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trTALE12, a member of TALE transcription factor family in Populus trichocarpa, is involved in axillary shoot development by regulating WUSCHEL expression

        배소영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response to endogenous and/or exogenous stimuli, transcription factor (TF) regulates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by modulating the rate of transcription initiation of target genes. Among them, a particular class of TF, the Three-Amino-acid-Loop-Extension (TALE) homeoproteins has been shown to control meristem formation and organ morphogenesis in plants. Poplar, a model woody plant, has a total of 35 TALE transcription factors,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Arabidopsis (22 members). As a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functional role of TALE family in woody perennials, the entire TALE family members of Populus trichocarpa were cloned in overexpression (PtrTALE-OX) and suppression (PtrTALE-SRDX) constructs. To characterize the molecular function of the poplar TALE TF family, we performed a phenotype-based screening of transgenic Arabidopsis populations, which were created by transformation of either overexpression or suppression of the TF gene constructs. As expected, many transgenic Arabidopsis plants showed altered plant architecture, leaf shaping and apical dominance. Among them, the overexpression of PtrTALE12, which seems like ortholog of Arabidopsis BLH11, showed significantly unique phenotype, enhanced axillary shooting. Interestingly, the expression level WUSCHEL(WUS) that is core factor to regulate stem cell population in S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ome persuadable proof has been appeared showing its interacting partner is SHOOT MERISTEMLESS(STM), which plays really significant roles in shoot apical meristem. RNA-seq has also provided corresponding result and additional keys to explain the phenotype such 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circadian rhythm and Jasmonic acid(JA) related genes, which are all related to initiating axillary shoots. We hypothesized that these three factors, which are WUS, circadian rhythm, and JA were regulated by cytokinin level increase, and this resulted in PtrTALE12-OX phenotype. Conclusively, all of these were involved in functional mechanism of PtrTALE12 in plant 포플러의 전체 TALE 전사 인자 (TF) 계열을 연구하기 위해, 33개의 포플러 TALE TF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OX) 기능을 억제하는(SRDX) 벡터를 제작하여 애기장대 형질전환체를 생산하였다. 형질전환 된 애기장대 집단에서 표현형에 기초하여 흥미로운 표현형을 가진 라인들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xillary shoot이 과도하게 발달하여 덤불 같은 모양을 가지며 키가 작은 표현형이 나타난 PtrTALE12의 과발현체를 통해, 그 기능을 규명하기 위한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WUS(WUSCHEL)이 유도되면axillary shoot이 발달한다고 보고된 바에 따라, PtrTALE12의 과발현체의 rosette 잎 겨드랑이 부분을 샘플링하여 quantitative RT-PCR 및 RNA-seq을 통해WUS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표현형의 세기와 일치하게 뚜렷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Transient activation assay를 통해 in vivo에서, proWUS::GUS X 35S::PtrTALE12를 통해 in planta에서 또한 검증 되었다. 그리고 TALE TF는 BELL 그룹과 KNOX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이 서로 단백질 interaction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BELL 그룹에 속하는 PtrTALE12는 KNOX 그룹의 어떤 멤버와interaction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STM(SHOOT MERISTEMLESS)과 interaction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trTALE12의 과발현체는 추대가 wild type에 비해 열흘 정도 빠르게 일어나는데, 그것은 CCA1과 LHY라는 circadian gene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했기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RNA-seq 결과, JA(jasmonic acid)관련 유전자들이 매우 현저하게 감소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 또한 axillary shoot을 발달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PtrTALE12의 과발현체의 표현형을 보면 정단 우세 또한 망가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auxin의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고 auxin과 그 inhibitor를 추대 직후의 애기장대에 처리함으로써 증명하였다. 따라서, PtrTALE12가 과발현 되면, auxin이 부족해지면서 cytokinin가 늘어나고, 그 결과 WUS의 발현이 증가함과 동시에 JA이 감소하였으며 CCA1과 LHY가 감소하는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axillary shooting을 촉진하였다고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애기장대의 TALE TF 중 포플러의 PtrTALE12와 계통적으로 가장 유사한 BLH11의 과발현체도 같은 벡터를 이용해 제작하여 그 표현형을 관찰한 결과 유사한 표현형이 나타났다. 또한, 포플러의 PtrTALE12 과발현체를 제작하여 표현형을 분석한 결과, axillary branch수가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표현형이 강한 라인의 경우 키가 작아진 것도 관찰하였다. 이로써 PtrTALE12는 잎 겨드랑이에서 하위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axillary shoot의 발달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 영어 몰입교육에 관한 한국국제학교 학생의 인식조사

