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로 통합학급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적용 및 요구가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생생하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 경력 5년 이상인 일반유아교사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 중에 있는 특수교육대학원생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자 또한 연구 일지를 통해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질적 연구 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았으며, 연구 결과의 해석이 왜곡되거나 오해되는 부분은 없는지 연구 참여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진실성을 확인받았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유아교육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에 관한 전문지식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수립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통합교육 초기에 일반유치원교사는 통합학급 교사로서 동등한 위치가 아니라 유아특수교사가 하는 대로 이끌려가거나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반자적 관계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 모두가 통합학급의 담임교사로서 장애유아뿐 아니라 일반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의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아교사는 통합초기에 학부모와의 상담에 소극적이었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들과 특수교육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였으며, 장애유아 학부모와의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일반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 학부모 상담 내용을 공유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공동체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유치원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연수가 이루어진 후 통합학급 교사가 되는 방안과 교사의 교직생애주기별 연수 및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통합교육 경력교사의 강사활용 방안 그리고 지역네트워크를 활용한 협력지원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식의 융합에 기반을 둔 통합교육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2명의 교사 이야기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통합학급 교사로서 또는 유아교사로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이 어떠한 변화의 힘을 이끌어내는지 간접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이야기는 통합학급 교사로 하여금 통합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는데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하며,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조광명 경성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유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적환경인 유아교사의 재교육과 현직교육의 요구는 더욱 강화되어 가고 있다. 유아교사는 재교육과 현직교육을 위해 각종연수 세미나, 워크샵, 보수교육에 참여하고 있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유아교사들은 전문적인 재교육과 현직교육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이고 현직교사로서 재교육을 받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교사 재교육 기관이자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의 상급학교 진학을 통한 재교육은 유아교사들이 매일의 교수-학습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함께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교육정책 및 교수방법 등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속에서 얻음으로써 전문가적인 수월성을 증진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은 교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교육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전문 인력 양성의 목적을 잘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효과적으로 운영되어야 하지만, 교과교육 전임교수의 부족, 충실한 교육과정 제공의 부족, 학부와 비슷한 교육과정 운영, 획일화된 교육 등과 같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산시 소재 각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진학·선택 동기 및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유아교육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국립교육대학원 3곳과 사립교육대학원 5곳 총8개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211명으로 하였다. 또한 각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홈페이지와 관련된 인터넷 자료에서는 각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의 교육목표와 개설된 교과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도구는 연구문제 1에 해당하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 분석은 각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홈페이지와 관련된 인터넷 자료에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목표와 개설된 교과에 관한 정보를 얻었고,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육대학원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와 관련된 문헌들을 기초로 하여 김향진(2008)이 제작한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연구문제1에서 수집된 자료는 각 교육대학원 홈페이지와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여 분석 처리하였고, 연구문제2, 3, 4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χ2검증을 실시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 요구도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은 각 교육대학원의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의 목표는 교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교육현장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에 적합하게 설정 및 운영되고 있었으나, 이를 지도하는 교육대학원 전임교수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학생들은 영·유아 지도를 위한 새로운 지식 습득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의 전문성 및 독창성과 교수의 명성과 인지도에 따라 각 교육대학원을 차별화 시켜 인식하고 있었다. 체계적인 강의계획서를 수립하여 학부보다 심화되고 현장적용이 수월하도록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학생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학위논문 지도교수가 결정되고, 교과목이 개설 및 운영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셋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재학생들의 만족도는 교수의 강의나 수업, 수업시작 시간, 지도교수의 학위논문 지도, 개설된 교과목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전임교수 외 강사의 수업, 과제의 양, 전체 학생 대비 전임교수의 비율, 학위논문 지도교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보통이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재학생들의 요구는 학부보다 심화·확장된 내용의 수업과 유아교육프로그램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는 과목과 이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또한, 현행대로 논문을 작성하되, 지도교수의 개별적이고 자세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다.

