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 실태조사 및 분석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문현국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91

        <국문초록> 중학교에서의 특기적성 교육은 1996년 이후에 ‘방과 후 교육활동’이란 명칭으로 처음 도입되었다. 방과 후 교육활동은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가리키는 개념이었던 데 비하여 ‘특기적성 교육’은 교육의 내용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특기적성 교육은 기존의 교과교육 위주의 방과 후 교육활동과는 달리 학생들의 특기와 적성을 계발하는 교육활동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이 가중되고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방과 후 학생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었기 때문에 학교의 인적, 물적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학생들에게 특기와 적성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오의숙, 2005). 본 논문은 2006년 K광역시 C중학교, I중학교, H중학교 2학년 남학생 50명, 여학생 50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받은 설문지와 광주․전남지역에서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받은 설문지를 통하여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와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와 선행연구자들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몇 가지 개선방안 및 발전적 대안을 마련해 보았다. 1.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 및 효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특기적성 수업이 일반 학교수업과 비교해 강제성이 많이 결여된 수업인 관계로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 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학생들의 의욕결여와 잦은 결석, 수업분위기가 쉽게 나빠지는 등의 부정적인 면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 학습이 일본에 대한 이해와 일본 문화를 습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또한 고등학교 진학 후 제2외국어 선택 시 내신 성적 향상에 많은 도움을 얻는 장점도 가지고 있으며,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 후 일본에 대한 이미지도 많이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어 교사의 부족으로 대부분의 수업이 한 학기 수업으로 끝나고 수업이 연계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반 편성이 시급했다. 마지막으로 특기적성 수업에 참여 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교재와 교구 개발과 일본문화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이 요구되며, 항상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주의 깊게 살피고, 보다 흥미로운 일본어 특기적성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는 자세가 요구되었다. 2. 설문지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발전적 대안으로는 먼저, 연계성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반 편성과 주변학교와의 연계 등이 요구되고,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할 수 있도록 부족하거나 노후된 ICT장비의 개선과 보급이 필요했다. 또한 그림이나 만화가 많이 들어가 있고 회화수업에 많은 도움이 되며 한 학기 분량으로 적당한 교재의 개발이 시급하고, 다양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갖고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학생들이 수업에 빠지지 않도록 수업 전 학교나 담임교사의 교육이 요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방과 후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이 남녀 모두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설문 및 선행연구자들의 선행연구 등을 통해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가면서 앞으로도 학생들이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보다 다양한 수업방법을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日文抄錄> 日本語特技適性敎育とは正規敎科時間と區別され、强制的ではない授業方法を通して生徒たちが日本語と日本文化に適応できる力を身につけ、好奇心を持つように敎育するところにその目的がある。したがって、日常的な會話と日本文化を素材とした學習內容と、生徒たちが日本語に興味を持ち、自ら授業に參加できるような多樣な學習方法が要求される。 本硏究は、日本語特技適性敎育に參加する生徒及び光州․全南地域において日本語特技適性敎育に參加している敎師たちに實施した設問を通して次のような結論を見出した。 第一、連繫性のある日本語特技適性敎育になるよう生徒たちのレベルとニーズに合うクラスの編成が必要であり、生徒たちが日本語に興味を持って授業に參加できるようにICT裝備の普及と改選が必要である。 第二、授業敎材において生徒たちの興味を高めるために繪と漫畵が多く取り入れながらも會話授業に役立つ授業敎材の開發が必要である。 第三、日本語特技適性敎育は生徒たちの日本語學習意慾と興味に肯定的な影響を与えるが、授業雰囲氣が惡くならないように欠席などの指導が必要である。 上記のような結論も大事であるが、何よりも大事なことは、生徒それぞれの素質と能力を生し、日本語特技適性敎育に興味を持つように、敎師は生徒中心の敎育、すなわち生徒の要求と能力に合わせた適切な敎材の開發と授業方法の多樣化が必要になっていくだろう。

      • 韓國 高等學生의 日本語 學習에 관한 意識調査 硏究

        정성칠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이 일본어 학습을 하면서 어떠한 의식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학습자의 문제점들을 분석,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을 제시하여 일본어교육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일본어 학습을 하고 있는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이다. 고등학생의 일본어 학습에 관한 의식조사는, 일본 및 일본어에 관한 관심도에 관한 문항 15문항과 일본어 학습에 대한 의식에 관한 문항 17문항, 일본어 학습의 성취도에 관한 문항 46문항 등 모두 7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중, 보다 객관성 있는 조사를 위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그리고 특수목적 고등학교 등, 목적별로 분류된 고등학교의 특성이 고려되어 유의 추출하였다. 