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운동사의 직무실태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김민석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심리운동사의 직무실태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우석대학교 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김 민 석 지도교수 김윤태 본 연구는 심리운동사의 직무실태를 알아보고 심리운동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며 직무실태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한국심리운동연구소와 한국심리운동협회에서 심리운동사 자격을 발급받은 40명의 심리운동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사의 직무실태와 관련하여 심리운동사의 근무지역은 전북이 가장 많으며 서울/경기 가 그 다음으로 많다. 57.5%의 심리운동사가 자가용을 이용하여 출퇴근 하고 75.0%의 심리운동사가 출퇴근에 30분 이하의 시간을 소모한다. 또한 70.0%의 심리운동사는 10평 이하의 크기의 공간에서 심리운동 활동을 제공하며 근무기관 내 별도의 도구실이 없는 경우가 35.0%이다. 근무하는 시설의 대부분은 다른 치료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치료영역에는 언어치료가 가장 많고 미술치료가 그 다음으로 많다. 월 평균 급여는 151~200만원 사이가 22.5%로 가장 많다. 1일 평균 치료 제공시간은 5~6타임이 가장 많으며 1일평균 치료와 업무시간은 5시간 이상이 가장 많다. 월 평균 치료대상자의 수는 21~25명이 가장 많으며 그룹치료를 제공하는 심리운동사가 72.5%이다. 47.5%의 심리운동사는 심리운동 연수 경헙 및 연수 자료를 통하여 직무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있으며 치료 이론과 기법에 관한 교육 연수를 필요로 하는 심리운동사가 가장 많다. 응답자 중 32.5%의 심리운동사가 직무수행 시 어려운 점에 대하여 심리운동 교구의 부족을 원인으로 두고 있다. 둘째, 심리운동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학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그 외 직무스트레스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없었다. 단, 연령과 결혼 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조직적 차원의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실태 관련 변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월평균 급여, 그룹치료제공 여부, 1일 평균 치료 외 업무시간, 월 평균 치료대상자 수가 직무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전북지역의 심리운동사가 그 외 지역 심리운동사에 비하여 이직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하는 기관 내 도구실 유무에 따라 심리운동사들의 생리적 징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관객참여 확대를 위한 공연이벤트 체험 프로그램 방안 연구

        박영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공연이벤트 프로그램에서 관객의 직접 체험이 테마파크의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확장한 관객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데 있다. 테마파크는 3차 산업으로 서비스 산업이다. 서비스 산업은 관객의 만족도를 얼마나 만족시키느냐에 따라 경쟁력을 갖게 된다. 오늘날 관객들은 단순한 구경꾼에서 직접 자신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길 원한다. 체험경제이론에 대해 연구한 Pine & Gilmore는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가 제품에서 체험의 구매로 확대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과 이에 대한 고객의 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은 크게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미적 체험, 현실도피 체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연이벤트를 관람하는 간접체험 관객과 직접체험 관객에게 동일하거나 다른 체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롯데월드 체험이벤트를 Pine & Gilmore의 네 가지 이론을 직・간접으로 체험하는 관객들을 대상으로 대입하고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본고의 분석대상으로 롯데월드를 선택한 이유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실내・외 공연이벤트가 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테마파크에서 가장 많은 입장객 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월드 공연이벤트 체험 프로그램 분석 대상은 ‘로티의 우정의 세계여행2’, ‘로큰롤 빅밴드 쇼’, ‘렛츠드림 나이트 퍼레이드’, ‘통제구역 M’, ‘매직캐슬 라이츠 업’으로 삼았다. ‘로티의 우정의 세계여행2’에서 직접 관객 체험으로는 교육적 체험, 현실도피 체험과 간접 체험으로는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미적 체험이 있다. ‘로큰롤 빅밴드 쇼’에서 직접 관객체험으로는 교육적, 현실도피 체험과 간접 체험으로는 오락적, 교육적 체험이 있었다. ‘렛츠드림 나이트 퍼레이드’에서 직접 관객체험으로 교육적, 현실도피 체험, 간접 체험으로는 오락적, 교육적, 미적, 현실도피 체험이 있었다. ‘통제구역 M’에서 직접 체험은 없으며 간접 체험으로는 오락적, 미적 체험이 있었다. ‘매직캐슬 라이츠 업’에서 직접 체험은 없으며 간접 체험으로는 미적 체험이 있다. 본 연구는 공연이벤트 ‘로티의 모험2: 사이버 어드벤처’를 확장하여 로티의 모험 2: ‘바디 핏 도전! 챌린지’를 제안하였다. 로티의 모험 2: ‘바디 핏 도전! 챌린지’ 프로그램은 전체 관객의 직접 참여 유도를 통해 이야기의 몰입감을 높이고 일체감과 즐거움을 공유하는 단순하면서 운동 효능감을 얻을 수 있는 체험 이벤트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다른 대형무대 공연의 전체 관객체험 공연이벤트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통제구역 M’을 확장하여 통제구역 A ‘나도 K-pop 스타!’를 제안하였다. 통제구역 A ‘나도 K-pop 스타!’ 프로그램은 청소년, 외국인, 매니아층을 대상으로 스토리의 다양성과 완성도를 위하여 직접 체험부분을 확장하여 젊은 층의 관객참여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효과의 가능성이 있다. 특히 외국인에게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으며 트랜드에 맞는 컨셉의 적용은 더욱 다채로운 공연이벤트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브로드웨이 밴드 쇼’를 확장하여 브로드웨이 밴드 쇼 ‘리듬 앤 플렉스’를 제안하였다. 브로드웨이 밴드 쇼 ‘리듬 앤 플렉스’프로그램은 참여 대상을 장애인으로 선택하여 공연예술 행위를 더하여 역할연기(롤플레잉)를 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더 나아가 장애인과 비장애인과 함께 만들어 가는 예술 공연으로서 유의미하다. 이러한 효과는 테마파크의 공연이벤트 문화를 전환 시키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현대의 공연이벤트는 수동적인 형식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관객은 참여를 통해 더욱 높은 만족감과 몰입감을 경험하여, 유희를 상승시키고 문화 예술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는 고객 이탈을 막고 재방문 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관객참여 활용방안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여은혜 우석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tegrated support for each sub-domain of K-DST(gross motor, fine motor, cognition, language, sociality, self-help)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It is to develop a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and to find out if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area.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psychomotorik program based on the PMÜ to support the development domains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1-2. What is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1-3. How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Research Question 2. Is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domains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2-1. What is the effect on gross motor domain? 2-2. What is the effect on fine motor domain? 2-3. What is the effect on cognitive domain? 2-4. What is the effect on language domain? 2-5. What is the effect on social domain? 