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생 영양지식의 식태도, 식행동,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 연구

        박희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인천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231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식이 자기효능감을 설문 조사하여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어머니의 직장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더 많았고, 자신을 포함한 동거인 수는 ‘4명’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균비만도(%)는 남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본인의 영양지식 정도에 대한 인식정도는 ‘약간 알고 있다’고 인식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영양정보의 출처를 조사한 결과, ‘TV, 라디오, 교과서외도서’, ‘인터넷’, ‘학교 수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을 살펴보면 인지도의 평균 82.6%, 정확도의 평균은 84.6%로 나타났고, 본인의 영양지식정도 인지와 영양지식정보 출처는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p<0.05). 영양지식점수의 전체 평균은 15점 만점에 10.58점이었고, 영양지식의 ‘기름기가 없는 음식과 살’, ‘비만과 성인병’, ‘비타민의 섭취’에 관한 문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식태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총 55점 만점 일 때 40.98점이었고, ‘양치질’(p<0.001)에 관한 문항이 ‘식사후 뒷정리.’, ‘반찬을 골고루.’, ‘잘못된 식습관(편식, 과식 등).’, ‘식사할 때 다른 행동’(p<0.01)의 문항들보다 남녀 간 높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식행동의 전체 평균 점수는 총 46점 만점에 32.68점으로 나타났으며, ‘저녁식사의 규칙성’에 관한 문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아침결식의 이유는 ‘시간이 부족해서’가 5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루 중 결식 시기는 ‘없음’이 56.7%로 가장 많았다. 하루 중 과식시기는 ‘없음’이 52.8%로 가장 많았다. 대용식을 이용하는 조사대상자 중 주로 이용하는 대용식의 종류는 ‘우유 및 유제품’이 29.8%로 가장 많았고, 남녀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대용식 사용 이유는 ‘간편해서’가 44.0%로 가장 많았다. 식이 자기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90점 만점에 71.11점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71.96점)이 남학생(70.31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본인의 영양지식정도 인지는 식이 자기효능감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영양지식 수준은 식태도 점수, 식행동 점수, 식이 자기효능감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1, p<0.01, p<0.001). 비만도, 영양지식 점수, 식태도 점수, 식행동 점수, 식이자기효능감 점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식태도와 영양지식, 식행동과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 식이자기효능감과 식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 식행동 사이에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p<0.001, p<0.001, p<0.001, p<0.001, p<0.001, p<0.001). 그러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은 영양지식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식태도, 식행동, 식이 자기효능감까지 높일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아동기의 올바른 식습관형성은 물론 미래의 식습관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영양교육시 영양지식 함양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식태도, 식생동, 식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영양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 헌터증후군 효소치료제 Iduronate 2-sulphatase의 고생산성을 위한 재조합 CHO 세포 무혈청 현탁 저온 배양공정 최적화