대상 인원은 일본어 교과 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각 학교 중, 지역별, 학교별, 전공별, 성별 등을 고려하여 각 학교 2개 학급에서 선정된 83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의 결과 일본 및 일본어에 관한 관심도에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일본 여행 경험이 없지만, 상호 교류를 희망하며 여행이나 유학 등을 통해 일본의 체험을 희망하고 있었고, 일본 문화개방에 관해서는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다. 일본어 학습에 관해서는, 일본어는 다른 외국어에 비해 대체로 쉽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학습의 목적으로 제일 많은 수치를 나타낸 것이 일본어와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의 4기능 중 많은 응답자가 '말하기'보다는 '읽기'에 능숙하다고 답했으며, 앞으로의 학습과제로서 '말하기'를 위주로 하는 학습을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류과제 수행에 있어서는 교육부의 제6·7차 교육 과정과 관련하여 記述하였다. 일본어 학습의 성취도에 관한 항목에서는 학문적인 요소보다는 실용위주의 생활회화에 더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학교수업에 관해서는 시청각 교육 및 회화중심의 교육과, 원어민 교사와 대화를 통한 일본어 학습을 희망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본어 학습의 의식조사 연구를 통해서 향후 일본어교육 향상을 위한 새로운 일본어학습 교재개발과 현행 일본어 교수-학습방법보다 일보 진전된 교수방법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research is to reveal what kind of attitud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ssume when they set out to study Japanese.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teaching methods is to arouse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and as a result, improve the effect of Japanese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oblems the learners have. This research is done by asking the questions, to a lot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earning Japanese. The question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Japanese consist of 78 all together. These include 15 regarding how great interest the students have in Japan and its language, and 46 regarding how much they progressed in Japanese learning.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Kyongnam province and Pusan City. But in pursuit of objectivity, sample schools were chosen impartially among all kinds of high schools such as the ones for vocational training, literary course, science course and a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is one of them. The number of the sample students is 830 chosen from two classes of each school with their location, majority, sex etc.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follow. Firstly, in the field of the interest in Japanese,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proved to be in favor of cultural interchange. They hoped to have experiences in Japan through travelling or studying there, although they had never been in that country. They also showed much interest in the Japanese culture that has been open to them lately. Secondly, regarding Japanese language learning, they believe it is somewhat easier to learn other foreign languages. And what showed the highest numerical value in the aims of Japanese learning is to find a job where the ability of Japanese language is appropriate. Out of four skills such as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many respondents answer they feel more comfortable when they 'read' than they 'speak'. They hope to have classes focused on improving speaking abilities, which I deal with related to the 6th and 7th curriculums of the Board of Education. Thirdly, in the field of the Japanese language learning, it proves that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practical Japanese used in daily life rather than in pedantic elements of Japanese language Lastly, it is considered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school activities because they are not exposed to the audio-visual education and spoken Japanese-centered classes. They wish to study Japanese through frequent free talking with the native Japanese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studying the consciousness of Japanese learners, we discussed developing new texts for Japanese learning and also we attempted to devise some better teaching-learning methods than the current ones in order to maximize the Japanese learning efficiencies. Although we are all, including every teacher and every student on the spot, aware of, or capable of expecting, the fact proven by the present research. We can satisfy ourselves with the fact that al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clearly proven through analj-zing the conscious needs of individual learners.

