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상 해석 기법을 이용한 난류흐름 중 침강속도의 측정

        윤상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영상해석기법의 일종인 PTV(Particle Tracking Velocimetry)를 이용하여 난류 흐름 중의 침강속도를 측정하였다. 난류가 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당시의 연구는 이론적, 기술적 한계 때문에 난류강도와 침강속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난류가 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방법의 단점을 개선한 기법의 개발이 가장 필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PTV는 원래 유속장 측정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그 특성상 흐름을 방해 하지 않고 개별입자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난류 흐름 중의 침강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기법이라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침강속도 측정에 이용하였다. 실험은 정지유체 중을 포함한 4가지의 흐름조건을 부여한 개수로 실험 장치에, 3종류의 입경을 가진 유사를 투입하여 수행되었다. 정지유체 중 침강속도의 측정결과, 기존 문헌에 나타난 값과 잘 일치하여(1.16∼5.41% 오차범위), 흐름 중 침강속도 측정기법으로 PTV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난류 흐름 중 침강속도를 측정한 결과, 우선 난류 흐름 중에서는 침강 속도가 정지유체에서보다 감소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침강속도에 대한 난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난류강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침강속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연직방향 난류강도값이 0.4에서 1로 증가하는 동안, 입자의 침강속도비 w/w_o는 0.9내외에서 0.6내외로 감소하였다. In this study, fall velocity in the turbulent flow is measured by using PTV (Particle Tracking Velocimetry), a kind of image analysis method. The effect of turbulence on the fall velocity has been studied by several researchers. There were, however, many difficulties in quantitative analysis because of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limitations. Therefore, a new technique to make up for the defects of the existing methods is required. PTV, which has been developed originally as a method for velocity measurement using image-analysis technique, can b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fall velocity in the turbulent flow. It can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methods because it can measure the velocity of individual particles without disturbing the flow .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open channel for 4 flow cases and 3 settling particles. The result of the fall-velocity measurement in the still water shows that the fall velocities measured using PTV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from existing methods, which verifies the use of PTV in the fall velocity measure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e results of several existing studies that the turbulence makes the fall velocity decrease.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dimensionless fall velocity, normalized by the still-water value, decreases from 0.9 to 0.1 as the turbulence intensity of vertical direction increases from 0.4 to 1.0.

