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체육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현직 체육교사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조영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개정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후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으로 체육교육전공을 입학했으며, 수업 계획 및 실천 능력을 가장 중요한 교사 전문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수업 측면에서 임용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가장 인상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 적응 측면으로 실연 수업과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더불어 실제 현장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실무교육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으로는 효과적인 임용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터디 구성을 강조했으며 스터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적·환경적·도구적 지원을 강조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개정방안 모색의 필요가 있다. 둘째, 임용시험에 초점을 맞춘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실연 및 실기지도 능력 함양을 위한 강의가 추가되는 형태의 교육과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변화하는 교육대학원 학위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화석의 몰드와 캐스트에 대한 개념 분석과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영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화석의 몰드와 캐스트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여러 고생물학 전공 서적을 통해 알아 본 결과 몰드는 ‘생물의 유해나 흔적이 퇴적층에 남긴 자국 또는 빈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고, 캐스트는 ‘몰드에 이차적으로 암석이나 광물이 채워진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몰드와 캐스트 개념은 고생물 전공 서적에 따라 조금씩 달랐으며, 그 개념은 학습자가 오개념을 갖게 할 가능성이 있다. 과학 교사들의 오개념 출처와 연관된 지구과학 Ⅱ 교과서에서 몰드 개념의 정의가 너무 길고, 캐스트 개념의 설명에 애매한 표현이 있었다. 화석의 몰드와 캐스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몰드와 캐스트 개념과 그 의미를 설명하는 그림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 투입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50%가 몰드에 대한 오개념을 갖고 있는 반면, 오개념을 소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는 없었다. 이는 화석이 그 중요성에 비해 중학교 교과 과정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지구과학 전공 교사일지라도 타 과학 전공 교사에 비해 몰드와 캐스트 인식이 좋은 것은 아니었다. 특히 많은 과학 교사들이 조개 화석에서 발견되는 내형몰드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으며, 몰드는 음각이고, 캐스트는 양각이며 캐스트만이 화석이라는 오개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지구과학Ⅱ 교과서에 몰드 개념과 캐스트 개념이 좀 더 명확할 필요가 있으며, 그림 역시 학생들에게 익숙한 조개 화석을 예시로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예비교사 지구과학 수업에서는 지질답사를 통한 화석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몰드와 캐스트의 개념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화석에 대해 학생들을 지도할 때도 화석화 작용의 결과로 생긴 몰드와 캐스트보다는 화석화 과정에 중점을 두어 외형몰드, 내형몰드, 캐스트 등 다양하게 생기는 화석의 여러 형태를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0001)면 GaN 기판에 성장된 InGaN Green 양자우물구조의 광학이득 특성에 대한 연구

        조영선 한국공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II-Nitrides 재료를 사용한 반도체는 자외선부터 근적외선까지 넓은 범위에 파장을 담당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 현재 조명, 디스플레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녹색영역에서 광효율이 낮아지는 소위 Green gap 이라고 불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녹색영역 파장을 방출하기 위한 InGaN 기반 반도체는 In의 조성을 늘려 밴드갭을 설계한다. 이때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 두가지 주요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로 In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조성적 요동이 발생하는 Potential fluctuation과 둘째로 GaN 결정의 자발분극 특성과 InGaN/GaN과의 격자상수 차이로 인한 압전분극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Internal electric field이 광효율을 낮추는 주요 문제점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특히 Laser의 발진에 있어서 임계 전류를 높이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문제점 중 In의 뭉침현상을 크게 억제시키고 (0001)면 독립형 GaN 기판에서 성장된 InGaN 기반 Green 양자우물구조의 시료를 광학적으로 조성적 불균일성이 개선되었는지 확인하고 매질 이득을 측정하는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형광이미지 및 PL을 측정하였고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 PL, TDPL, VSLM 실험을 위한 광학계를 구성하였다. 결과, 형광 이미지 상에서 관찰되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발광은 Micro PL 이미지와의 비교하였을 때 발광 강도와는 상관관계가 적었으며 피크 파장, 반치폭 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통해 In 조성의 뭉침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G-LED와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매우 커 상대적으로 조성의 불균질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TDPL 실험을 통해 내부양자요율이 12.1%로 측정되었으며 Varshni 방정식을 이용하여 국소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타 소자와 비교 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In 뭉침현상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VSLM 실험을 통해 스트라이프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도 발진에 필요한 여기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여기 영역이 늘어나게 되면 Joule heating 효과로 인해 파장의 Redshift가 발생하며 이득의 포화현상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향후 캐비티 형성 시 고려되야할 사항으로 보인다. Semiconductors using III-Nitrid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andle a wide range of wavelengths from ultraviolet to near-infrared, and are current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ghting, display, and communication. However, it has a problem called "Green gap" in which light efficiency is lowered in the green region. InGaN-based semiconductors for emitting green wavelengths are designed with a band gap by increasing the composition of In. At this time, it has two main problems due to material characteristics. First, potential fluctuation due to compositional fluctuations of In, and second, internal electric field in which the spontaneous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GaN crystal and piezoelectric polariz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lattice constant with InGaN/GaN ac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se are known to be a major problem in lowering light efficiency. These problems increase the critical current especially in laser oscillation. In this study, the optical properties of an InGaN green quantum well structures grown in the (0001) GaN substrate with greatly suppressed compositional heterogeneity of In are analyzed. Fluorescenece image and PL were measured, and optical systems for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 PL, TDPL, and VSLM experiments were constructed. As a result, the stripe-type light emission observed on the fluorescence image had little correlation with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when compared to the Micro PL ima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the peak wavelength and full width at half maximum. This means that heterogeneity in composition of In has occurred. However,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LED, the difference was very large, and it was found that the heterogeneity of the composition was relatively improved. Through the TDPL experiment, the IQE was measured to be 12.1%, and the degree of carrier localization was measured using the Varshni equ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eterogeneity was reduced by having a relatively low value when compared to other devices. Through VSLM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citation density required for induced oscillation decreases as the stripe length increas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excitation region is increased, the wavelength redshift occurs due to the Joule heating effect, which also affects the gain saturation. This seems to be a matter to be considered when forming a cavity in the future.