        배소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orea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o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overviewed the historical theoretical background of immersion education which began in Canada. This study stated the origin and the definition of immersion education and discussed late immersion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hrough the cases of Hongkong and Korea.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as late immersion education in Korea was identifi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Korea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o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A total of fifty students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took part in the research and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What the survey found is that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stud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The necessity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primary and post-secondary schools. This paper makes several suggestions to carry out effective English immersion education: namely proper starting grade, the subjects for immersion education, the demand for level-based curricula,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xtbook, instructors in charge of immersion educa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suggestions will be made for better ways for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대구지역 뷰티 학원생의 학원이용태도에 관한 연구

        배소영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 뷰티 학원생의 학원이용태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뷰티학원에 수강한 경험이 있거나 수강중인 학원생을 대상으로 뷰티 학원의 교육태도, 학원 평가, 학원 만족도, 의사소통, 이용태도를 분석하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수강생의 뷰티학원 이용태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뷰티 학원생의 교육태도를 분석한 결과, 다니는 학원의 교육 프로그램, 강사, 수강료, 학원에 대한 평판, 학원의 서비스, 강사와의 상담, 학원시설과 학습 환경에 대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뷰티 학원생의 학원 평가를 분석한 결과, 다니던 학원에서 계속 수강하기를 희망하는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시 학원을 선택한다면 다니던 학원을 선택하겠다는 집단이 가장 많았으며 친구들에게 다니는 학원을 추천하겠다는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뷰티 학원생의 학원 만족도(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다니는 학원의 학원 프로그램, 강사, 수강료, 학원 평판, 강사와의 상담, 학원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취업 및 진학에 대한 믿음, 학원 브랜드, 학원시설 및 학습 환경에 대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뷰티 학원생의 의사소통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주로 부모님, 친구들과 학원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생의 뷰티학원 이용태도를 분석한 결과, 학원 수강기간이 4개월에서 6개월이 가장 많았고, 지금 다니고 있는 학원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는 친구 또는 주변의 권유, 소문ㆍ명성, 매스컴ㆍ인터넷 등의 광고 순으로 나타났다. 학원 수강 목적은 진학, 취업 순으로 나타났고 학원을 방문하는 시기는 주중 학교(일) 마친 후, 학원 이용 빈도는 주 4∼6회, 학원을 이용하는 시간은 18∼22시에 다니는 학생들이 많았다. 학원을 다닐 때는 혼자, 학원에 대한 정보 제공처는 매스컴이나 인터넷, 친구소개로 학원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에서 교육 담당자는 강사, 상담 담당자는 영업부 직원이 많았고, 학원 상담 시에 동행인은 동성친구, 강의 후 남는 시간 활용은 컴퓨터를 하는 학원생이 많았다. 다니는 학원은 규모가 크고 중구에 위치한 학원의 학원생이 많았고, 수강하는 프로그램은 헤어, 메이크업(분장), 피부, 네일, 스타일리스트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장래 희망은 뷰티샵, 교육관련, 뷰티관련 사업, 방송ㆍ연예관련 등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생의 뷰티학원 이용태도와 현황에 따른 교육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 프로그램은 학원 방문 시기, 학원에 대한 정보 제공처, 상담 담당자, 다니는 학원시설규모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하는 강사는 학원 수강 기간, 학원 방문 시기, 학원 이용 시간대, 상담 담당자, 강의 후 남는 시간 활용, 다니는 학원시설규모에 유의하게 높았다. 수강료는 학원 수강 기간, 학원 방문 시기, 상담 담당자, 다니는 학원시설규모, 다니는 학원 위치, 장래희망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판은 학원 방문 시기, 학원 이용 시간대, 학원에 대한 정보 제공처, 상담 담당자, 다니는 학원시설 규모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는 학원 수강 기간, 학원 방문 시기, 학원 다닐 때 동행인, 학원에 대한 정보 제공처, 다니는 학원시설규모, 강사와의 상담은 학원 방문 시기, 학원 다닐 때 동행인, 상담 담당자, 다니는 학원시설규모에 유의하게 높았다. 학원시설 및 학습 환경은 학원 방문 시기, 학원에 대한 정보 제공처, 상담 담당자, 강의 후 남는 시간 활용, 다니는 학원시설규모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생의 뷰티학원 이용태도와 현황에 따른 학원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원에 대한 평가는 학원 수강 기간, 학원 방문 시기, 학원 다닐 때 동행인, 상담 담당자, 다니는 학원시설규모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생의 뷰티학원 이용태도와 현황에 따른 학원 만족도(신뢰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원 만족도(신뢰도)는 학원 수강 기간, 학원 방문 시기, 학원에 대한 정보 제공처, 상담 담당자, 강의 후 남는 시간 활용, 다니는 학원시설규모, 다니는 학원 위치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생의 뷰티학원 이용태도와 현황에 따른 의사소통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은 학원 방문 시기, 학원 이용 빈도, 상담 담당자, 다니는 학원시설규모, 다니는 학원 위치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학원생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교육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 프로그램은 거주지, 학력, 아버지의 연령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하는 강사는 거주지, 학력, 아버지의 직업과 연령에 유의하게 높았다. 