re is nowhere to go after graduation" and "promoting sociality." In additio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welfare centers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because they had "no place to go," while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aid that "no information" and "economic burdens such as tuition fees" were difficulties experiencing while us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f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mothers generally said that "lifelong education is more helpful to their children" than fathers, "the instructor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ll," and "the instructor is communicating well with his children," and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was high. In addition, he thought that the more he lived in a large city, the better he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or's developmental disability tha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addition,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20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an parents with children over the age of 31. Parents of children who attended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ere found to have better satisfaction than parents of children who attend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ird,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parents actively expresse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fter graduation"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university education." Parents cited job preparation and social improvement as "the advantages of lifelong university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eferred a mixed education method that was educated separately from or with non-disabled people as a "desirable form of education." As for the 'preferred operating period', the full-time course without a limitation was preferred, and the non-degree system was preferred. In addition, the "subject responsible for paying education expenses" wanted the state and the person to bear together, and they demanded a program suitable for professional staff an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nderst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university preparations." The first process to be opened as a priority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based on universities was the 'vocational competency' area. In the six areas of lifelong education, they preferred "life literacy" in basic literacy, "natural science and daily life" in education supplementation, "strengthening current trade volume" in vocational skills, "sports leisure" in culture and arts, "social role" in humanities and culture, "citizen behavior" in civic participation, and "club activities" in comparison and activities desired by universities.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how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 lifelong education and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hey were able to derive five major topics. Participants in the study wanted a fulfilling education such as life cycle-specific education and customized education as the theme of "Education is like this" was derived through the unusual life experienced from childhood due to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In 'Experience and Necessity among the six areas of lifelong education', they wanted education necessary for life of independence from hobby life experience. In "Help My Child," we wanted an integrated syste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fessional teachers on a lot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and finally, the theme of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derived for future drea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verified in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university course so that it becomes a continuous education for people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and majo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ifelong curriculum and standardization plan together to systematize and systematize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nd reflect lifelong education courses for people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qualities are needed to underst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mmunicate well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felong educator qualification course and operate a lifelong educator training cours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ird, there is a very lack of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and advancement inform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extent that it is obtained through nearby welfare facilities or introductions around them, so public information provision tends not to work properly. Accordingly, a university-based one-stop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system centered on local universities and provid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cluding not only information on admission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career path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n information network with national ministries or various local related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local university base, and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Keyword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Continuing Adul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부모 인식 분석연구 본 연구는 18세 이상 성인발달장애인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시행하여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인식을 분석하고,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성인발달장애인을 둔 부모들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두고 있는가? 