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본 기도의 통전적 지평 연구

        이진해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에 나타난 기도의 특징과 지평에대한 분석과 함께 기도의 통전적 지평과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제시하는 기도의 지평을 중심으로보다 더 구체적이고 확장된 기도 연구, 즉 기도의 신학적 이해, 기도의 현상학적 이해, 기도의 통전적 지평 이해와 함께 기도의 실천 유형과 방법을 찾는 데 있다. 나아가 기도 목회 실천방안을 논자가 담임하고 있는 좋은사람들교회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의 기초적 원리로써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에 나타난 기도의 특징과 지평, 즉 실천운동의 원동력으로써 기도, 실천운동으로써 기도와 신학의 관계, 실천운동으로써 기도의 특징, 실천운동으로써 기도와 실천의 통전성, 실천운동으로써 기도와 하나님나라운동 등으로 제시하였다.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나타난 기도의 특징과 지평을 보다 체계적이고 확장된 연구를 위해 기도의 신학적 이해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기도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할 뿐 아니라 자기 자신과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 하나님이 창조한 자연 세계와의 관계도 건강하게 형성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진정한 기도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공적 특징도 지닌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기도의 신학적 이해와 함께 기도의 현상학적 특징으로써 기도와 내면세계와의 관계, 기도와 효능과의 관계, 기도와 내재 된 은총과의 관계뿐 아니라 기도와 건강, 치유, 감사와의 관계 등을 밝혔다. 기도의 신학적, 현상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기도의 통전성을 강조하였다. 진정한 기도는 우리의 실천과 삶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특성을 밝히기 위해 기도와 실천의 통전성, 기도와 일상의 통전성, 기도와 윤리의 통전성, 기도와 하나님나라운동과의 통전성, 기도 실천 방법 통전성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기도의 통전적 맥락 안에서 기도의 유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도의 내용적 유형으로써 찬양 기도, 감사 기도, 탄식 기도, 중보 기도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도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기도의 형식적 유형으로써 구송 기도, 묵상 기도, 예수 기도, 향심 기도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도실천의 방법으로써 말씀 기도, 노래 기도, 쓰기 기도, 독서 기도, 몸 기도, 금식 기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 회복해야 할 기도로써 말씀 기도를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 교회에 익숙하지 않은 쓰기 기도와 독서 기도의 방법과 단계별 과정도 제시하였다. 기도의 이론적 실천적 연구의 적용을 위해, 좋은사람들교회를 중심으로 기도 목회 실천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기도 충만한 교회, 기도 충만한 예배, 기도 충만한 삶과 실천을 위한 방안으로써 렉시오 디비나를 통한 말씀 중심 기도의 생활화, 매주 요일별로 기도회, 매년 정기적인 예레미야 기도회 등에 대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과 방안도 제시하였다. 나아가 예레미야 기도회 기간 동안에 전교인 부분 금식을 통한 이웃사랑 실천방안도 제시하였다. 기도는 실천을 낳는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 교회법 제835조 2항을 중심으로

        구영생 수원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가톨릭교회는 '사제의 신원과 임무'에 대하여 역사 안에서 끊임없이 논의해 왔다. 특별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로, 현대의 사회와 문화적 상황에 더 알맞은 시각에서 '사제의 신원과 역할'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러한 요청은 한국 교회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실례로 서울대교구 시노드에서 밝히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신자들이 사제들의 전례집전임무에 관하여 주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자들이 사제들의 '안일하고 형식적인 미사 거행'과 '직무유기에 따른 기능주의의 위험'을 경고하고 나셨다. 이에 신자들은 사제들에게 '미사 거행을 성실히 해줄 것'을 희망하면서,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사제들이 본연의 직무에 충실해 줄 것을 시노드를 통해 요청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을 접하면서 논자는 하느님 백성의 일원으로서, 미래의 사제직을 준비하는 신학생으로서, '나는 과연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가?'라는 내적 고민을 가지게 되었고, 미래의 '나의 사제상'을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를 통해 그려보고 싶었다. 논자가 문제를 제기한 본 논고를 쓰려고 하는 것은, 바로 '현재의 신학생인 나'와 '미래의 사제인 나' 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성찰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첫째, 문제는 올바른 교육을 통하여 전례집전자를 준비하는 사제양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례집전 사제로서의 신원의식이 결여된다는 점이다. 세속화는 교회와 사제 자신을 '업적주의, 기능주의 경향'에 편승하도록 유혹한다. 자칫 외적으로 신자들 앞에 드러나는 기능적 직무 수행에만 몰두하고, 정작 그리스도의 전례집전 사제로서 신원의식을 소홀히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전례집전 사제의 신원인식 결여는 사제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희생제사인 하느님 경배 안에서 그리스도를 현현할 수 없게 된다.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와 교회법의 최종목적인 영혼구원을 이루지 못한다. 논자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에 관한 교회법적 이해"를 선택하였다. 왜냐하면 교회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하여 그리스도 사제직의 임무가 하느님 백성의 성화를 위한 그리스도의 구현이라고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을 법제화 한 현행 교회법 제835조 2항은 그러한 교회의 뜻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사제임무의 목적이 하느님 백성의 성화에 있으며, 구체적 실천방법으로 하느님 경배의 거행을 통한 영혼의 구원(Salus Animarun)이라는 교회의 최종 목적에 부합하고 있다. 논자는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의 중요성을 고찰하여, 미래의 사제인 '나의 신원'을 준비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이라는 맥락에서 "하느님 경배와 하느님 백성의 성화"를 위해 사제가 지향하고 숙고해야하는 바에 대하여, 사제 신원에 관한 부분 중 '전례집전 사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무엇보다도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 목적이 하느님 백성의 성화와 사제 성화에 있다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교회법 제835조 2항에 담긴 법정신을 고찰함으로써 사제의 신원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리스도의 사제들과 미래의 사제들인 신학생들이 인식해야 할 교육적 지침과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의의를 두었다. 논문 전반부에서는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를 명시한 현행 교회법 제835조 2항을 중심으로, 법원과 관련된 보편 교회의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법의 교회법적 의미와 성격, 목적과 전례집전 사제임무에 관한 교도권의 가르침을 이해하였다. 또한 초대교회 때부터 지금까지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와 신원 및 역할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논문 후반부에서는 교도권의 가르침에 따라 보편 교회법이 개별 교회에 적용되는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현실적 문제를 파악한 후,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에 관한 본질적인 요소를 성찰해보았다. 특히 한국 천주교회가 '역사 안에서 사제임무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최초 한국 교회의 사목서한과 사목지침서를 비롯한 몇몇 교구들의 지침서의 규정과, 오늘날 지역 교회에 적용되고 있는 지침서와 전례 규정집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전례집전 사제들의 신원과 임무 수행 방법을 통하여 드러난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내용은 제언을 통하여 "하느님 경배와 하느님 백성의 성화"를 위해 사제가 실천해야하는 바를 전례집전 사제를 준비하는 자로서 다시금 숙고하게 하였다. 전례집전자인 사제들의 신원인식 부족과 직무유기, 잘못된 전례거행은 그리스도의 사제직을 수행하는 사제들이 보편교회의 가르침과 개별교회의 지침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았기에 초래한 현상이다. 따라서 좀 더 올바르고 정확한 전례집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 '양성교육'으로 귀결되었다. 사제서품을 받으면 모든 것이 완성되고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완성되어 가는 존재'인 사제의 신원인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다. 전례집전을 준비하는 신학생 양성 시기부터 꾸준한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신학생 양성시기의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품을 받은 후에도 연계가 되어 꾸준한 양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논자는 미래의 사제직을 준비하는 신학생으로서, '나는 과연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가?'라는 내적 고민을 가지고, 시대적 요청에 근거하여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를 통해 미래의 '나의 사제상'을 그려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례집전 사제직 준비자로서, 논자가 제기한 두 가지 성찰에 관한 물음에 대하여 답을 주었다. 먼저, 양성자의 피양성교육 소홀과 피양성자의 수동적인 자세는 전례집전자인 사제의 정체성에 대한 신원의식의 결여로 이어져, '현재 신학생인 나'가 전례집전 준비에 소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은 '미래의 사제인 나'가 사제로서의 삶을 올바르게 살지 못한다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그러면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 목적인 하느님 경배와 하느님 백성의 성화, 더 나아가 사제 자신의 성화는 이루어지지 못하며, "영혼의 구원"이라는 교회의 최종 목적에도 부합하지 못하게 된다. 사제는 성사를 집전하는 사람이다.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미사성제를 집전하는 사람들이다. 그러한 사제의 역할을 누구도 대신할 수 없다. 하늘나라의 천사들도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자가 사제이다. 사제의 삶은 더욱더 전례집전 안에서, 특히 성찬례를 중심으로 그리스도를 현현하는 삶이 되며, 자신을 성화로 이끌게 된다. 전례집전을 준비하는 신학생과, 지금 이 시간에도 어느 제대에서 성대히 전례를 집전하는 사제가 외우는 성찬 제정문은 축성문 이상의 것, 곧 '생명의 조문'이 되어야 할 것이며, '영혼의 구원'을 위한 하느님의 영광과 찬미의 기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논자는 본고를 마무리하면서 논문의 한계와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열매를 도식을 통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한계는 교회법적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고찰이기에, 다른 신학 방법론에 따른 전례집전 사제의 신원과 임무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다는 점이다. 첫째, 전례집전 사제임무의 지평에 관한 안목의 한계이다. 논자는 아직 전례집전 사제를 준비하는 양성의 단계에 있기에 현실적 경험의 부족이 한계점으로 인식된다. 둘째, 전례집전 사제임무에 관한 연구과정에 대한 한계이다.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에 관한 가르침을 전개하고, 현실적인 요청에서 그 문제를 찾고, 대안을 찾아 교육을 통하여 해결하는 방법 자체에서 한계성이 드러난다. 왜냐하면 실천적 제안이 '교육을 통한 삶의 실천적 적용'이라 내용이 포괄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론에 치우쳐 실질적인 깊이가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셋째, 전례집전 사제임무에서 드러난 문제점에 관한 대안의 한계이다. 이것은 교회의 한계이다. 그러므로 시험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도와 관심의 대상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기에 새로운 인식전환을 숙제로 간직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다짐해 본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 속에서 얻게 된 열매는 다음의 도식과 같다. 【도식-1】 “전례집전 사제의 임무”의 교회법적 목적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서울·경기·충북 지역 5개 노회 목회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태철 백석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831