수강료는 연령, 거주지, 학력, 월수입 및 잡비, 아버지의 직업과 연령, 어머니의 연령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판은 거주지, 학력, 직업, 아버지의 연령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는 거주지, 학력, 아버지의 직업과 연령, 강사와의 상담은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아버지의 직업과 연령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원시설 및 학습 환경은 거주지, 학력, 직업, 아버지의 직업, To analyze beauty students’ beauty academy usage attitude and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explored beauty academy’s education attitude, academy assessment, satisfaction level, communication, usage attitude through students who are attending or attended the beauty academy in DaeGu. Then demographic attribute and students’ beauty academy usage attitude were analyzed to yield the following result. The result of beauty students’ education attitude analysi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education program, instructor, tuition, reputation, service, counseling with instructor, facility and learning environment of an attending academy. The beauty students’ academy assessment showed high result on a group that wants to keep attending current academy, group that wants to choose current academy again, and group that wants to recommend the attending academy to other friends. The result of beauty students’ academy satisfaction (credibility) level, there was high level shown in academy program, instructor, tuition, reputation, counseling with instructor, satisfaction level, credibility level, trust in going on to college and employment, academy brand, facility, and learning environment. Beauty students’ communication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communicate well with parents and friends regarding of an academy. Students’ beauty academy usage attitude result showed large number of register term of four to six months and biggest reason for choosing current academy was friends’ or others’ recommendation, reputation, advertisement on media or internet in sequence. Purpose of registering at an academy was to go on to college and employment in order. Day of attending academy was during weekdays after school or work, frequency or usage was four to six times a week, and attending time was between six to ten p.m. Students attended an academy alone and learned about an academy usually through media, internet, or friends introduction.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at an academy was instructors and in charge of counseling was sales personnel. When getting counseling, same gender friends were accompanied and time available in between lectures was utilized with computer. Many students attended large sized academy that was located in central city. Popular programs registered were hair, make up, facial, nail, and stylist. Preferred prospected employment were beauty salon, education related, beauty related business, media and entertainment in sequenc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beauty academy usage attitude and education attitude according to current situation, education program displayed high result attentive to attendance time, information provider, counselor, and size of a facility. Also, instructor showed high result attentive to registered period, attendance time, usage time zone, counselor, making use of time left after lecture, and size of facility. Tuition demonstrated result as registered period, attendance time, counselor, size of facility, location, and prospected employment. Reputation exhibited attendance time, usage time zone, information provider, counselor, and size of facility and service showed registered period, attendance time, companion when attending academy, information provider, and size of facility in order. Counseling with instructors illustrated attendance time, companion when attending, counselor, and size of facility in sequence. Facility and learning environment showed attendance time, information provider, counselor, making use of left over time, and size of facility accordingly. Result of analysis on difference between students’ beauty academy usage attitude and reputation of an academy confirmed that reputation was measured by registered period, attendance time, companion when attending, counselor, and size of facility. Analysis between difference of usage attitude and satisfaction level resulted as registered period, attendance time, information provider, counselor, making use of left over time after lecture, size of facility and location of an academy. When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usage attitude and communication, result demonstrated that attendance time, usage frequency, counselor, size of facility, and location of an academy. Analysis result of education attitude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attribute confirmed that education program was noted high in residence, education level, father’s age while instructor was