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사과 독서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김영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수행평가가 다양한 능력이나 기술을 측정할 수 있다면 수행평가에 의한 학습자들의 점수는 의도한 능력과 기술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항상 수행평가라는 용어 자체가 곧 ‘타당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수행평가의 과제는 선택형 검사의 문항에 비해 고등정신 능력을 더 타당하게 측정하고, 실생활에 더 가까우며, 학생들에게 정보를 종합하고 어떠한 것을 산출해 내도록 요구하여, 최종 산출물뿐 아니라 그 과정까지도 평가한다고 주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들은 증거를 가지고 지지되어야 한다. 즉 선택형 위주의 성취도 검사에 비해서 새로운 검사의 형태가 어떤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주장되어도 일정한 측정학적인 준거들을 충족해야 하며, 이것은 모든 형태의 측정이 갖추어야 할 상식에 속한다. 수행평가 또한 학습자의 능력을 측정하고자 고안된 도구이기 때문에 모든 형태의 측정이 갖추어야 할 준거를 충족해야 한다. 증거를 제시하지 않은 수행평가의 장점을 그대로 신뢰할 수는 없을 뿐 아니라 수행평가가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졌다고 해서 학습자의 복잡한 능력이나 기술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사수행평가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는 독서수행평가의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개념의 타당도 중에서 공인타당도에 근거하여 선다형 지필평가인 중간고사 점수를 준거로 2가지 가설을 세워보았다. 첫째, 국사수행평가의 타당도는 범위가 넓고 주제가 다양한 과제보다는 국사과 교육과정에 좁고 세세한 관련이 있을 때 타당도가 높다는 가설이다. 이를 위해 국사단원목표에 근거하여 구조화시킨 독서수행평가의 경우 지필평가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지만 광범위하게 역사를 인식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경우는 지필평가와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난다는 가설이다. 이를 위해 수행평가와 가장 근접하게 실시하는 중간고사 점수를 준거점수로 하여 독서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평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공인 타당도를 확인해 볼 것이다. 둘째, 독서수행평가 실시 이후 독서수행평가의 성적을 상, 중, 하의 세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상’그룹의 학생들이 수행평가와 관련 있는 지필평가문항의 정답률이 높게 나올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를 위해 중간고사와 상관관계가 높은 독서수행평가를 충실히 수행해서 높은 점수를 받은 ‘상’그룹의 학생들의 독서수행평가 관련 4문항에 대한 정답률 분석을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볼 것이다. 구체적으로 독서수행평가를 기존의 보고서법의 형태와 결합하여 실시방법과 채점기준을 마련하여 평가를 실시하였고, 여기서 얻어진 결과 점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반별분포, 독서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점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독서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두 평가의 합산점수 및 중간고사의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독서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평가의 중간고사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독서수행평가 성적을 ‘상’, ‘중’, ‘하’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독서수행평가와 관련하여 출제한 중간고사의 4문항에 대해서 그룹에 따라 수행평가가 반영된 중간고사 4문항의 정답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해 카이검증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독서수행평가와 중간고사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서수행평가 점수와 선다형 지필고사인 중간고사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양의 상관을 보여(r=0.723, p<.001), 독서수행평가는 수행평가로서의 공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독서수행평가가 학습목표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그 과정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학생들이 관련도서를 통해 확인하고 주어진 제시문항에 따라 체계적으로 역사적 사실을 접하고 이해해나가는 과정을 수행했고, 관련 내용이 중간고사에서 같은 범위로 다루어져서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즉,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세부적이고 좁게 단원에 밀접한 과제를 설정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포트폴리오 평가와 선다형 지필평가인 중간고사의 상관관계는 다소 낮은 양의 상관(r=0.264, p<.001)을 보였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의 성실한 노력을 점검하는 수행평가로서 이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어느 정도 다른 요소들(성실성, 인내심, 표현력, 시간관리능력)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역사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로 단원에 근접하기 보다는 넓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과제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독서수행평가점수가 높은 상위그룹 아이들이 중간고사에서 독서수행평가 관련문항 정답률이 높았고, 독서평가점수가 낮은 하위그룹 아이들이 관련문항 정답률이 낮은 결과가 나왔다. 독서수행평가 이후 단원의 내용을 잘 이해했기 때문에 중간고사에 영향력을 주어 평가 문제를 잘 풀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행평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수행평가의 타당도에 관한 기본 자료들이 많이 축적되기 위해 많은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타당성을 입증 받은 많은 수행평가 방안들이 보급되어 실제 학교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년ㆍ교과ㆍ단원별 평가기준과 방법이 만들어져야 하며, 아울러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 및 결과 분석 방법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연구한 독서수행평가가 타당성을 갖게 된 것은 타당성을 갖기 위한 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행평가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때에는 교육과정과 교육목표에 의거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전주 일부지역 중학생의 영양교육에 의한 간식섭취 변화 : 교육군과 비교육군을 중심으로

