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敎育大學院의 運營體制 硏究

        문종수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사회는 과학기술혁명과 고도산업사회의 출현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隋伴하는 사회의 질적 변화는 각 측면에서 고급인력의 수요에 부응코자 고학력사회의 출현으로 치닫고 있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이들 시대적 특수성의 필연적인 발로의 하나라 하겠다. 특수대학원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온지도 어언 30여년이 됐으며 전국 48교개에 이르러 양적으로 큰 성장을 가져왔다. 원생의 법정 정원수도 이미 14,000여명을 넘었다. 이 시점에 이르러서는 양적인 발전보다는 교육의 질적인 발전에 촛점을 두고 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의 질, 학생의 선발, 시설과 교육투자, 교육내용과 교수방법 등 많은 요인들이 검토되고 연구되어야 하겠으나 소고에서는 교육대학원의 교육이념, 특징, 조직과 편제, 교육과정운영, 학위논문 및 운영성과 등을 논의함으로서 교육대학원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목적은 모든 학사운영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특유의 목적 즉, 그 정체성을 밝혀보려고 하였으며, 대학원 설치기준령을 제정함으로서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에 필요한 교수 및 시설 등 필요한 교육여건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여 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추구해야 한다. 교육대학원의 운영 현황을 분석 한 결과 교원들의 재교육기관이며 교직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의 질적 향상을 기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원수와 학생정원과의 비율에서 나타난 교원수의 4%인 14,002명은 재교육 기회를 제한하는 것으로 전임교수 확보 등을 감안하여 증원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만든 교육내용이기 때문에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교육과정이 교육목적과 꼭 일치되지 않는 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직 과정과 전공과정이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재조정 되어야 한다. 교과교육은 교과지도에 필요한 교수이론과 기법을 고수하는 것이며 따라서 교사의 교육활동 중심은 교과지도에 있으므로 교과교육에 대한 교육학적인 연구는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교육여건 즉, 교수, 시설, 재정의 확보상황은 교육의 질적 충실화를 기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교수는 대학원 소속 전임교수를 꼭 두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을 수 있지만 대학 전체로 볼 때 대학원 교육에 필요한 교수 정원확보는 교육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독립된 교육기관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교육의 성과는 일차적으로 학위논문의 질로 반영된다. 학위논문은 그간의 교수, 연구의 결과이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준거가 되며 그것은 교육과정운영, 교육방법, 유인체제와 관련이 있다. 교육대학원의 내실화와 일정수준이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선진국에서 운영하는 평가 인정체계를 채택하여 학위의 공신력을 높이고 각 대학원의 필수적인 교육여건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안가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이 설립된 대학원 중 심리치료 전공이 개설된 대학원을 조사하여 경기도 소재 D대학원과 충청남도 소재 G대학원의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10일에 거쳐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95부(100%)를 회수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기술통계로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에 진학한 동기는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함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의 이미지와 명성으로 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요인이 많았다. 심리치료 관련 전공인식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조사와 관련하여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과목 이수와 자격증의 연계성과 교과목의 다양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강의계획서에 따른 수업진행, 수업시간의 적절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행정서비스의 친절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등록금 제도, 장학금의 적절성, 학사일정 안내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진로의 영향력, 경쟁력 향상, 취업 전망의 긍정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구에 대한 조사로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치료영역별 자격 취득을 위한 다양한 입문 과정의 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수업내용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전공자의 전공운영 전담의 요구가 높았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심리치료사 관련 자격증 안내 등 졸업생을 위한 적극적인 진로안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적인 관리와 평가를 위한 체계가 시급히 구축되어야 하며, 수요자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 初等敎育의 質的 向上을 위한 方案 模索

        임상균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course of study of the college for the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been extended, from two years to four. However, rather than just lengthening the period of training, it seem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the training one step higher by nurturing the functions of research and scholarship in teaching. Accordingly, the entire education curriculum at the college level of study must undergo a systematic change. In other words, while presenting a vision of a graduate course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which can lead to a Master's, or Doctorate degree, we must also change internal attitude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so that anyone, whoever he may be, can recogniz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ory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Professors of Teaching Methodology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must raise themselves up to the point where they can raise up others; a point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scholarly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Seen from this standpoint, development at the graduate level will have an immediate and positive impact on the undergraduat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s well. The existing graduate school curriculum must throw off its current emphasis on mere guantity in order to attain genuine scholarship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offering specializations in Elementary Level Education and Elementary Level Curriculum Education. In order to actualize such a prospective policy, concrete research must be carried through with concentration and continued effort. Too after, it is taken as a given that the transfer to a guality-based system in graduate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existing system of management based on a guantitative standard, (as mentioned above), will not turn out well. In such an atmosphere of pragmatism, the establishment of a (quality-based) graduate school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will never be easy. Accordingly, the research and analysis into the many facets of teaching quality, teaching method, educational programs and character that make up a graduate school in Elementar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most precisely. Still, if a properly substantiable plan for the introducation and management of an evaluative certification system for teachers' education is not deeply and critically researched, in this pragmatic atmosphere of ours it will be difficult to properly demonstrate the value of it with only the power of persuasion.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ur most realistic task is a reorganization of the postulates of the educational system. It calls us urgently. If it is not done, the irrational state of affairs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can lead to no good. And so, in order that all capable and excellent educators with an interest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Cheerfully join together with pride and self-respect, bringing about real development in educational activity, a societal, systematic reform in the very postulates of education is most essentially needed.

