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호철 소설 연구 : 소외와 그 극복 양식을 중심으로

        이호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743

        본 연구는 이호철의 소설을 문학 사회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소외론의 관점에서 그의 소설에 나타난 인물들의 소외와 그 극복 양식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소외’의 다양한 논의를 바탕으로 소외의 사회학적 개념과 심리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이호철 소설에 나타나는 인물의 소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작중 인물의 소외의 양상을 (1)분단 상황과 소외 (2)정치․경제적 상황과 소외로 분류해 보았다. 제1절, ‘분단 상황과 소외’에서는 ①전란 상황과 소외, ②고향 상실과 소외, ③전망의 부재와 소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전란 상황과 소외’에서는 우리의 전통적인 농촌 공동체가 전쟁과 이데올로기를 수용할 때, 역사적인 상황과 무연(無聯)한 관계에 놓이는 소외의 양상을 밝혀 내었다. 또한 민족적인 문제로서, 약소 민족이 가지는 패권국에 대한 피해 의식을 통해서 소외의 양상이 드러나는데, 이는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전쟁의 전개 과정에서 이를 주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타율적으로 강제되었다는 점에서 민족적 소외의 문제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서 이호철의 소설은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한국 전쟁을 모두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고향 상실과 소외’에서는 분단과 실향에 의한 심리적 이역감과 정체성의 혼란에서 오는 소외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소외 의식은 몇 가지의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고향 상실로 인한 심리적 이역감, 모성성의 분리로 인한 소외, 실향민으로서 남한에서의 일체의 삶을 포기하는 관계성의 포기로 인한 소외, 그리고 실향민으로서 가지는 정체성 혼란으로서의 소외가 그것이다. 셋째, ‘전망의 부재와 소외’는 〈닳아지는 살들〉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 작품에서는 ‘이북에서 온다는 언니’에 대한 기다림의 의미에 주목하였다. 즉 그 기다림의 의미는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확인되지 않고 지연되지만, 그것이 암시하는 것은 ‘분단의 극복’이라는 역사적 전망에 있고, 이 전망이 그것을 위해 한치의 노력도 하지 않고 있는 소시민적 삶 위에 어떻게 미끄러지는가 하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보았다. 제2절, ‘정치․경제적 상황과 소외’에서는 ⑴정치적 억압과 소외, ⑵자본주의적 질서와 소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정치적 억압과 소외’에서는 반공 이데올로기와 같은 냉전 이념에 자동적으로 동조하는 인물과 그것에 억압당하는 소시민의 모습에서, 또한, 5.16 쿠데타와 계엄 상황 등 남한의 정치적 파동에 의한 소시민의 불안 의식에서 소외의 모습을 찾았다. 둘째, ‘자본주의적 질서와 소외’에서는 전쟁을 통해 해체되는 전통 사회의 모습과 자본주의 질서 재편에 따른 소외 양상과 1960-70년대 도시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소외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많은 인물들은 자본주의적 질서 속에서 ‘배금주의’와 ‘황금만능주의’라는 타락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인간과 사물,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진실한 가치는 소멸되어 가고 타락하는 물화(reification)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제3절에서는 지금까지 살펴 본 소외의 극복 양식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분단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①분단의 쟁점 부각과 ②분단 극복을 위한 화해 의식을 통해서 살펴보았고, 자본주의적 타락상으로부터 개인과 사회의 순수성을 되찾기 위한 노력으로 ③건전한 시민 의식을 밝혀 내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이호철의 소설은 우리 사회의 모순으로 발생한 개인과 집단의 소외의 모습을 예각적으로 포착하고 있으며, 이를 비판하고 극복하는데 핵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Al/W(100)의 표면구조 연구

