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교회법에서의 혼인해소와 국가법에서의 이혼에 관한 비교연구 : 이혼 예방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중심으로

        서정훈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가톨릭 교회법에서의 혼인 해소와 국가법에서의 이혼에 관한 비교연구 - 이혼 예방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중심으로 - <지도: 신 영 호 교수> 서정훈 오늘날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혼인과 가족의 질서는 여러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시대 변화에 즈음하여 전통적으로 지녀왔던 혼인의 근본 의미와 개념에 대하여 의문과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서 가족제도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할 때 혼인과 가족의 구조형태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책과 입법정책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요청되는지 본질적인 물음이 제기된다. 전통적인 관습에 의한 혼인과 가족제도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았으나 전 세계적으로 전통질서에 반하는 유사혼인형태가 제도권 속에서 인정받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합법화하는 국가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혼인의 기피나 이혼의 증가는 전통적인 가족의 해체를 빚어낼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의 기초단위라고 할 수 있는 가족은 국가의 존립기반으로서 헌법과 법률에 의하여 보호받고 있다. 그렇지만 국가의 법으로 보장된 가족의 근본적인 가치관은 현재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으며 기존질서와는 거리가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결합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혼인과 가족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가족의 해체를 막기 위한 대비와 예방책의 모색은 절실하다고 하겠다. 한국 가족법체계하에서 전통적인 혼인과 가족제도는 당연시 되어 왔으나 이미 기존의 질서를 흔드는 여론과 요청을 입법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혼인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변화되는 가족제도에 대한 법제화 요구는 국민적 공감대만 뒷받침된다면 민주적 절차에 의해 어떠한 주장이나 제도도 법제화가 가능하다는 논리 속에서 점증되고 있다. 그러나 혼인과 가족제도의 문제는 변화를 전제로 한 사회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인간 그 자체와 나아가 인류공존과 국가의 존립, 사회의 안녕이 직결되는 중차대한 사안이므로 인간학적이고도 철학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입법에 신중을 기해야 되는 이유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의 법체계하에서는 전통적 미풍양속에 근거한 혼인과 가족제도가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수호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렇기에 혼인의 본질에 관한 입장의 변화가 없거나 있더라도 크지 않은 교회법과 국가법을 비교하는 연구는 인간의 기본 권리를 보장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 사회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국의 혼인·이혼법제와 가톨릭교회의 혼인법제를 비교 분석하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증가 추세에 있는 가족해체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책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혼인의 궁극적인 의의와 목적이 밝혀지고 가족해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답이 도출될 것이며, 한국의 가족정책과 입법방향이 어떠한 방향에서 진행되어야 하는지 그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족해체의 시작인 이혼제도에 관한 한국 민법과 혼인장애로 인한 부부관계의 해소에 관한 가톨릭교회법을 비교하는 접근 방식을 통해 이혼예방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가톨릭교회법과 민법에서 찾을 수 있는 이혼예방을 위한 협력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이 연구의 목적과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중요성과 혼인과 가족생활의 실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가톨릭교회법에서 강조하고 있는 가족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본 다음 현대사회의 혼인과 이혼의 실태에 대하여 일반적인 동향과 한국사회에서의 동향을 통계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제3장은 혼인성립에 관한 민법과 교회법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첫 번째로는 교회혼인법에 관한 연혁적 고찰을 하였는데, 그 전제로서 교회법이 무엇인지와 그 적용범위를 교회법의 형성과정과 변천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혼인에 관한 교회법의 역사적 변천의 측면을 다루어 보았다. 두 번째로는 교회법과 국가법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세 번째로는 혼인성립요건과 그 위반에 따른 효과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은 혼인해소에 관한 민법과 교회법을 비교하였다. 혼인해소에 관한 민법과 교회법은 그 비교가 불가능한 측면이 있다. 교회법도 좁은 의미의 혼인해소를 규정하고 있으나, 성립요건위반에 따라 혼인무효로 선언되고 이는 혼인이 유효하게 성립된 후 부부관계가 종료되는 것과는 다르다. 그러나 무효로 선언되기까지는 부부관계의 유지라는 생활사실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부부관계해소라는 관점에서 교회법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민법상의 이혼제도와 비교한 것이다. 제5장은 이혼예방을 위한 교회법과 국가법의 법제도적 접근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혼예방을 위한 교회법상의 제도를 구체적으로 다루어보았고 민법에서의 이혼예방을 위한 법제를 통한 가족해체 방지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기초하여 이혼예방을 위한 교회법의 제도적 방안과 민법에서의 보완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제6장은 앞서 연구되었던 가톨릭교회법과 민법에서의 부부관계해소 및 이혼에 관한 내용과 예방책을 확인하고, 민법과 교회법의 상호협조와 협력을 통해 가족해체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을 정리하며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이혼제도의 문제점과 가족해체라는 부작용방지를 위해 교회법과 민법이 상호협력과 공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열려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혼인의 근본이념과 의의와 인간의 목적과 삶의 지향에 대하여 기반을 두고 발전해온 교회법을 국가법에서 참고하고 인용할 여지와 근거와 발판이 마련되었음을 이해하고 검증하였다. 이로써 국가의 이혼예방 및 가족보호 복지정책과 가톨릭교회정책의 공조를 통해 우리 사회 공동선의 증진과 사회갈등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국가의 정책으로도 사후 ‘대책’으로서의 ‘이혼예방’이 아닌 사전 ‘교육’으로서의 ‘혼인 전 준비교육’ 내지 혼인 중의 제반 ‘인간관계’교육 프로그램들을 마련하고 실행하여, 우리 사회 안에 혼인과 가족의 존엄성이 더욱 공고화 되어야 할 것이다.

