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eventive Effect of Oral Tadalafil on Cerebral Vasospasm Compared with Nimodipine after Experimental Subarachnoid Hemorrhage in Rabbits

        박범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서론 : 뇌혈관연축은 뇌동맥류 파열에 따른 지주막하출혈 환자에게서 흔히 보게 되는 대표적인 합병증이다. 이는 뇌관류압을 감소시켜 뇌의 혈액 순환을 저해하며 나아가 뇌허혈과 뇌경색을 유발하여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이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3H 요법 (triple “H” therapy), 칼슘 채널 길항제, 풍선을 이용한 혈관성형술, 동맥 내 혈관 이완제 주입 등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치료에는 합병증 혹은 혈관 손상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현재까지의 치료법은 경구 칼슘 길항제인 니모디핀만 인정되고 있으나 저혈압 유발로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최근에 발기 부전 치료 약물로 사용되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 동질효소 타입 V (phosphodiesterase isoezyme type V, PDE-V) 억제제의 뇌혈관 확장과 신경 보호 기능이 보고되고 있다. 이의 계열 약물 중 하나인 타달라필의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니모디핀과 비교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실험방법 : 총 64 마리 토끼를 이용하여 뇌지주막하 출혈 모델을 만들었고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 중 대조군 31마리, 니모디핀 5마리, 타달라필 8마리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뇌지주막하 출혈 모델을 만들기 전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만든 직후부터 니모디핀 혹은 타달라필을 하루 2회 경구 투약하였다. 3일 동안 경구 투약 후출혈 유발 3일 째 추적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여 혈관 지름을 측정한 뒤 대조군과 니모디핀군, 대조군과 타달라필군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추적 뇌혈관 조영술 시행 후 척추뇌바닥동맥 확인을 위해 뇌간을 적출하였으며 현미경하에서 혈관 내강과 중막의 넓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31마리 중 9마리를 무작위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뇌혈관 조영술 및 현미경을 이용한 혈관 지름 및 내강의 넓이는 타달라필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이완되어 있었고 (p<0.01) 니모디핀군도 마찬가지로 유의미하게 혈관이 확장되어 있었다 (p<0.01). 혈관 중막 넓이는 니모디핀군이 대조군과 비슷하였지만 타달라필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넓었다 (p=0.02). 결론 : 뇌혈관연축은 치료를 함에도 불구하고 신경학적 증상이나 결손이 남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사용 가능한 약제 선택의 폭을 늘리는 것 또한 중요하다. 뇌지주막하 출혈 후 투약한 타달라필은 니모디핀과 마찬가지로 뇌혈관연축을 예방하고 혈관 확장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국 행정심판(행정복의,行政复议)제도에 관한 연구

        Quan, J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called one of the dual administrative relief system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emerged as an urgent task prior to the revis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is a system where tha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mselves want to correct the illegal administrative measures and guarantee the legality of administration. China's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has been made by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regulation is very similar to Korea's administrative appeal system in that in case the other party requests a review of the higher administrative institution with respect to the disposition, the higher administrative institution shall "review" the relevant disposition. Unlike the administrative appeals of both South Korea(Administrative Trial Act) and Chinese Law,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relief system in that it shall reconsider not only illegality but also injustice, it shall has Effect of Sentence against the disposition authorities and it shall adopt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 in the Adjudication against the claimant. The first phase of overall revision for China's Administrative Law in 2014 has already begun. Through a conference on July 9, 2014, the State Council announced that "the State Council's decision on the partial revisions of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it shall be in effect from the proclamation date, Jul.29, 2014. The partial revisions has all been made for the part of the regulations of 21 administrative regulations. Next, the overall revis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Administrative Appeals have been mentioned. There was challenging issues in the system where the public raise appeals against the rulers with public authority(referred to as "Public Authorities for Appeals") in terms of all in the legislation, trials, law enforcement. In the new amendments of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Administrative