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관련 문제 중심의 교과수업이 아동의 장애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경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gularly developed children's recognition and behaviors towards handicapped children by addressing various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his detailed study aims to achieve the above stated through the following : First, how does the clas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affect regularly developed children's recognition towards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how does clas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affect regularly developed children's behaviors towards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order to clarify the issues above,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was conducted during regular class hours using 60 5th graders in two elementary school classes. The recognition and behaviors of regularly developed children were examined through their school lives, individual lives and social lives.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by a Two-way ANOVA of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groups and gender.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general children towards the handicapped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s to their gender, which implies that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have a positive impact on regularly developed children's recognition towards handicapped children regardless of gender. Second,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chool life behaviors of regularly developed children towards the handicapped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s to their genders, which implies that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have a positive impact on regularly developed children's school life behaviors towards handicapped children regardless of gender. Third,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dividual life behaviors of general children towards the handicapped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s to their genders, which implies that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have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individual life behaviors towards handicapped children regardless of gender. Fourth, classes focusing on issues regarding the handicapped were no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life behaviors of regularly developed children towards the handicapped children.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the range of subjects should be broadened in the following studie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Second, considering that 6-week disability-awareness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regularly developed children's recognition and behaviors towards the handicapped children, detailed methods should be reviewed to maintain the changes in their behaviors. Not only positive changes but also continuous disability-awareness programs are important in order to maintain and stabilize those positive behavioral changes.

      •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정신지체학생의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

        고경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 적용이 정신지체학생의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다. 둘째,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 적용이 정신지체학생의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다.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프로그램 적용 결과 정신지체 학생의 자율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개인별로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훈련이 이루어 질 때에 정신지체학생들의 자율성 신장에서 상당한 향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정신지체학생의 자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교육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 교수 방략의 구안․적용이 절실하다. 둘째, 자기결정프로그램 훈련 결과 정신지체학생의 심리적 역량이 향상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후검사 단계에서 사전 검사보다 향상을 나타냈다. 이는 정신지체학생의 심리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하고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앞으로의 연구과제 및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실험집단만 한정하여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전후 효과를 알아보았으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연구와 자기결정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자율성, 심리적 역량 하위 내용에 대한 교수 전략과 함의 탐색에 역점을 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주로 경도의 정신지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인 현실에서 중도 정신지체 학생이나 기타 장애 영역의 장애학생의 특성과 요구 조건에 맞도록 좀 더 세분화된 단계별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에서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수정을 통해 정신지체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Autonomous Func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ut of the sub-factors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determination ability. The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mentally retarded students' Autonomous Functioning. Second, the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mentally retarded students' Psycholog -ical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mentally retarded students' Autonomous Functioning. improved. It is presumed that the application of an efficient, systematic program for a long period would exert a great deal of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mentally retarded students' Autonomous Functioning.. Second, after receiving self-determination program training, mentally retarded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Overall, their scores for Psychological Empowerment. became higher after the training. This indicates that an appropriate systematic training is needed to enhance mentally retarded students'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study presented some suggestions on the tasks and direction of future studies. It is suggested that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comparison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utonomous Functioning by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r the exploration of a teaching strategy on the sub-conten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its implic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detailed step by step determination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the features and demand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or students with other disabilities.

      • 동화를 활용한 읽기학습전략이 읽기학습 부진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경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읽기 학습 전략이 읽기 학습 부진아의 단어 재인 능력 및 내용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U초등학교 3학년 읽기 학습 부진아 3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 - 중재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동화책을 활용한 읽기학습전략이고 종속변인은 읽기 능력이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연구대상의 단어 재인 능력과 내용이해력을 평가하였고 읽기학습전략 중재를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아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읽기학습전략은 읽기학습 부진아동의 단어 재인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읽기학습전략은 읽기학습 부진아동의 내용 이해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읽기 수준에 맞는 동화책을 선정하여 5단계의 읽기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읽기 학습 부진아동의 읽기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독서에 흥미를 느끼고 책 읽기에 자신감을 갖고 학습에 스스로 참여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교육적으로 유의미함을 보여주었다.

