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i-n 구조의 무기 CsPbI2Br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SC) 소자에 대한 연구

        김리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 장기 안정성이 낮은 유기 물질을 대체하여 수분, 고온, 빛 환경에서 장기 안정성이 높은 무기 물질 Cs+ 이온을 이용한 CsPbX3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CsPbI2Br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하였다. CsPbI2Br 페로브스카이트 물질로 태양전지를 제작하기 위하여 전자, 정공 수송층을 고밀도, 균일한 성막이 가능한 Thermal-ALD로 이용하여 제작하기 위해서 태양전지의 구조를 p-i-n 구조로 선정하였고 p-i-n 구조는 SLG/ITO/NiO/CsPbI2Br/SnO2/Au 혹은 Ag 전극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CsPbI2Br 페로브스카이트 흡수층을 제작하기 위해서 CsPbI2Br 용액은 Cesium iodide (CsI), Lead (Ⅱ) bromide (PbBr2), Lead (Ⅱ) iodide (PbI2)의 용질과 N,N-dimethylformamide (DMF)와 Dimethly sulfoxide (DMSO)의 용매를 이용하였다. CsPbI2Br 용액을 1.2M의 농도로 용매 (DMF:DMSO)의 비율을 3:7 v/v%, 4:1 v/v% 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흡수층 제작은 hot-air 공정을 이용하지 않은 스핀 코팅과 hot-air 공정을 이용한 스핀 코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CsPbI2Br 층은 hot-air 공정을 이용하지 않은 조건보다 hot-air 공정을 이용한 조건이 균일하게 코팅되었고, 높은 광학적 흡수율이 나왔으며, 광학적 밴드갭이 1.91 eV로 CsPbI2Br의 이상적인 밴드갭 (1.91 eV)과 근접하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hot-air 공정이 적용된 CsPbI2Br 층을 p-i-n 구조로 적용하기 위해서 Thermal-ALD로 H2O 산화제를 이용하여 SnO2 층을 증착하였다. 그 결과, 용매 (DMF:DMSO)의 비율이 3:7 v/v%로 제작된 CsPbI2Br 층이 산화되지 않았으며, Black α-Cubic 상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무기 CsPbI2Br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XRD 분석 결과 CsPbI2Br Black α-Cubic 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솔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Au 혹은 Ag 전극을 이용한 태양전지의 단락전류밀도-전압 곡선을 측정한 결과 Au 전극을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력변환효율은 2.75% (순방향), 5.11%(역방향)으로 측정되었으며, Ag 전극을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력변환효율이 4.73% (순방향), 6.79% (역방향)으로 측정되었다. This research used the CsPbI2Br perovskite material in the CsPbX3 perovskite solar cell using the inorganic material Cs+ ion with high long-term stability in moisture, high temperature, and light environment by replacing the organic material with low long-term stability. The structure of the solar cell was selected as a p-i-n structure to manufacture the solar cell using Thermal-ALD of high density and uniform film formation to manufacture the solar cell with CsPbI2Br perovskite material, and the p-i-n structure was composed of SLG/ITO/NiO/CsPbI2Br/SnO2/electrode(Au or Ag). First, in order to fabricate the CsPbI2Br perovskite absorption layer, the CsPbI2Br solution used the solute of Cesium iodid e (CsI), Lead (II) bromide (CsBr2), Lead (II) iodide (PbI2), and N,N-dimethylformamide (DMF), and Dimethyl sulfoxide (DMSO). The CsPbI2Br solution was prepared in a ratio of a solvent (DMF:DMSO) of 3:7 v/v% and 4:1 v/v% at a concentration of 1.2M.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the absorption layer was divided into spin coating without using a hot-air process and spin coating using a hot-air process. The CsPbI2Br layer was coated uniformly under conditions using the hot-air process rather than without the hot-air process, had a high optical absorption rate, and measured close to the ideal band gap (1.91 eV) of CsPbI2Br with an optical band gap of 1.91 eV. Accordingly, in order to apply the CsPbI2Br layer to which the hot-air process is applied in a p-i-n structure, a SnO2 layer was deposited using an H2O oxidant by Thermal-ALD. As a result, the CsPbI2Br layer manufactured with a solvent (DMF:DMSO) ratio of 3:7 v/v% was not oxidized, and the Black α-Cubic phase was maintained. And as a result of XRD analysis of the manufactured inorganic CsPbI2Br perovskite solar cell, the CsPbI2Br Black α-Cubic phase was confirmed.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voltage curve of the solar cell using the Au or Ag electrode using a solar simulator,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using the Au electrode was measured as 2.75% (forward) and 5.11% (reverse). And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using the Ag electrode was measured as 4.73% (forward) and 6.79% (reverse).

