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평저항력 보강 Wing Pile의 말뚝지지력 특성

        최진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ile foundations subjected to vertical loading. the domestic studies on pile under horizontal load have been limited. The horizontal load caused by the earthquake is very strong. The structures such as marine structures, retaining walls, bridges are subjected not only vertical loads but also horizontal ones. Excessive displacement or breakage of the piles subjected to horizontal loads, as the ones caused by vertical loads, have detrimental effect on the superstructure, suggesting that the studies on the analysis and review of the pile subjected to the horizontal loads are needed urgently. In the existing pile construction, a pile was inserted into the ground, a concrete foundation was laid on top of the pile, and a plate under the column member was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foundation. This connection method between pile and column member is, however, vulnerable to lateral load due to wind load or seismic load because the column member is fixed only to the upper end of the pile. In addition, the pile twisted by lateral load may not provide proper support to column member, which may cause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pillar member, leading to failure of proving proper support to superstructure by the pillar mem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develop a Wing Pile, which allows the pile member and column member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lateral load to be supported not only by pillar member but also by pile member in order to address above problems. The Wing Pile connecting the lower foundation and the upper column was designed to have two kinds of B, distance from center to end, to be 150 and 300 mm, respectively and to have H of 450 mm. A total of 17 piles were under field test including five for static load test, five for uplift load test, five for horizontal load test, and two for moment test and the bearing capacities of general pile and Wing Pile were verified,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field load test showed that bearing capacity, horizontal resistance, and moment resistance of Wing Pile is higher by 1.5-4, 4-4.5, 4 times compared to general one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d horizontal resistance and bearing capacity are corresponds to wing area of upper fixed pile, suggesting that the resistance is proportional to wing area.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ground survey should be performed in advance in order to confirm the type and the workability of the indentation, and the dept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reinforcement against horizontal force to a proper depth.

      • A-beta 신경섬유의 활동의존 전도속도의 변화

        崔津豪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Activity-dependent changes in fiber excitability and conduction velocity are ubiquitous following both natural or electrical stimulation of myelinated axons of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Activity-dependent changes in excitability are strong and long-lasting and have been implicated in the encoding of discharge trains, and modulation of impulse conduction at regions of low conduction safety such as axonal branches. Previously, we have demonstrated different profiles of the changes in activity-dependent threshold and conduction velocity in sciatic C-fibers. In this study, changes of the conduction velocity (CV) and subsequent conduction block were characterized following impulse activity (0.5, 1, 5, 10, 25, 50, 100, 200 Hz, for 1 min) in single A-beta fibers (n = 21, range of resting CVs: 20 - 40 m/sec, at 0.5 Hz, 0.1 - 0.3 mA, 100-300 us) of rat sciatic nerv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Al though A-beta fibers showed only small decrease of CV at low activity rates (l Hz: 1. 19?0. 6%, 5 Hz: 3. 56?1. 0%, 10 Hz: 4.25?1.1%), they exhibited much extensive decrease of CV at higher activity rates (25 Hz: 5.17?1. 5%, 50 Hz: 8. 13?1. 3%, 100 Hz: 11. 92?2. 3%, 200 Hz: 4.10? 0.9%). 2) A-beta fibers which had similar resting CVs often exhibited quite different profiles of the activity-dependent latency change and/or conduction block following impulses. 3) Conduction block was not observed in A-beta fibers below 25 Hz of activity rates. However, the frequency of conduction block increased dramatically as the activity rate rose (25 Hz: 9.5%, 50 Hz: 19.0%, 100 Hz: 28.6%, 200 Hz: 66.7%). 4) Six of 21 A-beta fibers showed intermittent conduction block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complete block, whereas other fibers exhibited direct conduction block without showing intermittent firing activiti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beta fibers have plastic properties to change their conduction velocities, which are dependent on the previous impulse activities of the fibers. The intermittent conduction block and the continuous conduction block follwong impulses alone, without administration any drug, are also important aspects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A-beta fibers. This plasticity implys underlying variation among A-beta fibers in the activity-dependent excitability changes, especially in the buildup and recovery of the hypoexictable phases of the axonal membrane followng impulse activity.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in C-fi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beta fibers may exhbit quite distinct profiles of the activity-dependent after oscillations of membrane excitability. Especially, the variability of the activity-dependent conduction velocity changes is much less than that of small diameter C-fibers, which implies that myelinated A-beta fibers have been mor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to process specific classes of information than the unmyelinated C-fibers during the evolution.