        이호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W(100) 표면위에 Al 원자를 흡착 시킨 후 Al/W(100)-p double domain 표면구조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W(100) 표면위에 Al원자를 흡착시켜 구조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bcc의 기질 격자위에 fcc의 구조를 갖는 물질을 흡착시킨 본 연구는 매우 흥미로운 관심사가 될 수 있다. Scattering angle 180°의 저에너지 이온산란 분광법(CAICISS)과 비행시간 분석법(TOF)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Al의 흡착시킨 후 1,200℃로 annealing 하였을 때, coverage는 0.75ML를 갖고, 표면은 p(2×1) doble domain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에너지 이온 산란 분광법으로 Al원자의 기하학적인 흡착 위치를 조사한 결과, Al원자는 L, R. Clevenna와 L. D. Schmidt등이 binding orbital 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제시한 모델의 여러 site 중 A와 C site에 흡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때의 흡착된 높이는 W(100) 표면으로부터 1A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surface structure of Al/W(100) has been studied. Al atoms are deposited pdouble domain on W(100) surface leads coverage 0.75ML by thermal evaporation when annealing temperature at 1,200℃. Al/W(100) surface structure has been studied using LEED (Low Energy Electron Diffraction) and TOF(Time-of-Flight) of low energy CAICISS (Coaxial Impact Collision Ion Scattering Spectroscopy) techniques. The adsorption site of Al was found to be A and C sit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binding orbital configuration model by L. R. Clevenna and L. D. Schmidt. The height of Al adsorption layer is 1A above the W(100) surface.

      • SDS-TWR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3차원 위치인식 시스템

        이호철 동명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NLOS(Non Line of Sight) 환경에 적합한 3차원 위치인식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구의 방정식 기반 3차원 위치좌표 계산법과 SDS-TWR(Symmetric Double Sided Two-Way Ranging)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3차원 위치시스템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성능분석의 주된 내용은 NLOS 환경에서 제안한 구의 방정식 기반 3차원 위치좌표 계산법과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3차원 위치인식 보정알고리즘을 적용한 후, 실제 이동노드가 위치한 좌표와 실험에 의해 측정된 이동노드의 좌표에 대한 오차를 계산하여 다음의 3가지 평가항목을 분석하였다. 첫째, 제안하는 보정알고리즘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위치인식률, 둘째 분해거리 차이에 따른 위치인식 성능, 그리고 실험환경의 각 좌표에 대한 위치인식 성능이다. 실험결과, 보정알고리즘 적용 전의 경우 NLOS 환경에서의 위치인식률이 33%로 저조하였으나 제안하는 보정알고리즘의 적용 후에는 100%의 인식률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분해거리 차이에 따른 위치인식성능은 분해거리가 0.5m, 1.0m, 2.0m, 3.0m 및 4.0m 중에서 분해거리가 1.0m인 경우에 0.95m로 가장 오차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환경의 각 좌표에 대한 위치인식 성능은 천장을 기준으로 천장과 이동노드와의 거리가 1.5m 및 2.3m인 경우에 대해 실험한 결과, 1.5m의 경우가 2.3m 경우 보다 오차가 0.38m로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구의 방정식 기반 제안한 3차원 위치좌표 계산법과 SDS-TWR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3차원 위치인식시스템은 복층으로 구성된 공장 내부의 작업자 위치파악이나 사물의 위치파악 또는 항만에서 컨테이너 관리 등의 물류파악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관세지식서비스가 기업의 관세위험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FTA 원산지관리위험을 중심으로

        이호철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글로벌 무역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과정에서 11개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을 체결하여 49개국과 협정이 발효되어 지난 10여년동안 무역기업의 환경에 큰 변화가 있었다. 최근에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Trans-Pacific Partnership), 지역경제동반자협정(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등이 진행되고 있어 세계무역환경은 더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대부분의 FTA협정에서는 협정국간 협정의 이행을 촉진시키고 협정국간 공정무역질서를 확립하여 교역을 증대시키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양국간의 교역증대 및 무역이익 증가 등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양국간 특혜관세를 부여하고 있는 데 그 기준으로 복잡하고 엄격한 원산지관리 및 원산지검증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FTA무역환경에서 협정국간 관세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원산지관리를 협정내용에 적합하게 수행하여야 하는 데 현재 많은 무역기업들의 경우 관련 업무에 대한 위험관리가 부족하여 관세당국의 사후 검증과정에서 업무오류가 발견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법규위반에 대한 관세추징, 과징금, 과태료 및 가산금 등의 부과는 무역기업들에게 뜻하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FTA의 효과를 반감시킴은 물론 향후 우리나라 대외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무역기업 자체에도 커다란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무역기업들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FTA무역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 무역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더욱이 조직구성, 인원확충, 시스템구축 등 관세업무관련에 대한 투자를 확대시키는데 주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세업무관련 지식서비스의 수용도 필요한 부문에만 국한시켜 활용하는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무역기업들이 관세 관련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여러 가지 오류들 중에서 전문지식의 부족, 인력부족 및 원산지관리 시스템의 미비 등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의 FTA원산지관리 업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기존의 많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세지식서비스를 통해 관련 오류들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또한 무역기업들이 당면하고 있는 FTA 원산지관리에 대한 업무위험을 평가하고,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응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채택된 변수들의 설명력을 확보하기 위해 무역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응답내용을 통계 처리하여 변수별 유의수준을 측정하였고, 실제로 원산지결정 및 원산지표시업무의 위험정도를 평가하였다. 무역기업들이 관련 위험요소를 완화 내지는 제거시키는 데 관세지식서비스의 역할의 정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고, 그 동안의 원산지업무에서 발생된 법규 위반사례들과 대비하여 향후의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 음악 재생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 지원