        국문초록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서울․경기․충북 지역 5개 노회 목회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가 당면한 다양한 문제들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안으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제언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주제는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이다. 이 논문의 연구 동기는 논자가 43년 동안 주님을 섬겨왔고, 17년 동안 사역현장에서 치열한 영적 전쟁으로 겪어왔던 문제들을 해결해보려는 열정에서 시작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장종현의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 해설과 그의 문헌들을 통해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본질을 다루었다. 또한 개혁주의 생명신학과 관련하여 발표된 논문들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연구는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산하 5개 노회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 인식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정의문과 선언문에 담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본질과 의의를 실천적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특히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사역현장에서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각 운동의 의미와 사역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실천적 대안과 영적 생명의 역할을 정립해 활용 가능성을 키웠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본질은 세 가지이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오직 성경”에 기초한 신앙운동을 전개해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신학의 본질을 회복하는 개혁주의신학의 신학 자세를 계승하는 것이다. 둘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오늘의 삶과 사역의 전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을 선언하며 동시에 ‘하나님나라운동’을 실현하여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과 사역이 되게 하는 것이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을 오늘의 삶과 사역현장에 충만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특징은 이론에 머물러 있지 않고 삶과 사역의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나타나도록 7대 실천운동을 실천하는 것이다. 첫째는 신앙운동으로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세우는 개혁주의 5대 표어(sola)를 중심으로 통전적인 성경 이해와 그에 따른 전인적인 신앙생활을 구현하는 운동이다. 둘째는, 신학회복운동으로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신학의 본래의 의미를 회복하는 운동이다. 셋째, 영적생명운동으로 거듭난 성도들이 변화되어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한 삶을 실현하는 새 생명 운동이다. 넷째, 하나님나라운동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主)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다. 다섯째, 기도운동으로 하나님의 방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운동이다. 여섯째, 성령운동으로 성령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을 이해하고 순종하는 운동이다. 일곱째, 나눔운동으로 하나님의 좋은 것을 이웃에게 공급하는 사랑의 실천운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역공동체 만들기로 개혁주의 생명신학을 표방하는 사역 기관들이 공동의 사역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둘째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이해하기로 삶과 사역현장을 연결시키는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사역적 기초를 놓는 단계이다. 셋째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조정하기로 각각의 사역기관들이 개혁주의 생명신학 7대 실천 운동을 중심으로 사역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넷째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초청하기로 사역을 확대시키는 단계이다. 다섯째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실천하기로 7대 실천운동을 실현하는 단계이다. 여섯째는 개혁주의생명신학 평가하기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 현장을 냉철하게 반성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일곱째는 지역교회 활성화 지도하기로 지역교회의 동역자가 되는 단계이다. 따라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는 오늘의 한국 개신교회를 살리는 성경적 대안이며, 세계 개혁교회의 사역적 모델을 제언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독창성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이 21세기 한국 개신교회와 세계 개혁교회를 향해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을 끌어올릴 마중물의 사명과 책임을 다하도록 성경신학적 이론을 정립하고 실천 사역을 제안한 것이다. A Study on Method for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Focused on awareness of pastors i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Baekseok) Seoul, Gyeonggi, Chungbuk, five presbyte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instrument named “The Life Reformed theolog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is begins from the passion for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authors of this paper experienced the spiritual war, during his 17 y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research method is combined literature available an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Dr Jang's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commentary' and related published papers and dissertations. Survey research depend on the analysis the data that 'pastor's perception' targeted under the five presbyterian pastors agencies. And it is reconstructed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Reformed Life Theology' in view of practice. 'Reformed Life Theology' has three essences. The first is to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and recover the ess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econd is to declare Jesus' sovereignty and being realized 'Kingdom of God' in all areas of life. And the third is the spiritual life being practiced in life of Jesus Christ and ministry field through the 'pray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Featur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not to remain in just theory but to practice through '7 practical movements' which means that Jesus' life app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the Bible as the only authority in reformed theology centered 5 'SOLA' slogans. The second is to recover the essential theology that means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ology while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The third is that church members would live with Jesus Christ through changing their heart by the 'new life movement'. The fourth i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s realizing that Jesus becomes the Lord in everywhere. The fifth is obeying God's way and participating in the glory of God by the 'prayer movement'. The sixth is the 'Holy Spirit movement' that by understanding the sovereignty of the Holy Spirit and obeying Him in ministry. The seventh is the 'practical sharing movement' by offering the good things of God to neighbors with love. The vitalizing strategies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required some strategic points. The first is the institutions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make ministry community. The second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s connecting both life and ministry that makes foundation of ministry. The third is each institution adjusts their ministry by the 7th practical movement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fourth is the invi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at the ministry may expand. The fifth is realiz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7th practical movement'. The sixth is evalua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analysis the ministry and coordinates the future. Finally, the seventh is coaching the local church for vitalizing ministry and pastors become the co-worker in local area. Thus, "A Study on Method for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biblical alternate method for reviving the Korean churches and ministry model in reformed churched all around the world.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make both Korean churches and all of the reformed churches responsible and duty as priming water that taking up the spiritual life of Jesus Christ. Key Word : Reformed Life Theology, Life ministry, 5 slogans in Reformed Theology, ministers, 7 practical movements, spiritual life movement, community of ministry, understanding ministry, adjustments ministry, inviting to ministry, practice for ministry, inspecting ministry.

