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졸중 환자의 과제지향적 일어서기 시 신체압력중심과 지면반발력의 특성 연구

        임유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enter of pressure(COP), ground reaction force(GRF) characteristics during task oriented sit to stand in stroke patient. Twenty stroke subjects were included this study. The task consisted in sit-to-stand(SS), sit-to-stand for reaching(SR), sit-to-stand for walking(SW) and measured COP and GRF during performed each task. The COP and GRF data were obtained using 2 force plate. Force plates placed on chair(below buttock) and floor(below fee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S(1.48±0.48) vs SR(2.09±0.82) and SS vs SW(2.27±0.72) in preperatory phase time during each sit to stand(p=.002).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S(13.90±6.44) vs SW(34.62±39.38) and SR(16.14±8.04) vs SW in medio-lateral COP range during each sit to stand(p=.01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ask oriented sit to stand more requires high level motor programming process than ordinary sit to stand. There fore we believe that task oriented sit to stand will be useful training as similer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 고교학점제 요인분석과 사례조사 및 운영방안 연구 : 고등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임유정 경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고교학점제에 관하여 선행연구에 대해 조사하고, 고등학교 수학 과목을 중심으로 국내 및 해외(미국, 핀란드 외)의 고교학점제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보았다. 기존에 있던 교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함과 더불어 학생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선행연구와 국내외 고교학점제 사례,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고교학점제 운영방안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prior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Korea's move through high school credit system at home and abroad (the U.S. and Finland etc) based on high school math.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existing survey on teachers, the survey also asked students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prior resear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cases, and surveys, I propose a plan to manag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 여자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사회적응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유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했을 때 사회적응력과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 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집단간 사전․사후 사회적응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집단별, 집단간 사전․사후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남 여수시 소재 J여자중학교 2학년 220명의 학생들에게 사회적응력 설문지(cronbach’s α=.759)를 배부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점수가 낮은 30명의 학생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교생활 만족도 설문지(cronbach’s α=.760)에서도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실험에 참가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 했을 때, 실험집단의 사회적응력 6개 하위요소 모두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에 차이가 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비교 집단에서는 6개 하위요소 모두다 사전 점수에 비해 사후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수치상 약간씩 감소하였다. 둘째, 여자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 했을 때,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사회적응력 6개의 하위요소 점수가 모두 높게 나왔다. 특히 실험 집단의 학생들이 비교 집단보다 사교성 요인의 점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학생들이 활동을 하면서 동료와의 비언어적 행동(응원 등)과 대화를 통한 협동심에서 비롯되었다. 셋째, 여자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 했을 때, 실험 집단의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6개 하위 요소의 사전 검사 결과가 사후 검사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비교 집단은 사전 검사 결과에 비해 사후 검사 결과가 약간의 수치상의 차이만 있을 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여자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 했을 때, 실험 집단의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6개 요인이 비교 집단보다 사후 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두 집단의 사회적지지 요인에서의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실험 집단에서의 활동을 통한 교사와 학생, 동료 사이에 인정과 격려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위의 모든 결론을 종합해 봤을 때, 여자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가 사회적응력과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쳤다.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것만이 사회적응력과 학교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겠지만, 실험 집단의 모든 요소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 : 활동영역을 중심으로