      • 대학 과학교양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대학 구성원 인식 탐색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임민경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대학의 위기가 언급되는 시점에서 대학 수준에서 변화되는 교육 환경에 대한 과학 교양교육에 대한 방향성 탐색을 위해 현재 운영되는 교육과정 운영 현황 파악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 구성원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있어 연구대상 대학으로서 수도권 소재의 종합대학으로 과학과 관련 여러 특성화 사업을 진행중인 D대학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현재 시점에서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태를 지적하고 추후 과학 교양교육과정의 대학 구성원 인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 소재 D 대학교의 교육목표, 교육인재상, 과학교양교육의 운영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D 대학교의 재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고 전체 참여자수는 재학생 30명, 교원 21명이 응답하였다. 같은 시기 자유교양대학의 BSM센터 주관으로 교양교육 전반에 대한 설문이 진행되어 응답 내용의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현재 D 대학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현황 파악, 과학교양교육 개편을 위한 요구도 조사, 구성원 의견 수렴에 대한 구성원의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D 대학의 과학교양교육과정은 교양의 영역별로 세분화 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각 교양 영역에 대한 이수기준 및 강좌의 개설 유형이 다양하였으나 명확하게 과학교양교육의 목적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둘째,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대학 구성원의 인식 현황을 분석해보았을 때 구성원들이 현재 시대적 분위기에 부합하는 과학교양교육과정의 목적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결과는 과학과 핵심역량 및 강조내용에 대한 응답내용 등을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 구성원들은 융복합교육의 중요성, AI 및 SW 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중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구성원의 요구 조사를 분석해보았을 때 –특히, 재학생 응답자 다수 인원이 인문사회계열이라는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과학교양에 대한 관심 및 강좌의 개설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수 기준에 대한 응답 내용과 관련하여 필수이수로 해야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구성원들은 강좌의 개설에 있어 과학과 타학문의 연계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성격을 갖는 강좌의 개설을 원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의 제안 및 자유의견 기술을 통해,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현재의 과학교양교육과정에 있어 체제적 지원과 더불어 시대적 분위기와 구성원 의견을 적극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D대학의 과학교양교육과정 개편 방향성 탐색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 지역학교와 연계한 랜드마크(Landmark) 벽화 제작 기획 및 방안연구 : 헌산중학교를 중심으로

        이민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대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빠른 변화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우리가 통과하고 있는 코로나19 팬데믹은 세계를 혼란에 빠뜨림과 동시에 학교 교육 환경을 단시간에 변화시켰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친구와 만나 교제 및 소통하지 못하는 학생들 은 공동체를 경험하지 못하고 학교가 점점 두렵고 피하고 싶은 공간이 되어버렸다. 오랜 기간 지속된 비대면 온라인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스스로 학습할 능력과 소통의 기회를 잃어버렸다. 따라서 코로나19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고 미래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공동체 의식 함양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증진이 절실히 요구된다. 벽화는 미술수업에서 학생들이 협동을 통해 제작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학생들이 공적인 공간에서 공동체 속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문제에 대해 함께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함으로서 공동체의 가치를 배울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 시수, 예산, 전문성의 부족 등으로 인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어 실행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역 내의 학교와 연계한 랜드마크 벽화 제작 기획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랜드마크를 활용하여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고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 능력을 증진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용인지역에 있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과 헌산중학교를 대상으 로 기획하였으며 벽화 제작에 앞서 랜드마크와 벽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관련 교과를 분석하였다. 