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슬리 표준설교에 나타난 경건의 3요소 고찰을 통해 본 한국교회 경건 회복과 훈련에 관한 연구

        박광표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695

        웨슬리는 성도들의 적극적 사회참여와 사회구조개혁에 동참을 독려했다. 이는 교회와 사회의 이분법적 단절을 고수하던 전통적 교회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다. 그는 “기독교는 근본적으로 사회적 종교로서, 만일 이것을 사회와 고립된 종교로 만들면 교회는 사라진다”고 했다. 웨슬리의 경건은 관념이 아니라 교회의 존재 방식과 신자들의 사회적 연계 속에서 탄생한 것이다. 그리고 웨슬리는 이 사회적 성화를 이루는 기초를 표준설교 안에 경건의 3요소로 담아 놓은 것이다. 웨슬리는 삼위 하나님이 유기적 연합으로 교회의 공동체를 돌보는 것처럼 경건의 3요소(교리, 영, 훈련)의 훈련을 통한 유기적인 연합이 교회 공동체의 경건을 회복하고 성결한 공동체로 만든다고 본 것이다. 그래서 교리, 영, 훈련을 강조했고 경건의 3요소 중 어느 것 하나만 가지고는 성결한 삶을 이룰 수 없다고 본 것이다. 경건의 3요소가 유기적인 관계 안에서 하나의 완전한 공동체를 이룰 때 비로써 경건의 능력을 회복한 성결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다. 웨슬리는 기존 정통교회에서 칭의에 한정하던 신학을 성화신학으로 발전시키다. 행위가 따르지 않는 경건은 실제적인 경건이 되지 못한다고 말한다. 단순히 선한 행위가 그리스도의 정신을 실천하는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영적인 상태를 심화시키는 수단이고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방편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선한 행위는 경건의 행위에 부가되는 부차적인 것이 아니고 오히려 경건을 신자의 삶에 적용시키는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은혜의 방편이 되는 것이다. 즉, 웨슬리는 선한 행위를 경건행위와 똑같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는 수단으로 보았을 뿐 아니라, 경건의 목적으로 보고 경건을 이루기 위한 선한 행위를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Wesley encouraged the believers to participate in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tructural reform, which is a criticism of the traditional church worldview that adhered to the dichotomous disconnection between church and society. He said that ⁇ Christianity is fundamentally a social religion, and if it is made into a religion isolated from society, the church disappears. ⁇ Wesley's piety was born not from ideas but from the way the church exists and the social connection of believers. And Wesley puts the foundation of this social sanctification into three elements of reverence in standard sermon. Wesley sees that the organic unity through the training of the three elements of godliness (docrine, spirit, and training) restores the godliness of the church community and makes it a sanctified community, just as the Triune God takes care of the church community through organic unity. So I emphasized doctrine, spirit, and training, and I can not achieve a holy life with only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godliness. When the three elements of godliness form a complete community in an organic relationship, it becomes a sanctified Christian who restored the power of godliness. Wesley developed the theology that was limited to justification in the existing Orthodox Church into sanctified theology. It is said that godliness without action is not a real godliness; it is not simply a means to practice the spirit of Christ, but a means to deepen our spiritual state and to experience God's grace. Therefore, good deeds are not secondary to the act of godliness, but rather a concrete and practical means of grace that applies godliness to the believer's life.In other words, Wesley not only saw good deeds as a means of receiving God's grace just like pious deeds, but also saw them as a goal of godliness and said that training for good deeds was necessary to achieve godliness.