      •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한국상황적 이해

        신현복 한신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is a study on the Korean Context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arl Barth(1886-1968). In chapter 1 as Introduction, I sketched the motive, purpose, framework and method of this thesis in advance. Above all, I confirmed that Karl Barth who was the greatest theologian in Reformed tradition has not been dealt in terms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western theological circle. And so, I focused in illuminating the unique understanding of the Praxis of Ministry of Dr. Park Keun-Won who has alone studied its convergency in Korean Context. In chapter 2, I dealt with the Theological Aesthetics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arl Barth. To study this, I looked into Karl Barth's life, work, and theme in his masterpiece Die Kirchliche Dogmatik in terms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Especially, I illuminated the Rhythm, Melody and Harmony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arl Barth through many kinds of conversations with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who was the greatest musician of the world alike. That is to say, I divided the Rhythm of his Praxis of Ministry into Epistle to the Romans, Early Lectures, Church Dogmatics Ⅰ, Church Dogmatics Ⅱ, Church Dogmatics Ⅲ, Essays on Mozart and Church Dogmatics Ⅳ. And I divided the Melody of his Praxis of Ministry into High Tone, Low Tone and Main Tone. High Tones are made up of the Word of God, the Lordship of God, the Grace of God, the Presence of God and the Kingdom of God. Low Tones are composed of Actualism, Particularism, Objectivism, Personalism, Realism and Rationalism. And then, I analyzed the Main Tone of his Praxis of Ministry in terms of Reconciliation. In chapter 3, I dealt with the Way of Being of Church Community in the Praxis of Ministry by Karl Barth. To study this, I inquired minutely into the structure of Reconciliation in Church Dogmatics Ⅳ. In doing so, I tried to follow after why he expressed Church(Kirche) into Community(Gemeinde), and why he gave expression to Gathering(Sammlung), Upbuilding(Erbauung) and Sending(Sendung) as the Way of Being of Church Community for the Praxis of Ministry for Reconciliation. Above all, in Gathering Church Community for Reconciliation I looked into musical instruments such as Faith, True God, Pride and Justification K. Barth had used to perform the beautiful theological quartet of Gathering Community as the Body of Christ. After studying these, I reaffirmed the Word, the Cross and Crucifixion, the Time and the Holy Spirit must be expressed in the Praxis of Ministry of Gathering Community. In Upbuilding Church Community for Reconciliation I looked into musical instruments such as Love, True Man, Sloth and Sanctification K. Barth had used to perform the beautiful theological quartet of Upbuilding Community as the Communion of Saints(Communio Sanctorum). After studying these, I reaffirmed the Confession, Bible, Order, Baptism and Eucharist must be expressed in the Praxis of Ministry of Upbuilding Community. And in Sending Church Community for Reconciliation I looked into musical instruments such as Hope, Guarantor of Reconciliation, False Witness and Vocation K. Barth had used to perform the beautiful theological quartet of Sending Community as the People of God. After studying these, I reaffirmed the Praise, Preaching, Instruction, Evangelization, Mission, Theology, Prayer, Cure of Soul, Example of Christian Life and Action, Diaconate, Prophetic Action and Fellowship must be expressed in the Praxis of Ministry of Sending Community. In chapter 4, I dealt with the Gathering of Church and the Praxis of Ministry in terms of Reconciliation. To study this, here I looked into the Christian Vocation, Faith and Life for the Praxis of Ministry in terms of Reconciliation. Above all, I searched for each historical tradition before K. Barth and the vein of Vocation, Faith and Life appeared in the Praxis of Ministry in him. And then, to analyze the process of its convergency in Korea I examined its Reformed successors, namely Bonhoeffer in Vocation, Turian in Faith and again Bonhoeffer in Life. And th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 Barth I looked into these themes that Dr. Park had devoted his lifetime to develop toward Korean Churches. After that, I tried throwing out alternative key words about each department to develop Dr. Park's efforts for Reformed succession more and more. That is to say, for gathering Church Community in Faith focusing on the Reconciliation as the theological Main Tone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 Barth I came up with the Postmodern Calling in Vocation, Catechism in Faith and Spiritual Direction in Life. In chapter 5, I dealt with the Upbuilding of Church and the Praxis of Ministry in terms of Reconciliation. To study this, here I looked into the Christian Worship, Preaching and Shepherding for the Praxis of Ministry in terms of Reconciliation. Above all, I searched for each historical tradition before K. Barth and the vein of Worship, Preaching and Shepherding appeared in the Praxis of Ministry in him. And then, to analyze the process of its convergency in Korea I examined its Reformed successors, namely von Allmen in Liturgy, Bohren in Preaching and Thurneysen in Shepherding. And th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 Barth I looked into these themes that Dr. Park had devoted his lifetime to develop toward Korean Churches. After that, I tried throwing out alternative key words about each department to develop Dr. Park's efforts for Reformed succession more and more. That is to say, for upbuilding Church Community in Love focusing on the Reconciliation as the theological Main Tone of the Praxis of Ministry in K. Barth I came up with the Ritual of Reconciliation in Liturgy, Parakaleo Action in Preaching and Cure of Soul in Shepherding. In chapter 6, I dealt with the Sending of Church and the Praxis of Ministry in terms of Reconciliation. To study this, here I looked into the Christian Mission, Diaconate and Witness for the Praxis o 이 논문의 목적은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한국상황적 이해'를 모색해 보는 데 있었다. 이 일을 위하여 제1장 '서론'에서는 이 주제를 연구하게 된 '동기와 목적,' 그리고 이 논문의 '구성과 방법'을 미리 그려보았다. 무엇보다도 20세기 세계 최고의 신학자요 종교개혁 전통의 거목인 '칼 바르트'가 그 동안 서구신학계에서는 교역실천론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음을 확인하고, 그 수렴통합의 작업을 한국에서 외롭게 펼쳐 온 '박근원'의 독창적인 교역실천론적 이해를 조명해 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사실, 박근원은 이미 1960년대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칼 바르트가 주창하는 교회의 존재양식을 언급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후 40여 년 동안 박근원은 다름 아닌 칼 바르트의 교역실천론에 근거하여 자신의 교역실천론을 집대성해 왔다. 『오늘의 교역론』(개정판)과 『현대신학실천론』은 그런 노력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바로 그렇게 칼 바르트의 교역실천론에 뿌리가 닿아 있는 박근원의 교역실천론적 고민과 확신을 이어받아 더욱 발전시켜 보려는 기대 속에서 출발하였다. 그래서 우선 제2장에서는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신학적 미학을 다루었다. 그 일을 위하여 칼 바르트의 대작 『교회교의학』을 중심으로 그의 교역실천론적 생애와 작품과 주제를 '신학적 미학'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마찬가지로 세계 최고의 음악가였던 모차르트와 다양한 대화를 통하여, 칼 바르트의 교역실천론을 리듬과 선율과 화음 순으로 조명해 보았다. 곧 그의 교역실천론적 '리듬'은 시대적, 음악적, 미학적 리듬으로, 그의 교역실천론적 '선율'은 『로마서 강해』, 초기 강의들, 『교회교의학 Ⅰ』, 『교회교의학 Ⅱ』, 『교회교의학 Ⅲ』, 모차르트 평론, 『교회교의학 Ⅳ』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의 교역실천론적 '화음'은 고음, 저음, 주음으로 나누어 보았다. 신학적 고음은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현존, 하나님의 나라 등 다섯 가지로, 신학적 저음은 현실주의, 특수주의, 객관주의, 개인주의, 사실주의, 합리주의 등 여섯 가지로, 그의 신학적 주음은 '화해'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교회 공동체적 존재양식을 다루었다. 그 일을 위하여 『교회교의학』 제4권 '화해론'의 구조를 세밀하게 살펴보면서, 그가 왜 '교회'를 '공동체'라고 표현하는지, 왜 화해의 교역실천을 위한 교회 공동체적 존재양식으로서 믿음으로 '모이고' 사랑으로 '세우고' 희망으로 '보내는' 교회를 말하고 있는지 그 사고의 과정을 역추적해 보려고 하였다. 먼저 화해의 교역실천을 위하여 '모이는' 교회 공동체에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모임 공동체의 신학적 4중주를 아름답게 연주하기 위하여 칼 바르트가 사용한 '믿음, 참 하나님, 교만, 신앙의인'이라는 악기를 살펴보고, 모임 공동체의 교역실천 속에 '말씀, 십자가와 부활, 시간, 성령' 등이 표현되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또 화해의 교역실천을 위하여 '세우는' 교회 공동체에서는 '성도의 교제'로서 세움 공동체의 신학적 4중주를 아름답게 연주하기 위하여 칼 바르트가 사용한 '사랑, 참 인간, 태만, 성화'라는 악기를 살펴보고, 세움 공동체의 교역실천 속에서 '신앙고백, 성서, 질서, 세례, 성만찬' 등이 표현되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또 화해의 교역실천을 위하여 '보내는' 교회 공동체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보냄 공동체의 신학적 4중주를 아름답게 연주하기 위하여 칼 바르트가 사용한 '희망, 화해의 보증인, 거짓 증인, 소명'이라는 악기를 살펴보고, 보냄 공동체의 교역실천 속에 '찬양, 복음의 명시적 선포, 교육, 전도, 선교, 신학, 기도, 영혼의 치유, 그리스도교적 존재와 행위의 모범, 복지, 예언자적인 행동, 친교' 등이 표현되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교회의 모임'과 화해의 교역실천을 다루었다. 이 일을 위하여 여기서는 화해의 교역실천을 위한 그리스도교 '소명론'과 '신앙론'과 '생활론'을 살펴보았다. 먼저 칼 바르트 이전까지 전해 내려온 저마다의 '역사적' 전통과 칼 바르트의 교역실천에 나타난 소명론과 신앙론과 생활론의 '광맥'을 탐사해 보았다. 그 다음에는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한국적 수렴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박근원이 추천하는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개혁적 계승자들, 곧 소명론에서는 '본회퍼'를, 신앙론에서는 '뚜리앙'을, 생활론에서는 다시 '본회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는 실제로 '박근원'이 한국교회를 향하여 평생을 전개해 온 에큐메니칼적이고 개혁적인 소명론과 신앙론과 생활론을 칼 바르트의 교역실천론적 자리에서 들여다보았다. 그러고 나서, 연구자는 박근원의 이런 개혁적 계승 작업을 이 땅에서 더욱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각 분야별로 대안적인 화두를 던져 보았다. 다시 말해서, 칼 바르트 교역실천론의 신학적 주음인 '화해'에 초점을 맞추어 믿음으로 교회 공동체를 모으기 위하여 소명론에서는 '탈근대사회의 소명' 문제를, 신앙론에서는 '세례교육' 문제를, 생활론에서는 '영성지도' 문제를 제시해 보았다.