      • 관계적 경계 확장에 의한 매개적 공유공간에 관한 연구

        김리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계라는 단어는 사회전반에 걸쳐 모든 요소들을 연결 짓고, 그 연결들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의미로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건축에 있어서도, 관계라는 의미는 다양한 요소들 속에서 해석되어진다. 건축이 처음 등장하게 된 배경 역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해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대 혹은 축소시킴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는 재설정되고, 이는 인간과 건축의 관계,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로까지 발전된다. 이러한 관계 설정의 의의는 현대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들의 해결방법 중 하나로, 건축의 구축 방법과 인간의 공간 인식을 통해 인간의 관계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고 보여진다. 현대 물질사회는 그 이행과정에서 구성원들에게 점점 개인화 과정을 거치게 하였고, 이 새로운 사회는 구성원들을 전통적인 규범, 신념, 결속, 사회관계에서 분리시켰다. 이러한 전통적 결속과의 단절은 개인에게 이전의 강제나 의무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였으나 그것은 그와 동시에 전근대사회가 제공했던 지원과 안정감도 함께 상실됨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새로운 형태의 정체성을 대인관계의 안정성에서 찾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관계를 수반해 줄 수 있는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접근방법의 하나로, 관계적 측면에서의 경계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공유 공간의 매개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세부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의 관계성 회복을 위한 관계적 공간의 필요 배경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사회학, 자연과학, 불교사상에서 보여 지는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에 대해 정리하고, 상대주의 공간관과 후기구조주의의 사유 체계를 통해 관계적 관점에서의 사고를 도출, 공간에 있어서의 관계론적 사고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경계 인식의 변화를 고찰해 보고, 확장된 경계 인식을 바탕으로 공유 공간의 매개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 선행된 각장의 내용을 토대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식의 변화로 인해, 경계의 영역은 확장되었고, 이를 통해 생성된 넓은 의미의 공유공간은 인간과 공간을 관계시켜주는 매개적 특징들을 나타낸다. 첫째, 공유공간은 한 가지 경계요소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들이 서로 상관성을 가지고 나타내는 공간 효과 안에서 ‘공유’라는 인간의 행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둘째, 공유 공간 형성을 위한 경계의 요건으로는 먼저, 사회적 측면에서 인간의 장소감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개인화된 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졌을 때, 공유 공간의 상호작용은 활발해지고, 건축적 측면에서 다가가기 쉬운 형태나 재료의 사용, 시각적 접근성이 용이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 장치, 세 번째, 사용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있다. 셋째, 공유 공간이 내부와 외부 사이 혹은 내부 공간들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건축적 요소들을 통한 경계의 설정을 들 수 있다. 먼저, 확장된 의미 에서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공간 구성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인 수평과 수직의 선, 면들의 반복 및 중첩 등을 통해 공간의 연결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투명 한 재료의 사용을 통하여 시선의 연장을 연출하고, 미디어의 역할로서 디지털 스킨을 사용함에 따라 제한적 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 소통과 정보전달을 통한 인지 적 경계 형성에 의한 공유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공유 공간의 매개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공유 공간은 개개 공간들의 조합을 통해 형성되며, 이는 각 단위별 공간들은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의 의미를 넘어 서로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재료의 투명화와 비물질화를 통하여 내부와 외부 공간 사이의 경계 영역이 모호해짐에 따라 시각의 연속성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공간의 깊이감과 함께 지각적으로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 단위 공간을 수직, 수평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적 역할을 통해 방향 전환 및 동선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부와 외부의 연계뿐만 아니라, 활동의 결절점으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둘째, 경계의 의미 확장을 통해 공유 공간의 의미 역시 변화된다. 기존에는 실재적인 장치나 구축의 방법들을 통하여 건축으로서의 공유공간이 형성되었다면, 본 논문에서는 공유 공간의 영역을 확장시켜 경계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미디어로서의 역할 등을 통해 정보 전달의 방법을 통하여 비가시적인 공유의 상황을 형성하고 이 역시 넓은 의미에서의 공유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 공간은 고유의 특성을 가지게 되고, 외부와 내부의 소통을 유도하여 실제적으로 그 공간 내부에 들어가지 않더라도 공간의 identity를 경험하게 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장소성을 가지게 된다. 셋째, 공유 공간은 인간 작용의 매개공간으로서 공간 구조와 표현기질이 인간의 능동성을 부여하여 동적행위가 작용되는 Relation is the word which means connection with each factor in human society and is used in general making new system. In Architecture, the meaning of relation is explained in the different ways. The origin of building house, termed the beginning of architecture, is started from new establishment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e relation is re-established by the extension of reduction of influence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and leads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human as well as human and architecture. This establishment of relation is the one of solution for appearance and architecture in modern lines , and it means we can recover relationship between people by construction space and recognition of space - This study shall be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will investigate necessary background of relational space for restoration of human