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주찬의 졸업 작품 「Obsession」해설

        이주찬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에서 연주한 3곡의 자작곡을 분석한 것이다. 각 작품들의 창작배경 형식, 선율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작곡자의 작곡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졸업공연의 주제는 [Obsession]이다.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 속에서 강박증이라는 불안증세로 인해 비정상적인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느껴지는 불안감을 음악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했다. Instrumentation은 기본적인 Quartet구성으로 : Guitar, Bass, Piano, Drums 으로 구성 하였고, 각 작품의 주제와 스타일에 따라 부분적인 변화를 주었다. 본론을 통해서 각 작품의 창작배경과 음악적 특징들을 분석하려 한다.

      • 백낙준·한갑득·정대석 거문고산조의 엇모리 리듬형 비교 분석

        이주찬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백낙준(白樂俊, 1884~1933)에 의해 1914-1918년경 등장한 ‘거문고산조’는, 그의 제자인 안기옥(安基玉)·박석기(朴錫基)·김종기(金宗基)·신쾌동(申快童) 등에 의해 전승되었다. 박석기는 한갑득에게 전수하였고, 오늘날 신쾌동과 한갑득의 거문고산조가 대표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뒤이어 정대석은 한갑득에게 사사한 거문고산조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거문고산조를 만들어냈다. 이는 1988년 발표된 ‘정대석류 거문고산조’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거문고산조 전승의 시대적 흐름을 상기하여, 거문고산조의 시초라고 불리는 ‘백낙준’의 거문고산조와, 그의 가락을 전수받은 ‘한갑득’이 만들어낸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한갑득에게 한갑득류 거문고산조를 사사한 이후 그것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유파를 창작해낸 ‘정대석’의 거문고산조를 비교하였다. 세 유파의 엇모리 리듬형이, 이전의 산조와 유사하게 이어졌는지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정대석의 거문고산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각 엇모리마다 5박 단위의 리듬형(5박형), 10박 한 장단의 리듬형 결합, 박의 결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대석의 산조는 리듬형에 있어 독자적인 특성이 드러났다. 정대석 엇모리가 백낙준·한갑득의 엇모리에 비해 ‘독자적’이고 ‘독창적’으로 발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낙준·한갑득 엇모리에 비해, 출현하는 5박형의 가짓수가 늘어나고, 기본형보다는 변화형의 출현 비율이 늘어났다. 백낙준·한갑득의 엇모리에 출현하지 않은 5박형 b2·b3·c1·c2·c3이 나타난다. 이는 리듬형 구조의 확장으로 음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려는 정대석의 의도로 판단된다. 둘째, 백낙준·한갑득 엇모리에 비해 ‘리듬형 결합 형태’의 가짓수와, 유형별 출현 비율이 크게 변화되었다. 기본형간의 결합보다는 변화형을 사용한 결합 형태가 늘어났다. 제1유형 출현비율은 백낙준·한갑득 엇모리에 비하여 크게 줄어들었고, 제2유형·제3유형의 출현횟수는 정대석 엇모리에서 특히 높게 나타난다. 또한 백낙준·한갑득·정대석 엇모리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5박형 간의 결합 형태, 즉 a+a, a1+a, a2+a2, ab1+a의 출현 비율이 정대석의 엇모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다. 셋째, 박의 결합 형태를 리듬형의 결합 형태에 따라 (가)·(나)·(다)·(라)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가) 유형은 백낙준에서 정대석으로 갈수록 출현 비율이 낮아지며, 특히 정대석은 백낙준·한갑득에 비해 (가) 유형의 출현 비율이 대폭 줄어들었다. 백낙준 엇모리에는 (나), 한갑득 엇모리에는 (나)·(라), 정대석 엇모리에는 (나)·(다)·(라) 유형이 추가적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정대석 엇모리는 박의 결합 유형에 있어서도, 이전의 산조에 비해 변화형의 사용이 늘어나고 그 범위가 확장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백낙준·한갑득·정대석 엇모리 리듬형에 대한 특징이,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거문고산조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정대석의 산조는 악조 및 선율에서도 독창성이 나타남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다룬 리듬형에 있어서도 독자적이라 말할 수 있는 특성을 보여준다. 오늘날 거문고 연주가들에게는 연주가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작곡자로서의 창작 또한 함께 요구된다. 이 논문을 통해 백낙준·한갑득·정대석 거문고산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거문고 연주가인 정대석이 작곡자로서 가진 독자적인 창작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수없이 많은 산조를 창작해나갈 거문고 연주가 또는 작곡가들에게 창작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Geomungo Sanjo', which appeared around 1914-1918 by Baek Nak-jun(白樂俊, 1884-1933), was handed down by his disciples Ahn Gi-ok, Park Seok-gi, Kim Jong-gi, and Shin Kwae-dong. And, Park Seok-ki was passed on to Han Gap-deuk. Today, Shin Kwae-dong and Han Gap-deuk’s Geomungo Sanjo are representative. Following that, Dae-seok Jeong created his own Geomungo Sanjo based on the Geomungo Sanjo he studied with Han Gap-deuk. This is the “Jeong Dae-seok style Geomungo Sanjo” announced in 1988. This manuscript, recalling the historical flow of the transmission of Geomungo Sanjo, The Geomungo Sanjo of Baek Nak-jun, which is called the beginning of the Geomungo Sanjo, and the Han Gap-deuk Style Geomungo Sanjo, created by Han Gap-deuk, who inherited Baek Nak-jun’s melodies. And after studying the Han Gap-deuk Style Geomungo Sanjo with Han Gap-deuk, I compared the Geomungo Sanjo of “Jeong Dae-seok,” who created his own school based on this.