        임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를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음악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은 크레스웰(Creswell, 2007/2010)이 개발한 6단계에 따른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의 전반적인 실태에 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국악 지도시 가장 자신 있는 영역은 46.0%로‘가창’영역이었고, 그에 따른 이유는‘실기 능력의 충분함’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창 영역 지도시 가장 용이한 요소는‘장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악 지도시 가장 어려운 영역 또한 27.3%로‘가창’영역이었고, 그에 따른 이유는‘실기 능력의 부족함’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창 영역 지도시 가장 어려운 분야는‘가곡’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악 감상영역의 지도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교사들의 전공에 따른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전공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장구 반주 능력에 대하여 전공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 교사들의 학교급에 따른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악 가창 지도시 가장 어려운 분야와 국악 창작 지도시 어렵다고 생각되는 요소에 대하여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 교사들의 경력에 따른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경력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악감상 지도시 어려움을 느낀 이유에 대하여 경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음악 교사들의 근무지역에 따른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악감상 영역 지도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에 대하여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질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든 영역에서 대다수의 음악 교사들이 자신의 실기 능력을 제외하고 공통적으로 수업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학생들의 흥미의 부족을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꼽았다. 본 연구는 국악교육의 활동영역별 세부적인 인식조사를 실시 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성별, 전공, 학교급, 경력, 지역에 따라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세부적인 필요 요구가 다름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교육의 각 영역별 차별화된 국악 연수 및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음악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많은 학생들에게 보다 질 높은 국악교육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cusing on musical activities.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146 music teachers work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To analyze the result, Frequency and were used and open ques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s of Creswell'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vealed singing was the most confident part to teach because of the sufficient practical ability while singing was also the hardest part to teach because of the lack of practical ability. Second,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Especi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esearch regarding appreciation area. Third, the survey respondents revealed tha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usic teachers major. But performance ability of Janggu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usic teacher's major. Fourth, respondent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hool types. Especially, it made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difficult elements to teach in singing and composi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stage of careers. The survey showed that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of teaching was the factor affected teaching of appreciation area. Sixth,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orking area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reasons to teach music appreciation area. Seventh, it was found one of the major reasons music teachers did not teach korea traditional music was student's lack of interest. The above results implied tha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music teacher's sex, major, school type,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areas should be considered. It is expected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session and program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differentiated,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high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수학 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임유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aims to nurture future leaders with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by developing a model of convergence lesson for mathematics using other subjects and give an overview of the whole process of building a convergence lesson by conducting the lesson for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Papers from the 「2011 STEAM workshop」 hel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a model of convergence lesson of mathematics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More focus has been put on the development of the most appropriate and applicable convergence lesson model by using an analysis of Forgaty's inter-subject convergence lesson, various models of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creative learning methods of constructivism. This lesson model has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it is applied in a real lesson. And it was conducted as a convergence lesson to the subject of "Chaos, the fractal and complexity system" for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a student survey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the convergence less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d process of convergence lessons which integrates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has been completed enabling the students to interpret and analyze various subject matters and social phenomenon through mathematical insight. Second, the convergence lesson was based on a cyclic process with 7 steps: selection of a topic, selection of the subject concerned, designing the lesson, mapping out the lesson plan for each subject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having a final discussion on the whole lesson, performing the lesson and evaluating the lesson. Third, while performing the convergence lesson, the teachers had a great opportunity to study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 and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ion of learning. Fourth, provided with various perspectives on the topic, the students had a chance to learn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n the convergence lesson. This lesson also worked as an experience of success for the students by allowing them to develop their ability to think, to analyze problems and solve them creatively. Fifth,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teacher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the convergence lesso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teachers, sharing their academic perspectives and knowledge and observing each other's lesson made it possible to make the convergence lesson meaningful. It is also suggested that this convergence lesson model will be utilized to develop many other convergence lessons so a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utilization of mathematics and improve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ir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융합적 사고능력을 가진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수학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융합 수업을 실행하여 수학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수업 과정의 전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학 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 수업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육과학 기술부가 주관한 「2011년 융합인재교육(STEAM) 성과 발표회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Forgaty의 교과간 융합의 유형, 문제 중심 학습의 다양한 모형과 구성주의의 학습방법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하고 응용이 용이하다고 생각되는 융합 수업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모형은 실제 수업에 적용하면서 수정․보완되었다. 그리고 이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카오스, 프랙탈 그리고 복잡계’라는 주제의 융합 수업을 진행하였다. 융합 수업의 의미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 인터뷰, 학생 인터뷰, 학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녹취록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사회예불분야와 자연과학분야가 융합 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교과, 또는 사회 현상을 수학의 관점에서 확장하여 융합적인 시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하는 융합수업의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융합 수업의 과정은 주제선정, 관련 교과 선정, 수업 설계, 교과별 수업지도안 작성 및 교재 제작, 융합 수업 전 과정에 대한 최종 논의, 수업 실행, 수업 평가의 7단계로 설계되며 수업이 실행된 후 평가의 내용을 피드백하여 다음 주제선정이 이루어지는 순환적 과정이다. 셋째, 융합 수업의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을 한 결과 교사들은 각 교과의 연결성과 응용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학문의 융합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융합 수업을 통하여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과학계열의 연관성에 대해 배우고 주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학생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창의적 설계를 바탕으로 학생이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성공의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며 융합적으로 사고하여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다섯째, 융합 수업을 실행함에 있어 교사 사이의 협력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의미 있는 융합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서로의 교직관과 교과 지식을 공유하고 수업을 참관·평가하며 수업 실행 과정에서 충분한 소통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융합 수업의 모형은 학생들이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통합적·입체적 시각 및 실생활에서의 문제 해결능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 부조니의 바흐 에디션 연구 : -<반음계적 판타지와 푸가(Chromatic Fantasy and Fugue) BWV903> 에디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임유정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요 약 부조니의 바흐 에디션 연구 -<반음계적 판타지와 푸가(Chromatic Fantasy and Fugue) BWV903> 에디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원전판인 헨레 에디션과 부조니가 편집한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에디션을 비교분석하여 부조니가 바흐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여, 편곡하였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바흐의 생애 및 건반악기 음악의 특징을 알아보고, 부조니의 생애 및 피아노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아 그가 갖고 있는 건반악기 음악에 대한 생각을 고찰해 보았다. 그 뿐 아니라 편곡에 대한 부조니의 생각과 태도도 연구하였다. 또한 시대에 흐름에 따라 바흐에 대한 해석이 달라졌으므로 바흐에 대한 시대별 해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부조니가 바흐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 그의 바흐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이런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바흐의 <반음계적 판타지와 푸가>의 헨레 에디션과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에디션을 비교 연구를 하여 부조의 바흐 해석을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결과,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에디션에서 찾을 수 있는 특징은 템포지시, 다이나믹과 프레이징, 아티큘레이션, 연주 지시어가 구체적으로 표시되어있다는 것이다. 실제 연주에서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 선율을 양손으로 나누어 표시하였고 판타지에서 코랄부분의 화음을 분산형태로 기보하였다. 강조하고 싶은 선율에는 음을 옥타브로 추가하거나, 화음의 구성을 추가하여 음역을 현대 피아노에 맞게 확대하였으며 바로크적인 음색을 추구하는 원작과는 거리가 멀지만, 음색은 매우 현대적이다. 부조니는 바흐의 건반악기 작품의 편곡에서 음향적 효과와 테크닉을 위해 프레이징과 음표를 변형하기도 하였다. 반면 헨레 에디션은 수많은 필사본을 참고하여 대체로 원작에 충실했다. 바흐의 음악은 음악 전통의 시작으로, 순수하고 객관적인 폴리포니 음악의 전형이지만 부조니는 20세기의 입체적인 인물로 새롭게 재해석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Bach Edition of Busoni -Focusing on a comparison of Chromatic Fantasy and Fugue BWV903 Edi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Urtext Henle edition and the Breitkopf & Härtel edition transcribed by Busoni and to discuss how Busoni understood, interpreted, and transcribed Bach. To this end, the life of Bach and characteristics of his keyboard music were examined,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life of Busoni and characteristics of his piano music in order to look into his ideas about keyboard music, as well as his thoughts and attitude about transcription. Furthermore, given that interpretation varied by age,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terpretations by age. This study also tackles his interpretation of Bach in an attempt to find what Busoni thought of Bach. Against this theoretical backdrop, the author compared the Henle edition and the Breitkopf & Härtel edition of Chromatic Fantasy and Fugue of Bach and discussed how Busoni interpreted Bach. Characteristics of the Breitkopf & Härtel edition of Chromatic Fantasy and Fugue were found to include concrete markings of tempo direction, dynamic and praising, articulation, and theme symbols. To make actual performance easy, melodies are marked in both hands, and harmonies of choral in the fantasy are notated in the form of distribution. Notes are added in octave to melodies to stress, or the composition of harmony is added to extend the sound range fit to modern piano. Although being far from the original work, which seeks for Baroque tone, the tone is highly contemporary. Busoni transformed praising and notes in the transcription of Bach’s keyboard music for sound effects and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the Henle edition was faithful to the original work overall, referring to a number of manuscripts. Bach’s music as the beginning of music tradition is a paragon of pure and objective polyphony music, but Busoni reinterpreted him as a 3D figure in the 20th century.