      • 디지털시대의 주거공간과 가전 제품의 연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윤상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 주위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생활하고 살아간다. 그 관계는 사회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의 의해 결정되고 인간은 이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의 행위는 주거라는 개념적 범주 안에서 이루어지고 주거 공간의 요소들과 인간의 생활은 서로 반응하며 변화하게 된다. 주거 공간 또한 인간의 사회적 활동의 결과물로서 거주자의 생활은 물론 주거 공간을 담고 있는 사회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는 크게 기술-경제 체계, 사회 체계, 관념 체계들의 관계로 볼 수 있으며 그 중 기술-경제 체계가 가장 사회 인간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다른 것에 비하여 변화 속도가 빠르고 그 폭도 크다. 기술은 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지금 까지 인류를 이끌어나가는 원동력이었다. 그래서 시대를 이끌어 나가야 하는 디자이너로서 기술은 가장 먼저 그리고 신중하게 다뤄야 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기술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주거 공간과 공간을 구성하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건축이라는 그릇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에 대하여 두 가지의 관점으로 대상에 접근하였다. 하나는 사회와 문화에 바탕을 둔 인간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개별적 활동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자는 주거 공간의 외부적 요소를 중심으로 주거공간의 변화를 바라보는 것이고, 후자는 공간내부에서 주거생활에 의해 발생되는 주거 공간의 변화를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디지털 시대의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건축과 가전의 변화를 분석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분야별로 상관 연계 발전요소가 분석 정리되고 발전 방향이 예측되었다. 정보의 표준화/네트워크화/ 지능화의 특성을 갖는 디지털 기술은 건축과 가전에 변화를 가져왔다. 건축에 디지털 가전과 설비 기기가 적극 도입되어 건축의 지능화 현상이 나타났고 사회적 요구에 의해 건축 구조는 기둥식 복합구조로 바뀌고 있으며 건축 생산의 시스템 통합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게 되었다. 가전에서는 기능과 사용환경을 중심으로 제품간 융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가전의 제어 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의 요구를 적극 수용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건축과 가전의 변화는 두 분야의 생산 시스템 공유로 통합 생산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고 가전 제품에서 일어나는 융합화와 통합화가 건축으로 확장되어 두 분야가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주거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건축과 가전의 연계로 인한 발전 방향은 크게 정보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발전과 건축 요소와 가전 제품의 물리적 일체화로 정리되었다. 공간과 가전의 기능 환경 요소들이 결합되는 형태에 따라 공간의 서비스 기능과 의미가 결정되고 기능 공간을 중심으로 제품의 기능들이 분석 분류되었다. 제어의 통합화는 일률적이기 보다는 공간과 가전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디지털 기술에 의한 건축과 가전의 생산 과정의 통합화, 제품의 제어 기능의 통합에 의한 독립적 조형성의 약화, 그리고 공간 구성 요소의 조형 통합화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가전제품은 건축 구성 요소와 일체화 되어 주거 생활의 미적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기능적 요구를 건축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건축과 가전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과거 단절 되었던 연계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과 가전이 통합된 새로운 주거 공간을 개발할 것이다. Human as a homo-sapience lives in many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s. The relationships are decided by many factors composing our society and human being make a decision and behav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n these social relationships. This behavior of human being can be existed in the meaning of housing, also housing and the human life are affected and changed mutually. The Housing space as a result of human being's social behavior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residents and the society. These relationships in our society can be divided into three big categories, a Technological Economy, a Society, and an Ideality. Among these categories, a Technological Economy affects to human's life directly and mostly and has fast changes with large range. Technolog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economy and has been the prime mover of human beings. Therefore, it may be the subject that a designer has to handle first and carefull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materials that compose spaces and housing changed by the flows of the times classified by Technology. The Study approaches the behavior of human beings who live surrounded by structures in two different views. One is about the human's social activities based on society and culture, and the other is about individual activities in space. In the concrete, the former views the change of the housing space from external factors of the housing space, and the other views the change of the housing space taken place by the residence inside of space. In these views, analyzed and inquired the change of the structures and appliances based on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summarized the developing factors related to each area, and anticipated the developing direction The digital technology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Network, and Intelligence of information has brought up the changes in structures and household appliances. Introducing the Digital appliances and facilities in structures has influenced the Intelligence of structures. And the formation of structures has been changed to the complex formation with a post by the social request. In household appliances, the union between products has been in progress based on the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of the users. The unification of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has been completed by the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s. Using the producing system that could accept the consumers' requests through Internets, the value of the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These changes of structures and household appliances arranged the environment, which can produce the unified products with the jointed producing system. And the union and unification phenomenon in household appliances extended to structures, these two areas have an organic relation and become to construct the housing space. The develop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space and household appliances could be summarized in tw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rvices, the physical unification between household appliances and structures. The servic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the space can be decided by how to combine the space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perform the household appliances' function. The product's function could be analyzed and classified by the functional space. The unification of the controlling is in progress depending on the user's environment of household appliances rather than in equality. Based on it, the new products and services can be expected. The Unification in producing process of structures and household appliances by the digital technology, the weaknesses of individual models by the unification of the controlling function, and the request for the modeling unification of the space functional factors are in progress. Based on it, it is anticipated that household appliances unified with the organic factors of structures support the aesthetic improvement and the functional requests for the products. The structures and household appliances have a possibility that could recover the connection through the digital technology and develop the new housing space unified the structures and household appliances.