이후 벽화 제작 사전 준비를 위해 헌산중학교를 방문하여 교사들과 함께 논의한 내용과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총 6단계의 벽화 제작 단계로 설계하였으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생과 교수진, 헌산중학교 학생들이 함께하는 팀티칭 학습을 기반으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실제 벽화 제작을 앞두고 코로나19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1~3단계까지 실행하였고 4~6단계는 적용하지 못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끝까지 적용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랜드마크 벽화 제작 기획 및 방안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기대 효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랜 드마크의 이해를 통해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미술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둘째,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 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벽화 제작 활동을 통해 사회적 소통 능력 증진 및 사회성 발달이 가능하다. 넷째, 지역 사회와 학교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미술교육은 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통하여 사회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공동체의 가치를 인식하고, 동료와 협력하고 소통하면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한다. 학생들은 랜드마크를 활용 한 벽화를 통해 자신과 세계의 관계를 탐색하고, 자신이 속해있는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이바지할 수 있으며 창의적 문재해결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본 연구로 인해 시대에 필요한 공동체 역량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과 발전을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 단국대학교 영어몰입교육 사례 연구 :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한 목표의 재설정

        김지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단국영어몰입학습 프로그램(Dankook English Immersion Program: DEIP)은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가 영어성적이 일정 수준을 넘겨야 졸업이 가능한 졸업인증제도와 개방화 정책에 알맞은 인재를 양성하고 영어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언어수행이 강조되어 가는 사회적인 분위기를 고려하여 기획한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그 실시취지,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중심의 다면적 평가, 학습자 심층면접과 교실관찰 등을 통한 프로그램 평가결과를 통해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 평가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와 참가자중의 77%의 졸업인증 획득, 저실력군의 TOEIC 점수 향상 등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부적합한 목표설정은 교육과정과 평가방법의 괴리를 가져와 집중영어교육을 희망하였던 학습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따라서 3번에 걸쳐 실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중심의 다면적 설문조사와 학습자 심층면접과 교실관찰을 통해 도출한 학습자 요구를 토대로 프로그램 목표를 재설정 하여 교육목표와 교과과정을 이원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at Dankook University. The study described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curriculum in detail and provided an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This paper also mak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d this program. This three-week Dankook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winter 2008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satisfy graduation requirement and improve general English proficiency such as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y providing them with the setting and environment of and immersion English program. Students' achievement was measured by TOEIC both before and after the Dankook English immersion program. The students'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 were used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toward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needs, re-setting of the goal of the program was suggested.