residence, education level, father’s occupation and age attentively. Tuition was noted high in age, residenc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and miscellaneous expense, father’s occupation and age, and mother’s age. Reputation was shown as residence, education level, occupation, father’s age and service as residence, education level, and father’s occupation and age. Meanwhile, counseling with instructor illustrated age, residence, education level, occupation, father’s occupation and age and facility as well as learning environment displayed residenc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father’s occupation and age. Analysis of difference in reput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 demonstrated residence, religion,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and miscellaneous expense, occupation, father and mother’s occupation, and father and mother’s age. When analyzing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 the result showed residence, religion,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and miscellaneous expense, and father’s occupation and age.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 exhibited residence f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while residence and father’s age for 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As shown by the results of the study, strengthening management of program, price, personnel, promo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among academy marketing factors that affect satisfaction level is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in order to heighten customer satisfaction i

      • 외식프랜차이즈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배소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는 지금 “세계는 프랜차이징의 시대” 라는 이 말처럼 안정적인 기반을 구축하고, 사업을 확장하는 데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도 현대인의 소득증대, 1인 가구 수의 증대, 핵가족화, 여가 시간증대, 생활습관의 변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 주 5일제 등의 이유로 식생활 문화가 변화하고 발달되어 프랜차이즈 산업이 활성화 되고 크게 성장하였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면서 외식프랜차이즈 산업이 발달되었고, 식생활문화도 점점 서구화가 되어 한식전문점이 아닌 외식프랜차이즈기업의 패밀리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의 수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프랜차이즈의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고, 이에 따른 대안과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2014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외식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패스트푸드점을 이용한 서울 수도권 지역의 고객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99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396부를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브랜드이미지는 고객만족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브랜드이미지 개별요인들의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서비스이미지, 제품이미지, 마케팅이미지는 95%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점포이미지는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 둘째,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브랜드이미지는 구매행동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브랜드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브랜드이미지 개별요인들의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서비스이미지, 제품이미지, 마케팅이미지, 점포이미지는 99%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만족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고객만족 요인의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99%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계층에서 설문조사가 이루어 졌지만,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 이용자 고객 모두에게 적용하기는 한계가 있고, 특히 제한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일반화 하기는 어려움이 있으며, 지역마다 세분화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의 응답자들의 연령대와 직업이 다양했지만, 보통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이용고객은 보통 젊은 연령층과 학생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둘째, 가설을 해결하기 위해 설문지법만 이용하여 설문지에 대한 응답자의 결정에 따라 조사결과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객관적인 연구수행이 이루어 질 수 없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고, 설문지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비교분석을 통해 정확성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이용고객을 한국인으로 대상을 선정하였다는 한계가 있지만, 현재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발달되었다는 점에서 폭넓고 정확한 연구결과를 위해 전 세계인으로 연구대상을 넓힐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나름대로의 시사점과 학문적 의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한계로 인해서 탐색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연구 결과에 따라 제시된 한계점을 극복하고, 이 분야의 연구가 전문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외식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경영인들에게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e Case of fastfood restaurant- Bae, So Young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Dong-Su) As people say now is the “age of franchise," the franchise system is being used all over the world to establish a secure footing and expand business. The franchising industry has been boosted and considerably grown in Korean society thanks to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lture resulting from the increase in people's income, a ri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changes in life habits, and the rise in the number of women in the workforc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Korea's dining-out franchise industry has developed and its dietary life culture has become westernized, increasing the number of family restaurants and fast food restaurants of the dining-out franchise companies, not that of Korean food restaurant.