      • 中ㆍ高校 日本語 學習者의 日本文化敎育에 關한 一考察

        임양섭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775

        1. 硏究の目的 本硏究の目的は第7次敎育課程下の中․高等學校の日本文化敎育における指導內容․素材․方法․學習者の文化觀とニーズなどを把握して日本文化敎育の問題點と改善點を考察し、その結果に立脚して敎育方法論の立場から、また日本語敎育における日本文化敎育の適切な授業活動の反映にその目的をおく。 2. 硏究の方法及び內容 本硏究の方法として中學校「生活日本語」敎科書(1種)と高等學校「日本語Ⅰ」敎科書12種、「日本語Ⅱ」敎科書4種を對象に日本文化紹介內容を分析 し、敎師と生徒たちを對象に日本文化敎育に關するアンケート調査及び現職敎師3人の學習指導案に基づいた日本文化敎育の問題點と課題を論じた。 本硏究の分析內容は下記のようである。 ① 中․高等學校 敎科書の文化關聯內容を分析した。 ② 日本文化敎育に関する生徒、敎師たちの意識を調査した。 ③ 學習指導案による文化敎育の實際授業可能性を把握した。 3. 結論 上記の硏究方法と內容で下記のようなことが分かった。 1. 敎科書の日本文化素材にあたって偏重現像があった。. 特に衣食住文化に対しては少なく扱っているものの、社會․大衆文化に対しては偏重しすぎていた。 2. 敎科書の文化關聯寫眞の色合い․大きさ․素材などが多樣でなかった。 特に高等學校の日本語敎科書の場合、關聯寫眞數の不足と寫眞についての說明がない場合も多かった。 3. 敎科內容以外の文化學習擴大のため多樣なインターネットサイトの提示が不充分であった。 授業時間の不足などで文化敎育の內容傳達が充分でない時にインターネットサイトからの自律學習が必要である。 4. 文化敎育における生徒たちの要求に応ずることができる日本語の授業になっていない。 文化授業時間の不足, 專門敎師の不足, 敎師の文化知識傳達能力の不足などを挙げられる。 5. 敎師の文化知識習得努力と敎師硏修の參加意志が不足であった。 敎師間文化敎育情報の共有、文化關聯敎材の再構成、敎師硏修、生徒たちの文化敎育に対する直․間接的な體驗活動機會の附與などの努力が不充分であった。 6. 敎師は日本文化理解敎育のため客觀的で公正な態度を保とうとする努力が必要である。 調査から中․高等學生の38%ぐらいが反日感情を保つことが必要だと思っていた。しかし日本語敎師は日本文化を傳達する際、固定觀念と偏見を捨てて學習者に具體的で中立的な情報と知識を提供するべきである。また、自國の文化を客觀的に理解し、見直す能力を目指すべきであることも勿論必要である。 現行日本語敎育目標にも"日本の文化に對して深い關心を持って、日本人の行動樣式を理解し、日本との國際交流に能動的に參與する態度を持つ"と明示しているので、日本文化に對する關心と姿勢と態度を育てるのに重點をおきながら行動樣式を理解するのに目的をおき、意思疏通能力を伸長させるのに敎師․生徒が共に努力するべきであると思う。 おわりに文化の槪念と領域が包括的で廣範圍して具體的にどんな文化をどのように教えるべきかはとても難しいことである。そこで、敎師一人での努力だけでは解決出来ない課題も多いと思われる。しかし、他の敎師と敎育機關との緊密な協力を通じて體系

      • 일본어 한자교육의 실태와 효과적인 교육방안 고찰 : 2009 개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교과서를 중심으로

        왕민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日本語漢字教育の実態と効果的な教育法案考察 : 2009改正高等学校日本語Ⅰ,Ⅱ教科書を中心に 本論文は、漢字教育への効果的な指導を考察するため、2009改正教育課程の指針のうち、日本語の科目で学べる漢字と実際の高等学校『日本語Ⅰ・Ⅱ』教科書に載っている漢字を分析する。これを基に段階別学習における漢字を提示し、漢字学習に興味を抱かせるため、日本語教育の現場で活用できる教室活動を提案し、高校の日本語カリキュラムでの効果的な漢字教育方法を提示する。 第一章では日本語教科書の漢字と中学校の教育漢字、また、日本の小学校常用漢字と比較・分析してみた。その結果、現在の日本語教科書で扱っている漢字に関しては豊富な表現や単語を学習しにくいことを確認した。 第二章では、『日本語Ⅰ·Ⅱ』の出版社別の教科書の漢字分析を行い、生活に 身近な漢字単語が多く使用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その結果を基にして、授業現場での漢字指導法を第3章で初級前半と初級後半に分けて段階別に提示し、各段階別に「漢字提示方法ー漢字学習の教室活動ー漢字学習の評価方法」に分けて提示した。初級前半段階の漢字提示方法の提案は次のようである。 第一、少量の漢字を頻繁に見せ、字が目慣れるようにし、漢字の学習の直前に訓読と音読みの区別があることを認識させる。 第二、象形漢字を中心に基礎的な漢字をストーリーテリングの形に説明する。 第三、韓国の字体が異なる日本の漢字をビジュアル的に紹介する。 初級前半の段階の学習を終えた後、初級後半では次のように漢字提示方法を提示する。 第一、慣れた漢字を確認しながら、単語を作り暗記させる。 第二、部首の学習をし、同じ部首を持っている漢字別に学習する。 日本語への漢字教育は学習者に興味を持たせることを最優先にすることを配慮して教室活動を展開すべきであり、漢字学習を通して日本語学習者が漢字を身近に感じさせることが大事である。そのため、教師は漢字学習が成績に影響するようなことは避け、学習者が漢字学習に対して違和感を感じないようにすることが重要である。 2018年から本格的に適用される2015改正教育課程では、漢字に関しては2009改正教育課程より少し具体的に提示されているが、いまだ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集中していて漢字教育は日本語教育の中心からそれており、いずれは円の外側に置かれるこたが危惧される。今後、学習者が多様な漢字に接するようにするため、システム化し具体的にすることを考えるべきである。また、教師は学習者の様々な要求に合わせて興味を抱く漢字指導方法を研究すべきだ。本論文での漢字教育方法が授業現場で少しでも役に立つことを期待して、今後とも色々な指導方法や教室活動の研究が続けられることを望んでいる。

      •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활용한 일본어 지도방안 연구

