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양경찰 신임순경 교육훈련 개선 방안

        김성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meet the people's eye level and the paradigm of the times,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well above all, and when applied efficiently, they will become more trusted maritime police officers by the people. In particula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new police officers is directly related to the future of maritime police and should be well designe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by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my educational experiences, interviews with new trainees, and discussions with fellow professors, etc. First, the introduction of TQM (Quality Management) technique in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centered on demand. In order to standardize educational programs, the quality of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out education, including HRD planning and operation, and professional personnel in the HRD field should be secured to continuously manage the adequacy and efficiency of educational programs. Second, it is an efficient operation plan for faculty members. Current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centives to strengthen faculty members' capabilities, such as systematic management of nonexistent pools of manpower and training of experts to represent maritime police in each field, as well as guarantee the length of service, etc. Third,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enhance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External experts with academic theories, as well as internal experts with diverse experience and expertise, should be operated under a full-time teaching system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urth, apply the smart e-learning system to operate the" pre-certified education time system". For specialized courses before entering school,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new police officers by creating an optimized capacity-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llows them to focus on education and training after entering school by completing online lectures in advance. 국민들의 눈 높이와 시대적 패러다임에 맞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훈련이 잘 설계 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효율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국민으로부터 더욱더 신뢰받는 해양경찰이 될 것이다. 특히, 신임 경찰관 교육훈련은 해양경찰의 미래와 직결되는 것이므로 잘 설계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의 교육경험, 신임 교육생 면담, 동료 교수 등과의 토의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수요자 중심의 교육품질 개선을 위한 교육 콘텐츠 관리에 TQM(품질관리) 기법 도입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만들기 위해 HRD기획・운영 등 교육 전반에 걸쳐 교육 품질을 향상시키고, 교육 프로그램의 적정성, 효율성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HRD 분야의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교수요원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다. 현재는 전무한 인력풀(Pool)의 체계적인 관리와 분야별 해양경찰을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방안 등 교수요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공과 함께 근무기간 등을 보장하여야 한다. 셋째, 대내외적으로 교육훈련의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학문적 이론을 갖춘 외부 전문가는 물론,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내부 전문가를 전임 교수제로 운영하여 교육훈련의 조직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스마트 e-러닝 시스템을 적용하여“사전인증 교육시간제도”를 운영하는 것이다. 입교 전 전문과목에 대해서는 사전 온라인 강의를 이수하여 입교 후에 교육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최적화 된 맞춤형 역량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 등을 통해 해양경찰 신임순경 교육훈련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 근무성적평정을 위한 동료교사 다면평가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김성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입장에서 근무성적평정을 위한 동료교사 다면평가에 참여한 현직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합리적인 개선점을 찾아 동료교사 다면평가가 학교 현장에 의미 있게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별, 경력, 보직유무, 학교규모를 배경변인으로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라 근무성적평정을 위한 동료교사 다면평가에 대한 평가자인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배경변인에 따라 근무성적평정을 위한 동료교사 다면평가에 대한 피평가자인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배경변인에 따라 근무성적평정을 위한 동료교사 다면평가에 대한 평가자인 초등교사와 피평가자인 초등교사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천 및 경기도 교육청 내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자용 250부, 피평가자용 3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유효 설문지는 평가자용 230부(92%), 피평가자용 299부(88%)였다. 동료교사 다면평가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배경변인별(성별, 경력, 보직유무, 학교규모)로 분석하기 위하여 SPSS/Win 14.0을 이용하여 F검증과 t검증, χ2검증을 실시하여 통계 분석 처리하였고 사후분석은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교사 다면평가 도입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평가자 교사는 보통 수준, 피평가자 교사는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평가자 교사가 다면평가의 도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그 중 15년 이상 경력의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평가자 교사의 다면평가자 구성, 다면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평가자는 다면평가자 구성, 다면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서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면평가 평가자인 교사가 피평가자인 교사보다 상대적으로 근무성적평정을 위한 동료교사 다면평가 도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평가자인 교사의 인식도 보통 정도로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 다면평가의 준비도에 대한 평가자 교사와 피평가자 교사의 인식은 모두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도와 관련된 하위 요소별로는 다면평가 세부 사항의 숙지 정도는 평가자는 보통 이상, 피평가자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피평가자는 다면평가 요소의 사전 인지 정도에서 보통 수준을 보였으나, 이를 제외하면 평가자와 피평가자 교사 모두 다면평가에 대한 사전 교육정도, 현행 평가 자료만으로 객관적 평가 가능 정도에서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평가자 교사는 다면평가 준비시간 제공 정도, 평가자료 준비 정도에 대해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평가자인 교사와 피평가자인 교사 모두 별다른 차이 없이 다면평가에 대한 준비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동료교사 다면평가 실시를 위한 보다 충실한 사전교육의 실시, 평가자 교사에게 다면평가를 준비 할 수 있는 준비 시간의 충분한 제공, 객관적 평가 자료의 확보 방안에 대한 검토를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다면평가의 다섯 가지 평가 요소에 대한 평가실시에 대해 평가자 교사와 피평가자 교사들의 인식은 모두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소별로는 평가자 교사와 피평가자 