      • 개혁교회 영성신학으로서 코메니우스 영성 사상의 실천적 해석

        안영혁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831

        세기말을 보내고 새로운 세기를 시작한 오늘, 세계와 교회는 견고한 영성신학을 요청하고 있다. 그런데 논자는 개혁교회의 영성신학 연구자로서 영성신학을 흔쾌히 진행시키기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발견하였다. 이 논문은 그 장애를 뛰어넘기 위함이다. 첫 번째 장애는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부적절한 태도이다. 한편으로는 너무 산만하다. 교회 주변의 일들은 영성이라는 이름만 붙이면 영성신학이 된다 또 반대로는 너무 조심스럽다. 영성에다 신학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조차 두려워하고, 영성 현상을 그대로 두고 보자고만 하는 듯한 입장이 있다. 그러나 영성신학은 과감히 불리어져야 하는 이름이다. 그렇지 많으면 영성신학은 온당치 못한 영성의 신화화를 불러올 것이다. 우리가 영성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는 것은 신화화를 종식시키겠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선은 영성신학이 무엇인지 규정하기로 하였다. 영성신학의 기본적 규정은 이미 있다. 하나님과의 만남의 현상에 대한 신학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규정들은 이것을 지지하고, 성경은 그 근거를 제공한다. 그런데 이 하나님과의 만남의 현상에 들어있는 최소한의 요소가 있다. 존재론적으로 전체성, 인식론적으로 충만, 현상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의 현실성이 그것이다. 현상의 발현이라는 것을 인간 중심으로 말한다면 방법론이 될 것이다. 그래서 영성신학이 되려 한다면 최소한 이런 3요소를 갖추어야 하고 이런 3요소들에 대한 자의식이 있어야 한다 영성사(싻史) 및 영성의 포괄적 개념은 영성신학의 더 포괄적 요소들이 무엇인지도 발할 수 있게 하는 통로이다. 이 논문은 영성을 논하는 기본적인 자리로 이 요소들을 규정하였다. 두 번째 장애는 개혁교회의 고민이다. 오늘 영성신학은 주로 카톨릭 기반의 신학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개혁교회 특유의 영성신학은 불가능한가? 이 논문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이려 하였다. 개혁가들의 족적에서 그것은 매우 명백하다. 루터파 칼빈의 개혁은 카톨릭의 미신에 가까운 신비주의와 구원 은혜의 상실을 개정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개혁은 그 시대의 가장 혁혁한 영성이었다. 따라서 개혁교회의 영성은 여기서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 영성신학이 카틀릭 기반으로 보이는 것은 사람들이 신비주의적 경향에 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혁교회의 영성은 원래 구원 은혜의 확실성이라는 믿음과 이에 등반하는 삶의 현실성에 기초하고 있다. 요컨대 개혁교회의 영성은 카톨릭의 신비주의적 영성을 믿음과 삶의 현실성으로 바꾸어놓은 영성이다. 오늘도 카톨릭은 확연히 신비주의적 경향을 영성의 주류로 삼고 있다 개혁교회는 영성의 주류를 확연히 믿음과 삶의 현실성에 정초하여야 한다. 그것이 개혁교회 존재의 의의이다 그리고 그것은 분명 성육신하여 이 땅에 살다가 살찢고 피흘려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길과 일치한다. 논자는 이 두 장애를 제거한다면 개혁교회의 신학 연구자들이 영성신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명확히 영성신학이라는 이름아래, 신비주의가 아니라 믿음과 삶의 현실성으로서의 영성을 구하고, 그것을 더 명백히 하고 생활화하는 것이 개혁교회 영성신학의 斗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혁교회 영성의 이정표이다. 논자는 코메니우스에게서 그런 영성의 실제를 보았다. 그는 1,500년 세월을 이어온 신플라톤주의의 신비적 존재론을 극복하고 창조론 기반의 존재론을 수립하여 교육과 개혁의 길을 열어보였다. 신플라톤주의가 신비적 영성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신플라톤주의적 존재론을 넘어섰다는 것 자체가 영성신학적 의미를 가진다. 인식론적으로는 이성과 신앙의 분열을 넘어졌다. 그는 사물을 바라보는 명확한 인식론에서 시작해서 그 발전으로 사람의 관계를 논하며 신앙 또한 대상은 달라도 그런 명확성으로 다가가기를 시도했다. 그의 이런 인식적 태도를 받쳐내는 방법론이 바로 종합비판(Synkrisis)의 방법이다. 사물을 명확히 인식한 다음, 인간을 볼 때 자연을 버리지 않고, 다시 하나님을 바라볼 떼 인간을 버리지 않는 방식이다.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전체성을 배경으로 한 단계 상위의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그리하여 이 방법은 자연과 인간과 하나님 모두에 도달한다. 그리고 그것은 추상에로 나가는 길이 아니라 현실 가운데서 이 모든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것이 코메니우스의 사상에 들어있는 충만이다. 이 충만은 우리를 새로움 현실성에로 나아가게 하는데, 그것이 바로 개혁이다. 코메니우스는 그 체제에 있어서 열린 전체성을 가졌다 다가오는 현실은 끊임없이 이미 있는 전체성올 배경으로 하여 이해된다. 그래서 우리의 삶은 다시 끊임없이 개혁된다. 그리고 고 개혁은 우리를 모든 것을 향한 일치에로 이끈다. 이 일치는 우리에게 평화를 선사한다. 개혁은 이와 같이 일치와 평화에로 이끈다. 코메니우스는 종교개혁이 불완전한 개혁이라고 보았는데, 무엇보다 일치와 평화라는 관점에서 그런 것이었다. 코메니우스 범지학은 존재론 인식론 그리고 방법론에 걸치는 코메니우스의 영성 사상이다. 그런데 과 사상의 실친적 역동은 개혁과 일치와 평화에 미친다. 그런면에서 코메니우스의 영성차상은 전체성, 충만, 현실성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새로운 실천적 역동을 제공한다. 우리는 그 사상의 영성과 함께 실천적 역동을 수용함으로써 우리 시대의 영성사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목회 및 영적 지도만 아니라 실천의 제 요소에 영성적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사상이 바로 코메니우스의 범지학이다. 지나간 17세기의 사상으로도 보이지만, 그의 열린 전체성은 21세기의 우리가 영적으로 약동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오히려 책망의 소리를 보내는 듯하다. 영성의 명료함, 개혁교회의 영성, 그리고 그 모범으로서의 코메니우스 영성의 역동성을 본 논문은 보이고자 하였다. 논자는 이 영성신학 연구가 개혁교회 영성 정초의 방법론으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 Nowadays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previous century and greeting the new millennium, the world and the church require the solid Theology of Spirituality. However, the writer could find the barriers in developing it at ease. This study aims at transcending those barriers. The first barrier can be an inappropriate point of view to terms, 'spirituality' or 'theology of spirituality'. On one hand it is too diffuse. If 'spirituality' were related to the church affairs, it would mean a 'theology of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it is too restrictive. There has been a view that 'spirituality' should be the 'spiritual phenomenon' as it is. But the name 'theology of spirituality' must be called. Otherwise 'theology of spirituality' can be captivated at the mythicization of itself. For us to begin telling about spirituality means to finish the mythicization. So I dared to define what 'theology of spirituality' is. The basic definition of 'theology-of-spirituality' has already been existed. It is a theology about the encounter with God. The existing definitions approve this, and the Bible is the basis of this. There are the minimum elements of spirituality. They are ontological wholeness, epistemological fullness and methodological reality. 