연구문제 1, 2, 3을 위해 최종 209부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분석,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연구문제 4를 위하여 질적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에 대한 최근 부모의 관심 사항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사한 결과, 부모는 자녀의 ‘일상생활의 자립’이 가장 큰 관심 사항이라고 하였으며, 자녀의 나이가 20~25세(60.0%)인 경우 자녀의 ‘일상생활의 자립’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발달장애인 자녀를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시키는 동기로 어머니는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할 수 있어서라고 답하였으며, 아버지는 ‘졸업 후 갈 곳이 없어서’라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자녀가 거주하는 행정구역별로 보면 대도시에서는 주로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고, 중소도시와 농어촌에서는 ‘사회성 증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다고 답하였다. 자녀의 나이별로 평생교육의 참여동기 역시 달랐다. 나이가 어릴수록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선호하나, 나이가 들수록 더 ‘갈 곳이 없어서’ 갈만한 곳을 찾아다니거나 사회성 증진을 위하여 어디든 참여코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녀가 다녔던 평생교육기관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동기에도 차이가 났다. 복지관이나 주간보호센터와 같은 지역사회재활시설과 일반평생교육기관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자녀의 부모들은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으나, 직업재활시설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자녀의 부모는 ‘졸업 후 갈 곳이 없어서’와 ‘사회성 증진’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재활시설인 복지관과 일반평생교육기관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부모들은 ‘갈만한 곳이 없어서’ 평생교육 참여가 어렵다고 하였고, 직업재활시설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부모들은 ‘정보 부재’, ‘수강료 등 경제적 부담’이 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하면서 겪는 어려운 점이라고 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만족도’의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평생교육이 자녀에게 도움이 된다’라고 하였으며, ‘강사가 발달장애의 특성을 잘 이해’하며, ‘강사가 자녀와 의사소통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평생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중소도시보다 ‘강사의 발달장애 특성을 더 잘 이해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20세 미만의 자녀를 둔 부모가 31세 이상의 자녀를 둔 부모에 비해 평생교육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재활시설과 일반평생교육기관에 다녔던 자녀의 부모가 직업재활시설에 다녔던 자녀의 부모보다 만족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교육과정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부모는 ‘졸업 후 평생교육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평생교육에 참여의사’를 적극적으로 나타냈다.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평생교육의 장점’으로 부모는 취업 준비와 사회성 증진을 꼽았으며, ‘바람직한 교육형태’로 비장애인과 따로 교육받거나, 함께 하는 혼합교육방식을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운영기간’은 기간이 제한 없는 전일제 과정을 선호하였으며, 비학위제를 선호하였다. 또한 ‘교육비 부담 주체’는 국가와 본인이 함께 부담하기를 원하였으며, ‘대학의 준비사항’으로 발달장애를 이해하는 전문적인 스텝진과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요구하였다.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영역별 우선순위 프로그램으로 가장 먼저 개설했으면 하는 과정으로는 ‘직업능력’ 영역이었다. 평생교육 6대 영역에서는 기초문해 영역에서 ‘생활 문해’, 학력보완 영역에서 ‘자연과학과 일상생활’, 직업능력 영역에서 ‘현직무역량 강화’, 문화예술 영역에서 ‘스포츠 여가’, 인문교양 영역에서 ‘사회적역할’, 시민참여 영역에서 ‘시민행동’, 대학에서 희망하는 비교과 활동 영역으로는 ‘동아리 활동’을 선호하였다. 넷째, 성인발달장애인을 둔 부모들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두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시행한 결과 5개의 대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의 장애로 인해 어렸을 때부터 겪은 평범하지 않은 삶을 통해 나타난 자녀가 원하는 다양한 삶과 부모의 마음을 담은 ‘장애인 가족의 삶’이 도출되었고, ‘교육은 이렇게’라는 주제가 도출되어 생애주기별 교육과 맞춤교육 등 성취감 있는 교육을 원하였다. ‘평생교육 6대 영역 중 경험한 것과 필요한 것’에서는 취미생활부터 자립의 삶에 필요한 교육을 원하였다. ‘내 아이 좀 도와주세요’에서는 많은 교육정보와 각종 정보에 관한 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시스템의 요구와 전문성 있는 교사를 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꿈을 위한 ‘평생교육의 방향’이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졸업 및 전공과 이후에 성인발달장애인의 지속적인 교육이 되도록 대학 과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 평생교육의 의미를 체계화하고, 시스템화할 수 있는 평생교육 과정과 표준화 방안을 함께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에서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반영하기 위해서 발달장애를 이해하고, 발달장애인과 의사소통이 잘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자질을 갖춘 강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준비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사 자격 과정 개발과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정보와 진학 정보가 매우 부족하고, 주변 복지시설이나 주변 소개를 통해 얻는 정도로 매우 열악하다. 필요한 정보를 찾으려 해도 찾기 어려워 공공의 정보 제공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학기반 원스톱 정보통합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진학 정보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와 진로를 위한 정보까지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지역대학 중심의 통합시스템 구축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지역의 대학기반을 중심으로 국가 부처나 지역의 다양한 관련 기관과의 정보네트워크 구성 및 정보통합시스템 마련과 운영이 필요하다. 주제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성인계속교육, 장애인 평생교육, 대학기반 평생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강사

      •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유호 건양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bette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by analyz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the features of each program. Each university has committ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Universities changed and departmentalized form of programs to adapt hiring method that companies required. Thus, I look around the issu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at K University implemented to keep pace with these changes and propose improvements. Recently youth unemployment is not readily be recovered after financial crisis and the severe cold wave of employment. Governmen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ry to solve through employment policies and a variety of business and universities charged and operated the government’s employment- related business, or tried to struggle for student’s career and job searching activities by preparing own fund. But comparing with majors of university,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do not operate systematically and show inefficient operating modes by short term operation of the program. Awaring of these issue, this study aim to set up improvement plan by looking a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local and foreign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issue was set as follows. First,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recognize? Second,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the operating status of program and problem recognize? Finally, What is the improve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of the support program for employ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mplete by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his study and were questionnaire after the pilot test was performed.