        김영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nutrition knowledge, snack intake attitude and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The subjects who were 140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ed group 70, non-educated group 70) in Jeonju city. After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estion items that are “How many days do you eat the evening meal for one week?”(p<0.001) and “Is it regular to eat the evening meal?”(p<0.001) and “How speed do you eat a breakfast?”(p<0.05). In Snack intake actual con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 item that is “How often do you eat a snack for a day?”(p<0.05). In Snack intake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estion items that are “What is a standard when you select a snack?”(p<0.05) and “What have you see among contents in wrapping paper when you buy a snack?”(p<0.01). In snack prefer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noodle’(p<0.05), ‘milk and dairy products’(p<0.05), ‘fast-food’(p< 0.05). In nutrition knowledge sc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selection of a highly nutritious snack’(p<0.001), ‘selection of a snack good a bone’(p<0.01), ‘selection of a anticancer effect food’(p<0.01), ‘selection of a nutrient that produce a calorie the most’(p<0.01), ‘function of carbohydrate’(p<0.001), ‘function of protein’(p<0.001), ‘function of mineral’(p<0.05), ‘function of vitamin’(p<0.001). In snack intake frequ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y of ‘bread’(p<0.01), ‘noodle’(p<0.05), ‘fruit and fruit juice’(p<0.05), ‘fast-food’(p<0.001), ‘food made from flour’(p<0.05), ‘soft drink’(p<0.05), ‘cereal’(p<0.05), ‘jerked beef’(p<0.01). In nutrient intake by snack,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intakes of plant calcium, carotene, vitaminE(p<0.05) and vitaminB6, folate(p<0.01) and fiber, potassium, vitaminC(p<0.001). In the evaluation of snack intake by 15% of KDRI,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energy(p<0.01), fiber(p<0.001), vitaminE(p<0.001), vitaminB1(p<0.05), vitaminC(p<0.001), folate(p<0.05), calcium(p<0.01).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effective and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get into a habits of healthy snack intake.