      • 17~18세기 유럽 디아코니아를 통해 본 한국교회 디아코니아 실천에 관한 연구

        김윤기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회가 섬김과 봉사 즉, 디아코니아 실천에 등한시함으로 공신력을 잃고 사회적으로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17∼18세기 유럽 경건주의 시대의 디아코니아 실천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디아코니아 실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디아코니아 실천은 사랑의 섬김 사역이다. 디아코니아는 하나님의 사랑을 상실한 세상에 하나님의 자비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며, 단순히 구제하는 것만이 아닌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 방법이다. 교회를 의미할 때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섬김(diakonia)이라는 말이다. 디아코니아는 교회와 제자 됨의 본질이고, 영광스런 직분이며,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서 하나님 사랑의 열매이다. 그러므로 사랑으로 세상을 섬기고 지역사회를 섬기는 “섬김-디아코니아”는 곧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요, 하나님을 사랑하는 거룩한 행동이다. 오늘날 세상은 교회와 제자들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하여 하나님을 볼 수 있게 되고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다.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해 세상은 하나님의 나라가 될 것이며, 교회는 거룩한 공동체가 될 것이다. 이처럼 디아코니아 실천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사랑으로 거룩한 사랑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하나님의 거룩한 구원 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디아코니아에 대한 어원적 고찰과 성서,신학적 고찰을 하였고, 이어 17∼18세기 유럽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연구에서는 기독교 윤리 신천 운동에서 지난 16년(2003∼2018) 동안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회상”을 수상한 132개 교회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아코니아 실천 교회들의 특성과 실천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늘날, 교회와 예수의 지체들은 복음을 전하고 말씀을 실천함으로써 예수를 세상에 보여 주어야 한다. 세상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그들의 디아코니아(diakonia)로 보이게 될 것이다. 디아코니아는 하나님을 볼 수 없는 세상에 생명의 빛을 비추는 것이며, 눈으로 볼 수 없는 하나님을 세상에 보여주는 복음 사역이다. 오늘날 세상은 교회와 제자들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하여 하나님을 볼 수 있게 되고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다.

      • 윌리암 J. 시무어(William J. Seymour)의 오순절 영성과 설교 신학 고찰

        박희상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ology and direction of the Korean Assemblies of God in the crisis of the post-modern er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pirituality and preaching theology of William J. Seymour, the early theologian who can be called the beginning of the American Pentecostal revival movement,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seeks alternatives. The Korean Congregation of God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revival in the world since the 1960s, but faced a crisis in the post-modern era with COVID-19.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hristianity has become an unethical and unethical religion and has become a subject of social criticism. The image of pastors and churches has been lost due to various disputes, corruption, hereditary problems, ups and downs, growthism, successism, selfish commercial church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corruption, hereditary and office trade, sexual degradation, unbiblical behavior and ministry. As Christianity's image has been tarnished, various pseudo-religions, alternative religions, and heretical editorials have appeared, further confusing the church. Korean society has been divided into two parts. However, there is a church in the place of this conflict, and rather than being a social integration and alternative, it has become the center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Preaching is also a crisis. The preacher's own life has become a sermon that can not give influence by using it as a means of ministry to carry out his purpose or will, not a sermon that conveys the will of the Lord, inconsistent with what he preached. And they are suffering from spiritual superiority due to personal-oriented faith, hurting neighbors and society, and suffering from extreme personal, exclusive and supremacy. The image of the Pentecostal movement has been tarnished by degrading the Holy Spirit as a tool to show individual superiority as a means of divine healing or blessing. Therefore, new alternatives were found through Seymour's Pentecostalism, spirituality and preaching theology The thesis is composed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ymour's spirituality, the beginning of the American Pentecostal revival movement. The spirituality consists of three characteristics: sin and salvation, the nature and work of the Holy Spirit, and spirituality of the church. There are five characteristics: justification through faith, complete sanctification, gifts and tongues, atonement and healing, and the imminent return of Christ Third, Seymour proposed the Korean Church of Go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and theology. First, for the restoration of Pentecostal spirituality, alternatives were suggested from the relief faith to the life of true sanctification, from the charismatic to the spirituality of the use of gifts, and from the missionary spiritual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ministries of lay people. The next is preaching focusing on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preaching using gifts that are easy and applicable to the audience, and preaching as a practice of life in theoretical preaching through application and suggestion of preaching theology. Finally, as a proposal for spiritual recovery for practical confession, it is true conversion and spiritual prayer, active confession of faith in formal sacraments, and active prayer spirituality of social participation in dialect prayer. As a result, the spirituality of Pentecost and the restoration of preaching theology make all the strengths and goals of Pentecost to the ultimate goal of Pentecost, world salvation and world mission, and restore publicness and move beyond individual spirituality to transformation through community and social participation.Therefore, we must achieve the salvation of society by exercising the influence of the gospel of Jesus. 본 연구는 미국 오순절 부흥 운동의 초기 신학자 윌리엄 J. 시모어의 영성과 설교 신학을 고찰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시대의 위기 속에 있는 오순절 하나님의 성회 영성과 설교 신학의 뿌리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오순절 교회의 초석을 놓은 윌리엄 J. 시모어(William J. Seymour)의 오순절 주의, 영성 신학 그리고 설교 신학을 고찰해보고 현재 직면한 한국 오순절 교단에 적용할 부분을 찾아 대안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미국 오순절 부흥 운동의 시작인 시모어의 영성의 특징을 살펴본다. 그의 영성 신학은 죄와 구원, 성령의 본성과 역사, 교회에 관한 영성, 이렇게 3가지 신학적 특성으로 구성된다. 둘째, 시모어의 설교 신학이다. 시모어의 설교 신학의 주제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 온전한 성화, 은사와 방언, 속죄와 치유, 그리스도의 임박한 재림, 이렇게 5가지 설교 신학 주제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시모어의 영성과 설교 신학의 특징을 통해 한국 오순절 하나님의 성회에 적용할 부분을 크게 3가지로 차원, 즉 오순절 영성 회복, 오순절 설교의 회복, 오순절 실천적 고백을 위한 기도 회복이다. 연구자는, 첫째, 오순절 영성의 회복을 위하여 3가지 차원, 즉, 기복신앙에서 참된 성화의 삶으로, 은사주의에서 은사를 활용하는 영성으로, 그리고 평신도의 다양한 사역 참여를 통한 선교적 영성으로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오순절 설교의 회복을 위한 3가지 제안, 즉,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에 초점을 둔 설교, 청중에게 쉽고 적용 가능한 은사를 사용하는 설교, 이론적 설교에서 삶의 실천으로 설교를 제안하였다. 셋째, 실천적 고백을 위한 영적 회복에 제언으로는 3가지, 즉, 진정한 회심과 영적 기도, 형식적 성례전에서의 적극적인 신앙고백, 방언 기도에서 사회 참여적 기도 영성의 회복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오순절의 영성과 설교 신학의 회복은 오순절의 궁극적인 목표인 세계 구원과 세계 선교로 만들고 교회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개인의 영성을 넘어 공동체와 사회적 참여를 통한 변혁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였다.