2-6. What is the effect on self-help domain? Research Question 1. The composition of the psychomotorik program for developmental support by area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screened in K-DST was formulat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e PMÜ theory, the program was construc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more the delayed sensory and motor functions are activated, the more positively it affects the overall developmental process for development support by domain. As a preliminary study, the final draft was constructed after verifying the field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gram. Research Question 2. To verify the field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the psychomotorik program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development by domai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on 66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33 in the experimental group, 33 in the control group). Program applica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8 times for 9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general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in the morning and free choice activities in the afternoon. In data analysis, the tests in the areas of gross motor, fine motor, cognitive, language, sociality, and self-help a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average based on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verification was performed between group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the developmental support of gross motor in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gross motor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gross motor domain through spatial location and balance practice, body recognition, body control, fine adjustment, and braking experience for running movem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fine motor development support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Through experiences such as fine-tuning, object manipulation, hand-finger mobility, hand strength, and eye-hand coordina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fine motor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fine motor domai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cognitive development suppor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domains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discrimination through sensory organs, exploration of how tools work, and creative expression work.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language development suppor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sub-elements of the language domain through expressions of feeling about space and objects, finding common rhythms, practicing word rhythms, and practicing to present new tools or objects and try on their ow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the social development suppor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domain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the sub-elements of the social domain through adaptation practice for commonality, expression work through role play, and cooperative activitie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on self-help development support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self-help area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upporting the sub-elements of the self-help area through rope knotting, movement correction, movement practice, moving tools using the body, and manipulating objects. From the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itable as a program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by domai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is effec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by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to match the K-DST's diagnostic areas, such as gross motor domain, fine motor domain, cognitive domain, language domain, sociality domain, and self-help domain. It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to support the development by domain. 본 연구의 목적은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를 대상으로 K-DST의 각 하위 영역(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어떠한가? 1-3.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는가? 2-1. 대근육운동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소근육운동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인지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4. 언어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5. 사회성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6. 자조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1.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토대로 전문가 협의를 거쳐 시안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PMÜ 이론을 기반으로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해 지연된 감각 및 운동기능이 활성화 될수록 전체 발달 과정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예비연구로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2.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발달지체영유아 66명(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9주 동안 주 2회씩 총 18회가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오전 실내외 활동 및 오후 자유선택 활동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에서 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 영역 검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증 실시,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토대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대근육운동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적 위치와 균형감각 연습, 신체 인식, 신체 조절, 미세 조정, 실행 중인 동작에 대한 제동 경험을 통해 대근육운동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대근육운동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소근육운동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세 조정, 사물 조작, 손과 손가락 이동성, 손의 힘, 눈과 손의 협응 등의 경험을 통해 소근육운동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소근육운동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인지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각기관을 통한 변별, 도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탐구, 창의적 표현작업 등을 통해 인지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인지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언어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과 사물에 대한 느낌 표현, 공통된 리듬 찾기, 단어 리듬 연습, 새로운 도구나 사물을 제시하고 스스로 시도할 수 있는 연습 등을 통해 언어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언어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통성에 대한 적응연습, 역할극을 통한 표현작업, 협력 활동 등을 통해 사회성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사회성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유아의 자조 발달지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로프로 매듭 짓기, 움직임 수정, 움직임 연습, 신체를 이용하여 도구를 옮기는 활동, 사물 조작 등을 통해 자조 영역의 하위요소를 지원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자조 영역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K-DST의 진단영역인 발달지체영유아의 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 영역에 맞추어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 심리운동 기반 해결중심가족상담 모델 개발 및 효과 : 학교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이국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학교부적응 아동 지원을 위해 활 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 방법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해결중 심가족상담을 바탕으로 다양한 심리운동적 요소와 특성을 포함한 심 리운동 기반 해결중심가족상담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의 효과를 분석 하였다. 심리운동 기반 해결중심가족상담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심리운동 기반 해결 중심가족상담 모델 시안을 구성하였다. 