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the brand image of dining-our franchis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behaviors based on fast food restaurants, thereby suggesting alternatives and improvements. For an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customers of fast food restaurants under dining-out franchise brands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tember 1 through September 30, 2014. Of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9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396 ones were used as samples for the analysis excluding insincerely answered on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customer satisfaction found that the brand images of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predict the effect of the brand images of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an examination into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ach factors of brand image found that service image, product image, and marketing im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t the reliability level of 95%. Store image, however, did not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purchasing behavior revealed that the brand images of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In order to forecast the effect of the brand images of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on purchasing behavio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urthermore, an examination into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ach factors of brand image found that service image, product image, marketing image, and store image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t the reliability level of 99%. Third, customer satisfaction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In order to predict th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on purchasing behavior,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an examination into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customer satisfaction factor show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at the reliability level of 99%. The limitations and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have been suggest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urvey involved customers of various classes, the study results are limited in being applied to all of dining-out fast food restaurant users. Particularly, the results have difficulty in being generaliz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restricted areas, an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not segmented by area. Moreover,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of various ages and occupations, which caus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results because it is usual that young people and students account for higher proportions of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 users. Second, as the study highly depended on the participants' answers to questionnair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study could not be objectively conducted. Not only a survey method but also a variety of other methods should be employed for various comparative analyse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Third,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Koreans were set as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users. Given that currently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are popular not only in Korea but also all across the world, a studying involving people all over the world should conducted to obtain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results. Lastly, this study has strong exploratory features due to its limitations in spite of the suggestions and academic significance it presents. Therefore, if the limitations presented above are overcome and additional studies of the same field are conducted professionally,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for the management of dining-out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 판소리 음악요소를 활용한 가창 감상 지도방안