Appeals, it is thought that a new amendment planning around these issues will be suggested. It is desirable that the new law should abolish bad customs or practices which have been remained for a long time. It also requires more specific rules for the national interests and the public interests which were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judical practice. In this thesis, while the general examination on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performed,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China's administrative Procedure system and the development background was made. Introducing and looking into Administrative Tax Appeals, which requires Transposition System of Administrative Decision Before the Litigation, there relative problems which are against the Power of Final Decision of Administration as follows; 1) Due to the lack of independence of the Tax Appeals Authorities, the efficiency of dispute resolution decreases. 2) Necessary Transposition System of Administrative Decision Before the Litigation is unreasonable. 3) The request for examination of the regulations is not normative, the examination of tax administration acts is abstractive and the relevant provision is deficient. 4) If you apply for a ruling on the State Council, it is an exception, but it becomes the Power of Final Decision. In the part of the Power of Final Decision, basic implication and classification made and the grounds for the recognition of the Power of Final Decision was examined. The grounds are that they are specific administrative acts the court excludes, which are specified in Article 12 of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Personally, I think the fact tha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re in relatively positions than judicial authorities is also one of the causes. The Power of Final Decision raised issues as follows; 1)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natural justice. 2) It infringes the principle of final judicial examination. 3) Abuse of administrative institution's public authorities might be easily caused 4) It contradicts with WTO ru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principle of final judicial examination should be a basic principle, the Power of Final Decis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should be supportive and the standard of the Power of Final Decision should be reconsidered.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ower of Final Decision, which is not explicit but implied implicitly, should be eliminated. Compared to China's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this study suggested the overview of Korea's Administrative Appeals in three aspects as follows; 1) Institutional basis 2) Administrative Appeals Authorities 3) The problem of claimant eligibility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revision of China's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should be a main passage for dispute resolution by strengthening the restrictions and supervision of administrative power on the basis of the issues reflected in the specific operating system and allowing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to show its efficient and fast advantages to the fullest. It is importantly recognized that South Korea and China increasingly need a close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across the whole range of life. In addition, they have many thing in common both in legal institutional and ideological aspects.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China is lagging behind Korea when it comes to China's time of legal construction, its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and the practical measures. In China's situation of relatively focusing on administration and efficiency, considering Korea's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which has the strongest advantage in the aspect of remedies of East Asia, it is thought that if China's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refers to the self-regulation and, in particular, the system improvement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it should be very beneficial and that this study also expects China's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System to develop into a effective system by deriving the desired improvement measures from it. 