      • 아동용 정서표현양가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고경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의 정서표현양가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첫째, 아동용 정서표현양가성 척도의 문항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아동용 정서표현양가성 척도의 요인구조는 어떠한가? 셋째, 아동용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는 타당한가? 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과 관련된 문헌연구와 아동이 정서표현양가성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FGI를 실시하여 문항제작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의 개념 참조들을 구성하고 총 116개의 기초문항을 작성하였고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96문항을 선별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 방식의 예비조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예비조사는 초등학생 4~6학년 3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에 따라 문항추출기준을 벗어나는 문항을 삭제하였다. 분석결과 7요인 구조, 31문항이 적절할 것으로 보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걸러진 31문항으로 전국의 초등학생 4~6학년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 자료에 대해 문항분석을 실시했고 전체 척도와 상관이 떨어지는 문항을 삭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18문항이 적절할 것으로 보였으나 후에 전문가 내용타당도 결과를 토대로 요인을 수정하여 다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3요인 15문항으로 조정하였다. 아동용 정서표현양가성 척도가 타당한지 검증하기 위해 수렴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아동의 정서인식 및 표현어려움을 측정하는 도구인 EESC, 그리고 우울, 불안, 공격성을 측정하는 YSR의 내재화척도 및 공격행동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수렴타당도를 보기위한 EESC와 공인타당도를 보기 위한 내재화 및 공격행동 척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문항내적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척도 전체의 Cronbach’s α 값이 .89이며 하위영역별 신뢰도는 .73에서 .8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심리적 구인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아동들로부터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에 대한 현실성을 높였다. 기존의 척도는 외국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했던 것에 비해, 전국 단위 표집을 통해 국내 아동의 특성을 반영한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를 개발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적인 절차를 거쳐 아동의 정서표현양가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진 척도는 국내 아동의 정서표현특성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정서표현어려움을 겪는 아동에 대한 상담 및 개입에 도움울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서표현어려움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으로 적절한 정서표현방법 및 정서조절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능적 과제를 통한 다관절 관절위치감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관절위치감각, 균형,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경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경학적 문제를 가진 환자의 평가와 치료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뇌졸중 발병 환자의 65%는 고유수용성 감각의 상실을 경험한다. 고유수용성 감각 중 관절위치감각의 상실은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자세조절 능력저하, 보행속도와 보폭의 감소를 유발하므로 균형과 보행능력 향상을 위해서 관절위치감각을 고려한 운동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은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단일관절에 집중적으로 적용되는 훈련으로 수행되거나 불안정한 지면 위에서 자세를 잡는 수행력 중심의 훈련을 제안하였으나 운동이나 일상생활 활동, 계단 오르기나 장애물 넘기와 같은 과제지향적인 기능적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단일 관절이 아닌 다관절의 협응된 움직임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재의 방향은 단일관절이 아닌 다관절의 고유수용성 감각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재활훈련 프로그램으로 기능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다관절 관절위치감각 훈련을 수행하는 실험군 9명과 일반적인 신경발달치료만 수행하는 대조군 9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다관절 관절위치감각 훈련 10분과 일반적인 신경발달치료 20분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신경발달치료만 30분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주 5회, 6주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다관절 관절위치감각 훈련이란 하지의 고유수용성 감각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정해진 공간에 하지를 위치시키는 훈련이다. 다관절 관절위치감각의 측정은 수행하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5번째 중족골이 바닥에서 가장 높게 위치한 순간을 캡쳐하여 영상기반 동작분석 시스템인 image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오차거리를 계산하였다. 균형 능력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와 버그균형척도 검사로 측정하였고, 보행 능력은 10 m 걷기 검사와 4 계단 오르기 검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통계적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두 군 간 중재 전·후 차이와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각 군의 중재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관절 관절위치감각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오차거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버그균형척도 검사와 10 m 걷기 검사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5),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와 4 계단 오르기 검사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각 군의 전·후 비교는 실험군에서 다관절 관절위치감각과 4 계단 오르기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5), 그 외의 검사는 향상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다관절 관절위치감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관절위치감각과 균형, 보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훈련이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계단 오르기와 같은 기능적인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중재방법으로 제안한다.

