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소인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71

        국문초록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소인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임상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6주 간 뇌졸중 환자 총 14명이 참가하였으며,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 대조군 모두 훈련 전 사전검사를 하였다.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은 6주 동안 주 3회, 1회당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20분, 마무리운동 5분으로 총 30분씩 실시하여 훈련 3주 후 중간검사, 6주 후 사후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BBS) 측정과 기립상태에서 Gait View의 정적 검사(static test)를 측정하여 앞-뒤, 왼쪽-오른쪽 발바닥압력 차이와 환측 한 다리 서기 능력(one leg score test)을 측정하였다. 보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보행 시 운동성과 동적 균형과 관련된 Timed Up & Go(TUG)와 동적 수행능력과 관련된 보행상태에서 Gait View의 동적 검사(dynamic test)를 측정하여 앞-뒤, 왼쪽-오른쪽 발바닥압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시기 및 군 간의 측정 변인들이 미치는 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과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BBS에서의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과 대조군 모두 사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기립자세에서의 정적 앞-뒤 발바닥압력 비율 차이에 대한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기립자세에서의 정적 왼쪽-오른쪽 발바닥압력 비율 차이에 대한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넷째, 환측 한 다리 서기 능력에서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다섯째, TUG 시기에 대한 집단 간 비교에서 사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여섯째, 동적 앞-뒤 발바닥압력 비율 변화에서 시기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일곱째, 동적 왼쪽-오른쪽 발바닥압력 비율 변화에서는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의 시기 간 변화에서 유의하게 감소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을 통한 균형 및 보행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 재활프로그램으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경두개직류자극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의 동반적용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역치와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이소인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71

        국문초록 경두개직류자극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의 동반적용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역치와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이소인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통합의학과 물리치료전공 본 연구는 경두개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의 동반적용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역치와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임상적으로 중재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과 효율적인 적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 7명, tDCS적용 후 지연된 시각적 피드백 군 7명,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 7명을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각 군은 준비 운동 5분, 본 운동 20분, 마무리 운동 5분으로 주 3회, 6주 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각 군은 중재 전 평가를 시행하였고, 중재 6주 후에 평가를 시행하여 군 간·내의 치료 중재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들의 감각역치를 알아보기 위해 진동감각역치와 온도감각역치를 측정하였고, 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균형측정 장비를 통해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을 측정하고, 버그균형척도와 앉았다 일어나 걷기검사를 시행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을 알아보기 위해 뇌졸중 자세평가척도와 한국판 수정바델지수를 평가하였다. 감각역치의 변화에서 발의 진동감각역치, 손의 냉감각역치, 손의 온감각역치, 발의 냉감각역치, 발의 온감각역치에서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 손의 진동감각역치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사후분석 결과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균형능력의 변화에서 눈 뜨고 선 자세의 정적 균형, 눈 감고 선 자세의 정적 균형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 동적 균형, 버그균형척도, 앉았다 일어나 걷기검사에서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분석 결과 동적 균형과 버그균형척도는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앉았다 일어나 걷기검사는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tDCS 적용 후 지연된 시각적 피드백 군,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일상생활동작의 변화에서 뇌졸중 자세평가척도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사후분석 결과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tDCS 적용 후 지연된 시각적 피드백 군,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판 수정바델지수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감각역치의 변화에서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거짓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은 손의 진동감각역치, 발의 진동감각역치, 손의 온감각역치, 발의 온감각역치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손의 냉감각역치, 발의 냉감각역치는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tDCS 적용 후 지연된 시각적 피드백 군은 모든 감각역치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균형능력의 변화에서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tDCS 적용 후 지연된 시각적 피드백 군은 눈 뜬 자세에서 정적균형, 눈 감은 자세에서 정적 균형, 동적 균형, 버그균형척도, 앉았다 일어나 걷기검사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은 눈 뜬 자세에서 정적 균형, 버그균형척도, 앉았다 일어나 걷기검사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눈 감은 자세에서의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은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일상생활동작의 변화에서 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과 tDCS 적용 후 지연된 시각적 피드백 군은 뇌졸중 자세평가척도와 한국판 수정바델지수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거짓tDCS를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군은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tDCS와 동시에 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손의 진동감각 민감도를 향상시키고, 동적균형, 그리고 자세유지 및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에게 tDCS와 동반적용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감각 민감도와 균형능력 증가, 자세유지 및 변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의 근거가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임상에서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감각기능을 서로 비교하는 연구들이 필요하며, tDCS와 결합하는 다양한 운동방법들을 비교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결합 운동방법을 알아보려는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Georgia O'keeffe 회화에 나타난 자연의 이중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상징성과 추상성을 중심으로