      •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저나트륨혈증 환자의 원인별 빈도와 원인 질환 및 교정 수액에 따른 혈중 나트륨 농도의 변화

        곽엄섭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배경 및 목적 : 저나트륨혈증은 흔한 전해질 장애로 치료 중 급속한 혈중 나트륨 농도 상승은 신경학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drogue-Madias 공식은 저나트륨혈증 치료에 교정 수액 투여 시 혈중 나트륨 농도를 예측할 수 있어 임상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인 질환과 교정 수액의 종류 별로 공식에 의해 유도된 예측한 혈중 나트륨 농도가 실제 측정한 혈중 나트륨 농도와 일치하는 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건양대학교 병원에 저나트륨혈증으로 원인 별 분류가 가능한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성 나트륨 손실 군 (A)과 일차성 수분 획득 군 (B)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교정 수액으로는 3% 이상 혹은 3% 미만의 식염수를 사용한 군을 추가 분류하였다. 원인 질환과 교정 수액에 따라 Androgue-Maidas 공식을 이용하여 첫 6시간 후 예측값과 실측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연령은 69.7세이고 남녀비는 1:2.2이며 입원 시 평균 혈중 나트륨 농도는 116.7 mEq/L 였다. A군은 42명 (43%), B군은 55명 (57%)이었으며 각 군에서 3% 이상 혹은 3% 미만의 식염수를 사용한 군은 A군에서 4명, 38명이었으며 B군에서 9명, 46명이었다. A, B각 군에서 3% 이상의 식염수로 치료한 경우, 실측치와 예측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A군 p=0.720, B군 p=427), 3% 미만의 식염수로 치료한 군에서는 예측치가 실측치보다 낮았다 (A군 p=0.007, B군 p=0.001). 결론 : 저나트륨혈증 교정 시 Adrogue-Madias 공식을 사용할 경우, 3% 미만의 식염수 투여할 때 예상보다 조기에 혈중 나트륨 농도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과교정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연애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이중매개 효과

        한영광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이 연구는 연애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성인애착(불안/회피)과 관계중독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대학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대학생으로, 온라인 조사와 대면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93명(대면 227/온라인 66) 이었다. 측정 도구는 관계중독 척도, 친밀 관계 경험 척도 개정판,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 자료는 SPSS 22.0으로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 Process v3.4를 사용하여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불안/회피), 내면화된 수치심, 거부민감성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은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과 관계중독 사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은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애착회피와 관계중독 사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성인애착(불안/회피)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이 각각 다른 형태로 이중매개 한다는 것을 밝혔고, 이는 상담 장면과 치료 장면에서 차별적인 개입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adult attachment(anxiety/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ating experiences. For this, 293 data samples (226 male, 67 female) were collected through Naver forms and face-to-face surveys of colleg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or taking a semester off in universities located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Internalized Shame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For the collected data, SPSS(ver. 2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Macro Process(ver. 3.4)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anxiety/avoidance),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dual mediation effect among anxiety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Fourth,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suppression effect among avoidance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nternal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are dually mediated in different forms in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anxiety/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uggests that discriminatory intervention is crucial in counseling and treatment sce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안보환경 변화와 예비군 사기진작 개선방안 연구

        안영보 건양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세계 각국은 테러, WMD확산, 해적, 환경파괴, 에너지 고갈, 지구 온난화 등 초국가적 안보위협에 대해 국제적인 공동협력을 확산하고 있다. 최근 주변국 정세는 미국의 일방 주의적 대외정책 지양과 국제사회의 다자주의적 협력확대 추세가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개별 국가들의 국익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기침체와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에 따라 경제위기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증대하고 있으며, 초국가적, 비전통적 안보위협요인의 다양화와 광역화에 따라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북한의 김정일의 건강 악화와 경제난으로 빚어진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체제단속과 결속에 노력하는 한편, 세습체제의 원활한 이양을 위해 업적 만들기의 일환으로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 실험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미국과 관계개선을 통해 경제난과 식량난을 해결하고 체제단속을 시도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무기체계의 정밀화, 첨단화가 촉진됨으로써 전쟁양상과 전쟁수행 방식은 변화되어 전 전장을 가시화 하고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사이버전, 네트워크 중심전(NCW), 비선형전, 속전속결전, 정밀타격전 등의 형태를 뛸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테러와 같은 전쟁양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안보환경과 미래전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평시 상비군을 증강하고 전쟁지속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평시 효율적인 국가 경제운용과 국민복지증진 차원에서 이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과 새로운 전쟁양상과 초국가적 안보위협에 대한 대처를 위해 민·관·군 통합전투력 소요가 증대됨에 따라 예비전력과 예비군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안보환경과 미래전 양상에 능동적 대처하기 위해 우리군은 국방개혁 2020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상비전력 뿐만 아니라 예비전력 분야에 있어서도 정예화를 통해, 규모는 축소하고 능력과 효율은 배가시키는 것으로서 예비군 조직.