        朴喜正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헌터증후군 (Hunter syndrome)은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인 뮤코다당증 (mucopolysaccharidosis; MPS)의 일종이다. 헌터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세포내 lysosomal enzyme인 iduronate 2-sulphatase (IDS)의 비활성화로 인해 glycosaminoglycans (GAGS)의 일종인 heparan sulfate (HS)와 dermatan sulfate (DS)가 체내 각 기관의 세포에 축적 되어 발병되며 유전적으로 X-염색체와 연관 되는 단일 유전자 질환이다. 즉, IDS 유전자의 부분 돌연변이 또는 부분 결실 등으로 인한 IDS의 기능 저하는 mucopolysaccharidosis type II (MPS Ⅱ, Hunter syndrome)를 초래 한다. 효소기질의 침착으로 저신장, 운동성 저하 및 생리기능 저하, 지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심할 경우 20대 이전에 조기 사망 한다. 본 연구에서는 헌터증후군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인 효소 대체 치료를 위해 재조합된 CHO 세포 배양을 통하여 IDS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고생산성 세포의 확립과 배양공정의 최적화가 요구된다. 최근에 산업적 규모로의 대량 생산을 위해 현탁 배양공정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동물세포의 배양에 의한 생물공학 제품의 생산에 있어서 혈청의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혈청 배지의 사용이 긴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재조합 CHO 세포를 상용되고 있는 무혈청 배지에서 현탁 배양하였고 현탁 배양시 세포의 shear stress를 줄이기 위해 dextran sulfate를 배지에 첨가하여 세포의 생존률과 생상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배양배지의 고삼투압에 의한 영향과 저온 배양의 영향으로 재조합 CHO 세포의 성장과 생존률, IDS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최적의 배양을 위한 삼투압과 온도 조건을 확인하였다. 기본 배양배지의 삼투압인 350 mOsm/kg 이상의 고삼투압에서는 세포의 성장과 IDS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줌을 확인하였고, 배양온도는 37℃에서 3일 배양한 후 32℃로 저온 배양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을 높여주는 sodium butyrate, DMSO, pentanoic acid 첨가제들에 의해서 IDS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IDS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 lysosomotropic agent인 chloroquine을 첨가하여 IDS의 endocytosis를 억제함으로써 IDS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생물의약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선행조건으로는 erlenmeyer flask에서 glucose와 glutamine의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Mucopolysaccharidosis II, also known as Hunter syndrome, is a rare, X-linked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in the activity of the lysosomal enzyme iduronate 2-sulfatase (IDS). IDS catalyses a step in the catabolism of glycosaminoglycans (GAGs) dermatan sulfate and heparan sulfate, and when it is deficient or absent GAGs accumulate in tissues and organs.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no effective therapy for MPS II, and care has been palliative. However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with recombinant IDS, which is produced in a human cell line and targets the underlying cause of the disease, has now been approved. so ERT with IDS has the potential to benefit many patients with Hunter syndrome. Thus industrial production of IDS is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Hunter syndrome since patients should be continuously supplied by IDS. Accordingly,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is required to produce IDS with high productivity by recombinant CHO cells.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of culture strategy was searched in serum free medium, in terms of osmotic pressure, and culture temperature. Also, methods for increasing IDS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addition of small molecule enhancers (SMEs) such as sodium butyrate, pentanoic acid, and DMSO. In addition to that, the endocytosis inhibition agents such as mannose 6-phosphate and chloroquine were also tried. Addition of 50 μg/mL dextran sulfate to culture medium was effective for high cell density and viability in the suspension culture. Hypoosmotic pressure of culture medium showed decreased cell growth and IDS production. The osmotic pressure of basal medium used optimum for cell growth and IDS production. Higher IDS productivity was observed in the culture with temperature shift from 37℃ to 32℃ after 3days than in the cultures at constant temperature of 37℃ or 32℃. The addition of sodium butyrate, pentanoic acid, DMSO were effective for increasing IDS productivity. The optimum concentration and addition time of SMEs was 5mM of sodium butyrate at 6days, 1 mM of pentanoic acid at 3days, 0.5 % of DMSO at 1days respectively. Also, when 100 μM chloroquine was added to culture medium for endocytosis inhibition, the relative productivity of IDS was increased. 2 mM of glutamine and 9 mM of glucose were maintained in the fed batch culture. The cell density and specific productivity were higher than batch culture when glutamine and glucose were fed to media after 4 days. Therefore, this work suggested the optimization of culture medium condition, culture temperature, adding agents was effective for improving IDS productivity. Also, fed-batch culture was satisfactory for the enhancement of IDS production.