relationship in modern society. Then, it will sort out the human relationship in terms of sociology, natural science, and Buddhism, induce thoughts from the relational perspective through space point of view in relativism and thinking system of post structuralism, and suggest relational thinking in space. Then, this paper will examine a change in boundary detection and investigat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based on the extended boundary detection. - Based on the previous description, a result of this study has turned out as follows: Due to a change in perception, the boundary domain has expanded. Then,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that connect human with space have been observed in shared space. First, the shared space is not created by a single boundary factor but by human behavior called ‘sharing’ within space effect in which each factor is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the boundary requirements for formation of shared space include 1) an interaction in shared space gets active when private space in which intimacy can be felt is secured, 2) psychological stability-inducing device with each-access shapes and materials or easy visual access, and 3) user consideration. Third, in order for shared space to play an intermediate role between inner and outer spaces or inter spaces, a boundary should be set through architectural factors. To set the boundary from the extended perspective, spatial connection is secured through repetition and overlapping of the basic factors in spatial configuration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nd faces. With a use of transparent materials, in addition, sight line is extended and the limited area could be overcome by using digital skin as a role of media. Then, shared space can be designed after formation of perceptive boundary through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 온라인 액티비즘으로 재/구성되는 ‘여성’ 범주와 연대 : ‘메갈리아’와 ‘워마드’의 사례

        김리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mechanism of composing 'women' as a gender category, as well as 'women's' solidarity in the process of recent online feminist activism. The case studies focused on the internet community 'Megalia,' which began in the summer of 2015, and the 'Womad' which was born out of Megalia at the end of 2015. The reason for analyzing both Megalia and Womad together is that the Womad, one of the internet communities from Megalia, was the most invigorated among those independent communities. Unlike the Womad, the Megalia has been relatively inactive since January 2016: The number of users has decreased dramatically and the scope has become narrow as well. Therefore, considering the period during which research was conducted it seemed appropriate to analyze the Megalia and the Womad together. A diverse picture of the 'Megalians,' which had been changing, diversifying, and not moving in any single direction could be achieved this way. For the research method, internet ethnography was selected, and online participatory observance had been made about the Megalia and the Womad during the period between August 2015 and December 2016. The Megalia and the Womad, criticizing the argument of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en' and the emotions of anti-feminism which have manifested in the discourse of popular post-feminism, visualize the issues of a society that discriminates on the basis of gender as this society is experienced by women, and attempt in their activism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feminist language. Therefore, each group, in so far as they respond promptly to gender issues in society and plan various projects and protests, are similar. However, the Megalia focused on online activities while the Womad pursued offlin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issues they were protesting, the Womad also used various internet communities and SNS accounts to prepare for protests. In doing so, identifying any sort of organized protesting group was difficult, and the online community was effectively invisible; this allowed the Womad to focus on the issues themselves, and to continue their influences. Furthermore, this strategy of online activism planned by users of the Womad allowed the group to function through its internal atmosphere and negated the need of recognition from other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Womad, based on the material foundation of daily use and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and smart phone, allow the activism to function in the border between seriality and the group of 'women' as a gender category. The initial Megalia, in the process of pursuing online feminist activism, showed tension of co-existence of female identities between seriality and the group. It is linked to the issue of the politics of identity in feminist movements. In the Megalia, even though there were