      •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유아영어지도에 대한 관심 및 실태 연구

        신순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현재 외국어학원의 유치부에서 유아영어를 가르치는 교사 중 비유아교육과를 전공한 교사들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인식도 및 유아발달과 특성에 대한 관심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들이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어떤 교수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유아들에게 적합한 유형의 교사형태와 그들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국어학원내 영어유치부의 비유아교육전공자인 유아영어교사들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일반적인 배경은 어떠한가?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영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발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영어에 대한 실제는 어떠한가?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발달에 대한 실제교육상황은 어떠한가?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이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4.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에 대한 필요성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모 외국어학원과 경기도 용인, 수원지역의 외국어학원의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 10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다른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를 수정 고안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AS/PC를 사용하여 각 항목별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명시하였다. 각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일반적인 배경 외국어학원내에서 영어 유치부를 담당하고 있는 영어교사들은 영문과와 유아교육과 자격을 동시에 다 갖춘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이 영문과나 타 학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았다.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에 대한 일반적 인식 영어교육의 찬반을 묻는 질문에서 64.42%가 찬성으로 응답했으며 반대하는 이유는 현실 여건상 조기 영어교육을 할만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반대의 이유가 이론적인 찬반론이나 교육인적자원부의 반대와는 달리 현실적으로 팽창해만 나가는 조기영어의 확산에 따른 아무 방법적 대책이 없는 현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아영어교사들은 유아들의 개인차가 있는 원리나 유아발달 전반에 따른 이론에 80%이상이 관심이 있었으며 영어수업은 유아발달에 근거하여 진행되어야 한다고 했다. 3.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영어에 대한 실제 유아발달에 필요한 정보 수집은 워크샵, 세미나 또는 외국어학원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었으며 유아발달과 관련된 세미나는 한달에 한번 정도 필요하다고 절감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수업에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게임이나 노래 및 챈트였으며 현재 원내에서 사용하는 교재교구의 적합성에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유아들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수업 방식은 게임을 이용한 학습이였기에 이 부분은 교사들의 더 많은 창의적인 연구들이 필요로 할 것이다. 4. 비유아교윽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에 대한 필요성인식 대다수의 비유아교육과 전공자인 영어교사들은 유아를 가르칠 때에는 유아의 특성을 알고 가르칠 수 있는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교사를 위해 국가나 기관의 정책적인 방향제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중에서 특히 유아발달과 유아 심리파악을 위한 연수교육을 정기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유아영어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알아봄으로써, 이를 토대로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유아영어지도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육전공 교직과목의 중요도와 필요성 인식 연구

        김민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55

        In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in South Korea, importance is attach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completion of which is designated as a requirement. While every preservice teacher is required to complete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of the same composition, regardless of school level or major, its contents and composition are suitabl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or this reason, discussions have been made about whether the current teaching profession subject plays a proper role in early childhood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igh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the teaching certificate cours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ere randomly sampled to conduct a surve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241 out of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were finally used to perfor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and the mean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each subject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The answers to the open-ended questions concerning the reasons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were categorized and class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differed by subjects: that is, the degree of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differed by subjects. Although the order i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not completely identical among the subjects, the order i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similar. Second, the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teaching profession subje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iled to come up to that of its importa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ere less likely to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than its importance. Thir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as to the reasons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ere largely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related to whether the subject addres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t a higher level for the subjects addres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at a lower level for those not addressing it. In some cases, however, they focused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n‘education’or‘teachers’rather than on‘early childhood education.’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t a higher level for the subjects of education that addressed the content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education,’though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ason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lso related to the issue of overlapping of subjects. As for the fourteen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t a lower level for the subjects with overlapped contents among them and for those whose contents overlapped with major subjects. They were less likely to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than its importance in the area of practi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teaching career.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considered that experience at an actual field was important but not necessarily essential. 