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인천시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특별회계를 중심으로

        정형섭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인천시예산결정과정을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대학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수요의 증대에 따른 재원배 분의 합리성 추구, 예산제도 및 운영의 현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인천광역시 예산결정에 관한 첫 번째 심층적 사례 분석으로서 여타 특별회계뿐 아니라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예산결정 과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공공기관의 예산결정과정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대학교의 재정현황과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인천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의 결정과 특별회계제도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 틀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예산의 일반현황과 조직 및 기구, 대학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3개 년도에 걸친 예산결정과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은 우리나라의 다른 공공기관 예산결정과정과 같이 점증주의적 특성을 보인다 할 수 있다. 대학의 의사결정은 하향적인 의사결정의 형태로 우선 행정자치부의 지침이 인천시, 인천대학교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과 예산요구에 대한 사정의 과정 속에 나타났다. 상향적 의사결정 형태로서의 예산결정과정은 단과대학 및 행정부서의 요구가 기획 예산과에서 조정되어 인천시에 전달되고 있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인천대학교의 재정규모는 특별회계의 비중이 67%, 기성회계의 비중이 33%로 특별회계 예산이 대학 재정의 2/3를 점하고 있다. 특이할 사항은 특별회계 예산 중 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대학교의 예산중 전입금의 결정은 곧바로 특별회계 예산의 편성 및 결정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입금의 결정은 대학의 자율성과 총장의 재량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인천대학교의 특별회계는 대학 예산운영의 자율성 확보와 재원확보 면에서 타 국·공립 대학과 같이 일반회계로의 운영으로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천대학교의 예산은 예측이 가능한 예산으로 편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대학의 경쟁력 신장을 위해 시의 관심과 대학의 자구노력이 필요한 점과 대학예산 구조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대학내부의 의사결정 구조를 정비하여야 함도 아울러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분석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제약이 있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천대학교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라는 데 큰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dgetary proces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a case study on the special account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which is an affiliate of the city. With its expanding autonomy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college education in the region, the university is required to rationalize its resource allocation process and to improve both the system and operation of its budget-making.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a right direction to that end and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This is perhaps the first in-depth research on the city's budgetary process and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complicated process of budget formulation not only in special accounts but also in the general account of the city. Also,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sourc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ationalizing the budgetary process of public organization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frame of analysis which mainly comprises: a) current financial status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the organizations involved in budget preparation, and the many weaknesses and problems therein; b)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ity's transfer to the university; and c) the need for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budget account typ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Financial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and a series of interviews were designed to provide qualitative inform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its incremental nature, which can be found in almost all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country. Budgetary decision-making process has both downward and upward aspects. The downward features are found in delivering the guidelines of budget-prepar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mitted budget by the city's budge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of colleg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usually move in an upward fashion from lower echelons of the university all the way to the city council.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has steadily grown in recent years, and the ratio of special account to the own-source account is approximately two to one as of 2001.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city's. transfer out of the total size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Special Account has become substantially large. Indeed, over the years, the decision of transfer amount has constituted the core of the university's budget preparation. The way how the transfer is determined, in turn, has implied enormous effects on the degree of the university's autonomy as well as on the president's discretionary power. The mo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refore, a shift from a special account into the general account as is now adopted by other public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alteration of the account type is believed to strengthen the university's autonomy,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particularly, the predictability of the city's transfer amount. This study also addresses a few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a> the city's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echoed by the university's revenue-raising effort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b)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modified; and c> the process of the internal decision-making is to be improved in such a direction as to expand economic rationalit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for being a case study, a possible lack of external validity or some methodological error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spite these possible constraints, the study has generated a number of important findings which could be very useful to researchers as well as to practitioners.

