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중소수출기업의 전자무역 활용 및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盛慧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usage and performance of the e-trade in Chinese small and medium exporting firms(SM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and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to the Chinese SMEs, which have been using the Internet and EDI systems in their international trade processes. The type of business is manufacturing or foreign trade, both of the sampl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company list, which was prov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and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trade, the factors proposed for this study includes the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 factors. The factors proposed in the model were analyzed by SPSS 15.0 package and evaluated by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is was assessed by computing Cronbach's Alpha and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onstru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xternal environment factors(pressure from business partner, intra-industry competition and e-trade promotion base), the finding express that pressure from business partner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Trade usage level, intra-industry competit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on the degree of e-trade usage, but e-trade promotion base is still keeping in low level in China, so it's not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 e-Trade usage level. Secondly, among the organizational factors(CEO's support, education and training and maturity of IT infrastructure), the finding express that CEO's suppor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Trade usage level and education and training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on the degree of e-trade usage, but maturity of IT infrastructure is not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 e-Trade usage level. Thirdly, among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 factors(trust, relationship invest, exchange of information), the finding express that trus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Trade usage level and relationship inves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on the degree of e-trade usage, but exchange of informat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on the rang of e-trade usage.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e-Trade usage level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Trade performance in Chinese SMEs.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and promote the usage of e-trade in Chinese SME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trade environment, develop and implement more laws and regulations. In case of small and medium sized exporting firms, which need more CEO's support, education and training and trust, the results express that relationship investment and exchange of information were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facto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with the opportunity to small and medium sized exporting firms which not used yet, could be aware of advantages when they fully utilize e-Trade, so they can introduce and use e-Trade for the business. Futhermore, it'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determinants of e-Trade Usage and Performance in Chinese's small and medium exporting firms.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

        성혜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research aims to divide motive of the volunteer activities into other-directed motive and self-directed motive referring to Francies' theory and suggest plan increases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s verifying mediator effects of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ive of the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The date of analysis was from the Elderly Life Conditions(2011)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joint research team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06 valid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using the SPSS statistic 19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elderly have altruistic motives are more satisfied with life satisfaction than the elderly have egoistic motives. Second, the elderly have altruistic motives are more satisfied with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than the elderly have egoistic motives.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is influential to life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 between the motive of the volunteer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satisfaction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를 Francies의 이론을 참고하여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로 나누고,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1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 자원봉사자 406명이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Statistic 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선형회귀분석,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지지되었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 중 이타적 동기를 가진 노인이 이기적 동기를 가진 노인에 비해서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사회에 환원한다는 마음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임하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되었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동기 중 이타적 동기를 가진 노인이 이기적 동기를 가진 노인에 비해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지지되었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의하여 매개될 것이라는 [가설4]는 지지되었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부분매개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자궁내막암세포주 Hec-1 에서 Platinum 항암제와 Metformin 는 SGLT2-Inhibior 병용투여의 항종양효과 연구

        성혜 순천향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1823

        최근 서구화된 식습의 변화로 전형적인 선진국형 여성 암인 자궁내막암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13년 11,629명에 서 2017년 17,421명으로 약 50 % 증가하으며, 2018년에는 2622명이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되었다(앙 암 등록본부, 2018년 12월). 모든 연령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료 받은 환자가 많아 졌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105.4 % (2013년 148명 → 2017년 304명), 30대 58.3 % (893명 → 1414명) 로 20 ~ 30 여성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즉, 이전에는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주로 발생하던 자궁내막암이 이제는 젊은 여성도 자궁내막암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3대 여성 암의 판도 역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 여성의 생명을 하던 자궁경부암은 지속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환자 수가 적고 고령에서 발생하는 난소암과 자궁내막암 발생이 점차 증가하 고 있다. 특히, 20- 30대 은 젊은 층에서도 자궁내막암과 난소암 발생이 늘고 있는 추세다. 발생학으로 상기 두 가지 암은 서구식 식생활과 비만의 증가, 늦은 결혼, 저 출산, 비혼(非婚) 등 최근의 사회적 현상과 도 무관치 않다. 자궁내막암의 경우에는 50 % 이상이 비만과 연관되어 있다. 미국 통계에 의하면 자궁내막암의 57 %는 과체중 및 비만이 자궁내막암 발생에 영향을 준다고 하다. 또한, 고혈당, 고인슐린 혈증,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증가 등이 보이는 제2형 당뇨 역시 자궁내막암 발생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비만과 당뇨는 자궁내막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므로, 당뇨병 치료제인 메포르민을 자궁내막암 치료에 도입하는 연구들이 이어져왔다. 저자들은 메포르민 외에 다른 당뇨병 약제들도 항암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들 중 SGLT2-I (Sodium 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Suglat)를 선택하고 메포르민과 비교하여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방법으로 SGLT2-I의 보조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살피고자 연구를 시작하다.