일차적으로 구성된 모델의 시 안에 대해 타당도 검증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예비 연구를 거쳐 상담목표, 상담과정, 상담기법, 상담자의 역할이 포함된 심리운동 기반 해결중심가족상담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후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 였다. 모델의 효과검증 대상은 학교부적응으로 의뢰된 아동 7명과 아 동의 부모 중 한명으로 이루어진 일곱 가족이었으며, 아동과 부모의 가족상담 연구 참여는 학급담임, 학교상담사, 학교복지사, 보건교사, 학교관리자의 권유를 통해 부모가 동의하는 절차를 거쳐 이루어졌다. 상담은 사전준비 및 관계형성, 목표설정, 해결책 탐색 및 실행, 종결의 절 차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사전면담 회기와 추후상담 회기를 포함해 총 11회기 실시되었다. 상담 참여자들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담과정에 활용된 심리운동의 효과 를 분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Creswell(2007/2010)이 구성한 질적 연 구접근방법 개념틀을 토대로 자료정리, 읽기와 메모, 기술, 분류, 해석, 제 시 및 시각화의 절차를 따라 처리하였다. 분석을 위해 정리한 상담내용과 인터뷰 내용의 기록과 영상에 대해 참여 부모, 학교상담사 및 아동의 담 임교사들로부터 내용을 확인 받아 수집 내용의 정확성을 기했으며, 이 자 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일차적 결과에 대해 심리운동 전문가 3인과 동료 가족상담 전문가 3인으로부터 확인 받아 내용의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추후 분석 결과에 대해서도 전문가 그룹의 검증을 거쳤다. 모델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에 참여한 결과 가족상담 의뢰 시 호소하던 아동의 부적 응행동이 모든 참여 아동에게서 감소하고, 적응 행동이 증가 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담 참여 아동에게서 가족관계 향상, 친구관계 향상, 긍정적 인 의사소통, 자신감 향상의 네 항목의 공통된 변화가 확인되었다. 셋째, 척도점수를 통해 상담에 참여한 부모의 상담목표 도달 정도를 확 인할 결과, 참여 부모는 상담횟수가 증가할수록 자신이 설정한 상담목표 에 접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상담 참여 부모에게서 감정조절의 향상, 긍정적 관점으로 변화, 편안함, 지지 받음, 양육태도 개선, 아이에게 선택권을 부여함, 가족 관 계가 좋아짐의 일곱 항목에서 유의미한 공통된 변화가 나타났다. 다섯째, 해결중심가족상담에 심리운동이 활용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심 리운동은 아동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등의 동기를 유발하고, 성취경험, 능력인정, 칭찬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 과정에서 아동에게 시 도, 탐색, 조절, 환경구성, 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주도권을 부여하 며, 아동이 유능감을 가지고 자신 있게 행동하고 타인을 배려할 수 있도 록 하며, 활동에서 기쁨과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등 즐거움을 주는 것으 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에게 있어 심리운동은 인정받기, 대화방식, 관계 맺기, 긍 정적 관점에 관한 경험을 하도록 하고, 자녀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도록 하며, 자녀와 자신에 대해 자랑스러움을 느끼고, 자신의 양육태도를 반성 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아동과 부모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심리운동 활용의 효과는 아동과 부모가 있는 그대로 자신을 표현하고 이해 받고 수용되는 경험을 제공하며, 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모델링하며,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도록 하고, 적용한 모습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의 기회를 제 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었는 데, 활동 과정에서 긍정적 관점을 발견하고, 강점과 자원 및 문제가 발생 하지 않는 예외상황을 탐색하도록 하며, 이를 토대로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운동의 긍정적 영향으로 교사들에게서는 아이들을 위해 심리 운동 운영을 위한 시설이 생기기를 기대하며, 심리운동을 배울 수 있는 자격과 방법에 대해 질문하고 호기심을 나타내는 등 관심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논문의 대상은 학교부적응이라는 문제를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사례들로 구성되었으나 학교부적응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지 않 았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학교부적응의 종류와 학년 및 성별을 구분지어 실시하고 효과를 살펴보았으면 한다. 둘째, 이 연구는 학교부적응아동과 그 부모로 이루어진 일곱 가족 을 대상으로 하였고, 비교집단을 구성하지 않은 가운데 결과가 분석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아동과 가족을 대상 으로 하여 적용 모습과 효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심리운동의 신체경험, 물질경험, 사회경험의 다양한 요소가 심 리운동 기반 해결중심가족상담에서 각각 어떤 유형의 학교부적응 문 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이와 관련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심리운동 기반 해결중심가족상담의 활성화를 위해 진행자를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에서 학교부적응 아동을 발견, 심리운동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 록 일반 교사들을 위한 심리운동 연수가 개설되고 활성화 될 필요 가 있다. 다섯째, 학교에서 실시되는 경우 상담이 실시되는 장소와 환경 구 축을 위해 담당자와 사전 협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후속 연구에서는 심리운동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도구들을 다채롭게 활용하여 특정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쓰일 수 있는 심리 운동의 도구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해결중심접근법을 토대로 심리운동의 움직임 활 동과 요소를 통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학교를 기반으로 한 가족상담 연구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학교부적응 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가족을 상담에 포함시키고, 학교 와의 협력을 고려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심리운동이 상담에서 활용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심리운동 이 상담의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열린 가능성을 제공했다 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counsel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support maladjusted children in education. To this end, we developed a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using psychomotorik model that included various psychomotorik elements and activities based on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model. In order to develop a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using psychomotorik mode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is a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using psychomotorik model was constructed. After that, through collecting expert opin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using psychomotorik model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counseling goals, counseling process, counseling methods, and counselor's role. The subjects of the model were seven families consisting of one child and one parent of the child who were referred to the school for maladjustment. The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s recommended by the class teacher, school counselor, school social workers, health teacher, and school administrator and family counseling was carried out by consent of parents and children. Counsel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prepara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goal setting, solution search and execution, and closing. A total of 11 sessions were conducted, including a pre-interview session and a follow-up consultation session. Data was collected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counseling participants and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used in the counseling process. Data processing was follow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interpretation, presentation and visualization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at was constructed by Creswell (2007). The contents of counseling and interview were summarized for the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were verified by participating parents, school counselors, and classroom teachers of participated children.