        박종효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第7次教科課程の外国語科目の学習目標は基礎的な外国語駆使能力を培うことにおいて、日常生活の対話を聞き、理解し、簡単な意思表現ができるよう強調している。しかし、教育実習の際、現場で確認したところ、高校の成績と進学試験に第2外国語が制限的のみ反映されている制度的な限界のため、学生は授業に興味がなく、教師も意欲を感じず授業は時間つぶしに進行される根本的な問題があった。こういった制度的な問題を乗り越え、学生が単純に日本語のみを学ぶのではなく、日本語に接することで日本と日本文化に興味を持つように導ける効果的な教授法は何なのかを研究した。 その一つの方法として教育部が教育情報化基盤構築のために小·中高校の情報化3カ年(’97~’99年)計画を推進し、その結果、全国の全ての教室にコンピュータ、大型モニター、プロジェクトTV等、マルチメディア機器が備え付けられていることに着眼し、マルチメディア機器を活用した授業を構想し、その中で「アニメーション主題曲を活用した日本語指導方案」との主題にて研究した。 実際、現場でマルチメディアを活用した日本語授業はどういうふうに行われているのか?先ず、教室でのマルチメディア環境を調べてみたところ、全体的にTV、インターネットが使える教師用コンピュータ、ビームプロジェクト等、マルチメディア機器が学級別に備え付けられていた。その事例を調べてみたところ、教師はマルチメディアとIT機器に慣れている学生らのために教育用CDを通じた日本語授業、日本ドラマ、映画等のコンテンツ上映、ハングルファイル、パワーポイント等のプログラムを使った語彙授業等、多様な方法にてマルチメディア機器を授業に活用していた。しかし、よく備え付けられているマルチメディア環境にもかかわらず、教科書と黒板、カセットテープを使った発音練習等、旧時代的な授業方式を固守する教師も相当数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そのため、日本語授業時間は韓国しか知らない井の中の蛙のように育てられた近頃の学生らに日本という国を知り、外国語やその国の文化をはじめて接する興味深い時間ではなく、退屈で眠い授業時間にな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日本語授業時間に対するこういった学生らの認識を切り替え、学生らを楽しませる興味深い授業として「アニメーション主題曲を活用した日本語授業」はどれほど効果があるだろうか?筆者は実際に授業に適用してみてテストとアンケートを通じ、結果を導出してみた。 学生らによく知られている有名なアニメーション主題曲3曲を選定し、高校3クラスにて教科書を使った既存の授業とアニメーション授業を試行し、語彙テストとアンケートを実施してみた結果、3クラス全て教科書とプリントのみ使った授業よりマルチメディア機器を通じてアニメーション主題曲授業をした場合が学生らの集中度と興味度が著しく向上し、それはテスト結果とアンケートを通じて立証された。 アニメーション主題曲を活用した日本語指導方案、マルチメディアを活用した授業が特に第2外国語授業に大きな効果があることが立証されたにもかかわらず、第2外国語が進学試験、高校の成績に反映されないという制度的な問題と教師の低下した授業意欲により、マルチメディア機器は制限的のみ使われたり、相変わらず教科書のみを使った授業を続け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 教育現場にて学生らの興味誘発と集中度、学習力を高めるマルチメディア機器が積極的に使えるよう、より体系的な研究が先行されるべきで学生らが興味を持ち、より楽しく日本語に近づけるよう、教育用コンテンツと教科書が開発されるべきだと思われる。 제7차 교과과정 외국어 과목의 학습 목표는 기초적인 외국어 구사 능력을 배양하는데 있어, 일상생활의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간단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교생실습때 현장을 확인해 본 바 내신과 수능에 제2외국어가 제한적으로만 반영되는 제도적 한계 때문에 학생은 수업에 관심조차 없고 교사 또한 의욕을 느끼지 못하고 수업은 시간때우기로 진행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제도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학생들이 단순히 일본어만을 배우는 것이 아닌 일본어를 접함으로서 일본과 일본문화에 흥미를 가질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은 무엇일까를 연구하였다. 그 한가지 방법으로 교육부가 교육정보화 기반 구축을 위해 초·중등학교 정보화 3개년(’97∥’99년)계획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전국의 모든 교실에 컴퓨터, 대형 모니터, 프로젝션 TV등 멀티미디어 기기가 잘 갖추어져 있는 것에 착안해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구상하였고 그중에서「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활용한 일본어 지도방안」라는 주제로 연구하였다. 실제 현장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일본어 수업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그 사례를 조사하여 본 바, 전체적으로 TV, 인터넷이 사용가능한 교사용 컴퓨터, 빔 프로젝터 등 멀티미디어 기기가 학급별로 잘 갖추어져 있었다. 교사들은 멀티미디어와 IT기기에 익숙해져 있는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교육용 씨디를 통한 일본어 수업, 일본어 드라마, 영화 등의 컨텐츠 상영, 한글파일, 파워포인트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어휘수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기기를 수업에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잘 갖추어져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와 칠판, 카세트테이프를 사용한 발음연습 등 구시대적 수업방식을 고수하는 교사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로 인해 일본어 수업시간은 대한민국밖에 모르는 우물 안 개구리로 자란 요즘의 학생들에게 일본이라는 타국을 알고 외국어와 그 나라 문화를 처음 접하는 흥미로운 시간이 아닌 지루하고 졸리는 수업시간으로 전락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 수업시간에 대한 이러한 아이들의 인식을 바꾸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재미있고 흥미로운 수업으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활용한 일본어 수업」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필자는 실제로 수업에 적용해본 후 테스트와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도출해 보았다. 