우리나라 교원양성과정은 교직과목의 이수를 필수요건으로 지정할 만큼 교직과목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학교급과 전공에 상관없이 모든 예비교사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교직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내용과 구성은 초·중등교육에 맞추어져 있어 현 교직과목이 유아교사 양성에 적절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교육대학원생의 교직과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인천·경기지역에서 교원양성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교육대학원 중 임의 추출한 8개 학교의 유아교육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300부의 설문지 중 241부를 최종자료로 하여 양적 자료 분석과 질적 자료 분석을 병행하였다. 교직과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평균값을 산출하여 과목별 중요도/필요성 인식의 정도와 중요도/필요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교직과목에 대한 중요도/필요성 인식의 이유를 묻는 문항은 개방형 문항으로써 수집된 응답을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전공자는 교직과목의 중요도와 필요성을 과목별로 다르게 인식하였다. 즉,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교직과목별로 차이가 있었다. 과목별로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의 순위가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중요도와 필요성에 대해 비슷한 순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요도 인식에 따른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육전공 교직과목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중요도 인식에 까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전공자는 교직과목이 중 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에 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았다. 셋째,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의 이유에 대한 응답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의 이유를 살펴보았을 때 가장 많은 수가 나온 응답은 그 과목의 구성이 유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유아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과목은 중요도와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으며, 관련 내용이 없는 과목은 중요도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하지만‘유아교육’이라는 것을 떠나‘교육’이나‘교사’자체에 초점을 두고 그 과목의 중요도와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교육’이라는 거시적 관점 안에서 그 내용이 다뤄지는 교육학 과목은 그 내용이 유아교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과목임에도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 이유는 과목의 중복성 문제에 관한 것이기도 했다. 열 네 개의 교직과목 안에서 서로 내용이 겹쳐지는 과목이거나, 전공과목의 내용과 중복되는 교직과목은 중요도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실습영역의 교직과목은 중요도 인식에 비해 필요성 인식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자 특성상 교사경력이 있는 자가 대부분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이다. 경력이 있는 유아교육전공자는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지만,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인식하였다.

      •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분석

        이성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편성 현황과 교육 연한 연장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과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 개선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구조는 어떠한가? 1-1.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구조 현황은 어떠한가? 1-2.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됨에 따른 교육과정 구조에 있어서의 변화는 무엇인가? 2.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양영역 편성은 어떠한가? 2-1.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양영역 현황은 어떠한가? 2-2.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됨에 따른 교양영역 편성에 있어서의 변화는 무엇인가? 3.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직영역 편성은 어떠한가? 3-1.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직영역 현황은 어떠한가? 3-2.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됨에 따른 교직영역 편성에 있어서의 변화는 무엇인가? 4. 3년제 유아교육과의 전공영역 편성은 어떠한가? 4-1. 3년제 유아교육과의 전공영역 현황은 어떠한가? 4-2.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됨에 따른 전공영역 편성에 있어서의 변화는 무엇인가? 5. 3년제 유아교육과의 실습과목 편성은 어떠한가? 5-1. 3년제 유아교육과의 실습과목 현황은 어떠한가? 5-2.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됨에 따른 실습과목 편성에 있어서의 변화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03년 현재 2년제에서 3년제로 전환된 46개 대학 유아교육과의 2년제 및 3년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과정의 구조, 교양영역의 편성, 교직영역의 편성, 전공영역의 편성, 실습과목의 편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자가 정한 분석기준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각 범주별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구조를 분석한 결과, 총 이수학점에 대한 교양, 교직, 전공의 비율은 전공 71.3%, 교직 15.5%, 교양 13.2%로 나타났다. 3년제로 전환되면서 총 이수학점이 88학점에서 129학점으로 약 1.5배 늘어났고, 이 중 전공 비율은 증가, 교직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교양 비율에는 변화가 없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교육과정을 교양, 교직, 전공으로 구성하였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교양, 교직, 전공으로 구성하는 대학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양영역 편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이 교양과목을 교양영역으로 독립하여 개설하였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교양영역으로 독립하여 개설하는 대학이 증가하였다. 필수와 선택에 따른 교양영역의 구성에 있어서 교양영역의 전 교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구성하는 대학이 가장 많았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전 교과를 선택과목으로 구성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교양영역의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의 학점에 있어서 선택과목의 학점비율이 높았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선택과목의 학점비율이 증가하였다. 교양과목은 주로 1학점, 2학점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년제로 전환되면서 2학점 과목의 비율은 증가, 1학점 과목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교양과목의 개설 및 필수지정 빈도를 살펴보면, 영어와 전산관련과목의 개설빈도가 높았고, 계열 중 인문학 계열 과목의 비중이 매우 높았으며 3년제로 전환되면서 대부분 교양과목의 개설빈도가 증가하였다. 교양과목의 연계과목 현황에 있어서 영어의 개설빈도가 가장 높게, 학점 및 개설횟수 범위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영어와 제2외국어의 개설 빈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직영역 편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이 교직과목을 교직영역으로 독립하여 개설하였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교직영역으로 독립하여 개설하는 대학이 증가하였다. 교직과목은 주로 2학점, 3학점 과목으로 구성되었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2학점 과목의 비율이 감소, 3학점 과목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교직과목의 개설빈도를 살펴보면, 모든 대학이 교육실습을 개설하였으며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등의 개설빈도가 높았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개설과목의 종류와 빈도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3년제 유아교육과의 전공영역 편성을 분석한 결과, 전공과목을 필수와 선택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대학과 전공영역을 모두 선택과목으로 구성하는 대학의 비율이 각각 47.8%로 같게 나타났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전 교과를 선택과목으로 구성하는 대학이 증가하였다. 전공영역의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의 학점에 있어서 선택과목의 학점비율이 높았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선택과목의 학점비율이 증가하였다. 