      • <춘향전> 수업방안 고찰 : 모둠별 토의학습을 중심으로

        김영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춘향전은 판소리 춘향가로부터 기원한 유명한 판소리계 소설이다. 특히 드라마, 영화, 오페라, 뮤지컬, 시, 소설 등 다양하게 변형된 모습으로 누구나 그 줄거리를 알고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판소리가 우리 민족이 세계에 자랑할 만한 고유한 민족 문화인데 반해 중, 고등학교 교수- 학습 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학적인 성격과 음악적 성격을 둘 다 가지고 있는 춘향전을 어떻게 하면 재미있게 구성하여 교수-학습 할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국어과 내에서의 통합교육의 방식으로 국어의 교육과정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 영역과 매체 활용에 의한 보기 영역을 통합한 학습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춘향전의 교수-학습 과정을 4차시로 구성하였다. 판소리와 소설은 매우 유사하다고도 볼 수 있지만 다른 점이 많이 있다. 학생들에게 판소리계 소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여러 사항들을 구성하여 교수 -학습해야 한다. 1차시는 영화 춘향전과 소설 춘향전을 비교한 후,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을 찾아보는 활동이다.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과정에 대해 설명한 후, 조별로 찾아온 근원설화를 발표한다. 2차시는 인물의 발화와 행동을 고려하여 특징을 파악한 후 현대판 춘향전으로 각색해 본다. 3차시는 판소리 장단에 대해 조사하고 장단을 살려 춘향전을 읽어본 뒤 다양한 변형 양상을 가지는 춘향전의 이본을 찾아본다 마지막 4차시는 갈등 구조 파악을 통해 주제를 찾아보고 인물의 처지에 대해 이해하고 바꿔 말하는 활동을 해본다. 학습자 중심의 고전 소설 수업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보다 중요한 것은 학습자의 역할이 아니라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아야한다. 수업에 대한 교사의 철저한 준비와 노력 없이 수업의 효과를 보장할 수 없다. 춘향전은 역사적으로, 정신적으로 매우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며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교수-학습 자료로 고전문학을 이해시키는데도 더없이 훌륭한 작품이며 한국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힘이 길러질 것이다. 학생들이 판소리계 소설이 가지는 미학적 가치를 찾고, 문화적인 소양이 향상되기를 바라며, 스스로 판소리계 소설이 가지는 가치를 평가해보고 함께 토의하며 학습하는 능력을 길렀음 하는 바람이다. 더하여 선생님과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함께 수업을 진행할 때 수업의 질이 더욱 향상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Chunhyangjeon is a famous Pansori novel originated from Pansori Chunhyangga. A lot of people have enjoyed this novel and it has been variously adapted for drama, movies, operas, musicals, and poems. While Pansori is a unique national culture worthy of being boasted to the world, it has many problems when taught and learned in the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lthough Pansori and a novel are very alike, they have many different things each other. Therefore, teachers of Korean should teach students with material which can help them understand Pansori novels. Then, how can we make the procedure of teaching and learning Chunhyangjeon,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literature and music, interesting? This thesis suggests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focuses on the method of teaching that integrates the four area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n with an area of viewing through the usage of multimedia. The lesson plan introduced here consists of 4 periods. A teacher asks student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novels after comparing the movie of Chunhyangjeon and the novel of Chunhyangjeon, expla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Pansori novels, and present the traditional tale of Chunhyangjeon in the first period. Then they adapt the novel of Chunhyangjeon for a modern novel version after figuring out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f Chunhyangjeon in consideration of their utterances and behaviours in the second period. And they go through the rhythms of Pansori, read the novel of Chunhyangjeon to the rhythms, and introduce many different versions of Chunhyangjeon in the third period. Lastly, they try to find a theme of Chunhyangjeon through figuring out the structure of conflict and role-play in the fourth period. We should know what counts most in order to run a learner-centered class of classic novel is not the role of learners but the role of a teacher. The effect of classes is not guaranteed without a teacher's thorough preparation and efforts for classes. Chunhyangjeon has been loved by so many people and is an invaluable cultural legacy both historically and mentally. It is a great sourc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for understanding classic works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for rais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traditional Korean culture. I hope students will find the aesthetic value of Pansori novels and improve their cultural knowledge along with the ability to learn and discuss them and evaluate its value. I am certain that quality of class will improve much more when a teacher and students take part in class with interest.