      • 농인의 맹 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고경희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Koung-hee Koh Major of Social Welfare in Korean Sign languag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Chongshin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eople with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and their experiences living as this disability. Until recently,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 sign language interpreter. These‘indirect interviews’were unable to properly illustrate how the individuals came to adjust to and accept their Deaf-Blindnes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experiences of Deaf-Blind people through in-depth interviews utilizing tactile sign language, which is the language that the study participants use. In order to outline a goal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offered the following question: ‘What kind of experience do people who are born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For the study, phenomenological research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in order to understand subjects’ experience in detail. The Giorgi analys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depth interview data for four subjects. In addition, the research consisted of 128 semantic units, 6 clear themes, 17 exposed themes, and 61 meaning-oriented. There were six prevalent themes that came about from the study. The first one was ‘another disability I never imagined’. Words such as ‘my vision got blurred all of sudden’, ‘being afraid of accepting the reality’, and ‘being forced to give up on things I was able to do’ were common. The subjects who already had difficulty living with one disability, ‘deafness’, had even more difficulty with the second disability, blindness. Since the subjects became Deaf-Blind unexpectedly, they had to quickly give up on things that they were able to do with their vision before. The second theme was‘communication barrier.’They expressed‘the barrier of communication and distance from people,’ ‘feeling as if abandoned at sea,’‘not being able to see or hear,’‘becoming more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the family,’ and ‘a wall being built between Deaf friends’. The subjects felt that they were totally isolated and no longer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ey felt like they were abandoned at sea. They became distant from their friends and families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The isolation they were feeling was more mental than physical . The third theme was lack of independence. It included‘(a) life depending on others,’‘being deceived of by their personal assistants,’ and ‘being afraid of going outside.’The subjects in the study could not use their vision and hearing, so they became afraid of going outside for safety reasons; In conclusion, it was not because they lacked the courage. They were also taken advantage of by personal assistants. Due to the personal assistants not being around twenty-four-seven, the participants gave up going outside and stayed home alone when personal assistants were not available. The fourth theme was about ‘challenge and frustration, and struggle to live.’ They only had ‘(the) little opportunity to gain re-employment,’ saw the world ‘only through touch,’ felt ‘(the) urgency to learn Braille,’ and became used to live as Deaf-Blind person after ‘accepting the vision loss.’After the subjects decided to accept their deaf-blindness, they tried to overcome the barriers in their lives. They received training to work as a massage therapist to gain re-employment, but they were rejected because of their deaf-blindness. They learned that they had to work harder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erefore, they put greater effort into doing so and their lives gradually became more stable as a result. They had to learn to interact with the world through touch instead of vision and hearing. Braille also gave them a way to receive the news and live their own lives. The fifth theme was about ‘(an) oasis that was