      • 원형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

        최진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량이 장대화 되고 교각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 검증과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법 개발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내·외의 도로 및 철도 교량분야에서 교각에 대한 내진설계기술의 적용성 확대와 교각의 내진설계 기술개발 및 경제적인 시공성 확보를 이유로 중공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뿐 만 아니라 외국의 경우에도 아직까지는 명확한 기준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실무 설계에서는 중공원형 교각의 내진설계에 있어서 특별한 해답을 가지지 못하고 설계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단면으로 설계를 하거나 소성단면으로 설계하는 경우 중공 원형 단면이 아닌 중실 원형단면으로 치환하여 단면 설계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현행 설계기준으로 탄성설계를 적용하여 중공원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계한다면 교각 단면치수가 커지고 주철근 개수가 늘어나서 비경제적인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성설계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내진성능이 확보된 철근상세 규정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경제성 및 합리성이 결여된 설계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그동안 국내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대한 내진성능 실험은 주로 중실단면에 대한 실험적 연구들로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중공단면에 대한 내진성능 실험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요 설계변수 및 합리적인 내진상세안을 도출하기 위해 총 8기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중공원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서 하중-변위 이력곡선, 변위연성도, 최종 파괴모드, 파괴 때 중립축위치 등을 나타내어 중공원형 기둥의 내진거동 특성을 규명하였고 또한 비선형 해석프로그램[NARCC]를 이용하여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연구와 해석적 연구를 바탕으로 콘크리트 강도, 축력비, 횡방향철근량, 축방향철근량에 따라 파괴 때 중립축이 단면내부에 존재하기 위한 중공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 검증용 표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공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합리적인 횡방향철근량 산정법과, 축방향 철근 배치, 파괴 때 중립축이 단면내부에 존재하기 위한 중공비 및 횡방향철근 배치 등의 중공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설계법을 제안하였다.