      • PHC 파일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의 개념 디자인 제시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

        서정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의 건축 구조물이 고층화, 대형화, 중량화 되고 연약지반에서의 특수공사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관입량 및 지지력이 우수하고 가격경쟁력이 있는 PHC 파일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HC 파일 기초공사의 작업 프로세스는 크게 1)파일 심보기, 2)매입식/타입식 공법을 활용한 파일의 지반 관입, 3)PHC 파일 두부정리, 4)버림 콘크리트 타설의 4가지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이 중 PHC 파일의 두부정리 작업은 기초의 높이를 맞추고 상부 구조물의 하중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지내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반드시 요구되는 작업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현장에서 시행되는 재래식 두부정리 작업은 PHC 파일 절단 작업 시 그라인더 날에 의한 베임 및 파편으로 인한 노무자 상해, 지하수의 유입 및 PHC 파일 수몰에 따른 감전사고 및 실족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파일 절단작업의 특성상 노무자간의 작업 숙련도에 따른 파일 절단면의 품질 및 작업 생산성이 크게 영향 받는 등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두부정리 작업 자동화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다양한 종류의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를 연구·개발해 왔다. 최근 국내에서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 절단 작업만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기존의 전도 및 비래에 의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국외의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의 경우 원형 및 사각형의 충진 파일을 대상으로 설계되어 국내 건설현장에 해당 장비를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재래식 방식의 파일 두부정리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국내 작업 실정에 적합한 PHC 파일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의 개념 디자인을 제안하고, 편익/비용 비율 분석, 손익분기점 분석 등의 경제성 분석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PHC 파일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를 현장에 적용할 경우, 작업 시 발생 가능한 감전, 베임, 비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파일 절단면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시된 자동화 장비의 개념디자인과 경제성 분석 모델은 추후 PHC 파일 두부정리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위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스포츠클럽동호인 일회운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정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스포츠클럽동호인 일회운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 정 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스포츠동호회 일회운동이 정신건강(불안, 정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스포츠동호회의 일회운동이 정신건강 증진의 의미를 찾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무선집락표집법을 이용하여 볼링 61명, 축구 40명, 야구 42명, 배드민턴 45명으로 총 188명의 스포츠동호회 참여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스포츠동호회 일회운동 사전과 사후의 불안, 정서, 우울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포츠동호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일회운동 전과 후의 불안, 정서, 우울 수준의 변화를 규명하고, 운동 강도와 운동 종목에 따른 불안, 정서, 우울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동호회 일회운동 후 긍정적인 정서를 제외한 불안, 부정적인 정서, 우울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하였다. 둘째, 스포츠동호회 참가자들의 일회성 운동 강도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높은 운동 강도 집단과 낮은 운동 강도 집단을 선정하여 두 집단의 불안, 정서, 우울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저강도 고강도 집단 모두 운동 후 불안, 부정적인 정서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저강도 집단에서 그 변화의 양상이 고강도 집단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동호회 참가자들의 운동 종목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볼링, 축구, 야구, 배드민턴 운동의 사전과 사후의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축구를 제외한 종목의 운동 후 불안과 우울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운동 후 모든 종목에서 부정적인 정서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긍정적인 정서 수준은 축구와 배드민턴 종목에서 증가하였다.