      • 시대정신으로서의 독일 반더포겔 운동과 최근 한국 대중음악 동향 비교 연구 -세기전환기 '청년'의 상징들과 <방탄소년단>의 자기상징화를 중심으로-

        성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The study aims to analyse the background of an unusu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nsation of South Korean boy band Bangtan Boys(BTS), especially in Western world, which seemed to have relatively little preference of K-Pop compared to Asian countries where K-Pop is commonly preferred. The fact that BTS’ music, despite being part of the existing K-Pop genre, is earning global popularity that has not yet been brought about by other K-Pop artists, suggests that there is an extra-musical element that goes beyond a particular culture. Especially in case of BTS, the visual elements of their music albums, such as photos and videos, are the key to their music. The question of what messages are being generated through these visual ‘representations’ and what needs of the fandom are met is a main task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music text of BTS basically consisted of their autobiographical contents and with a variety of metaphorical motifs the theme ‘various aspects of youth’ is expressed. The core theme of the series of music albums released so far can be summed up in three main categories. They include ‘self-expression as a group/band having strong ties to the youth’, ‘sympathy for the young generation’s suffering’, and ‘strong will to find true and independent self’. It is suggestive of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that the relationship of Bangtan Boys and their fandom is defined with the code ‘Boy Scout - Comrades(ARMY)’ and that their albums are highly inspired by ideas of two key people from German-speaking countries of the 20th century : Hermann Hesse, a German author who was revered by many young people as the representative ‘icon of youth’ of the 20th century and his work Demian also known as “Creative Destroyer”, and Carl Gustav Jung, a Swiss psychoanalyst, and his theories about collective unconscious and individuation process. Together with previously mentioned factors, several specific motifs that are repeatedly presented in the music text of BTS clearly indicate the historical context in Germany at the turn of 20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various Leitmotifs in the music text of BTS are quite similar to the representations and symbols of the “Wandervogelbewegung (Wandervogel-movement)”. It was a representative youth movement by which the youth discourse, which was a prevailing theme of German Romantic intellectuals and artist in the 19th century, was historically “actualized” at the turn of the 20 century. Moreover, the core theme of their music are almost in line with the spirit of the Wandervogel-movement. Meanwhile, the Wandervogel- movement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German spirit, namely “Idealization of German people as citizens of the world”, which was advocated by intellectuals and artists in Germany. At that time, young people tried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in the brotherhood with the world through Wandervogel-movement. In particular, various magazines published by many small groups under the Wandervogel-movement were a place for debate on generational identity. Through this “media”, young people of Wandervogel sought for a model for themselves by discussing the works of writers who wrote mainly about youth, for example, like Hermann Hesse. What is significant here is that the ideal of ‘self-identity in the brotherhood with the