      • 거점 제공자에 대한 호감도가 거점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거점을 주는 사람의 호감도에 따른 거점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거점효과(anchoring effect)란 불확실한 상황에서 판단을 내릴 때에 판단 직전에 주어진 숫자 정보에 영향을 받아 그 수치에 고정되어 가까운 값을 결정하게 되는 현상이다. 거점효과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매우 강력하게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에서 더 나아가, 거점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거점을 제시하는 사람과 최종 결정을 하게 되는 사람의 대인적 관계 차원에서 거점 제공자에 대해 느끼는 호감(liking)의 차이에 따라 거점효과에도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점 제공자와 거점 수신자(최종 판단을 하는 사람)의 대면 상황에서 거점 제공자가 호의적인 태도와 행동, 말투를 보이며 대화를 하는지 비호의적인 태도로 대화를 하는지에 따라 그가 전달한 거점 정보에 영향을 받는 정도에도 차이를 줄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설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메시지 전달자에 대해 호감이 있을 때 설득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이 때에 메시지 전달자의 호감도가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변적 단서로 사용되어 휴리스틱에 의한 사고를 더 용이하게 만든다고 하였다. 긍정적인 기분은 부정적인 기분을 느낄 때보다 휴리스틱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더욱 빠른 결정을 내린다고 하였으며, 부정적 기분은 정교화 된 사고를 많이 하게 된다는 선행연구가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호감이 없는 사람이 준 거점 정보보다 호감이 있는 사람이 준 거점 정보를 더욱 따라가게 되어 해당 거점에 가까운 값을 결정하게 되고, 부정적 기분을 느낄 때보다 결정에 걸리는 시간이 빠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먼저 거점 제공자의 호감도에 따른 거점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려대학교 학생 81명을 대상으로 호감 조건, 비호감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호감도뿐만 아니라 기분 또한 사고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두 요인의 혼합을 통제하기 위하여 호감도 조건 이외에 부정적 감정 조건을 추가하였다. 호감도 관련 조건에서는 거점 제공자(실험 협조자)의 행동을 다르게 조작하였다. 부정적 감정 조건에서는 과거에 경험한 부정적 사건을 회상하게 해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박희정, 김현정, 최승혁, 허태균(2011)의 거점효과 실험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거점 질문을 주고 실험 협조자가 직접 거점 값을 제공하였으며, 피험자들은 거점 제공자가 준 거점 값을 보고 최종 값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피험자들의 최종값은 호감도가 높은 거점 제공자가 준 거점 값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비호감 조건과 부정적 감정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호감 조건과 부정적 감정 조건 간의 거점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호감도 관련 조건과 부정적 감정 조건 간 사고처리 과정의 차이를 증명하기 위해 거점 질문에 응답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부정적 감정 조건에서보다 호감도 관련 조건에서 더 빠른 시간 내에 응답하였지만, 호감 조건 또한 비호감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빠른 응답시간을 보여 세 조건 간에 모두 유의미한 반응시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응답시간 결과는 거점효과의 차이가 비호감의 감정 때문인지 부정적 기분 때문인지를 구분하기에는 부족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거점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거점이라는 정보의 특성이나 거점이 제시되는 방법 등을 다루어 인지적 차원에서 주로 연구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메커니즘 또한 이러한 차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거점 제공자와 거점 수신자라는 대인관계적 관점에서 거점효과를 바라본 연구이며, 특히 상대에 대한 호감의 정도라는 감정적 변인에 의한 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메커니즘과 더불어 통합적으로 거점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의 가능성을 제시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요인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희정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요인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희정 관광레저항공MBA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본 연구는 성격구조 이론인 5요인 모델을 적용하여 객실승무원들이 서비스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개인적인 성격요인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객실승무원의 성격유형을 분석하여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결과를 항공사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객실승무원의 채용 및 배치 그리고 교육 훈련에 활용하여 직무에 대한 몰입도를 높임과 동시에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통해 고객만족이라는 기업의 목표달성에 일조함으로써 항공사의 경쟁력 향상 및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승무원의 성격5요인을 분석하여 성격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둘째, 객실승무원의 성격 5요인을 분석하여 성격요인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객실승무원의 업무수행에 있어 직무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고객만족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 중 최다 운항 노선과 기종을 경험하며, 퍼스트, 비즈니스, 이코노미 클래스 별 다양한 객실서비스를 수행하고 다 국적의 승객을 대면하는 K항공사의 현직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표본의 추출은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객실승무원의 성격요인, 직무몰입, 고객지향성에 대한 조사의 목적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을 진행하였고, 2017년 10월24일부터 11월2일까지 10일간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280부의 설문응답을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의 단계로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가설 검증을 위한 기초분석으로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계 및 가설검증을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가설의 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요인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 안정성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단일요인, 고객지향성은 자발적 고객지향성과 업무적 고객지향성 두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9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고, 2개의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으며, 2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5요인 중 성실성, 외향성, 안정성의 3개 요인이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계로 분석되었고, 성격5요인 중 성실성, 친화성, 외향성 순위의 3개 요인이 객실승무원의 자발적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며, 4개의 요인 즉, 친화성, 안정성, 외향성, 성실성 순으로 객실승무원의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은 자발적 고객지향성과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자발적 고객지향성이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비하여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과 관련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기업이 목표하는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더욱 발전적인 연구를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K항공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으로 연구대상을 확장한다면 보다 대표성을 지닌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편의표본추출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심층인터뷰 등 자료수집의 방법을 보강한다면 구체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 요인을 직무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 몰입, 직무만족도 등으로 요인을 확대한다면 다각적인 관점의 접근을 통해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시공간 점화 과제에서 강박성향 집단의 수행 양상

