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이 직업상담사의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효과

        김희연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Life career plan program on job -calling consciousness of career counselors, and to propose the basis framework with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property at career counseling field. To achieve above obejective, hypothesis was established as follows. The hypothesis is, “Life career planning program will improve job-calling consciousness of career counselors.“Life career plan program is a program developed by Kwon Il-jin(2013) and supplemented by Kim Hui-Yeon(Kwon Il-Jin, Kim Hui-Yeon, and Cho Hyun-Heum, 2017).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areer counselo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who wanted to become Career counselors. In order to verify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job-calling consciousness of the participa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atal 140 persons, Experimental group was 8(92 persons) and Control group was 1 (42 presons).The Life career plan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hour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January 2018 to August 2018 for 4 weeks.As for measurement tool, the scale revised and developed by Kwon Sun-young and Kim Myong-so(2014) and reconstructed by Jin Hong-seop(2017). It consists of four sub-factors: work value, goal-oriented through work, career calling, motivation of devo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conducte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career.The experimental group measured job-calling consciousness prior to the program and measured the same after the program. The control group measured job-calling consciousness and measured the same four weeks after without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fe career plan program has the effect of improving Job-calling consciousness of career counselors by an average of 8%p.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 by 9%p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and the control group increased by 1%p. Therefore the effect of the pure program was 8%p. Second, the Life Career Plan Program has more effect on career calling and motivation of devo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 Job-calling consciousness. The four subfactors all r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control group, career calling and motivation of devotion were very few rosed. Third, the Life Career Plan Program increased the Job-calling consciousnes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age and career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interpreted that the Job-calling consciousnes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nal insight of each individual after the program,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old and the small care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verifies the improvement of Job-calling consciousness as the Life Career Plan Program. Second, we presented a new paradigm of career counselors job training as part of Supervision. Third, this program is suitable for the new employee pre-training to inspire the Job-calling consciousness, because the effect of the program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occupation. Fourth, it can be expected as a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program in the future, by designing a long-term and mid-term career goal. Fifth, it can be suggested as motivation education for improving intrinsic job satisfaction and preventing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Key words : Life-Career Plan Program, Career Counselor, job-calling consciousness, Career Calling,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Career Counselors' Supervision,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본 연구에서는 생애진로설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직업상담사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직업상담사들이 직업상담 현장에서 이직과 전직을 원하는 내담자에게 이 프로그램을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가설을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이 직업상담사들의 직업소명의식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은 권일진(2013)이 연구개발하고 본 연구자가 함께 수정·보완한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을 말한다(권일진·김희연·조현흠, 2017). 연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직업상담업무에 종사하거나, 예비직업상담사, 진로분야와 생애진로설계에 관심 있는 퇴직예정자를 연구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한 후에, 연구자가 실제로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면서 참여자의 직업소명의식 향상을 조사,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직업소명의식 측정 도구는 권선영과 김명소(2014)가 개발한 것을 진홍섭(2017)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일가치감, 목적지향, 천직의식, 헌신동기의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8개 그룹 92명과 통제집단 42명 총 14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18년 2월부터 8월까지 4주 동안 1회기에 4시간 총 16시간으로 집단상담을 진행했다. 실험집단은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 실시 전에 직업소명의식 척도로 사전검사를 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직업소명의식 척도로 검사를 실시한 후에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고 4주 후에 동일한 척도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고, 연령과 경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이 직업상담사의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주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전후 직업소명의식은 유의수준 0.05이내에 평균 9%p 증가되었고 통제집단은 1%p 상승하였다. 