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as reviewed by three people and three fellow family counseling experts, and later the results of analysis was also verified by these expert group. First,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counseling, maladjusted behaviors of children complained at the time of family counseling were found to be reduced and more adaptive behaviors were observed in all participating children. Second, the common changes of four items were identified among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counseling: improved family relationships, improved friendships, positive communication, and improved confidence.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egree of reaching the counseling goal of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through the scale sc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ng parents approached the counseling goal set by themselves as the number of counseling increases. Fourth, there were seven common changes in counseling parents: improved emotional control, change into positive perspective, be comforted, be supported by, improved parenting attitude, give a choice to children, and improved family relationship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on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it has been shown that psychomotorik cause children’s confidence through experiences of achievements, acknowledgment, compliment by stimulating children's curiosity and interest. It gives children the initiative to try, explore, control, organize, make choices, and make decisions, and helps children act confidently, to be considerate of others, and to enjoy and fun activities. It has been shown to be enjoyable for children. Sixth, the use of psychomotorik in parents can lead to experiences of recognition, conversation, relationships, positive perspectives, discovering their new aspects, feeling proud of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and reflecting their rearing attitude. Seventh, the effect of using psychomotorik that is common to children and their parents is to provide experiences that express and understand and accept themselves as they are, and learn communication, model, try new ways, and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that can emend their changes and improvements. It also had the effect of providing a clue to the solution, finding positive perspectives in the course of activities, exploring the strengths, resources, and exceptions where problems did not arise, and building solutions based on them. Finally, Psychomotorik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otivating teachers with psychomotorik for their children and equipping them with school facilities and raising interest in the qualifications and methods of learning psychomotorik.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thesis consisted of the cases that have the problem of school maladjustment in common, but it was no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maladjust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e follow-up study to be conducted by classifying the types of school maladjustment, grade, gender and examining the effects. Second, this paper is aimed at seven families consisting of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out forming a comparison group. Therefore,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more children and families in detail aspects and effects. Thir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hat kinds of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each of the physical, material, and social experiences of psychomotorik can help in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using psychomotorik. Fourt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facilitator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facilitate effective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ing using psychomotorik as a support method for school maladjusted children. Fifth, if it is conducted at school,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the person in charge in order to establish a place and environment for counselling. Sixth, the follow-up study hopes to study the psychological tools that can be used to support specific situations by using the unique and attractive tools of psychomotorik in various way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s the movement activities and elements of psychomotorik based on the solution-focused approach. Second, in a situation where school-based family counseling research is difficult to be found, it is significant that families were included in counseling to support school maladjusted children and cooperation with schools was considered. Third, it is considered that psychomotorik provided an open possibility to expand into the area of counseling by confirming the effects utilized in counseling.

      • 폐어망과 저회의 재활용을 위한 폐어망 보강 저회의 역학적 특성 연구

        권순장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waste fishing net(WFN) reinforced bottom ash for recycling both bottom ash and WFN. In this study several series of triaxial test were carried out on the three different specimens : unreinforced bottom ash, reinforced bottom ash with 1 or 2 layer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hear properties of bottom ash were strongly influenced by reinforcing layer. It is shown that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bottom ash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reinforcing layer due to interlocking effect and friction between bottom ash and waste fishing net. Pullout tes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pullout characteristics of waste fishing net, which added into bottom ash. Three different mesh size of WFN and geogrid were added as a reinforcement. Pullout characteristics of waste fishing ne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geogrid. Pullout test results showed that pullout strength and stiffness of WFN2 are a little less than those of geogrid. However, the pullout friction angle of WFN2 is similar to that of geogrid due to bearing resistance induced from transverse rib because thickness of WFN2 is greater than geogrid. Direct shear test are carried out to evaluate friction properties of bottom ash-waste fishing net considering transverse rib types of waste fishing ne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friction properties of reinforced bottom ash were influenced by transverse rib types of waste fishing net. It is found that the shear strength and internal friction angle of bottom ash-waste fishing net i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increasing transverse rib.