        이호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전함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편리해졌다.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들도 개발되었다. 미디어 컨텐츠가 급증하고 이것을 공유하고 싶어 하는 바람이 수요를 불러 모았고,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미디어 공유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재의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미디어의 생산과 소비를 위한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원격 기기에 미디어를 공유하는 것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원격 음악 재생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구현하였다. 새로 만든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없이 음악 컨텐츠를 원격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기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전송하는, 즉 파일 전송이 아니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와도 저촉되지 않는다. 논문에서 제안한 플랫폼으로 실험한 결과는 (실험을 위한) 파일 전송 어플리케이션보다 전체적 전력 소모량은 줄어들었음은 물론 재생하는데 까지 걸린 지연 시간도 낮췄음을 보여준다. 제안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하면 다른 미디어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사용하지 않고 음악 공유가 가능해진다.

      • 에티오피아의 자녀 수 결정요인 연구

        이호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에티오피아는 전 세계에서 12번째, 아프리카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며, 합계출산율은 2019년도 4.2명으로 아프리카에서 3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국제기구 및 인구학 전문가는 에티오피아의 인구구조가 급격히 증가하여 2050년에는 전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로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로 에티오피아에는 가족계획과 관련된 물품 지원사업, 교육프로그램 사업, 인식변화 사업 등이 투입되어 진행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11개 지역끼리도 인구구조의 차이가 간극화 되고 있고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과 지방지역의 인구구조의 차이가 심화되고 있다. 아디스아바바(수도)의 합계출산율은 1.6명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지방의 합계출산율은 평균 4.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에티오피아의 중앙정부와 중앙보건부는 합계출산율을 3명 이하로 계획하는 「Ethiopia FP 2020」전략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에티오피아 지방정부의 예산배분이 지역의 인구 수와 비례하여 분배되기 때문에 가족계획사업의 이행에 비협조적이다. USAID의 발표에 의하면 소말리 지역은 합계출산율이 7.2명이고, 아디스아바바 지역은 1.8명으로 약 4배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지역간 인구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가임기 여성들의 자녀 수 결정요인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실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에티오피아 가족계획정책과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비교하여 지역별로 필요한 가족계획 정책 개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혼합연구로서 양적연구, 질적연구를 통하여 분석이 된다. 첫째, 양적연구는 USAID가 에티오피아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Ethiopia DHS 2016」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인과 지역을 구분하여 다수준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연구 결과, 에티오피아 전국 가임기여성의 현재 자녀 수는 4.06명이며, 이상적인 자녀 수는 5.59명으로 이상적인 자녀 수가 더 많아 인구구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연구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질적연구 설문지는 UNFPA의 「UNFPA Qaulitative Study on Family Planning in developing Countries」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질적조사는 COVID-19 판데믹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암하릭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구글 설문조사 시스템(Google Online Survey System)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대상자에게 송부하여 눈덩이 추출방식으로 설문조사자를 모집·조사하였다. 그 결과, 95명을 조사완료하였다. 이러한 혼합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에티오피아 가족계획정책과 관련된 중앙정부와 국제기구의 사업계획 등 문헌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7개의 핵심키워드를 확인하였다. ①낮은 여성의 지위, ②정책적인 이유, ③교육, ④보건의료인, ⑤미디어활용한 가족계획사업, ⑥문화/종교, ⑦접근성 이다. 이러한 핵심키워드 및 연구결과로 아래와 같은 정책제언을 한다. 첫째, 전문 지역보건의료인(HEW) 제도 마련 및 지역사회에 투입해야 한다. 둘째, 에티오피아 연방정부의 인구협의회 설치 및 연방정부의 인구협의회에서 가족계획 사업을 주도적으로 계획, 실시 그리고 관리를 해야한다. 셋째, 종료지도자와의 지속적인 감담회를 통한 종교교리와 가족계획사업의 타협점을 찾아야한다. 넷째, TV를 활용한 가족계획 교육사업·홍보사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해야한다. 특히, 소말리, 남부민족연합, 감벨라 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소말리 지역과 남부민족연합주는 지리적·문화적·종교적 이유로 국제기구의 지원에서 후순위였다. 앞으로 연방정부와 종교지도자, 그리고 국제기구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하여 소말리 지역과 남부민족연합주를 중심으로 가족계획사업을 실시해야한다. Ethiopia is the 12th most populous country in the world and the second most populous in Africa, with a total fertility rate of 4.2 children per woman in 2019, the third highest in Africa. Therefor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mography experts predict that Ethiopia's population will increase rapidly making it the fourth most populous country in the world by 2050. For this reason, programs related to family planning, such as donation of goods, education programs, and awareness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country. In Ethiopia,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structure among the 11 regions is widening;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demograph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becoming wider. For example, the total fertility rate in Addis Ababa, the capital city, is 1.6 children per woman, and the population is continuously contracting, while the that in rural provinces is on the rise with an average of 4.0 children per woman. In respons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Health have announced a program called “Ethiopia FP 2020" which aims as its objectives to decrease the total fertility rate to three or less. However, since the Ethiopian local governments' budget alloc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local popula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family planning projects especially where they are needed most. According to th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the total fertility rate of Addis Ababa is 1.8 children per woman while the Somali Region is 7.2 children per woman, which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us, there is a clear need for policies to balance the population difference between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children born from Ethiopian women of childbearing age, taking into consider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se. Finally, by reviewing and comparing studies related to Ethiopian family planning policy, I intends to develop necessary family planning policy interventions for each region. The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is a mixed study, which is investigated bot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First, the quantitative study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Ethiopia DHS 2016" for which USAID surveyed all over Ethiopia. For the analysis, a multileve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individuals and regions.