no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shared as 'women', there were perceptions of how one should support feminism. And, in the environment, the practice of multiple genders and sexualities were recognized, and only 'Korean, heterosexual, cisgender, and men' were regarded as a public enemy. However, at the same time, in the Megalia, with support of 'deep rooted' discourse of structure, there was a strong trend not to doubt the existence of women without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In these tensions, the debate about homosexual male hate speech in the Megalia at the end of 2015 inspired the Womad to insist upon the solidarity of 'women' only. The Womad, including multiple meanings of urban nomad leading to neo-matrilineal society centering IT industries and angry women, labels women having the shared experiences as agents of movement and tends to consider continuously the differences of women with various sociocultural backgrounds, values, and situations. In this atmosphere, 'women' in the Womad, being considered as the parties of activism and having politics as the agents of movement and gender identity to escape and deconstruct from male-dominating gender norms, include the point conflicting between both of them. To this point, users of the Womad try to look for the meaning of women as agents of the activism from shared experiences and perceptions constituting the entire life cycles, and it is planned as a being with vagina, that is, embodied with discriminating experiences in their bodies. The Megalia and the Womad both try to rebuild ongoing systems of languages, signs, and symbols in order to resist the gendered structure of society. In particular, language is the most basic instrument used to compose the order of symbol in unconsciousness, and re-creation of norms of language in this perspective, is one of the ways to resist the gender-discriminating reality, shows to plan unconscious conversion fight in daily lives. The users of the Megalia and the Womad, using new norms of languages intentionally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attempt an ongoing re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meaning of rebellion. And this attempt tends to lead to the liberation of unconscious order of symbols and changes of emotions. This is because the users of the Megalia and the Womad, through repeated critical practice of male-dominating languages, experience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symbolic mechanism to cause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That is, critical self-realization about a phallo-centric system of language and attempts of its re-creation stimulate the deconstruction of continuously depressed experiences of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hiding in the unconsciousness. And this attempt continues to drive the planning to make 'women' described by male-dominating society newly meaningful, accompanying doubt against languages to explain gender. Nevertheless, the issues of honorary men and trans-women bring tensions to the stable planning of the category of 'women' as the agents of the activism. In particular, as the Womad was emerging from the Megalia, with a stronger trend to insist on the identity of 'women' as the agents of the activism, the planning of the category of women has provoked ongoing debates. In this atmosphere, the Womad focuses on criticizing specific behaviors of honorary men or strengthening hatred against muscularity conducted by honorary men, not individual stigmatization against honorary men. During the end of 2016 and the beginning of 2017, the argument that male-contemptism—not female-superiorism—should be built up was supported, the reason being that female-superiorism was criticized as a conception based on the male subjects in the structure of gender-dichotomy. Accordingly, escaping from that way of defining or deconstructing the female subject, it was detected that the movement to strengthen criticisms against male(muscularity) was the only norm of subject requiring female as other. And in this situation, the explanation that planning is more important than who the women and/or users of the Womad are has been continuously supported. Especially, the identity as the Megalian embodied in the reality through consumption of goods in 2015, by bringing risk of censorship in and out of the community, was strongly criticized for attempting to define the internet community as a fixed and single group in the Womad. The reason that users of the Womad evade being identified as users of a larger internet community and do not expect recognition from others—including other users of the Womad— may be that they intend a kind of effect by being regarded as 'fear existing as air without substance’. In addition, in this atmosphere, females(feminity) in the Womad show strategies to terrorize it with ways to use and consume languages, making the Womad devil and a group that is stigmatized outside of the community. And this strategy of terrorizing enables users of the Womad to be difficult to predict, impossible to control, and justifies the practice of shocking activism. Keywords: Megalia, Womad, Online Activism, Solidarity, Category of Women 본 연구는 최근 온라인 페미니스트 액티비즘이 주장되는 과정에 젠더 범주로서 ‘여성’과 그 ‘여성들’의 연대가 구성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사례로 2015년 여름 등장한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와, 2015년 말 그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워마드’에 집중하였다. 