아이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유명한 애니메이션 주제가 3곡을 선정한 후 고등학교 3개 반에서 교과서를 이용한 기존 수업과 애니메이션 수업을 시행하여 어휘 테스트와 설문을 실시해본 결과, 3개 반 모두 교과서와 프린트만을 사용한 수업보다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애니메이션 주제곡 수업을 했을 때 학생들의 집중도와 흥미도가 눈에 띄게 향상됨은 물론 그것은 테스트 결과와 설문을 통해 입증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활용한 일본어 지도방안,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특히 제2외국어 수업에 큰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2외국어가 수학능력시험, 내신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제도적 문제와 교사의 저하된 수업 의욕으로 인해 멀티미디어기기는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거나 여전히 교과서만을 사용한 수업을 고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흥미 유발, 집중도와 학습력을 높여주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적극 사용될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더 재미있게 일본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용 컨텐츠와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등 일본어 임용시험 및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임동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本研究は2005年度から2008年度までの「日本語中等教師新規任用候補者選定競争試験」の問題分析を通して、現在日本語教員の採用方法がどのような形で行われているのかを調べ、また、出題問題の分析結果を全国師範大学日本語教育科の教育目標及び教育課程と比較することにより、任用試験と師範大学のカリキュラムとの関連性を調べ、その改善案を提示することを目的にした。 本研究を通じて得た結論を整理す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まず、日本語任用試験問題を分析した結果、2005年度から2008年度まで最近4年間の試験で出題された領域別平均出題の割合は教科教育学が22.5%、教科内容学が 77.5%であった。さらに細かい領域に分けて見ると、教科教育学の内訳は教授法が51.4%、評価論が18.1%、教材研究論が16.7%、教育課程が13.9%であった。また、教科内容学では語学と文学がそれぞれ20.2%、文法が17.3%、読解13.7%、作文8.5%、音声学7.7%、文化6.9%、会話5.6%の順であった。 次に全国六師範大学日本語教育科のカリキュラムを詳しく調査した結果、教科教育学が38%、教科内容学が62%という割合であった。これは、実際の任用試験での出題の割合である教科教育学22.5%、教科内容学77.5%と大きな隔たりがあり、相互間の連携が十分に成り立っていないという事実が分かった。また、全国六師範大学日本語教育科間でのカリキュラムに統一性がなく、大学によって大きな差があるため、均衡の取れた教育課程の開設が必要だということも分かった。 以上の結果を踏まえて、有能な日本語教師を確保するための改善案を提示すると次のようになる。 1.師範大学日本語教育科の教育課程が任用試験との関連性を持つよう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 2.全国の各師範大学日本語教育科において、より統一性のある教育課程を編成、運営しなければならない。 3.任用試験問題に日本語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評価する領域として、口頭․聞き取り領域を取り入れなければならない。 4.教員任用試験のより多様な選抜方法を研究しなければならない。 5.より早い試験要項の公開で受験生たちの時間的、経済的損失を最小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 最後に、本研究の結果が有能な教員の選抜と育成に関する研究に少しでも役立つとともに、今後この方面の研究がより発展することを心より期待する。 본 연구는 2005년도부터 2008년도까지의 일본어 중등교사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문항 분석을 통하여 현행 일본어교원 임용방법이 어떠한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출제문항 분석을 통해 전국 사범대학 일어교육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임용시험과 사범대학 교육과정 편성간의 연계성 및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어 임용시험 문항을 분석한 결과, 2005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최근 4년간의 시험에서 나타난 영역별 평균 출제비율은 교과 교육학이 22.5%, 교과 내용학이 77.5%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세부영역 분포를 살펴보면 교과 교육학 영역에서는 교수론 51.4%, 평가론 18.1%, 교재 연구론 16.7%, 교육과정 13.9%의 순이었고, 교과 내용학 영역에서는 어학과 문학이 각각 20.2%, 문법17.3%, 강독 13.7%, 작문 8.5%, 음성학 7.7%, 문화 6.9%, 회화 5.6%의 순이었다. 