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whether the three schools' Eonmori rhythm pattern was similar to the previous Sanjo, or whether it was modified or added.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er analyzed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Jeong Dae-seok's Geomungo Sanjo. The rhythmic patterns of 5 beats(pattern of 5beats), the rhythmic combination of 10 beats, and how 10 beats were divided were analyzed for each Eonmori. As a result, Jeong Dae-seok's Sanjo was revealed in its own rhythmic form. The basis for judging that Jeong Dae-seok's Eonmori has developed to be ‘original’ and ‘independent’ compared to that of Baek Nak-jun and Han Gap-deuk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the number of pattern of 5beats that appeared increased. In addition,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change type increased rather than the basic type. A pattern of 5beats that did not appear in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b2·b3·c1·c2·c3 appears. This is judged as Jeong Dae-seok's intention to enrich the music by expanding the rhythmic structure. Second, compared to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the number of ‘rhythmic combination of 10 beats’, and the rate of appearance of each type have changed significantly. Rather than the combination between the basic types, the type of combination using the modified type increased.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1st typ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Baek Nak-jun and Han Gap-deuk’s Eonmori, and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the 2nd and 3rd types was particularly high in Jeong Dae-seok’s. In addition, the appearance ratio of ‘a+a’, ‘a1+a’, ‘a2+a2’, and ‘ab1+a’ appears to be the lowest in Jeong Dae-seok's Eonmori. Third, as a result of dividing the combination of Park into (가), (나), (다), (라) types according to the rhythmic combination of 10 beats, the appearance rate of (가) type decreases from Baek Nak-jun to Jeong Dae-seok. In particular, compared to Baek Nak-jun and Han Gap-deuk, Jeong Dae-seok's appearance rate of type (가) decreased significantly. Except for (가) type, (나) type additionally appears in Baek Nak-jun Eonmori. Types (나) and (라) additionally appear in Han Gap-deuk’s Eonmori, and types (나), (다) and (라) additionally appear in Jeong Dae-seok’s. Therefore, in the form of division of 10 beats, Jeong Dae-Seok's use of the variation type has increased and its range has been expanded compared to the previous Sanjo. These characteristics of Baek Nak-jun, Han Gap-deuk, and Jeong Dae-Seok’s Eonmori shows the changes in Geomungo Sanjo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In addition, Jeong Dae-seok's sanjo shows originality in the musical tone and melod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aid to be unique in the rhythmic form(rhythmic pattern) covered in this study. Today, Geomungo players are required to have a role as a performer and a creative activity as a composer. Through this study, we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aek Nak-jun, Han Gap-deuk, and Jeong Dae-Seok’s Geomungo Sanjo,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creation of Geomungo Sanjo as a composer, I hope that it will help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reation to the Geomungo musicians and composers who will create numerous Sanjos in the future.