        이소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예술가들은 작품의 모티브를 대부분 자연으로부터 얻고 있다. 자연이 가지는 아름다움과 신비로움, 장엄함은 인간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대자연의 미를 낳게 하는 모태가 되기도 하였다. 인간의 삶은 이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인 즉, 인간의 미의식 또는 예술 활동도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자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의 모습들은 때때로 유기적인 형태로도 표현되어, 여성적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전 생애에 걸쳐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세계를 추구했던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1887~1986)가 여기에 속한다. 오키프는 반세기를 넘는 작품 활동으로 모더니즘 시대에, 유기적이고 관능적인 자연의 표현으로 미국의 현대미술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한 여류작가이다. 본 논문은 조지아 오키프 회화에 나타나는 유기적인 특성을 상징성과 추상성이라는 이중적 경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현재 페미니즘의 영역으로 제한되어있는 오키프의 작품을 여성의 상징성을 강조하는 페미니즘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적 언어로 바라봄으로써 또 다른 시각인 추상성을 도출해내었다. 여기에서의 추상은 그녀가 일생동안 작품에 담은 자연의 리듬과 유기적 이미지, 생명성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녀의 작품에 나타나는 이중적 경향 중 첫 번째는 여성성의 상징으로 현재 조지아 오키프 비평에 일반화되어있는 개념이다. 여기서는 오키프 작품의 부드러움과 중심핵 이미지를 강조하며, 여성성의 상징으로 규정짓는다. 특히 그녀의 작품에서의 꽃 이미지는 부드럽게 출렁이는 질의 구조로 간주되며, 보편화된 여성적 섹슈얼리티의 강한 은유라고 본다. 그리고 나무나 건물 모티브는 우뚝 솟아있는 남근의 상징으로서, 꽃과는 대조되는 남성성의 상징으로 분류하는데, 이와 같이 오키프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생태학적 여성성의 상징으로 본다. 오키프의 작품에 나타나는 이중적 경향 중 두 번째로는 사물을 조형적 언어로 환원시킴으로써 나타나는 추상성이다. 그녀의 작품은 묘사력과 상상력이 결합된 구상과 추상의 공존이라는 특성을 이루고 있어 자연의 원형보다는 추상적 특성을 지닌 독특하고 강렬한 회화 영역을 개척하였다. 그 중에서도 자연의 생명력과 그 에너지가 추상적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또한 오키프는 예술의 정신성을 믿었으며, 추상형태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였던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의 예술에서의 음악적 요소와 리듬감, 유기적 이미지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오키프의 작품을 이중적 경향 즉, 여성적 상징성과 생명의 추상성으로 구분하여 다루고 있다. 이는 페미니즘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며, 추상적인 이미지들을 내포하고 있는 그녀의 작품을 제시함으로서 오키프 회화의 추상성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rtists get their motifs for works mostly from nature. Beautiful, mysterious and magnificent nature was an interesting subject to man. Human life evolved around nature; it seems mostly obvious that aesthetic consciousness or art activity itself must have also been influenced by nature. These features of nature were sometime expressed in very organic forms, showing very feminine images. Georgia O'Keeffe(1887~1986) was one of such artists who devoted her work to natural subjects. Organically and carnally expressing nature, she was an artist who achieved an outstanding position in American modern arts. This study analyzes organic characteristics of her paintings in terms of their dualistic tendency: symbolism and the abstractness. By viewing her works in a purely artistic language and escaping from the feminism that stresses symbols of women, a different perspective, abstraction, was derived. Abstraction here means expressing in shapes of natural rhythm, such as the organic images and liveliness portrayed in her works. The first series of dualistic symbols found in O’Keeffe’s work are feminism this is a generally accepted concept by her critics. Softness and nuclear images in her works are usually thought to symbolize feminism. Especially, images of her flowers are seen as a woman's vagina, a strong metaphor for women's sexuality. The motifs of trees and buildings symbolize manhood, which stand prominently and contrast with the flowers. Likewi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her works are approach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as symbols of women's biological traits. The second tendency in her works is abstractness that restores objects into structural language. Her works uniquely comprise both description and abstractness bonded with imagination. This led to pioneering a unique, abstract and powerful area of painting. The vitality and energy of nature is expressed in abstract images. She believed in the soul of art; after being influenced by Wassily Kandinsky(1866~1944), who endowed absolute value to abstract figures, she began to reflect on his musical factors, incorporating rhythms and organic images in her works. Hence, this thesis divides O'Keeffe's dualistic tendency into two parts - symbolism of feminism, and abstractness of life. This is not a denial of feminism but a mere suggestion of another perspective that connotes abstract images. By doing so, this thesis aims to study her works and her use of abstraction in depth.

