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동경력의 차이가 필드하키선수의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이승윤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를 대상으로 운동경력의 차이가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필드하키선수 총 90명(남자: 45명, 여자 45명)을 대상으로 남녀별 운동경력의 차이에 따라 남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3), 고등학생 집단(n=18) 및 대학생 집단(n=14)과 여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8), 고등학생 집단(n=12) 및 대학생 집단(n=15)으로 분류하여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남자(p=.002) 및 여자(p=.011) 필드하키선수에서 Bar-in front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2)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p=.013)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중학생 집단(p=.011)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In-line lunge는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11) 및 대학생 집단(p=.01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37) 및 대학생 집단(p=.027)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Rotary stability는 중학생 집단(p=.000) 및 고등학생 집단(p=.000)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otal score는 중학생 집단(p=.013) 및 고등학생 집단(p=.009)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및 Active straight leg rais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3)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Total scor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필드하키선수는 운동경력의 차이, 즉 운동경력의 증가에 따라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이 종목 특이적으로 변형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history on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in field hockey players. Subjects (n=90; M: 45, F: 45) were assigned to middle school players (M=13, F=18) high school players (M=18, F=12) and college players (n=14, F=12) by exercise history of male and female field hockey. All subjects measured the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Bar-in front rotation in male(p=.002) and female field hockey players(p=.01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 Lumbar-locked rotation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2). Lumbar-locked rotation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p=.013). Shoulder gradient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ut shoulder gradient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1). In-line lung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chool players in high school players(p=.011) and college players(p=.016). Trunk stability push-up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37) and college players(p=.027)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Rotary stability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00) and college players(p=.000)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Total scor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3) and high school players(p=.009). However,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and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both sex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runk stability push-up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3).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and Total score.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exercise history changes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s by specific to the sports.

      • Drone route scheduling for military reconnaissance

        이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손자병법의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의 말처럼 전쟁의 승패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적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다. 우리 군은 적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군사 정찰의 여러 분야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우리 군의 노력 중 하나가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무인 정찰기, 드론을 활용한 군사 정찰이다. 최근 드론의 발전은 군사 정찰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급속도로 발전하는 드론의 비행능력은 우리 군이 미래 군사 작전 간 전장 확대에 발맞춰 대응할 수 있도록 가능케 해준다. 이러한 드론의 발전에 따라 우리 군도 차기 군단급 무인기인 송골매(RQ 101k), 차기 대대급 무인기인 리모아이(RQ 103K) 등을 실전배치를 목표로 지속적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의 발전에도 소규모 부대의 특성상 중대급 부대는 경량화된 드론을 운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운용가능시간과 같은 드론 제원의 제한사항들이 발생한다. 또한, 적의 핵심목표위주로 대화력전을 수행하는 상급부대와는 달리 중대급 부대는 작전 지역 내 공격해오는 적들과 가용한 모든 자산을 활용하는 전면전을 수행한다. 따라서, 드론 제원의 제한사항과 전면전이라는 중대급 부대의 특수성에 의해 차량경로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VRP)나 외판원문제(Traveling Salesman Problem, TSP)을 통해 드론의 정찰 경로를 설계하는 기존 연구만으로는 효율적인 중대급 정찰 드론의 경로 설계가 제한된다. 중대급 부대의 효율적인 드론 정찰 경로를 기존 연구와는 다른 접근법을 통해 설계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중대급 부대에 적용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해당 시나리오별 최적의 군사 드론의 정찰 경로를 설계하였고, 해당 시나리오별 군사 드론의 정찰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부대의 가용 시간별 최적의 군사 드론 정찰을 계획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대급 부대는 작전가용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적과의 전투에 승리할 수 있을 것이다.