        박희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강박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시공간 점화과제에서 나타내는 수행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902명을 대상으로 Padua 강박질문지-워싱턴 주립 대학 개정판(PI-WSUR)을 실시하여 점수가 높은 상위 5%에서 강박집단(22명)을 +1SD와 -1SD 사이에서 무작위 추출하여 통제집단(21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에서는 중립정서 조건과 위협정서 조건으로 나누어 시공간 점화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점화과제는 정적점화 조건, 기저선 조건, 부적점화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2(집단: 강박집단, 통제집단)x2(정서: 중립, 위협)x3(점화: 정적, 기저선, 부적)의 혼합설계 변량분석 결과, 점화의 주효과와 정서의 주효과가 유의했으며 점화와 정서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촉진 점화량은 기저선 조건의 반응시간에서 정적점화 조건의 반응시간을 뺀 값으로 자극 부호화의 강도를 의미하며, 억제 점화량은 부적점화 조건의 반응시간에서 기저선 조건의 반응시간을 뺀 값으로 불필요한 자극을 약화시키는 능력을 뜻한다. 촉진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는 아니었지만 강박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증가된 촉진 점화량을 나타냄으로써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강박집단을 강박사고 유형에 따라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립정서 조건에서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은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촉진과 감소된 억제를 나타냈다. 반면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은 통제집단과 비슷한 수행패턴을 나타냈다. 이는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의 이질성을 지지하며, 강박사고 유형에 따른 하위집단의 구분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formance patterns on visuospatial priming tasks in obsessive-compulsive groups. A total of 902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were screened with the self-report format of the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PI-WSUR). According to their PI-WSUR scores, students who scored within the top 5% were selected for the obsessive-compulsive group(n=22). Students within one standard devi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21). Subjects performed a visuospatial priming task under two emotional conditions: neutral and threat. The priming task had three conditions: positive priming, baseline, negative priming. The results of the 2 groups: (OC, control) x 2 emotion (neutral, threat) x 3 priming (positive, baseline, negative) mixed ANOVA showed the main effect of emotion and prim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 and priming. Facilitation effects were calculated by subtracting reaction time(RT) of positive priming condition from RT of baseline condition, meaning the strength of stimulus activation. On the other hand, nhibition effects were calculated by subtracting RT of baseline condition from RT of negative priming condition, referring to ability to suppress irrelevant stimulus. Althoug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OC group exhibited more increased facilitation than the control group under any emotional condition.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On the base of factor analysis of PI-WSUR, the OC group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subtypes: autogenous obsession and reactive obsession. In a neutral emotion condition, the autogenous obsession group showed more increased facilitation and decreased inhibition than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patterns of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pport heterogeneous of the OC group and the usefulness of subtype.

      • 성과지향형 혁신모델 구축 및 인재육성 체계에 관한 연구 : L사 사례를 중심으로

        박희정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L사의 사례를 통하여 다양한 고객과 제품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서 사업부별 맞춤형 혁신활동 모델에 대한 그 추진방향과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추진주체가 되는 인적자원인 차별화 된 혁신인재를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해당 기업에 적용하는 부분에 대한 유효성을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증한 논문임.