중국의 이원 행정구제 시스템 중 하나로 불리는 행정심판 제도는 행정소송법의 수정을 앞두고 역시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행정심판은 행정기관 스스로가 위법한 행정처분을 시정하여 행정의 적법성을 담보하려는 제도이다. 중국의 행정심판제도는 중화인민공화국 행정심판법의 규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행정심판(행정복의,行政复议)”의 의미는 행정처분에 대하여 처분의 상대방이 처분청의 상급행정기관에 심사를 요청할 경우 상급행정기관이 당해 처분에 대해 “다시 논의(검토)”한다는 것으로서 한국의 행정심판제도와 매우 유사하다. 행정심판 제도는 한국(행정심판)과 중국법상 모두 행정소송과 달리 위법에만 대하여 심사하는 것이 아니라 부당에 대해서도 심사를 하게 된다는 점, 처분청에 대해서 기속력을 갖는 다는 점, 청구인에 대해서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을 택하고 있다는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구제시스템으로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2014년 중국 행정법 전면개정의 첫 단계가 이미 시작되었다. 2014년 7월9일 회의를 통하여 국무원은 《국무원이 행정법규의 부분수정에 대한 결정》을 공포하고 7월29일 공포일부터 실행한다고 밝혔다. 부분수정은 모두 21개의 행정법규의 부분 조례에 대해 수정을 가했다. 그 다음으로 행정소송법과 행정심판법의 전면수정이 거론되고 있다. 일반 국민이 나라 공권력을 행사하는 관원을 상대로 소를 제기한다는 것(“民告官”이라고 일컫는)은 그 입법, 심리, 집행에 모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새로운 소송법과 심판법의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개정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법이 오랫동안 세간에 잔류하던 악습이나 관행이 폐기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또한 사법실천 중에 가장 쟁점이 되었던 국가이익과 공공이익에 대해서도 더욱 구체적인 규범을 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행정심판제도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하면서 행정소송과의 연관성, 발전배경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심판전치주의를 요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인 세무행정심판제도를 소개하고 살펴보면서 그것이 갖는 문제점을 1) 세무심판기관의 독립성 결여로 인해 분쟁해결의 효율이 저하된다는 점, 2) 필요적 심판전치주의가 불합리하다는 점 3) 규정에 대한 심사청구가 규범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인 세무행정행위의 심사와 관련 규정이 결핍하다는 점, 4) 국무원에 재결을 신청하는 경우는 예외지만 종국재결이 된다는 점에서 사법종국재결의 원칙과는 위배된다는 점으로 정리해보았다. 종국재결권 부분에서는 기본적인 함의와 분류를 하고 종국재결의 인정의 근거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주로 행정소송법 제12조에서 규정한 법원이 배제하는 구체적 행정행위들이라는 것과 행정기관의 효율을 고려한 점이라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행정기관이 사법기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월한 지위에 있다는 점 또한 그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종국재결권은 1) 자연정의 원칙에 위배되고 2) 사법종심원칙에도 위배되며 3) 행정기관의 공권력 남용을 일으키기 쉽고 4) 또 WTO규칙에도 모순된다는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고로 사법종심원칙을 중심으로 하고 행정심판 종국재결권은 보조적인 것으로 개선하는 방향과 종국재결의 표준에 대한 재사고가 필요하고, 또 명시적이지 않지만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는 종국재결들을 제거하여야 한다는 소결을 적어보았다. 중국 행정심판제도와의 비교를 필요로 한국행정심판에 대한 개관을 하고 주로 1) 제도적 근거 2) 행정심판기관 3)청구인 적격의 문제 등 세 가지 방면으로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이 외에도 중국행정심판법의 수정은 구체적인 제도 운영에 반영된 문제점에 입각하여 행정 권력의 제약과 감독을 강화함으로써 행정심판제도의 효율적이고 신속하며 전문적인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행정 분쟁해결의 주요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과 중국은 생활의 전 영역에 거쳐 긴밀한 교류와 협조의 필요성이 날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또 법률제도상으로나, 이념적인 측면이나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법치건설을 가동한 시점이나, 행정심판 제도의 건설과 실천방면에서나 한국보다는 많이 늦춰진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적 행정성과 효율면에 치우치고 있는 중국 실정에서 동아시아 행정심판제도에서도 권리구제의 측면에서 가장 큰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 행정심판제도를 통하여 중국 행정심판제도의 행정의 자기통제 및 특히 국민의 권익구제를 위한 제도 개선에 참조하면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중국 행정심판도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민의 권익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제도로 발전해갈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 2-D PE 어레이를 활용한 저전력 DCNN 가속기

        이정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학위 논문에서는 2-D Processing Element (PE) 어레이에서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2-D PE 어레이를 사용하여 컨볼루션 연산을 매핑하는 기존 방법[1]은 유연성이 부족하고 PE의 활용도가 낮다. 그러나 2-D PE 어레이에서 1-D PE 어레이로 컨볼루션 연산을 매핑함으로써 제안하는 방법은 활성 PE의 수와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CNN) 가속기의 throughput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PE들 간 weights 전송을 위한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은 기존 방법[1]과 비교하여 (weights size) x (output data size) 2-D PE 어레이를 가지는 DCNN 가속기를 사용하여 AlexNet, VGG16, 그리고 ResNet50의 컨볼루션 레이어에서 각각 약 4.55%, 13.7%, 그리고 2.27%의 throughput gain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약 63.21%, 52.46%, 그리고 39.23%의 power saving을 제공한다.