world’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ie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symbols of “youth”. In short, if the discourse of the Wandervogel movement can be indicated and delivered through the albums of BTS and the recent cultural phenomenon caused by them, the unprecedented sensation of K-Pop band BTS in the Western world, which no other K-Pop artists could arouse, can be somewhat explained. In other words, the youth discourse, which had been actively brought up by German Wandervogel-movement, has been reignited today interacting with other youth discourses in other cultural/historical backgrounds. These cultural/historical phenomena, in which youth discourse was revived and broadly discussed, could encourage future young generation to seek “healthy ego” and provide a desirable model of it. The fact that this kind of movements all happened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ere historical changes are expected, can possibly infer a “repeatability of history”. Future studies will be required to ascertain whether the ‘BTS phenomenon’ of nowadays can function as a youth movement, or rather, whether the new media K-Pop can be a way for a youth movement, and what features can possess “the youth movement of the third millennium” 이 연구는 한국의 이른바 ‘케이팝 아이돌 K-Pop Idol’ 그룹 <방탄소년단>이 국내외에서 거두고 있는 이례적인 반향, 특히 ‘케이팝’의 적극적인 수용지역인 아시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온한 반응을 보였던 유럽/독일 및 미주 등 서구권에서 유례없이 커다란 반향이 일어나는 배경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방탄소년단>의 음악이 기존의 ‘케이팝’ 장르에 속한다는 점에서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음악이 지금까지 동종의 음악이 이끌어 내지 못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점은 이들에게 특정 문화를 넘어가는 음악 외적인 요소가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들의 음악에서 매우 특징적인 것은, 뮤직비디오를 위시하여 각 인물의 개성을 부각시키는 홍보 사진이나 기타 영상물 등의 시각적인 요소이다. 바로 이러한 시각적 ‘표상’을 통해 어떠한 이미지와 메시지가 생성되고 있으며, 또 그런 것들은 수용자의 어떤 욕구를 충족시키는가, 라는 문제는 이 연구에서 분석될 핵심 과제이다. <방탄소년단>의 음악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이들의 자전적인 내용을 함축하고 있음을 드러내며, 다양한 은유적 모티프를 통해 주로 ‘청(소)년의 성장과정’을 주제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발표된 연작 음악앨범들의 핵심적인 주제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청년세대와 유대감이 강한 정신적 공동체로서의 자기 표출’, ‘청년세대의 방황에 대한 공감’, ‘자아 정체성 확립을 향한 의지’가 그런 것들이다. 이러한 주제들을 표현하는 데에 무엇보다 청(소)년들의 동지로서의 ‘소년단 Boy Scouts’이라는 기호, 20세기의 대표적인 ‘청춘의 우상’으로서 많은 청년들로부터 추앙받았던 독일 작가 헤르만 헤세 Hermann Hesse와 그의 소설『데미안 Demian』내지 ‘창조적인 파괴자’로 이해되는 동명의 작중 인물, 또 동시대의 스위스 정신분석학자 칼 구스타프 융의 집단무의식 및 개체화 이론 등이 적극 차용되는 요소들이라는 점은 매우 시사적이다. <방탄소년단>의 음악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 가지 특정한 모티프들은 예의 요소들과 어우러지며 19-20세기 전환기의 독일에서 두드러지던 시대적·역사적 움직임을 뚜렷이 지시한다. 다시 말해 <방탄소년단>의 음악 텍스트들에서 변주되어 나타나는 라이트모티프들은 (19세기에 한 차례 ‘청년’ 문화를 꽃피웠던 낭만주의 이후) 세기 전환기에 재 점화된 ‘청년’ 담론이 가시화되어 드러나던 ‘반더포겔 운동 Wandervogelbewegung’의 표상 내지 상징과 매우 유사하다. 더욱이 이들의 음악에 함축된 주제의 경향은 반더포겔 운동의 정신과 거의 일맥상통한다. 한편, 그 운동은 ‘전통적인’ 독일 정신, 즉 ‘세계시민으로서의 독일 민족’이라는 이상과 괘를 같이 한다. 당시의 지식인과 예술인을 중심으로 일었던 자유로우며 건강하고 강한 ‘독일인’의 이상에 청년들도 ‘반더포겔 운동’을 통해 스스로 세대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했던 것이다. 특히 반더포겔 운동 산하의 많은 단체들이 자체 발간한 잡지는 세대 정체성에 대한 토론의 장이 되었다. 이와 같은 ‘소통 매체’를 통해 청년들은 헤르만 헤세를 위시하여 ‘청년’ 담론을 이끌던 예술가들의 작품에 대한 토론을 벌이며, 자아의 모델을 물색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19-20세기 전환기의 ‘세계시민적인 정체성 확립’이라는 독일인의 이상이 ‘청년’의 기표와 상징을 통해 남게 되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방탄소년단>과 관련된 여러 특징적인 요소로부터 세기 전환기 독일 청년운동의 경향과 정신을 읽어낼 수 있다면, 다른 ‘케이팝’ 주변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서구권 내지 독일어권 ‘팬덤’의 유례없는 반향이 다소 해명될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일찍이 세기 전환기에 독일의 ‘반더포겔 운동’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었던 ‘청년’ 담론이 이후 여타의 세계적인 ‘청년’ 담론과 어우러지며 오늘날까지 빛을 발하고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한때의 강력한 시대적 현상이 글로벌 시대의 청년들에게도 ‘자신’을 찾아 나서도록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시공간을 넘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청년들에게 수용 가능한 ‘자아상’을 제시해주고 있는 셈이다. 