      • MRSAD를 이용한 개선된 움직임 보상

        서정훈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oving Picture Expers Group(MPEG)과 Video Coding Expers Group(VCEG)은 기존의 표준 보다 우수한 영상 부호화 기술 표준인 H.264/AVC(Advanced Video Coding)를 개발하였다. H.264/AVC에는 시간적 중복성(Temporal Redundancy)을 줄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된다. 하지만, 영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지적인 밝기 변화를 효율적으로 부호화 할 수 없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여 부호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영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적인 조명 변화나 시점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밝기의 변화를 MRSAD(Mean-Removed SAD)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부호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부호화가 가능하며,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0.02 ~ 0.25dB의 BD-PSNR (Bjøntegaard Delta Peak Signal-to-noise)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MPEG) and Video Coding Experts Group(VCEG) jointly developed a new video coding standard, H.264/AVC (Advance Video Coding), that outperforms the earlier video coding standard. In particular, the H.264/AVC standard developed an efficient inter prediction technologies which reduce temporal redundancy much between images. However, since H.264/AVC does not efficiently encode a video sequence that occurs a local illumination change, the coding efficiency of H.264/AVC is decreased when a local illumination change happens in video. In this paper, we propose an MRSAD (Mean-Removed Sum of Absolute Difference) using motion vector refinement to efficiently encode a video sequence having a local illumination changes. The proposed method always improves 0.02 ∼ 0.25 dB PSNR (Peak Signal-to-Noise Ratio) compared with H.264/AVC, even though a local illumination is not occurred in video.