      • 예비체육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현직 체육교사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조영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개정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후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으로 체육교육전공을 입학했으며, 수업 계획 및 실천 능력을 가장 중요한 교사 전문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수업 측면에서 임용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가장 인상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 적응 측면으로 실연 수업과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더불어 실제 현장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실무교육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으로는 효과적인 임용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터디 구성을 강조했으며 스터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적·환경적·도구적 지원을 강조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개정방안 모색의 필요가 있다. 둘째, 임용시험에 초점을 맞춘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실연 및 실기지도 능력 함양을 위한 강의가 추가되는 형태의 교육과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변화하는 교육대학원 학위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인천지역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

        강승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Students spend an average of 4 to 14 hours a day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their health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quality of air in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due to divers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reased appl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lack of ventilation systems incorporated in Educ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students who spend great deal of their time in newly constructed Educational Facilities suffer from "Sick School Syndrome", a phenomenon similar to the "Sick House Syndrome". This has a potential of becoming a serious health concern, especially among young students who have not fully developed strong immune systems. Currently, the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Indoor Air Quality as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ess strict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top of this, there are only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ir Quality of classrooms, not to mention the complete absence of study done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ir quality and the building constr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some primary data based on the survey of classroom construction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s taken on the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year of construction, the desig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density of pollutants are also analyzed and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year of classroom construction and the density of harmful chemicals pres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2008년 현재 전국의 교육시설(유치원,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대학교)은 19441개로, 신도시건설과 교육시설 개선사업으로 교육시설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에서는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사용증대, 고기밀화 및 환기부족 등의 원인으로 실내공기질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교육시설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장시간(4h~14h/1day)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교실의 실내공기질은 학생들의 건강 및 쾌적성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신체적으로 미성숙하고 면역기능이 발달되지 않은 학생들은 실내공기오염으로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 한편, 교육시설은 면적당 재실자 수가 일반 사무실보다 4배 이상이고, 교실에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보건법」은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비해서 내용이 다소 미비한 상황이며, 교육시설의 실내공기환경에 관련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시설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기존의 연구로는, 학교 실내공기질 현장측정 및 성능평가, 친환경 자재, 환기시스템) 등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신개축년도와 실내마감재 및 가구 등의 건축조건에 대한 조사와 실내온열환경,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에 대한 측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지식기반 확대를 위한 인천광역시 및 지역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상호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세계경제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지식의 축적이 개인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부의 원천이 되고 있다는 말이다. 기존 노동 · 자본이 중심의 경쟁력과 양적 가치 중심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급속한 변화와 지식 · 기술중심의 경쟁력 질적 가치 중심의 기술혁신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시대의 도래라는 환경변화와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는 지역이라는 개념을 희석시키고 세계가 하나의 공간이라는 개념이 필요한 의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특히 경제구조의 변화는 기업활동의 국경을 넘어 인프라 및 기술혁신 여건이 가장 잘 완비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천지역의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하겠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지역의 지식기반산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지역 지식기반 산업 및 경제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지역산업의 특징, 자료분석, 통계분석, 문헌연구 등을 통하여 인천지역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식기반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인천시와 지역대학들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되는지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산업의 특징은 수도권의 공업을 분담해 주는 생산도시 및 제조업중심의 산업지역으로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인천지역 지식기반 인프라의 미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천지역의 경우 잘 발달된 산업기반 시설에 비해 4년제 대학, 국공립 시험연구기관이 매우 부족하며, 다른 지역보다 적은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양적으로는 부족한 인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아울러 대학원생 등 석·박사급의 고급 연구인력 양성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천지역 산업 및 지역대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인천지역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인천시 및 지역대학이 역할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지식기반시대에 인천지역은 전자정보기기, 메카트로닉스, 생물, 신소재, 환경, 물류산업을 인천산업정책의 새로운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송도 지식정보단지 조성에 필요한 지역대학의 IT·BT등 첨단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인재양성과 지역산업 수요에 맞은 맞춤형 인력양성, 그리고 인천시의 지식기반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첨단 전략산업 육성 계획의 실현과 연구개발 예산의 확대 지원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들이 인천의 전형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지식기반산업 구조로의 변환이 가능하며, 경제자유구역내 첨단정보 산업단지의 육성 및 발전을 가속화하여 인천진역 산업을 첨단지식산업 중심으로의 경쟁력을 키워줄 것이다. Contemporary global economy is charactedzed as a knowledge-based one. In other words, the accumulation of tnowledge becomes the most critical source of individual and national wealth. Rapid paradigm shift from the analogue age represented by emphasis on the competitiveness around labor and capital and the quantitative values to the digital age accentuating the competitiveness around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 qualitative values. and the changes in spatial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dilute or blur the term of regional boundary as well as require us to rethink the space in the broader, global sens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will lead and accelerate the movement of business activities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in a traditional sense into those regions that establish infrastructure and provide advantageous business environment for technical innovation. Thus,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shift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in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influenc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on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economy, and proposes the rol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to lead their incremental development. For this analytical purpose, this study carries out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y,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literature study.