을 정비하고 예비군 훈련대를 설치하며, 무기·장비 및 전투예비 물자를 현대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들은 예비군 역할의 확대와 중요성은 인식하면서도 이에 대한 외부적으로 나타나는 정책이나 현상은 그러하지 못하며, 현 예비군 사기진작 활동과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예비전력 분야에서도 사기진작과 관련된 정책은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방개혁과 2012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등 급변하고 있는 안보환경 속에서 예비전력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예비군에 대한 사기진작 개선은 절실하다. 본 논문은 안보환경 변화에 따라 예비군에 대한 사기진작의 개선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비군 사기진작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사기의 의미와 정의, 구성요소,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예비군 사기진작과 관련된 분야를 정신적, 제도적, 물질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논문에서는 안보현실 변화에 따른 예비군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예비군에 대한 사기진작 활동의 문제점, 그리고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는 사기진작 활동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외국의 사례를 통한 예비군 사기진작의 시사점을 고찰(考察)하여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예비군 사기진작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안보환경 변화와 이에 따른 예비군 임무와 역할, 예비군의 중요성과 사기진작의 필요성과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국방환경에 있어서 북한은 여전히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고, 최근에는 핵과 미사일로 긴장을 증대하는 등 도발의 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 등 4대 강국도 동북아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하여 군비경쟁을 늦추지 않고 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한 전쟁수행방식의 변화에도 크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군이 현재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 2020’과 맞물려 미래 군 구조 개선과 사회변화 및 국민의 요구도 안보환경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이러한 안보환경의 변수들로 인해 기존의 예비군의 역할과 임무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전통적인 전쟁대비기능 뿐만 아니라 상비군과 동반자적인 위상으로 부상하여 전쟁이외의 군사작전, 초국가적 위협 대처작전, 불특정 위협에 대한 대비, 무장소요진압, 민방위, 재해·재난 기능까지 수행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군은 상비군의 동반전력이자 국가총력전시 주 전투력, 그리고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한 예비전력으로서 상비군을 대체할 수 있는 전력으로서 국가 예산까지 절감하는 중요한 전력이다. 예비군에 대한 사기진작은 국민의 안보의식 향상과 국가안보의 중요한 역할수행에 대한 보은활동,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국가안보의식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국민의 예비군에 대한 인식과 예비전력과 관련된 예산반영 등 제반 정책과 활동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예비군 사기진작방안을 개선하기 위해 영향요인을 정신적, 제도적, 물질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제3장에서는 우리 군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예비군 사기진작 활동과 국방개혁 2020일환으로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정신적, 제도적, 물질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정신적 측면에서는 첫째, 안보의식향상과 예비군 사기진작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국민에 대한 교육과 홍보활동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미흡하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첫째,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정책은 성과 있는 지원정책 추진과 제도마련, 홍보가 미흡하다. 둘째, 최근 공론화 되고 있는 군필자에 대한 가산점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셋째, 현행 예비군 진급제도는 한정된 계급에 국한되어 있다. 물질적 측면에서는 우수예비군에 대한 포상, 예비군 훈련에 따른 보수(훈련/급식비), 예비군의 재해보상, 훈련참가를 위한 수송문제, 장비 및 무기지급과 훈련환경(화장실, 식당 등)조기 개선이 미흡하다. 첫째, 우수예비군에 대한 포상측면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미흡하다, 둘째, 예비군 훈련 후 지급되는 예비군 훈련에 따른 보수가 비현실적이다. 셋째, 예비군 재해보상(재해, 장해, 휴업보상 등)의 현실화가 미흡하다. 넷째, 훈련참가를 위한 수송문제의 조속한 해결이 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예비군의 편성장비나 물자, 무기지급에 있어서 현역수준에 비하면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여섯째, 예비군들의 훈련환경 조기개선이 필요하나 지연되고 있다. 