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영아 창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effect of the positive action support with the cooper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s of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ies. Three children were selected through interviews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Through a function evaluation, the problematic behaviors were classified as disruptive, self-stimulation, or aggressive behaviors as the goals and the social interactions were selected as the social initiation behaviors and the social response behaviors. The experiment occurred in the classroom of the specialized schools that they are enrolled and the homes for 57 sessions with 4 sessions every week in the electives periods at school for baseline, intervention, and the maintenance as well as the 18 sessions with 3 sessions weekly at home for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fter the child has been accustomed to the interventions at school. According to the 3 problematic behaviors and 2 social interaction goals, multiple probe baselines design across subject was used. The study results measured the change rates of the social interactions and the problems actions examined the disruptive behaviors, self-stimulation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for the changes, and the two observers examined the goal behaviors with recorded videos for a visual analysis of the changes throughout the session with tables and graphs. In addition, the subcategorical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language and physical to measure the changes of the occurrence in each session to find trends in behavior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behavior occurrences for each child, all three children showed a reduction in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increase of the social interactions. At baseline, the problematic behaviors occurred highly without almost any social interactions, but the intervention caused the reduction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increase of the social interactions that gradually increased with additional intervention.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was maintained at a lower level in the maintenance period than the average of the 5 sessions in the middle of the sessions.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all three actions decreased consistent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behaviors in the maintenance levels were maintained at slightly higher or similar levels when compared to the 5thsession after the intervention. After the home intervention, the reduction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became even more prominent, which showed tha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behavior problems. When the behaviors were analyzed for the language and physical expressions, the disruptive behaviors were more quickly reduced with languages than physical outburst and the self-mutilating behaviors were more reduced in the physical aspect as the social interactions continued. The aggressive behaviors did not contain languages at baselin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physical expression disappeared before the other behaviors towards the peers and the others. As the behavior problems reduced, the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The social interactions rapid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with a steady rate in the later pats and the maintenance phase showed lower or similar levels than the last 5 sessions of the intervention. The subcategory of the social interactions showed that the social initiation behaviors or social response behaviors were almost non-existent at baseline. After the intervention, the social initiation behaviors started to increase, which also increased the social response behaviors. The maintenance phase showed the individual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last 5 sessions, where slightly low but still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entire intervention e sessions. In the case of child C, the social interactions increased in the maintenance phase than the later parts of the sessions. The social response behaviors increased more than the socially initiation behaviors. After the stage of home intervention, the social interactions increased even more, which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parent-teacher collaboration were maintained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기격려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