교사 모두 교육자로서의 품성, 공직자로서의 자세, 학습지도, 생활지도, 교육연구 및 담당업무 관련 평가 실시에 있어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전체 교사의 수업을 참관하지 않고 학습지도와 관련된 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다면평가 요소의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신뢰도가 낮아 동료교사 다면평가 요소의 재검토가 필요하며, 학습지도와 관련된 수행능력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평가자 교사의 수업 참관을 의무화 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다면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평가자 교사와 피평가자 교사 모두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소별로는 평가자 교사와 피평가자 교사 모두 평가 항목 이외의 영향에 대한 인식, 다면평가단에 의한 자신의 서열에 대한 인식, 자신의 평가에 의한 전체교사 서열에 대한 인식, 다면평가단에 의한 전체교사 서열에 대한 인식이 모두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자 교사와 피평가자 교사 모두 동료교사 다면평가로 이뤄지는 교사의 서열에 대해 신뢰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낮은 인식은 평가 결과에 대한 교사들의 비수용으로 나타나 다면평가의 실효성에 문제가 제기되어, 다면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동료교사 다면평가의 개선 방향과 관련해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 차이는 없었다. 개선 방향과 관련된 주요 의견으로는 다면평가단을 3~4월 이전에 구성하고, 객관적인 평가자료 확보 측면에서 수업공개 등 일정 부분이 공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면평가자의 범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eachers conducting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s part of performance appraisal from the perspectives of raters and ratees, to seek rational reform measures, and ultimately to help facilitate the significant settlement of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fter gender, career, position and school size were selected as background variables: 1. What is the outlook of elementary teachers as raters on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s part of performance appraisal by the background variables? 2. What is the outlook of elementary teachers as ratees on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s part of performance appraisal by the background variables? 3. What are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outlook of rater teachers on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s part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at of ratee teachers by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eachers who were under the umbrella of the Incheon and Gyeonggido Offices of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ed by handing out 250 questionnaires for raters and 340 questionnaires for ratees, and the 230 questionnaires for raters(92%) and 299 questionnaires for ratees(88%) that were analyzable were gathered. A SPSS/WIN 14.0 program was employed to find out their view of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by th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career, position and school size), and F-test, t-test and x2-test were carried out. Besides, Scheffe test was utiliz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r teachers took a moderate view of the introduction of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nd the ratee teachers had a low opinion on that. The former was more satisfied with the introduction of multisource assessment, and the rater teachers whose length of career was 15 years or more expressed bett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 career groups. The rater teachers had a moderate opinion on the organization of multisource raters and the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of multisource assessment. The ratee teachers had a low opinion on the organization of multisource raters and the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of multisource assessment. Thus, the rater teachers viewed the introduction of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s part of performance assessment relatively more favorably than the ratee teachers, but even the former didn't have a high opinion on that. Second, either of the rater and ratee teachers didn't have a high opinion on readiness for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readiness, the raters were well acquainted with the details of multisource assessment, and the knowledge of the ratees about the details was at an moderate level. The ratees were just moderately aware of the details of multisource assessment. Both groups were dissatisfied with prior education about multisource assessment, and either of the two didn't find existing assessment materials to be satisfactory enough to make an objective multisource assessment. The rater teachers didn't think they were given enough time to be ready for multisource assessment, and they didn't think necessary assessment materials were well prepared, either. Thus, either of the rater and ratee teachers didn't have a high opinion on the readiness for multisource assessment, and there were little intergroup gaps in that regard. Therefore it's required to provide better prior education about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to give raters enough time for preparation and to secure objective assessment materials. Third, both of the rater and ratee teachers had a low opinion on the five elements of multisource assessment. Among the elements, both groups had a low opinion on assessment of personality as educators, assessment of attitude as public officials, assessment of learning guidance, assessment of guidance and assessment of educational research and job performance. They believed that an objective assessment of job performance related to learning guidance required visiting every teacher's class at work. Since the teachers didn't put confidence in the elements of multisource assessment, the elements of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should be reconsidered, and raters must visit teachers' classes at work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related to learning guidance. Fourth, either of the rater and ratee teachers didn't put confidence in the results of multisource assessment. Among the subfactors, either of the two didn't have a high opinion on the impact of multisource assessment, their own ranking determined by the multisource assessment team, the ranking of other teachers determined by their assessment and the ranking of every teacher by