      • 회복 탄력성, 조직 몰입, A형 행동 유형이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승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도화된 현대 산업에서의 사고는 Human Error가 결합 된 복잡한 형태로 변화되었음을 주목하고, 인간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산업에서 증가하고 있는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성격 유형과 심리적 요인(회복 탄력성, 조직 몰입, A형 행동 유형)의 조절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주요 집단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수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권, 충청권의 250개 사업장 근로자 2,098명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서 개인의 성격 유형과 심리적 요인은 유의미한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과 조직 몰입 수준은 긍정적인 조절 효과가 나타났으며, A형 행동 유형의 성격 유형은 부정적인 조절 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주요 집단의 특성에 따라 연구 변수의 차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은 주요 집단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상호 부(-)적인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비정규직 근로자이거나, 회사 규모가 작거나, 건설업/전기공사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일 경우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안전 행동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정규직 근로자이거나, 회사 규모가 크거나, 제조업/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일 경우 안전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안전 행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 유형과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요소임을 인지시키고, 효과적인 인적 자원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향후 산업 현장의 근로자 안전 심리 증진을 위해 사업장과 정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접근 방향을 제안 함으로써 정책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noted that accidents in advanced modern industries have changed into complex forms in which human errors are combined, and tried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human safety behavio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creasing job stress of workers in modern industry on safety behavior was analyz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ype and psychological factors (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ype A behavior pattern were verified. In addi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whether differences in study variables appe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roups. For the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measurement tools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for 2,098 workers at 250 workplace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personality type and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mutual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In other wo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it was verified that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s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and type A behavior patter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roups of study subjects,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were in a mutually negative (-) relationship. did As for job stress, higher age groups, non-regular workers, small companies, and workers in the construction/electrical construction industry showed a higher level of job stress. Conversely, safety behavior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case of higher age groups, full-time workers, large companies, or workers in manufacturing/service industrie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recognized that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important factors in expanding safety behavior in industrial settings, and basic data were provided to prepar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In addition,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y discussing the roles of workplaces and the government and suggesting approaches to improve workers' safety sentiment at industrial sites in the future.

      • 유리섬유 표면처리에 따른 고분자 복합소재의 젖음성 및 충격강도에 관한 연구

        이승윤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스틱 제품 개발에 있어 굴곡강도나 굴곡 탄성률과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첨가제로 유리섬유가 있다. 일반 플라스틱 제품에 비해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은 굴곡강도나 굴곡탄성률,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하지만 충격강도는 일반 플라스틱과 비교하면 심각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 복합소재에 유리섬유 첨가 시, 유리섬유 표면에 coupling agent를 이용한 sizing(표면처리)을 한 후 적용하게 되면 coupling agent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충격강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유리섬유와 고분자로 구성된 복합재료에 있어서 이종 재료 간 계면에서의 상호작용과 계면 결합력이 재료의 성능과 기능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재와 유리섬유 간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coupling agent를 선택하고 적당량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재와 유리섬유 간의 표면처리 유․무에 따른 계면결합(wetting)을 SEM으로 확인하고 3가지 silane coupling agent를 선정하여 유리섬유 표면에 sizing을 진행한 후, 충격강도, 인장강도, 굴곡강도를 측정하여 물성의 향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silane coupling agent를 도입하지 않고 유리섬유만 첨가한 경우가 가장 낮은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굴곡강도를 나타내었으며 silane coupling agent의 도입 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굴곡강도를 나타냈으며, 세 종류의 silane coupling agent 중 methacrylate계가 n-octyl계, amino계 보다 더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SEM으로 충격강도 파단면을 관찰한 결과 silane coupling agent를 처리한 경우가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좋은 계면 결합을 나타내었다.

      •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의 근무스케줄 변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스케줄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고용유지지원금의 조절효과