        김영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their self-encouragement, and their learning flow.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as follows: First, is their any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level of adolescent's self-encouragement? Second, is their any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Third, is their any difference in self-encourag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5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Cheongju City and Chungju City, Chung-buk Province. A questionnaire to measure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their self-encouragement, and their learning flow was administered to them.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t-tests using SPSS 1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group in adolescent's self-encouragement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learning flow than the lower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group in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learning flow than the lower group.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group in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self-encouragement than the low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self-encouragement are important for enhancing their learning flow, and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is important for enhancing their self-encouragement.

      • EFL 학습자의 논증에세이에서 나타난 결속요소에 관한 분석

        김영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cohes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assessing essays, it has not been emphasized in comparison with content and organization of writ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EFL students' writing by investigating the frequency and the patterns of use of cohesive devices. A total of 57 argumentative essays from 19 EFL students enrolled in a content-based English course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students' compositions was analyzed according to Halliday and Hasan's (1994, 1976) taxonomy and framework. Reference, conjunction, and lexical devices were identified and coun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ohesive devices used in EFL students' writing and the quality of compositions, students' composition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ale used for the TOEFL Writing Test, and the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s of highly-rated and poorly-rated compositions. Finally, to find common features, patterns of use of cohesive devices in composi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data indicate that the students used a variety of cohesive devices and that lexical devices wer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reference and conjunction devices. The quality of writing was co-varied with the number of lexical devices and the total number of cohesive devices used in students' writ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ly-rated and poorly-rated compositions in the frequency of use of reference devices and the total number of cohesive devices. Some common patterns were identified in EFL students' writing such as overuse, underuse, and misuse of cohesive devices. Although cohesive devices were analyzed in argumentative writing produced by EFL learners in this study, these result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reading courses as well as writing courses. If learners understand cohesive features, when they write or read something, the text achieves consistency and unity and they will improve accuracy and efficacy in understanding text. The total participants were 19 students and the essay topics were related to the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he subjects, the topics, and the type of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were limited and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writing courses. In future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types of writing and the quality of writing should be further explored and more data should be collected to produce more reliable results in this field of study. 본 연구는 학생들의 에세이에서 결속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사용 빈도와 분포 경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결속요소는 에세이의 점수를 매길 때 여러 가지 평가 항목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에세이를 평가할 때, 결속요소는 글의 내용이나 글의 조직보다는 강조가 되지 않는 항목이다. 글의 전반적인 질과 결속성과는 어떤 상관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먼저, 한 학기동안 영어 교직 과목에 대한 수업을 받는 영문과 학부생들과 영어를 복수전공하거나 부전공으로 하는 몇 명의 학생들이 포함된 19명의 학생들이 14개의 에세이 질문 중에서 3개를 골라서 제출한 총 57개의 글을 수집하였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면서 에세이 채점을 다년간 해 온 원어민 화자 3명에게 PBT Writing Scoring Guide에 근거해서 글쓰기점수를 매기도록 의뢰하였다. 그런 후에 학생들의 작문에 나타난 결속장치를 조사했다. Halliday와 Hasan (1994; 1976)의 결속체계를 준거로 했으며, 말하기에서 주로 나타나는 대치와 생략에 관한 분석은 고려하지 않았고, 대용, 접속 그리고 어휘적 결속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다양한 결속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어휘적 결속장치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고, 접속장치가 가장 적게 쓰였다. 결속장치 중에서 어휘적 결속, 그리고 총 사용된 결속장치의 개수는 글의 질과 약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에세이의 점수가 높으면 어휘적 결속장치의 수가 에세이 점수가 낮을 때보다 약간 더 많음을 보여줬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글과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글의 결속장치 사용을 분석했을 때 대용의 사용에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어휘적 결속은 내용중심의 교직과목이라서 교육에 관련된 어휘가 고르게 쓰였다. 상·하위권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어휘의 반복이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가 에세이 쓰기에서 결속장치에 대한 분석을 했지만, 여기에 나타난 통계적 결과와 학생들의 글쓰기 패턴의 분석 결과는 글쓰기 학습법뿐만 아니라 영어독해학습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 학습자들이 텍스트의 결속장치와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식별한다면 어떤 글을 읽을 때와 글을 쓰는데 문장이나 텍스트가 일관성과 통일성을 이루어 텍스트 이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19명이고 논증에세이 주제도 교직교과로 한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위 결과를 한국인 학습자들이 논증에세이에서 보여주는 결속요소로 일반화를 시킬 수 없다. 다음에는 더 많은 연구대상자들과 보다 일반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는 글쓰기에서 결속요소에 대한 분석을 하게 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논증 에세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글의 종류에 나타난 결속요소 분석도 하도록 하겠다.

      • 현실적 수학교육(RME)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 - 삼각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

        김영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Freudenthal의 현실적 수학교육(RME)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과정을 연구하여 생활 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의 여러 가지 현상을 학습 소재로 하여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도입하고 구체적인 조작 활동과 탐구 활동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개념, 원리, 법칙을 발견하게 하고자 함. 특히 다양한 실생활 분야에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도구인 삼각함수를 중심으로 교과지도방안을 모색함. RME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습이 학생들의 현실 상황을 반영하여 학생들과 밀접한 생활 문제를 다루며,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고 가르치고 배우는 학생들간, 학생과 교사간 상호 작용을 통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해결방법을 찾아냄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음.

      • 발생확률추정을 위한 계층적포아송모형에 관한 연구

        김영아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consider a Bayesian procedure for estimating incident probability estimation. This is done by considering a hierarchical poisson model that has been mostly used to figure out the disease mortality rate in medical field. For the analysis, we used Metropolis-Hastings and Gibbs sampler algorithm for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These methods allow us to draw inferences from a complex posterior distribution of the model by simulating a Markov Chain which has the posterior distribution as stationary distribution. As an example, we compared the actually observed rainfall rate with its estimator from hierarchical poisson model based on a data obtained from Mokpo, Heuksando, Jindo, Gwangju, Wando, Yeosu, Haenam, Jangheung.