따라서 순수하게 프로그램으로 인한 직업소명의식 향상 효과는 8%p로 나타났다. 둘째,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은 직업소명의식 하위요인 중에서도 천직의식과 헌신동기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소명의식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증감의 폭은 천직의식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가장 큰 효과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헌신동기가 프로그램 받은 후에 큰 폭으로 상승되어 다른 요인보다 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으로 인한 직업소명의식의 향상 정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과 경력에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나이가 많고 적음에 따라, 경력이 오래되고 적음에 따라 영향 받지 않고 개개인의 내적 통찰에 따라 직업소명의식이 변화될 수 있음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생애진로설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직업소명의식 향상을 검증한 실증적 연구이다. 둘째,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수퍼비전의 일환으로 직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가 직종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므로 직업소명을 고취시키는 신입사원 사전교육으로 본 프로그램이 적합하다고 본다. 넷째, 실질적으로 장단기 생애경력 목표를 설계함으로써 향후 전직지원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내재적 직무만족도 향상과 직무소진 예방을 위한 재직자 직무스트레스 방지와 동기부여 교육으로 제시할 수 있다. 주제어 : 생애진로설계, 직업상담사, 직업소명의식, 천직의식, 전직지원서비스, 직업상담사의 수퍼비전,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몰 플랜더즈』에서의 개인적 자유 : 스피노자의 결정론과 자유론에 기반한 논의

        김희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eighteenth-century novel, Moll Flanders by Daniel Defoe, the main character, Moll, is an individual who never gives up on her dream to become a gentlewoman. Her striving to become a gentlewoman persists despite all social limitations for women. There were much fewer opportunities for a career and it was rare for a poor widow to remarry during this time. This creates an image of an independent, passionate, and free individual leading the readers to think that her desire comes from her freewill. However, I was on my quest to delve into the truth as to whether freewill even exists or not when I happened to realized that Moll's desire is caused by external forces (i.e., social and genetic causes). Moll can be seen as a free person because she acknowledges that deep down she desires to be a gentlewoman and so endeavors to pursue it throughout her life despite all obstacles; her desire is thought to be produced genuinely from within herself and thus by following her desire can be understood as following her freewill. However, when we examine the notion that her desire is caused by other external condi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her core,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we might have to re-define the term "freewill". There's no such thing as true "freewill", since a human's will is not free. Spinoza explains that all things in nature happen and proceed from eternal necessities. Spinoza values things in terms of the extent to which it realizes its true nature. Spinoza explains about the concept of "conatus" in which men strive to preserve their own existence. Following this conatus leads to the meaning of freedom. Spinoza's concept of freedom means acting according to the necessary nature of men and persisting in self-preservation. In this dissertation, Moll Flanders' real freedom is studied through Spinoza's concept of freedom, which exists in a deterministic universe, and through Spinoza's ethics in defining a moral philosophy. Spinoza's determinism is combined with freedom; these two cannot be discussed separately. Determinism and Freedom, as examined in Moll Flanders, are philosophically linked in that in a totally determined system, people live in a universe determined by the necessities of their circumstances and not in one of absolute necessity. Moll's freedom, according to Spinoza, is really the existence of options and the ability to make value judgments. Moll indeed has the power to act and the ability to notice the effects of her actions. Moll is not truly free because she acts in response to things that are beyond her control. Spinoza teaches that when the cause is external to our own nature we are passive and being acted upon; that when the cause of something lies in our own nature, it is a matter of the mind acting. Therefore, people need to understand the reasons as to why they are being affected by these external forces and acknowledge the limit of their power to act. The outside forces that happen to us tend to move our emotions or feelings into states of joy and sadness. Spinoza stresses that emotions are the most serious threat to a person's freedom. The act of understanding the causes of such emotions enables people to overcome their sadness and to reach towards freedom. Moll frees herself when she identifies the causes of her sadness and attains insight into her nature. A person can free himself from reliance on their senses and by acquiring knowledge, empower the mind, thus making it less susceptible to external forces. According to Spinoza, rationality is an essential means of obtaining a good life. Virtue exists in the pursuit of understanding. Freedom is the positive intellectual capacity to act in order to meet our own needs with the insight that our actions are always limited by natural laws. Behaving virtuously truly means to act and preserve one's own being (conatus) in accordance with reason and on the basis of what is in our own interest.