      • IPTV 서비스를 위한 단일 인증 구조 연구

        윤상훈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AS-DRM technology is in a development process works, but it has not yet been standardized. If this standards will be completed, it would take more advantage in IPTV, Internet TV including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streaming service such as online education service, Internet movies, music, etc. Only CAS-DRM technology is in a development process so that different and appropriate technology need to IPTV. This paper proposed that suitable scenario might apply in the IPTV environment by convergence of conditional access system in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SSO. Proposed scenarios with a variety of services to the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suitable for IPTV, but it still can not have security in terms of completeness. In conclusion, Single Sign-On scheme for internet protocol TV is used in a complementary so that the research, how to use these technology, should be continued. In addition, same technology can be made in Mobile and wireless networks. Especially, proposed technology combined with SSO will be a suitable solution in mobile environments with limited bandwidth. 유료방송은 과거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고, 위성 서비스를 시작으로 지상파와 케이블 방송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디지털로 변환됨에 따라 다채널화, 고품질화, 다기능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은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인 IPTV의 사업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은 방송사업자에게 유료방송 사업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다. IPTV또한 이러한 그들의 보안요구수준만큼의 CA system이 필요하게 되었다. IPTV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IP채널을 통한 유료방송이다. 기존 위성, 케이블등의 채널을 통한 유료 방송 사업에서의 CAS는 철저히 Hardware의존성을 가지고 있지만 IP를 채널로 하는 IPTV에서는 이와 동일한 CA system을 적용했을 경우 심각한 비즈니스적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IP를 베이스로 한 서비스로 대표적인 WEB이 있다. Web상에서의 콘텐츠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인 서비스로 DRM(Digital Right Management)가 있으며 이는 IPTV의 새로운 보안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 또한 기존 CAS와 같이 단일 적용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유료방송시스템에서의 CAS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지적 자산 보호 솔루션인 DRM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IPTV의 보안 솔루션에 대한 표준화가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CAS가 적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DRM을 기존 시스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현재 사업화되고 있는 예제들을 알아보고,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SSO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제안한다.

      • 현대의 환경위기에 대한 미학적 문제제기

        윤상훈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환경공해로 인해 제기되는 ‘환경의 미학’, ‘환경미학’은 체계화된 기성 학문이 아니다. 1998년도 미국의 대표적인 미학잡지 JAAC(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제 56권 서문은 첫 머리에서 ‘환경미학이란 무엇인가?’(What is environmental aesthetics?)라는 물음을 제기하면서, ‘환경미학’의 범위를 자연적인 것과 도시적인 것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서구의 미학자인 알렌 칼슨에 따르면, ‘환경미학’은 “예술계나 예술작품의 감상에 의해 제한되는 협소함을 넘어, 자연 환경과 다양한 인간의 영향에서 인간이 구축한 환경을 포함한 ‘환경’의 미적 감상으로 확장”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오늘날 공해로 오염되어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는 인식 아래, 자연과 인간을 배려하는 미학의 실천적인 과제로서의 환경미학의 시대적 요청에 따라, 그 타당성과 당위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부연하면, 본 논문에서 제기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탐구의 방향은, 오늘날 소위 환경개발로 인해 극심해지는 공해의 문제와 더불어 ‘선(善), 미(美), 정(正)’의 진실을 외면하는 현실에 대해 ‘선, 악, 미, 추, 정, 부정’에 관한 사례들을 국내외의 자료 분석을 통해 미학적으로 조명해보는 데 있다. 논의의 전개는 우선 ‘감성적, 미적 인간’(Homo aestheticus)으로서의 ‘환경적 인간’, 또한 ‘정치적 인간’(Homo politicus)으로서의 ‘환경적 인간’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미학은 어떻게 답해야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근본문제로 제출하여, 이 문제를 설정하고 전개하기 위한 방법적 명제점으로서 1. 현대 환경문제의 두 쟁점을 글로벌-로컬, 교환가치-관계가치로 요약하고, 2. 염폐도클래스적 4원소, 즉 ‘물, 공기, 불, 흙’을 도입하여 3. 이 명제점 안에서 환경위기와 관련된 국내의 자료를 분석하여 오늘날 환경적 인간의 위기상황을 파악하였다. 한편 우리가 제기한 문제의 방법적 전개에 있어 미학사상의 원류인 플라톤과 또한 근대미학의 정초자인 칸트의 문헌에 비교적 많이 의존하여 학문으로서의 환경미학의 가능성에 근거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끝으로 감성적, 미적 인간들, 나아가 세계시민의 ‘공존(Co-existence), 그리고 ’건전한 국가‘를 형성하여 쾌적한 환경 속에서 건강하게, 아름답게, 행복하게, 잘(善)사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미학으로서의 환경미학의 학문적인 정립과 그 발전의 과제가 시대적으로 요청된다. Recently, 'Aesthetics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Aesthetics' brought by environmental pollution is not a systematized science. Environmental Aesthetics, however, is one of the two or three major new fields of aesthetics to emerge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 1998, JAAC(vol. 56), an american journal of aesthetics, introducing its an opening word with what is environmental aesthetics, defined the range of environment as a wide concept including the natural, the rural, and the urban. Allen Carlson, an western aesthetician, says that its boundary of Environmental Aesthetics extends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the art world and our appreciation of artworks to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environments, not only natural ones, but also our various human-influenced and human-constructed environments. However, under regarding for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pol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priety and what-should-be that are a practical task of aesthetics taking care nature and human. In other words, this thesis criticizes this situation looking away from the truth of the 'Good-Beauty-justice', And worrying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is running to an extreme more and more by land development in these days, I examine aesthetically the cases of 'good-bad, beauty-ugliness, justice-injustice'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First of all, in this discussion for Environmental Aesthetics, I presents a fundamental problem how should aesthetics answers the question : what is the role of Homo oecologicus as a Homo aestheticus, or Homo oecolcgicus as a Homo politicus. And then I use following ways as a methodical proposition to posit and develope this fundamental problem. 1. summarize today's environmental problems into two points of issue as global-local and exchange value-intrinsic value. 2. introduce Empedocles' four elements, water-air-fire-earth. 3. understand today's situation of crisis of Homo oecologicus in this proposition analyzing data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concerned with environmental crisis. At the same time, to develop this thesis, I depend on chiefly Plato, an originator of aesthetic thought, and also Kant, an establisher of modern aesthetics. Furthermore I make an effort to find out the clue of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s a science. Finally, to realize Co-existence of every Homo aestheticus and world citizens and establish sound state in Environmental Epoch, Environmental Aesthetics inevitably requests followings : theoretical establishment and its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s a practical aesthetics contributing toward healthy, beautiful, happy, and good society in delightful environment.