      •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소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 소 인 본 연구는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남 A시에 위치한 정신요양시설에 거주하고 DSM-5의 진단 기준에 의해 정신과 전문의에게 조현병으로 진단을 받고 현재까지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5년 이상이 경과된 만성조현병 환자로 본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를 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으며 2016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주1~2회 매 회기 각 70분씩 시행하여 전체 12회기를 실험집단에게 실시하였다.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심리척도검사로는 대인관계 척도와 의사소통 척도를 사용하였고, 투사검사로는 그림이야기 검사(DAS: Draw A Story)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부 하위 영역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긍정적인 변화는 가져왔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라 볼 수 없다. 둘째,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전체 하위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하위영역 중에서 자기노출과 자아개념이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DAS 사후 검사 결과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들의 그림의 전체적인 자아상과 관계성이 사전검사에서 보다 대부분 향상되어진 것으로 보아,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시설거주 만성조현병 환자들의 대인관계 측면과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주제어 : 집단예술치료, 만성조현병, 대인관계, 의사소통, DAS

      • 재무상담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무관리행동의 매개효과와 금융소비자의 위험감수성향을 중심으로

        이소인 韓國航空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financially advanced countries, financial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rely on internet or neighbor’s stories with a word of mouth effect as their sources of information in making a decision when financial management and behaviors are needed. This situation would be able to lead to a potential financial disaster in personal financial area, especially considering these particular circumstances in Korea such as : high level of householder’s debts, high ratio of individual investors in stock market, too-fast-aging society and low income replacement ratio by national pension system, while going along with the restructuring of industries and rigid labor market with its polarization, and furthermore, with a poor diagnosis/analysis on the financial situation of consumer, followed by poor financial management and behavior in the long run.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a correlation between a financial planning service quality and a financial consumer’s individual tendency of risk-taking that could promote a financial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through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 of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individual risk-taking tendency. So, in order to obtain a correlation between a financial planning service quality and a related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349 adult resi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rough on-line survey by a professional research and survey compan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consumers’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become more positive when they have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n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s, and also in case that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become more positive and their recognition levels becom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s of financial consumers become much higher accordingly. And by this progress and correlation of satisfaction level between financial planning service and financial consumer’s safisfaction, a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pplies a meaningful partial mediation effect. Furthermore, in this related progress between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qualit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financial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it shows that customers have higher satisfaction level when they are having a higher risk-taking tendency than when they having lower one. Thus, this study is focused and designed to find out the co-related effects of the financial consumer’s risk-taking tendency in relation to financial planning service qualit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then desired to reconside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quality in order to promote a more positiv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or achieving a financial welfare of individual household. And also, hopefully, this work is dedicated to provide schools and industries with a theoretical basis to set up a more efficient strategy for professional financial planning services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a better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and to build a more supportive infra-structure for financial consumers who desire stable and well-managed financial welfare throughout their lives. 우리나라의 경우 재무관리 및 의사결정에 있어서 금융선진국들에 비하여 관련 전문가의 자문이나 상담을 받고 의사결정을 하기 보다는, 인터넷이나 주변사람들의 이야기를 주요 정보원으로 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은 높은 가계부채수준, 주식시장에서의 높은 개미투자자 비중, 급격한 고령사회 진입과 낮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비율, 산업구조 개편과 노동시장 양극화 등과 맞물려, 개인재무소비자에 대한 부실한 진단,분석과 어설픈 이행 등으로 이어져 개인재무와 관련해 불행한 사태를 양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내포하고 있다. 때문에 금융소비자에 대한 정확하고 전문적인 재무상담 서비스는 고객만족과 삶의 재무복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에 대한 재무상담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재무관리행동의 매개효과와 소비자 개인의 위험감수성향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 금융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재무상담적인 요인과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총 34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전문 설문업체를 통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발견 점은, 재무상담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의 인식이 높으면 고객의 재무관리행동은 적극적으로 변하게 되고, 재무관리행동이 적극적이고 이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금융소비자의 만족도는 높아지게 된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재무상담 서비스품질과 금융소비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재무관리행동은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재무상담 서비스품질, 재무관리행동, 금융소비자만족 간의 유의미한 경로는 금융소비자가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성향이 낮은 경우 보다는 높은 경우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의 위험감수성향이 재무상담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나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재무상담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 재고해 보고, 긍정적인 재무관리행동을 촉진시켜 가계재무복지 달성에 기여하는데 도움이 됨과 동시에 또한 향후 재무상담 서비스 전략방안 수립의 이론적 기초 및 마케팅 전략방안 모색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소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isur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isur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isure satisfaction on resil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Cronbach's ⍺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basic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normality was satisfied. After that, before conducting a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validity of the variables was review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isur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s of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generally higher than usual.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were high in leisure satisfacti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purpose of life, and personal growth were high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in resil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hysiological satisfaction, comfortable rest, social satisfaction, and position,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that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comfortable rest,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ffect on resilience, but social satisfaction and position did not affect resilie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affects the ultimate quality of life and becom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successful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leisur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suggested that the given leisure time should be a time to take a comfortable rest, and that a systematic responsibility improvement program for non-class teachers should be designed and applied.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여가만족,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D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을 살펴 정규성 충족 여부를 파악하였다. 이후 변수 간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기에 앞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변수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여가만족에서는 쾌적한 휴식, 사회적 만족, 생리적 만족 순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 자아수용성,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에서는 대인관계, 정서조절능력, 긍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생리적 만족, 쾌적한 휴식,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생리적 만족, 쾌적한 휴식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만족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여가만족이 궁극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며, 성공적인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은 유아교육의 교수자인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정과 다양한 문제 상황 속에서의 회복탄력성 수준에 좌우될 것이기에, 무엇보다도 충분한 여가시간 확보와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복지적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