전공과목을 이론과목, 실습과목, 이론과 실습과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이론과목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론과 실습과목의 과목 당 수업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년제로 전환되면서 이론과목의 비율과 과목 당 시간은 증가, 실습과목의 비율과 과목 당 시간은 감소, 이론과 실습과목의 비율과 과목 당 시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은 대부분 2학점, 3학점 과목으로 구성되었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1학점, 2학점 과목은 감소, 3학점 과목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영역의 개설빈도와 필수지정빈도는 5가지 범주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이 중 유아교육과정 및 교육활동 수행영역의 개설빈도 및 필수지정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의 역사·철학·사회 및 기초 영역에서는 유아교육론, 유아발달과 학습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는 영유아발달, 유아교육과정이해 및 교육활동 수행영역에서는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사의 평가 및 연구능력·전문성 신장영역에서는 유아교사론, 유아보호·복지·가족관련 서비스수행영역에서는 부모교육의 개설빈도와 필수지정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년제로 전환되면서 과목에 따른 개설빈도와 필수지정 빈도의 순서에는 거의 변함이 없었고 대부분 과목의 개설빈도가 증가한 반면에 필수지정 빈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에 있어서의 연계과목은 기악, 유아미술교육, 유아음악교육 등과 같은 실기의 성격이 강한 과목들이 주를 이루었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대부분 연계과목의 개설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3년제 유아교육과 실습과목의 편성을 분석한 결과, 총 실습학점이 5.9학점이었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실습학점이 약 1.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과목 가운데 교육실습의 개설빈도와 학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모든 실습의 개설빈도와 학점이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교육실습은 교직으로, 보육실습, 현장실습, 관찰실습은 전공선택으로 개설되었다. 전체적으로는 전공선택으로 개설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전공선택과 전공필수로 개설되는 비율이 증가, 교직으로 개설되는 비율은 감소하였다. 모든 실습이 주로 2학점으로 개설되었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모든 실습의 학점크기 범위가 넓어지고 2학점 과목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은 3학년 2학기, 보육실습, 현장실습, 관찰실습은 2학년 2학기에 주로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3학년 2학기에 가장 많이 개설되었고 3년제로 전환되면서 졸업 전 학기에 개설되는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thesis, changes in the curricula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tertiary institutions that, before 2003, required two years' full-time study were analyzed in depth so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a fundamental reference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s were set out as follows: 1. How are curricula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structured? 1-1. What are the current curricular structures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1-2. In the curricular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what changes, if any, were brought about by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from the two-year system? 2. How liberal arts fit in with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2-1. What is the current involvement of liberal ar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2-2. What changes did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from the two-year system cause in terms of the involvement of liberal ar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3. In what manner ar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integrated into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3-1. What is the current involvement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3-2. What changes did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from the two-year system cause in terms of the involvement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4. How are major subjects integrated into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4-1. What is the current involvement of major subjec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4-2. What changes did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from the two-year system cause in terms of the involvement of major subjec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5. How practical work fits in with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5-1. What is the current involvement of practical work componen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5-2. What changes did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from the two-year system cause in terms of the involvement of practical work compon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For this study, the curricula, as of 2003,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teaching programs, formerly two-year, offered by 46 universities were anatomized in the light of the overall curriculum organization, the involvement of liberal arts subjects,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major subjects and practical work components in the curricular structur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tandard set specific for this study and then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y was calculated which in turn was shown percent.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overall curriculum organization, the major, teaching profession, and liberal arts subjects take up 71.3%, 15.5% and 13.2% of the total credit points respectively. After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the total credit points increased 1.5 times from 88 to 129 and it appears that while the proportion of liberal arts subjects remained unchanged, that of major subjects has increased and that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has decreased. A large number of universities provid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whose curriculum is, by and large, composed of major, liberal arts and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It seems that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made more universities to include all three academic subject areas in the curriculum. Second, regarding the involvement of liberal ar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t is found that the liberal arts subject is offered as a separate course in a high percentage of universities. It shows that, after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offer the liberal arts subject as a separate course has increased.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composition of compulsory and optional courses includes optional liberal arts subjects only. After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the percentage of universities that offer all liberal arts subjects as optional has increased. With regard to the credit weighting, more weight is given to elective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universities that offer liberal arts subjects as either optional or compulsory.