      • 한국판 옥스포드 인지선별검사 타당화 및 임상적 유용성 검증 연구

        조은영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뇌졸중 후 인지손상은 빈번히 발생하며, 인지기능 손상의 범위, 손상 후 평가까지의 시점, 시행된 평가 도구에 따라 손상 빈도의 차이를 보인다. 인지기능 손상은 재활 과정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며 일생생활과 직업생활 복귀를 어렵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손상 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기능 호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현재 뇌졸중 후 인지 손상 선별을 위한 평가도구의 부재로 발병 후 인지기능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는데 제한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인지 손상을 탐지하는 신경심리검사 도구인 옥스퍼드 인지선별검사(Oxford Cognitive Screen; OCS)를 한국의 문화에 맞게 번역한 옥스퍼드 인지선별검사 한국판(Oxford Cognitive Screen Korean Version; K- OCS)을 타당화하고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OCS는 뇌졸중 후 특정적으로 보이는 인지손상인 실행증, 집행기능 손상, 시야무시 증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실어증이나 시지주의력 문제에 따른 혼입효과를 최소화하여 평가에 참여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첫 단계 연구1에서 OCS를 한국의 문화와 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문항들로 새롭게 제작하였다. 이를 인지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성인 97명(남 33명, 여 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제 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절단점(cut off score)으로 추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41명(남 28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평정자 3인의 평정자 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ICC) .662 - .997(p < .001), 검사-재검사 신뢰도 급내상관계수(ICC) .624 - .994(p < .001)로 모두 높은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기존 선별검사와 K-OCS의 수렴타당도는 moderate- strong(r = .372** - .961**) 수준에 해당하였으며 K-OCS 내 수렴타당도도 또한 대부분 strong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변별타당도는 상관이 없거나 최대 moderate 수준에 해당하였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K-OCS와 기존 선별평가도구인 K-MoCA, K-MMSE 수행치 비교 결과, 기존 선별평가 도구에서 저조한 언어표현기능, 시지각 문제를 이유로 기억, 집행기능 항목 수행이 미완료 비율이 높은 반면 K-OCS 수행 미완료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언어 손상 유무에 따른 비언어 과제 수행에서도 언어기능 손상 환자의 비언어 항목 수행치가 기존선별도구에 비하여 K-OCS에서 높아 시야무시 증상으로 인한 비언어 기능의 과소추정을 보완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K-MMSE, K-MoCA에서 정상으로 판별된 대상자 중 K-OCS 하나 이상의 인지영역 손상을 보이는 경우가 각각 85%, 71%에 해당하며 손상 영역은 시야무시, 실행증, 읽기, 수쓰기 항목으로 기존 선별도구에서 탐지가 불가능한 뇌졸중 후 특징적인 인지 결함을 선별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뇌손상 위치와 K-OCS 수행 결과에 따른 인지손상 패턴을 분석한 결과, 좌반구 손상 후 이름대기와 읽기 수행 등의 언어 장애와 실행기능 저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우반구 손상 후 시각주의력, 시야무시 증상이 유의미하게 높아 뇌졸중 후 인지 손상을 측정하는 본 신경심리검사가 뇌 영역의 속성을 반영한다는 신경과학적 타당성를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K-OCS가 뇌졸중 후 인지손상을 선별하는데 있어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이며 기존의 선별검사에 비하여 높은 평가 참여율을 보이며 실어증 및 시야무시 증상으로 인한 기능 과소추정을 최소화하고 뇌졸중 후 특징적으로 보이는 인지 손상을 높은 민감도로 탐지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도구의 개발로 뇌졸중 후 인지손상의 정확한 평가와 진단, 보존되는 기능을 적극 활용하는 맞춤별 치료적 개입을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을 주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여대생의 우울과 자살시도의 관계 : 사회연결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우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울한 여대생들의 사회연결망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우울이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연결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우울한 사람의 사회적 자원에 대한 인지적 왜곡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객관적이고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측정 방식인 사회연결망 지표를 이용하여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여대생들의 사회연결망에 따라 우울이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의 일환인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부적응 대학생 조기진단 및 적응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4차 자료(2018년)를 사용하였으며, 4차 조사에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여대생 14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CES-D(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Suicide Ideation Scale(SIS), 그리고 이름 추출법(name generator)을 사용하였으며, Burt(1984)가 개발한 이름 추출법은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살시도의 경우 정규성을 위해 로그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집단간 차이와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에서 사회연결망 크기는 차이가 없었으며, 친밀연결망과 상의연결망은 우울집단이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우울과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사회연결망의 크기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친밀연결망과 상의연결망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사회연결망의 크기가 작을 때, 우울과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조건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대생의 최소한의 인적 자원이 자살시도 위험성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변인을 사용하여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적 자원의 영향을 보고 자살위기 개입의 구체적 목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ocial networks among depresse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e attempt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using the social network index, which is a relatively objective measurement method that reflects various aspects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istortion of the depressed person's social resources. In other words, we tri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suicide attempts according to the social network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sed the 4th data (2018) of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and Adaptation Promotion Program for Maladapted University Studen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 part of the 2017 mid-level researcher support project, and for the 4th survey,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rea. 145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CES-D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Suicide Ideation Scale (SIS), and name generator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he name extraction method developed by Burt (1984) It was modifi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e case of suicide attempts, log transformation was used for normality,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control effects between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ize of social networks between the depressed group and the non-depressed group, and the intimate and discussion networks showed lower scores in the depressed grou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s, the size of social networks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reas intimate networks and discussion networks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small,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ondition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s, confirming that the minimum human resour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ntifying the risk of suicide attemp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s social network variables to see the impact of social resources in more diverse aspects and to present specific goals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 대인관계 네트워크에서 연결정도와 노인의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성 연구