      • Robert venturi의 建築的 象徵技法을 통한 새로운 建築設計方法에 關한 硏究

        소인 水原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1823

        건축에 대한 정의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이 되겠으나 예술의 한 분야로 인식할 때, 가장 큰 규모의 예술형식 중 하나라고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인가의 생활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지니고 있고 다른 분야의 예술을 여러 가지 형태로 수용한다는 점에서 그 포용성을 짐작할 수 있다. 현대건축가 로버트 벤츄리 (Robert Venturi) 는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라스베가스의 교훈」등에서 건축의 상징체계를 부각시키며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언어를 제시하고 그가 계획한 건물을 통하여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벤츄리의 이론은 소위 포스트 모더니즘의 건축가들에게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오늘날의 현대건축은 다시금 전환기 상황을 맞이하여 벤츄리와 더불어 알도 로시 (Aldo Rossi), 콜린 로우 (Colin Rowe) 등의 저술활동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20세기말의 건축작품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있다. 벤츄리의 저서는 시대적으로 볼 때 모더니즘의 주류의 흐름에 그의 음률을 맞추고 공명하는 훌륭한 이론전개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1977년 로버트 벤츄리 (Robert Venturi) 는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을 발간하였다. 근대건축 거장들의 시대가 퇴색되어가고 새로운 방향설정이 모색되는 때에 발간된 이 책은 특히 근대건축의 도덕성 (morality) 과 순수주의 (purism) 에 반대되는‘반 영웅주의적’이며 ‘포괄적’이고 ‘역사주의적’인 사고의 필요성을 주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후「라스베가스의 교훈」등 일련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며 그의 독특한 건축관을 전개하였다. 반 영웅주의적이며 역사주의적인 건축을 추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는 팝아트 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추악하고 진부하다’고 칭할 만큼 개방적이고 포괄적 건축언어를 구사하였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매우 계산적이며 합리적인 평면을 계획하였고 대신 파사드에게 장식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건물의 용도 및 성격을 나타내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장식된 쉐드’(Decorated Shed) 라고 칭하면서 그의 건축적 상징 기법의 주요한 개념으로 자리 매김 하였다. 그와 상반된 개념인 ‘덕크’(Duck) 은 상징성에 있어서는 더욱 효과적이긴 하나 그에 따른 건물 기능성 저하의 위험과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의 대립적 개념을 시대적 당위성으로써 파악하고 그가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에서 주장한 이론전개방법과 마찬가지로 상반된 ‘대립적’요소인‘Decorated Shed’와‘Duck’를 ‘복합’하여 이를 ‘Ducky shed’라 칭하고 본인이 계획한 “ZZ Restaurant for Pizza”라는 건물을 예로 들어 그 가능성을 제시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가 제시한 ‘장식된 쉐드’와 ‘덕크’, 이 두 개념은 단지 상대적 개념으로써 파악되는 것이지 결코 우월을 가릴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그에게 있어서 ‘장식된 쉐드’가 강조된 것은 그가 처한 시대적, 환경적 요인에 의한 선택일 뿐이며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지금, ‘덕크’를 새로운 시각으로 평가해야할 것이다. 또한, 벤츄리의 후기작품 중에 ‘장식된 쉐드’보다는 ‘덕크’이라고 평가되는 건물이 발견되는 것은 그가 상대적으로 비중을 두지 않았던 ‘덕크’의 개념이 강한 상징성을 지님과 동시에 보다 기능적이며 합리적일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며 여러 건축가의 현존하는 여러 건물에서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과거 건축에서도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제는 로버트 벤츄리가 주장한 두 가지 건축적 상징기법인 ‘장식된 쉐드’와 ‘덕크’를 단순히 양분하여 그 중 하나인 ‘장식된 쉐드’만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그 두가지의 복합적 개념인 ‘Ducky Shed’으로 발전시켜 현시대에 적용해야할 때인 것이다. The definition of architecture can be 'the biggest form of art' and we distinguish it from otehrs because the architecture 'includes' the human life and it absorbs the rest of art in many ways. Robert Venturi emphasized the symbolism of architecture through「The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Learning from Lasvegas」, suggesting his unique architectural language and proved it with his own buildings. His architectural theory inspried many Post-Morern architects. The architecture of the end of the 20th century gained theoric basis in Colin Rowe, Aldo Rossi, and Venturi's works. Especially, Venturi's works had enfluence on the Post-Modern architecture. In 1977, Robert Venturi published「The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The great architects went by and it was needed to find the new way of architecture. This book suggested that 'We need the anti-heroic, general and historic way of thinking.' And he expanded his own theory through「Learning from Lasvegas」and other reports.. As his architecture adapted 'Pop art', he evaluated it as 'ugly' and 'wearisome'. Nevertheless his concept is liberated and inclusive, the plan of his buildings is general and rational. And he put the decorative factor on the facade that represent the character of the building. It is called 'Decorated Shed' and it is an important method of his symbolism. The negative concept of 'Decorated Shed' is 'Duck' and he is reluctant to apply 'Duck' on his builing, because it is less functional and economical than 'Decorated Shed' though it is more efficient to symbolize something. This research analyze these two contractory concept and suggest the possibility to complex and evolve them the way Robert Venturi did in「The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juxtaposing the "ZZ Restaurant for Pizza" that I designed. And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 The fact that some of his works are classified as 'Duck' implies that 'Duck' is not so inefficient as he regarded, and it is proved by the ancient architecture 'Amiens Cathedral', for example. So we need to syntesize 'Decorated Shed' and 'Duck' in one concept. It is called 'Ducky Shed' and it should be applied on the architecture today.