found in the desert of information’. This included ‘we are never alone with our organization, Songeutsae,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are in the same situation’, and ‘assistive technology was the light of my life’. The subjects were all alone (by themselves) until they joined the Deaf-Blind community. The subjects were not able to meet others who were Deaf-Blind just like themselves and nobody guided them through the Deaf-Blind community until they made contact with ‘Songeutsae’, the Deaf-Blind community. There, they met people who were in the same situation, shared their experiences, exchange information, and receive assistive technology. Assistive technology is costly, so it is not easy for people to find helpful resources. However, in the future, if they are able to receive one without limits, they are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go outside without being isolated from society. The final theme was ‘finding hope.’ They stated, ‘I am becoming more hopeful,’ ‘I met Jesus at the edge of the cliff,’ and ‘(I’m) having dreams of the future again.’At the lowest point, some felt as if a savior came to guide them. As the subjects began to experience many positive changes and growth in their lives, they began to appreciate what they gained and hoped for others to go on the same journey as them. Although they never imagined that they could become a spouse to someone in the past, they started to dream of their ideal spouse like Sullivan.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study. First, the study should not be taken as experience of Non-Christian ’with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Second, the study should not be taken as experience of non member of‘Songeutsae’with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 Nonetheless, this study retains great significance for illustrating the lives of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clearly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to analyze the personal experiences of being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This study explored in-depth the reality of Deaf-Blind lives that cannot be fulfilled by just a littl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By conducting interviews for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starting from when they began to lose their vision until the present, this data has the potential to help establish laws and a more proper social support system for Deaf people who acquired blindness individuals. Key words: Deaf, hearing and speech disorders, deaf-blindness,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Deaf-Blind, qualitative research, phenomenological study, Giorgi 국문초록 농인의 맹 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농인의 맹 과정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까지 국내의 농맹인에 대한 선행연구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를 동시에 가진 중복장애에 초점을 맞추어 농맹인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였고 농인의 맹 과정 경험에 대한 심층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인 농기반농맹인은 농인이 후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진 대상자로서 시각·청각·언어장애로 인해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만을 가진 중복장애인 보다 갑절의 고충을 겪는다. 농기반농맹인이 겪는 고충을‘농맹인’이라는 중복장애유형으로 묶어서 함께 설명하기에는 그 심각성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런 이유로 연구자는 농기반농맹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선행연구가 농인이 후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지게 된 경우와 맹인이 후천적으로 청각장애를 가지게 된 경우를 구분하여 농맹인에 대해 논의 하였더라도 참여자인 농기반농맹인 당사자의 이야기를 듣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연구자가 농기반농맹인의 모어인 수어의 사용자가 아니었으므로 당사자의 이야기를 담아내기 위한 인터뷰라고 하더라도‘수어통역사’를 섭외하여 간접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이다. 