      • 몬테소리교구의 창의성 교육에의 활용가능성 연구

        임유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몬테소리 교구를 창의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봄으로써 몬테소리 교구의 활용범위를 넓히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구에 따라 창의적 사고를 유발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몬테소리교구를 경험하지 않은 5세 24명, 6세 24명 총 4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각 아동에게 3종류(꼭지원기둥, 노란색원기둥, 갈색계단)의 교구를 제시하고 유창성 지시(가능한 많은 것을 만들어 보아라)를 한 다음 유아가 만든 작품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창성에 관한 결과를 보면 교구 유형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즉 노란색원기둥이 가장 높게 나왔고 다음은 꼭지원기둥 다음은 갈색계단으로 나왔다. 그러나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독창성에 관한 결과에서 성별에 대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구유형별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반면에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서 보면 5세가 6세보다 더 높게 나왔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몬테소리 교구를 사용해서 창의성 교육을 할 때는 교구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과 창의성 교육을 조기에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bailability of existing Montessori teaching tools in enhancing program for students' creativity, and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tools. We hypothesized that the inducing level of creative thinking is different among the items of Montessori teaching tools. We examine 24 five-year-old and 24 six-year-old preschoolers (a total of 48) who had never experienced Montessori teaching tools before. We presented three items of teaching tools (colored cylinders, cones, and brown stairs) to them, and asked them to make many things as long as they can (fluency dir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fluenc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tems of teaching tools. Namely it was highest with colored cylinders, and next with cones and brown stairs. B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nd by dender. As for there original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tems of teaching tool and difference between gender. It was higher in five-year-old children than in six-year-old ones. We suggest that, when we are trying to educate the creativity with Montessori tools, we should cousider the characterestics of item iself, and earlier education for creativity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later.