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from individuals of childbearing age nationwide in Ethiopia is 4.06 per woman, and the number of children desired by the women is 5.59, indicating that the population is bound to increase as the desired number of children is increasing. Second,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s "UNFPA Qualitative Study on Family Planning in Developing Coun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contactless manner give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s for the survey method, the questionnaire translated into Amharic was sent to the subjects using the Google Online Survey System, and surveyors were recruited and survey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As a result, 95 people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ixed studies, a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literature from organizations such as the Ethiopian central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Ethiopian family planning policies. As a result, a total of seven keywords were identified. (1) Low social status of women: (2) policy-related reasons; (3) education; (4) health workers; (5) family planning projects using media; (6) culture/religion; and (7) accessibility. Based on these keywords and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fessional community health extension worker (HEW) system and implement it within the community. Second, an Ethiopian federal government's population council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ouncil should lead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supervision of family planning pro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a compromise between religious doctrines and family planning projects through continuous meetings with the religious lead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arry out family planning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s using TV as a medium. In particular, it should be carried out more vigorously in the Somali,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and Gambela regions. Finally, the Somali region and the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were ignor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support due to geographical, cultural, and religious reasons. In the future, family planning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se two regions through continuous negotiations with the federal government, religious leade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마이크로파일 해석의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이호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icro-pile is one of the on-site drilled shafts (piles) and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onstructed with low noise and low vibration, in addition, it is typically used to suppress additional ground subsidence occurring in the existing structures and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Micro-pile is currently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upport of shallow bases, suppression of retaining wall activity, and stabilization of slope, and the number of sites constructing the micro-pile is increasing. Although a variety of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s an increase in the use of micro-pile, it is a fact that many different methods are being applied because no clear criteria or standards are yet available in the method of analyzing the micro-pile. The micro-pile consists of sacrificial steel pipes, grouting, and steel pipes. When performing numerical analysis on the micro-pile, the analysis result when considering the components of a material as one composit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need to be separately considered, and thus an additional study on this is required. In that persp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horizontal load test results of micro-piles constructed at the Gyeongui Line 00 Road Bridge Improvement Project settings and consider th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the analysis method into three cases. For the first method, this study estimated the complex elastic modulus of the components of the micro-pile, steel bar and grout, and then, applied the valid conversion section to consider it as a one-dimensional element. The second is a commonly used metho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steel bar and grout were applied differently,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sidering them as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elements. As the last method, since the sacrificial steel pipe, i.e., casing, is buri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micro-piles,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sidering this as a one-dimensional element in addition to the second method. This study configured the same conditions as the original ground of the site as mentioned above and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micro-pile into three methods, then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site horizontal load test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first case that considers the micro-pile as a one-dimensional composite element exhibited 14% more settlement compared to the actual case, and the third case that considers the casing as a one-dimensional composite element showed 35% less settlement.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horizontal load test of a micro-pile with a numerical analysis method, it seems that the second case, which considers the steel bar as a one-dimensional element and the grout as a second-dimensional element, showed the highest applicability with a difference of about 7%. 마이크로파일은 현장타설말뚝의 한 종류로서 저소음․저진동으로 시공할 수있는 특징이 있으며 기존 구조물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지반침하의 억제 및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파일은 얕은 기초의 지지, 옹벽의 활동 억제, 사면안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마이크로파일을 시공하는 현장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마이크로파일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마이크로파일의 해석방법에 있어 명확한 기준없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마이크로파일은 희생강관, 그라우팅, 강관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할 때 재료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복합체로 판단하여 수행하는 경우와 각각의 재료특성을 따로 고려해야 하는 경우 해석의 결과는 매우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시험 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해석방법의 제안을 위해 경의선 00가도교 교량개량공사의 현장에서 시공된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재하시험 결과와 비교분석하고 해석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해석방법은 세 가지의 경우로 분류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마이크로파일의 구성요소인 강봉, 그라우트에 대해 합성탄성계수를 산정하여 유효환산단면으로 적용하여 1차원 요소로 고려하였다. 두 번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강봉과 그라우트의 물성을 각각 달리 적용하고 1차원 및 2차원요소로 고려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파일의 시공시에 희생강관 즉 케이싱을 매입하기 때문에 이를 두 번째 방법에 더하여 1차원요소로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위와 같이 현장 원지반과 동일한 지반조건을 구성하고 마이크로파일을 세 가지의 방법으로 나누어 해석을 진행하고 현장 수평재하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방법에 대한 적용성을 고찰한 결과 첫 번째의 경우인 마이크로파일을 1차원 복합요소로 고려할 경우는 실제와 비교하여 14% 더 많은 침하량을 나타냈으며 세 번째의 경우인 케이싱을 1차원요소로 고려한 경우는 35% 더 적은 침하량을 나타냈다.따라서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재하시험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고려할때는 두 번째경우인 강봉을 1차원요소, 그라우트를 2차원요소로 고려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7% 정도의 차이로 가장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住宅資金貸出債權의 流動化에 대한 考察