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saw the increase in credit points of optional subjects. In general, a liberal arts subject is a one- or two-point paper but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e proportion of 2-point papers is higher than 1-point papers. Among the liberal arts subjects currently offered by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s the most common compulsory subject English and a computer-related subject. It is found that English has the widest range of credit weightings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offerings. Third, in regard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tegory, it shows that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is offered as a separate liberal arts course in a large number of universities. It is found that, after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offer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as a separate liberal arts course has increased. A majority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consists of either two- or three-point papers but after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theproportion of 2-point papers has decreased while that of 3-point papers has increased.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with a high frequency of offerings include teaching practice, which is currently offered by all 46 universities. It appears that the number of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and frequency of offerings have stayed the same and subjects like teacher character education and child care practice were added to the list after the turning to the three-year system. Fourth, as for the major subject category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e percentage of the universities that offer the major subjects as either mandatory or optional and that of the universities that compose the major course ofentirely optional subjects is 47.8 each. It shows that, after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organize the major course with elective subjects has increased. In regard to the credit weighting, more weight seems to be given to elective subjects than compulsory subjects in the universities.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witnessed the increase in credit points of optional subjects and the decrease in credit points of compulsory subjects in the major course. In the order of frequency are theory, practical work and the theory and practice. In terms of lecture hours, theory and practice is ranked top with 2.9 hours. After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it appears that, considering the proportion and lecture hours per subject, while theory and practice remained unaltered, theory hasincreased and practice has decreased. A majority of major subjects consists of either two- or three-point papers after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the proportion of 3-point papers has increased. In regard to the frequency of offerings, five major subject categories, the most common compulsory subject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 activities category. In the light of the frequency of offerings and being a compulsory subjec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ies in the category of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sociology and fundamental theory; the child development in the category of the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in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 activities; the teacher education of preschool in the category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evaluation and research abilities, and professionalism improvement; and the parent education in the category of the infant protection, welfare and family-related service are ranked top. It appears that the switch to the three-year system didn't have much impact on the frequency of offerings of a subject and being a compulsory subject the order, more or less, has stayed the same. While the frequency of offerings of most major subjects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being compulsory has decreased. The bridging subjects of the major subjects generally coinclude that focus on practical techniques such as the instrumental music program, teaching arts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the early childhood music and comput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t seems that the frequency of bridging course offerings has increased after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Fifth, as for the practical work componen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e sum of credit points is 5.9 which shows that the credit points of practical work components have increased about 1.5 times since the conversion to the three-year system. Teaching practice is being offered by all 46 universities includ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shift to the three-year system caused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offerings and credit points of practice. Overall, the chance of a practice subject being an elective (optional) major is higher than anything else including that of a practice subject being a teaching profession subject which in turn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universities that offer practice subjects as elective (optional) and compulsory major subjects has increased whereas that of universities that provide the practice subjects as a teaching subject has declined after the switch to the three-year system. Most practice subjects carry a credit weighting of 2 points. Most universities offer the teaching practic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year and the child care, field, and observation practic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cond year. It is the very last academic semeste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hat practice subjects are most frequently offered. The more away the academic term is from the graduation year, the lower the frequency of offering the practical work becomes. It seems that afte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ame a three-year program, the percentage of the practice subject being offered during the last semester of the program decreased and various practice subjects started to be offered through more different academic terms.