      • 진성 성조숙증 환자에서 기질적 뇌병변에 대한 예측 및 1회 채혈로 시행하는 GnRH 자극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최진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진성 성조숙증 환자에서 기질적 뇌병변이 있는 환자들과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 환자들을 비교하여 기질적 뇌병변을 예상할 수 있는 지표들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GnRH 자극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과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이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에 한 번 측정한 LH, FSH가 진성 성조숙증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8세 이전에 유방의 발달을 보인 33명의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3명이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자극 검사후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 받았고, 이중 7명이 기질적 뇌병변이 있었다. 진성 성조숙증의 진단 기준으로 8세 이전에 유방의 발달과 성장 속도의 증가를 보이고 골연령이 역연령보다 앞서 있으며 GnRH 투여 후 LH가 9.0 mIU/mL 이상, FSH가 5.0 mIU/mL 이상으로 증가되고 LH/FSH 비가 1.0 이상, estradiol이 9 pg/mL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상기 기준에서 제외되는 1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방법: 대상 환자들에 대한 GnRH 자극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LH, FSH의 기저 농도와 GnRH 60 ㎍/㎡ 를 투여한 후 15, 30, 60, 90, 120 분에 LH와 FSH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기질적 뇌병변이 있는 환자(organic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와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인 환자(idiopathic CPP)의 두 군으로 분류하여 발현 연령, 진단시 연령, 골연령/역연령 비, estradiol 농도, 혈중 LH, FSH의 기저 농도와 최고 농도, 최고 농도에서의 LH/FSH 비를 비교하였다. 또한 GnRH 자극 검사에서 시간별 LH, FSH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진단시 연령은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4.11±2.08세,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7.25±1.34세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골연령/역연령 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1.62±0.88,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1.40±0.32였다. 혈중 estradiol의 농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25.09±14.42 pg/mL,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20.63±9.12 pg/mL였다. 혈중 LH의 기저 농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4.53±3.23 mIU/mL,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3.86±2.94 mIU/mL였으며 혈중 FSH의 기저 농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6.13±3.13 mIU/mL,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6.37±5.43 mIU/mL였다. LH의 최고농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41.74±27.91 mIU/mL,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27.41±14.52 mIU/mL였으며, FSH의 최고 농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25.31±30.03 mIU/mL,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17.32±10.69 mIU/mL였다. 최고 농도에서의 LH/FSH 비는 기질적 진성 성조숙증에서 2.11±0.60,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에서 1.99±1.53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GnRH 자극 검사에서 LH가 9 mIU/mL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를 cut-off point로 하여 0, 15, 30, 60, 90 120분에 측정한 민감도는 8.7%, 87.0%, 91.3%, 87.0%, 73.9%, 60.9%였으며, 특이도는 100%, 100%, 80%, 80%, 100%, 100%였다. 결론: 기질적 뇌병변을 가진 환자들이 더 어린 나이에 발병하였으며 골연령/역연령 비, estradiol 농도, LH와 FSH의 기저 농도와 최고 농도, 최고 농도에서의 LH/FSH 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nRH 투여 후 시간별 LH 농도의 평균 및 민감도를 고려할 때 GnRH 투여 후 30분 경에 LH 농도를 1회 측정하면 진성 성조숙증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atients with central precocius puberty(CPP) varies according to the etiology, whether this permits the differentiation between idiopathic and organic forms and to examine whether LH determination in a single timed blood sample after GnRH administration is sufficient to diagnose central precocious puberty.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3 girls with signs of breast development, of whom 23 were diagnosed as definite central precocious puberty. Sixteen patients had idiopathic CPP; the remaining 7 patients had organic CPP, showing a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 hamartoma(n-5) and astrocytoma(n-2). Ten patients were classified as non-CPP and they had only precocious thelarche. Potential clinical and laboratory predictors of CNS abnormalities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pubertal stages of breast development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anner. Bone ag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Greulich & Pyle. A standard dose of 60 ㎍/㎡ GnRH was administered as an i.v. bolu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immediately before the injection and at times 15, 30, 45, 60, 90 and 12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LH and FSH were measured in serum samples obtained during a standard GnRH stimulation test. The LH and FSH levels were determined by IRMA. LH and FSH responses and the LH:FSH ratio at 15, 30, 60, 90, 120 and the respective peak levels were measured in serum samples obtained during standard GnRH tes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estimated for each parameter. The result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for p<0.05. The basal LH and the peak LH for the idiopathic CPP group were similar to those seen in the CPP with CNS abnormalities. The diagnosis of CPP was suggested by GnRH-stimulated LH values higher than 9 mIU/mL by IRMA. Results : The age of onset in patients with organic CPP was 4.11±2.08 years, whereas the age in patients with idiopathic CPP was 7.25±1.34 years(95% CI: 2.18-6.04). This parameter is the only one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ther parameters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between organic and idiopathic CPP. The mean peak stimulated LH value in patients with organic CPP was 41.74±27.91 mIU/mL(n-7), whereas the mea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CPP was 27.41±14.52 mIU/mL(n-16). In addition, we compared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at 0, 15, 30, 60, 90 and 120 min for single cutoff level which yielded sensitivities of 8.7%, 87.0%, 91.3%, 87.0%, 73.9%, 60.9% measured by the respective assay. At these time points, the specificities for LH were 100%, 100%, 80%, 80%, 100%, 100%. Conclusion : The identification of organic CPP based on clinical findings only has been problematic. It is impossible to exclude a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 in a given patient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without performing central nervous system imaging. However, this study indicates earlier the onset of disease, higher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CNS lesion. According to the mean GnRH stimulated LH levels and sensitivity at each times, a single blood sample obtained for LH determined after GnRH administration at 30 min can be used to diagnose the central precocious puberty.

