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을 통한 NIE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서경미 단국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신문을 활용한 수업의 활용방법을 알아보고 인터넷상에 운용되고 있는 국내외 NIE(Newspaper In Education) 사이트의 현황과 내용을 살펴보고 NIE 활동을 인터넷과 접목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를 제시하였다. 인터넷은 학생들이 지면 중심 NIE 활동을 할 때보다 훨씬 풍부한 정보들을 입수할 수 있을뿐더러 신문의 교재화를 위하여 사전에 학생들이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과거의 신문 기사도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쉽게 자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NIE의 자료나 성과를 교사나 이용자들이 서로 나누기도 편하므로 업무에 바쁜 일선 교사들이 모든 학습자료를 만들어야만 했던 어려움을 상당부분 해결해 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전용 NIE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신문활용교육을 실시하고 있거나 하고자 하는 웹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는데 역점을 두고 제작하였다.

      • 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능력 비교

        서경미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prehensions of adnominal ending form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and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to basic data and information of clinical guid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3rd year and 5th year grade and each grade contained 10 people. To figure out usage and error type of adnominal endings, a video which contained 45 expressions of verbs was made, a picture was set by pause screen with before-action, process, after-completion,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by the video and the pi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comparison result of reactive rate of adnominal endings and comprehension activities, 5th-year normal students were the highest, 3rd-year normal students were the 2nd to the highest, 5th-year students with learning disorder were the 3rd to the highest, and 3rd-year students with learning disorder were the last. For comparison of reactive rate of the tense, past tense was the highest, present tense was the 2nd to the highest, and future tense was the last. As a comparison result of tense comprehension between two groups,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were lower than normal children. The two groups got the highest reactive rate for past tense.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past tense, present tense, future tense' was the sequence, and for normal children, the sequence was the same with that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the three tenses, future tense was the only one that showed a littl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re was no interactive effect between group and grade, but between group and tense, there showed interactive effect. Secondly,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reactive rate of adnominal ending activities, 5th-year normal children were the highest, 3rd-year normal children were the 2nd to the highest, 5th-yea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were the 3rd to the highest, and 3rd-yea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were the last.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reactive rate between tenses, 'future tense, past tense, present tense' was the seque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or the result of average comparison of groups,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showed the highest reactive rate in future tense and normal children presented the highest reactive rate in past tense. There showed no interactive effect between group and grade and tense. Thirdly, as a comparison result of error types of adnominal endings,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Of the four error types, tense was the highest in error rate and 'meaning error, other error, application error' was the next to the highest sequence. For tense err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were higher in error rate than normal children. As a comparison result of error frequency of tense error, future tense was the highest in error rate and 'present tense, past tense' was the next to the highest sequence. 본 연구는 학습장애 아동의 관형사형 어미의 이해와 산출 능력을 동일학년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학습장애아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임상지도의 기초자료 및 정보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 5학년으로 집단별, 학년별 각각 1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방법은 관형사형 어미의 사용과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45개의 실험동사를 표현하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동작의 시작 전, 진행, 완료 후의 순간 정지 화면을 가지고 사진으로 제작하여 검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형사형 어미의 이해과제의 집단과 학년 간 정반응율 비교 결과, 5학년 일반아동이 가장 높았고, 3학년 일반아동, 5학년 학습장애아동, 3학년의 학습장애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시제 간 정반응율 비교 결과, 과거시제가 가장 높았고, 현재, 미래시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시제이해에서는 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았다. 두 집단 모두 과거시제에서 정반응율이 가장 높았고, 학습장애아동은 과거, 현재, 미래시제 순이었고, 일반아동은 과거, 현재, 미래시제 순이나 시제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세 가지 시제 중 미래시제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과 학년사이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으나, 집단과 시제사이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관형사형 어미의 산출과제의 집단과 학년 간 정반응율 비교 결과, 5학년 일반아동이 가장 높았고, 3학년 일반아동, 5학년 학습장애아동, 3학년 학습장애아동 순이었다. 시제 간 정반응율 비교 결과, 미래시제가 가장 높았고, 과거, 현재시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집단의 평균비교에서 학습장애아동은 미래시제에서, 일반아동은 과거시제의 산출에서 정반응율이 높게 나타났다. 집단과 학년 그리고 시제사이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관형사형 어미 산출의 오류유형 간 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가지 오류유형 중 시제오류에서 오류율이 가장 높았고, 의미오류, 기타오류, 활용오류 순이었다. 집단과 오류유형의 상호작용은 시제오류의 경우 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오류율이 높았다. 시제오류 내 오류횟수 비교 결과 미래로 산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현재, 과거의 순으로 산출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초등학교 방과후 중국어 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방법 고찰