      •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식

        유맑음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특성화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어떠한가? 2.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의식은 어떠한가? 3.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한 달간 서울에 위치한 세 곳의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중 현재 배우고 있는 교과에 대한 만족도, 교육환경과 관련한 내용인 교과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중 유아교육과와 관련된 진로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 또한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련 진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 중 본인의 적성과 흥미와 관련된 내용인 인지적 진로의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대체로 본인의 적성과 흥미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진로결정의 요소로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것을 알 수 있다. 진로의식 수준 중 앞으로의 진로를 위한 노력과 관련한 내용인 실천적 진로의식은 다른 요인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위한 준비가 다소 미비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식의 관계에서는 전공만족도 중 교과만족의 요소와 진로의식 중 긍정적 기대감이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와 관련한 전문교과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향후 유아교육과와 관련한 진로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학년은 교과만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실천적 진로의식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유아교육과 이외의 진로를 택한 학생들의 수가 늘어나면서 유아교육과와 관련된 교과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진로의식이 형성되면서 실천적 진로의식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추후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지도와 직업교육을 위해 관련 직업군에 대한 다양한 방면의 직업탐색 및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으며 졸업 이후에도 관련분야의 적극적인 취업 및 진학을 위해 많은 정보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특성화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에게 졸업 이후에 국가에서 인정하는 자격이 주어지지 않아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려면 상급학교에 진학하여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이나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등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특성화 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관련분야에서 근무할 수 있는 자격기준의 마련이나 재교육과정 등을 발전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 유아놀이 및 놀이지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의 인식

        우은영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39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종사자의 유아놀이 및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놀이지도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유아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가 -1. 유아놀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가 -2. 유아놀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가 -3. 유아놀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가 -4. 유아놀이에 대한 유아교육가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시설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나 -1. 유아 놀이지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2. 유아 놀이지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3. 유아 놀이지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4. 유아 놀이지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은 시설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의 놀이지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다 -1. 놀이지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 의 인식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 -2. 놀이지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 의 인식은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 -3. 놀이지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 의 인식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 -4. 놀이지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 의 인식은 시설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놀이의 중요성의 인식은 유치원의 종사자, 대학교졸 이상, 유아 교육학전공, 경력 6년 이상의 종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유형, 전공, 경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력에 따라 p=.03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학력이 높을수록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의미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놀이의 특성 인식은 유치원종사자, 대학교졸 이상자, 유아교육학전공자, 3년~5년 이하의 경력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놀이의 교육적 가치의 인식은 어린이집종사자, 대학교졸 이상자, 유아교육학 전공자, 6년 이상 경력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유형, 전공,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 따라 p=.01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학력이 높을수록 놀이의 교육적 가치의 이해와 효과의 중요성을 인지했음을 보여 주었다. 넷째, 유아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종사자, 대학교졸 이상자, 보육학전공자, 6년 이상 경력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놀이지도 방법에 대한 인식은 유치원종사자, 대학교졸 종사자, 유아교육학전공자, 2년 이하 경력자가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놀이지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질문에서 바람직한 놀이지도를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은 수업 준비와 행정적인 잡무가 많아서가 전체의 4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놀이지도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은 행정 및 기타업무의 간소화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놀이지도를 위해 우선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요소로는 전체의 55.3%가 자유선택활동의 활성화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As the play-related belief and behavior of teachers have a huge impact on the play behavior of preschoolers, how they look at early childhood play and play guidance is very crucial. So it's planned in this study to look into the awareness of work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bout play and play guidance, since the workers made up a great portion of human environments for preschoo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look of work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preschool play and play guidance in an attempt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play guidanc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 the career, major and academic credenti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orkers and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view of early childhood play? 2. Do the career, major and academic credenti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orkers and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 of play guidance? 