      • 아동 뮤지컬의 음악적 효과 연구 : 피터와 늑대와 브레멘 음악대를 중심으로

        이미경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연 안에 드라마, 음악, 춤의 요소가 모두 어우러져서 들어가 있는 총체극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아동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적 효과와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동 뮤지컬의 역사가 너무 짧고 개념 설정도 확실히 서 있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은 있었으나 나름대로 아동뮤지컬의 짧은 역사를 짚어보고 개념도 설정해 보았다. 아동뮤지컬의 음악적인 요소의 가치와 중요성을 비교하기위하여 아동극 <피터와 늑대>와 창작 아동뮤지컬 <브레멘 음악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작품을 비교 분석한 이유는 아동뮤지컬도 크게 보면 아동극에 속할 뿐만 아니라, 널리 알려져 있으면서도 이상적인 아동극으로 평가받고 있는 작품을 비교 대상으로 삼기 위해서였다. 아동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적 효과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극과의 상호관계가 자연스럽고 감동적이면서 교육적인 효과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에너지가 있다. 아동극 <피터와 늑대>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것은 음악적 효과를 최대로 극대화시키고 아동에게 어려운 음악을 쉽게 인지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자는 <피터와 늑대>와 <브레멘 음악대>에 대한 다양한 음악분석을 통해 극적인 인물과 상황을 음악이 얼마나 잘 표현했는지를 비교분석하고 음악적 특성과 음악의 극적 기능을 유추해 내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현 시점에서 한국 아동 뮤지컬의 짧은 역사를 되짚어보고 현재의 상황을 바로 인식하며 앞으로 아동뮤지컬의 음악적인 효과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데 있어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의 연구를 위해 본 논문은 뮤지컬의 정의, 아동 뮤지컬의 개념과 특징, 음악교육의 역사와 음악 교육적 효과, 아동극의 역사, 아동 뮤지컬의 역사 등을 살펴보고 <피터와 늑대>와 <브레멘 음악대> 두 작품의 음악대본 분석, 조성 분석, 음역과 음색분석, 형식 분석, 곡 분석 등 다각적인 음악분석을 시도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피터와 늑대>의 음악작품은 인물의 상황 표현과 스토리 전개에 음악적 기능이 거의 완벽하게 맞아 떨어진다. 따라서 잦은 임시표 출현과 조성이 자주 바뀌는 등 현대 음악에 가까울 정도로 난해한 음악이지만 아동이 아닌 유아도 그 음악을 소화해 낼 수 있을 정도이다. 즉, 아동들은 음악만 들어도 그것이 어떤 동물 캐릭터를 표현하고 있는지 쉽게 알아낸다. 반면에 <브레멘 음악대>는 동일음 반복과 음정관계가 극히 단순하고 리듬조차 단순하지만 아동에게 기억에 남거나 인지되는 음악은 없었다. <브레멘 음악대>의 경우 단지 스토리 전개에 음악을 입혀서 오페라나 칸타타에서의 레치타티보 역할을 음악이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뮤지컬을 정의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첫 번째 요소로 음악을 손꼽을 수 있으나, 뮤지컬의 음악은 고전음악이나 대중음악과는 구별되는 뮤지컬만의 독특한 양식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또한 뮤지컬에 쓰이는 연기와 무용도 일반적인 연극이나 무용과는 그 기법이나 표현법이 달라야 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아동 뮤지컬의 음악을 아주 단순화 시키거나 무시하고서 스토리 전개에만 포커스를 맞춘다면 오래가지 못하고 관객으로부터 외면당할 것이다. 음악은 인간의 성품, 인격, 지식을 형성시키고 온전한 인간을 만드는데 필요하다. 특히 음악은 뇌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청각과 운동신경을 더 좋게 만들어준다. 아동기에 어떤 교육을 받았는가에 따라서 아동은 음악적 심성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음악능력을 형성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음악 감각은 유아기에서 초등학교의 저학년에 걸쳐 급속한 진보를 갖는다. 우리는 평생을 배우며 살아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유아나 아동기의 교육은 사람의 일생을 결정지을 만큼 중요한 것이다. 그중에서도 감수성과 창의력 부분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특히 음악 교육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간은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기도 하고 자신의 감정을 승화시키기도 하며 타인과 감정을 교감하기 때문이다. 아동기에 있어서 음악적 능력은 다른 능력에 비해 비교적 빨리 발달하기 때문에 음악성을 발달시키고 음악에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은 교육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대사회의 변화와 아동문화를 살펴보면 아동의 놀이문화에도 정보산업화에 의한 기술문화가 많은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멀티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아동문화환경의 변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일상생활에서 직접적인 인간 접촉과 대면을 통한 관계 형성이 최소한으로 축소되면서 생길 수 있는 소원함과 고립감과 같은 인간관계의 질적 변화이다. 멀티미디어가 만들어내는 가상현실은 아동에게 인간적인 감수성과 배려 등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면서 심리적 충격을 야기할 수 있고 직접적인 인간 교제에 점차적으로 무관심하게 아동을 길들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리적인 인간관계가 배제된 가상의 접촉은 사회적 인간관계의 토대를 흔들리게 하기 때문에 아동이 갖는 심리적 소속감과 안정감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런 때에 음악의 생생한 체험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조성을 계발하고 정서를 풍부하게 하여 조화로운 인격을 함양하는 동시에 바람직한 국민으로서의 자질을 높여야한다. 과학문명과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간이 기계화되기 쉽고, 인간성을 상실하기 쉬운 이때에 올바른 인간형성에 중요한 교육 중에 하나가 음악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잘 만들어진 뮤지컬은 책 한권의 감동보다 몇 배의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아동들은 집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무대 위에서 창조되는 예술의 세계를 완벽하게 온몸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일생동안 지속된다. 우리나라 아동 뮤지컬이 해결해야 할 과제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특히 음악적인 부분이 아직도 미흡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작곡가ㆍ작사가가 아닌 전문적인, 특히 아동의 심리나 교육적인 면을 고려할 수 있는 작곡가가 많이 배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작곡가는 대본을 그냥 읽어보고 대본에만 의지하여 작곡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동 뮤지컬의 작곡가는 그 작품의 느낌을 현장감 있게 보고나서 충분히 소화한 후에 작곡이 들어가야 한다. 물론 작곡자와 작가가 자주 만나기 힘든 것이 현실이지만 시간에 쫓겨서 대충 만드는 음악은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많은 직, 간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앞으로 더욱 실력 있는,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는 어린이들을 위한 작곡가가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The research performed in the drama, music, dance, blend all the elements inside the structure has a total pole in a children's musical music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me The aims are for. However, the history of children's musical setting is too short, the concept certainly does not stand children's own difficulties, but a short history of the musical thought of the concept set saw the report. Children's musical elements of music to compar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Peter and the Wolf" and the juvenile drama "The Bremen Town Musicians" wa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ren's musicals. Children's musicals belong on a larger scale juvenile drama ideal for work and were compared. Children's Musical in the central role of musical effects, and smooth relations between the pole is moving to maximize the training