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a plays a role of industrial base for Seoul Metropolitan Area, a base that can be marked by both the preponderance of manufacture industries and the weak competitivenes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hes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areas are primarily caused by the insufficiency of the regions infrastructure. In additiort Incheon area undergoes shortage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national or loc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ions, compared to the relatively well-established industrial infrastructures in that region. The shortage of advanced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results in the shortage of industrial manpower due to the quantitatively ingueicient supplr of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feilure to foster the advanced research manpower such as doctoral or masters degree holder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irtdustries and local universities in Incheon region,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measures on the basis of analis result that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and the role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1) To keep pace with the pogression toward knowledge-based economy, city government is required to set its fundamental industrial policy direction forusing on industries such as IT equipment, meckatronics, biology, new materials, environment and logistics and to foster these industries strategically: (2) In pareicular, the establishment of Songdo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al Complex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as Free Economic Zone is expected to create a vast demands on advanred manpower. Thus, local universities should to equipped with the sufficient capabilities to supply advanced manpower that the state-of-the-are industries induding IT and BT requires and should mate every effort to foster the customized manpower in accordance to the demands of regional industries; and (3) Incheon city government should formulate and implement the strategic plans for fostering the state-of-the-art industries required in shifting regional economy to knowledge-based one.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city budget for support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region should be no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These efforts is expected to lead the changes i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from manufacture-centered 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information industries within the free Economic Zon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cheon region as a hub of state-of-the-art industries.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김정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의 수준을 밝히고,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이 직무만족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만족 상황 및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3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인천시내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251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유효한 응답지를 받았으며, 설문지 분석에 사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SPSS/Win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변량분석(ANOVA), 신뢰도검증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직무 만족에서 명백하게 만족 또는 불만족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다. 대체로 불만족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을 따름이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인 직무 수행에서 스트레스를 크게 느끼지는 않으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직무 만족의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점은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활동에서는 일을 완료해야한다는 압박감, 동료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승진을 위한 경쟁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불만을 느끼며, 근무여건에서는 일과시간 외에도 직무와 관계된 문제들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에 원인이 있다고 본다. 셋째, 소진 경험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미미한 정도로 소진 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진경험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의 수준이 현저하게 낮았다. 특이한 사항은 학교규모, 교육경력, 최종학력에서 교사들의 소진경험이 차이가 있는데, 학급수가 많은 학교 교사들과 대학원 재학의 교사들이 비인간화되는 경험을, 학급수가 적은 학교 교사들과 대학원 재학의 교사들이 많은 직무로 신체적 탈진감을 경험한다. 또, 저 경력 교사들과 4년제 (교육)대학 졸업 교사가 성취감의 결핍을 느낀다. 이상의 세 가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은 직무 만족, 스트레스, 소진 경험의 수준에 있어서 극단적인 만족과 불만족의 양상이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교육적 역할이나 직무의 중요성에 비추어 여러 가지 정책적, 교육적 개선책의 여지가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는 주어진 직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을 막아, 교사들의 자율적 학교·학급 경영과 지도에 힘쓰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교사로서의 직무와 학생으로서의 학업을 함께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대학원생 교사들에게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겠다.4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hen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tudy model was made through the review of the preceding related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and mailed to primary school teachers in Incheon, Korea. We analyzed the results about 3 main items [1)general job satisfaction, 2)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3)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were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was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3 to 4( a little dissatisfied to a little satisfied ). There was no difference female or male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 2. 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male teacher experienced more stressed than the female teacher. But the degree of stress in terms of school size, educational experience, last profil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stress-high medium low-revealed that the more stressed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 teachers were with their work. 3. 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of large school size( more than 40 classes ), they had a tendency to more burned-out than the other group. In terms of educational experience, low experienced teacher( less than 10 years ) showed mo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ned-out. Elsewhere, according to last profile, more learned teacher had more stress and burno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burn out-high, medium, low-revealed that the more burnout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 teachers were with their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not definitely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ir work.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more stress. Third, school size, educational experience, last profile affected 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Fourth, the more stressed and burnout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work. This study suggests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obscure and slightly negative thought for their job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and social role. This research shows political, educational supports are required for the teachers. Futur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competence and the degree of teacher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needed.