        서경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사회에서 중국이 강대국으로서 차츰 부상함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중국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으며 중국어를 학습하는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어린이 조기 외국어 교육으로 초등학교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중국어 교육은 방과 후 학교 교육의 수업으로서 학교별 자율적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방과 후 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소질이나 적성 및 특기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운영이라는 취지하에 개설과목, 시간, 강사 등의 측면에서 학교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은 강사의 자율에 맡겨지고 있다. 하지만 체계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열악한 편이며 강사들의 수업연구이외에도 교재를 선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교구 제작, 수업 교수안 작성, 수업평가 등 모든 열악한 문제들을 강사 스스로가 해결해 나가야만 한다는 것이 오늘날 방과 후 학교 수업의 현실이라 할 수 있다. 교재에 있어서도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어 학습열 고조에 따라 어린이용 중국어 교재는 어느 서점에서나 많은 종류의 교재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시중에 출판된 교재들 중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교 교재는 찾아보기 힘들다.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중국어를 가르치는 강사들은 교재의 선택과 개발을 중국어 교육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호소한다. 교재는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제공해주는 일차적 원천으로, 교재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교사의 미비한 부분을 보완해주는 것이며 교육의 질도 일정 정도 유지 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어린이 중국어 교육의 교재에서 교사들이 참고할만한 표본자료가 없어 수업의 많은 부분을 교재에 의지하고 있고 수업과정에 필요할 때 마다 그때그때 교구를 직접 만들어 사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방과 후 학교 교육에서 중국어 수업의 문제점을 찾아 어린이들이 중국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어떻게 하면 좀 더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교수할 것인가에 대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 별로 나누어 구체적 예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자진모리장단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서경미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 음악을 이루고 있는 근본이자 토대이며 음악, 노래, 춤 등 국악의 기본이 되는 장단 중에서 자진모리장단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자진모리장단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악 교육 방법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내용과 방법은 연구자가 현장에서 수년간 지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체계화 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물을 중심으로 현재 장단교육의 위치, 장단의 개념, 장단과 놀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며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바탕으로 국악 제재곡들을 장단별로 파악하여 보았다. 이에 저학년에서 집중적으로 학습하게 되는 자진모리장단이 장단감의 체득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임은 물론 보다 체계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자진모리장단을 다루는 제재곡을 선별하여 장단과 관련된 학습지도내용을 추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자가 재직한 서울창경초등학교와 현재 재직하고 있는 서울상수초등학교 3학년 학생 50명을 특별한 기준 없이 임의적으로 표집 하여 연구하였다. 2006년 6월~12월, 2007년 3월~7월까지 방과 후 교육 활동 시간이나 토요휴업일을 이용하여 지도하였다. 셋째, 아동들의 출발점 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다루어야 하는 자진모리장단의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크게 3단계-감각적 경험의 단계, 개념 자각의 단계, 개념 응용의 단계-의 학습단계를 설정하고 다시 이를 10단계의 학습단계로 설정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안하고 지도하였다. 넷째, 10단계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아동들에게 적용하고 그 결과를 얻음에 있어 학습이 이루어지는 중간 과정에서는 설문지, 관찰,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장단 관련 개념 이해, 장단 연주 및 표현 활동, 장단 학습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하였다. 학습이 90%이상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자기 평가를 실시하여 각 영역별 학습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상과 같이 음악적 인지 능력의 향상이 두드러지는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핵심이 되는 장단학습의 실제를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장단의 개념 정립이 효과적이었다. 장단의 보편적 개념에서 파생하는 관련적 개념들을 세분하여 그 개념을 확실히 하고 각 개념들을 단계적으로 반복하고 지도함으로써 장단의 학습내용을 보다 빠르고 자연스럽게 이해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장단 학습의 단계적인 지도가 효과적이었다. 장단의 개념을 실제적으로 습득함에 있어 크게 3단계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하여 10단계로 나누어 학습방안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장단의 표현 및 연주 기능이 자연스러워지고 음악적 창의성을 살릴 수 있었다. 셋째, 장단감을 몸으로 체득하게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장단에 맞게 몸을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은 장단을 어느 정도 이해했을 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신체표현활동을 통한 장단감의 체득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닌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학습의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었다. 국악은 신체적?