        채인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도 지역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인간관계 크기를 설명해주는 사회연결망 연결정도가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가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화도 A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643명으로, 2011년에서 2012년까지 실시된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1년차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통제변인으로 사용한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 성별, 소득, 연령은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 학력, 소득, 연령은 정신적 건강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정신적 건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향이 포함된 사회연결망에서 외향연결정도와 내향연결정도 모두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개인의 대인관계가 노인의 건강을 예측하는 데 있어 내가 교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외향연결정도) 뿐만 아니라 나와 교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내향연결정도)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방향에 따른 연결정도의 두 지표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고립된 개인들을 찾아내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노인에 대한 건강 증진 및 복지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we can predict the health of seniors of community b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network degree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old people who live in the areas of Gangwha Isl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 and women aged 65 or over, a total of 643 that resided in Ganghwa A-coun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from the year 2011 to 2012.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data.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gender, age out of demographic variables used as control variable and old persons’physical health.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health was better in case of the higher incomes, men, and lower age. Second, out of demographic variable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ge was shown to correlate with mental health.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ental health was better in case of the higher incomes,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lower age. Third, in social network including direction, both out-degree and in-degree were shown to predict old peopl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out-degree but also in-degree should be considered in predicting the health of elderly persons by a person's human relationship. Also, two indicators of degree are meaningful in the dimension of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of the old in that they can be used for finding isolated individuals that can be physically and mentally vulnerable.

      • 사회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상호친밀연결망을 중심으로

        이혜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기존의 연구에서 분석하던 일방향적인 관계 혹은 방향성 없는 관계분석이 아닌 상호적인 대인 관계의 양적인 부분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친밀한 관계는 서로가 서로를 친밀한 관계로 상호지명하고 상호적인 신뢰로 이루어지는 관계이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자신과 타인이 모두 친밀한 관계로 여기는 양방향적인 관계일 때 나타나는 관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호적 친밀 관계의 양적인 부분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 마을에 거주하는 개인들의 연결망과 마을 전체 연결망을 수집 및 분석하여 방향성과 관계의 질이 포함된 상호중심연결망을 산출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건강상태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던 개인의 연결망 크기와 상호친밀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Korean Social Health Angd Aging Project(KSHAP)의 1년차 자료를 사용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 건강상태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개인의 사회적 관계의 수를 나타내는 사회연결망 크기와 친밀한 관계를 나타내는 상호친밀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위계적 회귀분석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던 사회연결망 크기가 3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3단계에 투입된 상호친밀연결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건강상태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여 친밀한 관계분석을 시행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가까운 거리에 친구나 이웃과 친밀하게 지내는 것 또한 노년기 우울의 보호요인으로 증명한 점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imate relationship on old age depression through analysis of social network. Intimate relationships can be viewed as relationships that appear when they are two-way relationships where each other reciprocally designate one another as intimate relationshi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is reciprocal relationship on old age depression, we have calculated intimate relationship through analysis of ego-centric network of individuals living in a village and global network which shows relationship of individuals in whole village. While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 condition variables which appeared to affect old age depr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go-centric network and reciprocal intimacy network size which were receiving much attention from previous studies, we performed 3 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1st year data of Korean Social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While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 condition variables, ego-centric network siz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hen reciprocal intimacy network was additionally added, eco-centric network siz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and reciprocal intimacy network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analyzed intimate relationship from a new perspective, and it is significant to the point that staying closely with people who are nearby such as friends or neighbors as well as family is proven to be the protective factor of old age depression.