'Theology of spirituality' should have at least these 3 elements with self-consciousness about them. The history of 'spirituality' and comprehensive concept of it can be the channels which make one understand the general elements of 'theology of spirituality'. This study defines these elements as the basis to discuss 'spirituality'. The second barrier can be the worries of Reformed Church. Nowadays 'theology of spirituality' seems to be a theory of based on Catholic. Can the unique 'spirituality-theology' of Reformed Church be possible? This study will prove that it can be possible. Above all, it is obvious to the vestige of Reformers. The Reformation of Luther and Calvin is a stream which reformed the catholic mysticism akin to a superstition. Their Reformation was a brilliant spirituality at that time. Therefore, spirituality-theology of Reformed Church must begin in line with the Reformation spirituality. The reason why Christians tend to like catholic-based spirituality is that they are infatuated with mysticism. But the Reformed Church's spirituality is originally based on the certainty of grace in salvation and the reality of life. In briefly saying, the Reformed Church's spirituality is not based on mysticism, but belief and the reality of life. To these days the Catholic Church tends to adopt mysticism as the main stream of her spirituality. But Reformed Church must adopt a belief and reality as the center of her spirituality. And it accords with Christ's life. He was incarnated as a man, lived on the earth and died. I thought that if we remove the two barriers, it will make doing theology of spirituality more easy. It's our task to seek not mysticism but belief and reality under the name of spirituality-theology. And it's the milestone of protestant spirituality. I found the reality of the spirituality in Comenius. Overcoming neo-platonic mystic ontology which has been succeeded for about 15 centuries, he established creation-based ontology, and opened the way of education and reformation. The fact that he overcame the neo-platonic ontology has a meaning as a spirituality-theology. Because neo-platonic ontology is the basic of catholic mysticism. And epistemologically Comenius overcome division of belief and reason. Beginning at the clear epistemology which penetrate things, successively he dealt with the relations of men and intended to definitely recognize the object of belief. His methodology which allows this epistemological standpoint is the Method of Syncrisis. This method is what lets us recognize the more object in the background of existing wholeness. So in this method we can reach all the entity, namely the nature, humanness and God. And it is not abstract but concrete. This is Comenius' fullness. This fullness lets us proceed to reality. This procedure is reformation. Comenius has an open wholeness in schema. Coming reality is recognized continuously in the background of existing wholeness. And our life is reformed continuously. And the reformation leads us to union with all the entity. This union gives us peace. Namely reformation results in union and peace. In the view of union and peace Comenius thought that the Reformation was not perfect. Comenius' Pansophy is his spiritual thought which has ontology, epistemology and metodology. And its practical dynamics reach the reformation, the union and peace. Thus his spiritual thought not only fulfills wholeness, fullness and reality, but alsd give us new practical dynamics. Receiving the practical dynamics with his spirituality, we can use it as our contemporary spiritual thought. Comenius' Pansophy is able to be seen as a bygone thought of 17th century. But it seems that his open wholeness blames us for the laziness in the view of spiritual dynamics. In this study I intended to show the clarity of spirituality, reformed church's spirituality and Comenius' thought of spirituality as a model. I wish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rks as the methodological basis of the Reformed church's spirituality.

      • August Hermann Francke의 신학인식과 교회봉사 실천의 상관관계 고찰

        박해숙 영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15

        한국기독교 역사는 선교사들의 복음전파와 함께 '민족을 위한 기독교 지도자 양성'이라는 뚜렷한 사회갱신의 의지를 담고 출발한 것이 사실이다. 1884년 기독교 전래와 더불어 한국 기독교의 역사가 120여년의 세월을 지나면서 이러한 사회갱신의 기능과 역할 면에서는 다소 약화 되었고 소극적이 된 반면에 개교회적인 성장 면에서는 지대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자타가 인정하고 있는 상황이라 여겨진다. 더구나 1998년 한국사회는 세계외환위기를 경험하면서 경제, 사회, 정치의 다방면으로 움츠려지고 위축되면서 '지도자 부재론'이 지속적인 사회의 화두로 등장했다. 이러한 사회의 전반적인 위축은 곧 바로 한국교회 기독성의 허약함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사회의 지도자 부재에 관한 이해는 항상 기독교 문화와 내용이 사회전반에 대한 실효성이 매우 허약함을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전래와 더불어 한국사회는 '민족 지도자 양성'이라는 내용을 늘 사회적으로 반영하여 왔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기독교의 대사회적 역할 및 기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면 어김없이 그리스도교 신학과 교회의 존재론적 중심 과제 안에 '기독교적 지도자'의 문제와 내용이 늘 새롭게 재조명되곤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의 발전과 신학은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교회와 신학의 사명을 '교회와 세상' 이라는 정확한 주제로 이끌어 내고 있다고 보여 진다. 이렇게 현대신학과 교회의 주체적 역할이 대 사회적인 사명과 세상 구원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이때에 한국교회 문화 전반에서 아직은 개 교회 성장과 발전에 치중하고 있는 신학의 편협성과 교회발전의 지역적 편중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과 신학논쟁들이 이루어져야만 하겠다는 염려와 기대로 이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한국사회의 현실은 경제위기의 영향과 더불어 '자살증후군' 증상이 현저히 늘어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자살률이 높았던 유럽 국가들에서는 그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 2002년 세계보건기구의 조사에서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OECD회원국 가운데 10위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러한 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의 발전은 교회의 문화가 사회질서와 사회전반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상황과 사회적 불안요소가 사회전반의 문화를 장악하고 형성하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확실한 기독 종교성이 사회에 대한 강한 기능을 하기 보다는 오히려 불안한 경제상황과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갈등 등이 인간 존재와 사회상황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는 반증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때에, 한국교회와 신학이 사회의 부정적 영향과 내용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희망 있는 미래를 제시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신학탐구의 당위성이 본인으로 하여금 이 주제를 다루게 하였다. 이 주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가장 주요하게 인식되는 과제가: ① '신학이론과 신학실천'이 하나의 목회자의 인격 안에서 '통합(Vereinigung)' 과정으로 발전하는데 상당히 미진한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는 사실이며, ② 인격과 신학의 통일체적인 역동력 보다는 오히려 목회의 프로그램적 발전으로 교회의 발전이 세속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③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케의 일생에서 신학함→신학됨과 인간의 변혁→신학됨의 증거와 교회 봉사와 세계 변화라는 구체적인 신학 탐구와 신학적 인격, 그리고 신학적 삶이 확실한 신학인들의 푯대가 된다는 사실이다. 이 세 가지의 주요한 연구의 과제가 이 논문의 핵심 질문으로 그 해답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될 것이다.