정신적으로 민감한 아동들에게 문화적 주체성을 키우고 그 가치를 확립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악교육을 위한 안정적인 학습 환경과 보다 폭넓은 학습 기회의 제공을 위한 교육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도 아동의 발달 단계적 특성과 흥미를 고려한 단계적인 장단 지도 방안과 지도 자료 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하겠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Jajinmori-jangdan among the various kinds of fundamental jangdans that were the foundation and base of Korean music and the bas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songs and dance. It aimed to suggest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e Jajinmori-jangdan and thu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methodolog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investigator's years of field experiences: First, previous study was review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jangdan education, the concept of jangdan, and the connections between jangdan and play. Then th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were examined to approach the diverse piec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ccording to jangdan. It's thus suggested that the Jajinmori-jangdan the lower graders focused on during class were the most fundamental jangdans in learning jangdans. And there was a need raised to provide more systematic instructions. Accordingly, the pieces dealing with the Jajinmori-jangdan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about jangdans were identified. Second, 50 third grad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mong the students at Changyeon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the investigator previously worked and at Sangsu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she's currently working. The subjects received the treatments dur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on lesson-free Saturdays from June to December, 2006 and from March to July, 2007. Third, a survey was conducted and its responses were analyzed to set the baseline of the students' behavior. By connecting the results with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Jajinmori-jangdan covered in th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a three-stage study plan was devised consisting of the Stage of Sensual Experiences, Stage of Concept Realization, and State of Concept Application. Then a ten-step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developed and applied. And fourth, a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used to examine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jangdan concept, activities of jangdan play and expression, and attitudes towards jangdan study while the ten-step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administered to them and generated results.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evaluation form around the time when 90% or more of the planned study was comple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ademic changes to each of the areas. Being the core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jangdan study was applied to the middle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se musical perception abilities were growing remarkably. The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tudents established the concept of jangdan effectively. The approach of segmenting the related concepts of the universal concept of jangdan, making sure that they understood them, and repeating each concept gradually was effective in helping them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s faster and more naturally. Second, the gradual instructions were effective in jangdan study. In an attempt to help the children acquire the actual sense of jangdan concepts,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were then fragmented into ten steps. As a result, they became natural with their expressions and play of jangdan and exercised their musical creativity. And third, it was effective to encourage them to experience and learn the jangdan using their bodies. They could move their bodies to the jangdan when they had a certain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m. Thus learning the jangdan through bodily expressions helped them hav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rather than a simpl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contributed to greater learning effects. Traditional Korean music plays a critical role in helping children who are sensitive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increase their cultural independence and expand its values.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re essential to a more stable learning environment for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and a wider scope of learning opportunities. In future,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es on gradual teaching plans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jangdan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children in their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 한옥의 전통부엌을 모티브로한 도제합 연구

        서경미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집은 문화권에 따라 특색적인 삶의 양식을 반영한다.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은 한옥은 한반도의 자연환경과 각 지역마다의 고유한 생활방식 그리고 우리네의 정서와 심성까지 스며있는 복합적인 생활공간이다. 한옥은 흙과 돌, 나무와 같은 자연 속의 재료로 지어졌으며, 환경에 순응하며 살아간 옛 선조들의 지혜가 반영되어 삶의 공간을 자연에 들여 자연과 어우러짐은 물론 다시 자연으로 되돌아가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그중 한 집안의 살림살이를 대변하는 부엌은 물과 불을 다루고 음식을 만들어내고 저장하는 중요한 살림공간이다. 또한 난방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조왕신을 모시는 종교적 공간이며, 절구질 따위를 하는 작업공간이자 가마솥에 물을 데워 목간을 하던 곳이고 부지깽이를 붓 삼아 문자를 깨치는 글방이며, 며느리들의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달랬던 위안처였다. 이 같이 전통부엌은 공간의 분할보다는 통합과 융통성을 중시하고 공간의 공유를 강조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 곳이다. 이런 점은 합이 가지고 있는 실용성과 담을 수 있는 내용물에 있어 융통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할 수 있다. 합은 실생활에 산재해있는 일상적인 물건으로, 오랜 시간 인간생활과 함께 존재해 오면서 모든 사람에게 친숙한 대상이 되었다. 무엇을 담는다는 것을 전제로 기능성을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뚜껑을 닫으면 그 자체로서 장식미를 지녀 생활공간에서 훌륭한 장식품이 되는 오브제로 발전하였다. 이 같이 오브제로서의 합은 형태적 의미를 확장시키는데 목적을 두기도 하며, 내용적으로 의미를 지닌 기능성을 제시해 주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통합과 융통성으로 공간을 공유했던 전통부엌을 모티브로해서 개성 있는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도제합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역사의 교훈은 과거를 앎으로써 미래를 슬기롭게 살아가기 위한 것이다. 과거가 없이 지금이 생겼을 리 없고 또 지금의 노력 없이 미래는 보장되지 않는다. 요즘 다행스럽게도 문화적인 갈증을 느끼는 사람들이 옛 것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자의 작품이 옛 것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고, 개성 있는 우리 문화에 대한 세대 간의 소통과 공감의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MgB2 초전도체에 대한H2O 효과 연구