effect is the energy. Juvenile drama "Peter and the Wolf" as he takes the analysis is targeted to children up to the musical effect is difficult to make music easier because the representative works. The researchers "Peter and the Wolf" and "The Bremen Town Musicians" to analyze a variety of music and music through the dramatic character and situation, how well did express wheth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ramatic and musical attributes, and feature music that is aimed to find out how to deduce. Now at this point that this paper, a short history of Korea's children's musical reflections on the current situation report recognizes that the future of children's musical with music effects and more carefully consider the purpose of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this paper, the definition of the musical, children's musical concepts and features, music, history and music education educational effects, juvenile drama history, look at the history of children's musical "Peter and the Wolf" and "The Bremen Town Musicians" The work of the music scenario analysis, composition analysis, range and sound analysis, type analysis, song analysis, and multiple attempts to analyze the music has had the following conclusions. "Peter and the Wolf" by the situation of the people expressed in the musical features and story line is almost perfectly right away note frequent occurrence and composition change frequently and closer to contemporary music is difficult enough, but not young children should also understand the music. For even know what makes the character plays music. On the other hand, "The Bremen Town Musicians" Well, repeats the same tone and rhythm of the relationship is very simple and the music is simple, but could not remember the child. Music, story line just a dog in the opera, cantata, recitativo role in the music that is around. Musical defined as essential to the first element is counted, but the music, the musical's music from classical music or popular music has a distinct musical form, must be unique. In addition, smoke and dance used in musical theater and dance from the common representation and the techniques to keep in mind that this will be different. Children's music, musical, or ignore a very simplified process but instead focused on the story if not for long from the audience will be ignored. The music of the human character, personality, knowledge, and perfect the human form is required to build. The music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rain and auditory nerves and the exercise makes you better. Have received any training in childhood, depending on the child receives a profound impact on the musical soul. Music ability is important to form the most basic sense of music in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infancy, rapid progress has throughout. We learn to live life is to live in an ag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person's life is important enough to decide. Sensitivity and creativity in the raised portion of them to cycle, especially music education is important. Because human beings through the music and their physicians may express their feelings and sikigido sublimate feelings of sympathy, because others. Musical ability in childhood compared to other skills developed relatively quickly because the development of musicality and became interested in music that has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education. Changes in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look at children's child's play by the culture of industrialization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arries on with the culture is more dominant. Among them, multimedia development, based on changes in children's cultural environment, the most noticeable phenomenon in everyday life through direct human contact and face to face relationships that can lead shrinking to a minimum, such as isolation is a qualitative change in human relations. Multimedia by the virtual reality of human sensibility and care for children, such as reducing direct interaction can cause psychological trauma, and direct human relationships and the elements in the progressively indifferent child can result. Thus, the physical relationship that excluded the social relationships in virtual contact with the foundation because it resonated with the child's psychological sense of belonging, stability can be damaged. This time through the music of the live music experience and creativity to develop a rich atmosphere, while desirable to cultivate a harmonious personality qualities as people are laughing. Scienc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this is easily mechanized, human nature is easy to lose The right to an education in human form is one of the music that nobody can deny the fact. Well-crafted book, the excitement of a musical than a few times you can make a difference. Because of this strong focus, especially children, are created on the stage of art to the world body to fully accept this, so the impact lasts a lifetime. Korean children a variety of musical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but the music part is still insufficient, especially because the typical non-professional songwriter, composer ㆍ simrina, especially of children, educational aspects to consider are thought to be on the composer. I just read the script when the composer wrote the piece called the most realistic feel to the full report after the fire After the music should go. Of course, composers and writers, but the reality is often difficult to meet because roughly two hours of music making children more elusive, is the indirect damage. The future depends on our children for the future, more talented composers and are favored to emerge.