      • MICE 기업의 ESG 경영에 관한 지각된 혜택 및 비용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이론(TPB) 적용

        임유정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MICE 산업에서 ESG 경영 전략을 적용·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사회교환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실행 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ESG 경영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비용을 독립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행동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ESG 실천행동(사전경험)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실증연구를 위해 MICE 분야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1차 점검을 하였다. 2023년 10월 25일부터 11월 24일까지 MICE 기업 임원 5명을 대상으로 파일럿조사 후 수정·보완하여 MICE 기업의 임원을 대상으로 KME(KOREA MICEEXPO 2023) 행사장 현장과 개인 이메일 등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12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해 AMOS 26.0 프로그램과 SPSS 26.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ESG경영의 지각된 혜택이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결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ESG경영의 지각된 비용이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 결과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태도가, 주관적 규범 그리고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결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ESG경영의 지각된 혜택과 비용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검증결과 ESG 경영의 지각된 혜택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된 비용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결과는 유의미하지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ESG 경영의 지각된 혜택과 행동의도 간 매개효과를 검증결과, 태도,주관적 규범, 행동통제 모두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ESG실천행동(사전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결과, 태도와 행동의도 간 관계에서는 ESG실천행동(사전경험)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 규범과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ESG 실천행동(사전경험)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추가적으로, PCO, PEO, 이벤트 집단으로 구분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와 행동의도 간의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PEO 집단의 영향력의 크기가 가장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은 상대적으로 PEO집단이 타 집단에 비하여 ESG 경영에 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를 더 높게 인식함으로써 ESG 경영을 실천하려는 행동의도를 높인 결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MICE 산업을 기획하고 실현하는 기업(PCO, PEO, 이벤트)이 현재 고려하고 있는 ESG 경영에 대한 생각, 도입에 대한 고민 등을 보다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MICE 기업이 향후 ESG 경영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적용방안들을 다양하게 유추하고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제공하는데 기여하였다