      • 노년기 우울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다양한 문제적 수면행동을 중심으로

        이슬아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의 핵심증상인 우울한 정서로는 노년기 우울을 쉽게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대적으로 우울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예측요인을 찾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우울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예측요인 중 특히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수면문제를 통해 우울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 프로젝트(Korea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의 4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KSHAP 4차 조사에는 K지역에 거주하는 총 565명의 노인들이 참여하였으며, KSHAP에서 개발한 설문지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와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통제한 다음 잠드는 시간, 기상시간, 수면시간, 수면의 질 등의 수면 행동들이 우울을 예측하고자 하는지 알아보고자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565명의 노인 중 88.3%(499명)가 정상, 11.7%(66명)가 우울증상(CES-D≥16)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들의 수면행동 중 주간 집중력 문제(B=1.51, Wald=17.15, p<.001), 수면의 질(B=.85, Wald=5.42, p<.05)이 성별, 나이, 교육수준, 신체활동 등을 통제하고서도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낮은 수면의 질이나 주간 집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을 단순히 노년기에 나타나는 일반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문제가 더 이상 지속되지 않도록 개입이 필요한 일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수면 문제가 우울의 전조증상일 수 있음을 알리고, 수면 교육을 실시하여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depression that is relatively difficult to detect through sleep, one of the common physical symptoms found in the elderly. We used the wave 4 data from "Korea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A total of 565 elderly participated. They answered a survey on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developed by the following research team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 binary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sleep behaviors, such as total sleep time, waketime, and sleep quality, to predict depression after controlling variables might affect depression. The study found that 88.3% (n=499) out of 565 were normal, while 11.7%(n=66) showed depression(CES-D≥16). In this study, the low sleep quality(B=.85, Wald=5.42, p<.05) and difficulty of daily concentration(B=1.51, Wald=17.15, p<.001) significantly predicts depression, after control variables. This suggests that experiencing low sleep quality and difficulty of daily concentration in elderly is not a general problem to elderly, but it is the problem which is needed to intervention. Thus, this indicate that sleep problem might be a one of preceding symptom of depression so, educating about sleep problem could be helpful to obtai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 암재발 두려움에 대한 구조화된 면담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민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암생존자가 많이 호소하는 어려움 중 하나로, 암이 다시 발생하거나 진행될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걱정을 의미한다. 암 재발 두려움의 심각도와 양상은 매우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나는데, 두려움이 심각한 경우 강박적으로 몰두하거나 과잉 통제, 회피 등의 반응으로 일상 기능의 저하를 보여 임상적으로 전문적 개입을 필요로 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는 암 재발 두려움의 임상적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구조화된 면담 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암 재발 두려움에 대한 구성 개념 및 영역을 선정한 후 문항 pool을 구성하였으며, 임상 심리 전공 박사 2인의 수정 및 검토 과정을 거쳐 1차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종양 전문의, 종양 전문 간호사, 정신과 전문의,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의 전문가 15인의 패널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총 42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면담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적극적인 암 치료가 끝난 지 5년 이내, 의학적으로 질병이 없는 (NED, no evidence of disease) 상태에 있는 암생존자(연구1 : 109명, 연구2 : 179명)를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1에서는 면담도구 문항의 제작과 예비 조사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109명의 암생존자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2에서는 최종적으로 문항을 선정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179명의 암생존자를 대상으로 암 재발 두려움 설문지(Fear of Cancer Recurrence Inventory)와 주요 정신질환에 대한 간단한 구조화 질문지(M.I.N.I), 연구1의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한 암재발 두려움에 대한 구조화된 면담도구를 사용하여 비대면 1:1 면담을 진행하였다. SPSS 28.0, Jamovi를 사용해 기술 통계와 신뢰도, 상관분석,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Item-total correlation 0.3 미만의 낮은 상관을 보인 문항, 왜도 ± 3, 첨도 ± 7 극단 치에 해당하는 8문항을 제외하였다. 1, 2차에 거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7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는 .931으로 높은 수준의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구조화된 문항 30개, 개방형 문항 3개가 선정되었다. 본 면담도구와 암재발 두려움 척도(FCRI), 인지행동반응질문지(CBRQ), 범불안장애 7문항 척도(GAD-7), 환자 건강 질문지(PHQ-9), FACT-G 척도 중 정서 영역과의 중간 수준에서 강한 수준 사이의 유의한 상관을 보여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FACT-G 척도 중 사회 영역과는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신체 영역, 기능 영역과는 중간 수준의 부적 상관을 보여 변별 타당도를 부분적으로만 검증하였다. 본 면담도구의 절단점은 민감도와 특이도 값을 고려하여 스크리닝 용도일 때는 14점, 임상적 수준의 FCR를 구분할 경우에는 18점, 23점을 변별 기준점으로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면담도구가 ‘암재발 두려움’이라는 구성 개념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검사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개발된 면담도구는 암생존자의 암재발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와 양상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일 뿐 아니라, 진료 및 상담 장면 장면에서 암생존자가 암재발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할 때 이를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장애인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에 관한 법적 연구