the multisource assessment team. Either of the rater and ratee teachers didn't trust the ranking of teachers determined by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and they didn't eventually accept the results of multisource assessment, either. As there was a doubt about the efficiency of multisource assessment, in which way the reliability of it could be boosted should be considered. Fifth, as for th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source assessment of colleagu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raters and ratees in their view of that. Concerning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many considered it necessary to organize a multisource assessment team before March or April, and many believed that some of multisource assessment process should be released to secure objective assessment materials. For instance, open class should be introduc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multisource raters, many thought that raters should be selected in light of career and grade in the same way as at present. They didn't think that the introduction of multisource assessment contributed to the objectivity an

      • 동적 환경을 지원하는 구조화 XML 문서의 인덱싱 및 검색 기법

        김성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W3C에서 1998년 제정한 XML이 웹 상에서 정보 및 구조화 문서의 표현과 교환의 표준 수단으로 사용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문서관리, 전자출판 등 많은 분야에서 XML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정보 검색 커뮤니티에서는 XML 문서를 논리적 구조 정보가 내포된 텍스트 문서로 인식하고, 전통적인 정보 검색 기법들을 구조화된 XML 문서에 대한 인덱싱 및 검색 기법으로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효율적인 XML 문서 검색을 위해서는 XML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내용과 엘리먼트들간의 논리적 구조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는 인덱스의 역할이 중요하다. 구조화 XML 문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논리적 구조 정보를 쉽게 계산해 낼 수 있도록 인코딩 된 값을 엘리먼트 식별자로 할당하고, 역 인덱스를 기반으로 한 인덱싱 및 검색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XML 문서의 내용 및 논리적 구조의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동적 환경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특정 엘리먼트에 대한 내용 갱신의 경우, 역 인덱스의 구조상 포스팅 화일 전체를 순차적으로 접근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많은 처리 시간이 소요된다. 둘째, 엘리먼트의 삽입이나 삭제로 인해 논리적 구조 갱신이 발생할 경우, 다른 엘리먼트 식별자들의 재할당이 요구되며 결국 인덱스의 많은 부분에 대한 재구성이 요구된다. 한편, 구조화 XML 문서의 논리적 구조 관계성에 대한 질의, 즉 구조적 질의에 대해서는 트리 순회를 기반으로 하는 상향식 및 하향식 처리 기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기법들은 XML 문서의 계층 경로 순회에 따른 오버헤드로 인해 효율성에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화 XML 문서의 내용 및 논리적 구조에 대해 빈번한 갱신이 발생하는 동적 환경에 적합한 인덱싱 및 검색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화 XML 문서에 대한 데이타 모델을 정의하였다. 정의된 데이타 모델에서는 임의의 가용한 값을 엘리먼트 식별자로 할당하여 엘리먼트 식별자간의 독립성을 제공함으로 논리적 구조 갱신 시 요구되는 엘리먼트 식별자들의 재할당 과정을 제거하였다. 둘째, 전통적인 역 인덱스 구조의 확장을 통해 동적 환경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덱싱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특정 엘리먼트에서 생성된 포스팅들을 모두 연결한 포스팅 리스트 형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각 엘리먼트 별로 생성된 포스팅들만을 독립적으로 접근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엘리먼트 식별자를 키로 하는 엔트리들로 구성된 인덱스 화일(UID-기반의 수직 인덱스)을 설계하였다. 이 인덱스의 각 엔트리와 엘리먼트 별로 생성된 포스팅 리스트를 연결함으로서 특정 엘리먼트에서 생성된 포스팅들만을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갱신 처리의 효율을 높였다. 또한, 각 엘리먼트 별로 자신과 직접 연관된 논리적 구조 정보 즉, 부모·첫째 자식·형제 엘리먼트의 식별자를 명시적으로 유지하는 자료 구조(ETY-기반 포스팅)를 생성하고, UID-기반의 수직 인덱스와 연결하여 접근 및 관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통된 논리적 구조 정보 즉, 동일한 엘리먼트 타입을 갖는 ETY-기반 포스팅들을 그룹핑하여 유지 및 접근하기 위해 엘리먼트 타입 값을 키로 하는 인덱스 화일(ETY-기반의 인덱스)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공통 엘리먼트 타입을 갖는 엘리먼트들만을 독립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제안 인덱스 구조를 이용한 질의 처리 기법을 설계하였다. 갱신 질의는 제안 인덱스 구조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내용 검색 질의에 대해서는 상향식 방법을 응용한 처리 기법을 설계하였다. 구조적 검색 처리는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질의에 포함된 논리적 구조 정보 즉, 엘리먼트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 기법과 기존 기법과의 비교를 위해 해석적 방법과 실험적 방법으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초기 인덱싱 생성 시간, 공간 사용량, 그리고 내용 검색 시간은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구조적 검색 처리와 엘리먼트의 삽입·삭제, 내용 변경 등의 동적 갱신 처리에 대해서는 본 제안 기법이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In information retrieval(1R) community, recently, researches are in progress to apply its traditional indexing and retrieval schemes to the retrieval of XML documents. From the view point of IR, an XML document is considered as an instance of structured document where textual content is encoded by elements describing the semantic and logical structure of document. In order to process querying for structured XML documents, some useful indexing schemes based on inverted index have been proposed. When, however, we use these index structures in a dynamic environment where documents need frequent updates, there are much overheads for maintaining index. In case of updating content for an element, we basically should access all posting file to access the related postings for the element since the only way to access them is via a term-based index file. In case of updating logical structural by inserting a new element or deleting an element, we should recompute UIDs for other elements. As a result, a large portion of index made previously should be re-indexed. This comes from the dependency of UIDs among elements. On the other hand, considerably less exploration has been made of structural retrievals - retrievals that have no word or phrase component but refer only to particular combinations of structural elements. The straightforward approaches are based on conventional tree traversals by bottom-up or top-down. However, these approaches are fairly inefficient owing to the overheads of traversing the hierarchy of XML document. This thesis proposes a fast and efficient indexing and retrieval scheme for structured XML documents in a dynamic environment. Especially, this thesis focuses on supporting both structure and content updates and on supporting efficient retrievals of content and structure. First, we describe a data model for structured XML document. In order to avoid UID recomputation, we assign