다음으로 전국 6개 사범대학 일어교육과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을 살펴본 결과, 교과 교육학이 38%, 교과 내용학이 62%의 비율을 보이고 있어 실제 임용시험에서의 출제 비율인 교과 교육학 22.5%, 교과 내용학 77.5%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상호간의 제대로 된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전국 6개 사범대학 일어교육과의 교육과정이 일관성 없이 서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균형 잡힌 교육과정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유능한 일본어 교사를 확보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 일어교육과의 교육과정 편성이 임용시험과의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사범대학 일어교육과는 어느 정도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해야 한다. 셋째, 임용시험 문항에 일본어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말하기 영역과 듣기 영역을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교원 임용시험의 보다 다양한 선발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다섯째, 보다 빠른 임용 공고로 수험생들의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유능한 교원의 선발과 양성에 관한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이 방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서의 문화항목 활용에 대한 제언 : 2009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금정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高等?校の日本語?育における文化項目の活用に?する提言: 2009改正?科書を中心に 外?語の?習は外?語の言語的な機能だけではなく、目標言語が使われている?の生き方、考え方まで習うことを意味する。それで、目標言語が使われている?の文化を習得しないまま、言語的機能の向上だけに力を入れるなら、目標言語を使っている人と心を交わるコミュニケ?ションを習う機?を失ってしまうので、外?語の?習では、文化と言語の統合?習が必要だ。 また、現在の韓?では、政府で日本の大衆文化の開放が始まった1998年以?、段階的に日本の文化が韓?に流入され、現在の韓?では日本のマンガやアニメ、テレビ番組などがほぼリアルタイムで流入されるようになって、高校生の日本語?習者の中では、日本文化に興味を深く持っている人が多くなっている。 このように日本文化の輸入が活?になっている今の?況で、?習者が持っている日本文化への興味を日本語?習に取り入れるためには、高校の?科書で言語と文化の統合?習を取り入れる試しが必要になる。その理由を?究者は、次の3つにまとめて考えた。 一つ、多?な文化項目を?習して、目標言語に?する背景知識の幅を?げることができる。二つ、?況に適切な語彙と表現を使うことができる。三つ、言語的な機能の?習を文化項目を活用することで、反復?習ができる。 この三つの理由を背景にして、まず現在の?科書で紹介されている文化項目を分析した。その結果、現在の?科書で紹介されている文化項目は、「言語行動」、「年中行事」、「地域文化」が49%を占めていた。この中で「言語行動」の場合、?科書によって偏差があって、「言語行動」に?する?値は平均ではなかった。現在の?科書では、全般的に紹介されている文化項目が偏っていて、?習者が興味を持つような「大衆文化」や日本語?習者に必要だと思われる「危機管理」などはあんまり紹介されていなかった。 また、本論文では、文化と言語の統合?習を?る立場で、?科書の?習目標と紹介されている文化項目が?連を持つのかを、言語的4機能の?習の中でどの程度活用されているのかを基準にし、3段階に分類した。その結果、87%が文化項目と?習?容に?連を低く持ったり、持ってなかった。?科書でのこのような傾向は、まだ、文化と言語の?習を?連づける必要があるという規定はないからだと思うが、言語は文化の産物でもあるので、外?語の?習では言語的機能といっしょに文化?育を取り入れる努力が必要だと思う。 現在の?科書を分析した結果、紹介される文化項目が偏っていて、?習?容とはあんまり?連を持っていないことがわかった。それで本論文では、文化と言語の統合?習ができる?科書の再構成案を提案した。再構成案では、文化項目を背景知識として使うために、?元の頭にまず文化項目を紹介した。また、言語的4機能(聞く、話す、?む、書く)の領域で、文化項目と?連を持つ語彙や表現の反復?習ができるように、適切に配置して、言語的な機能で文化項目が積極的に活用できるように構成した。それで、?元の後ろに文化項目に?する詳しい?容の紹介を??と一?に?載して、文化に?して深く理解するようにした。この再構成案では、現在の?科書の資料と?習?容を活用して、現在の?科書を利用しても、少し編集すれば、言語と文化の統合?習が可能であことを見せようとした。 本論文では、外?語を?習する時、言語と文化の統合?習が必要である立場から、現在の?科書を分析し、再構成案を提案した。そして?究の過程を通して、?究者が思った言語と文化の統合?習を?施する方法を3つにまとめた。 一つ、2009改正?育課程で提示している18個の文化項目を偏らず紹介する必要がある。二つ、「言語行動」と「非言語行動」を別の紙面に配置する必要がある。三つ、?科書の言語的4機能の中で文化項目を積極的に活用する必要がある。 日本語?育で文化と言語の統合?習が?施されるように、?科書が再構成され、高校の日本語?習者が文化に?する興味といっしょに日本語を?習する方法が開?されることを期待する。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서의 문화항목 활용에 대한 제언: 2009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외국어의 학습은 외국어의 언어적 기능뿐만이 아니라, 목표언어가 사용되고 있는 나라의 생활방식, 사고방식까지도 배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목표언어가 사용되고 있는 나라의 문화를 습득하지 않은 채, 언어적 기능 향상에만 힘을 쏟는다면 제대로 된 언어 학습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의 통합학습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의 한국에서는 정부 차원의 대중문화 개방이 시작된 1998년 이후, 단계적으로 문화가 유입되어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방송 프로그램이 거의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고등학생 일본어 학습자 중에서도 일본문화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이렇게 일본문화의 유입이 활발해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 속에서,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일본문화에 대한 흥미를 일본어 학습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학습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를 연구자는 다음의 3가지로 보았다. 