참여자의 경험을 연구자가 직접 듣고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것과 간접인터뷰를 통하여 전달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도구가 되어 참여자와 직접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참여자는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아는 사람과 소통한다는 의미에서 친밀감과 안정을 얻었으며 연구자는 인터뷰를 통해 참여자들의 진솔한 경험을 들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농인의 맹 과정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인의 맹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활용한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며, 분석 방법으로는 지오르기(Giorgi) 분석 방법을 선택하여 참여자 4명의 심층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농인이 경험한 맹 과정 경험에 대한 원자료(raw data)를 분석한 결과, 128개의 의미단위를 구성하였고, 6개의 명확한 주제, 17개의 드러난 주제, 61개의 중심 의미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첫째 명확한 주제는,‘상상도 못했던 또 다른 장애’이며, 드러난 주제는‘갑자기 흐려진 시야’, ‘받아들이기 어려운 현실에 대한 두려움’, ‘내려놓음, 그나마 할 수 있었던 일들조차 포기해야 하는 현실’로 구성했다. 참여자들은 하나의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도 쉽지 않은 삶에서 또 다른 장애를 더 감당해야하는 난관에 부딪힌다. 자신도 모르게 시작된 농맹을 경험하면서 시각으로 할 수 있었던 일들이 줄어들고 있음을 체감하며 하나 둘씩 내려놓았다. 둘째 명확한 주제는, ‘소통의 벽, 마음의 거리’이며, 드러난 주제는‘망망대해,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는 고립된 나’, ‘더 어려워진 가족과의 소통’, ‘농인 친구들 사이에도 생겨버린 벽’으로 구성했다. 참여자들은 소통할 수 있는 모든 통로가 막힘으로써 철저히 고립되었으며 망망대해에 혼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경험했다. 참여자들은 친했던 친구들조차도 거리가 생기고 날마다 살을 맞대며 살던 가족과의 소통도 줄어들면서 물리적 고립이 아닌 정신적 고립에 직면하였다. 셋째 명확한 주제는,‘의지해야 하는 삶’이며, 드러난 주제는‘이용자를 기만했던 활동지원인’, ‘두려워진 바깥세상’으로 구성했다. 참여자들은 시각과 청각을 전혀 활용할 수 없는 장애가 생기면서 바깥세상이 두려워졌다. 혼자서 외출 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일이었고, 용기를 낸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참여자들은 어쩔 수 없이 타인에게 의지해야 하는 삶을 살게 되었고 그 중 한명이 활동지원인이다. 그러나 참여자 중 일부는 활동지원인이 참여자의 장애를 이용하여 자기 실속을 채우는 경험을 한 예도 있었고, 참여자의 선택이 아닌 제한된 활동지원 시간으로 인해 지원이 없는 시간은 외출을 포기하고 혼자 지내야 하는 경험을 한 예도 있었다. 넷째 명확한 주제는, ‘ 도전과 좌절, 살기 위한 몸부림’이며, 드러난 주제는 ‘좁은 문, 녹록치 않은 재취업’, ‘만져야 보이는 세상’, ‘발등에 떨어진 불, 점자’, ‘ 어두운 삶을 받아들인 후에 찾아온 익숙함’으로 구성했다. 참여자들은 농맹을 받아들여 보기로 결심하면서 사방으로 막혀진 삶의 막막함을 뚫어보려 안간힘을 썼다. 어떤 참여자는 재취업을 하려고 안마를 배웠으나 시각장애뿐만 아니라 청각장애까지 있다는 이유로 거부를 당하면서 삶의 좌절을 맛본다. 참여자들은 타인과의 소통을 위해 자신이 노력해야할 것들을 발견한 후엔 죽을힘을 다해 그것에 매진했으며 그로인해 조금씩 안정을 되찾기 시작했다. 참여자들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 보다 촉각으로 세상 느끼기를 시도했고 점자를 이용하여 소식을 들었으며 어느덧 익숙해진 농맹인의 삶 가운데 나름의 방식도 생겼다. 다섯째 명확한 주제는, ‘정보의 사막에서 발견한 오아시스’이며, 드러난 주제는 ‘동병상련, 혼자가 아닌 우리 ’, ‘쥐구멍에 빛이 되어준 보조공학기기’로 구성했다. 참여자들은 농기반농맹인 커뮤니티를 만나기 전엔 철저히 혼자였다. 참여자들은 자신과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을 만날 수도 없었고 농기반농맹인이 있는 곳에 누군가 안내해 주지도 않았다. ‘손끝세’라는 농기반농맹인의 커뮤니티를 통해서 자신과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고, 그들과 함께 삶을 이야기하고 정보를 교류했다. 또한 참여자들은 점점 발전되어가는 보조공학기기를 통해 혼자 갇혀진 세상이 아닌 함께 하는 바깥세상으로의 진출을 시도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보조공학기기가 아니기에 농기반농맹인이 보조공학기기를 마음껏 쓸 수 있는 날이 오면 그동안 하지 못했던 소통도 하고 정보도 들으면서 살아보기를 기대하고 있다. 여섯째 명확한 주제는,‘조심스레 가져보는 희망’이며, 드러난 주제는‘벼랑 끝에서 만난 예수님’, ‘설리번, 내 마음 속의 이상형’, ‘다시 꿈 꿔 보는 미래’로 구성했다. 참여자들은 더 이상 갈 곳이 없다고 생각한 막막한 벼랑 끝에서 예수님을 만났다. 그 후로 참여자들에게 인생의 변화가 찾아왔고 자신의 변화를 감사하며 타인도 그렇게 되기를 바랐다. 참여자들은 농맹인이 되면서 자신이 누군가의 배우자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지만 이제는 조심스럽게 마음속으로나마 설리번 같은 사람을 미래의 배우자 이상형으로 꼽았다. 또한 혼자가 아닌 함께 한 세상은 용기 내어 살아갈 만하다고 생각했기에 자신이 받았던 관심과 사랑을 타인에게도 나누어 주는 자리에 서게 되길 소망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를 농맹인 선교단체인 ‘손끝세’내에서 찾다보니 기독교인 중심의 참여자가 선정되어 비기독교인 농기반농맹인의 경험은 배제되었다. 둘째, 본 연구를 위해 친분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고 촉각수어로 소통이 가능한 참여자를 찾다보니 농기반농맹인커뮤니티에 정기적으로 참석하는 농맹인 중에 참여자가 선정되어 농기반농맹인 커뮤니티를 경험한 적이 없는 농기반농맹인의 경험은 배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 농기반농맹인과 관련된 주제의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농인의 맹 과정 경험에 대한 본질을 밝히고 이해하였다는 것에 상당한 의의가 있다. 당사자의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농인의 맹 과정 경험을 진솔하게 조명했으며, 참여자들이 농맹을 경험하면서 장애 발생 초기부터 현재까지 삶의 과정을 당사자 인터뷰를 통해 듣는 일은 우리 사회에서 간과했던 농기반농맹인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독자들에게 올바로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단순히 시각·청각장애 각각을 위한 사회 지원만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농인의 맹 과정 경험의 현실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으므로 농기반농맹인에게 필요한 제도나 사회적 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 농인, 농맹, 농맹인, 농기반농맹인, 질적 연구, 현상학적 연구 , Giorgi