      •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생활 용품 디자인 지도방안

        임유정 대구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는 국제화, 정보화 시대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새로운 문화 창조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는 새로운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무궁무진한 조형성을 지니고 있고, 우리나라를 세계 속에 널리 알릴 수 있는 가장 경쟁력 있는 문화유산 중 하나인 한글을 활용한 생활 용품 디자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글의 다양한 조형적 특성 중에서도 기하학적 형태성과 논리적 조합성을 생활 용품 디자인 지도에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미적 감수성과 창의적인 조형 능력을 계발시키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기르며, 디자인의 재료와 영역에 대한 보다 넓고 새로운 시각을 형성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디자인 지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한글의 조형적 특성과 한글 서체의 변천 과정,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및 흐름에 대해 살펴보고 한글의 미적 가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둘째, 다양한 한글 디자인 사례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한글 생활 용품 디자인 지도에 응용할 만한 표현 방법 및 내용을 추출하여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셋째, 생활 용품 디자인 관련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생활 용품 디자인 지도의 방향 및 내용을 정하였다. 넷째,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생활 용품 디자인 지도를 위해 수업의 절차를 ‘목표설정’, ‘자료수집 및 분석’, ‘아이디어 발상 및 전개’, ‘디자인의 시각화 및 구체화’, ‘결과물 발표 및 평가’의 5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 교수ㆍ학습안을 구안하여 적용해 보았다. ‘목표설정’ 단계에서는 한글의 조형적 특성 및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알아보고,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는 다양한 한글 디자인 사례를 수집ㆍ분석해보며, ‘아이디어 발상 및 전개’ 단계에서는 한글의 기하학적 형태성과 논리적 조합성을 활용하여 한글 타이포그래피를 직접 디자인해보고, ‘디자인의 시각화 및 구체화’ 단계에서는 한글 타이포그래피를 작품에 알맞게 적용해보며, 마지막으로 ‘결과물 발표 및 평가’ 단계에서는 완성된 작품을 발표, 감상해본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으로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의상과 장신구 디자인을 지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작품을 꾸밀 때에 늘 정형적으로 사용했던 꽃이나 하트, 별 모양 등에서 벗어나 우리 생활 주변의 모든 대상을 디자인 요소로 바라보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미적 감수성과 창의적인 사고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한글 자ㆍ모음의 형태 분석과 새로운 조합을 통해 학생들의 미적 형태 발견 능력 및 분석력과 창의적인 조형 표현 능력이 길러졌다. 셋째, 우리가 늘 읽고 쓰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한글이 디자인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경험을 통해 디자인 재료 및 영역에 대한 보다 넓고 새로운 시각이 형성되었고, 더 나아가 한글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다양한 한글 디자인 사례 수집 및 분석을 통해 현대 디자인이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와 움직임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우리나라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다섯째, 우리가 늘 접하는 친숙한 소재인 ‘한글’을 디자인에 활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미술 활동에 자신감을 가지고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한글은 이제 글자 본연의 단순한 의미 전달의 수단을 넘어 예술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표현 수단으로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는 한글을 이용한 디자인 지도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의 개발과 한글 디자인의 다양한 적용 방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한글의 조형성, 기하학적 형태성, 논리적 조합성, 한글 디자인, 생활 용품 디자인 With rapid changes in the global and information age, it is required to foster autonomous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driving creation of new culture. In that sense, elementary art education demands a new approach to teach design. Amongst all, the present study is to seek for a teaching method to design living goods using Hangeul, which has infinitive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one of the most competitive cultural heritages capable of letting Korea be renowned throughout the world.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use geometric presentability and logical composability among multipl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to teach how to design living goods, through which students are expected to develop aesthetic sensibility and creative modeling capability, to grow pride in our culture and to form extensive and new perspectives on materials and spheres of desig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esent study puts focus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o study on how to teach design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review formative properties of Hangeul, changes of typeface of Hangeul and concepts and flows of typography and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Hangeul's aesthetic values. Second, diverse Hangeul desig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find methods and content for expression applicable to teaching Hangeul-based living goods design and to deriv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rd, art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to designing living goods was analyzed to determine directions and content to teach designing living goods us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Fourth, to teach living goods design us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the teaching procedure was divided into 5 steps including ‘objective sett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ideas’, ‘visualization and concretization of design’ and ‘presentation and assessment of results’, and a teaching-learning pla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ach step. The ‘objective setting’ step deals with understand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ypography of Hangeul;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tep collects and analyzes a variety of Hangeul-based design cases; the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ideas’ step takes advantage of geometric presentability and logical composability to design Hangeul typography in person; the ‘visualization and concretization of design’ step applies Hangeul typography to design works; and finally, the ‘presentation and assessment of results' stage is for presenting and appreciating design works. As a result of teaching designing clothes and ornaments us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based on the plan and method aforemention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ained. First, students came to look at every objects in daily lives as a design element beyond flowers, heart and stars that they would use routinely to decorate design works, and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d. Secondly, with analysis and new combinations of consonant and vowel forms of Hangeul characters, students' ability to discover and analyze aesthetic forms and to express creative forms grew. Third, students experienced the possibility of Hangeul to be used as design elements instead of characters used to read and write, through which they formed extensive and new perspectives on design materials and sphere and took pride in Hangeul. Fourth, students came to understand new values and movements pursued in modern design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diverse Hangeul-based design cases, based on which they had a chance to ponder upon future directions of design in Korea. Fifth, by using the familiar Hangeul for design, students came to participate in art class actively with more confidence. Hangeul extends its applicability as a means of expression fitted with artistic and practical attributes beyond simple medium of delivering meanings as a set of characters. Accordingly, future elementary design education requires development of systematic materials using Hangeul and more active studies focusing on diversified application of Hangeul-based designs. Key-word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geometric presentability, logical composability, Hangeul design, living goods design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ODA에 대한 운영자들의 인식유형 분석

        임유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Even though the quantitative increase does not mean the qualitative excellence and great outcome,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es on Educational ODA has been conducted just focusing on the quantitative increase and macroscopic policy. Therefore, there is almost no research trying qualitative analysis on Educational ODA. The practice and actual performance of project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the operators. Thus, analysis on the operators and their attitude and thought can provide the beginning of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ODA. For these reas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operator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ODA by using Q Methodology. To this end, Q-sample that consists of 16 statements and 20 P-samples was designed. The result was collected by letting 20 P-samples sort the 16 statements following their own opinion and attitud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via PQ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ree different types of perception on Educational ODA . The different types of operators’ perception are not merely personal characteristics. It represents the major trend and the actual way of conducting the projects and programs. Therefore, to understand about the different values and elements pursued by the different perception types is absolutely needed to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O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