국방개혁 2020의 사기진작 추진계획과 관련된 문제점은 정신적 측면에서 정신전력 강화와 국민안보의식 개선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안보의식 청사진은 아직까지도 미흡하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정책은 성과 있는 지원정책추진과 제도마련, 의무복무 제대군인 병사들에 대한 가산점 제도적용, 그리고 이와 관련된 조직적인 홍보와 관련된 사항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물질적 측면은 정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보다는 우선적으로 정책에 반영되었으나 예비군 훈련장 화장실 개선을 제외한 우수예비군에 대한 포상과 이에 대한 제원확보문제, 예비군 재해에 대한 보상의 현실화, 예비군 훈련인원에 대한 수송문제 해결 등에서는 구체적인 청사진은 미흡한 실정이다 제4장에서는 외국의 예비군 사기진작활동을 우리나라와 비교해 사기진작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신적 측면에서 첫째, 예비군 복무도 병역의무의 연장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국가안보에 항시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는 자긍심을 심어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비군의 사기진작이 곧 국가안보와 직결된다는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시켜줄 것이다. 둘째, 교육과 훈련에 있어서는 국가안보의 선도자로서 당연히 훈련에 참가하고 있으며 국가차원에서 보상이 함께 이루어짐으로 인해 훈련받는 다는 것을 당연시 한다는 것이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첫째, 제대군인 취업지원정책과 병역의무 이행자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이 병행되고 있다. 또한 동원보상(재해보상, 훈련비)은 실질적이며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비군 진급제도와 관련하여 병사와 간부에 대해 현역과 동일한 수준의 진급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물질적 측면에서 먼저, 예비군 훈련에 따른 보수, 동원보상(재해보상, 훈련비)제도와 관련하여서는 동원에 대한 보상이 실질적이며 합리적 이라는 점이다. 장비 및 무기 지급측면에서 볼 때 현역과 동일한 장비지급과 자신의 장비를 휴대하게 함으로서 항상 장비에 대한 신뢰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제5장에서는 우리군의 효과적인 예비군 사기진작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지는 예비군 사기진작 개선방안은 3장에서 제시되었던 정신적, 제도적, 물질적 측면에서 문제점과 4장의 외국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통해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신적 측면에서는 홍보활동과 교육에 있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국방대학교에 예비전력 관련 전문 연구 및 교육기관을 설치함으로서 국가차원에서 전문 인력 양성과 연구를 도모해야 하겠다. 둘째, 홍보활동과 교육 대상을 기준으로 국민과 예비군, 현역으로 구분하여 차별화하여 시행해야 한다. 제도적 측면은 제대군인 국가보훈제도, 군 가산점제도의 법제화, 예비군 진급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가보훈제도는 정책 요구자인 군인과 예비역의 적극적인 요구와 국가보훈처의 관련인원의 성과에 초점을 둔 업무추진, 그리고 일반국민을 비롯한 각 부처 및 정치권, 기업인, 수혜자에 대한 관련제도와 지원정책 추진결과에 대해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군 가산점제도는 적극적인 논리를 개발과 홍보로 법제화를 추진해야 하겠다. 예비군 진급제도는 병에 대한 진급제도 확대와 예비역 복무 중 우수인원에 대한 예비역 간부로 진급하는 제도 등 현 진급제도의 대상을 확대하여 발전시켜야 한다. 물질적 측면은 우수예비군에 대한 포상, 예비군 훈련에 따른 보수(훈련 / 급식비), 예비군 재해보상, 훈련참가를 위한 수송문제, 장비 및 무기지급과 훈련환경개선(화장실, 식당, 주차장, 숙소)이 필요하다. 첫째, 우수예비군에 대한 포상활동은 예비군 진급제도에 연계하는 방법과 예비군 지휘관과 훈련인원에 대한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육성지원 자금을 활용한 포상발전, 그리고 예비군 훈련 미참석자에 부가되는 범칙금을 예비군 포상에 활용하는 방법 등을 모색해야하겠다. 둘째, 예비군 훈련에 따른 보수는 현실적 보상을 위한 예산확보가 추진되어야 한다. 국방개혁 조정안에 따라 2020년까지 8만원 수준의 훈련비 지급을 위해서는 예산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논리개발과 대국민 홍보를 실시해야 하겠다. 셋째, 예비군 재해보상은 국가공문원 수준으로 현실화가 필요하다. 즉, 예비군(소령 10호봉이하계급)에 대한 보상은 현역 소령 10호봉과 경찰 총경 10호봉, 소방정 10호봉과 수준을 고려하여 사망보상금, 장애보상금, 유족보훈연금, 휴업보상금을 판단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겠다. 또한 예비군 재해보상 실천을 위한 재원확보 방안은 예비군 재해보상 보험 제도를 도입하여 국가의 예산 일부와 예비군 훈련비중 일부를 개인의 의사에 따라 보험금으로 적립하여 활용하는 방안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넷째, 훈련참가를 위한 수송문제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하여 예비군 수송을 위한 버스를 구입하여 운용하는 방법으로 개선해야 하겠다. 다섯째, 예비군 무기는 현역장비와 동일세대 내지 최소한 1세대 전 장비로 무장을 유지함으로서 탄약 및 정비지원, 훈련의 연계된 전투력이 보장되도록 해야 하겠다. 또한 최근 현역군의 장비현대화 추진에 따라 교체되어진 구형장비를 활용하여 예비군에 편제시키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향방예비군 부족물자는 국가차원에서 중앙정부(국방부)와 지방자치단체장 공동책임하 확보하도록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서 예산집행의 투명성을 보장해야 하겠다. 여섯째, 예비군 훈련장 화장실 개선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야 하겠으며, 점심식사 문제는 지자체와 협조하여 예비군 식당을 운용함으로서 쾌적한 복지시설이 설치된 환경하 예비군이 훈련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성실한 훈련참가와 성취감을 갖도록 하여 사기진작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예비군의 사기진작은 변화하는 안보환경을 고려해 볼 때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에 있어서 가장 우선 추진되어야 할 분야 이다. 즉 예비군 사기진작은 국민의 안보의식 향상과 유사시 국가동원, 그리고 평상시의 지역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비군의 사기진작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논의한 본 논문은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에 있어서 예비군 사기진작의 중요성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인식시키는 불씨가 되기를 바란다. 비록 예비군 사기진작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은 본 논문의 한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예비군의 정예화를 위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world today has the tendency to intimidate on national security that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Although the possibility of an all-out war between countries has decreased, but super-natural and ultra-national intimidation such as terrorism, spread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s increasing. In this kind of environment, each country continues to endeavor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ir countries and to pursue benefits for the safety and the peace of international society with having a strategic alliance and restraining one another. In a country, milita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and