      • 성교육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성지식, 성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고경희 東新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만성정신분열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치료체제가 시설수용개념으로부터 인권의 존엄성과 권익이 보장되는 탈원화 추세로 변화된 현실에서 성의 개방화와 인터넷 등의 부정적인 성 정보의 범람은 이들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능이 위축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성관련 지식과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간호중재 방법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 정신건강 전문가들에게 정신장애인의 성문제에 대한 방향성 제시 및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인 유사 실험연구로써 2008년 6월 30일부터 7월 25일까지 S시에 소재한 960병상 규모의 정신과 단일전문병원 폐쇄병동에 입원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48명을 선정하여 실험군 26명,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처치는 인지행동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구성한 성교육프로그램으로서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인구보건복지협회에서 적용한 성교육프로그램과 SIECUS(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의 ‘종합적인 성교육 지침서’ 내용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개발하고 정신과 전문의 2인과 인구보건복지협회 성교육/성상담 전문가의 자문 을 받아 수정보완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2회 4주간 매회 70분씩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성지식, 성태도 및 자아존중감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test와 t-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추가분석으로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성지식 점수는 대조군보 다 더 증가하였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672, p=.010). 2) 제2가설: 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성태도 점수는 대조군보 다 더 증가하였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528, p=.015). 3) 제3가설: 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대조 군보다 더 증가되었으나,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4) 추가분석: 대상자의 성태도는 성지식(r=.890, p=.001), 자아존중감 (r=.359, p=.012)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성교육프로그램은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성관련 지식을 증가시키고 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대인관계에서의 위축과 사회적응능력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화된 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올바르고 바람직한 성 도덕성의 발달과 가치관 정립으로 사회적인 기능과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aradigm of treatment of chronic schizophrenia has been changed toward de-hospitalization where the right and dignity of patients are ensured. In this environment, those patients are exposed to and negatively influenced by harmful sexual material and information that are easily accessible on internet and the mass media.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understand effectiveness of sex education program on sex knowledge, sex attitude and self-esteem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48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30 to July 25, 2008 at a closed ward in a psychiatric hospital in S city. This experimental research involved sex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gnitive-behavioral theory.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based on the program developed by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under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1996) and the current sex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d by SIECUS(1998).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8 sessions for 70 minutes per session.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ols of sex knowledge, sex attitude and self-esteem were used on pretest and posttest.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core of sex knowled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2.672, p<.010). 2. The score of sex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2.528, p<.015). 3. The score of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4. In additional analysis sex attitude of subjects was fou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 knowledge(r=.890, p=.001) and self-esteem(r=.359, p=.012).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knowledge and attitude of sex. However it did not establish strong evidence of effectiveness in changing the degrees of self-esteem of the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recommend that sex education program should be undertaken regularly i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