      • 변화 및 개인차 검증을 위한 종단자료설계와 분석방법의 적용 : 패널자료를 활용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화에 대한 이해

        조영선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종단연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먼저 종단자료, 종단연구의 개관, 활용 가능한 종단자료 설계 및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종단적 변화와 개인차에 대해 정확하게 검증하고, 다양한 수준의 변수들을 복합적으로 탐색하였다. 세 가지 연구 모두 동일하게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별로 각 연구문제와 변수에 적합한 종단자료 설계 및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폭력의 집단유형과 그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집단 유형과 그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을 잠재계층모형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의 종단적 변화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코호트연계설계와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세 가지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화와 개인차를 검증하기 위한 종단자료 설계 및 분석방법에 대한 다양성과 활용가능성에 주목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종단연구를 통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화 및 개인차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청소년의 정신건강․발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다양한 자료설계 및 분석방법을 연구문제와 주어진 변수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함을 소개하였다. 청소년에 대한 종단자료수집과 종단연구가 활성화되고, 청소년 조사․연구를 통합 관리하는 체계 구축 및 활용을 통해 근거기반의 체계적인 청소년 정책이 수립․시행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대학생을 위한 영양학 교양 과목의 웹 기반 컨텐츠 개발 및 교육효과 연구

        조영선 忠南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a recent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made a strong influence over many industries, needs for a web-based content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educational fields. In this regard, scholars and professionals in nutritional field also felt a great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t of web-based multimedia lecture contents on "Diet & Meal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Also to meet the demand of students for advanced web-based lectures in nutritional education, some education engineering theories such as situatied learning was applied to judg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contents. This experiment was made with 51 students registered for a cyber campus of "Diet & Meal management" during the 2^(nd) semester, 2003 at Chungnam University, by using questionnaires. Study 1. Contents Development Using Web-based "Diet & Meal Management" Contents and Situated Learning 1. Feature of the web-based "Diet & Meal Management" presented study objectives having a 'Learning Helper' on the first screen of each weekly lecture and tried to get main learning points using things like various tables, statistics, pictures and cartoons. 2. The contents were inten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on the web-based lectures which were used by both voice lectures (Week 1, 3, 4, 9, 10, 11, 12) and VOD (Week 6, 7, 10, 12, 14). 3. The web-based contents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made Teaching-learning progress plan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which is one of the education engineering theories. It consists of the passages which include the contents based on the above things and includes the followings for 4 week lectures. The importance of food life, the kinds and functions of the nutrients, Assessment of meal life, drinking, smoking, obesity, diet, constipation, muscle build-up, arteriosclerosis, anemia, osteoporosis, vitamin C, meal table evaluation, etc. Study 2.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Performance of Web-based Situated Learning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scores, food attitude score and study interest score of the web-based situated learning according to individual and cooperative class type by questionnaires. 1.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and study interest b class types.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scores by class types in the web-based situat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A. The individual class type(77.30) scored .30 higher than the cooperative class type(77.0).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was t=-.113 so that it show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of nutrition knowledge in the web-based situated learning. B. The research results of the food attitude score by class types in the web-based situated learning were that the individual group score(55.31) was t=-.828 higher than the cooperative group's(53.96) in mean for each. C. In the web-based situated learning, the individual group score(67.31) was 1.75 higher than the cooperative group score(65.56) in the result of the study interest differen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t=-.589. 2. Self-regulated learning and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 In the web-based situated learning, with the subject of the students we have researched self-regulated learning and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self-regulated learning, however in food attitud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such as cognitive control to cognitive strategies, motivation control to self-efficacy, behavior control to action control and help-seeking(^(*)p<.05). Also motivation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and achievement value at ^(**)p<.01. In study interest cognitive and behavior control had some relation at ^(*)p<.05 and cognitive strategies in cognitive control and motivation control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self-efficacy, achievement value(^(**)p<.01). B.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nutrition education effectiveness in the cooperative group nutrition knowledge has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regulated learning, but food attitude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motivation control at ^(*)p<.05 and with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and achievement value in motivation control at ^(**)p<.01. In addition, study interest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motivation control at ^(*)p<.05. C. The research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individual group had the results that nutrition knowledge has no relation with self-regulated learning, but food attitude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motivation control in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achievement value, action control at ^(*)p<.05 and in study interest it had a relation with help-seeking in behavior control at ^(*)p<.05. It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cognitive strategies of cognitive control,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of motivation control, self- efficacy. and achievement value at ^(**)p<.01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necessity of the class which considered class type was low, but as food attitude and study interest in each group had a significant rel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have plans for classes which consider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when instructor plans web-based lectures. 3. Change of Food Behavior A. In before research 12(54.5%) out of 22 students who had undesirable meal purpose such as 'relief of empty stomach feeling', 'habitual behavior', etc, changed to the right way of food behavior in after research. B. Regarding breakfast, in 8 students who had breakfast everyday in before research, 2 student(25%) answered '2 or 3 times' and 1 student(12.5%) '4 or 5 times'. It shows that they do not regularly have breakfast so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nutrition education to let them know the importance of having breakfast regularly. C. Concerning smoking, in before research the students who said 'do not smoke' all turned out the same way in after research. 7 students who said 'smoke' in before research had no change even in after research. It shows that short term campaign can not influence on their smoking at all. Therefore, we need to have a continuous educational campaign against smoking. D.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are 'thin' in before test made different answers in after research. Among the students who said 'normal' in before in after research, some said 'thin' or 'a little fat' in after research. As they showed negative change of their body shapes,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make them have right understandings on fatness and weight control.