        이승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감영병 사태로 인해 경제부문의 극심한 불안정과 동시에 호텔, 여행사, 항공사 등 관관업계에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 그중 특급호텔의 경영환경이 극심하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초부터 호텔은 비용 및 인건비절감을 위해 직원들을 해고조치하거나 계약연장을 안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정부보조금인 고용유지지원금이 수령 가능해짐에 따라 고용유지지원금이 수령 가능한 조건을 충족한 호텔의 경우, 최대한의 인원을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받고 유급휴가를 보내는 방법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호텔의 운영을 위해 출근하는 최소한의 조리종사원들에게 불규칙하고 불합리한 스케줄근무가 강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합리한 스케줄근무가 조리종사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들의 근무스케줄 변화가 스케줄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 영향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의 조절역할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스케줄변화, 스케줄스트레스, 조직몰입, 그리고 고용유지지원금의 정의와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근무스케줄변화를 독립변수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스케줄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고용유지지원금을 조절변수로 지정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서울소재 특1급 호텔에서 근무하는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350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310부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검정결과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의 근무스케줄변화는 스케줄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불합리하고 불규칙적인 근무스케줄로 인해 호텔조리종사원들의 역할스트레스, 육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 호텔조리종사원의 스케줄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호텔조리종사원들의 역할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 육체적 스트레스가 증가한다면 조직몰입도가 낮아지는 것을 뜻한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의 근무스케줄변화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의 근무스케줄변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스케줄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무스케줄변화와 조직몰입과는 영향관계가 없지만 근무스케줄변화가 스케줄스트레스를 매개로한다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뜻한다. 다섯째,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의 근무스케줄변화가 스케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고용유지지원금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무스케줄변화량이 증가하면 스케줄스트레스도 증가하게 되는데 고용유지지원금의 수령유무에 따라 두 변수의 관계가 조절된다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호텔조리종사원의 근무스케줄변화가 스케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 스케줄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 그리고 고용유지지원금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정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코로나-19라는 특수한 감염병 사태를 겪고 있는 지금, 많은 호텔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대부분의 호텔조리종사원들이 불규칙한 교대근무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던 와중 근무스케줄변화로 인한 스케줄스트레스가 심화되어 조직몰입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호텔기업은 단기적인 측면에서 생각하여 인건비절감을 위해 종사원들을 해고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인 측면에서 생각하여 종사원들을 해고하지 않고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 후 계약연장을 통해 종사원들의 조직몰입도 증가에 힘쓴다면 서비스의 질도 향상될 것이고, 나아가 호텔의 수익관련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에 나중에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사태가 또 발병하였을 경우를 대비해 호텔기업에게 조리종사원들의 근무스케줄관리와 고용유지지원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인도 토지개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전개과정

        이승윤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at failure of land reform results from the fundamental factors of most farmers poverty and social discrimination, looking through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processes of implementation of land reforms in India. At the time of Independence(1947), Indian agricultural land was administered under the systems, of which the zamindari system covered nearly 57 per cent. The colonial State honored the rights of the zamindars as long as they paid the revenue. On the other hand, various raiyati rights limited the zamindar's title to his own estate. The Mahalwari system(prevalent in some 5 per cent of the area) and the Raiyatwari system(prevalent in about 38 per cent of the area) also generated unprotected tenants, subtenants and sharecroppers who did not have any security over the land they cultivated. Through these three systems, the landlords owned or controlled around 55 to 60 per cent of the privately owned land in India at the time of independence. What was left to the actual cultivator, after the claims of various superior right-holders were satisfied, might well be subject to collection of unpaid debt by money-landers. Therefore the reforms of the land system which is so urgently needed in India, involves the removal of intermediaries between the peasant and the state. The Uttar Pradesh Zamindari Abolution Act(1950) was the first, and also a model act on this subject. By the end of the First Five Year Plan(1950-55), all the states had enacted laws for the abolition of zamindari and other intermediary interests. The post-colonial land reform measures contemplated to achieve the objectives were abolition of intermediaries, tenancy reforms, redistribution of land. But land reforms in India have failed because of snags in legislation, lack of political will, and apathy of the bureaucracy, and so on. There is the lesson we may draw from the experiences of West Bengal. If land reforms programme is confined to these objectives alone, it will have only marginal impact upon poverty alleviation. In order to be successful, the agenda of the land reforms programme has to be expanded to include the following: ①Provision of infrastructure, ②Provision of credit, ④Making non-land inputs, ⑤Consolidation of holdings, ⑥Agricultural extention, ⑦Marketing. The agenda cannot be addressed adequately by State intervention. The crucial factor for making a breakthrough in poverty eradication and securing social justice i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oor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so-called 'poverty trap'. Decentralization of the State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empowerment of the panchayat system demystifies the State and then enlarges the space for political participation.

      • 베토벤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9번 A장조 Op.47 '크로이처'> 연구