메갈리아와 워마드를 함께 분석하는 이유는 2015년 말 메갈리아에서 분화되어 나온 인터넷 커뮤니티들 중 하나가 워마드이며, 당시 분화되어 나온 독립 커뮤니티들 가운데 워마드가 가장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워마드와 달리 메갈리아는 2016년 1월을 기점으로 침체기를 보이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 이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폭 또한 좁아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 기간을 고려할 때 메갈리아와 워마드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단일하고 고정된 ‘메갈리안’이 아닌, 수시로 변화하고 분화되며 이동해 가는 다양한 ‘메갈리안들’을 연구하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채택하였으며, 2015년 8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메갈리아와 워마드에 대한 온라인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메갈리아와 워마드는 종래 대중적 포스트페미니즘 담론에서 구성되어 온 ‘남성 역차별’ 주장과 반페미니즘 정서를 비판함으로써, 여성들이 경험하는 성차별적 사회의 문제를 가시화 하고 페미니즘적 언어의 유효성을 주장하는 액티비즘을 시도한다. 따라서 모두 동시기 젠더 이슈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다양한 프로젝트와 시위를 기획하여 온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차이점을 보자면, 메갈리아의 활동은 온라인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워마드는 오프라인에서의 행동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위 전략에 있어서, 워마드는 그 이슈에 따라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계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로서 시위 주체의 이름을 비가시화 하고, 이슈 그 자체의 파급력을 키우는데 집중하여, 그 영향력을 지속시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워마드 이용자들이 기획하는 온라인 액티비즘의 전략으로서,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최소화 하고, 외부로부터의 인정을 기대하지 않는 내부 분위기를 통해 기능하는 측면이 있다. 워마드의 이러한 특징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일상화, 대중화라는 물질적 토대에 기반을 두고, 젠더 범주로서 ‘여성’의 시리즈와 그룹의 경계에서 작동하는 액티비즘을 지속하게 한다. 초기 메갈리아에서는 온라인 페미니스트 액티비즘을 지향하는 과정에, 시리즈와 그룹으로서 여성 정체성이 공존하는 긴장을 보였다. 이는 페미니스트 운동에서 정체성 정치학의 이슈와 관련된다. 메갈리아에서는 ‘여성’으로서 공유되는 성차별적 경험이 없더라도, 페미니즘을 지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다원적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실천을 인정하고, 오로지 ‘한국·이성애·시스젠더·남성’만이 공공의 적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메갈리아에서는 “뿌리 깊은” 구조 담론에의 지지와 함께, 성차별적 경험을 하지 않은 여성의 존재를 의심하지 않는 경향 또한 강하게 감지되었다. 이러한 긴장 속에, 2015년 말 메갈리아에서 벌어진 동성애 남성 혐오발언 논쟁은 “오로지 여성만”의 연대를 주장하는 워마드를 파생시켰다. 정보산업 중심의 신모계 사회를 주도하는 도시 유목민이자, 분노하는 여성들이라는 다층적 의미를 담은 워마드는 운동 주체로서 공유된 경험을 가진 여성을 호명함과 동시에, 다양한 사회문화적 성장 배경, 가치관, 상황 등을 가진 여성들의 차이 또한 지속적으로 고려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 ‘여성’은 운동 주체로서 정치성을 갖는 액티비즘의 당사자임과 동시에, 남성중심적 성별 규범으로부터 탈주, 해체되어야 하는 성별 정체성으로 여겨짐으로서, 둘 사이의 충돌되는 논점을 내재한다. 이 지점에서 워마드 이용자들은, 액티비즘의 주체로서 여성의 의미를 전 생애주기에 걸쳐 구성되는 경험과 인식의 공유에서 찾고자 하며, 그것은 차별적 경험이 몸에 체현되는, 즉 ‘보지’를 가진 자로 기획된다. 메갈리아와 워마드는 종래 젠더화된 사회구조에 대한 저항 방식의 하나로 언어, 기호, 상징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재구축을 시도하여 온 특징을 갖는다. 특히 언어는 무의식의 상징질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인데, 그러한 점에서 언어 규범의 재창조는 성차별적 현실에 대항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일상에서의 무의식적 전환 투쟁을 기획함을 보여준다. 메갈리아와 워마드 이용자들은 커뮤니티 활동 중에 새로운 언어 규범을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반란적 의미 체계의 지속적인 재구축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무의식적 상징 질서의 해방과 감정의 변화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메갈리아와 워마드 이용자들이 남성중심적 언어의 반복적인 비판적 수행을 통하여, 성차별적 경험을 야기하는 상징적 기제를 성찰하는 과정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즉 남근중심적 언어체계에 대한 비판적 자각과 재창조의 시도는, 무의식에 숨겨진 성차별적 경험의 우울을 지속적으로 해체할 것을 자극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성별을 설명하는 언어들에 대한 의심을 수반함으로써, 남성중심적 사회가 설명하는 ‘여성’을 새롭게 의미화 하려는 기획을 지속적으로 추동한다. 그럼에도 명예 남성, 트렌스 여성 등의 이슈는 액티비즘의 당사자로서 '여성 범주‘의 안정적 기획에 긴장을 가져온다. 특히 메갈리아에서 워마드가 파생되어 나온 과정에 액티비즘의 당사자로서 ’여성‘의 정체성이 더욱 강하게 주장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여성 범주의 기획은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는 명예남성에 대한 개별화된 방식의 낙인이 아닌, 명예남성의 특정 행위에 대한 비판에 집중하거나, 혹은 명예남성이 수행하는 남성(성)에 대한 혐오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기도 한다. 2016년 말에서 2017년 초에는 여성우월주의가 아닌, 남성멸시주의를 내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기도 하였는데, 이는 당초 여성우월주의가 성별이분법적 구도 안의 남성 주체를 기준으로 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비판 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 주체를 규정 혹은 해체하려는 방식에서 벗어나, 당초 타자로서 여성을 필요로 하는 단 하나의 주체 규범인 남성(성)에 대한 비판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 여성이란, 혹은 워마드 이용자들이란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계획”이라는 설명이 지속적인 지지를 얻어왔다. 특히 2015년 메갈리아에서 굿즈 소비 등을 통하여 현실에서 구체화 되었던 메갈리안으로서의 정체성은, 커뮤니티 내외부의 검열의 위험성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이후 워마드에서는 고정된, 단일한 그룹의 정체성으로서 인터넷 커뮤니티의 이름을 규범화 하려는 시도에 대한 비판이 강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워마드가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로서 소속감을 지양하고, 외부로의 인정을 기대하지 않는 것은, 어느 워마드 이용자의 주장과 같이, 워마드가 “실체가 없는 공기처럼 존재하는 공포”로 여겨짐으로서, 어떠한 효과를 의도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 여성(성)은 커뮤니티 외부에서 워마드를 악마화, 낙인화 하는 언어를 더욱 적극적으로 전유하고, 소비하는 방식으로서 여성(성)을 공포화 하는 전략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공포화의 전략은, 워마드 이용자들로 하여금, 더욱 예측하기 어렵고, 통제가 불가능하며, 충격적인 액티비즘의 실천을 정당화하는 기제가 된다. 주제어: 메갈리아, 워마드, 온라인 액티비즘, 연대, 여성 범주