이런 움직임들이 모두 다소간의 변화가 기대되는 ‘세기말의’ 현상이라는 점은 어쩌면 역사의 반복성을 말해주는지도 모른다. 그럴수록 작금의 <방탄소년단> 현상을 통해 ‘케이팝’이라는 뉴미디어가 새로운 시대의 지속적인 ‘청년 운동’ 형태로 기능할 수 있을지, 더 나아가 ‘제 3밀레니엄의 청년 운동’ 형태는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지는 앞으로 꾸준히 이어져야할 또 다른 연구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 Establishing efficacy and safety o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or patients with multidrug-resistant organism

        성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1823

        서론: 다제내성세균의 증가는 임상적 경과 악화 및 입원기간의 연장은 물론이고 그로 인한 의료 비용의 증가까지도 야기할 수 있다. 비록 다제내성세균의 집락화가 곧 감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다제내성세균의 탈집락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정립된 치료 방법은 없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카바페네메이즈를 생성하는 장내세균 및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집락된 환자에서 분변이식이 탈집락화를 유도하는 효능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재료 및 방법: 이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카바페네메이즈 생성 장내세균,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또는 두 종류의 내성균을 모두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단일 센터 파일럿 연구이다. 총 35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여, 대장 내시경, 십이지장 내시경, 경피 공장 절개술 튜브 또는 내산성 캅셀을 이용하여 분변이식술을 받았다. 분변이식 후 1년 동안 추적관찰하며 한 사람당 총 9회에 걸쳐 분변을 수집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탈집락화가 일어난 환자들과 일어나지 않은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하고, 대조군과 분변이식을 시행한 환자군을 비교함으로써 분변이식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변이식에 따른 피험자 장내세균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분변 검체 속의 미생물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분변이식 후 35명 중 24명(68.6%)의 환자에게 다제내성세균의 탈집락화가 일어났다. 시험 대상으로 한 세 종류의 다제내성균 중 카바페네메이즈 생성 장내세균에 대한 반응이 가장 좋았다. 여러 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 다제내성균의 종류는 분변이식 여부와 관계 없이 탈집락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대조군 (205일)과 비교하면, 분변이식 (42일)은 탈집락화까지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집락화가 일어난 환자들의 장내세균총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훨씬 다양하고 풍부하였으며 공여자, 탈집락화가 일어난 환자 및 탈집락화가 일어나지 않은 환자들 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Verrucomicrobia 및 Proteobacteria의 비중이 공여자, 탈집락화가 일어난 환자, 탈집락화가 일어나지 않은 환자 순으로 증가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탈집락화에 관여하는 분류학적인 바이오 마커로 Clostridium ramosum, Anaerostipes, Eisenbergiella를 추정해 볼 수 있으며, 기능적인 바이오마커로는 molypbdate 수송 시스템의 ATP 결합 단백질인 K02017이 가능성이 있다. 결론: 분변이식은 장내 미생물 군집을 복원하여 카바페네메이즈 생성 장내세균 및 반코마이신 생성 장구균을 탈집락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Background: Increasing prevalence of multidrug-resistant microorganisms (MDRO) results in poor clinical outcomes, more prolonged hospitalizations, and higher healthcare costs for patients with MDRO. While colonization with MDRO does not mean to infection, it is likely to lead infections to vulnerable patients. Currently, however, decolonization strategies for MDRO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icacy of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on decolonization of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carriers.   