any available integer value to elements as their unique identifier. Thus, we provide independency among UIDs for elements. Next, we describe how to maintain postings for an element and how to construct index structure. To access the related postings directly for an element, a linked postings for the element is generated by grouping all created postings each other and insert it into the index. And we added UID-based index file to the traditional inverted index structure to maintain all UIDs for elements. Each index entry in UID-based index is linked to the first posting of the linked postings for a correspondent element. Thus, using the extended inverted index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and maintain the linked postings for an element. We then describe query processing strategies for update and retrieval queries respectively. In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there is a path to directly access the related posting for an elements. And there is no need to recompute UIDs for other element. Thus, using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upport fast and efficient updates on content and logical structure. For content retrieval, bottom-up-based approach is proposed. And in order to avoid tree traversal manner in structural retrievals, we propose a new approach utilizing the logical structure information namely, element type, included in the user query. Finally, experiments and analytical comparisons for the proposed indexing and the previous schemes were executed. The proposed scheme shows similar results in retrieval time and index space overhead. For update operations and structural retrievals, however, the proposed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revious schemes.

      • 통합상담모형에 기반한 도박예방프로그램이 중독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의 불안, 비합리적 도박신념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성완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Master`s Thesis The Effects of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on their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College Adjustment On The College School Student. Kim, Sung-Wa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Cheon, Seong-Moon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on their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College Adjustment On The College School Stud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was reconstructed and conducted for students with upper grade college school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ll fourteen students with upper grade college school studen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after explanation o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parts of seven member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rogram, which consists of a total 9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and two session per weeks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y treatments were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during same period of time. The scales us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esting were the Anxiety Scale,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College Adjustment On The College School Student.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the select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PSS/WIN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results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statistical methods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group members based on experience reports and program evaluations of the participants was performed in parallel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xie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the College Adjustment needs satisfa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lowering of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increasing of College Adjustment.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 words: combined counseling model program.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college adjustment on the college school student.

      • Molecular Cloning of Rod Opsin Gene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잉어 Cyprinus carpio 로부터 Rod Opsin 유전자의 클로닝

        김성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hodopsin, a dim-light receptor,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model system to study of G Protein-coupled receptor transmitting extracelluar signals such as neurotransmitters, hormones, odorants and light. Fish living under various photic environments posses visual systems adapted to the habitats. To study the molecular mechanism of spectral tuning mechanism in fish, rod opsin gen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n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were isolated. Full-length opsin genes of P. olivaceus, A. japonica, C. carpio were obtained by PCR amplification of genomic DNA. Sequence analysis of the rod opsin gene reveals of 1056 bp opsin genes encoding 352 amino acids in olive flounder and Japanese eel and 1062 bp encoding 354 a.a in common carp. The deduced amino acids showed typical feature of rod opsin, such as Schiff's base formation (K296) and its counterion (E113) and two cysteines forming disulfide bond(C110 and C187). However one cysteine involved in palmitoylation is replaced by Phe in Japanese eel. The sequence alignment of other fish rod opsin shows the similarity between P. olivaceus and Hippoglossus hippoglossus (94%), A. japonica and A. anguilla (98%), C. carpio and C. auratus (95%). Rhodopsin은 dim-light receptor로써 다양한 세포 외부의 신호를 인지하여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 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을 연구하는데 있어 하나의 모델 시스템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GPCR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막 단백질 중에서 가장 큰 수용체 집단이다. 어류는 다양한 빛 환경에 서식하고 어류의 시각 시스템은 어류의 서식지에 잘 적응되어져 왔다. 어류에서 spectral tuning mechanism을 연구하기 위해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잉어 Cyprinus carpio에서 rod opsin 유전자를분리하였다. Genomic DNA 와 PCR을 통해 Rod opsin 유전자를 분리하였으며,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확보하였다. 넙치의 rod opsin 유전자는 1056bp로 이루어져 있으며, 352개 아미노산, 뱀장어와 잉어의 rod opsin 유전자는 두 종 모두 1062bp, 354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Rod opsin 아미노산은 rod opsin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주었는데 Schiff's base formation (K296) 와 counterion (E113), disulfide bond (C110, 187)을 형성하는 두개의 cysteines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뱀장어에서는 palmitoylation site에 cysteine이 아닌, phenylalanine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넙치의 rod opsin 유전자는 Hippoglossus hippoglossus 와 94%, 뱀장어는 Anguilla. anguilla 98%, 잉어는Cynprius. auratus 95%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전자교육 플랫폼의 효용도 평가도구 개발연구