      • 의미 중심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김현실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to support middle-aged women living in the most unhappy stage of their life‘s development, in their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to positively accept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and produce new meanings at every moment of their lives. To this end, a meaning-centered Psychomotorik program was developed, and what and how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what effect it has on the change of meaning in their lives, is to be investigated. Middle age is generally the most unhappy period of life, and middle-aged women in Korea are more unhappy than women in other OECD countries. This is because Korean society has a cultural characteristic of staying in the pre-personal stage, where the main virtue for women is to sacrifice for their families. Middle-aged Korean women are constantly required to play the roles of daughter, mother, wife, and daughter-in-law rather than their own lives. During such a life,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by the time they reach middle age, their existence is weakened and their self-esteem is at a level of loss. Stress increases as the difficulties of physical aging increase and family relationships such as independence of children or caring for parents are re-established. During these times, they need the strength and ability to restore or maintain physical health and adapt to changes in relationships. Frankl said that in a moment of desperate crisis, the last great power to overcome it is inherent. This energy is awakened by such things as hope, responsibility, love, or creative acts, love of nature,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this is called meaning. Humans need the ability to create positive and new meaning in every moment of life. Ruth Hass provid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Psychomotorik for adults in ‘middle age, when the lack of movement becomes full-fledged’. His Psychomotorik for adults, evaluated as an applied motologie, acknowledges the uniqueness of an individual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and emphasizes the reinforcement of interdepend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e emphasizes self-efficacy, laughter and humor, relationships, social networks, resilience, physical activity, enjoying and experiencing rhythm, immersion, exercise and relaxation as elements of body and mind control in Psychomotorik for adults. The meaning-centered Psychomotorik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Hass, and techniques from adjacent research fields such as body relaxation techniques, mindfulness meditation, and Awareness-dance were applied. Each session was provided with three programs: relaxation work, Awareness-dance, and Meaning-play. The relaxation program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body perception and self-concept and improvement of body functions as an internal body- somatic experience. Awareness-dance, an external physical experience, aims to develop a sense of self-efficacy and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skills through shared achievement experiences while experiencing the emotion of pleasure. And the Meaning-play, which has more cognitive activity elements, was aimed at awareness and insight into the self and one's relationship pattern through the given theme and metaphor for each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relaxation program, there were many statements related to physical abilities such as body perception and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in the Meaning-play, statements related to self-concept such as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were predominant. In Awareness-dance, statements related to self-efficacy from pleasure and achievement experiences were widely distributed, and the proportion of statements about community awareness and relationship reflection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as also high. This study developed a meaning-centered Psychomotorik program to help middle-aged women develop physical-self-social competence that produce positive meanings of life,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이 연구는 전 생애 발달단계 중에서 가장 불행한 시기를 사는 위기의 중년여성이 삶의 모든 순간에 자신과 환경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생산하며 살아가는 삶의 태도 능력의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미 중심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내용을 통해 대상을 이해하고 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중년기는 일반적으로 전 생애과정에서 불행한 시기이나 한국의 중년여성은 다른 여타 OECD국가에 비해 그 불행감이 더 높다. 그것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가족에 대한 희생이 주요덕목인 Pre-personal 단계를 벗어나기 어려운 문화적 특성이 중년여성으로 하여금 사회적 문화적 환경 내에서 자신의 삶보다는 딸, 엄마, 아내, 며느리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삶을 살아오는 동안 자신을 돌볼 기회를 갖기 어려운 것이 큰 이유이다. 그렇게 중년기에 이를 때까지 자기존재는 약화되고 자아가 상실의 수준에 이르기도 한다. 이때, 신체적인 어려움이 많아지고, 자녀의 독립이나 부모님 부양 등 관계가 재정립되는 것과 실존적 공허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중년기 스트레스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런 위기의 시기에 신체건강의 회복 또는 유지와 관계성의 변화에 적응하는 마음의 힘과 능력이 중년여성에게 요구되는 것이다. Frankl은 인간에게 절체절명의 마지막 위기 순간에 발휘되는 최후의 힘, 위대한 힘이 비장되어 있다고 했다. 이 에너지는 희망, 소망, 책임감, 사랑, 또는 창조행위, 자연사랑, 미적체험과 같은 것에 의해 각성되며 이것이 의미라고 한다. 의미 생산의 잠재력을 내재한 심리운동의 인간관을 전제로 ‘위기의 중년여성’에게 삶의 매순간 긍정적이고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능력의 개발이 필요하다. 심리운동은 이러한 요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중년기의 주요 과제인 신체능력의 회복과 유지, 심리적, 사회관계적 주제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의 지원할 수 있다. Ruth Hass는 ‘움직임의 결핍이 본격화되는 중년기’의 성인 대상을 위한 심리운동 연구로 장애 및 아동 청소년을 위한 심리운동과 차별화된 성인을 위한 심리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응용된 모톨로기로 평가받는 그의 성인 대상 심리운동은 환경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상호의존적인 신체적 심리적 웰빙을 위한 건강증진 자원의 강화를 강조한다. 이를 위해 성인을 위한 몸과 마음의 조절 요소로 자기효능감, 웃음과 유머, 관계능력, 사회관계망, 회복력, 신체활동, 유리듬을 즐기고 경험하기, 몰입, 운동과 이완 등의 요소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Hass의 관점을 중심으로 중년여성을 위한 의미 중심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신체적 심리적 경험 내용과 그것이 그들의 삶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능력의 발달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다. 프로그램의 기법에 있어 심리운동과 유사한 관점의 신체이완기법과 마음챙김명상, 알아차림춤 등의 인접 연구영역의 기법들을 적용하여, 각 회기마다 이완작업, 알아차림춤과 의미놀이의 세 가지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완프로그램은 내적 신체경험으로 신체지각과 자아개념의 개발기능과 신체기능의 개선을 가져오는 재활치료적 성격이 있으며, 외적 신체경험인 알아차림춤은 즐거움의 정서를 경험하는 가운데 공동의 성취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발달시키고 긍정적 관계경험을 통한 관계능력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완과 알아차림춤과는 달리 인지활동적 요소가 많은 의미놀이는 프로그램마다 주어진 주제와 은유를 통해 자아와 관계패턴에 대한 알아차림과 통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진술과 설문, 연구자의 현장노트, 관찰과 해석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이완프로그램에서는 신체지각과 신체 개선 등 신체능력관련의 진술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의미놀이에서는 자아인식과 자기성찰 및 자기효능감 등의 자아능력과 관련한 진술이 주를 이루며 신체지각에 대한 진술은 거의 없었다. 