      • 교통 및 도로특성을 고려한 적정옵셋 산정에 관한 연구

        윤상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옵셋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교차로간격, 경사율, 중차량비율을 일정한 단위로 나누고, 나눈 각 변수별 초기대기행렬길이에 따라 적정옵셋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실제교통상황과 비슷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차량의 가감속운동특성과 운전자 인지반응을 일반화하였고, 이 값을 기본데이터로 사용 할 수 있는 미시적 분석모델인 VISSIM을 이용하여 옵셋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차로간격에 따른 적정옵셋은 교차로간격과 상관없이 초기대기행렬만 고려하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대기행렬에 따른 옵셋차이는 대당 1.67초 작게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율에 따른 적정옵셋은 차량의 운동특성으로 인해 경사율이 증가할수록, 초기대기행렬이 길수록 옵셋차이가 기하급수의 형태로 나타났다. 중차량비율에 따른 적정옵셋은 중차량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옵셋차이가 가장 컸으며, 중차량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이후에는 중차량비율이 증가하더라도 옵셋차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변수별로 적정옵셋을 추세선으로 나타내어 보정식과 보정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한 보정식과 보정계수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와 모든 변수가 고려된 시험차량의 분석결과를 MAE와 RMSE로 비교·검증을 하였으며, 비교·검증결과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per offset according to the initial traffic queue length of the divided variable by dividing such effective factors on offset as crossroad interval, inclination rate, and heavy vehicle rate by the certain unit. To construct similar environment to the actual traffic situation, the study generalized motion characteristics due to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vehicles and drivers’ cognitive reaction, and analyzed the values according to each variable affecting offset by using micro-economic analysis model VISSIM to use the value as the basic dat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per offset according to crossroad interval showed that it should consider the initial traffic queue length regardless of crossroad interval, and offset difference by the initial traffic queue length is turned out to be decreased by 1.67 per vehicle. As to the proper offset by inclination rate, when inclination was severe and the initial traffic queue length was long due to motion characters of vehicles, offset difference was shown geometrically. Regarding proper offset by heavy vehicle rate, offset difference was biggest at the time when heavy vehicles occurred while it was shown small even if its rate increased after heavy vehicles occurr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t calculated cross-calibration equation and adjustment factors by expressing proper offset of each variable as the trend line. The results of simulation analysis that applied the calculated cross-calibration equation and adjustment factors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est vehicles that considered every variable were compared and verified by means of MAE and RMSE, and as the comparativ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ce.