      •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가족관계성의

        김희연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가족관계성의 매개효과 김희연 복지서비스경영학과 협성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 미와과 가족관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중년기 위기감, 자살생각, 삶의 의미, 가 족관계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2.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삶의 의미가 중년기 위기감과 자살생각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 는가? 4. 가족관계성이 중년기 위기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있어 매 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삶 의 의미와 가족관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와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년기 성인을 비확률표본추출 방법 중 하나인 편의표집 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측 정하였다. 설문은 설문조사의 목적과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설문 항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응답 내용의 신뢰성을 확보를 위해 직접 배부·회수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8월 16일부터 9월 18일까 지 수집·회수된 344부 자료 중 주요변인에 대한 불성실한 설문지의 결측값을 제외하고 33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기 위기감의 하위 요인 중 자녀관계 불만족도가 자살생각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는 사 실이 밝혀졌다. 이는 중년기의 사람들이 겪는 감정적 어려움 중에서 도 자녀와의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중년 기는 생명주기의 중심에 위치하여 과거의 삶을 반성하고 미래의 삶 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개인들은 자신 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지난 삶의 선택,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 다양한 감정적 도전을 겪게 된다. 이러한 감정적 도전 중에서도 자녀와의 관계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품질시그널링과 정보성격에 따른 브랜드 수식어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 품질시그널링과 정보성격에 따른 브랜드 수식어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김희연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 Abstract 】 The Effect of Brand Modifier related to Product-quality signaling and trait of information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Involvement One of the essential tasks for marketers is which brand name will be introduced. Also, most consumers were Influenced by brand name.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been launching new products that have brand name describing product’s traits, that is descriptive brand modifier such as ‘Nonsan containing strawberry milk’, ‘living farm's fresh milk’. However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on brand modifiers tend to be limited. Because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got focused on the effect of brand modifiers related to vertical or horizontal gaps such as ‘Plus’. As such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stinction of descriptive brand modifier’s effects according to high and low of quality signaling and expression of brand modifiers like concrete or abstract.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 when brand modifier’s quality signaling is high, concrete brand modifier is significant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when brand modifier’s quality signaling is low, abstract brand modifier is significant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thu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ce in descriptive brand modifiers following some variables. This research carries academic significance for classifying by quality signaling and expressive information characters as well as reflecting the current markets. Moreover, it offers practical insights to marketers providing a way forward for devising diverse brand naming strategies by using brand modifiers. Key words: brand modifiers, quality-signaling, concrete information, abstract information, involvement. “어떠한 브랜드 이름으로 제품을 출시 할 것인가”는 마케터가 항상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과제 중 하나 일 것이다. 또한 제품을 구매하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구매 선택에 있어 브랜드 이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최근 많은 기업들은 ‘논산 딸기가 든 우유', '목장의 신선함이 살아있는 우유' 등과 같이 제품의 특징을 묘사하는 기술적 브랜드 수식어를 사용한 브랜드 이름으로 제품을 출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브랜드 수식어 관련 연구는 '비타천 Plus','진라면 순한맛'과 같이 수직적, 수평적 차이를 나타내는 브랜드 수식어 효과에 한정된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품의 특징을 묘사하는 기술적 브랜드 수식어를 품질 단서의 높고, 낮음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품질 시그널링 그리고 구체적, 추상적 언어적 표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정보성격의 항목으로 브랜드 수식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였고 효과차이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브랜드 수식어의 품질 시그널링 정도가 높을 때, 구체적 정보 성격의 브랜드 수식어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 수식어의 품질 시그널링 정도가 낮을 때, 추상적 정보 성격의 브랜드 수식어의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술적 브랜드 수식어는 세부항목에 따라 구매 효과에 있어 서로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기술적 특징을 지닌 브랜드 수식어를 품질시그널링, 정보성격 기준으로 분류해 봄으로서 기존의 브랜드 수식어 연구를 확장 시켰다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최근 시장 내 다양한 브랜드 이름을 지닌 제품의 선전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브랜드 수식어 정보에 따른 효과 차이를 통해 마케터가 최적의 브랜드 이름을 개발하는데 공헌을 할 것임에 시사점이 있다. 주제어: 브랜드 수식어, 품질 시그널링, 정보성격, 관여도.