        배소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나라의 문화유산은 역사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으로, 다른 나라 유산과는 차별성을 가지며 민족 고유의 특성이 담긴 산물이다. 21세기에는 이러한 문화유산의 가치와 중요성이 더욱더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중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인 판소리는 소리꾼이 사설의 내용을 문학적·음악적·연극적으로 표현하는 종합예술로, 음악적 형식과 틀에 국한되어 있지 않는 독립성을 띈 예술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03년 11월에 유네스코(UNESCO) ‘인류무형유산걸작'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행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판소리 교육은 성악곡임에도 불구하고 감상중심 수업으로 영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학교 교육현장에서 판소리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판소리가 가지고 있는 음악적 특징을 활용하여 판소리를 하나의 음악으로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의 어원과 역사적 배경 및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개정안의 음악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판소리의 음악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론적 배경과 판소리를 전공한 필자의 판소리 교육경험을 토대로 하여 판소리의 음악요소를 활용한 가창중심 수업지도안과 감상중심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국악 관련 단행본과 논문을 살펴본 결과 판소리의 음악요소로는 장단·악조·시김새가 있으며, 판소리를 학교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판소리의 음악요소를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판소리의 음악요소 중 ‘장단’은 판소리의 박자·빠르기·강세 뿐만 아니라 장단의 역할과 고수의 중요성을 지도할 수 있으며, ‘악조’에는 우조·평조·계면조가 있으나 판소리의 주 선율을 이루는 계면조를 활용하여 판소리의 선율과 발성, 시김새(떠는 목, 꺾는 목)를 지도하면 학습자들이 더욱 더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김새’는 부르는 창자의 유파·발성·음색, 및 사설의 이면에 따라 다르게 불리고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와 있는 학년별 판소리 대목이 다르므로, 학습자가 교사의 소리를 듣고 소리의 느낌을 자신만의 가락선보나 기호로 만들어서 적은 뒤 반복적으로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판소리의 음악요소를 활용하여 판소리를 지도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를 상승시킬 것으로 보이며, 감상수업에만 머물러있던 판소리 수업을 가창중심수업 형태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판소리가 교과서 내에 더 많은 대목이 수록되어 학년별 수준학습에 맞는 가창·감상·창작 수업지도방안이 세부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이 판소리를 하나의 음악으로 이해하고 소리를 부르고 느끼면서 자연스럽게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country’s cultural heritage has been naturally made of history, it is a national unique feature and distinctive resources which distinguish from others’ heritage. In the 21st century,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have been steadily appeared. The Korea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5 pansori is composite arts which contain literary, musical, histrionic expression, it is recognised as an independent art which does not include musical forms and rules. Besides pansori is designated‘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sterpiece’ in UNESCO on Nov. 2003. However, pansori education in the current school is mostly focused on the appreciation lesson rather than singing through images. In order to teach pansori in the real class, pansori should be taught a music itself by using the musical features of pansori.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root, historic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value of pansori as well as introduced musical elements of pansori based on the 2015 music and education revision. Furthermore, I suggested the lesson plan for singing and appreciation separatel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I major in. According to the articles and thesis related to gukak, pansori musical elements are included jangdan, akjo and sigimsae. I concluded to use musical elements in order to teach pansori more effectively in the real class. Jangdan can be taught tempo and stress of pansori as well as roles of jangdan and the importance of a korean traditional drummer. Akjo includes ujo, pyungjo and gyemyeonjo. Learners could understand melody, vocalization and sigimsae by using gyemyeonjo more easily and quickly that is a main melody of pansori. Furthermore, sigimsae is sung differently by singers' yupa, vocalization, tone and editorial reverse and the parts of pansori in middle school textbook are different from grades. Therefor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is that learners write own garaksseonbo and symbol by listening to teacher's sound then sing it repeatedly. With regard to this, using musical elements of pansori can be improved the pansori education and it makes the lesson focus on the singing rather than the appreciation. Besides, pansori is needed wide range of parts in the textbook and the teaching methods for singing, appreciation and writing should be studied for the appropriate grade level. I expect that learners not only understand pansori as a music but also sing and feel it naturally. In addition, they will be able to lear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our cultural heritage.