      • 루터의 교회음악 신학으로 본 한국교회 예배음악 고찰

        정숙희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695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Korean church worship music through the lens of Luther's theology of church music, reflecting on its current state and realities while proposing a new direction for Korean church worship music.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delves into the biblical, historical, and theological theories of worship music, Luther's musical perspective, the background shaping his views on music, music philosophy, music theology, worship philosophy, and the evolution of church music. Furthermore, it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and issues of Korean church worship music. The study raises the following issues within Korean church worship music through case studies: Firstly, worship music should be spiritually based on Scripture and theology. Secondly,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educating and training church music professionals for worship. Thirdly,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the availability of scripturally grounded hymn lyrics. Currently, Korean church worship music lacks proper guidelines for selecting hymns for worship. The absence of standards in worship music has led to the inclusion of many hymns that are not suitable for worship.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Korean church worship music based on the theological principles of the religious reformer, Luther,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e structur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I, Introduction, outlines the research objectives, previous studies, research methods, and scope. Chapter II reviews the historical theories of worship music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worship music. Chapter III examines Luther's theology of music and compares it with Luther's worship music. Chapter IV assesses the current status and realities of Korean church worship music. Chapter V conducts case stud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Korean church worship and worship music, focusing on regional and denominational differences through interviews with pastors. Chapter VI explores the direction of Korean church worship music based on Luther's music theology and provides practical alternatives. Chapter VII, Conclusion, summarizes the content explored throughout the study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church worship music.

      • 니콜라스 쿠자누스의 수학적 신학 : 「De docta ignorantia」를 중심으로

        최원석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수학자이자 신학자였던 니콜라스 쿠자누스가 어떻게 신과 우주와 그리스도를 이해하였는가를 연구하는 데 있다. 특히 쿠자누스의 대표작인 「무지의 지(De docta ignorantia)」는 수학적 신학의 의미 있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총 3권으로 이루어진 「무지의 지(De docta ignorantia)」는 1권은 하나님을, 2권은 우주를. 3권은 그리스도를 수학적 기호를 써서 나타내려 하였다. 본 논문은 「무지의 지(De docta ignorantia)」에 대한 수학과 신학의 학제적인 분석을 통하여 쿠자누스의 수학적 신학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한다.