        이승윤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9번 A장조 Op.47 ‘크로이처’>는 작품 자체의 기교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독특한 작곡 배경과 부제에서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베토벤이 당시 소유했던 발터 피아노의 성능과 당대 바이올린 주법을 이 곡에 적용한 것을 알 수 있다. <Op.47>의 마지막 악장은 원래 <Op.30, No.1>(바이올린 소나타 제6번)의 피날레로 만들어졌던 곡이지만, 베토벤은 악장의 균형과 분위기를 고려하여 이를 <Op.47>의 마지막 악장으로 배치하였다. <Op.47>은 제3악장이 작곡의 출발점이 되어 작품의 초연날 급하게 완성된 제1, 2악장의 토대가 되었다. 베토벤은 <Op.47>을 바이올리니스트 브릿지타워(George Augustus Polgreen Bridgetower, 1778-1860)를 위해 작곡하였고, 초연은 1803년 5월 베토벤의 피아노와 브릿지타워의 바이올린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출판시 베토벤은 헌정자를 프랑스 바이올리니스트인 크로이처(Rodolphe Kreutzer, 1766- 1831)로 바꾸었다. 그 이유는 많은 추측이 가능한데,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할 무렵 비인에서 파리로의 이주를 생각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베토벤이 당시 프랑스 스타일과 파리 청중들의 취향에 관심을 가졌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베토벤이 <Op.47>의 헌정자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실제로 <Op.47>은 크로이처가 작곡한 <그랜드 소나타>(Grande Sonata)와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베토벤은 1805년 이 작품을 출판할 때 표지에 “거의 협주곡처럼, 아주 협주풍으로 쓰여진 피아노와 바이올린 오블리가토를 위한 소나타”(Sonata per il Pianoforte ed un Violino obligato, scritta in uno stilo molto concertante, quasi come d’un concerto)라는 부제를 붙였다. 베토벤은 이론가 코흐(Heinrich Christoph Koch, 1749-1816)의 영향을 받아 ‘협주곡’이라는 용어와 협주적 요소를 의미하는 ‘콘체르탄테’를 제목에 부가하였다. 이는 이중주 소나타 작곡에서의 새로운 출발을 암시하며 피아노와 바이올린, 두 악기가 서로 균형적인 관계로 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Op.47>의 균형적인 특징은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주제 선율 교환과 각 악장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음악적 표현과 리듬의 형태 등에서 볼 수 있다. 두 악기의 주제 선율 교환은 단순한 주제의 반복을 피하고, 조성의 변화, 선율의 변화, 선율의 확장으로 발전되어 각각의 악기가 강조되며 균형을 이룬다. <Op.47>의 세 악장은 악장의 길이에서 균형을 이루며, 코다에서 제시부 주제를 연상하는 선율이 나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세 악장에 모두 ‘약강’(♪♩)의 리듬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리듬형은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대화적 요소에도 사용된다. Ludwig van Beethoven’s Sonata for Piano and Violin No.9 in A Major Op.47 ‘Kreutzer’ possesses a rich compositional history as well as virtuosity of the work. Op.47 also shows that Beethoven applied the performance of his own Walter's Piano and the violin techniques of the time to this sonata. The last movement of Op.47 was originally composed as the finale to Op.30, No.1, but was replaced by another finale for balance of the movement. The finale of Op.47 was the point of departure and became the source of the first two movements which were written in extreme haste for the first performance. Beethoven wrote Op.47 for the violinist, George Augustus Polgreen Bridgetower(1778-1860), and it was premiered by Beethoven on the piano and Bridgetower on the violin in May 1803. However, Beethoven changed his mind and dedicated the sonata to Rodolphe Kreutzer(1766-1831) instead of Bridgetower when it was published. There are a several speculations on the change. Given that Beethoven intended to leave Vienna for Paris around the time of composing Op.47, he might have wanted to delight Parisian audience by writing in French style as well as dedicating the work to a French violinist, Kreutzer.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Op.47 and Grande Sonata by Kreutzer, and we can infer that the Beethoven’s work was affected by the Kreutzer’s sonata. When the sonata was published in 1805, the subtitle on the first page reads, “Sonata per il Pianoforte ed un Violino obligato, scritta in uno stilo molto concertante, quasi come d’un concerto.” Beethoven was influenced by Heinrich Christoph Koch(1749-1816) and added two terms concerto and concertante meaning “alternating with the solo part in presenting the melody” to the title. This implies the new start of duo sonatas and denotes dialogue between two instruments, piano and violin with balanced relationship and roles. These balanced features of Op.47 are shown in the dialogue expressed in terms of thematic exchange as well as the lengths of each movement, unified rhythm and musical expression. The thematic exchange between piano and violin consists of mode alteration, melody changes and melody expansion; all these factors highlight each instrument and help to avoid simple repetition of the theme. The codas of all three movements include same tempo changes to Adagio with impressions of the first theme. In addition, ‘up-down’ rhythmic pattern is used repeatedly throughout all three movements, and this rhythmic pattern is used in the dialogue between piano and viol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