      • 멀티모달정보를 이용한 기절상황 인식시스템에 관한 연구

        소인 圓光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1823

        Trend toward nuclear families and aging society causes increase in solitary persons. This leads to the need of individualized preventive medical service which, in turn, requests health management technique that can be serviced at any time and any place. Recently, research is on the way about automatically recognizing faint motion for people living alone in their houses. Fainting is likely to happen among elderly people, and this may lead to injury or even to death. Therefore, fainting is regarded as a cause of high risks among solitary elderly men. The medical treatment results on fainting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time from recognizing fainting to call for help, and to emergency treatment. Thus, there have been fainting motion sensors which make use of acceleration sensors or gravity sensors to recognize faint motions automatically and call for help. The problem is, though, that users should always carry the sensors. To solve this problem, fainting dete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which detects and traces person in real time using camera image. In recognizing the faint motion, wrong analysis of the information may cause serious problem, and there are limitation to fully eliminate false error in both sensor based or camera based method. This study, thus, proposes ‘Recognition of faint situation based on Multimodal Information' which remove recognition error by mixed adopting gravity sensor processing module, image processing module, and voice processing module.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recogniz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ensed from multimodal information, which is integration of camera image information and gravity sensor information. It is more stable than existing method by reconfirm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like faint through voice interface. This method can sense emergency condition even when one of the sensors malfunction, person does not carry sensor, or in the place like bathroom where it is hard to acquire images. These are the advantages of accurate recognition within residential environment by mutual cooperation and compensation between sensors.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the way to reduce the number of cameras by adopting camera with fish-eye lens which has wide viewing angle. It improved performance of motion recognition by converting fish-eye image to perspective image, compared to current fish-eye image based recognition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model and input image is used in detecting the object from image sensor. Background model continuously changes according to illumination change and object moving. Adaptive Background modeling method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GMM) can dynamically update background model, and this method improved object detection rates. This study implemented HMM(Hidden Markov Model) based learning and recognition algorithm to recognize each action of walking, sitting on floor, sitting at sofa, lying and fainting motions. Total 200 times of experiments has been made. Recognition rate was enhanced when image feature vectors and gravity feature vectors are combined in learning and recognition process. Image feature vectors are set from size differential of width and height, and ratio of width and height in ellipse mapping to moving object. Gravity feature vectors are the value of gravity in x, y, and z axis. Recognition rate of combined image and gravity sensors was higher than the rate of recognition the image and gravity sensor separately. Also, this method maintains high recognition rate by