      • 생명 개념에 대한 역사신학적 연구 : 요한복음에 나타난 생명을 중심으로

        엄정현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신적 생명의 신학적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사 전반에 걸쳐 생명에 대한 신학적 이해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그리스도는 스스로를 생명이라 주장하셨다. 그리스도는 곧 생명이시며, 이 생명은 신성하고, 하늘의 것이며, 불멸하며, 영원하다. 본 연구는 초기 교부들, 종교개혁가들, 현대 영적 지도자들의 생명에 대한 이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명이 기독교 신앙에서 중심 신학 주제로 자리 잡아온 과정을 탐구한다. 생명은 단순히 생존이나 존재를 넘어선 것으로, 하나님과의 교제를 통해 받는 영적이고 영원한 선물로 이해되어 왔음을 강조한다. 또한 이 주제가 신학적 사상과 교회 실천에 미친 구체적 영향을 검토한다. 이 연구는 생명이 신학적 및 역사적 관점에서 기독교 신앙과 실천의 중심 주제로 남아 있음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생명을 더욱 풍부하고 포괄적으로 이해하며, 실천적 책임감을 가지고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요한복음에 나타난 생명의 메시지가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사명과 실천에 중심적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현대 기독교 영성을 위한 새 비전을 제시하려 한다. 초기 교부들, 특히 오리게네스, 암브로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요한 크리소스톰은 생명을 단순히 물리적 존재로 보지 않고, 하나님과의 깊은 관계에서 비롯된 영원한 생명으로 간주했다. 그들은 요한복음에 나타난 생명의 본질을 믿음의 여정과 영적 성숙을 통해 경험하는 신적 선물로 해석하며, 하나님과의 교제를 통해 누릴 수 있는 축복으로 보았다. 이러한 통찰은 초기 교회에서 구원론과 밀접히 연결된 생명의 신학적 기초를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종교개혁가들인 루터, 칼뱅, 웨슬리는 생명의 개념을 믿음, 은혜, 칭의의 교리와 연결시키며 재해석했다. 그들은 생명을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선물로 보고, 그 본질을 구원과 변혁적 신앙 경험으로 묘사했다. 루터는 칭의와 구원의 중심에 생명을 두며 성례전을 통해 지속적으로 누리는 것으로 강조했다. 칼뱅은 생명을 하나님과의 연합을 통해 완성되는 것으로 보았고, 웨슬리는 생명을 개인적 성결과 성화의 열매로 해석하며, 영적 갱신을 교회의 사명으로 간주했다. 이들의 관점은 생명을 단순한 신학적 주제를 넘어 믿음과 실천에 적용 가능한 원리로 만들었다. 현대 영적 지도자들인 찰스 스펄전, 앤드류 머레이, A.B. 심프슨은 생명의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개인 구원과 영적 현실을 넘어 윤리적 책임과 공동체적 사명과 연결시켰다. 스펄전은 생명을 복음을 통한 영혼 구원의 원동력으로 보며, 복음 전도에 헌신했다. 머레이는 생명을 성령과의 교제를 통해 신자들의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은혜로 보았다. 심프슨은 생명을 사회적 책임과 공동체적 실천과 결합하여 현대 기독교 신앙을 위한 포괄적 비전을 제시했다. 그들은 생명의 메시지가 현대적 맥락에서도 변혁적 힘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시대를 초월한 생명의 신학적 이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며, 현대 신학과 실천에서 요한복음의 생명의 메시지가 갖는 중요성을 분석한다. 개인 구원과 영적 성장뿐만 아니라 윤리적 책임, 공동체적 참여, 사회적 실천을 포함하는 폭넓은 신학적 관점과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theological theme of divine life of Jesus Christ as presented in the Gospel of John, analyzing how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life has developed throughout church history and reexamining it in a contemporary context.Simply Christ claims himself as Life. Christ is life and this life is divine, heavenly, immortal, and eterna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cept of life as understood by early church fathers, Reformers, and modern spiritual leaders, this study explores how life has become a central theological theme in Christian faith. It emphasizes that the concept of life extends beyond mere survival or existence, being understood as a spiritual and eternal gift received through communion with God. The paper also examines the specific impact this theme has had on theological thought and church practices. This study underscores that life remains a central theme in Christian faith and practice from both the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It aims to help believers understand life from a richer and more inclusive perspective and live with a sense of practical responsibility. By reaffirming the centrality of the message of life in the Gospel of John for the mission and practice of the church and faith communities, the study aspires to present a renewed vision for contemporary Christian spirituality. The early church fathers, particularly Origen, Ambrose, Augustine, and Chrysostom, viewed life not merely as physical existence but as eternal life arising from a profound relationship with God. They interpreted the essence of life in the Gospel of John as a divine gift experienced through spiritual maturity and the journey of faith, framing it as a blessing that believers could enjoy through communion with God. Their insight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life as closely connected to soteriology in the early church. The Reformers, such as Luther, Calvin, and Wesley,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life by linking it to doctrines of faith, grace, and justification. They perceived life as a gracious gift of God obtained through faith, describing its essence as salvation and transformative faith experiences. Luther emphasized life as central to justification and salvation, highlighting its continuous enjoyment through the sacraments. Calvin argued that life is completed through union with God, while Wesley interpreted life as the fruit of personal holiness and sanctification, framing spiritual renewal as the church's mission. These perspectives by the Reformers made the concept of life relevant not only as a theological topic but also as a principle applicable to faith and practice. Modern spiritual leaders, including Charles Spurgeon, Andrew Murray, and A.B. Simpson, expanded the concept of life further, connecting it to ethical responsibility and communal mission beyond individual salvation and spiritual realities. Spurgeon emphasized life as the driving force of evangelism, striving to save souls through the gospel. Murray viewed life as a grace that continuously operates in believers' lives through communion with the Holy Spirit. Simpson combined life with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al practice, presenting a comprehensive vision for modern Christian faith. By extending the understanding of life from theological discourse to practical application, they demonstrated that the message of life retains transformative power even in contemporary contexts. Building on this historical progression, the study identifie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ne life across eras. It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the message of life in the Gospel of John for modern theology and practice, offering a broad theological perspective and practical direction that includes not only personal salvation and spiritual growth but also ethical responsibility, communal engagement, and societal participation.