      • 0.3C- 1.7Mn강의 기계적 성질 및 미세조직에 미치는 V 첨가의 영향

        서정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구조물들의 대형화 및 경량화 경향에 따른 고장력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철강 선진국에 속하는 나라들은 이미 구조용강에 대한 특화 기술을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으며, 현재 급속히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경우는 기술수준의 향상과 낮은 가격 경쟁력으로 철강 기술에 과도기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철강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부에서 주관하여 각 산업연구기관 및 철강 기업이 산학협력을 통한 국책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국제 기술 경쟁력 제고 및 철강 후발국과의 기술적 차별성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탄소강계 고장력 철근분야에 있어서는 현재의 국내 기술로는 500MPa급의 상용에 그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 685MPa급 철근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이를 상용화 하려고 준비중이다. 더욱이 현재 국내의 철근 생산 기술 수준은 600MPa급 철근의 합금설계 조차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반면 특수강계 고장력 체인분야는 과거 인장강도 690MPa급의 고장력 체인강이 전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었으나, 조선 산업의 고도화 및 적용 환경 변화에 따라 전세계 특수강 기업들은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인성이 떨어지지 않는 고강도, 고인성급 체인 특수강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이런 결과로 현재 1200MPa급 초고장력 체인강이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1000MPa급 고장력 체인강이 상용화 되고 있다. 이러한 강종 개발의 기술적 배경에는 미량의 합금원소 첨가로 강의 강도 및 인성을 개선시키는 합금설계의 최적화 및 요구 강도 및 인성을 공정 조건 제어로 확보할 수 있는 가공 열처리 기술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강의 페라이트 결정립을 미세화 시킬 수 있으며 강의 강화효과를 확보 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용 크랭크샤프트에 널리 적용되는 비조질강(Microalloying steel)은 상기 두가지 기술에 모두 적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강으로 사용된다. 미량의 합금원소 V을 첨가하여 페라이트를 강화시키며, 압연 후 냉각시 제어압연을 통한 결정립 미세화를 확보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처럼 비조질강과 같은 공정 조건을 제어하여 강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있는 반면 퀜칭/템퍼링 열처리를 통해 강을 강화시키는 방법도 있다. 특히 앞서 상술했듯이 체인 특수강은 퀜칭/템퍼링을 통해 강을 강화시키는 대표적인 강종이다.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강도 및 충격인성이 다르며 수소취화 저항성 중점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퀜칭, 템퍼링 후에 강의 강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결정립 미세화 원소인 Al, Nb, Ti를 첨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석출강화 효과를 위해 V, Mo등과 같은 합금원소 또한 첨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고장력강에 첨가되는 미량 합금원소 Nb, V, Ti에 대한 연구는 과거부터 대단히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이들 원소의 첨가 영향은 오스테나이트 미세화와 재결정 억제, 페라이트 결정립 미세화 및 석출강화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고 널리 보고되고 있다. 특히 V을 0.06∼0.12%정도 첨가하면, 균열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고 Nb 첨가에 따른 가장 큰 문제점인 Widmanstaetten 조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 가 증가하며, 내마멸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V 탄질화물의 석출 및 분산강화 효과로 인해 충격 인성은 저하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V 합금을 과도하게 첨가하면 취성 파괴를 유발할 수 있는 민감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범용적으로 널리 생산되고 있는 0.30C%-1.70Mn%의 합금조성으로 이루어진 인장강도 690MPa급 고장력체인강에 0.08%의 V을 첨가하여 각 조건별 열처리 후의 기계적 성질 및 미세조직 변화, 열간 변형 모사시험을 통한 고온에서의 강도 및 미세조직 변화를 비교하여 V 첨가에 따른 강의 강화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 인메모리 컴퓨팅을 이용한 증권원장 DBMS의 성능 개선 연구

        서정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3월11일 WTO의 코로나-19 펜데믹 선언 이후 각국은 다양한 부양정책을 내놓았고 이로 인한 유동성 자금 증가는 국내 증권 산업에 투자자와 자금이 증가되어 유입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2021년 2월 5일 한국거래소의 발표에 의하면 국내주식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2조원으로 전년도 같은 월 12조원에 비해 3배 증가한 것이다. 거래대금의 증가는 트래픽 증가와 거래량 증가로 이어졌고 MTS와 HTS의 접속장애, 매매거래 지연, 잔고 조회 지연 등 다양한 전산장애가 발생됐다. 8월18일 발표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분쟁건수 주에서 전산장애는 2025건으로 전체 분쟁·민원 건수의 58%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 동기(526건) 대비 285% 증가했고. 주식 거래 분쟁건수는 74건으로 2020년 동기(66건) 대비 12.1% 증가했다 ‘상반기 증권업 전산장애 분쟁건수’,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2021.08.18 . 이처럼 거래 관련 트래픽의 증가와 거래대금의 증가는 다양한 전산 장애를 발생 시켰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주식 거래에 관련된 지연의 장애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 지연 장애에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증권원장 DBMS의 성능 향상을 방안을 연구한다. 증권원장 DBMS의 성능 향상 연구를 위해서 그동안 전통적 사용되어지던 Disk 기반의 DBMS와 인메모리 컴퓨팅 기반 DBMS에 대하여 다양한 성능 비교를 한다. 비교 내용은 TPS(Transaction Per Second), 응답시간, CPU 사용량, 디스크 I/O 사용량 등이다. 본 연구는 인메모리 컴퓨팅 기반 DBMS로 성능 개선이 가능한지 연구하여 원장 DBMS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분석 대상을 확장하여 원장 DBMS의 구조적 문제를 분석 할 필요가 있다. After the WTO's March 11, 2020 declaration of the Corona 19 Pendemic, various stimulus measures were introduc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liquidity and inflow of investors and funds into the Korean securities industry. According to the Korea Exchange on February 5, 2009, the average daily volume of domestic stocks was 42 trillion won, up three times from 12 trillion won in the same month last year. The increase in volume leads to increased traffic and transaction volume, resulting in various computer problems such as MTS and HTS connection failures, transaction delays, and balance query delays. According to the Korea Exchange announced on August 18, 2,025 cases of computer problems account for 58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disputes and complaints. This is an increase of 285 percent from 526 cases in the same period in 2020. The number of stock trading disputes was 74, up 12.1 percent from the same period in 2020. Thus, the increase in transaction-related traffic and volume creates a variety of computer problems, the largest proportion of which is the hindrance to stock transactions. In this study, there are various causes of computer delay disorder,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DBMS is studied. In order to stud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DBMS, various performance comparisons are made between disk-based DBMS and in-memory computing-based DBMS. Comparisons include TPS (Transaction Per Second), response time, CPU usage, and disk I us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nvestigating whether DBMS, which is based on in-memory comput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find ways to apply it to ledger DBMS.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analysis and analyze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ledger DBMS.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특징점 기반 소형객체 변화탐지 기술 개발