        하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종래의 공급자 중심의 시혜적·일방적 복지에서 벗어나 현대에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 있어 복지는 사회, 문화, 정치, 행정 등 모든 분야에서 핵심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복지국가에 대한 의의와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의 장애인복지는 시혜적 관점에서의 복지가 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장애인이 사회구성원의 한 주체로서 자신에게 맞는 복지서비스를 선택하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 인식의 부족으로 행정, 정책, 제도, 전달체계에 충분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 하여 공법적인 관점에서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사회복지법체계를 검토함으로써 사회구성원의 한 주체로서 장애인의 실질적인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장애인복지는 시대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되어 왔으며, 국제사회에서는 장애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보다는 사회적인 맥락에서 접근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현대에는 이를 사회적 책임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사회통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과거 ‘시혜적 복지패러다임’의 입장이 아닌 ‘권리적 복지패러다임’으로 사회복지법체계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의 장애인사회복지 관련 법제를 살펴봄으로서 이러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우리의 사회복지법체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우리의 상황에 맞게 장애인사회복지의 규범적 접근틀을 넓히기 위해 헌법, 행정법, 지방자치법 등의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고려를 통하여 종합적·체계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2003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시’라는 장이 신설되어 당사자 스스로 서비스 제공을 요구할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장애인들이 제기한 두 건의 사회복지서비스 신청 소송에서 법원은 관련제도와 법률의 규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같은 급부행정에 있어서는 사각지대의 최소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법의 입법취지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행정적 노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헌법정신과 이에 따른 「사회보장 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장애인복지법」 등의 법률규정의 내용과 취지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의 권리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복지행정처분성 등을 중심으로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서비스의 기본법인 「사회복지사업법」관련 규정들을 살펴봄으로서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이 실질적 권리로서 실현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복지권에 대한 탄력적인 해석을 통하여 권리성을 강화하고, 사회복지국가원리 구현을 위해 장애인복지에 있어서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 논의와 더불어 복지행정의 특수성으로 인한 처분의 성질을 분석하여 장애인복지행정에서 재량통제의 범위설정에 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산업화 이후 지체된 사회복지의 전반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법에만 머물러 있었던 「사회보장기본법」이 최근 전부 개정되어 2013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1995년 제정된 이래 최근의 전부개정은 종래의 현금급여 중심의 소득보장과 더불어 사회서비스보장의 균형적 개발의 필요성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는 복지 현대의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패러다임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사회복지제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특히 ‘사회서비스’의 정의를 새롭게 규정함에 따라 ‘사회서비스 강화’를 주요한 과제로 하고 있어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구현해 줄 것으로 보인다. 당사자에게 맞는 복지서비스를 스스로 선택하고 신청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는 것은 사회복지서비스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복지서비스 욕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다양화된 욕구나 문제해결을 위한 유형화된 법체계의 측면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므로 우리의 사회복지법체계는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서비스 실현을 위한 실질적 권리구제의 구체화 요구, 장애인별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요자 맞춤의 유형별 종합적인 사례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실질적 복리구현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상호 기능적·협력적 역할조정의 문제들은 앞으로 사회복지법체계가 고려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이 권리로서 살아 움직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업법이 규정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이 활발하게 이용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사회복지서비스는 더 이상 시혜와 동정이 아닌 ‘권리’라는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사회복지행정법을 포함한 행정법학은 세계화와 정보화 등으로 급변하고 있고, 수요자의 욕구도 다양해짐에 따라 앞으로의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법령에 대한 해석 및 개선방안 도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quitting from one-sided and dispensation centered welfare which focused on the suppliers, the welfare paradigm changes toward consumer centered and customized welfare. Accordingly, the welfare today becomes the most-talked-about topic in various areas including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administration ones and, in such circumstances,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welfare nation increase. In particular,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dispensation and they, as members of society, have not had better understanding on their own rights to choose and request for proper welfare service suitable for themselves, which made that their needs have not been reflected in the administration, policy, system and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ocial welfare system regarding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from a public law perspective and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conditions for actual realization of their rights as members of society. Welfare for the handicapped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with the times an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more and more people have realized that the approach in the social context rather than the individual approach is proper in terms of the issues on the disabled. Thus, today, people consider the issue of disability and the disabled from the stand poin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ke their best effort in realizing social integration. This can be considered that society demands the changes in social welfare law system from 'right-centered welfare paradigm' to 'dispensation-centered welfare paradigm.'