      • 바울의 회심과 사도직의 신학적 성격연구 :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한정우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논문은 사도행전에 나타난 다메섹 도상에서의 바울의 회심과 그가 주장하고 수행한 사도직에 대한 신학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열렬한 유대교의 추종자이며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강력한 박해자였던 바울은 순교자 스데반의 일로 일어난 박해로 인하여 흩어진 초기 기독교 신자들을 잡기 위해서 다메섹으로 가던 도중 부활하신 그리스도와의 만남으로 회심에 이르게 된다. 바울은 이 사건을 그리스도께서 자신에게 나타났다는 그리스도의 현현 사건으로 묘사하고 있다. ( 행 9:17; 26:16 ; 고전 15:8 ) 다메섹 도상에서의 사건으로 눈이 멀게 된 바울은 다메섹으로 옮겨지고, 그곳에서 시력을 잃고 사흘을 지냈으며, 아나니아라 불리는 그리스도인의 방문을 받게 되었는데, 그가 바울의 시력을 회복 시켜 주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만난 것의 의미를 설명해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메섹에서의 바울의 체험은 단순한 회심 보다는 자신이 사도로 임명된 소명과 관련지어 말하고 있다. 바울의 다메섹 체험을 소명사건으로 이해하는 표현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복음을 전할 부탁을 받았다는 것으로 (살전2:4), 무할례자에게 복음전함을 맡았다는 것으로 (갈2:7),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다는 것으로 (롬 1:1),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리암아 사도의 직분을 받아 그 이름을 위하여 모든 이방인 중에서 믿어 순종케 한다 (롬 1:5),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를 인하여 이방을 위하여 그리스도의 일꾼이 되어 하나님의 복음의 제사장 직무를 하게 되었다 (롬 15:15). 등으로 언급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도행전에서는 바울의 다메섹 사건에 대한 기사가 세 번에 걸쳐서 장황하게 반복 되고 있는 반면에 바울 자신은 그것을 단지 서너 곳에, 그것도 아주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종종 지적되곤 한다. 이것은 사도바울의 직접적인 서신서에서의 언급이 아닌 이차적인 누가의 기록이기에 직접적인 바울의 이방인을 위한 사도직과 신학의 한 가운데에 놓아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도 정당성을 가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의 다메섹 도상의 사건이 바울의 복음과 신학을 이해하는 결정적인 요소라는 사실은 우리가 부인할 수 없는 확실한 사건이다. 바울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회심과 사도로서의 소명은 한가지 체험의 양면이다. 다메섹 사건후에 사도바울은 그가 핍박하던 그리스도를 전파하게 되었고, 율법에 철저한 바리새인으로서 이방인들과 분명한 구분을 가졌던 자가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독특한 사명을 가졌다. 그리고 유대인이 가장 중요하게 가졌던 율법의 행위를 떠나서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독특한 사명을 가졌다. 그리고 율법의 행위가 아닌 믿음을 통한 칭의를 설교 하였다. 김세윤에 의하면 만일 바울이 처음부터 이방선교를 향한 그의 소명의식이 없었다면, 그리스도의 현현에 구체적으로 그에게 이방선교를 맡기신 목적이 있었다고 그가 그렇게 확신을 가지고 무 방어적으로 말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한다. 또한 스텐달에 의하면 행 26:16-18의 구절이 예언자 에스겔과 예레미야의 환상과 소명구절을 연상 시킬 수 있는 같은 선상의 구절로서 예언자적인 전통이 반영되어 바울의 소명을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다메섹 체험에 대한 사도행전의 기록에서 바울이 ‘하늘로서 온 강렬한 빛’을 경험 하였고, ‘소리’를 들었다고 말하는데 누가는 이것이 관찰 할 수 있는 확실한 사건 이었음을 독자들에게 알리려는 의도가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명확한 사도바울의 회심의 체험은 그의 사도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작점을 알려주는 것을 인지하고서 다메섹 회심사건의 신학적인 연구작업과 아울러 회심사건을 기점으로한 이방을 향한 사도직의 본질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스룹바벨의 실종 사건을 통한 제2성전시대 메시야사상의 발전