        서정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위성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위성영상의 공간 및 시간 해상도가 향상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자세한 변화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가용 가능한 5 m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국내의 아리랑 3호, 아리랑 3A호, 국토위성 1호, 추후 발사예정인 국토위성 2호, 농림위성 등이 있으며, 해외의 WorldView, SPOT, Geofen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원활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획득에 대한 기대와 함께 위성영상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과 관련하여 실시간 지구 관측 서비스를 제공 및 시도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지구관측자료 활용분야의 하나인 변화탐지는 토지이용, 토지피복, 산림 변화, 재난/재해 피해지역 분석, 수계 및 해안선 변화 등 다양한 주제에 적용되고 있다. 과거의 변화탐지는 위성의 해상도 한계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공간적, 시간적 해상도 향상에 따라서 건물, 도로, 차량 등 다양한 객체의 변화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영상의 판독력이 증가됨에 따라 차량, 소형선박, 작은 건물과 같은 소형객체의 변화탐지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소형객체 변화탐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화탐지는 주로 화소와 객체 단위로 관측한다. 화소기반 변화탐지는 화소 단위로 변화를 관측한다. 직관적인 변화를 관측할 수 있으나, 오차 영향을 많이 받아 정확하지 않은 변화탐지 결과를 제공한다. 객체기반 변화탐지는 주로 특성이 비슷한 화소의 집합으로 나누어 변화탐지를 진행하거나 또는 DSM, 관측 방향와 같은 객체를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화소의 집합을 위해서는 주로 영상 분할 기법을 이용하지만, 영상 분할 단계에서 입력 영상의 크기와 관측 대상에 따른 처리 시간과 파라미터의 튜닝 등 범용성 및 실시간 관측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컴퓨터 비젼에서 주로 활용하는 특징점(feature point)을 이용하여 소형객체 변화탐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객체는 독특한 밝기 패턴을 갖고 있으므로 특징점을 생성할 수 있다. 특징점 매칭을 통해 동일 객체의 동일점(Corresponding point)을 찾을 수 있다. 매칭된 특징점은 동일 객체의 동일점이므로 비변화로 분류하여 화소 기반 접근 방식보다 오차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형객체에 대한 적합한 변화탐지 단위로 특징점이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특징점 기반 소형객체 변화탐지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화소기반 변화탐지 결과보다 특징점 기반 변화탐지 결과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였다. 참조자료 내에서 특징점 단위로 분석한 결과, 특징점 매칭을 통해 비변화 객체를 변화탐지 과정에서 제거해주어 오탐지가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동일한 임계값을 적용하였을 때, 화소 기반 보다 낮은 오탐지율, 높은 감지율, 정밀도, 정확도, F1 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소형 객체의 변화탐지에서 화소 단위로 분석하는 것보단 특징점 단위로 분석하는 것이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