      • Interface reactions and tribological behavior of bulk metallic glass coating

        윤상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dissertation, the deformation behavior of BMGs (Bulk Metallic Glasses) were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investigated with different initial powder temperature and impact velocity, with focus on the mechanical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BMGs, by using preheating system and numerical simulation. Strain induced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BMGs at the impact interface was investigated using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in combination with a focused ion beam (FIB) micro-sampling technique. A simple kinetic spraying technique was introduced to perform individual particle impact of BMG onto BMG substrate using powder preheating system. Gas atomized Cu54Ni6Ti18Zr22 (at. %) BMG powders of spherical shape were used as the feedstock. In combination with an FIB micro-sampling technique (Nova 600 NanoLab),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the BMGs at the impact interface were characterized and analyzed by HRTEM and commercial TEM image analysis software (Digital Microscopy). For temperatures within Tg-Tx, the preheated powder shows typical superplastic deformation. The BMGs could be nanocrystallized, by high strain rate superplastic deformation within the supercooled liquid temperature region. Room temperature BMG powder was also successfully bonded to the substrate even though no detectable crystallization was formed at the impact interface. Above Tx, brittle fracture was the main characteristic of fastly impacted Cu base BMG particles due to the surface oxidation of components in combination with crystallization of the initial pow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mpact velocity on the crystallization of the BMG particle-interface upon impact, the strain, contact temperature and contact pressure at the interface were estimated using numerical simulation. The activation energies for crystallization of the as-sprayed coatings were estimated by the Kissinger method. The nanocrystallization of BMGs occurred and increased with particle velocity during kinetic spray impact with a high strain rate, and the crystallization process was related to the activation energy of as-sprayed BMGs coatings that decreased with applied pressure of the process gas. The plastic strain and impact temperature at the edge interface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at the center. Nanocrystallization of BMGs associated with the strain energy delivered by plastic deformation with a high strain rate. Also, phase separation prior to crystallization at an impact interface upon high strain rate deformation of BMGs was observed. The decreased viscosity induced by the high strain rate deformation was the driving force of this process. However, a high cooling rate at the impact interface should be achieved to sustain the amorphous structure where the composition has already separated far from the glass-forming region. In addition, differences in viscosity controlled the composition separation during viscous flow movement (jetting) and formation of the newly formed splat amorphous phase. Fe-base BMG coating was thermally sprayed. In order to reduce the oxidation during the flight, plasma spray system was modified with attaching the nitrogen shrouded system. Also, development of BMG/ B4C composite coating for low friction and high wear property was conducted. The tribological behavior of B4C reinforced BMG composite coating was evaluated. B4C particles were homogenously distributed in the BMG/B4C composite coating. As B4C content in BMG increased, wear resistance of the composite coatings enhanced compared to BMG coating without additive. The B4C particles played important roles as solid lubricant during the sliding/friction wear test. On the worn surface, the trace of highly elongated and deformed Fe based BMG coating was observed. This phenomenon might be attributed to the super-plasticity of Fe based BMG under the wear environment. The periodic plastic deformation