        송기찬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1679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ssianic Thought in the Second Temple Period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Zerubbabel. In 586 B.C.,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was ruined by the Babylonia Empire. The temple in Jerusalem was destroyed, and the leaders and people were forced to relocate into Babylon as exiles. Afterwards, in 538 B.C., while welcoming the time of the return from the captivity along with the Cyrus Decree, the Israelites began to have hopes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Zerubbabel, who had been appointed as the first governor of Judah and had rebuilt the temple in Jerusalem, gave the people hope for the restoration of the Davidic kingdom. Through the process of rebuilding the temple led by Zerubbabel, conflicts and confrontation among the Yehud community were resolved, and the thrilling celebra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temple came closer. However, while the temple was being dedicated, Zerubbabel disappeared without a trace (Ezra 6:14). Zerubbabel was regarded as a Messianic figure who would usher in a new era within the Yehud community after the exile. Also, he was expected to be the person who would restore the glory achieved in the days of David and Solomon. What happened to Zerubbabel? Moreover, what changes occurred in the community after Zerubbabel's sudden disappearanc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spond to this problem. To this e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he era of the Second Temple, the era of Zerubbabel, were tra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Zerubbabel, who was elevated as a messianic person, and the Messianic Thought in the Old Testament was examined. Based on this, the puzzle of the disappearance of Zerubbabel was put together one by one, and the theological consequences of the disappearance of Zerubbabel, who was revered as the Messiah of Israel at that time, were also examined. It is the contribution of this thesis to reveal that Zerubbabel's death went beyond the simple death of a righteous man and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hange of the Messianic Thought in the Second Temple period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Jesus Christ, the Messiah to come. In order to fulfill this end, the author figured out the structure of the biblical text through the literary criticism of First Zechariah (chapters 1-8) and Second Zechariah (chapters 9-14), which provide the most grounds for Zerubbabel’s death and messianism within the authority of the canon. Based on this research method, the thesis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