      • 교원이 지각한 특수학교장의 리더십과 지식경영 및 조직문화 간의 관계 분석

        김희연 건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문초록: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choo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influences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It aims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consider to improve the roles and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in the age of information. The research-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chool leadership of principals perceived by colleagues teachers according to variables from teachers' situations such as their positions, types of schools, locations, types of disabilities and so on?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information management of principals according to variables from teachers' situations such as their positions, types of schools, locations, types of disabilities and so on?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chool organizations perceived by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types of schools, locations, types of disabilities and so on? Fourth,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ncipal's leadership and his or her levels of information management? La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To approach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definitions of a principal's leadership, information management of a principal,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in special schools were made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ncipal's leadership,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was theoretically defined.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questionnaires about a leadership,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were made to test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questions. Through the first preliminary research, the credibi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In the successive main study, among 5,545 teachers who are working in special schools from all over the nation, 1,450 pieces of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50 teachers from national special schools, 500 teachers from municipal special schools, and 800 teachers from private special schools. However, 148 from national schools, 486 from municipal schools, and 740 from private schools replied. Among these respondents, 140 from national schools, 471 from municipal schools, and 729 from private schools were subjects for the study.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a principal's information management,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r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 multivariate analysis was adopted. Also a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hip of a princip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among facto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o the leadership of a principal, if a principal in special schools is in higher positions, working in more than middle-sized cities, he or she tends to give more confidence to colleague teachers with the innovative leadership of trusting colleagues. Principals in national special schools use the exchangeable leadership using compensations and exceptions. Second, principals in national special schools have higher rates of information management, which acquires, produces, accumulates knowledge and makes a database for managing knowledge for better uses for the future. Also they have tendency to lead their school's organizational culture by adopting various learning methods such as teamwork, and individual works, and by facing the changes of information. Third, if a special school is privately run, and if the position is a vice principal, he or she ha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ir school. Intrinsic cultures, such as values, beliefs, or ideologies among members, and expressive cultures, such as school events, human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ceremonies, are found in private special schools more than in other national or municipal special schools. Fourth,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ate of information management turns out higher when the leadership of a principal in special schools is higher. Therefore, a principal in special schools should develop his or her leadership appropriate to the situations of special schools to make information management positive. Fifth, the innovative, exchangeable leadership of which a principal trusts on colleague teachers, gives confidence, and promises relevant compensations, can make the culture of a school organization positive. In other words, the prediction rate regarding how a leadership influences the inherent organizational culture turns out 33% and the prediction rate about how a leadership predicts an expressive culture is 36%, which is high.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To summarize, when a principal in special schools gives each member relevant intellectual stimulus, personal considerations, right compensations upon efforts, and the management of exceptions considering each member's situations, members in an organization will take their active parts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a principal and a variety of school events, and positive working attitudes to have close collaborations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should develop their competent leadership to mak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ir school more positive

      • 매체와 MPR 전술의 풍요도 및 커뮤니케이션 속성에 관한 연구 : 광고PR 및 마케팅 실무자를 대상으로