      •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천의 관광공연상품 개발

        이관형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 나라나 기업의 국제경쟁력에 대한 패러다임 자체가 이미 변했다. 문화산업이 국가의 기간산업이라고 일컬어지는 21세기는 국가나 기업 심지어는 개인의 경쟁력까지도 정보·기술의 탁월함보다는 소유한 감성과 문화가 세계에 끼치는 영향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문화기반 경제체제로 전이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창의성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문화산업은 미래주도적인 산업으로 각광받으며 급성장하고 있다. 하나의 이야기(storytelling)가 소설로 인기를 끌면 이 이야기는 연극영화뮤지컬 드라마 애니메이션 개임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트로 연이어 재탄생된다. 그다음 이들 콘텐트가 3D 및 4D 영상, 전자책(e-book), 디지털 음원(MP3), 게임 등을 위한 하드웨어 기기에 탑재되면서 다시 한 번 진화한다. 또 관광·예술·교육·패션·스포츠 등 생활문화와 연결되어져 문화적 고부가가치를 만들어낸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상품이 생겨나고 있으며 독자적인 상업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발전의 성장 동력의 견인차로도 활용되어져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의 소득수준 향상, 여가시간의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증대되면서 특히 국내/외 관광이 급증하고 있다. 그 중 공연예술은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무대로 일어나고 있는 한류(韓流)열풍을 이끌어가고 있는 문화예술의 핵심 분야로, ‘명성왕후’나 ‘난타’ ‘B-Boy' '점프’등 국제경쟁력을 갖춘 우리의 공연상품은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어 세계를 감동시키고 있다. 이런 국내/외 한류(韓流)열풍의 활성화 분위기를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 공연상품을 개발해야만 하는 당위성을 언급하고 그 창안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했다. 해를 거듭할수록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인천 국제공항과 항만을 통해 인천을 찾고 있지만 제대로 된 투어 프로그램의 부족과 특히 인천을 대표하는 관광공연상품이 전무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으로 관광객을 뺏기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타 국/내외 도시의 성공적인 관광공연사례를 분석·정리하고, 인천을 대표하는 상설 관광공연상품의 개발방향을 모색하여 그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 仁川地域 觀光資源의 活性化 方案 硏究

        이우순 仁川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인천시 관광자원의 활성화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관광자원에 대하여 새롭게 발굴하여 활성화하기 보다는, 현재 인천에 산재되어 있는 관광자원을 좀더 활성화시켜 전국규모의 관광자원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인천의 경제력을 고양하고, 국제공항을 보유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마당에 이제는 국내보다는 외국인이 찾는 관광지로 부각을 시키고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을 고양하기 위함이다. 인천은 자연관광자원과 인문관광자원 및 인공문화자원이 두루 갖추어진 국내에서 몇 안되는 곳이다.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섬이있고 선사시대부터 고대, 근대, 현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광산업부분에서는 여타 지역보다 낙후되어 있어 관광자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국규모의 축제나 이벤트를 육성하여 지역축제가 아닌 전국 규모의 축제를 발굴하여야 한다. 둘째, 인천은 관광관련기업을 육성하여 지리적으로 환경적으로 매우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객을 유치하여야 한다. 첫째, 관광객이 다양한 관광자원을 경험할 수 있도록 관광자원의 소개, 접근방법, 이용체계, 숙박조건 등에 대한 안내를 할 수 있도록 관광안내소에 다양한 다국어를 구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넷째, 인천의 역사성, 문화성, 지역성을 부각 시킬수 있는 다양한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이를 홍보하는 전략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천의 교통은 항상 불편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므로 관광지까지 가는 교통편을 다양화 하여 관광객이 현장까지 불편 없이 도착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관광을 즐길수 있도록 교통정보시스템의 확충과 정비가 필요하다. To recognize what is the way of activating tourism,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aise Incheon's economic power by improving scattered tourist attractions in Incheon to the nationwide attractions not by activating the unknown tourist attractions, to make Incheon tourist place that many more foreigners visit than Koreans and furthermore to raise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choen is the rare place where both tourist attractions of the civilization and artificial are. We want to propose the ways of activating tourist attractions, because Incheon has fallen behind other local areas in spite of it having sea and islands only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various tourist attractions that i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modern times and the present times. First, Incheon should cultivate the nationwide festival or event not local. Second, in order to attract the tourists, Incheon should use the various tourist attractions in geography and environment by raising the tour business companies. Third, in order to make the tourissts experience various tourist attractions, Incheon have to use the system that able to speak various languages for the use the system that able to attractions, transportation, utilization, introduction of the tourist lodging and so on. Fourth, Incheon should do marketing to attract the tourists by developing various tour products that are able to outstand the history, culture and regional property and developing the plan to advertise these. Fifth, people always think that the transportation of Incheon is inconvenient, so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the transportation to the sightseeing resort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hat the tourist can enjoy the sightseeing conveniently and happily. Sixth, every citizen should serve the tourist kindly in the recognition that the tourist industry is the future of Incheon and every citizen is the tour gide and advertiser in order that the tourists who visit Incheon are going to visit Incheon again. If the things are improved as mentioned above, Incheon will be a gate way of our country and the hub of the northest Asia. Many foreign investors are going to invest in Incheon economic freedom district and so it will make the economy of Incheon better and furthermore serve to the national economy highly and it will have a very good effect on the uneasy employment in these hard economic circumstances.