detecting moving object through adaptive background model even in various illumination changes. This system is implemented to general purpose PC environment as of now. It may not be realistic to install the PC for solitary person and operate it 24 hours a day only for emergency call. Implementing this system into low cost, embedded system can make it easy to install and us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ystem can be combined with household products, too. This system can be adopted and evolved as welfare caring technique not only for normal solitary elderly person, but also for the old and weak, patients, and the disabled, as well. 핵가족화와 고령사회의 진입으로 인하여 독거인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개인 중심의 예방 의료가 필요하게 되었고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건강관리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댁내 거주하는 사람의 기절 동작을 자동으로 인지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기절은 고령자들에게서 흔히 일어날 수 있고 부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독거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기절에 대한 의료 처리 결과는 기절을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고 응급 처치를 받기까지의 시간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가속도 센서와 기울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기절 동작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응급 호출을 해주는 기절 동작 감지기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장치들도 사용자가 장치를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사람이 장치를 항상 휴대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사람을 검출하고 추적하여 기절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기절 동작 인식에 있어서 잘못된 인식은 아주 중대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센서 기반 방법이나 카메라 기반 방법 모두 오류를 완전히 없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울기 센서, 카메라, 음성 센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인식 오류가 없는 멀티모달 기반 기절 동작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영상 정보와 기울기 센서 정보를 통합한 멀티모달 정보에 의해 인식된 결과에 따라 응급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절로 인식된 응급상황인 경우에는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재확인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이며, 또한 어느 한 센서가 오작동 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형 기울기 센서를 착용하지 않거나, 영상 획득의 어려움이 있는 욕실과 같은 곳에 있는 경우에도 응급 상황을 감지하여 센서 간에 상호 협력과 보완을 함으로써 거주 환경내의 다양한 움직임에도 강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시야각이 큰 어안렌즈(fish-eye lens) 카메라를 사용하여 필요한 카메라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어안렌즈 기반의 방법에 비하여 어안 영상을 투시영상(perspective)으로 변환함으로써 동작간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방법에 비하여 동작 인식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배경과 입력 영상과의 차이를 이용하였다. 배경 영상은 조명 변화나 물체의 이동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되므로 가우시안 혼합 모델 기반의 적응적 배경 모델링 방법을 통하여 동적으로 배경 영상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 객체 검출 성능을 향상 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HMM 학습 및 인식을 통해 걷는 동작, 바닥에 앉는 동작, 쇼파에 앉는 동작, 눕는 동작, 기절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동작별로 40회씩 총 200회 동작을 수행하여 실험한 결과 영상의 특징 벡터와 기울기 센서의 특징 벡터를 결합하여 학습하고 인식했을 때, 인식률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즉, 영상에서는 움직이는 객체에 매핑 된 타원의 가로와 세로 크기의 변화, 가로와 세로의 비율(Ratio)의 변화를 특징 벡터로 하였고, 기울기 센서에서는 x, y, z 3축의 기울기 값의 변화량을 특징 벡터로 하여 영상과 기울기 센서를 각각 학습하고 인식 실험을 했을 때 보다 두 종류의 특징 벡터를 결합하여 인식했을 경우 인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조명의 변화에도 적응적 배경 모델을 통해 움직이는 객체를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어서 높은 인식률을 유지할 수 있었다. 현재 시스템은 범용 PC 환경에서 구현되어 있는데, 독거인의 댁내에 응급 호출만을 위하여 PC를 24시간 운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본 시스템을 저가의 임베디드 시스템에 구현하여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사용자 친환경적인 생활 주변 물건과의 결합도 필요하다고 본다. 정상 독거노인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장애인에 대한 복지케어의 기술로 발전 될 수 있으리라 본다.