        김희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PR의 환경변화는 한정된 예산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목표 공중에게 정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실무자들이 어떤 매체를 선택하고, 어떤 MPR 전술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MPR 환경에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매체와 MPR 전술이 무엇인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무자들은 소비자들과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있기 때문에 매체 및 MPR 전술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실무자들이 소비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할 때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매체 및 MPR 전술의 속성이 전반적으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매체와 MPR 전술의 풍요도를 각각 측정한 이유는, 실무자들이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할 때 각각의 풍요도 속성을 확인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너지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MPR 전술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고, 푸쉬전략과 풀전략의 풍요도 및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푸쉬매체와 풀매체의 풍요도, 푸쉬전술과 풀전술의 풍요도, 푸쉬전술과 풀전술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전통적인 매체와 뉴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풍요도 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매체 중 TV는 지상파 TV와 케이블TV에서 ‘다양한 단서’의 풍요도 속성이 높았고, 신문은 ‘자세한 설명’의 풍요도 속성이 높았다. 뉴미디어는 전체적인 매체 풍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빠른 피드백’ 속성에 대해서는 뉴미디어가 전통매체보다 풍요도가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는 컸다. 따라서 실무자들은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할 때 각각의 풍요도 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체를 하나만 선택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매체를 혼합해 크로스미디어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통적인 MPR 전술 뿐 아니라 온라인 중심의 MPR까지 세분화하여 각각의 풍요도를 살펴본 것은 한정된 예산에서 PR 및 마케팅 효과를 높이는 데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를 현장 이벤트와 온라인 이벤트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현장 이벤트는 현장에 있는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온라인 이벤트는 장소, 시간에 제약이 없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풍요도가 높은 현장 이벤트와 온라인 이벤트의 MPR 전술을 함께 진행하면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획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참여, 공유, 전달이 가능한 현장 이벤트, 온라인 리뷰, 온라인 동영상에서 MPR 전술의 풍요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MPR 전술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에 관한 연구는 소비자 대상으로 MPR을 기획할 때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전달력’에는 보도자료, ‘새로운 이미지 창조’에는 온라인 동영상, ‘태도 유지 및 변화’에는 온라인 리뷰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푸쉬매체와 풀매체의 풍요도 인식을 조사한 결과, 매체 풍요도 속성 다섯 가지에서 풀매체가 푸쉬매체보다 모두 높았다. 특히, ‘즉각적인 피드백’ 속성에 대해서는 풀매체와 푸쉬매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푸쉬전술과 풀전술의 풍요도에 대한 조사결과에서도 풀전술이 푸쉬전술보다 풍요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푸쉬전술과 풀전술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에 대해서는 ‘이성보다 감성에 호소한다’, ‘정보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다’, ‘직접적인 행동을 촉진한다’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체 및 MPR 전술의 풍요도가 높다는 것은 각각의 속성이 얼마나 풍부한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무자들은 MPR 전략을 기획할 때 각각의 풍요도 속성과 함께 MPR의 환경적인 부분까지 세부적으로 고려해야 소비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이 가능할 것이다. The change of MPR environment is affecting on the efficient selection of media and MPR tactics with the limited budgets within the fixed period in order to deliver the proper message to the targeted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dia and MPR tactics for practitioners for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s with consumers under the drastically changing MPR environment. practitioners ful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media and MPR tactics because they are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Therefore, the net result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meaningful due to the reflec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MPR tactics, which are being used by practitioners for communication. The reason of measuring the richness of Media and MPR tactics 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for synerg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ichness when practitioners communicate with consumers. Furthermore, this study includes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target of tactics, and the richness of push and pull strategy, and also reviews the richness of push and pull media, the richness of push and pull tactics, the communication target of push and pull tactics for understanding communication targe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richness for efficiently utilizing traditional media and new media. Among the traditional media, Terrestrial TV and Cable TV have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clue’, newspaper has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detailed explanation’. In case of new media, on the whole, it has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media richness. Especially, in case of the characteristics of ‘quick feedback’, new media shows more stronger characteristics than traditional media and makes big differences. So, in this situation, practitioners can choose one media or a couple of media as a cross-media for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ichness when they communicate with consumers. Second, this research will be informative for practitioners to increase for the effectiveness of PR or marketing with a limited budget by presenting each richness after departmentalizing not only the traditional MPR but also online-oriented MPR. In this research, I reviewed on-site event