      • 온열 및 한냉적용이 흰쥐 하지골격근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미치는 영향

        최진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t and cold application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to skeletal muscle of the hindlimbs of the rats. Nine weeks old male Sprague-Dawley white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1) control(only reperfusion following ischemia), 2) cold application before reperfusion following ischemia(PreCold), 3) cold application after reperfusion following ischemia(PostCold), 4) heat application before reperfusion following ischemia(PreHeat), 5) heat application after reperfusion following ischemia (PostHeat). All groups were 30 minute, 1 hour, 3 hours reperfusion after 2 hours ischemia with clamping abdominal artery, and investigate superoxide dismutase(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for quadriceps, extensor digitorum longus, and soleus muslces of right hindlimb.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at different reperfusion times after ischemia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P<.05). 2. The intergroup difference of 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at different reperfusion times after ischemia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which ischemia-reperfusion injury of PostCold were less than the control, PreCold and PostHeat(P<.05). 3. Ther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following reperfusion times after ischemia in which PreCold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PostCold quadriceps muscle, PostHeat soleus muscle(P<.05), but residual groups were maintained the 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statistically(P>.05). 4. Ther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following reperfusion times after ischemia on which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of PreCold between 30 minute and 1 hour after reperfusion, quadriceps muscle of PostCold between 1 hour and 3 hours after reperfusion, soleus muscle of PostHeat between 30 minute and 3 hours after reperfusion(P<.05).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D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between extensor digitorum longus and soleus muscle. The ischemia-reperfusion injury of soleus muscle were more decreased than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in 30 minute and 1 hour after reperfusion of PreCold, 30 minute and 1 hour after reperfusion of PostCold, and 30 minute after reperfusion of PostHeat(P<.05).

      • 지식산업센터의 경매 매각가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5개 지방법원을 중심으로

        최진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경매 매각가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시간적 범위는 2010년도부터 2020년까지 10년을 기준으로 표본을 산출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 5개 지방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동부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북부지방법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매의 매각가율에 관한 연구를 위해 경매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경매의 정의 및 종류, 경매제도의 절차 및 주요 안건들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표본이 될 지식산업센터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파트형 공장에서부터 현재의 지식산업센터로 명칭이 변경되기까지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입주 가능 업종에는 무엇이 있는지, 설립 유형 및 관련 법규, 지원제도 검토 및 세제 혜택은 없는지 금융지원 여부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경매 논문에서 지식산업센터를 물건으로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지식산업센터 경매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부동산 경매정보 사이트를 활용하였다. 경매 및 지식산업센터 선행연구에서 반영된 변수들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최종 매각으로 종결된 지식산업센터 경매정보를 빠짐없이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매특성, 지역특성, 입지특성, 건물특성, 호별특성, 시점특성으로 분류하고 세부적인 변수들을 반영하여 매각가율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헤도닉 가격모형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선형(Linear)모형과 로그선형(Log-Linear)모형을 비교 분석하고 모형별 비교분석을 통해 최종 모형을 선정하고 실증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식산업센터 경매 매각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 및 실수요자에게 적정한 매각가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terminant of auction sale price of Knowled ge Industry Center from 2010 to 2010 for 10 years. The places are based on 5 district courts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Seoul Eastern District Court,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Seoul Southern District Court, and Seoul Northern District Court). This study focu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by reviewing the definition and type of auction, procedures for the auction system, and major agend a items for the duty of the auction sale price. It also looked at the process of changing its name from apartment-type factories to current Knowledge Indus try Center, available category of permitted businesses, types of establishment,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if there is any financial support through the 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is differentiate with other studies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Knowledge Industry Center as a main subject among action papers. Real estate auction information site was used to build auction data for Knowledge Industry Center. The study tried to put all the possible variables used in prior research and put all the information about auction of the closed Knowledge Industry Center. The study divided into auction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locati on characteristics, building characteristics, house-by-house characteristics, and point-of-time characteristics and tried to look at the possible effective factors by reflecting detailed variables.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 sis using the Hedonic price model, and final models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were selected through comparing linear and logarithmic linear models. It is anticipated that we can provide appropriate selling rates to investors and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Knowledge Industry Center auction sale.