        서경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MgB2 분말을 섞어 11종의 혼합물 처리된 MgB2 분말을 준비하여 MgB2 초전도체의 초전도성을 연구하였다. 즉, MgB2 상(phase, 相)의 변화와 초전도 임계전이온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XRD(X-ray diffraction)분석과 PPMS(Physical Properties Measurement System) 장비를 사용한 자기장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XRD을 이용하여 물과 에탄올 혼합물에 처리된 MgB2 분말들의 MgB2 상들은 물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 혼합물 처리하지 않은 최초 상태의 MgB2 상과 거의 유사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gB2 상을 나타내는 주요 피크(peak) 값들의 세기가 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PPMS 장비를 이용한 자기장특성 분석결과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 처리된 MgB2 분말들의 초전도 임계전이온도(Tc)가 모든 시료들에서 38.5 K로 측정되었는데, 혼합물 처리하지 않은 최초 상태의 MgB2 초전도 임계전이온도 38.5 K와 같았다. 그러나 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전도 자기장특성 신호들의 세기가 매우 약해짐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XRD 분석과 일치하는 결과로서 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gB2의 초전도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한국산 식품의 품질적 특성과 국가 이미지가 식품 신뢰도 및 원산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경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의 품질적 특성과 국가 이미지가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와 원산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북아 중심 국가인 일본, 중국, 한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 및 원산지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 연구 1부분과 식품에 대한 인식도 및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의 집단별 차이를 분석한 연구 2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1의 가설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의 품질적 특성; 6문항의 관능적 특성 변수들 중에서 풍미 변수가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미 변수의 Adjusted R2값은 .38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이미지 문항에서는 문화의 특질과 친밀도가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djusted R2값은 .100으로 높지 않은 값이 나타났으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일본보다는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중국에서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도가 높은 집단에서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의 품질적 특성 변수들 중에서 전체적인 만족도가 원산지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스제품 만족도를 기준으로 하여 집단을 세분화하여 원산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소스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원산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이미지에서는 문화와 친밀도가 한국산 식품의 원산지 효과에 영향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djusted R2값은 .164였다. 문화의 특질과 친밀도 기준으로 하여 한국산 식품에 대한 원산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중국인들이 한국산 식품에 대한 원산지 효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에서도 밝혀졌듯이 친밀도가 높은 집단에서 원산지 효과가 높게 나타나,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와 원산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친밀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가 원산지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R2값이 .073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의 수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원산지 효과 정도를 비교한 결과 신뢰도가 높은 집단에서 한국산 식품에 대한 원산지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소스에 대한 인식도와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를 집단을 기준으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스제품을 어떤 소비재로 인식하는가를 알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소스 제품을 필수재라고 인식하였으며, 국적에 따라 소스제품에 대한 인식도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중국인들은 소스 제품을 일본인과 한국인집단보다 감각재로 인식하였으며, 향후 일본 시장과 중국 시장 진출 시 마케팅 방향에 대한 차별화를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 되었다. 둘째,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산 식품의 품격, 품질 우수성, 안전성에서 국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인 집단보다는 중국인 집단이 한국산 식품에 대해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스 제품이 필수재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한국산 소스 제품의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 가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스 제품이 감각재라고 인식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에 차이가 잇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각재라고 인식하는 집단에서 한국산 식품의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 향후 해외 시장 진출 시 마케팅 전략수립 시 감각적인 부분을 좀 더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셋째, 원산지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가치 판단의 적정성에서는 시나리오 1(Made in Korea 표시 식품)의 시나리오에서 더 높은 점수(2.85)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 되었다. 추가적으로 자국 중심주의 경향을 측정한 결과 일본이 중국보다는 자국산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국인들보다는 일본인들이 자국중심주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적 관점에서 한국산 식품(소스 제품)의 해외 시장 특히 일본시장과 중국 시장 진출 시에 다음과 같은 제언이 요구되어진다. 첫째. 식품의 용도 기준에 따른 시장별 세분화: 중국시장은 친밀감을 높이는 방안과 특권전략의 적용과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소스 제품의 대한 용도의 명확성을 제시하는 정보제공과 신기성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단계별 유통 구조의 개선과 한국 식품에 대해 유동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집단을 공략한 차별화 전략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