      • 패러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과 실제 :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미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e past, a parody was regarded as some negative concepts such as an imitation and a plagiarism. These days, however, a parody is used in many ways for a recreation. In other words, a parody is not simply considered copying, but creative writing, " The recreation through imitation." A parody used in literary creations can be seen in the revised textbooks for the eighth grade. This paper will take a look at the textbooks that contain creative education by parody, and suggest the way to make works of literature in the textbooks into a new version through many different principles of parody. In the second chapter, I will take a look creative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point out some problems of creative education in school hours. In this paper, the reason why creative education does not work well is divided into four. The first is due to a severe burden on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 the second is due to the fear of creation that learners have, the third is due to lack of competent teachers for creative schooling, and the last is due to a limited school hours. For these reasons, creative education does not properly work well in school. So, we should try to fix these problems to achieve success for creative schooling. Also in the same chapter, I mastered concepts and various principles of parody through similar terminologies like parody, and discuss the needs and effects of creative education for parody in depth. Creative training for parody has the effects as follows. Frist of all, learners can have an interest in and better understand original text through creative training. Second, this can give learners confidence. Third, learners can create unconventional interpretations. Next, this can develop critical thinking. Lastly, this training can suggest some new ways to teach a literary creation to teachers. In the third chapter, I will examine some of the creative education using parody in authorized textbooks. And then, I will look into four cases of the creation. The first case is some fictions which parody words of the songs, and the second is some fictions which parody stories in textbooks. The next case is some poems which parody stories, and the last is some poems which parody the form of the poem. Also, I will suggest new ways to create literature through principles such as defamiliarization, dialogisme, and metafiction. In the fourth chapter, I will concretely explain guiding principles for creative education through parody. For these, I will make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I will propose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reation. I will also suggest useful and real guiding principles that can be used in class. In terms of accepting literary works, passive learners can be active learners because a parody text is created by an original text. Also, the interpretations of parody can be so creative and different because of its openness. In this sense, writing parody enables 󰡐critical and creative accepting and producing,󰡑which our curriculum aims.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learners can relieve their vague fear of the creation and create various and imaginative works through the principles of parody. 과거에는 패러디를 모방이나 표절 같은 부정적 개념으로 받아들였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패러디를 재창조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 즉 패러디를 단순히 베끼기 식의 글쓰기가 아닌 󰡐모방을 통한 재창조󰡑라는 능동적인 창작 행위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문학 창작에 패러디를 활용한 개정 교과서는 8학년 교과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8학년 교과서에서 패러디를 활용한 창작 교육이 담긴 교과서의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고 패러디의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각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을 새롭게 창작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작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는 창작 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본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창작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로 첫째,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따른 압박, 둘째,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창작에 대한 두려움, 셋째, 교사의 창작지도 능력의 부족함, 넷째, 한정된 수업 시수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여러 문제들에 의해 학교 현장에서는 사실 제대로 된 창작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제대로 된 창작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2장에서는 패러디와 유사한 다른 용어들과의 비교를 통해 패러디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패러디의 다양한 원리들을 익혔으며, 패러디 창작 교육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패러디 창작 교육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첫째, 원텍스트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과 이해를 키워준다. 둘째, 학습자들의 자신감을 키워준다. 셋째, 학습자로 하여금 틀에 얽매이지 않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할 수 있게 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준다. 다섯째, 교사들에게는 문학 창작 교육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준다. 3장에서는 검정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 교육 중 패러디를 활용한 창작 교육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과서를 바탕으로 노랫말을 패러디한 소설 창작, 이야기의 내용을 패러디한 소설 창작, 이야기를 패러디한 시 창작, 시의 형식을 패러디한 시 창작으로 나누어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8학년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을 낯설게 하기, 대화성, 메타픽션의 원리를 이용하여 새롭게 문학을 창작하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패러디를 활용한 창작 교육의 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패러디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만들고, 학습 과정을 창작 전 활동, 창작 중 활동, 창작 후 활동으로 나누어 각각의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실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학습 지도안을 마련하였다. 패러디 텍스트는 원텍스트를 바탕으로 창작되기 때문에 문학작품 수용에 있어 수동적이었던 학습자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들로 만든다. 또한 패러디는 텍스트의 개방성으로 인해 끝없이 열려 있으므로 그 해석이 창의적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패러디 글쓰기는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수용․생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고를 통해 학습자들이 막연히 가지고 있었던 창작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패러디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창작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현황 및 요구 조사