      • Effect of White Matter Anisotropy and a Conductive Shield Plate o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Using a Gyri-specific Realistic Finite Element Head Model

        조영선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두개 자기 자극술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은 머리의 외부에 위치한 코일에 전류를 주입시켜 발생된 자기장을 머리에 투과시켜, 이 후 유도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뇌의 특정부위를 자극하는 비침습적이고 비경련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은 최근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으며 간질의 진단과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전류를 발생시키거나 머리 내부의 잘못된 부위에 자극을 주면 발작과 같은 위험성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TMS 자극 시 머리 내부에 유도되는 전기장의 분포와 세기를 유한 요소 해석 (FEM: 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하여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이다. 하지만 TMS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 머리 모델 생성 및 코일 위치, 크기, 모양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하지만 현재 상용화 된 시뮬레이션 툴의 부재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TMS 시뮬레이션 시, 사용자에게 간편한 조작을 통해 등방성(isotropy) 및 비등방성(anisotropy)을 고려한 머리모델 생성이 가능하고 다양한 코일 변수들을 쉽게 조정 가능한 툴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등방성 머리모델과 비등방성 성질을 적용시킨 머리 모델 생성 후 비교를 통하여 유도전기장의 분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뇌의 백질(White matter) 지역에는 신경섬유들이 다양한 전도도 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등방성 머리 모델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등방성 머리모델과 비등방성 머리모델의 비교를 통하여 백질 지역의 비등방성 성질이 유도전기장의 분포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앞으로 백질 지역의 비등방성 성질을 시뮬레이션 진행시 꼭 고려해야 할 요소중에 하나라는 것을 말한다. 또한 기존의 8자코일과 8자코일에 차폐판(conductive shield plate)을 부착시킨 2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TMS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 차폐판을 부착 시킨 모델에서 유도전기장의 집중도가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TMS의 문제점으로 생각 되었던 불필요한 지역까지 자극되는 단점을 상당히 줄 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is a non-invasive technique for brain stimulation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sm to induce current density in the brain via coils placed above the head. It has been used as a useful treatment of brain dysfunctions such as depression and epilepsy. Although TMS is known to be painless and noninvasive, it can also be harmful to the brain by incorrect focusing and excessive stimulation which might result in seizure. Therefore there is ongoing research effort to elucidate and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and mechanism of TMS. Lately Finite element method (FEM) has been used to simulate the electromagnetic phenomenon of TMS. However, there is a lack of general tools to generate the models of TMS due to some difficulties in realistic modeling of the human head and TMS coils. Thus firstly we have developed a toolbox through which one can generate high-resolution FE TMS models. The toolbox allows creating gyri-specific head model considering isotropic and anisotropic electrical conductivities in five different tissues of the head and the coils in 3D. The generated TMS model is importable to FE software packages such as ANSYS for further and efficient electromagnetic analysis. Using our toolbox, we demonstrate the anisotropy can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duced current density, especially when the induced current density aligns same orientation of the fiber and conductive shield plate with Figure-of-Eight (FOE) coil increases the focality even though magnitude of current density is reduced. These studies will help to understand of the TMS effect on the head and estimate the stimulate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