      • 국내 야외조형물 보존의 현황 및 사례연구

        박희정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설치되기 시작한 야외조형물은 1995년도 건축물 미술작품 설치 의무화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정책적으로 설치를 장려하여 도시 곳곳에서 손쉽게 야외조형물을 접할 수 있게 되었지만, 매년 언론에서 사후관리 미흡으로 인해 야기된 흉물스러운 모습들이 보도되고 있다. 현대미술작품에서 작가가 의도적으로 택한 재료나 색상은 작품의 이미지를 완성시키며 의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야외설치 작품은 다양한 손상 원인에 노출되어 있어 실내 작품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의 정도가 심하다. 따라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또는 작가가 의도한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관련 제도에 근거를 두고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는 건축물 미술작품 관련 조례, 동상·기념비·조형물 관련 조례, 박물관미술관법 관련 조례 등이 제정되어 있지만 전국 모든 지자체에 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지자체별로 기준과 내용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체로 사후관리와 관련하여 미흡한 부분이 많고, 체계적이거나 상세하지 못하다. 또한 시민의식과 보존관련 전문 지식 부족으로 인해 작품이 훼손되고, 이러한 훼손 사항에 대해 시정 명령을 내려도 예산과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방치하고 있으나 이를 방지하거나 강제할 제도적 방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지자체의 보존 관련 전문 인력 부재가 주원인이라면, 현재 활동 중인 국립현대미술관이나 전국 시·도립 미술관에 전문 인력을 늘려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며, 근본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전담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인 해결 방안일 것이다. 국외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나, 설치비용을 줄이는 대신 유지·보존비용을 늘리거나 후원을 통해 예산을 충당하고 있다. 또한 학교나 지역 단체 등과 연계하여 조형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방과 후 활동이나 자원봉사 활동 등으로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외에도 야외조형물 제작 단계에서부터 의무적으로 보존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내구성을 고려한 재료와 제작 방법, 설치 방법 등을 선택하거나 보안조명 설치 및 반달리즘 처벌법 등의 제도를 통해서 예방보존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예방보존 노력은 장기적으로 사후관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국외의 보존 관련 활동과 제도를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한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등 사후관리 제도 개선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active initiation of installing outdoor public sculptures in 1960s Korea, the demand for outdoor sculpture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5 following a mandatory policy from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public artworks. Although the outdoor sculptures are easily spotted at various places in the cities after the policy has been active, every year maltreated and deformed sculptures are gathering public attention regarding the lack of follow-up management. In contemporary sculpture, material and color of the artwork determine the vital intention of the artist. However, the influence of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s puts the art work in jeopardy as it decays and deforms in comparison to the works displayed indoors. Thus strict measures are required to maintain its original form, designed to portray the artist's initial intentions and minimize damage from outer force. While regulations regarding ‘artworks of percent for art in public places’, ‘statue/monument/sculpture’, and 'laws of museum and art gallery' are enacted in Korea, these are applied to municipalities either partially or fully having differences in regulation and detail. Nevertheless each regulation in terms of post installation maintenance lacks in adequacy in labor and system in detail to the art work. Furthermore, unaware citizenship and staff's shortage of knowledge on conservation of outdoor installation leads to the art work being damaged. The damaged works are being abandoned from conservation due to shortage of maintenance crew and funding and also open to risk of damage from the absence of restrictions to such acts from the public. In regards to this issue if lack of expert personnel engaging in conservation in municipalities is the main cause of damage, expert personnel currently working i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r art galleries located in cities/provinces can be increased, and ultimately, it is ideal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conservation und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In foreign countries, budget and personnel are equally insufficient. Whereas they compensate by decreasing installation expenses with an increase of maintenance expense, or complement their budget by funding. Also conjoining with local schools or local charity groups and encouraging attention to outdoor sculpture, raising the public's interest and utilizing their human volunteer recourses is a way to depressurize the stress of lack of funding and understaffed problems. Furthermore, maintaining the original condition of the art work can be considered in many ways; steps for early stages of manufacturing the outdoor sculptures to mandatorily go through inspections and suggestions from conservators for relatively sustainable methods of art work manufacturing processes in regards to selecting material, installation; or even through installing security lights and constituting anti-vandalism laws. Such efforts for conservation may reduce the cost of follow-up management in the long term. This study examines the conservation projects and policies outside Korea, aiming to resolve a path/solution to be applied to Korea, conclusively becoming a basic research to improve lack of funding and staff. The study becomes a guide to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original outdoor sculpture.

      • 로우 테크놀로지 AAC와 하이 테크놀로지 AAC가 중도 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technology AAC and high technology AAC using script activities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s experimental research, the rotating intervention design method in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was appli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two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elementary course of study at a special schoo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which is low technology AAC, and ‘Kids Voice,’ which is high technology AAC,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pretesting stage and experimental stage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stages) and the testing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sessions composed of the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for 25 minutes. In the snack making script activities, the intervention using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the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were conducted alternately each time. The script activity had a theme and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a script in accordance with causal and timely composition. The script activity provided 16 times communication circumstances for the children so that they could express 4 times per each of the four communication functions (requesting things, requesting actions, refusal, and answering), and in each circumstance, 3 times opportunities were given and when they were successful at least once, it was regarded as forward reaction and counted as forward rea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hich used script activities i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skill. Bot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ere effective in enhancing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it was found that ‘Kids Voice’ was found to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language acquisi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he communication skills acquired throug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hich used script activities, were also found to ha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in other activities In the new activity (juice making script) which had the similar structure as in the intervention stage, bot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ere effective in generalization of the script activities, and it was found that ‘Kids Voice’ was more effective in generaliza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an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Third, in the communication skill acquired throug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hich used script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The subject children obtained more enhanced performance scores in the maintenance stage than in the baseline stage and the intervention stage, and thus bot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e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script activities and ‘Kids Voice’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an in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Based on this, it can be seen that high technology AAC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an low technology AAC.

      •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교육지원과의 상관관계

        박희정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ocial phenomena such as private education expenses is a factor to give suffering to most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rrelation between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208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bringing attitudes was developed based on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Schaefer, 1959) by researcher. And the questionnaire for private education expenses was developed based on other questionnaire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in the bringing attitude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ief attitudes was the highest, then control, onlooking, denial attitudes; (b) the attitudes of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the strong needs and will; and (c) in the correlation between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grief, onlooking, and denial attitudes were related with low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control attitudes was related with high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