and online event. In on-site event, all the consumers on that site can be researched, but there are no limitations such as place and time in online event. So, it is necessary for hands-on staff to establish the planning to make synergy by using MPR tactics of on-site and online event with the strong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research, in-site event, online review, online video, which have the propensities of participation, sharing, delivery, have the strong richness of MPR tactics. Third, I recognized three important points. In case of the power of information delivery, press release is effective, in case of creating new image, video file is effective, in case of maintaining attitude and change, online review is effective. These results are helpful for practitioners to plan MPR. After the research of the perception of push and pull media richness, I found that full media has more stronger than push media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s of richness. Especially,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full media and push media in terms of ‘quick feedback’ In the research of the richness of push and pull tactics, full tactics has more stronger characteristics than push tactics in generally. Finally, from this study, I would like to advise that practitioners have to consider not only detailed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environment of MPR to establish the efficient MPR strategy in order to deliver the effective message to the consumers.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김희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들의 수업 중 시지각의 발달의 지체로 다른 학습 과정을 더 이상 진행 할 수 없음이 관찰되어 본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정의와 원인, 특성을 알아보고, 시지각에 대한 고찰 후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의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에 스토리텔링을 결합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들을 문헌고찰이나 선행 연구로 알아본 후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가 지적장애 아동들에게 맞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아동이 주어진 활동을 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1차시는 기초 도형이야기 프로그램으로 이야기의 제목은‘세모, 네모, 동그라미 마을’이다. 색채를 줄이고 기초 도형인 동그라미 세모 네모만을 등장시켜 아동들의 기초 도형인식을 위한 차시이다. 2차시는 동물이야기 프로그램으로 제목은‘순서대로 줄 줄 줄’로 여러 동물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아동들이 동물의 이름을 알고 인식하는 차시이다. 3차시 이솝이야기 프로그램(1)으로‘바람과 해님의 내기’를 통한 프로그램, 4차시는 이솝이야기 프로그램(2)으로 ‘멋 부리는 까마귀’를 통한 프로그램으로 3차시와 4차시는 아동들이 잘 알고 있는 이솝이야기를 시지각 프로그램과 접목 시킨 것으로 알고 있는 이야기 통하여 동기유발을 시키고, 프로그램을 진행시켜 나가는데 자신감과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5차시는 장애 대한 이야기 프로그램으로 제목은‘다른 건 이상한 게 아니란다.’는 대장병아리와 다리가 하나뿐인 병아리가 등장하여, 장애아동을 놀리거나 차별하지 말자는 교훈을 담은 이야기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들에게 시지각 훈련을 시킴으로 시지각을 향상시켜, 학습능력 향상시키고, 일상생활 능력과 자존감 키워주는데 조금이라도 실질적인 도움의 장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하지만 이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에 제한하여 앞으로 이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적 효과검증을 필요로 한다. 추후 이 프로그램의 실제적 효과 검증하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며, 일회성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수정과 보완을 거쳐 더 좋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한다면, 지적장애 아동들의 시지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 20대 미혼남녀의 가정폭력경험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폭력허용도와 파트너 통제의 매개효과

        김희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대 미혼남녀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폭력허용도와 파트너 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부산, 기타 지역의 20대 성인남녀 408명(남자 162명, 여자 246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노출경험, 폭력허용도, 파트너 통제, 데이트 폭력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초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파트너 통제를 매개하여 데이트 폭력 가해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폭력허용도를 매개하여 데이트 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폭력허용도와 파트너 통제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데이트 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20대 미혼남녀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구체적인 기제를 설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데이트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폭력허용도와 파트너 통제를 약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on dating viol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acceptability of violence and partner control. For this purpose, 408 men and women in their 20s (162 men and 246 women) in Seoul, Gyeonggi, Busan and other regions were surveyed using to Conflict Tactic Scale2,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Justification of Violence Scale and Appraisal of Partner Control Scale. For collected data analysis, Basic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 double mediated effect was confirmed by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positively effected on dating violence. Secondly,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mediated partner control and indirectly affected dating violence. Third, acceptability of violence and partner control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between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Fourth,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mediated acceptability of violence and indirectly affected dating violence.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explain the specific mechanism by which the exposure of domestic violence to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ffects dating violence. It also suggests that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acceptability of violence and control of your partner to prevent dating violence.