      • 텍스트 해석과 실천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 설교의 신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김영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15

        국문초록 및 주제어 텍스트 해석과 실천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 설교는 텍스트-설교자-실천적 공동체의 지평 융합으로서의 설교로서, 성경 텍스트의 해석을 통해 실천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신학적 실천이다. 텍스트 지평과 설교자 지평, 그리고 실천적 공동체의 지평은 그 상호 관계와 해석학적 대화 속에서 지평 융합을 이룬다. 설교자는 전유적 해석을 통해 성경 텍스트와 지평융합을 이루게 되고, 또한 설교자는 공동체의 실천적 삶을 통해 실천적 공동체와 지평 융합을 이루게 된다. 첫째로, 전유적 해석을 위한 텍스트의 특성은 경계성, 타자성, 변혁성, 실천성이다. 텍스트의 경계성이란 혁신적인 변화의 가능성이 열리는 공간을 말한다. 이 경계성의 공간에서 기존의 인식을 뒤집는 해석과 동시에 새로운 창조적인 인식의 전환이 일어난다. 텍스트의 타자성이란 해석자인 설교자가 텍스트와의 거리감을 극복하고, 텍스트를 타자로서 만날 때 새로운 지평이 열리는 것을 말한다. 해석자는 이미 자기에게 주입되어 있는 기존의 인식과 해석학적 관점이 아닌, ‘타자’로서 다가오는 텍스트의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이 타자성은 사회적 삶의 전체 영역으로 확대되어 사회 속에서 기존의 질서를 뒤집는 사랑과 헌신의 실천으로 인도한다. 텍스트의 변혁성에서는 텍스트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변혁적인 특성과 더불어 텍스트의 전복적인 특성을 말한다. 변혁적이고 전복적인 텍스트는 해석자의 기대지평을 전복시키고, 성경 텍스트가 제시하는 대안적인 삶을 선택하게 만든다. 이렇게 텍스트는 실천과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텍스트와 실천의 이분법적 경계를 극복하는 것이 한국교회의 ‘실천의 부재’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묘안이 될 수 있다. 둘째로, 실천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텍스트 해석과 설교의 특성에서 전유를 위한 텍스트 해석의 관점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십자가-부활의 해석학적 관점은 비움과 포기, 그리고 새롭게 열리는 창조적인 미래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해석자가 텍스트를 해석하는 관점이 아닌, 텍스트가 해석자를 해석하는 관점으로 성경을 해석하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자율성-겸손의 통합적 해석관점에서는 폴 리쾨르의 텍스트의 자율성 개념과 캐빈 밴후저의 겸손과 확신의 해석학을 변증법적으로 통합하였다. 텍스트의 자율성은 성경적이고 긍정적이며 건설적인 방향성으로서의 자율성이어야 하고, 설교자는 확신을 가지고 설교하되 항상 자신의 설교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반성해야 한다. 성경 텍스트에 대한 신뢰와 존중은 설교자의 마땅한 자세로서, 성경 텍스트에 너무 단순하게 접근하거나, 성경을 보조 도구화하는 자세가 아닌, 경청과 기대의 자세가 필요함을 말한다. 이러한 실천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텍스트 해석의 관점에 근거한 설교는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진다. 먼저 은유적 해석은 창조적 상상력을 열어준다. 왜냐하면 은유는 언어의 순간적인 창조물이며 의미론적 혁신이기 때문이다. 은유적 언어 안에서 의미의 전복이 일어나게 되고, 해석자는 기존의 세상에 대한 이해가 뒤집히며 성경 텍스트가 제시하는 전혀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전유를 위한 설교는 단순히 인식론적 전환에 그치는 설교가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서 존재론적 사건으로서 삶의 변화를 일으키는 설교이다. 그러므로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삶과 인격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고, 이는 사회와 문화 변혁으로 확대된다. 전유된 세계를 열어주는 설교는 이차적 믿음으로 나아가는 설교이고, 텍스트 앞의 세계를 선포하는 설교이다. 이 과정을 통해 해석자는 새로운 자기 이해를 통해 텍스트가 제안하는 실존으로 변화를 결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전유를 위한 설교는 교리와 실천의 균형을 이루는 설교이다. 그러므로 설교자의 의무는 회중들로 하여금 진리를 알게 해서 그 진리로 변화되게 하는 것이고, 이 변화는 바른 실천으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로, 실천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해석과 설교를 통해 형성되는 실천적 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파스카 공동체, 타인을 위한 윤리 공동체, 저항 공동체, 그리고 희망 공동체를 제시한다. 파스카 공동체는 부활절 상상력을 선포하는 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부활의 열린 사건 안으로 참여함으로 활성화된다. 그러므로 파스카 공동체는 부활의 삶을 살아가는 공동체이며, 부활의 의미를 채워가는 공동체이다. 타인을 위한 윤리 공동체는 공적 교회로서 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공동체이다. 문화의 지배의식을 분석하고 대안의식을 불러 일으켜, 그 사회와 문화에 참여와 변혁을 감당하는 공적 교회의 특성을 가진 공동체는 타인을 향해 열린 공동체이고 타자를 위한 교회이다. 이 공동체는 공적영성으로 세상과의 분리가 아닌 세상을 향해 다리를 놓는 재연결 사역을 끊임없이 감당하는 사회적 참여 공동체이다. 더 나아가서 이런 공동체는 비폭력적 저항으로서의 예언자적 공동체의 특성을 지닌다. 세상의 권세들에 대한 저항을 통하여 하나님의 질서를 선포하는 공동체이고, 예언자적 상상력을 가지고 사회적 관심과 책임을 다하는 실천 공동체이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는 종말론적 실천 공동체이다. 하나님의 통치의 목적과 의도의 빛 아래에서 성경을 읽고 해석하며, 이미 시작되었지만 미래에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대망하며, 이 세상을 향하여 하나님의 새로운 질서를 선포하는 공동체이다. 본 논문은 설교 준비와 선포에 있어서 성경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관점에서의 성경 해석이 열어주는 풍성하면서도 새로운 세계를 인식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한국교회 설교가 말씀의 실천에 대한 강조가 적고, 삶의 현장에서의 말씀의 구현이라는 부분이 약하다는 비판을 받는 상황 속에서 설교의 실천성과 실천적 공동체 형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비록 본 논문이 한국교회 강단의 많은 문제점을 다 해결하는 만능키가 되지는 못할지라도, 한국교회가 실천성을 회복하여 세상의 빛과 소금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는데 있어서 작은 부분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in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Sermon that Interprets the Text and Builds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Kim, Young Kyu Dep. of Worship & Preaching Presbyterian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The Christian sermon that interprets the Bible and builds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is a sermon that fuses the horizons of text, preacher, and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It is a theological practice that forms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 horizons of text, preacher, and practical faith community are combined to form the fusion of horizons within their correlations and appropriation of interpretation. The preacher achieves the fusion of horizon with the text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an interpretation; furthermore, the preacher achieves the fusion of horizon with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through the practical life of faith community.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ext that appropriates an interpretation are liminality, otherness, innovativeness, and practicality. Liminality of text implies a space where the potential of drastic and transformative changes is untapped. In this space of liminality, a creative paradigm shift, which overturns previous ways of understanding, occurs. The otherness of text means the opening of a new horizon for a preacher. As an interpreter, a preacher must overcome the gap between text and oneself; when preacher meets the text as other, a new horizon unfolds. An interpreter must pay attention to the message of text (other) and be careful not to interpret the text based on one’s pre-existing ideas and hermeneutical perspective. This otherness found in text eventually expands to social life and guides a Christian to practice love and commitment that overturns the established order. Innovativeness of text shows the transformative and subversive characters of text. Transformative and subversive text subverts the interpreter’s horizon of expectation and leads to an alternate lifestyle presented by the Bible texts. The text is never separated from practice; rather, text naturally manifests itself through practice. Therefore, overcoming the dichotomy of text and practice by embracing innovativeness found in the text could help the churches in Korea to overcome their enduring problem of being ‘absent from reality’ and lacking practical applications of faith. Secondly, perspective of the text exegesis that builds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and the sermon which embodies interpretation that appropriates the text can open up the new horizons of understanding. A hermeneutical perspective of cross-resurrection opens up new horizons of kenosis, abandonment, and new creative future that is about to unfold. To make sure that these perspectives become catalysts of new horizons, perspectives must go through paradigm shifts of their own. An interpreter cannot interpret the text; rather, one must come to understand the text is interpreting the interpreter. The hermeneutic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of autonomy-humility dialectically unites Paul Ricoeur’s concept of autonomy and Kevin J. Vanhoozer’s hermeneutics of humility and conviction. The autonomy of text must be biblical, positive, and constructive in its nature. A preacher must have conviction in his/her own sermon, but a preacher should be able to critically reflect own sermons also. Trust and respect toward the biblical texts should be the attitude of every preacher; here, trust and respect imply preacher must not approach the texts too simplistically nor consider the texts as mere tools to make a point or two. A preacher must listen carefully and expectantly to what the Bible has to say. A sermon stemming from the hermeneutical perspective which helps to build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should have the following traits. Metaphoric interpretation inspires creative imagination. Metaphor is at once language’s instantaneous creation as well as semantic innovation. Within an metaphoric language, the meaning is subverted and interpreter experiences the transformation of his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e interpreter now experiences a totally new world presented by the biblical texts. Moreover, the sermon that is intended for appropriation does not simply end by bringing about an epistemological shift; rather, it becomes an ontological experience that transforms a person’s life. Therefore, sermon strives to change life and person through the word of God. The changes initiated by sermon naturally extends to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 sermon that opens the door of the world of appropriation is a sermon that marches onto the second naivete. It is a sermon that declares the world in front of the text. Through the hermeneutical process, interpreter gains new self-awareness and chooses to transform oneself (which is suggested by the text). Finally, the sermon that is intended for appropriation is a sermon that strikes balance between doctrine and practice. The responsibility of preacher is to communicate truth to a congregation and inspire congregation by that truth. The truth will bring forth freedom and transformation into peoples’ lives; this transformation will lead to orthopraxis. Thirdly, the practical faith community formed by such hermeneutics and sermon are characterized by being a Pascha community, being an ethical community that looks after others, and a community of resistance and hope. Pascha community is a community that declares Pascha imagination. Pascha community is activated by participating in the open revelation of resurrection. Therefore, Pascha community is a community that lives the life of resurrection. Pascha community completes the meaning of resurrection in a believer’s life. An ethical community for others is a public church that fulfills its ethical obligations. An ethical community analyzes the prevailing culture’s royal consciousness and inspires alternative consciousness. Consequently, a community is characterized by the identity of the church in public. The church in public participat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s an open community that embraces others and serves others. This community is a platform for public theology and spirituality that re-connects the church to the world. Additionally, this community is also a prophetic community of nonviolent resistance. This community resists against the powers that be in this world and declares God’s reign. It also fulfills soci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with prophetic imagination. Finally, the practical faith community is an eschatological community that practices and proclaims the Kingdom of God. The practical faith community reads and interprets the word of God through the salvific and redemptive prism of God’s will and promises. It expectantly waits for the Kingdom that is already come and not yet arrived. The practical faith community proclaims God’s new order to the world. While this study reinforces an important role of hermeneutics in a sermon, the study also encourages preacher to open up one’s eyes and ears to see the new horizons of understanding created by different and colorful perspectives of interpreting the Bible. Right now, sermons that are being heard around the churches in Korea are criticized for their neglect of practical application. It is quite rare to see the Word of God being manifested in a daily setting. In light of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will perhaps become a useful reminder that reiterates the importance of the sermon’s practical applicability and the sermon’s role in creating an practical faith community. The author acknowledges that a paradigm shift in sermons alone will not be able to solve all the problems that plague Korean churches today; however,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hope of restoring Korean churches to live out their faith,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hurch’s mission to be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 17~18세기 유럽 디아코니아를 통해 본 한국교회 디아코니아 실천에 관한 연구