        김성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웹 기반 환경에서 교수-학습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해주는 전자교육 플랫폼의 효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에 기초해서 전자교육 플랫폼 평가를 위한 잠정적 준거모형을 도출했다. 이 모형은 7개 준거영역(교수-학습 관리, 상호 작용, 평가, 정보제공, 화면디자인, 기술, 조직요구)과 23개 준거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이 준거모형을 토대로 우선 149개의 평가문항을 제작하였으나 문항 검토팀과 교육공학 전공 교수의 2단계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81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그런 다음 이 문항들을 가지고 전자교육 관련 전문가 133명을 대상으로, 전자교육 플랫폼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각 평가문항이 갖는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문항들의 중요도가 5단계 척도에서 전반적으로 3.05∼4.34 사이에 분포되어 모든 문항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이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요인Ⅰ(교수-학습관리ㆍ화면디자인ㆍ기술), 요인Ⅱ(상호작용ㆍ평가)로 나뉘었다. 요인Ⅰ에 속한 문항들은 4개의 하위요인인 화면 및 시스템 설계 적합성, 과정진행 수월성, 시스템 상호호환성 및 학사관리 적합성, 그리고 교수-학습 관리 용이성 및 멀티미디어 사용적절성으로 묶여졌다. 한편 요인Ⅱ에 속한 문항들은 3개 하위요인인 상호작용과 평가의 유연성 및 사용자 통제성, 의사소통 및 평가의 다양성, 사용자 접근성으로 묶여졌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된 평가 준거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분석결과 모형의 적절성 여부를 알려주는 지수인 개략화 오차평균값은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며, 비교합치도 및 비표준합치도는 각각 높은 합치도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요인Ⅰ과 요인Ⅱ의 Cronbach α 값은 각각 .94과 .88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하위요인들의 값도 .78∼.86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전자교육 플랫폼 평가도구를 가지고 국내의 대표적인 전자교육기관의 플랫폼들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형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부 문항들이 다소 애매모호하거나 너무 포괄적이라는 지적과 기술적 차원의 문항들은 너무 전문적이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CD-ROM이라는 간접적인 평가방법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로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해치는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렇게 볼 때 이 연구에서 개발된 전자교육 플랫폼 평가도구는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평가도구는 플랫폼 선정에 관한 의사결정, 플랫폼에 대한 질적 수준관리, 플랫폼 인증 등 다양한 맥락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개발자와 컨설턴트, 전자교육 프로그램 운영자 등에게 플랫폼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성찰의 기회와 유용한 시스템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tool of evaluating and selecting e-learning platforms, or learning management systems. To achieve that goal,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ormative evaluation have been adopted.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re for validating the potential criteria framework for evaluation of e-Learning platforms and the formative evaluation for adapting it to three domestic platforms and investigating problems happened during the evaluation. First of all, the criteria framework for evaluation was mad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t comprises seven areas including organizational demand, class management, interaction, evaluation, providing informations, screen design, and technology. And with total 81 items developed through the framework,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163 e-learning experts in order to ensure how important they are. In result, all items were regarded as important for evaluating platforms. To derive a concise list of explanatory constructs from the responses collected from 133 respon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was performed hav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in the initial factoring step, principal component method to extract the initial factors, and varimax of orthogonal rotation in the rotation step. As a result of it, two main factors(factor Ⅰ, factor Ⅱ) were extracted. Factor Ⅰ was labeled "instruction management, screen design & technology" and factor Ⅱ "interaction & evaluation". And factor Ⅰand factor Ⅱ were respectively interpreted consisting of four sub-factors(suitability of design in screen and system, easiness of course procedure, interoperability of system & suitablility of academy administration, easiness of instructional management & appropriateness of multimedia use) and three ones(flexibility of interaction and testing & user control, variety of communication and testing, users' accessi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degree to which the plausibility of factor models is empirically confirmed, Overall fit measures(RMSEA, CFI, NNFI), indexes that show the suitablility of the model were quite good. Reliability estimates using Cronbach's alpha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tool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After that, the formative evaluation of three Korean platforms was performed. One-way ANOVA and post-hoc multiple comparison were conducted with the responses collected from 65 respondents. And during that evaluation, several problems including the ambiguity of items happened. But it seemed that most of them were derived from the indirect evaluation method by using CD-ROM. They were not critical in deciding that the evaluation tool itself is valid and reliable. It is concluded that the evaluation tool for e-Learning platforms is very valid and reliable.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r making use of evaluating the tool and future research. This study represents another step along a continuum of selection, evaluation, design and development of platforms.