3. Do the career, major and academic credenti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orkers and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make a difference to their opinion on the right directions for play guid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0 workers from a kindergarten and a daycare center in the city of Incheon. 125 employees each were selected from the two institutions, and the answer sheets from 107 kindergarten teachers(86%) and 119 daycare center teachers(95%)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importance of preschool play, the employees who served at the kindergarten,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se career was six years or more were better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it. The kind of the institutions, major and career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but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A higher academic background led to bett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lay. Second, as for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play, those who worked at the kindergarten,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se career was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 were better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play, but the ga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concerning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value of preschool play, early childhood play was more prized educationally by those who served as the daycare center,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se career was six years or mo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The better-educated workers had a better under- 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 of play and attached more importance to its effects. Fourth, in regard to awareness of preschool play guidance, those who worked at the daycare center,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who majored in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who had a six-year or longer career were more cognizant of it, but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not significant. Fifth, as to play guidance methods, those who served at the kinder- garten,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se career was two years or less were better aware of the methods. Overall, however, they didn'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method,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was found. Sixth, regarding the right directions for play guidance, that largest group of the workers who accounted for 44.2 percent cited class preparation and heavy nonessential administrative workload as the greatest causes that made it difficult to provide appropriate play guidance. The simplification of workload including administrative one was viewed as most mandatory for the actualization of quality play guidance. 55.3 percent placed the most emphasis on putting optional activities on the right track as a way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ideal play guidance.

      • 유아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분석

        최미정 인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23

        건전한 민주시민 정신과 공동체 의식 함양은 교육의 핵심가치이며,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은 이를 실천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 특히 전공 교육과정과 연계한 봉사학습은 현장 경험을 통해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식을 확장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I대학에서 유아교육 전공수업인 유아음악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을 고찰했다. 연구 참여자는 2018년도 1학기 I대학교 유아교육과의 전공 선택 교과목 ‘유아음악교육’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8명이고, 연구 참여자들은 총 15주 수업 중 1~10주까지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봉사학습을 준비하였으며 11~14주 동안 MOU를 체결한 S유치원에서 봉사학습을 실시했다. 봉사학습은 4명씩 두 팀으로 나누어 만5세 두 반에서 각각 실시되었으며, 주차별 1회 봉사학습은 40~50분 대그룹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했으며 성찰일지는 봉사학습 전과 각 봉사학습 직후에 총 5회에 걸쳐 수집되었다. 수집된 성찰일지는 전사 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연구문제에 나타난 경험을 분류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의 내용도 도출했다. 이와 함께 봉사학습 활동을 촬영한 동영상과 봉사학습을 담당한 담임교사의 일지를 참고하여 자료의 다양성과 전체성을 높여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주요결과로는 첫째, 봉사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강의 첫 주에 소개한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특강을 통해 봉사학습에 대한 역사와 의의를 알게 되면서 나 뿐만 아니라 교수자 및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동반 성장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둘째, 구체적인 수업계획안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 봉사학습전의 학교 모의수업 시 형식적이고 긍정적인 유아의 반응만을 생각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작성하던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치원 현장을 다녀오고 나서는 유아들의 다양한 생각과 흥미를 고려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준비 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교재교구 준비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 활동기간 동안 견고하게 교구를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절감하고 교구가 단순히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 준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들의 반응을 경험한 후 유아에게 미치는 교구의 힘이 크다는 사실에 놀라며 아주 세세한 배려를 고려해서 교재교구를 계획해야 함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넷째, 유아발달 수준에 대한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는 이론으로만 배웠던 만5세 유아들의 반응에서 유창성이나 창의성의 수준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수업을 계획할 때 유아의 수준과 특성을 잘 파악해서 활동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다섯째, 주의집중을 위한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계획한 활동에서 지식이나 기술을 잘 전달하기 위해 유아를 집중시키는 방법이 필수적임을 알게 되었다. 