of Fe based BMG by continuous wear,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reach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x) of Fe based BMG. From high resolution electron microscopy results, amorphization of B4C was formed at the worn surface. That may be the result of pressure induced local amorphization during wear test. During the scratch, frictional heat may leads to amorphization. Therefore, it could be expected that amorphization of B4C may also contributed to improved wear property. In the case of the Fe based BMG matrix worn surface was partially crystallized. Temperature could be increased during sliding. That is, pressure induced temperature rise which is responsible for localized crystallization of BMG during wear test. 장범위 규칙을 가지는 결정상과는 달리 비정질 상은 단범위 규칙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적인 요인에서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소재는 기존의 결정상과는 전혀 상이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인 금속합금에 비해서 높은 강도와 부식저항성 및 내마모성을 나타내므로 구조용 및 기능성 재료로써 공학적인 응용성이 높은 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벌크 비정질의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이유가 바로 온도에 의존한 초소성 현상으로 과냉 액상에서의 낮은 유동응력 (flow stress)를 이용하여 상의 변화 없이 성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벌크 비정질 소재는 자체를 구조소재로 적용하는 방법과 코팅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까지 벌크 비정질의 정확한 적층 메커니즘이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벌크 비정질 (Bulk metallic glass)의 열적 기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분말의 온도와 충돌 속도에 따른 벌크 비정질 분말의 적층거동과 충돌 계면에서의 미세조직 관찰을 통한 적층 메커니즘 규명에 대해 실험적 방법과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코팅 미세조직이 마모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미끄럼 마모 실험 (sliding wear test)을 하였다. 벌크 비정질 분말의 초고속 충돌에 따른 고 변형률 소성변형을 해석하기 위해, FEM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비선형 과도 동적 충돌 현상을 전산모사하기 위해, ABAQUS/Explicit code를 이용하였고, 2D와 3D 시뮬레이션을 각각 수행하였다. 벌크 비정질의 소성변형은 재료 내의 free volume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데, 매우 짧은 충돌 시간 내에 발생하는 소성 변형은 단열가열 (adiabatic heating)을 유발하고, 결국 이것에 의해 재료의 변형연화 (strain-softening) 현상이 나타나며, 이것이 소성변형 구성 모델을 통해 해석에 적용되었다. 재료의 특성 상, 결정화 온도 (Tx) 이하에서의 변형강화 (strain-hardening)및 전단띠 (shear band)와 같은 불균일 (inhomogeneous)한 failure는 고려되지 않았다. 초기 분말의 온도와 충돌 속도(strain, temperature, contact pressure)에 따른 벌크 비정질 입자의 충돌 거동과 충돌계면의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실험적으로는 미세조직 관찰 및 충돌 속도에 따른 벌크 비정질의 결정화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였으며 수치해석적으로는 충돌 속도에 따른 벌크 비정질 입자의 일반적인 거동과 충돌 계면에서의 응력, 온도 그리고 접촉압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자 이온빔 기술 (Focused Ion Beam microsampling technique) 를 이용한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HRTEM) 을 통해 응력에 의한 충돌 계면에서의 조직을 분석하였다. 분말 예열 온도에 따라 벌크 비정질 분말의 충돌 거동은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온에서는 충돌 입자의 대부분은 변형 없이 적층이 형성되었으며 과냉액상영역 도달했을 때 충돌 입자는 초소성 거동을 보이면 적층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올라갔을 경우, 대부분은 입자는 결정화에 의해 깨져서 rebound됨을 확인하였다. 입자 속도에 따른 충돌 계면의 변형 해석 결과, edge 쪽 계면에서의 높은 전단변형 (shear strain)에 의해, 전반적으로 center 쪽 계면보다 높은 strain 값을 나타내게 되며, 이것은 단열가열 현상에 따라, 계면의 온도 또한 edge와 center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계면 온도의 시간에 따른 전개를 살펴 보면, center 쪽 계면은 결정화 온도에 이르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반면, edge 쪽 계면은 결정화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팅 층의 결정화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입자 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충돌 계면에서의 높은 충돌 압력과 응력 에너지에 의해 결정화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감소하게 된다. 벌크 비정질 소재의 산업화 응용기술 개발과 내마모 특성 향상을 위해, 보론 카바이드 (B4C) 분말을 첨가하여 BMG/B4C 복합분말 코팅기술을 적용하여 비정질 기지내 B4C 함량에 따른 마모 거동을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복합분말 코팅에서 B4C 입자는 윤활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B4C 함량이 증가할수록 마찰계수는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마모 동안, 마모 표면에 압력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인해 비정질 기지의 마모 거동은 소성변형과 국부적 영역에서의 결정화 거동을 보였으며 B4C 입자 또한 비정질화 되어 마모특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 Cnu-H-NS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고찰