      • IT시대의 일본종합상사의 변신전략에 관한 연구

        배소영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도경제성장을 주도했던 일본형 경제시스템이 그 한계에 봉착하면서 거품경제의 붕괴, 금융위기와 같은 거시적인 문제와 정부와 기업의 경쟁방식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일본산업의 국제경쟁력 저하 등과 같은 미시적인 문제들이 야기되면서 일본경제는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다. 여기에 미국에서 시작된 IT혁명은 일본뿐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에 그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IT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상사불용론’이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을 매개로 판매측과 구매측이 일대일로 연결이 되면 중간업자의 역할을 담당하던 상사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상사는 과연 이러한 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을까? 최근 일본종합상사는 IT비즈니스를 중심으로 많은 형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우선,3대 일본종합상사의 관리업무 통합처럼 적극적인 사업통합,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다수 약체업체의 통합이 아닌 경쟁자와의 통합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또한, 발빠른 e-상사로의 전환이다. 첫째로는 철강업체나 화학업체간에 일어나고 있는 B to B,둘째로는 편의점과의 제휴 등을 이용한 소비자와 직접적인 거래 B to C,셋째는 도오멘의 산업폐기물처리의 포탈사이트운영처럼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소프트사업의 투자, 다섯째는 스미토모상사의 쥬피터텔레콤 등의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제공, 여섯째는 스미토모상사의 라이코스재팬의 인터넷관련 사업의 제휴, 일곱째는 도오멘아메리카의 벤처캐피탈로써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일본종합상사의 IT시대를 맞이하여 변화하는 모습들은 과연 우리나라 종합상사에게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까? 첫째, 적극적인 제휴 및 합병을 통한 국제경쟁력의 강화이다. 최근의 일본종합상사들의 제휴 및 합병은 간단히 말하면 강자간의 합병이다. 경쟁자와도 필요하다면 손을 잡고 있다. 둘째는 기존의 중개기능에서 신중개기능으로의 전환이다. 이는 IT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것인데 상사로서 IT에의 대응은 2가지 면에서 잇점이 있다. 하나는 정보산업을 신성장산업으로 보고 물류사업을 통해 수익화하는 것(정보의 산업화)이고 또 하나는 상사의 업무처리를 정보화하고 사내의 생산성을 철저히 상승시키는 것이다.(산업의 정보화). 셋째는 고부가가치사업에의 투자 등을 들 수 있다. 1975년 종합무역상사제도에 따라 일본종합무역상사를 모델로 하여 탄생된 한국종합상사 또한 대기업의 유통창구의 역할에 그쳐 그 생존의미를 상실해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아직 그 효과에 대해서는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일련의 일본종합상사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The Japanese economy went through long-term depression as the Japanese economic system that used to be dominating, was confronted with the limit with macroscopic problems like the breakdown of foam economy, and financial crisis, also with micro problems like a decline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japanese industries due to the competition between government and enterprises. Moreover, IT revolution starting from the States is influencing on all over the world, not only Japan, asking a new business model that can be a substitute. As this IT revolution is regularized, a theory called 'no use of trading companies' is getting more persuasive. It says when the seller and the buyer are connected one to one using the internet, trading companies who used to be a middleman will lose their role. If so, how can trading companies overcome this situation? Recently,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showing many kinds of changes mainly on IT business. First of all, it is worth noticing in a sense that they are trying to integrate business as a strategic alliance about managing work, and this is a unification with the competitor, not with plural weak enterprises. Also, there is a transition into up-to-date e-commerce. The first thing is B to B happening among the steel industry or the chemical industry, the second is B to C which is a direct contract with consumers using alliance with convenience stores, the third thing is investment on network, hardware, and software business like operating portal site to deal with industrial waste of Tomen, the fourth thing is offering the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 like jupiter telecom from Sumitomo Corporation the fifth thing is alliance of internet related business of lycos Japan from Sumitomo Corporation and the sixth thing is the venture capital of Tomen America. Facing this IT age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what kind of message do this changes bring to domestic general trading companies? Firstly, it is the solidificatio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active alliance and merger. The recent alliance and merger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is simply a merger of the strong. They are making an alliance even with the competitor if necessary. Secondly, it is the transition from the past middleman role into a new mediation role. This is to survive in IT age, and there are advantages in two ways about this reaction. One is to profit from physical distribution(industrialization of information), considering information business as a new developing industry, and another thing is to upgrade the productivity of a company thoroughly, making the work process digitalized(informationization of industry). Thirdly. it is the investment on highly value added businesses. We need to look at the series of changes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with attention though the effects are not proved yet, since the Korean general trading companies which was created by following this Japanese model, is losing the meaning of its survival, playing the circulation storage of major enterp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