      • 중국 보이차의 한국 시장진출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김리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 명차의 하나인 보이차는 각종 차 중에서도 개성을 가지고 있는 차이다. 보이차는 오래 묵히면 묵힐수록 고가품의 차이며 특별한 공정 과정의 제조 방식에 따라 독특한 맛을 가진다. 차는 오래전부터 세계인의 사랑을 받아오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그 맛과 멋을 중시해 왔다. 최근 이러한 차가 맛과 멋 이외에 건강에 좋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그야말로 차 마시기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에서 각계 사람들만 차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절의 음차(饮茶) 또한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양국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스님들께서 운남 원산지에서 차를 수입하는 수량도 크게 증가했다. 현재 운남 보이차가 한국으로 들어가는데 이는 두 종류로 나뉜다. 95%는 운남 원산지에서 구매하여 한국으로 수출되고 그 밖에 5%는 광저우, 선전, 홍콩 등지의 상인들이 운남에서 구매하여 자신들의 비법으로 보이차를 빠르게 숙성시켜 판매한다. 본 연구는 중국차와 보이차의 이론적 연구는 국내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인터넷상에서의 자료들을 통해 보이차의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등의 이론적 배경, 한국 차 시장현황 분석과 중국 보이차 수출생산 시장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은 선호도, 시장 점유율을 기초로 선정한 보이차 브랜드의 패키지 사례에서 형태를 비롯한 컬러, 심벌과 로고타입,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및 사진을 세분화하여 '디자인 요소의 다속성 요인별 분석'을 통해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앞의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중국 보이차가 한국시장 진출을 위하여 보이차 패키지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보이차가 한국시장에 진출하려면 차 패키지 디자인은 차 문화의 감성적인 것에 중점을 두고 맹목적이고 과도한 패키지를 피하여야 하며 중국 문화가 나타나는 중국적인 도안이나 요소를 사용하되 과도하거나 복잡한 디자인은 지양해야 하며, 한국 소비자의 미의식에 맞는 부드럽고 조용하고 자연주의적인 디자인과 컬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보이차의 패키지는 수천 년 중국 문화에서 없어서는 안 될 품격 있는 중국 특색과 면모를 갖춘 디자인으로 진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시장의 차 브랜드와 중국시장의 보이차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는데 한계로는 범위와 비교 대상에서 여러 브랜드 중 한 브랜드가 소유하고 있는 여러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다양하게 비교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보이차의 시장 전망은 중요한 산업의 한 분야이기 때문에 앞으로 심층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보이차가 한국 시장의 진출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보이차 패키지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부산지역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 주·야간보호서비스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리나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지역 주·야간보호서비스시설에 종사하는 노인복지인력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의 인식도 및 역할 중요도를 알아보며 그에 따른 주·야간보호서비스시설 내의 작업치료 수행 직무별 인식도와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79곳의 기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기간은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이며 총 97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야간보호서비스시설 종사자가 생각하는 작업치료사의 수행 직무별 인식도와 중요도는 작업치료 중재(인식도 3.905, 중요도 3.91)와 평가(인식도 3.835, 중요도 3.835)항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수행 직무별 인식도와 중요도에서 세부 항목에 따른 결과는 환자 중심 작업치료 중재에서 이동성 훈련치료(인식도 4.33, 중요도 4.32), 신체활동(인식도 4.24, 중요도 4.20), ADL 훈련치료(인식도 4.21, 중요도 4.20), 작업치료 평가에서 ADL과 IADL 평가(인식도 4.13, 중요도 4.13), 문서작업에서 작업치료수행일지(인식도 4.21, 중요도 4.23)가 높게 나타났고, 이외에도 보호자 중심 작업치료 중재에서 낙상 예방 교육의 중요도(4.09)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야간보호서비스시설에서의 작업치료사 업무 범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hows the awareness and rol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among workers at the Busan Day Care Cente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79 out of 120 organizations in Busan. The period was from April to July 2020, and a total of 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rst, Occupational therapists' awareness and importance of day care center work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work therapy arbitration and evaluation items. Second, the results of the detailed items in the recognition and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showed high mobility training therapy, physical activity, and ADL training therapy in patient-centered work therapy arbitration, high ADL and IADL evaluations in the work therapy evaluation, and high work therapy logs in document work. In addition, caregiver-centered work therapy interventions are found to be of high importance to education on preventing falls.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improving the scop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in the day care center.