      • 건설공사 입찰제도 개선방안 연구 : 전남지방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완 順天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적격심사 입찰제도는 가격위주의 낙찰제인 최저가낙찰제의 단점으로 지적된 저가낙찰로 인한 부실시공, 출혈경쟁으로 인한 기업 재무상태 악화, 덤핑입찰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1995년 7월부터 도입되었으며, 기본취지는 가격위주의 낙찰을 방지하고 기술위주의 낙찰을 유도하자는 것이다. 평가방식에는 크게 공사수행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수행능력평가항목과 투찰금액을 평가하는 입찰가격평가항목이 있는데, 두 항목의 합산점수가 발주자가 정해놓은 적격통과점수 이상이면 낙찰자가 선정되는 방식이다. 최저가의 투찰금액만 써내면 되는 최저가입찰제의 덤핑입찰, 출혈경쟁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심사항목을 정해놓아 변별력을 길러 기술위주의 입찰을 유도한다는 적격심사입찰제는, 입찰자가 여러 가지 심사항목 중 점수가 부족한 항목에 대해 다른 항목점수에서 부족한 점수를 보완하여 입찰에 참가하므로 변별력을 잃었고, 발주자가 미리 낙찰하한율과 사정율을 고정함으로써 업체간 견적기술경쟁이 사라져 기술위주의 낙찰을 유도한다는 도입취지와도 다르게 변질돼 버렸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적격심사 입찰제가 어떠한 형태로 변별력이 떨어지는지 적격심사 세부기준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였고, 전남지방 토목업체의 기성실적분포를 조사, 분석하여 입찰제도가 기업의 공사수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적격심사입찰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억미만의 공사에 있어, 전남지방 한 군청에서 발주한 공사에 다른지역 업체가 입찰에 참가하면 접근성 점수 0.2점이 부족하여 다른지역 업체는 탈락하게 된다. 하지만 정부는 열약한 지방건설업체의 경기부양을 위해 2007년9월20일 지방계약법의 소액수의계약금액 상한선을 1억원미만에서 2억원미만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이것은 전남지방 한 군청에서 2억미만의 공사는 더 이상 전남지방업체의 제한을 둘 필요가 없고 그 군청 업체만 참여할 수 있게 되어 적격심사 2억미만의 평가항목은 더 이상 유명무실한 심사항목이 되었기 때문에 수정되어야 한다. 기성실적 분석에 있어, 적격심사 평가항목인 2억원미만의 평가 중 접근성 점수 0.2점은 가산점이 아니라 실 평가점수이다. 이는 전남지방 기초자치단체 업체들 간의 변별력과 관내업체 수주 확보차원, 그리고 소액이므로 발주한 기초자치단체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업체의 시공 가능 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현행 소액수의계약금액을 2억원미만에서 3억원미만으로 상향 조정하면 자연적으로 적하는 것만으로도 업체의 기형적인 기성실적분포비율이 개선격심사 평가항목이 수정되며 그 중 입찰가격 점수 항목을 관내 업체별로 견적 처리하여 업체 간 기술 위주의 경쟁을 유도될 것이다. 적격심사제도 고찰을 통해 세부기준 평가점수에 변별력이 없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어 세부평가점수항목을 조정함으로써 적격심사의 세부기준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100억∼300억 공사에만 적용되는 기술능력평가항목을 모든 공사규모별로 적용하여야 한다. 건설업 자체가 기술을 위주로 이루어진 집단이기 때문에 모든 공사규모별로 기술능력을 평가 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변별력이 없다고 지적되는 적격심사입찰제에 큰 변별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현행 신인도점수 평가항목은 가감산점수로 이루어지는데 실 평가점수로 개선하여야한다. 업체의 기술능력도 중요한 항목이지만 해당업체의 신용도도 무형의 능력이므로 올바르고 신용등급이 뛰어난 업체가 더 많은 수주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토목공사업은 건축공사업에 비해 수주 방법 및 실적에 있어 불리하기 때문에 실적배수 적용을 차등화 해야 한다. 대부분의 공사수주를 공공기관에 의존하는 토목공사업체에게 공사규모별로 건축공사업체와 동등한 실적배수를 적용하는 것은 변별력없는 적격심사입찰제에서는 공사수주에 있어 불리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전남지방 토목건설업체의 기성실적분석 및 지방자치단체 적격심사세부기준의 세부적 고찰을 통하여 입찰제도 개선방안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로 적격심사입찰제의 법규개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소액수의공사금액이 2007년9월에 1억에서 2억으로 상향조정됨으로써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적격심사제가 기성실적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2009년 연초에 실시되는 2008년도 기성실적신고 자료를 보완 연구할 필요가 있다. When currently priest vehemence in order for the public works start self-acknowledgement government not to be bid successfully a faithless public corporation prevention at successful bid amount under which is fixed with pretext, is to decide the schedule successful bid lower limit line in advance, this public corporation on a scale by the water column the lowest price which is possible the government actualness the only will kick is done well from inside the scope which comes to decide because is a count or the same which guarantees institutionally, the discrimination of successful bid person lascivious loses first of all and makes the result bring about which hinders the estimation technical advance of the enterprise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which produces the estimation misfortune which public corporation corresponds long-term in particulars. Is like this enemy standing mind The system is to successful bid person decision and loses in order improves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decided with only fortune from reflects a qualified mind proposal very first time gist must prepare the pla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having a discrimination about the enterprise by technical competitiveness which a discrimination. From the research which sees consequently public corporation accomplishment ability and subcontract management plan, the plan will be able to reflect a spatial-temporal surplus ratio etc. elegy standing evaluation item substantially under presenting boil from priest enemy vehemence.