executing a war. This can generally be classified as the active component and the reserve force. In these days, due to the rapid change of security environment, each country is making its best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rmed forces through military transformation and reduction of armaments. The core of these revolution and reform is to strengthen the active component into an intensive technology-oriented forces. This depends on how the reserve forces are being managed and maintained for an emergency situation in a timely manner. The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matter, strength of the reserved forces and the reservists play an important rol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how we can improve the morale of the reservists. There are several ways to improve the morale of the reservist. This paper analyzed the definition of morale and the factors that can be affected in boosting morale. Furthermore, this paper analyzes the morale of the reserve that can be divided into mental discipline, institutional and materialistic aspects. Due to the change in national security, this paper recognized the important role of the reserve forces, the current status that may be seen as problematic and the policy of boosting the reserve's morale at the national level(Army Vision 2020). We also looked for the activities in boosting reserve morale from the military around the world.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suggestion. This study proposes the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morale of the reserve. In the field of mental discipline, there are two problems. Organized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First, the professional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reserve forces development. - Professional training and research at the national level is required. Second, promo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at is different from the civilians and the average group of students. In the field of institutional aspect, there are seven problems. First, support system for the veterans that is focused on achieving results and objectives should be promoted. - Active component and reserve forces requirements must be positive. - Decision-makers should consider from the perspective of reserve forces. - Working group members who execute policies should focus on objectives of employment, health, status acquisition, loans, etc. Second, laws that gives additional points to the discharged soldier when applying for a job at the government-level should be logically made and promoted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nderstand. Third, the reserve promo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expand the number of quality soldiers. - The promo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nlisted soldiers - The need for hiring quality officers from the discharged soldiers can be done through honorary promotion system. In the field of materialistic area, there are two problems. First, the merits must be given through the following: - Link to Reserve promotion system - Using the leverage funds of Reserve training support - Using fines received from those who refused or did not participate in the reserve training. Second, the funds of reserve training must be improved. Third, The amount of compensation when reservists die or get an injury during the training should be at the similar level with the amount of compensation to people who work in the government agencies. -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reserve forces should prepare the ways to give compensation fund to reservists. Fourth, local governments must come up with the ways to transport those reservists who participate in the reserve training such as purchasing a bus. Fifth, updated weapons and equipments that the active component is using should be used for the reserve forces as well. Sixth, the local government should operate restaurants that the reservists can eat during the exercise. It is necessary to find and solve ways to improve the reserve's morale. By this activity, the morale will be propelled and developed in the field of mental, systematic, materialistic aspects. Nowadays, there is an increasing agreement about the need to develop the reserve forces, which is a good indication because we are now seeing a vision for the future through these effort. My research may not be a complete solution in many regards. However, I hope that it proves useful, and I sincerely thank those who have helped me to prepare for this es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