      • 주거환경 내 부유곰팡이 발생특성

        김리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실내곰팡이 발생특성 조사와 실내곰팡이에서 발생하는 MVOCs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유곰팡이 측정, 실내 VOC분석, 직접방문지 평가, 환경인자 영향분석을 통하여 주거환경 내 유해인자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내곰팡이에서 발생하는 MVOCs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자료조사와 실험실 소형챔버 실험을 통해 MVOCs물질을 분석하였다. 실험실 실험은 가로 300 × 세로 200 × 높이 190 mm(내경 기준) 크기의 소형챔버를 제작하여 실내곰팡이 3 종(Stachybotrys chartarum, Aspergillus versicolor, Penicillium chrysogenum)에서 발생하는 MVOCs를 관찰하였다. 현장 실내공기질 실험결과, 부유미생물 중 곰팡이의 경우, 저습도(상대습도 50% 이하)보다 고습도(상대습도 70% 이상)일 때 약 40배의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공기 중 부유진균의 기준치인 500 CFU/m3를 조사대상 시료 수 중 14.6%(HVAC를 사용한 조사시설 총 7 개소 중 3 개소에 해당)가 초과하였으며, 모두 고습도일 때에 해당되는 농도로 확인되었다. 부유미생물의 농도를 저, 중, 고습도 조건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부유세균과 곰팡이 모두 저습도보다 중습도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고습도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거주형태 별로 관찰한 결과, HVAC시스템이 가동된 곳의 부유곰팡이 평균농도는 110 CFU/m3이었으며, 미가동된 곳의 평균농도는 331 CFU/m3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HVAC를 사용한 조사대상시설에서 실내공기질이 상대적으로 적절히 관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내 VOC 분석 결과, 저습도(상대습도 50% 이하)일 때 35 종이 검출되었으며, 고습도(상대습도 70% 이상)일 때 62 종의 VOC물질이 검츨되었다. 검출된 실내 VOC 물질 중, BTEX(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와 cinene, 1-nonanal은 매회 검출되었다. 또한 MVOCs 문헌자료와 일치하는 물질은 총 19 종이며, 2-ethyl-1-hexanol, decanal, ethylbenzene, n-decane, n-nonane, xylene 물질은 습도에 상관없이 매회 분석되었다. 매회 분석된 MVOCs물질 중 2-ethyl-1-hexanol과 ethylbenzene은 발암성 물질로써 노출될 경우 기도와 눈에 자극을 주며, 장시간 노출될 경우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있다. Acetophenone, heptane, linalool, n-undecane, α-terpineol의 경우 저습도에서는 분석되지 않았으나, 고습도에서 확인되었다. MVOCs 물질 중에서 4 종 물질(n-nonane, 3-octanone, n-decane, n-tetradecane)을 대상으로 정량분석한 결과, 3-octanone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별로 보았을 때 n-nonane(저습도: 1.12 ppb, 고습도: 1.76 ppb), n-decane(저습도: 2.78 ppb, 고습도: 3.55 ppb), n-tetradecane(저습도: 5.95 ppb, 고습도: 11.67 ppb)은 저습도 조건일 때보다 고습도 조건에서 약 2배정도 높은 농도가 관찰되었다. 실내곰팡이의 시각적 오염도를 평가하기위해 방문기록지를 적용하여 간이판정을한 결과, 조사항목 중 곰팡이 분포와 습기 항목은 저습도(상대습도 50% 이하)일 때 평균 7.3 점보다 고습도(상대습도 70% 이상)일 때 평균 7.9 점으로 약 0.6 점정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실내곰팡이 Stachybotrys chartarum, Aspergillus versicolor, Penicillium chrysogenum에서 발생하는 MVOCs물질을 분석하기 위해 소형챔버실험을 진행한 결과, 2-ethyl-1-hexanol, 3-octanone, n-decane, n-tetradecane, n-undecane 외 22 종의 MVOCs가 분석되었다. 현장에서 포집된 실내 VOC물질과 비교한 결과, 총 13 종이 MVOCs 물질과 일치하였으며, 2,6-di-tert-butyl-p-cresol은 저습도(상대습도 50% 이하), acetophenone, n-undecane은 고습도(상대습도 70% 이상)일 때에 확인되었다. 실내 VOC에서 MVOCs 정량 대상물질이였던 4 종 물질로 소형챔버에서 포집된 MVOCs 물질을 정량분석한 결과, n-nonane의 평균농도는 0.34 ppb(0.01 ~ 0.81 ppb)로 검출되었으며, 3-octanone은 2.58 ppb(1.42 ~ 4.14 ppb), n-decane은 1.58 ppb(0.54 ~ 2.93 ppb), n-tetradecane은 4.46 ppb(0.31 ~ 17.76 ppb) 농도로 검출되었다. MVOCs 포집시간에 따른 MVOCs양을 관찰한 결과, n-nonane은 배양기간 동안 곰팡이 종에 관계없이 10 일을 기준으로 MVOCs 양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n-tetradecane은 Aspergillus versicolor와 Penicillium chrysogenum에서 13 일을 기준으로 MVOCs 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으며, 이외의 물질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중학교 자유학년제 효과 분석 : 자유학기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리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유학년제의 효과를 자유학기제와 비교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시행 기간에 대해 변동이 극심해 학교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의 효과를 비교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특히 부수효과 모형에 입각하여 자유학년제가 의도한 효과와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가 자유학기제에 비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자유학년제가 자유학기제에 비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사교육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분석을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데이터를 통상자승회귀분석법(Ordinary Least Square)과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와 비교했을 때 자유학년제가 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단순히 시행 기간을 두 학기로 연장하는 것만으로는 자유학년제가 의도한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움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둘째,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에 비해 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를 모두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자유학년제 시행 이후 학력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의 시선이 기우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의 학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자유학년제 정책 집행에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에 비해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자유학년제로 인해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고 학생 및 학부모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자유학년제가 의도했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자유학년제가 의도하지 않았던 부정적인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적극적인 물적·인적 지원을 제공하여 자유학년제에 대한 교사의 업무 과중을 해소해야 한다. 자유학년제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의지하기보다 예산 부족, 체험처 중복,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 및 기초학력보장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지필평가가 시행되지 않는 대신 새로운 평가방법인 과정 중심 평가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과정 중심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확인하고, 이들을 위한 학습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년제 및 자유학기제 정책에 대해 증거 기반 의사결정(evidence-based decision-making)을 할 필요가 있다. 자유학년제에 대한 데이터 기반 연구들을 바탕으로, 실효성이 높은 정책을 채택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Free-year program by comparing it with the Free-semester program in South Korea.