Method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open-label, uncontrolled, single-center pilot study of FMT for 35 Korean patients with digestive tract colonization with CPE, VRE, or CPE/VRE between March 2018 and January 2020. Fecal microbiota solution obtained from healthy unrelated donors was infused to the recipient's gut via colonoscopy, duodenoscopy, percutaneous jejunostomy tube, or anti-acid capsule. Fecal samples from recipients were collected until one year after FMT.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ho succeed in decoloniz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responders) with subjects who failed to decolonize MDRO by FMT (non-responders). The non-FMT group was also settl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FMT. Furthermore, microbiom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on the outcome of FMT. Results: Decolonization was achieved in 24(68.6%) patients while 11(31.4%) patients have remained as non-responders. Among three MDRO, CPE was the most responsive type to FMT. In adjusted multivariate analysis, MDRO type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to time to decolonization in both FMT plus non-FMT group [hazard ratio (HR), 1.000; reference in VRE vs. HR 6.910; 95% confidence interval (CI), 2.323-20.506; p<0.001 in CPE and HR, 2.313;95% CI, 0.978-5.472; p=0.056 in CPE/VRE (reference: VRE group)] and FMT group (HR, 1.000; reference in VRE vs HR, 11.146; 95% CI, 2.420-51.340; p=0.002 in CPE vs. HR, 2.948; 95% CI, 1.200-7.246; p=0.018 in CPE/VRE). Compare to non-FMT group, FMT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shorter median decolonization time (42 days vs. 205 days, p=0.007 by log rank test). Gut microbiome of respon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chness and diversity than non-responders. Beta divers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set distances among donor, responder, and non-responder groups. Verrucomicrobia and Proteobacteria composi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donors,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preFMT-NR. Species Clostridium ramosum, genus Anaerostipes, and Eisenbergiella could be the potential taxonomic biomarkers and KEGG ortholog named K02017, a molybdate transport system ATP-binding protein could effect as a functional biomarker in VRE clearance. Conclusion: FMT is an effective way to decolonize CPE, CPE/VRE, and VRE by restoration of the gut microbiome.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코칭의 조절효과

        성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코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해 설문서를 작성하였고, 국내 대형항공사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한 달간 총 38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치가 있는 17부를 제외한 총 363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의 영향관계의 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간의 코칭의 조절효과의 검증을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건설적 사고, 자연적 보상, 행동 중심 중 행동 중심을 제외한 건설적 사고와 자연적 보상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셀프리더십과 친사회적 서비스행동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건설적 사고, 자연적 보상, 행동 중심) 중 건설적 사고와 자연적 보상만이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코칭은 조절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조직의 이윤창출을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앞으로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 방안으로 본 연구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airline cabin crew on self-esteem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is verifi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reviewing prior studies, and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one month in August 2020 for cabin crew members who