      • 교회교육에서의 다중지능계발 프로그램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욱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반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기독교 교육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다중지능이론을 어떻게 교회교육과 접목시킬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연구자에 의해 설계된 교회학교 다중지능계발 프로그램인 M.I.D. 프로그램 즉 "Dream making project"을 교회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 다중지능을 교회교육에 접목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성경에 나타난 다중지능의 원리를 탐색하였다. 또한 성경의 인물 가운데 모세와 바울의 다중지능을 분석하였다. 둘째, 다중지능검사의 창시자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교육심리학적 전문 서적들을 토대로 고찰하였다. 셋째, 2012년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주5일 수업제에 대비하는 학교와 교회의 토요학교들에 대한 정보와 현황 자료를 시사뉴스와 신문, 신앙전문서적,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앞으로 교회 토요학교에서 적용 가능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전제는 신앙과 직업적성의 발견이며, 프로그램의 제목은 “Dream Making Project”로 정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교회학교 청소년들이 하나님께서 주신 달란트를 발견하고 계발시켜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서의 삶을 살아야 함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며 느낀점 중에서, 특히 다중지능 이론이 교회교육 현장에서 빛을 발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를 제언을 하였다. 첫째, 다중지능에 대한 심도 있는 기독교교육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회교육 현장에 있는 교역자들과 교사들이 다중지능 이론에 대한 이해와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 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하여, 설교나 교수․학습 방법에 다양한 지능을 강점으로 가진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는 다중적인 방법이 동원되어야 한다. 넷째, 다중지능 검사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학습자들에게 주신 달란트가 무엇인지 깨닫게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존지능 즉 영성지능에 관한 연구이다. 가드너는 여덟 가지의 지능을 발표하고 새로운 지능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실존지능이며, 가드너가 제시한 지능의 여덟 가지 준거에도 가장 부합하다. 그러나 기존 지능과의 상당한 거리감 때문에 아직 정식지능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지속적으로 탐구해야 할 과제로 남겨져있다. 성서학, 신학, 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심리학 등을 융합하는 학제 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영성지능이 다중지능의 아홉 번째 지능이 되도록 후속 연구들이 많이 나와 줘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a way of utilizing multi-intelligence development(MID) program in the church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lso presents so-called “Dream making project,” a pilot MID program designed by the researcher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church school setting.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multi-intelligence was reviewed in the biblical perspective. Three points were made here: 1)Biblically multi-intelligence is understood as the divine gifts. 2)The Bible says it is our responsibility that we are to develop the gifts given by God to the fullness of its capacity. 3) two figures, Moses and Paul, who possessed multi-intelligence in the Bible were analyzed according to 8 types of multi-intelligence. Second, another theoretical background of multi-intelligence is educational psychology. It deals with three emphases: 1)definitions were clarified between intelligence and multi-intelligence. 2)eight types and the attributes of multi-intelligences were explained. 3)the correlation between multi-intelligence and learning ability was described, and furthermore the results of multi-intelligence test and career development were also related. Third, the author developed a pilot MID program that takes advantage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is program was designed in order to implement at the church school, especially in the Saturday Class. It can help student find their own vocational aptitude through faith education. The "Dream Making Project" is it. The project has it sub-programs to train the church school’s teenagers who are encouraged to find their talents given by God. However, the ultimate goal of finding individual’s multi-intelligence is to live the life of God’s servant to the fullness. Finally, the study made some suggestions in terms of the use of MID program in the church. First, the church must actively strive to use of multiple intelligence in order to make students active multi-player of Lord. Second, since a new wave is approaching to the Korean church school in 2012. Korean educational authority announced last year, “5 days a week school system will be effective in 2012. Due to this change, the church has been forced to open Saturday Class for which the Dream making program was invented. Third, the church school must help teenagers discover their talent and aptitude by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st. Every one has both strong and weak intelligence. The test will help the students find their strength and weakness so that they c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It enables them to live with a clearer vision and objective for the future. A new policy of 5 days School System will bring a big change to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relig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operated Sunday schools for more than 120 years. However, due to the new policy, the church is forced to extend its school days and it could cover the entire weekend. Neither public schools nor church schools haven't established their Saturday programs yet. Students will have more leisure time. Many private tutoring agencies have various and excellent academic programs in order to enforce the scholastic ability. Thus the church shouldn't follow or compete with the private tutoring agencies. The church’s Saturday school must have something different or distinctive program from other alternative weekend school. Fourth,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students should realize their talents. Talents are directly related to jobs. We select the jobs by way of knowing our talents. Multi-intelligence test is a good tool to recognize what our talents are and what our strong or weak intelligence are. To know our multi-intelligence well enough is to know how to develop and live my career in the future. We are now facing transition of the recognition. That is, the church does not necessarily limit its role to teach faith but to career development. Lastly, Howard Gadner had announced eight intelligences and open possibility about new intelligence. The new intelligence is Spiritual intelligence or existential intelligence which meets most the Gadner’s criteria. It is our task to continuously discover it. More interdisciplinary studies among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ies, Christian education and Christian psychology, etc. must actively be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ninth intelligence.