      • 국립대학법인의 자율성에 대한 정부-대학 인식 차이 연구 : 서울대학교를 중심으로

        소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법인화의 목적인 대학의 자율성에 관한 정부와 대학 간의 인식 차이에 대해서 국립대학 법인화 및 대학 자율성의 의미, 우리나라와 일본의 국립대학 법인화 사례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첫째, 우리나라의 국립대학 법인화는 2004년 일본의 국립대학 법인화의 영향으로 본격 추진되었으나, 일본이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모든 행정영역에 대한 개혁의 기조 아래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국립대학 법인화를 추진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대학 및 사회 그리고 대학구성원과의 공감대 형성 및 합의 과정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둘째, 법인화 추진과정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정부와 대학 간의 인식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인사ㆍ조직의 유연한 운영은 정부와 대학 모두 같은 기대를 하였으나, 대학운영 측면에서의 의사결정구조와 재정지원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법인화 당시 정부와 대학 간의 법인화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방향이 없었고 대학 내의 합의 과정도 불충분하였다. 이로 인해 법인화 이후에도 서울대학교를 공공기관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나 대학 내부에서 총장선출에 따른 이사회와 평의원회의 대립 관계 등의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법인화 이후의 정부와 서울대학교 간의 자율성에 대한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면, 인사ㆍ조직운영 측면에서는 대학에 법인화 이전보다 많은 자율성이 보장되었지만, 정부에서는 대학운영 측면에서는 외부자 중심의 이사회와 총장 간선제를 통해서, 재정운영 측면에서의 정부출연금, 결산 심사, 감사원 감사 등을 통해서 여전히 간접적으로 간섭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법인화 추진과정에서 대학의 본질인 자율성에 대한 정부와 대학 간의 인식 차이가 대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