        윤상훈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 previous study from this laboratory reported that Cnu (oriC-binding nucleoid protein) is a small H-NS binding protein, and the resulting complex, Cnu-H-NS, binds to a specific sequence in the origin of chromosomal DNA replication of Escherichia coli, called Ori-3. The DNA-binding activity of H-NS especially when complex with those H-NS binding proteins, such as Cnu, Hha,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Using an in vivo DNA binding assay system, and a series of serially-deleted Ori-3 sequence as the target DNA templates for the binding of the Cnu-H-NS complex, I was able to identify the minimal sequence to which the Cnu-H-NS complex bind, and named cbs (Cnu binding site) whose sequence is ; 5’-ATGATCGGTGATCCTG-3’. This result was further supported by an in vivo attempt to identify DNA binding-proteins to this site, which clearly demonstrated that Cnu was the protein binding to cbs. Using a well-defined characteristic of the cbs that the parameter describing the in vivo DNA binding activity of a protein, GR (growth ratio) decreases significantly (50 folds) in a hns-deleted E.coli strain, I tempted to identify a region of Cnu or Hha (a homolog of Cnu) that interacts with H-NS. Random mutagenesis of cnu or hha was performed and looked for E.coli cells (harboring the cbs site in the in vivo assay plasmid) that can not make a colony on solid agar medium containing streptomycin. The rationale behind this experiment was that once a mutant of Cnu cannot make a complex with H-NS, the host cell could not grow in the presence of streptomycin. I identified 39 cnu mutants, and classified them into 3 groups, 1) mutations at the flexible linker regions, 2) mutations in the internal regions 3) mutations on the external regions. Using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Cnu, Hha and H-NS, I was able to map a region of Cnu or Hha that could be involved in contact with H-NS in the Cnu-H-NS or Hha-Cnu complex. The amino acids residues of aspartic acid at 44, glutamic acid at 20, and lysine at 21 all exist on the same face of Cnu, and appear to make a contact with H-NS. During the mutational study of cnu, I came across a mutation that elicits a filamentous growth of a host E.coli cell. It was a glutamic acid substitution to the lysine residue at position 9 of Cnu, named K9E. The mutational effect appeared at 37C, but disappeared at 25’C. The filamentous growth was observed even in a wild type E.coli cells only if K9E is expressed at 37’C. Since the effect of the mutation disappeared in the absence of H-NS protein (in a hns-deleted strain), it was clear to me that this mutant Cnu needs H-NS to work.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several replicated-individual genomic DNA exists in a filamentous cell, suggesting that the DNA replication machinery is not but the system needed to divide the cell is affected by K9E. RT-PCR on those genes involved in FtsZ-mediated septal ring formation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dicB whose product, DicB that inhibits the formation of the septal ring has increased 1750 fold. Further analysis indicated that expression of dicA whose product, DicA that inhibits dicB has decreased 0.08 fold in a K9E-expressing strain, suggesting a possibility that the dicA promoter could be repressed by the K9E-H-NS complex. Using a competitive gel-shift assay, I showed that purified H-NS, K9E proteins only binds to a DNA fragment containing the promoter region of dicA only at 37’C.

      • 桑白皮를 이용한 전이성 PC3 전립선암 세포주에서 항암 효능

        윤상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 of Morus alba L.(MAE) in PC3 prostate cancer cells. Methods: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 25, 50, 100, 200, 500 ㎍/㎖) of MAE for 72 h to select concentrations that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Then, the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was examined. Lipid accumulation was stained to confirm lipid synthesis inhibition effect and western blot assay was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protein expression promoting lipogenesis. Finally, molecular - level analysis of proteins related to cell survival was also performed. Results: MAE significantly reduced the cell survival rate of PC3 cells at 500 ㎍/㎖. MAE treatment reduced the number of lipid droplets in PC3 prostate cancer cells and also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promoting lipogenesis.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AKT and ERK1 / 2, which are abnormally expressed in prostate cancer, was also confirmed at the protein level. Conclusion: MAE treatment showed anti-cancer effects in PC3 prostate cancer cells by inhibition of lipogenesis with down-regulation of SREBP-1 maturation and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Also MAE treatment suppressed cell growth through inhibition of cell survival pathway. MAE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substance for the prostate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