worked at large domestic airlines for more than one year. A total of 363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17 copies. As an analysis method for the collected data, us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measurement item. In addi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of airline cabin crew, and mediated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a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alysis Results The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self-esteem, constructive thoughts and natural reward, excluding behavior-focuse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uch as constructive thoughts, natural reward, and behavior-focused, are positive (+) significant for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affect. Second,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ir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it was found that only constructive thoughts and natural rewar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constructive thoughts, natural reward, and behavior-focused) have mediating effects.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coaching showed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believed that self-esteem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 self-leadership of airline cabin crews, and thus, this study will be an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 in the future.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 아프리카의 사회 정치적 불안이 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 르완다, 부룬디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자는 아프리카 개발협력 현장에서 NGO로 일하며 문화와 언어, 그리고 지리적 요건까지 비슷한 동아프리카 국가인 르완다와 부룬디에서 각각 진행된 개발협력사업의 진행과 성과가 다르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이는 사업 대상국의 사회, 정치적 안정성이 사업의 진행과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두 국가에서 진행된 개발협력사업의 진행과 성과 차이를 외부적인 요인으로 국제사회의 원조 투입을, 내부적 요인으로 민족 갈등을 배경으로 수립된 거버넌스의 성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의 사회, 정치적 불안이 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유사한 두 국가가 다르게 발전한 원인을 연구해왔다. 물론, 르완다와 부룬디라는 두 국가는 타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아 타 아프리카 국가들만큼 연구가 충분한 편은 아니다. 게다가 두 국가를 모두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고 하나의 국가만을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경제성장이나 두 국가의 내전과 민족학살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르완다와 부룬디라는 두 국가를 동시에 연구한 논문들은 대부분 같은 질문에서 연구를 시작한다. 바로 이 두 국가가 공유하는 특징적인 공통점이다. 두 국가는 문화, 인종, 언어 그리고 지리적인 특징마저 닮아있으며 민족학살과 내전이라는 아픔의 역사를 안고 사회, 정치적으로 다르게 발전했다. 따라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르완다와 부룬디의 사례를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두 나라가 독립 이전에도, 이후에도 지리적, 문화적,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유사한 민족 갈등을 경험한 부분까지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두 국가의 차이를 만든 민족 갈등의 원인인 식민시대 역사를 살펴보며 두 국가의 민족 갈등이 어떻게 각각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두 국가의 민족 갈등에 국제사회가 어떻게 개입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부룬디의 내전과 르완다의 대학살 이후에 두 국가에 투입된 국제 원조의 규모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르완다의 경우, 민족학살을 빌미로 국제사회와 긴밀한 외교, 원조 관계를 구축하였고 정직하고 사업적인 태도를 선보이며 원조 공여국과 기관에 적절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부룬디의 경우, 민족학살 이후 긴 내전과 장기간 진행된 평화 협상이 두 민족의 갈등을 심화시키며 국가 분열을 야기했다. Devon E.A. Curtis(2015). Development assistance and the lasting legacies of rebellion in Burundi and Rwanda, Third World Quarterly, pp. 1365-1381. 