      • 동양화 육법론(六法論)을 바탕으로 한 미술 감상·비평 교육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우리나라의 전통회화를 중심으로

        김희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는 다양한 생활문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의식의 변화와 문화적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창의적 정서를 가진 인간교육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도가 필수적이며 한국적인 것 전통적인 것에 대한 이해는 더욱 필수적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안의 미술과의 중점 사항 가운데서도 감상 교육과 전통미술 교육이 강조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술 감상 지도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문답형 감상 학습, 비평형 감상 학습, 통합형 감상 학습, 역사적 감상 학습, 토론법, 관찰법, 모의 미술관법, 제작법, 작문법, 펠드만의 미술작품 비평 감상학습 등이 있다. 또한 최근 미술과 수업에 ICT교육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컴퓨터나 인터넷을 통한 미술 감상 지도 방법도 많이 활용 되고 있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 단원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감상,비평 지도방법은 펠드만의 단계적 미술작품 비평 감상학습이다. 하지만 펠드만의 감상 4단계를 활용한 감상 활동은 동양의 전통미술이 가지고 있는 미의식과 작품에 깃들여 있는 정신성 등 전통미술의 독특한 특성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을 준다. 그러므로 전통회화를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록되어 있는 전통미술 도판을 위주로 고화(古畵)의 비평기준을 실어놓은 사혁의 『고화품록(枯花品綠)』에 수록된 육법론(六法論)이론을 적용하여 감상하는 기준을 제시하여 전통회화의 새로운 감상법을 통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두고 있다. 사혁의 육법론(六法論)은 그가 화가 생활을 실천적 경험을 얻은 것을 토대로 중국 회화 발생 이후 그때까지 형성된 중국 화단의 여러 작품을 계통적으로 총정리하고 과학적 논법으로 분석하여 저술한 『고화품록(枯花品綠)의 중심 내용이다. 그의 화품론은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현재도 그의 방법론은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회화창작에서 요구되는 예술성을 계통적으로 지적해 냄으로써 창작 또는 평론상으로 작품에 대한 우열을 가리는 기준이 되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동양회화이론 중 가히 시조라 할 수 있는 육법론(六法論)을 사용하여 전통미술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교육 지도안을 학교 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미술을 육법론(六法論)을 바탕으로 감상, 비평하여 전통적인 미학, 회화의 특성을 알게 하고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며 우리 미술을 보는 눈을 길러 줄 수 있도록 학생들의 흥미와 표현의 욕구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학습 방향과 효과적인 감상 지도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서론>에서는 우선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으며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을 결정하였다. <본론> 에서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육법론(六法論)에 대한 개념과 그 내용인 6가지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의 전통회화를 분석해 보고 두 가지를 통합하여 실제 전통미술 감상·비평 교육 수업의 실제에 활용하여 보았다. <결론>에서는 육법론(六法論)을 바탕으로 한 미술 감상·비평 교육지도에 대한 수업의 장·단점과 지향점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동양의 전통 미학사상을 바탕으로 한 육법론(六法論) 감상·비평 수업을 통하여 전통미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상하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감정이입과 더불어 객관적인 연구, 자유로운 사고 등의 확장되며 미술비평의 새로운 장을 마련하는 것에 대하여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It is necessary to have the education for human beings with the emotion of creativity to accept the new conscience change and cultural needs as well as to have the adaptability in various living cultures in the 21st century. It is essential to have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eachers and the active teaching for such aspects and mo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s. It is true that the education of appreciation and education of traditional art among the focal points in the faculty of art among the 7th curriculum plans which are currently enforced. There might be various ways in the teaching of art appreci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chool sites, including the appreciation learning in question and answer, appreciation learning of criticism, integrated appreciation learning, historical appreciation learning, discussion approach, observation method, simulated art gallery method, production method, composition method, Feldman's critic appreciation learning for art works, etc. In addition, the appreciation teaching methods for art are applied in many cases through computers or Internet with the active utilization of ICT education recently in the classes of art. As a result of analyzing sections of appreciation in the art textbooks for high schools currently used in the school site, the most widely used teaching method i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is Feldman's critic appreciation learning of art works by stage. However, However, the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the four stages of appreciation by Feldman have difficulties in making students understood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such as the nature of spirits penetrated in the works as well as the aesthetic conscience kept in the Oriental traditional art. Consequently, the method to appreciate our traditional painting in the best effective way was studied. This study aims at underlying the right understanding through a new method of appreciation for our traditional paintings by suggesting standards on the appreciation by applying six-method theory written in Hyuk Sah's 『Gohwopumrok (Records on Comments of Barren Flowers)』 to contain the critic criteria of old paintings around the traditional art drawing board, which is carried on the text book of high school. The six-method theory by Hyuk Sah is the central contexts of 『Gohwopumrok』 written from entirely arranging various works of Chinese painters organizations by origin which had been formed until his times since the beginning of Chinese painting and analyzing them in a scientific methodology, based on his practical experience through his life as a painter. His critic theory of paintings much affected this descendants