        구영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현황과 국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능 수행을 통하여 이상적인 모델을 구안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국내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의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국내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목적과 운영의 관점에 대한 정립을 바탕으로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의 변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국외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현황을 문헌분석을 통하여 국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본적․진보적 역할 및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이상적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모델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국내 187개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111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현황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111명 중 설문지가 회수된 90명이며, 해당 조사연구는 전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독일, 일본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모델을 토대로 홍보 및 조기발견, 진단․평가․배치 및 관리,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지원 및 연수, 교육 및 서비스지원, 유관기관 협조 및 사회적 통합 지원, On-line 환경 지원․상담 및 가족지원의 6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각 영역별로 3개 국가에서 모두 운영하는 기본적인 역할 및 기능 뿐만 아니라, 각 국가에서 특징적으로 운영되는 진보적인 역할 및 기능을 토대로 이상적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모델이 구안하였다. 둘째, 이상적인 특수교육지원센터 모델을 근거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현황은 4개 영역 ‘보통’ 수행, 2개 영역 ‘보통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있어 6개의 영역 간․영역내의 불균형한 수행을 보였다. 6가지 영역별로는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이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현황 및 이상적 모델에 근거한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국내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영역별․영역내에 수행되는 역할 및 기능이 불균형적은 운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영현황은 ‘보통’또는 ‘보통이하’수준의 운영을 보였으나 현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하는 담당자가 생각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능은 그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교육이 장애 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창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 이해 교육과정의 방법 중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교육이 일반 유아의 태도 관련 표현 내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동탄 시내에 위치한 만 5세 한 학급의 유아 29명(남아 12명, 여아 17명)으로서, 이 학급은 통합교육의 경험이 없는 유아들로 구성되었다. 실험을 위해 1회 20분, 10회의 재활보조용품의 사용목적 교육을 5주간 실시하였다. 각 수업은 장애인의 일상생활 편의를 증진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만든 재활보조용품을 유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활보조용품을 실물자료, 그림 자료 그리고 동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재활보조용품이 왜 만들어 졌는지 유아들에게 질문하고 또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러한 재활보조용품을 이용함으로써 장애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에게 재활보조용품을 소개하기 전과 후의 검사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일반 유아의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업도중 비디오로 녹화하여 그 내용에 대한 것을 기술식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교육을 통해 일반 유아들이 장애 유아에 대한 태도 관련 표현 내용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사전 검사에서는 (예 : ‘~할 수 없어요.’, ‘불쌍해요’, ‘바보에요’ ) 등의 부정적이고 의존적인 태도 관련 표현 내용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사후 검사에서는 (예 : ‘~할 수 있어요’, ‘우리와 똑 같아요’, ‘즐거워요’ ) 등으로 반응함으로써 장애 유아가 재활보조용품을 활용하여 독립적으로 생활해 나간다는 것을 이해하는 표현 내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 교육을 통해 재활보조용품이 왜 만들어 졌고 장애 유아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 지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장애 유아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활보조용품을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함으로써 장애 유아에 대한 편견이 감소하고, 장애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셋째,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교육을 해봄으로써 유아들이 장애 유아들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 유아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재활보조용품이 장애 유아들의 자립을 위한 것임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통하여 장애 유아는 무조건적으로 도와주어야 하는 존재에서 그들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지원해 주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장애 유아를 도와주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일반 유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도움이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교육이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에 대한 태도 관련 표현내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재활보조용품 활용을 통한 이해교육은 일반 유아의 태도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보육시설에서의 발달지체영아 교육을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 : 서울ㆍ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문혜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의 발달지체영아 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프로그램 운영지원, 가정 및 타 기관 연계 지원, 행정적 지원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발달지체영아를 위한 조기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보육시설에서 만0~2세 발달지체영아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이며, 총 5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에서 발달지체영아 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주로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가 대부분으로 발달지체영아 특성에 대한 이해와 영아 대상 전문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보육시설의 교사들은 발달지체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계획하는 데 있어 일반 교사와의 협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 전문가의 조언과 동료교사의 조언을 필요로 하였다. 셋째, 보육시설에서는 향후 순회교육과 같이 가정에서 발달지체영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서비스를 적용한 후 차차 기관 중심 프로그램으로 적용하는 가정과 기관 혼합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에서는 발달지체영아와 그 가족을 위한 가족지원프로그램이 부모 상담과 부모 교육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지원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는 있으나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시설에서는 발달지체영아 교육을 위한 타 기관과의 협력 및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연계를 담당할 인력의 부재와 제도적 지원 정책의 부재가 큰 이유라고 보았으며 치료서비스 기관과 복지관, 의료시설 등의 기관과 협력의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육시설에서 발달지체영아 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일반영아 교육 및 보육 관련 연수 경험은 많으나, 특수교육 관련 연수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 발달에 대한 기본지식과 통합교육의 이해, 가족지원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사교육 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일곱째, 보육시설에서는 발달지체영아를 위한 특수교육 관련 교재교구 지원 및 유아특수교사 배치, 교사 대 아동 비율의 조절 등 다양한 행정적 지원 요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시설에 배치되어 있는 만0~2세 발달지체영아를 위한 조기 중재 서비스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