첫째, 다양한 문화항목을 학습하여 목표언어에 대한 배경지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둘째, 상황에 맞는 어휘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언어적 기능 학습을 문화항목을 활용하여 반복학습이 가능하다. 위를 바탕으로 먼저 현행 교과서에서 소개되고 있는 문화항목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현행 교과서에서 소개되고 있는 문화항목은 ‘언어행동’, ‘연중행사’, ‘지역문화’가 49%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중 ‘언어행동’의 경우, 교과서에서 따라 편차가 있어서 이 수치는 평균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렇듯 현행 교과서에서는 전반적으로 소개되고 있는 문화항목이 편중되어 있어,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있을 ‘대중문화’나 일본어 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위기관리’등은 별로 소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문화와 언어의 통합학습을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교과서의 학습목표와 소개되고 있는 문화항목이 관련성을 가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언어적 4기능에서의 활용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87%가 문화항목과 학습내용의 관련성이 낮거나 없었다. 교과서에서 이런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문화와 언어의 학습을 관련지어서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규정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언어는 문화의 산물이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에서는 언어적 기능과 함께 문화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소개된 문화항목이 편중되어 있어 학습내용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문화와 언어의 통합학습이 가능하도록 교과서의 재구성안을 제언하였다. 재구성안에서는 문화항목을 배경지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원의 도입에서 소개하였다. 또한 언어적 4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관련이 있는 어휘와 표현의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적절히 배치하여 언어적 기능에서 문화항목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도록 구성하였다. 단원의 마지막에 문화항목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하는 내용을 사진과 함께 게재하여 문화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 재구성안에서는 현행 교과서의 자료와 학습 내용을 활용하여 현행 교과서를 이용하더라도 조금만 편집하면 언어와 문화의 통합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려고 했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 학습 시, 언어와 문화의 통합학습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현행교과서를 분석하고 재구성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과정을 통해서 연구자가 생각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학습을 시행하는 방법을 3개로 정리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18개의 문화항목을 골고루 소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을 별도의 지면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의 언어적 4기능에서 문화항목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일본어교육에서 문화와 언어의 통합 학습이 시행될 수 있도록 교과서가 재편집되고,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문화에 대한 흥미와 함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고등학교 일본어수업 지도 방안 : 교사용 교과서 멀티미디어 CD를 중심으로