      • 위성발사체용 안테나 햇 소형화 설계 및 성능 분석

        김성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the system performance including all RF hardware components of a space launch vehicle before launch.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test in the lab or building out of the anechoic chamber because the radio wave is radiated broadly through onboard antennas. The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multipath and the electromagnetic exposure risks of test members are accompanied. In this system test, the antenna hat can be used as a passive repeater or coupler by being temporally installed over the onboard antenna. In case of rockets and launch vehicles, if some physical protrusions or separation plane (a kind of discontinuous fuselage plane) exist around the mounting platform of antennas, the miniaturization of the hat is needed to be installed properly. However, a small hat may cause the impedance mismatch and the shift of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antenna itself due to the reflected wave and surface current. This paper presents a compact antenna ha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nd shows its design method and measurement results. The proposed structure also provides a very low loss us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conductive shield and coupling probe/block without RF absorbers applied generally. Although the onboard antenna is very closely enclosed by the small metal structure, the resonance of the antenna itself is hardly affected compared to the free space radiation condition. The S-band antenna hat, which is fabricated for an inverted-F antenna with the size of 74 mm × 13 mm × 16 mm, has the internal size of 88 mm × 35 mm × 44 mm. The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of the fabricated antenna hat show a good agreement.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e return loss of 25.6 dB, the low insertion loss of 0.26 dB, and the leakage loss of 49.4 dB at the center frequency of 2.25 GHz. In addition, the bandwidth is more than 100 MHz, and the in-band flatness is ±0.16 dB. The fabricated S-band antenna hat is also applied in carrying out the RF compatibility testing with ground stations for KSLV-I(Naro) which is the first Korea space launch vehicle. After the ground testing using the proposed antenna hat is completed, the flight RF link analysis is needed to verify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onboard transmitting and antenna system is checked properly by applying it or not. Because the launch vehicle is flying at a high speed, the variation of onboard antenna gain betwe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causes the fluctuation of link.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dynamic RF link considering the trajectory and attitude of a launcher, and compares the predicted and measured levels at the ground receivers for each polarization. Vehicle antennas and ground plane of a large launcher are modeled, and the 3-D radiation pattern is simulated. The arbitrary instantaneous gains are extracted using the 2-D interpolation method from the finite gain data. And the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show a relatively good agreement despite of using the simulated gains instead of the measured ones. Therefore, this analysis results of the dynamic radio down-link verify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antenna hat and the design method will be applied to various onboard antennas mounted on the aircrafts, rockets, and missiles. In addition, the dynamic link predicting procedure can be utilized in the link design and antenna displacement for the optimal position of vehicles.

      • 現行 集會 및 示威에 關한 法律의 改定必要性에 關한 硏究

        김성완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집회 및 시위의 자유는 집단적 의사표시의 방법으로서 민주주의의 형성에 필수 불가결한 국민의 기본권임은 틀림없으며 암흑과도 같았던 우리의 사회를 민주화로 나아가게 한 기본권이라는데는 의의가 없을 것이나 이러한 집회 및 시위의 자유도 절대적으로 무제한 보장되는 것 이 아니며, 헌법 제 37조 제2항에 의하여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 근래에 보여지는 집회·시위의 형태는 과거와는 달리 각종 이익집단들이 그들의 이익실현을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고 있으며, 목적의 정당함이라는 명분하에 각종 불법행위가 난무하고 있다. 침묵하는 다수보다 행동하는 소수의 이익이 더 보장되는 현상을 반드시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그 기본권의 본질적 부분까지 제한하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공공복리를 위하여서는 어느 정도 집회 및 시위의 자유를 제한하여야 한다고 본다. 작금의 우리 집회·시위문화가 선진국처럼 성숙화 되지 아니하고, 또한 폭력과 파괴의 방법으로 공공의 생활에 대한 피해를 가하고 있다면 이를 법률로써 제한하는 것은 집회 및 시위를 행하여 당해 시위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켜 얻게 될 이익과 이로 인해 입게 되는 공익적 피해를 상호 비교형량하여 보았을 때, 결코 그 공익적 피해가 작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결코 집회 및 시위의 자유의 본질적 부분을 침해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헌법의 규범력을 확보하는 헌법보장적 성격을 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집회 및 시위 당사자들에게 보장되는 기본권과 그로 인해 입게 되는 개인들의 행복추구권, 영업활동의 자유, 재산권 행사의 자유 등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위에 兩기본권 중 집회 및 시위의 자유가 당연히 우월적으로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규범적으로 조화로운 방향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집회·시위 당사자들은 집회 및 시위의 자유로 인하여 결코 '개인의 행복추구권, 영업활동의 자유, 재산권 행사의 자유'가 배제되거나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집시법은 헌법상 보장된 집회 및 시위의 자유를 더욱 구체화하여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뿐만 아니라, 개인의 행복추구권·영업활동의 자유·재산권 행사의 자유도 보장하여 침해되지 않고 만일 이를 침해한 불법집회 및 시위가 있다면 엄중한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항 등을 고려할 때 1999년 개정되어 현재 시행중인 집시법은 앞에서 본 문제점들이 노정되어 건전한 집회·시위문화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 집시법은 다음의 몇 가지 개정이 불가피하다 할 것이다. 첫째, 집단행진을 무조건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집시법 제12조 2항의 규정을 삭제하고, 행진도 집회시위와 구분 없이 교통소통을 위한 금지와 조건제한의 선택적 대상이 되도록 개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입지에서 장시간·장거리 행진으로 교통혼잡을 현저히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금지하는 규정도 다수인을 위해 고려해 볼만할 것이다. 