      • 구동방식에 따른 PDLC의 전기광학 특성 분석

        이주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윈도우의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PDLC)는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으로 인해 PDLC 내부의 액정이 정렬하면서 투명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광학 특성이 변경되는 특징을 가진 전기와 화학분야의 융합기술이며 스마트윈도우의 주된 기술로 사용된다. 하지만 PDLC에 대한 연구는 화학적 측면의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전기적 측면의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PDLC의 전기연구를 제시한다. 기존의 PDLC 구동시스템은 변압기를 사용한다.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압가변이 불가능하여 온/오프(on/off)으로만 동작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DLC 구동시스템에 전력변환기를 적용한 구동시스템을 제안한다. 전력변환기의 적용으로 인해 전압가변이 용이하여 온/오프 동작뿐만 아니라 전기광학특성을 조절하여 PDLC의 투명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력변환기의 출력전압을 정현파와 구형파로 출력하여 구동방식에 따른 PDLC의 전기광학 특성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동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구동방식의 PDLC 구동장치를 설계하고 기존의 구동시스템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smart window technology that can improve energy efficiently.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has a feature in which liquid crystals inside the PDLC align and become transparent by an electric field applied. It is a fusion technology of electricity and chemistry with the characteristic because the electro-optical property is changed by the applied voltage, and methods on how the voltage applied is the smart window. However, researches on PDLC are mainly conducted on the chemical side, and the electrical sid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PDLC's electrical research. Existing PDLC drive systems use a transformer. Using a transformer, voltage level is fixed and can not be adjusted and works only by on/off mode. To improve flexibility, this paper suggests a PDLC drive system that applies a power converter to a PDLC drive system. This application of the power converter makes it easy to adjust the output voltage, so and in addition to the on/off operation, the transparency of the PDLC is also adjustable. The output voltage shape of the power converter is can be either sine wave or square wave, and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DLC according to both driving method are analyzed to provide a comparison. Finally, we built a PDLC drive of the proposed drive method and compared it with the existing drive system.

      • 산업제어시스템의 PLC 구조 분석을 통한 취약점 식별 및 대응방안 연구

        이주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제어시스템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인프라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되며 전력, 수도, 원자력, 교통 등과 같은 국가 기반시설 및 산업시설에서 주로 사용된다. 초기 폐쇄망으로 운영되던 산업제어시스템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기종 장비 간의 네트워크 접점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 접점의 증가로 공격 경로와 보안 위협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최근 산업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점점 지능화된 공격이 발생하면서, 산업제어시스템의 사이버 보안이 주목받고 있다. 산업제어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PLC는 산업제어시스템의 현장장치 제어 및 계측을 담당하는 제어기기의 핵심 구성요소이며, PLC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할 경우 산업제어시스템 전체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실제 공격 사례로 Stuxnet 악성코드는 이란 핵시설의 제어기기를 감염시켜 오작동을 유발하였으며, 이로 인해 약 1,000여개의 원심분리기를 파괴하였다. 이는 산업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 가능성을 명확하게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PLC를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은 필수적이며, 공격으로부터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PLC 취약점 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GB PLC를 대상으로 취약점 분석을 수행하였다. PLC의 독점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모리, 로직프로그램 구조를 분석하여 보안 취약요소를 식별하였으며,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재전송 공격, 메모리 변조 공격, 로직 프로그램 변조 공격 여부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공격 결과를 통해 PLC가 오작동을 유발하고 무력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검증된 결과를 통해 식별한 취약점을 정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실험을 통해 식별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PLC에 적용 가능한 국내외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요구사항 표준 및 권고 사항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별한 PLC 취약점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 재난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 경보 시스템에 대한 사례 연구