        박진영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열리는 수업에서 멀티미디어 자료가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수업에서 멀티미디어 자료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그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보았으며, 설문조사 결과 나타난, 교사들이 자주 이용하는 교과서 출판사에서 제작되어 발매되는 교사용 멀티미디어 CD의 구성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용 멀티미디어 CD를 제외한 수업 중에 사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연구자가 직접 찾아 교수-학습 모형을 짜보았다. 종래의 언어교육이 교과서 중심 교육이었다면,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에서는, 음성과 영상을 이용하여 눈과 귀를 집중시키면서,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의욕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교려할 때,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일본어 교육연구는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의욕을 유발시켜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빠른 변화에 적응하는 신세대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수업 방식도 이제는 기존의 평면적인 방식을 벗어난, 각종 매체를 적극 활용하는 다양한 수업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日文秒錄> 本の研究は第7次教育課程に基づいた高等学校日本語教科書を土台で開かれる授業でマルチメディア資料がいくらよく使われているし, 授業でマルチメディア資料が效率的に使われることができない原因が何なのか捜してみてその解決策を捜してみるのにその目的である。このために現職高等学校教師らを対象でアンケート調査をしたし、アンケート調査結果現われた、教師らがよく利用する教科書出版社で製作、発売される教師用マルチメディアCDの構成及び内容を比較分析して問題点及び改善店を調べた。また教師用マルチメディア CDを除いた授業の中に使われることができるマルチメディア資料を研究者が直接捜して教授-学習模型を組んで、実際授業で必要な点を研究して見た。 従来の言語教育が教科書中心教育だったら、マルチメディアを利用した教育では、音声と映像を利用して目と耳を集中させながら、学習者の興味と学習意欲の同期を誘発することができる教育である。日本語教育において何をどんなに教えるゴッインがという側面でギョリョする時、マルチメディアを活用した日本語教育研究は学習者の興味と学習意欲を誘発させて最大の效果をあげることができることにその目的である。したがって早い変化に適応する新世代たちの欲求を満たすためには、学校授業方式もこれからは既存の平面的な方式を脱した、各種媒体を積極活用する多様な授業変化が必要である。

      • NHK おかあさんといっしょ(엄마와 함께)를 활용한 초급 일본어교육

        배영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모든 교육은 학습자 중심으로 흥미와 레벨에 맞게 실시되어야 한다. 더욱이 일본어를 갓 입문한 고등학교 초급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일본어를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단 1분도 낭비하는 수업이 되어서는 안된다. 일본어 초급 학습자들은 일본어는 영어처럼 어릴 때부터 학습하던 과목이 아니고, 대부분 고등학교 입학 후에 배우기 때문에 많이 생소하고, 갑자기 암기해야할 단어들이 많아져서 부담감이 작용하여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여 집중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되는 현상을 어느 정도 보완하기 위하여 교사들은 일본 드라마나 영화, 문화에 대한 영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고등학교 초급 일본어 학습자들에게는 과연 이것이 효과적인 방법인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이제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익힌 학생들에게 드라마나 영화를 보여준다면, 학생들은 당연히 한글자막에만 의존하게 될 것이고, 정작 일본어 대사는 아예 들리지도 않고, 들으려고 하지도 않을 것이다. 영화나 드라마는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초급 학습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매체라고 생각하였다. 무조건 일본어 공부에 대한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하여 시간 떼우기 식의 수업을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집중력을 자아내면서 동시에 레벨에 맞게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생각해 낸 것이 현재 NHK Eテレ에서 방영중인 대표적 어린이 교육프로그램「おかあさんといっしょ(엄마와 함께)」라는 방송이다. 이 프로그램은 2~4세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며,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회화와 쉬운 단어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영상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단어습득이 가능하며, 매월 발행되는 월간교재의 구성도 잘 되어 있어서 병행하여 수업에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집중력도 상당히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