      • 다이오드레이저 조사시 임플란트 계면에서 신생골형성에 관한 반사전자현미경적연구

        최진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강악안면 영역의 손상 시 임플란트 시술은 일반화 하고 있다. 임플란트는 치과영역 뿐만 아니라 많은 의료분야에서 시행되고 있다. 임플란트의 재료는 티타늄을 포함한 다양한 금속과 질코늄과 같은 다양한 자기로 구성되어 있다. 임플란트의 재료는 생물학적으로 생체적합성과 숙주에 무독성 및 면역반응이 없어야 하며 기계적(물리적) 강도가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가장 잘 만족시키는 것이 티타늄으로 알려져 있다. 티타늄은 기존골과 임플란트 사이에 어떤 다른 조직의 개재 없이 직접 부착되는 골융합을 형성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골융합의 성공률을 높이고자 다방면으로 연구해 왔으며 95%이상의 성공률을 보고하고 있다. 골융합은 골의 재형성을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작금에는 골융합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에는 저출력 레이저 조사를 이용한 골융합 속도를 증가시키고 신생골 형성양을 증가시켜 초기 임플란트의 고정을 증대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 후 저출력레이저 조사가 임플란트 계면 및 나사산 사이의 신생골 형성 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용 machined implant를 제작하여 체중 3Kg 정도의 New Zealand 가토를 24마리에 마리당 2개의 임플란트를 경골에 매식 후 실험 군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2주, 4주, 8주간의 골융합 시간이 지난 후 8마리씩 희생시켜 경골에서 얻은 조직표본을 통법으로 처리하여 비탈회골 연마표본을 제작한 후 반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임플란트 계면의 골 접촉률 및 나사산 사이의 골 형성율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출력레이저 조사가 실험군에서 2주째, 4주째,8주째 에서 대조군보다 골 재생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2. 임플란트 계면에서 골의 접촉률은 4주째와 8주째 비교에서 골재형성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초기의 골재형성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것으로 생각된다. 3. 임플란트 나사산 사이에 골재형성 면적비도 4주째와 8주째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LLLT가 초기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것 같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임플란트 매식 후 저출력 레이저의 조사는 임플란트 계면에 신생골 접촉이나 나사산 사이의 신생골량 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2주째에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많아 초기의 골재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생각되어 즉시부하 임플란트 시술시 레이저 조사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핵심단어: 임플란트, 저출력레이저조사, 임플란트계면, 비탈회골연마표본 Currently, dental implants are generally used for reconstruction of oromaxillofacial defects. Implants are widely used in dental and medical fields. The materials of implants are variable such as metals and ceramics. The materials of implants must be have not toxicity and biocompatibility to host and mechanical(physical) strength. Bones must be attached to titanium surface without any other tissues. many researcher's had studied for raising the osseointegration through various method which are including implants designs and materials. It was reported over 95% success ratio. many researcher's study the methods which are enhancing the speed of bone remodelling and osseointegration. Thermo dynamic therapy is one of the method to accelerlate the speed of bone remodelling and osseointegration. Thus it raise stability of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ode laser irradiation for ossoeintegration in implant interface and between the implants threads. 24 New Zealand white rabbits which were about 3Kg weight, used for experiment. 2 implant's were implanted every rabbit's tibia. 2 weeks, 4 weeks, 8 weeks after implantation, tissue sample were removed from sacrificed rabbit's tibia. 8 rabbit's were sacrificed every 2, 4, 8 weeks and undecalcified sample were made from tissue sample. We have investigated the undecalcified samples by back scattered electron microscope. We have analysied the length rate and area rate in implant interface and inside the threa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2 weeks, 4 weeks, 8 weeks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irradiated low level laser therapy showed rapid bone remodelling than control groups. 2. It was suggested that Initial bone remodelling may be effected by LLLT because of implant bone contact ratio between 4th weeks and 8th weeks had no siginifant difference 3. Initial bone remodelling may be more influenced than later bone remodelling by LLLT because of new bone formation area ratio between implant thread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4th to 8th weeks. According to above results, low level laser irradiation accerlate the new bone formation in implant interface and inside the implants threads at initial stage. there were many factors which are increasing the bone remodelling,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Low level laser irradiation were helpful for increasing the initial stage of bone remodelling because of above results.

      • 무선 랜 환경에서의 인증 메커니즘에 대한 취약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최진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선랜 환경에서의 취약성 분석하고, 사전 공격 및 쿠키 재전송 공격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선된 메커니즘은 사전 공격 및 쿠키 재전송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