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other systems regarding social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international society so that we can identify the direction toward which social welfare law system of our country has to proceed by conducting such comparative examination. In this paper, I attempt to mak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by taking account of various aspects of our legal system including constitutional law, administrative law and local government laws in order to expand the normative approach frame of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so that it i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out society to adjust our workload to accommodate the changes of social welfare paradigm.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which was revised in 2003, the Chapter of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was newly added and prescribed the disabled's right to request for provision of service which can be made by themselves. However, in two cases on such rights recently filed by the disabled, the decisions of courts showed that the judges are not well aware of relevant system and provisions of statutory laws. With respect to social benefit administration such as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e government to make its best administrative effort in reflecting the purpose of legislations so as to minimize the blind spots. In light of the foregoing, in this paper, I actively construct the contents and intents of the provisions of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 'Social Welfare Service Act' and the 'Act on Disabled Person Welfare' and attempt to examine major issues focused on the entitlement to the right to request social welfare service, responsibiliti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disposition of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is, I examine applicable provision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Act' and strengthen the entitlement to the right for the disabled through making flexible interpretation of social basic right and right to social welfare so that the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can be realized as actual right. In addition, I attempt to make an approach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the scope of discretion control in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e disabled by analyzing the nature of disposition generated by unique characteristics of welfar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of responsibiliti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welfare for the disability for re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nation.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which remained in the legislation only setting up overall directions of social welfare which had been far behind since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has been fully revised recently and became effective from January of 2013. The fact that recent whole revision of the Act, which was enacted in 1995, opened up possibilities which can bring up a fundamental change in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future since it reflects on today's consumer-centered customized welfare paradigm which be prepared for social need of balanced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security and new social risks not to mention income security based on cash benefits in the past system. In particular, it appears to me that the Act will more substantially realize the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because the Act newly defines the definition of 'social service' and makes 'strengthening of social service' as its major task. Recognition of the rights of the consumers under which they choose and apply for welfare services more suitable for them by themselves may be a remarkable turning point in social welfare service. However, notwithstanding the increase of needs for various welfare services, there are many areas and parts to be improved continuously in our social welfare system since stereotype of legal system for various needs of consumers and problem solving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For such improvement, the areas to be taken account of by the social welfare law in our system are request for specification of remedies for actual rights to realize social welfare service emphasis on the need for comprehensive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types of customized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each disabled person; and adjustment of mutual functional and collaborative rol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realization of actual welfare. In order to make the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come to lif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such right as set forth in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Social Welfare Service and, most of all, people's awareness of that social welfare service is not a dispensation or sympathy any more but a 'right' must spread. As the science of administrative law including administrative law of social welfare has been rapidly changing for the reason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nd the needs of its consumers varied,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cess of forming a social consensus should be stressed when we construct legislations applicabl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deduce an improvement plan for such servi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