      • 한국 최초의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김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 경험을 한 집단(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비교집단)의 유아의 창의성은 차이가 있는가? 가-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창성은 차이가 있는가? 가-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독창성은 차이가 있는가? 가-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개방성은 차이가 있는가? 가-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민감성은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5세 22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A유치원 만 4-5세 22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검사도구는 전경원의 유아 도형창의성 검사(K-FCTYC)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기간은 2010년 6월 1주 ~ 10월 4주까지 5개월간 정해진 매일 이루어지는 자유놀이로 실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 statistics 19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도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유치원에서 자유놀이를 한 유아들의 유창성을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는 유창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숲유치원에서 자유놀이를 한 유아들의 독창성을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는 독창성에 영향을 주어 평균점수가 향상되었지만 그 값이 미미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였다. 셋째, 숲유치원에서 자유놀이를 한 유아들의 개방성을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는 개방성에 영향을 주어 평균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지만 비교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향상된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였다. 넷째, 숲유치원에서 자유놀이를 한 유아들의 민감성을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는 민감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특히 민감성의 경우 비교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큰 차이를 보이며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숲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Impact on the child's creativity of Free play in the Korea's first Forest kindergarten - Case of Incheon University Forest Kindergarten- Kim ye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Incheon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mpact on the child's creativity of Free play in the Korea's first Forest kindergart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Is there any difference of infant's creativity items between the group(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the experience free play in the woods and the other group(comparison group) which didn't perform these activities? 1-1. Is there any difference of infant's fluency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1-2. Is there any difference of infant's originality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1-3. Is there any difference of infant's openness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1-4. Is there any difference of infant's sensibility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ncheon University Forest Kindergartner 4-5 year old infants attending in the experimental target groups, and regular kindergartner 4-5 year old infants attending in the a controlled groups, each with 22 persons infants, respectively.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progressed from pre-tes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and data processing in order. Infants and shape of test tool jeongyeongwon creativity test (K-FCTYC) were used Experimental period of one week to 10 June 2010 4 weeks to 5 months of free play every day has been conducting.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as processed through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9.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ests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fluency of a child free play in kindergarten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est appears to be enhanced fl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free play of a forest, a result of examining creativity and free play in kindergarten have an effect on the average score of originality, but its value is insignificant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free play of a result of examining the openness and free play in kindergarten forest openness affected the average score given by the comparison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compared with enhanced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Fourth, the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free play of a forest, a result of examining the sensitivity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appears to be an enhanced sensi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ularly sensitive when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cellent. As a result, the forest is the free play of children in kindergarten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s Proficient.