알아차림춤에서는 즐거움과 성취경험 등을 기반으로 자기효능감과 관련한 진술이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완과 의미놀이에 비해 긍정적 관계경험을 통한 공동체인식과 관계성찰 등의 관계능력과 관련한 진술의 비중이 높았다. 움직임을 통한 심리치료와 물리치료적 특성을 지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참여자들에게서 만성통증완화와 같은 신체기능의 개선이 나타났고, 자아인식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등과 같은 자아능력과 가족을 비롯한 타인을 대하는 자신의 관계방식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성찰 내용의 보고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비장애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삶의 의미를 생산하는 신체·자아·관계 능력의 개발을 지원하고자 의미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자들의 경험 내용을 토대로 이상과 같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채윤화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채윤화 지도교수 김 윤 태 본 연구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장애전문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발달지체유아 14명을 대상으로 중재도구인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회기당 40분, 총 16회 적용하였고, 2주후 유지기간을 실시 하였다.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2012)가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평정척도 CPRS(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의 놀이성의 변화와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의 사전, 사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사전과 사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놀이성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놀이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아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사전과 사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놀이성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의 4개 요인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보아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험위주의 프로그램과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움직임 놀이를 선호하는 특성을 고려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내적인 동기와 자발성을 이끌어 내어 ‘놀이를 할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이며, 놀이의 질적 특성’인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psychomotor program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hea Youn hwa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Youn ta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motor program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r this study, we applied the psychomotor program, which is an arbitration tool, to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are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specialist for 40 minutes per session, total 16 times and carried out the maintenance period after 2 weeks. Using the 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 (CPRS) developed by Kim Myung-sun, Kim Kil-Sook and Park Chan-hwa(2012), the change of pre and post playfulnes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leading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joy, voluntary full imm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ful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psychomotor program. As a result, the playful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and the psychomotor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fulnes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factors of the of playfulnes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of psychomotor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play group of play group of experimental group in four factors of leading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joy, voluntary full immer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sychomotor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sub factors of the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In conclusion, experiential programs and developmentally retarded psychomotor program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reference for physical movement play by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lead to internal motivation and spontaneity of developmental retarded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are potential forces to play, Which is a positive influence on playfulness .

      • 즉흥기법을 활용한 연극치료 작업 과정 및 효과 분석

        강성혜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즉흥’이 연극의 치료적 메커니즘과 어떻게 부합하여 효과를 발생시키는지, 그 과정 및 효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즉흥의 가치와 그로 인한 연극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연극치료연구소’에서 2008년 12월 21일 부터 2009년 2월 22일까지 진행된 10회기의 연극치료 작업이다. 사례 작업의 과정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써, 참여자로 임한 연구자가 직접 체험했던 현상을 치료성과 연계하여, 그 의미를 밝혀 보는 내러티브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과정 분석을 통해 알게 된 즉흥의 효용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즉흥은 인지하기 이전에 무의식을 발현하게 하여 본질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둘째, 자발성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깊이 경험하고 실제 행동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상상력을 통한 창조성의 촉진으로 자신만의 체험을 확장하고 변형하여 새로운 관점과 시각을 형성하게 해 주며, 예측 못하는 상황 속에서도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반응하도록 도와준다. 효과 분석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합한 것으로, 얄롬의 ‘치료적 요인 척도’를 도구로 선정하여 수치를 도출, 이 결과를 참여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재분석 해 보았다. 그 결과 12개의 항목 순위는 <1. 보편성, 2. 자기 이해, 3. 정화, 4. 실존적 요인, 5. 대인관계학습-투입> 이었다. 핵심 목표 ‘나 자신을 깊이 이해하기’와 연계해서 해당 항목을 찾아 본다면 이것은 ‘자기 이해’로써, 결과를 통해 이 항목이 2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위 ‘보편성’의 수치와는 ‘0.16’(최대치 7)의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치료적 요인을 분석했을 때 기술되었듯, ‘자기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편성’을 인지할 수 있는 항목도 있었기에, 사례 작업의 핵심 목표를 달성했다 보아도 무리가 없다. 또한 연구자는 결과를 분석하는 가운데 얄롬의 척도지가 설명해 낼 수 없었던, 치료효과를 도모하는 연극의 본질적인 요소 -허구, 상징과 은유, 관객, 극적 행동- 를 밝혀냄으로써, 결과 분석에 미진한 점을 보완하고 더불어 연극치료의 정체성을 부각시켜 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례 작업을 통해 기존 연구와는 다른 각도로 즉흥을 재조명해 보고, 즉흥이 연극의 본질적인 요소와 함께 활용 되어질 때 발휘되는 치료적 가치와 그로 인한 연극치료의 효용성을 알렸다는데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며 마무리 하고자 한다. 첫째, 연극치료를 위한 척도 개발과 진단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연극치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이야기를 다양하게 구조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연극치료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연극의 본질적인 요소에 집중하여 연구함으로써, 독자적 영역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