이런 이유로 르완다는 ‘원조의 달링(Aid darling)’이라는 수식어까지 붙으며 원조에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부룬디는 ‘원조의 고아(Aid orphan)’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우리는 연구를 통해 이러한 원조 공여국과 수혜국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원조 공여국이 원조를 결정하는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두 국가의 민족 갈등의 역사 또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 몇 년 동안 아프리카 국가들의 사회, 정치적 문제로 인한 원조사업의 예산지원 동결, 중단 그리고 다시 원조 대상지로 지정되는 사건들을 살펴보며 원조 지원이 개발도상국의 사회, 정치적 상황과 연계되어있으며, 아프리카의 사회, 정치적 불안이 국제 원조의 투입을 방해하는 하나의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르완다 민주주의의 후퇴라는 사회적 불안에도 사회, 경제적 제재를 하지 않는 이중 잣대를 보여주었다. 이 차이를 만든 수많은 원인 중 중요한 두 가지는 바로 현재 부룬디와 르완다의 각 정부와 국제사회의 원조 관계일 것이다. 우리는 연구를 통해 르완다, 부룬디의 사회, 정치적 위기와 개발 원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르완다와 부룬디의 대선이 있던 2017년과 2015년, 국제사회가 두 국가에 취했던 상반된 태도를 통해 두 국가의 거버넌스의 성격이 원조 수혜에 미친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연구 후반부에는 본 연구는 두 국가를 사회, 정치, 경제를 비교 연구한 국·내외 문헌 자료와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부룬디와 르완다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수행했던 개발협력사업을 기반으로 현지 직원을 포함한 사업수행인력의 인터뷰와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된 개발협력사업 자료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당시 본 연구자와 함께 개발협력사업을 수행했던 르완다 현지 직원 1인과 부룬디 현지 직원 2인, 그리고 타 기관에서 사업을 수행했던 사업수행인력과의 인터뷰를 통해 르완다, 부룬디의 사회·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각 단체의 사업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 어떤 결론에 이르렀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공적 원조를 활용한 민관협력사업을 두 국가의 대선 시기인 2017년 르완다, 2015년 부룬디에서 진행한 두 단체의 사업을 통해 살펴보았다. 르완다의 경우 농업 사업을, 부룬디의 경우 보건사업을 선정하였다. 부룬디에서 진행된 한국 단체의 사업이 상대적으로 드물어, 동일 분야의 사업을 비교할 수 없었다. 르완다에서 진행된 사업의 경우, ‘기후’가 원인이 되어 사업의 위기를 맞았지만, 사업 관계자인 사업수행단체-한국국제협력단-지방정부의 소통을 통해 해결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 사업이 사업 관계자들의 직접적인 성과와 연계되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이다. 그러나 부룬디에서 진행된 사업의 경우 당시 부룬디의 사회, 정치적 불안은 사업 중단을 넘어 사무소 운영 중단에 이르게 했다. 그리고 이는 사업성과 측정 불가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렇듯 두 국가에서 개별 단체가 진행한 개발협력사업은 ‘사회, 정치적 불안’과 ‘환경’이라는 변수를 만났지만, 그 ‘해결방안 모색 가능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은 사업의 지속가능성과도 연결된다. 다음으로는 두 국가에서 동일 단체가 진행한 자체 자금을 투입한 교육사업을 비교연구 하였다. 르완다 사무소의 경우, 르완다의 사회, 정치적 안정성의 영향으로 사업수행인력 파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고, 이로 소규모의 자체 사업에서 큰 규모의 외부 사업으로 사업 규모를 확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17년 대선이 있던 시기에도 사업은 무리 없이 진행되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고 사업은 종료되었다. 그러나 부룬디 사업의 경우, 2015년 쿠데타라는 정치적 위기 속에서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었으나 ‘투자 대비 효과성 극대화’라는 측면에서 부룬디 사무소의 지속적 운영은 아무런 이점이 없었다. 그러므로 기존 장학사업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사무소는 운영을 중단하기에 이르렀고, 사업을 마무리하며 사업 관계자의 개인 사업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며 완전히 문을 닫게 되었다. 이러한 부룬디 지부의 철수는 NGO와 후원자간의 관계가 개발협력사업의 지속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었다. 우리는 이렇게 사례 연구를 통해 각 민간단체가 르완다, 부룬디에서 진행한 개발협력사업의 진행과 성과를 살펴보며 각국의 사회, 정치적 불안이 개발협력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협력사업의 진행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5가지 조건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1) 사업투입인력/사무소 운영을 위한 사회, 정치적 안전·안정성, 2) 외부 자본 투입이 가능한 사업지역의 사회, 정치적 안전·안정성 3) 위기 대응 해결방안 모색 가능성, 4) 사업 확장의 가능성, 5) 민간단체의 자체 생존 가능성’이다. 이 5가지 가정은‘지속 가능한’ 사업을 위해 모두 연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원조의 투입이 적절한지의 여부보다는 원조를 통한 개발협력사업이 진행이 가능한지의 여부, 즉 ‘지속가능성’이 개발협력사업의 중요한 문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선제 조건은 개발도상국의 사회, 정치적 안정성일 것이다. 향후 부룬디와 르완다에서 진행될 개발협력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거버넌스의 안정성’과 ‘사업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