        이주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산업분야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5G 통신부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까지 ICT 기술이 가속화 되고 있다. 산업영역 뿐만 아니라 공공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의 도입이 본격화 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빅데이터(Big Data)의 공공분야에 도입이 대표적인 예이다. 우리나라 공공분야의 빅데이터는 정부 3.0을 시작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및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등 빅데이터(Big Data) 관련 정책 또한 발맞춰 추진해 나가고 있다. 최근 공공분야의 빅데이터 도입 중 큰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는 재난관리 분야이다. 빅데이터를 재난관리 부문에 도입할 경우 재난 발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대응시간 단축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전예측 능력을 강화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해외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재난 예측 및 대응하는 움직임이 확산 되고 있다. 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당시 소셜 빅데이터가 큰 힘을 발휘했는데, 시민들이 직접 재난정보 SNS를 이용해 피해 상황을 공유하며 소통한 것이 사태 수습에 큰 도움이 됐다. 우리나라 정부 또한 재난관리 분야에 빅데이터(Big Data)를 도입하는 다수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빅데이터(Big Data)가 재난관리 분야에 선제적으로 활용, 사업 범위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재난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경보시스템 사례에 관한 연구 및 도입을 제안하여 재난정보 통합관리 체계 구축 및 재난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스템은 재난 상황 사전 예측 및 예방을 통한 시민의 안전을 위한 서비스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재난관리 분야에 빅데이터를 도입한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가치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ntry of IC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which are key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o various industrial counties is taking place. Key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introduced in the public sector as well as in the industrial area. Among them, the introduction of big data into the public sector is a prime example.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is being launched in earnest starting with Government 3.0 and is also pushing ahead with policies related to big data such as expanding the opening of public data and building big data infrastructure. Among the big data introduction in the public sector, the area that has become a point of discussion recently is the disaster management sector. When big data is introduced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ctor, the government can strengthen its predictive capabilities by reducing response time and analyzing big data, which are the paramount factor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ternationally, movements are spreading to predict and respond to disasters by using big data. Social Big Data was a major force during the March 11 earthquake in Japan, when users directly shared and communicated the damage situation and shelter information using various social networking sites, which helped them to handle the situa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pushing for a number of projects to introduce big data in the disaster management sector. The government also plans to gradually expand the scope of its projects to see if big data can be us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sector through pilot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master thesis is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through disaster information and to establish a rapi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accidents by proposing the study and introduction of a disaster alert system using disaster big data.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establish services for the safety of citizens through proactive forecasting and prevention before a disaster occurs.

      • 철강슬래그를 이용한 가스상 원소수은의 산화촉진 연구

        이주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철산업은 대량의 원료와 에너지를 소비하여 철강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부산물과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켜, 그 양이 약 50%에 이르고 있다. 일관제철공정을 갖춘 제철의 경우 원료, 제선, 제강, 압연 및 스테인레스 등 복잡한 생산 체제를 거치면서 수많은 종류의 부산물 및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며, 이러한 폐기물은 철, 탄소 및 석회석 등의 재활용이 가능한 유효한 자원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철강슬래그의 발생량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철강시설에서 배출되는 고로 및 제강슬래그의 재활용 현황은 부가가치가 낮은 도로용 골재, 시멘트원료 및 공정에서의 재사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각종 제철 폐기물의 발생량을 가능한 줄이고, 발생된 폐기물은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 처리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 활동 과정에서 배출되는 철강슬래그의 재활용용도 및 방법 확대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철강 산업에서 배출되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하여 원소수은의 산화특성을 파악하였다. 국내 철강시설의 경우 수은의 제어효율은 50%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r가스 및 합성가스 별 상온, 100℃, 200℃에서 온도별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철강슬래그 시료 1mm, 2.36mm, 4.75mm에서 각각 철강슬래그의 온도 및 가스에 따른 가스상 원소수은의 산화반응을 파악하였다. 온도에 따른 원소수은 산화반응의 경우 상온에서 보다 100℃, 200℃ 구간에서 산화반응성이 약 2배 더 크게 나타났으며, 100℃~200℃ 구간에서는 산화반응에 대해 다소 편차가 있었다. 또한, Air 조건에서는 온도 및 시료의 입자와 관계없이 산화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합성가스 조건의 경우 산화반응성이 크게 나타났다. 철강슬래그 시료 입도사이즈의 경우 입도사이즈가 작을수록 산화 반응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산화수은 비율은 각각 상온에서 48.3%, 43%, 41.3% 로 나타났으며, 100℃에서 86.2%, 82.1%, 78%, 200℃조건에서는 80%, 77.8%, 73.2%로 나타났다. 철강슬래그의 입도사이즈가 작을수록 산화반응성이 더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비표면적이 클수록 산화반응이 더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 된다.

      • 使用後核燃料 貯藏容器의 熱流動 解析에 關한 硏究

        이주찬 忠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a thermal evaluation of spent fuel storage system is to ensure that a decay heat removal system is capable of a reliable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s of the spent fuel and storage system components remain within the allowable limits. In this study, thermal-fluid flow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 spent fuel storage cask which can accommodate 24 spent PWR fuel assemblies. Equivalent thermal conductivities of spent fuel assembly and fuel basket were derived to optimize the thermal analysis model. Also, the porous model, which can simplify the complex configuration of a fuel assembly, was used in the thermal analysis. Thermal test and analysis for a storage cask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thermal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Thermal test were performed using a half scaled-down model and electrically heated dummy fuel. The measured temperature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from computer model with the same conditions and configurations as the thermal test. There were good agreements between the analysis and test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to predic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the storage cask. Thermal analysis of the storage cask was carried out for normal and off-normal conditions by using the verified analysis method. The maximum calculated temperatures of the spent fuel and the concrete overpack were lower than the allowable valu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integrities of the storage cask were proved under normal and off-normal conditions. The temperatures for the off-normal condi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condition.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cooling capacity of storage cask was maintained under off-normal condition for partial blockage of air inle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license of spent fuel storage cask in the future.