둘째, 장기간 타인의 집회를 방해하기 위해 특정장소를 독립하여 집회신고를 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집회개최 일주일에서 48시간 전에 신고하도록 하고 한번 신고시 집회기간은 7일 이내로 제한하고 만일 재신고의 필요성이 있다면 집회가 종료한 후에 재한 신고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집회신고후 집회를 개최하지 않을 경우에 관할 경찰서에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이를 위반하는 경우는 과태료처분을 할 수 있게 하 는 것이 동 장소에서 집회를 하고자 하는 자의 이익증진과 치안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첩경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폭력적시위전력자 또는 단체에 의한 집회신청은 거부할 수 없다하더라도 일부 폭력시위전력자들이 폭력 시위를 행할 개연성이 충분하다면 관할 경찰관서장은 주취자에게 그들의 집회 참가배제를 요구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위반할 때에는 일정한 불이익을 주도록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집회, 특히 확성기등을 이용한 시위에 대해서는, 법에 근거조항을 두고 그 기준(80dB정도)은 대통령령에 위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반시 과태료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사인이 관리하는 장소에서 집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자에게 장소 관리자에게 사전에 승낙을 얻도록 하고 사전에 승낙했더라도 현저히 사생활의 평온권을 해할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장소의 이전을 요구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소위 '1인시위'등 변형시위등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경우에 집시법에 당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집시법이 적용되면 집시법을, 여타법률에 저촉되며 여타법률을 적용하면 될 것이나 순수한 의미의 '1인시위'는 보장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현행 집시법의 개정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물론 본 견해와 의견을 달리하는 견해도 있을 것이나 행동하는 소수의 이익보다 침묵하는 다수의 이익을 고려하고 헌법21조의 규정을 규범조화적으로 해석할 때 현재의 집시법은 새로운 집회시위 문화창출을 위해서라도 갱정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개정활동은 충분히 시간을 두고 관련단체등 이해관계인과의 논의를 한 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정작업시 집회·시위의 자유의 본질을 훼손해서는 안될 것이며 소수자의 정치적 기본권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The freedom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the indispensable basic right of people in shaping demarcracy, and there is no doubt that it also make us to develope our society during the dark ages of our democratic history. But it is not guaranteed at every time and can be restricted by the law, which is written at the section 37-2 of the Constitution, for the security of nation, order maintainence and public welfare. For the characteritics of recent assmbly and demonstration, Many benefit groups use every possible means to pursue their profits and under the social standing of right purpose they committed unlegal things. This present condition should be corrected for the majorities who keep silence. Therefore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should be restricted to some degrees for the security of nation, order maintainence and public welfare, as long as we don't infringe on essential part of basic right of people. When we compare the profits demonstrator will get by violent act with the public demages we will have, we can't say we stand all those things. This restriction is the way of defending our Constitution. And in case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has collision with the public welfare such as right of happiness, freedom of business activities, freedom of private property,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not always priorily guaranteed among these basic rights. Because these rights should be guaranteed to the harmonized way,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can't exclude or restrict other basic rights.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ADA) should describe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detail and also secure the other basic rights at the same time. But present ADA revised in 1999 is not enough to cover all types of demonstration. Present ADA has several problems as follow; First, 12-2 of ADA is unrealistic, which allows all group-marching. ADA should be revised to regulate the group-march like demonstration for the traffic flow. Second, to stop applicants who report on the purpose of intentionally interuping other's demonstration, the host should report to the authorites a week or 48 hours before the event. the event can't last more than a week with one permission of the event. If necessary, the host can apply for the extention of the event. if the host doesn't hold the demonstration as scheduled at the designate place without any notice, we should impose punishment to the host to save police power. Third, although we can't reject the report of demonstration made by the people or groups that had illegal activities before. however the current ADA should be revised to exclude the demonstration which has much possiblities of being violent. Fourth, as for the demonstration using megaphone, so make big noise, we should impose a fine on the people who is responsible for the noise, which is based on law and standard(80dB). To have practical effect, the law should be consigned to the order of president. Fifth, anyone who wants to hold any assemblies around private place must get an approval in advance from the owner or mamager of the place. the current ADA should be revised to ask them to move out of place, even though get an approval in advance, if there exist clear danger of private life. Sixth, as for so-called one-man demonstration, we can adopt ADA or other laws depend on its situation. but we try to guarantee one-man demonstration itself. we reviewed the problems of current ADA and its revision. however there could be different oppinions from mine. we should positive `y consider revision of ADA for the majorties who keep silent and desirable form of demonstration. we need various opinions and deep consideration from the authorities concerned to revise ADA. finally we keep in mind the freedom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very important, try to guarantee the essential parts of the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