      •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강효 仁川大學校 國際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동북아지역이 세계의 3대 교역권으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한국은 대륙 국가와 해양국가를 잇는 다리로서의 지정학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동북아의 중심 국가가 되어야 한다. 특히, 중국의 발전속도를 감안할 때 한국이 5∼10년내에 동북아비즈니스의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한국은 중국과 일본사이에서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2002년 12월30일에 경제자유구역법이 제정되었고, 2002년 7월29일에 "동북아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이라는 정부의 개발시안이 발표되었다. 정부의 시안에 의하면 인천경제자유구역은 김포국제공항과 그 배후도시를 개발하고, 송도신도시를 개발하며, 김포매립지를 개발하는 3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추진목표는 ① 동북아의 물류중심화, ② 비즈니스거점지역의 개발, ③ IT·디지털 미디아 인프라의 구축, ④ 외국기업에 대한 투자유인, ⑤ 외국인의 생활환경조성으로 압축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관할관청인 인천광역시는 이러한 추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① 인천공항·배후지역의 개발사업, ② 송도신도시의 개발사업, ③ 김포매립지의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사업계획상의 중복이나 사업실행상의 재원조달방안, 그리고 사업운영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예컨대, (1) 사업계획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① 기능의 배분과 유기적 연계, ② 우선순위를 고려한 선택과 집중, ③ 교통인프라의 구축이라는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2) 사업실행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① 재원조달방 법의 구체화, ② 조정 및 역할의 분담, ③ 인천광역시외 주도적 참여라는 해결방법을 제시하며, (3) 사업운영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① 소프트웨어 인프라의 구축, ② 정치적인 접근의 배제, ③ 경제자유구역 내외의 조화라는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Ⅰ. Introduction It is time for Korea in the 21st century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search for new direction to meet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regionalism,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hift to a knowledge-based economy. In particular, the rapidly growing Chinese economy could be both a threat and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economy. In a sence, Korean government already designated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as business Hub in northeast asia. Under the plan of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Airport Town, Songdo New Town, and Gimpo Reclaimed Tow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should be focused an strong attractions considering the national development support strategy of the 21st century. This paper tried to shed some arising issues recently for bulding Incheon Free Economic Zone as a main International usiness Hub focusing on sea-air transport. Ⅱ.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Airport Tow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located at a crossroads between flights with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connects flights to North America and Europe. Since it is on the great circle route, it allows for the shortest non-stop air routes to both American and European cities. By utilizing strategic location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orean Airlines and Asiana Airlines built a worldwide network and they are absorbing some overflowing air cargo from China. Under the plan of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Young- jong, Yongyu and Mui area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whic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located, will be transformed into an international logistics center and a massive tourist resort. e main functions of Youngjong, Yongyu and Mui areas is international finance, tourism and other back up functions such as housing, education and others. Ⅲ. The development plan of Songdo New Town In Information Age, the competitiveness of city depends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that is the enable for effective information stream among firm, citizens, government. Under the plan of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Songdo New Tow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ill be groomed as a center for international business and IT Industries. And the Songdo New Town is being developed as the base of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that advances into the largest market of the 21st century in the northeast asia. It is fully equipped to be the central town of northeast asian trade, business and transportation network and knowledge-based industry. Infotechnology, biotechnology,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and ecotechnology will be emphasized as basic industries of the Songdo New Town. And the main function of the songdo new town should be a new business hub of northeast asia (Korea, Japan, China, Russia). Ⅳ. The development plan of gimpo reclaimed town Gimpo Reclaimed Land is a seashore with an area of 4.87million pyung near Wonchangdong, Gyungseodong, Yeonheedong, Soegu, Incheon Metropolitan City. Under the plan of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the Gimpo Reclaimed Tow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ill be developed into a dynamic center for leisure and international finance. In order to foster the international financial function, we should decide the type of financial center in advance. Ⅴ. Conclusion In order to prepare against threat of the rapidly growing Chinese economy, Korean strategy for becoming a regional business hub in Northeast Asia stems from the idea that Korea should take advantage of its geographic location. However, this new strategy requires a paradigm shift from a rather passive and reluctant liberalization policy to an active open-door policy. Incheon Free Economic Zone should be developed into an international business center of northeast asia. In a sens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already in successful operation, and the Songdo New Town is successfully developing such as an international trade, business and tourist resort. The Korean government is moving aggressively forward to become Northeast Asian Business Hub, as its key strategy for continued prosperity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introduce the system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s and various innovative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