        이호철 慶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bout the flow of housing funds for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In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a little increase but the amount is insufficient for housing funds, so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absolute amount of flowing supply funds for its demand funds. If we flow the consistant assets which are latent in house, we can see great effects. Hence, I have surveyed the Hence, I have surveyed the cases of other countriesU.S.A., Japan, West Germany-in chapter 2. Among them, I have chosen USA's Mortgage System and studied it because it is appropriate for our country's situation. Therefore, I can say that this thesis's kernel is to applicate Mortgage System in Korea. In chapter 3, I surveyed some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before the indroduction of Mortagage System in Korea(price, the money rates, the rate of economic growth, the rate of saving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financial facilities about mortgage system). So that we can not only certain stability of Korea economy but also can see that it is better idea we take Mortgage System in Korea because Japan's System and West Germany's System have some problems. Now, we can make basic conception of Mortgage System in Korea. First, Mortgage flowing market accept loan application from person or constructors and then mortgage company get. purchasing permission of facility investors; life insurance companies, actual savings bank, and borrow the fund from commercial bank and lend it to applicants. We can conclude financial facilities like this non-monetary financial banks, specialized banks, developing financial bank, savings financial banks, insurance financial bank, investment financial bank in primary facilities. Second, secondary market get mortgage bonds which primary facilities obtained assome units and sell them to facility investors which pre-consented with secondary market facilities and collect funds, in there, we can conclude like these financial facilities: The Korea Housing Bank, The Citizens Housing Fund, Agricaltural Cooperatives,Livestock Cooperatives Public Officials Pension Fund, Veterans Pension Fund, School Teacher Fund. In flowing method, we can introduce present method basically which is used in USA, now like this: Participation Certificates(PC), Mortgage Backed by Securities(MBS), Passthrough Securities, but we must consider its repayment period, money rate, method to suit Korea situation consequently. We can obtain the effect about expansion of housing supply, easiness of fund making, and district balance by using flow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