        김윤기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1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회가 섬김과 봉사 즉, 디아코니아 실천에 등한시함으로 공신력을 잃고 사회적으로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17∼18세기 유럽 경건주의 시대의 디아코니아 실천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디아코니아 실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디아코니아 실천은 사랑의 섬김 사역이다. 디아코니아는 하나님의 사랑을 상실한 세상에 하나님의 자비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며, 단순히 구제하는 것만이 아닌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 방법이다. 교회를 의미할 때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섬김(diakonia)이라는 말이다. 디아코니아는 교회와 제자 됨의 본질이고, 영광스런 직분이며,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서 하나님 사랑의 열매이다. 그러므로 사랑으로 세상을 섬기고 지역사회를 섬기는 “섬김-디아코니아”는 곧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요, 하나님을 사랑하는 거룩한 행동이다. 오늘날 세상은 교회와 제자들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하여 하나님을 볼 수 있게 되고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다.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해 세상은 하나님의 나라가 될 것이며, 교회는 거룩한 공동체가 될 것이다. 이처럼 디아코니아 실천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사랑으로 거룩한 사랑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하나님의 거룩한 구원 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디아코니아에 대한 어원적 고찰과 성서,신학적 고찰을 하였고, 이어 17∼18세기 유럽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연구에서는 기독교 윤리 신천 운동에서 지난 16년(2003∼2018) 동안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회상”을 수상한 132개 교회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아코니아 실천 교회들의 특성과 실천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늘날, 교회와 예수의 지체들은 복음을 전하고 말씀을 실천함으로써 예수를 세상에 보여 주어야 한다. 세상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그들의 디아코니아(diakonia)로 보이게 될 것이다. 디아코니아는 하나님을 볼 수 없는 세상에 생명의 빛을 비추는 것이며, 눈으로 볼 수 없는 하나님을 세상에 보여주는 복음 사역이다. 오늘날 세상은 교회와 제자들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하여 하나님을 볼 수 있게 되고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다.