      • 욥기에 나타난 사회적 약자 보호에 관한 연구

        조한근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79

        구약성서의 본문은 사회적 약자였던 가난한자들에 대하여 사회적 책임과 공동체 안에서 개인적 의무를 명확하게 명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공동체는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약자에 대하여 사회적 돌봄이나 개인적 책임에 대하여 율법의 기본 정신을 지키지 않았다. 그러므로 예언자들은 이스라엘 공동체를 향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메시지를 전 역사에 걸쳐 선포하였지만 빈익빈부익부의 현상은 멈추지 않았다. 욥기에 나타난 가난한자들 즉 고아와 과부 나그네, 종들인 사회적 약자들은 부유한 기득권층들의 경제적 이익의 수단으로 착취와 억압을 받았으며, 이에 대하여 욥의 친구들은 인과응보교리라는 기존의 전통적 입장에서 그들을 바라보았다. 욥은 가난한자들의 현실을 탄식하며 하나님께 법정 호소를 통하여 그 답을 얻고자 하였다. 무고한자가 고난을 받고, 악인이 형통하며, 가난한자가 착취당하는 현실을 욥은 고발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약성서 본문을 중심으로 신학적 해답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구약성서 전체에서 언급하고 있는 약자보호 사상에 대하여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율법의 입장에서 말하는 약자보호 사상에 대하여 출애굽기와 레위기를 하나로 묶어 논술하고, 신명기에 나타난 사회적 약자보호 사상에 대하여 별도로 서술하고자 한다. 출애굽기와 레위기의 사회적 약자 보호 사상을 사회공동체적 측면, 당시 사법적 측면, 사회복지적 측면, 그리고 노예 해방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요시야의 종교개혁의 역사적 내용을 담고 있는 신명기를 이스라엘 공동체의 윤리적 의무, 노예해방에 대한 규례, 약자에 대한 종교적 배려, 약자에 대한 법률적 보호제도, 추수 법에 나타난 복지적 측면, 조세권을 통한 약자보호 등 여섯 가지 측면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그리고 예언서에 나타난 예언자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시각을 포로기 이전 상황과 포로기 이후 상황으로 나누어 내용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즉 기원전 8세기부터 6세기까지 예언자들이 사회적 약자들을 바라보며 당시 공동체를 향하여 고발하였던 내용을 구약성서 본문 중심으로 서술하고, 포로기 이후에 활동하였던 예언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고발과 경고를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지혜문학을 대표하는 성문서의 시편과 잠언에서 말하는 가난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교훈과 본문의 입장을 찾아 서술하고자 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본 논문의 주제가 되며, 핵심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욥기에서 나타난 사회적 약자에 대하여 인과응보의 전통교리를 고수하는 욥의 친구들의 입장과 인과응보교리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욥의 입장을 본문에 나타난 가난한 사회적 약자의 현실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욥과 엘리바스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논쟁과 소발의 논쟁을 기술하고자한다. 또한 엘리후가 제시하고 있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전통적 교리의 입장을 해석하고, 최종적으로 욥이 하나님의 응답을 통하여 얻어진 신학적 메시지를 찾고자 한다. 네 번째 장에서는 선행적으로 얻어진 신학적 해석을 바탕으로 약자보호에 대한 재발견을 시도하고자 한다. 약자보호에 대한 재발견을 통하여 하나님의 백성으로써의 정체성을 심도 있게 고찰하는 계기를 삼고자 하며, 이로써 어떻게 우리가 이웃사랑에 대한 실천적 삶을 살아야 하는 가에 대한 당위성을 발견하고, 하나님의 백성들이 이루어야할 하나님 나라의 구현을 논하여 본 연구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thical imperative for the poor in the book of Job. The Old Testament text writes societal and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the poor in an Israelite's community. But Israelites did not observe the laws to take care of the poor. They did not abide by the words of God throughout their history regarding the poor. The Prophets continued to preach about ethical imperative for the poor. But they failed to overcome the gulf between rich and poor in the community. The book of Job described vividly the characters fatherless, widows and wayfarers. The poverty stricken people groaned under tyranny and exploitation. Job's friends didn't understand his situation and they want to expound social problems from retribution theory. Job sighed with circumstances of the poor and he tried to solve proser from lawsuit with God. Job denounced the suffering of innocent people. On the other hand, he proved successful life of wrongdoers, exploiting the poor. In this dissertation, I discussed three realms of the Old Testament about the ethical imperative for the poor in the second chapter . The first is the teaching of Moses for the poor in Exodus , Leviticus and Deuteronomy. Exodus and Leviticus introduced four views. One is social community's liability, two,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three, social welfare and fourth, emancipation of slaves. The book of Deuteronomy depicts religious reformation of king Josiah that includes ethical imperative of community, emancipation of slaves of rules and regulations, religious care for poors, legal protection for poors, social welfare at harvesting season and tax privileges. The second realm covers the message of the prophets about the irrationality of social structure. There are three different part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pre-exile, exile and poet-exile times. Finally, the third realm is the wisdom literature including the Psalm and the Proverbs, They explore a social duty, correction of the misdeeds the issues of ethical imperative for the poor. In the third chapter, the book of Job is the principal subject of this dissertation. Especially, I undertake particular texts that are related to imperative messages for the poor. Job's friends adheres retribution theory. But Job deals with the actual situations of the afflicted. Therefore, I raise guesting about their discussing about the help for the outcast. Also, Job's reply to the same issues undergoes my examination. And I explicates Elihu's traditional theology about the poor. Job experiences misunderstanding of the friends due to their lack of sufferings. But in the end, God demonstrate his innocence and responds his appeal. In the fourth chapter, I tries a theological discovery about ethical imperative for the poor from the texts. The theological findings of the ethical imperative for the poor give a proper message to today's Christian. This dissertation finds God's love for the weak and us with ethical order that we must practice the love for neighbors.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summarizes previous discussions and prospects further problems which regard to the issues of the po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