여섯째, 유아의 다양한 흥미와 요구반영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 수업에 유아의 흥미가 반영된 활동이 좋은 수업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일곱째, 대그룹 수업을 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자신감이 생긴 예비유아교사들은 봉사학습 경험이 유아의 반응을 잘 모르고 대략적으로 작성하던 봉사학습 이전의 경험과는 달리 현장에서 유아들과 상호작용 기술을 익힌 후에는 유아들의 특성을 반영한 계획안을 만족스럽게 잘 작성하게 되었다. 여덟째, 융통성 있는 수업진행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에서 예비유아교사는 원래 계획했던 상호작용 활동에서도 유아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수업 내용을 바꾸는 기술을 익힐 수 있었다. 아홉째,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수효능감의 증진에 대한 경험에서 향후 지금까지 쌓아온 전공 지식들과 봉사학습의 경험을 토대로 실습에 나갈 때에도 탄탄한 바탕이 되어 줄 것을 확신하며 값진 경험이었음을 이야기 했다. 끝으로, 유아교사로서의 진로에 대한 탐색의 경험에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봉사학습을 통해서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다고 보고했다. 이렇듯 유아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는 대학 수업 중에 습득한 지식의 참의미를 현장경험을 통해 능동적으로 구성해 나갔다. 본 연구를 마치면서 전공연계 봉사학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있는 경험에 관한 연구들이 일회적이 아니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다양한 교과목에서 전공연계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육기관

        A MO KIEU PHAN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베트남 유학생의 ‘좋은 유아교육기관’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육기관을 알아봄으로써 기본적으로 베트남 유학생이 가지고 있는 좋은 유아교육기관에 관한 인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한국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경험이 베트남 유학생의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는지, 또는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실질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육기관은 어떠한지를 알아본다.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의 좋은 유아교육기관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충 면담 방법을 사용하였다. 2023년 6월에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집단 면담을 하였고, 좀 더 심도있는 면담을 위하여 2023년 9월 5일부터 9월 22일까지 연구 참여자의 일정에 맞추어 개별 면담을 1회씩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귀납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일관되게 드러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며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유학생들은 좋은 유아교육기관이 갖추어야 할 요소 중 유아교육을 적절하게 시행할 수 있는 시설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적절한 좋은 시설은 ‘넓고 쾌적한 교실’,‘안전하고 깨끗한 공간과 교재교구’,‘적절하게 갖추어져야 할 시설 장비와 놀잇감’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유아교육전공 베트남 유학생들은 좋은 유아교육기관은 교사와 원장이 직업에 걸맞은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와 원장이 갖추어야 하는 자질은 ‘모범이 되는 개인적 자질’과 ‘경험과 개발을 통해 향상하는 전문적 자질’로 구분되었다. 셋째, 베트남 유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육기관은 아이들이 배움을 통하여 능력을 성장시키는 교육을 실행하는 곳이었다. 베트남 유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육은 ‘학습과 배움 강조’, ‘놀이의 균형도 필수적 요소’, ‘재능과 능력 개발 중요’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한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의 유아교육과 한국의 유아교육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육에 관한 이론적 강의와 함께 유아교육기관 참관 수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regarding '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y understanding how Vietnamese students perceive exemplar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seeks to uncover their fundamental beliefs about what constitutes a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whether the experience of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ha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Vietnamese students and whether it has brought about any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should be substantially included when constructing a curriculum for Vietnames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nfirm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curriculum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research has been structured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content: 1. Examination of how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ceive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garding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ix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ther information. In June 2023, a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5th to September 22nd, 2023, tailored to each participant's schedule, for more in-depth insigh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pproach to identify consistent themes and patterns that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response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prioritize the facilities capable of effectively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a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suitable facil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categorized into 'spacious and pleasant classrooms', 'safe and clean spaces with teaching materials' and 'adequately equipped facilities and toys'. Second,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ceive that a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should have teachers and directors with appropriate qualifications. The qualities that teachers and directors should possess are classified into 'exemplary personal qualities'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enhanced through experience and development'. Third, according to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a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s a place where children can grow their abilities through learning. The perception of a g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recognized by Vietnamese students, is categorized into 'emphasis on learning and education', 'balance between play and learning' and 'importance of talent and ability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key implications can be discussed. First, integration of Vietnamese and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urriculum. Second, enhancement of Practical Learning through Preschool Vis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