      • 대만교회 청명절 추모예식의 토착화에 대한 신학적 연구

        담안유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논문은 기독교 추모예식 중 대만교회 청명절 추모예식의 예전적 토착화에 대해 신학적 연구를 다루고 있다. 기독교 예전에 있어서 토착화는 필연적인 과정이며, 어느 문화권에서든 그 민족의 심성에 맞는 예배와 예전은 필수적이다. 이에 논자는 우선 종교 의례와 기독교 예배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기독교 추모신학에 대한 흐름을 초대교회의 순교자 폴리캅에 대한 추모와 만성절에 대해서 설명한 후, 같은 유교적 ‘효’(孝)의 정신과 제사의 실천이 추모예식으로 토착화된 한국교회 추모예식의 신학과 실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필자는 대만교회의 청명절 추모예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중국의 조상추모 제의의 정신과 현대 대만에서의 실천을 우선적으로 소개하였고, 대만교회가 청명절과 가까운 주일을 청명절 주일예배로 정하여 별세한 이들에 대한 추모의 순서를 진행하는 경우와 객가(客家)인 그룹에서 선교적인 이유로 기제사의 형식을 예전적 토착화를 하여 설계한 추모예식인 ‘경조삼례’(敬祖三禮, 조상을 공경하는 세 가지 예식)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토착화에 대한 다양한 단어들을 정리하였고, 앤스카 추풍코(Anscar J. Chupungco)의 방법론을 소개하면서 그의 방법론으로 청명절 추모예식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대만교회의 청명절 추모예식을 위한 신학적 방향성과 실천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며 본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liturgical Inculturation of the QingMing Festival(清明節) Ancestral Memorial Service of Taiwan Christian Church. In the Christianity of the past, Inculturation was an inevitable process. In any culture, worship and rites that fit the hearts of a people group are essential. Accordingly, this research first explained the differences between religious rituals and Christian worship. This research then transition to elaborating on the flow of Christian memorial theology, the memorial to the martyr Polycarp of the early church and the All Saints’ Day. And then the memorial service of the Korean Church which shares the same Confucian spirit of filial piety and its practices, in which the rites of ancestral memorial rites was inculturated. This research then proceeded to introduce the spirit of Chinese ancestral memorial rites and practices in modern Taiwan in order to describe the ancestral memorial of the QingMing Festival of the Taiwan Christian Church. ‘JingZuSanLi’(敬祖三禮, three ceremonies to honor the ancestors), a memorial ceremony designed by inculturate the form of ancestral memorial rit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ntroduced various terminology for Inculturation and Anscar J. Chupungco's methodology which this research then used to evaluate the memorial service of QingMing Festival memorial service. Lastly, this research concluded by presenting three theological directions: 1. Memory and Gratitude for God's Work; 2. Remembering the Hope for the Resurrection; 3. Consolation and Fellowship of Family and Members and three suggestions for practice for the QingMing Festival Ancestral Memorial Service of the Taiwan Christian Church: 1. Remembering the Virtue of Our Ancestors in the History of God's Grace; 2. Resistant to the Movement of Sacrifices and Shows Christian Memories; 3. ‘The Fellowship of the Saints’ as a Consolation Meeting. 本論文在論述有關基督教追思禮儀中台灣教會清明節敬祖儀式的禮儀本色化(Liturgical Inculturation)之神學省思。 本色化在基督教禮儀中是必然的過程。無論是在那一個文化圈裡,一個合乎民族性的禮拜與禮儀是必須的。因此作者首先談論了宗教禮儀與基督教禮儀-禮拜的差異,並以初代教會對坡旅甲(Polycarpus)的追思與萬聖節做了背景說明,再分析了同樣生活在儒教文化圈中並從教會宣敎初期開始時就因儒敎「孝」的精神將祭祖儀式本色化為追思禮儀的韓國教會追思禮儀之神學與實踐。 本論文後來為了切入台灣教會清明節敬祖禮儀而將中國祭祖的精神與當代台灣的實踐做了背景說明,並介紹了台灣教會在接近清明節的主日禮拜中進行追思的個案與客家基督徒族群中設計出來的「敬祖三禮」。接著本論文為了切入本色化而整理的相關用語,且介紹了Anscar J. Chupungco的禮儀本色化方法論,並用此方法論評價了清明節敬祖禮儀。 最後,本論文為台灣教會清明節追思禮儀提出了「記念並感謝神的工作」、「牢記復活的盼望」、「家人與聖徒的安慰與交通」等三項神學方向性,並為實踐做出了「在神的恩典與工作中紀念祖先之德」、「避免祭祀的動作並顯示基督教方式的追思」、「『聖徒相通』的安慰聚會」等三項建議。

      • 한일 ‘화해와 용서’ 신앙 회복을 위한 기독교 실천 방안 연구 :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 사례를 중심으로

        윤종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99

        한국교회는 한일 양국의 정치적 목적과 이해관계, 일제 강점기의 역사적 사실로 인한 감정적인 대응이 아닌 미래 세대를 위한 비전으로 기독교적 가치를 담은 화해와 용서를 실천해 나가는 것이 하나님 나라 건설이라는 것을 각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해와 용서의 신앙 회복을 위한 성서·신학적 개념을 정립하고 한일 화해와 용서 개념을 선교사(史)적으로 고찰하고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기독교적 실천방안으로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 경험을 탐색하였다. 화해와 용서 개념 정립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성서·역사·신학적 이해를 고찰하고, 기독교적 실천적 방안 제시를 위한 사례연구로 일본 나가사키시성지순례 경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눈덩이 표본추출법으로 선정된 3개 교단, 9명의 타지역 성지순례 를 참여하고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를 경험한 목회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Colaizzi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결과로 77개의 구성의미, 33개의 주제, 14개의 주제군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기독교적 실천을 위한 1) 거시적 측면으로 화해와 용서의 성서·신학적 개념을 정립하고, 한일 선교역사를 통해 화해와 용서를 위한 공존과 상생의 인식을 정립하며,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실천방안으로 성지순례개념을 재정립하며, 2) 미시적 측면으로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성서·신학적 인식개선, 한일 교류사 교육과 인식개선,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경험의 의의 인식, 3) 실천적 방안으로 한일교회의 신학적 교류, 한일교회의 선교적 교류,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 참여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사례연구는 3개 교단, 9명의 목회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여 그 한계가 있지만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의 경험이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시발점으로 유의미한 역할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방안으로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 참여 경험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일 화해와 용서를 위한 한국교회의 기독교적 실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일본 나가사키시 성지순례를 위한 자료로서 실천적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핵심어 : 한일 화해와 용서, 성지순례, 나가사키 성지순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iblical and theological concept for the restoration of faith in ㄱ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nd to examine the concept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as a missionary. As a practical christian action, the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pilgrimage to Nagasaki, Japa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the Bible, history,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were considered as theoretical background, and pilgrimage experiences in Nagasaki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o suggest a practical plan for Christianity.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3 denominations and 9 pastors who experienced pilgrimage to other regions were selected and their data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with the Colaizzi method, 77 constituent meanings, 33 subjects, and 14 subject groups were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ilgrimage to Nagasaki was more meaningful for the participants than another pilgrimage to other regions because of the closeness of Korea-Japan history. Seco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challenge and maturity in faith. Third, they considered th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aspects for the Christian practice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are as follows: 1) In macroscopic aspect, the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of biblical and theological concepts, and the recognition of coexistence and cohabitation through the missionary history of Korea and Japan. In addition, the concept of pilgrimage was reestablished as an action plan. 2) In microscopic aspect, the study dealt with improving biblical and theological awareness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education and improving awareness of history of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pilgrimage experiences in Nagasaki. 3) As a practical method, the theological and missionary exchange of the Korean-Japanese church and the pilgrimage to Nagasaki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pilgrimage to Nagasaki as a Christian practice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in Korea and Japan and restoration of fait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ilgrimage worked as a starting point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lso,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Korean church suggested participation in the pilgrimage to Nagasaki as a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method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aterials for Christian practice to Korean churches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practical help as a material for pilgrimage to Nagasaki. Keyword :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Pilgrimage, Pilgrimage to Nagasak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