      • 농촌 관광지에 대한 지역주민과 지역관광사업자의 지각, 태도, 기대행위 차이

        김영아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sessing local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including local residents in the field of tourism development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reating the value of tourism development (Sheldon and Abenoja, 2001). In particular,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sector and participation among each stakeholder are being emphasized in order for tourism development to lead to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Yoon Yang-soo, 2001).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local residents in tourism development is an important topic being studied continuously by scholars (Choi and Sirkyay, 2011; Anderek andVogt, 2000; Ribiero et al., 2004; Yang Sung-soo et al., 2009; Ko Dong-wan, 1998) and the role of local residents in the establishment of tourism policy and community(Vargas-Sánchez et al., 2011; Lankford and Howard, 1994). In pursuit of changes i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other than physical facilities with the advent of the localization era, tourism development is drawing attention as a comprehensive plan to improve the economic value and quality of life and welfare of the region (Kim Jung-hwan, 2001; Seo Mi-seok, 1995). In particular, research on tourism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destinations under way through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is insufficient. This study considered the prior study and set up three assumptions to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from tourism development, and expected behavior from tourism development. The five Yeongwol-gun regions (Yeongwol-eup, Jungdong-myeon, Kim Satgat-myeon, Nammyun, and Hanbando-myeon) were conducted five times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August 20, 2019 to November 17, 2019 for local residents who do not participate in tourism-related economic activities and for local residents who do participate. Of the total 650 surveys, the effective sample of part 615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f local residents and local tour operators,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expected behavior from tourism development. T-test was used to verify differences by interest group and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et up by local residents and local tour operators to show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expected effects from tourism development. The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lso shown to represent differences between age and reg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verified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of rural tourism destinations by distinguishing them from local tour operators who participate in tourism-related economic activities. By dividing local residents into groups of interests participating in tourism-related economic activities and verifying their differences, it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redicting obstacles to tourism development due to conflicts and conflicts of interest among local residents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f these research results are used as data to preven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flict by referring to comprehensive rural tourism development plans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results.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를 평가하고 관광개발 분야에 있어 지역주민을 포함하는 것은 관광개발의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Sheldon and Abenoja, 2001). 특히 관광개발이 지속가능한 지역개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과 각 이해관계자간의 참여가 강조되고 있다(윤양수, 2001).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대상의 관광영향 인식에 관한 연구는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주제며(고동완, 1998; 양성수 등, 2009; 이후석, 2004; Andereck and Vogt, 2000; Choi and Sirakyay, 2011; Ribeiro et al., 2013) 관광정책 수립과 지역사회 역할모색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이다(Lankford and Howard, 1994; Vargas-Sánchez et al., 2011). 지방화시대 도래와 함께 물리적 시설 외 지역경제 성장, 사회 개발 등에 관한 변화를 추구하면서 관광개발은 지역의 경제적 가치 및 삶의 질과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종합계획으로 주목받고 있다(김중환, 2001; 서미석, 1995). 특히 농산어촌종합개발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농촌관광목적지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을 구분하여 연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대한 관광영향 지각, 관광개발로 인한 태도, 관광개발로 인한 기대행위에 대하여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영월군 다섯 개 지역(영월읍, 중동면, 김삿갓면, 남면, 한반도면)을 대상으로 관광관련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주민과 관광과 관련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지역관광사업자를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11월 17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5회 방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총 650부의 설문 가운데 615부의 유효 표본으로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주민과 지역관광사업자의 관광영향에 대한 지각,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개발로 인한 기대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타당성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해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s post-hoc analysis(셰페의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지역주민과 지역관광사업자가 관광개발에 대한 관광영향에 대한 지각,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개발로 인한 기대효과 세 가지에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고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서도 연령과 지역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목적지의 지역주민을 관광관련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지역관광사업자와 참여하지 않는 지역주민을 구분하여 그 차이를 검증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지역주민을 관광관련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이해집단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주민 가운데 이해집단 간의 이해충돌과 갈등으로 인한 관광개발의 장애요인을 예견하고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농산어촌종합개발 등 농촌관광개발 계획 시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주민참여와 갈등예방의 자료로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