and his methodology is highly valued even in the current times, and became the criteria to decide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works on the creation or criticism by pointing out the nature of art required in the creation of painting in terms of origin. We can here use the teaching instructions having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our traditional art by using the six-method theory to be the father of Oriental painting theory among others in the school sit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effective directions of appreciation teaching as well as the learning directions to increase the interests and expression needs of students enough to provide the vision to appreciate our art with higher self-confidence toward our traditions while students understand our traditional aesthetics and paintings by having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based on the six-method theory for our traditional art. The <Preface> in this study first clarified the objectives and needs of research along with determining the study methods and restrictions. The <Main Discussions> in this study provides the concept of six-method theory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ix characteristics for its contents, while giving the practical utilization in the clas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training for the traditional art in the real world by combining the two aspects through analyzing the traditional paintings in the art textbook for high schools.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consider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long with the encouraging points for the classes i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aching of art based on the six-method theor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reparing new chapters in the art criticism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objective research and free thoughts in addition to the voluntary empathy of students, as well as having more effective appreciation for our traditional art through having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with the six-method theory based on our Oriental aesthetic thoughts.

      • 기업 입지 유형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김희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is to differentiate the location types of IT & BT companies in Jeju agglomeration and non-concentrated areas to analyze and compare its productivity to add on the explanation of the external effect on industrial agglomeration. In addition, to find the main factor that effects productivity improvement to establish an efficient local policy for corporate productivity improvement, industry vitaliza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Jeju. The analyzed targets for this study are 78 individual IT & BT corporate within Jeju in 2009 that fits the condition that it does not have missing data on any variables etc. Out of 78 corporate it is differentiated by 34 agglomeration corporate and 44 non-concentrated areas corporate where companies that are located within Jeju Science Park and Jeju Techno Park are agglomeration corporate and the rest are non-concentrated areas corporate. As for the study method, by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production function was estimated by setting up dummy variables that presents labor, capital and corporate location types that was the foundation to estimat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by corporate location type. An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decis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such as corporate age, corporate size, whether there is study development spending, whether it is relevant to IT industry etc were selected for explanatory variables to analyze the decision main factor. StataSE 10.0 program was used for the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etc quantitative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estimated production function, it was possible to anticipate that when the number of employees or tangible fixed assets increases the corporate sales will increase. And by having similar industry companies to locate within the same area there is a sales increase effect. By subdividing all the variables with the estimated production function and compa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by selecting the comparable targets for agglomeration and non-concentrated areas corporate, concentrated areas showed a higher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the end, it was analyzed that the IT & BT companies in Jeju during 2009 that were located in agglomeration has a higher productivity.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main factors that decid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small in size and old corporate are predict to have a more efficient productivity. In this study, cross-section data was used as building time series data was inadequate and in analyzing the main factors for results, there weren’t many variables to use as the variables that are expected to effect corporate productivity were not used, there were limited individual corporate data. In the future, on setting up the model, to analyz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that reflect the size of economy and overcome the study limit after building the time series data through the same study we will leave it as an assignment to gain stronger cred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