      • 國際合作投資企業의 成果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에 관한 硏究 : 우리 나라에 진출한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이주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합작투자기업의 성과에 대한 해외 선행연구는 선진국 기업들이 선진국 또는 개발 도상국에 진출할 경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내 기존 연구들은 우리 나라 기업들이 해외진출시 합작투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국내에 진출한 국제합작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국제합작투자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파트너의 특성 즉 지분, 보완성, 동질성, 개인적 신뢰, 조직적 신뢰, 경쟁우위, 국적, 기업규모 등으로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적 성과와 만족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 나라에 진출한 61개 국제합작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합작투자기업의 성과를 조사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모든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합작투자기업의 경쟁우위는 기업의 성과 즉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경쟁우위가 있는 기업은 매출액, 순이익률, 시장 점유율등에 더 나은 성과를 보여준다. 둘째, 국제합작투자기업의 파트너간 동질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동질성이 존재하는 기업은 서로의 파트너에게 만족하며 파트너간 역량을 극대화하는 시너지 효과(synergy)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국제합작투자기업의 파트너간 개인적인 신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합작투자기업의 파트너간 조직적인 신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존의 연구에서 국제합작투자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된 지분, 보완성, 국적은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경쟁우위는 객관적인 측정변수인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파트너간 동질성, 개인적 신뢰와 조직적 신뢰는 주관적인 측정 변수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에 진출한 합작투자기업이 시장에서 경쟁에 뒤지지 않고, 재무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특유의 경쟁우위를 보유해야 하며, 기업경영활동에 있어서 전략적 동질성을 통한 파트너간 시너지(synergy)효과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국내에 진출한 합작투자기업의 경우 실무자들의 상호간 의사소통 기회를 높이고, 서로에게 조직운영상 협력관계를 증진시킴으로서 국제합작투자기업의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경쟁우위, 파트너간 동질성, 개인적 신뢰, 조직적 신뢰를 고려하여 합작파트너를 선정하고, 이미 합작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앞서 언급한 요인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Researches on international joint venture(IJV) performance have been mainly focused on IJVs from developed countrie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or in less developing countries. And many of domestic studies on IJVs' performance have addressed to the success factors of foreign IJVs. This study, however, is aiming to find out determinants of superior performance in IJV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review factors which can make IJVs successful by relating equity ownership, complementarity, similarity, interpersonal trust, operational trust, competitive advantage and nationality of foreign partners to IJVs' performance in Korea.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on the 61 Korean IJVs was conducted to gather the data and test the models empirically. Based on the sample consisting of 61,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have been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and the performance.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has been used for the empirical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ve advantage has a positive effect on IJVs' performance. The IJVs armed with competitive advantages can produce tangible results in many areas such as sales, profits, and market share. Second, the similarity between partners gives a positive impact on IJVs' satisfaction. The IJVs, that are similar in terms of management strategy and business philosophy, may have both partners satisfied and can produce synergy effects. Third, the interpersonal trus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JVs' success as measured by the degree of satisfaction felt by IJV partners. Fourth, the operational trust has positive influence on IJVs' success as measured by the degree of satisfaction felt by IJV partners. Fifth, bo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re not so closely related to equity ownership, complementarity, and nationality of foreign partners unlike studies. The above result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IJVs' competitive advantage has much to do with performance measured as objectively. The similarity, interpersonal trust, and operational trus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satisfaction. Therefore, the IJVs' competitive advantage is an essential element to financial results of IJVs in the Korean market. Also important is whether they can achieve synergy effects by strategic similarity. They should make face-to-face communication system more effective and smoother and enhance cooperations between partners in management operations, which, in turn, could make their business goals come true. Competitive advantage, similarity, interpersonal trust, and operational trust must be taken seriously in selecting partners.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IJVs, which already in business, should maximize performance by availing themselves of those factors to account in a much more effect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