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between Free-semester program and Free-year program, causing substantial confusion in schools. It is important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and Free-semester program.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ded effects and the unintended effects simultaneously based on the side-effects evaluation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hadow education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the Ordinary Least Square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es, using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e effect of the Free-year program o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simply extend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to two semesters does not guarantee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Free-year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negatively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is finding supports the concern that students will underachiev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year program, suggesting that caution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more needed while implementing the Free-year program. Third, the Free-year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is suggests that trust in public education is decreasing and parents' anxiety is increasing. Overall, the positive effects intended by the Free-year program are not significant, while the negative effects which were not intended by the Free-year program are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the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relieve the burden of teachers' work through material and human support. To achieve the policy's goal, it is required to provide good quality education, by solving problems such as lack of budget, overlapping experience centers, and lack of manpower, rather than relying on teachers' manpower. Second,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nd guarantee basic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upport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hich is a new evaluation method compared to traditional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o actively provide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who do not reach the achievement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for the Free-year program and Free-semester program. Based on the data-based studies, it is necessary to adopt an effective policy and operate it stably.

      • 주택가격결정요인 중 교육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서울시 노원구 사례연구

        김리나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택시장의 초과수요를 발생시키는 한 요인으로 교육초과수요를 꼽을 수 있으며 이는 일부 투기 세력에 한정되지 않고 국민 전체가 투기적 수요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환경으로 인한 교육초과수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결코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기존의 주택가격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물리적‧환경적‧입지적 요소들 중 어느 일부분으로 다루어져왔을 뿐, 교육환경을 중요 독립변수로 한 연구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는 우리 현실에서 매우 중대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고 객관적인 연구와 정책이 활발히 뒷받침되지 않는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서울시 노원구의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주택가격결정에 관한 영향지수를 계량분석모형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는 노원구 5개 동, 124개 아파트 단지 중 총 200개의 아파트 표본을 추출하여, 1단계로 현황분석을 통해 노원구의 교육환경이 과연 우수한지의 여부에 대한 객관적 검증작업을 거쳤으며, 2단계로 헤도닉가격모형(HPM)을 통한 주택가격결정의 주요 변수들에 대한 자료수집 과정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의 OLS 추정법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종속변수로는 2006년 1분기와 2007년 1분기 국토해양부 아파트매매 실거래가격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아파트의 물리적 요소, 지하철역세권, 교육환경 등을 포함한 총 10개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형 II에서 아파트가격은 아파트 평형, 총 세대수, 가구당 주차대수, 역세권 등급, 학군, 사업체 수 등에 대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교육환경 중 명문 중‧고교의 인접 여부와 통학거리에 따라 8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바, 아파트가격이 특목고 진학률 5위권 내 및 4년제 주요대학 진학률 5위권 내를 기록한 학교와 인접한 경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진학률 5위권 밖 학교 인접의 경우는 대부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매매가격의 경우, 가장 낮은 등급의 중‧고교 인접에 비해 가장 높은 등급의 명문 중‧고교가 인접한 경우 동일 행정 동 내에서도 아파트 매매가격이 최저 9.1%, 최고 31.4%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III에서는 2006년, 2007년의 변수들을 모두 종합하여 시차에서 미처 추계해내지 못한 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모형 II와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등급 인접과 비교하여 명문 중‧고교와 인접한 경우 여전히 최저 8.8%, 최고 31.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교육수요자들은 최고 31.5%의 더 높은 아파트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음을 실증분석에서 밝히고 있다.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사설학원이 지역 교육환경 및 주택가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실증분석에서는 공교육 환경에 비해 그다지 많은 영향을 받고 있지 않았으며, 둘째 교육투자의 산출(output) 효과가 특목고 진학률, 대학진학률 등 명시적으로 나타남으로 인해 주택가격과 공교육 환경이 매우 동태적(dynamic)인 관계에 있다는 점이며, 셋째 지하철역세권의 여부와 명문학교 인접 여부가 서로 상충하는 여건 하에서는 비역세권이면서 명문학교와 인접한 경우가 비교우위를 점하며 더 높은 주택가격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육수요자의 의사결정은 매우 지역적이고 국지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주택가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교육초과수요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도시 및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있어 우수교육시설, 특성화학교 등의 공교육인프라를 지역균형적인 계획입지를 실현함으로써 지역 간 교육기회 불균형으로 인한 국지적 주택초과수요를 해소하고 소득계층 및 사회계층의 분화를 방지하는 정책적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