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 한국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이수민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문화예술인에 대한 고용불안정 해결과 경제적 지원을 위한 한 방안으로 사회적 기업을 제시하고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고찰에 목적을 두고 외국의 성공사례와 국내의 성공사례를 통해 사회적 기업 발전 방안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법, 제도, 지원방안 및 발전방안과 사회적 기업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공연예술 분야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선행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범위를 공연예술 분야로 한정하였다. 연구문제로 사회적 기업의 개념 및 일반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문화예술부문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공연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례와 국내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례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국, 미국, 일본의 성공적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사례 통해 많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외국의 경우 국가마다 사회적 기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다르지만, 상업부분, 공공부문 등 넓은 사회경제적 활동에 통합되는 경향과 조직형태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영국은 정책 관심사항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기업이 존재하고 있으며, 복지민영화 방식으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영리기업 활동을 통해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법적, 제도적 지원이 체계적이고 포괄적이었다. 미국은 자율성 및 독립성과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이 크게 두드러졌다. 일본은 시민사회와 사회적 경제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NPO, 시민, 민간기업 사이에 네트워크가 매우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책과정에 NPO들이 관여하고 있다. 국내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은 인증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수치화와 이를 위한 증빙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다른 분야 사회적 기업과 비교하여 성장세가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인증후에도 인력수급이나 재정악화로 인하여 인증반납이나 사회적 기업을 폐업하는 사례들도 생기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지속경영 어려움의 이유로는 정부보조금에 대한 지나친 의존, 사회적 기업 정책 초기부터 제기된 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현 증빙의 어려움,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이 부족, 인증기관의 전문성 부족, 인증 후 관리·감독의 비체계성, 근무환경에 공연예술 특성 미반영 등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외국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성공사례와 한국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실태와 성공사례를 총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발전방안을 3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환경의 개선, 둘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의 역량개발, 셋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회자원 및 네트워크 강화이다. 이를 통하여 정부주도의 직접지원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경제적·사회적으로 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suggests a social enterprise as one of the solutions for employment instability of artists and the economic supports for them, and studies the development plan for social enterprises in culture and art based o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enterprises for analysis of their status and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plan for them. There are precedent researches generally analyzing law, system, support plan, development plan, and social enterprises; however, there is no precedent research focusing on performing arts. Thus, this research restricts its range to performing arts. It also examines the concept and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understands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n culture and art and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for its subject. Final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both foreign and domestic performing arts to discuss about the development plans. The successful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British, American, and Japanese performing arts lead various implications for this research. Each country has different definitions for the social enterprises; there are also similarities such as a tendency to integrate with greater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commercial sector and public sector, and flexibilit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 form. In Britain, there are not only various social enterprises due to the interest of policy but also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minimization of governmental intervention by welfare privatization, and support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vulnerable social group by activities of commercial enterprises. In US, autonomy, independence, and spirit of social enterprise are emphasized, and the role of volunteers is remarkable. In Japa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civil society and social economy brings intimate and organic network betwee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PO, citizen, and private enterprise, therefore, NPOs are involved in the direct policy process relevant to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network. The number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gitize and verify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for certification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and it leads them to grow slower than the other social enterprises in different areas. Furthermore, they still suffer from the return of certification or closure by manpower supply and demand or financial problems even after certification. The reasons for difficulties in maintenance of business are heavy reliance on government subsidies, difficulties in verification of social value realiz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even since the police was announced, lack of market for products and service. shortage of professionalism in certificate authority, unsystematic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after certification, and no appl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n working environment. Overall analysis o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and status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leads 3 development plan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the competence improvement of managers of social enterprises in art, and the enhancement of social resource and network for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The enterprises will refuse to settle for the direct support of government and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through those plans.

      • 현대미술 전시특징에 관한 연구 : 팝아트, 현대사진, 미디어 아트의 국내전시를 중심으로

        양윤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As the time flows, the art changes the standard of beauty, creates new styles, and thus represents important part of pop culture. As we move from the 20th century into the new millennium, Contemporary art is going through various changes especially, expressing is it the complexity of the modern society, acting as a medium that reflects on the modern life and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Artists' intents art communicated through contemporary art to the public through oftentimes in art museum exhibitions, and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the modern society as a stream of the same time and interacts with the public.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and analysis focusing on pop art, contemporary photography, and media art exhibitions along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case studies examined, the important role as the medium reflecting the complex modern society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Moreover, in order for the contemporary art to be a true pop culture while being presented in the form of art museum exhibitions, art museums must seek ways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s they develop exhibi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designing 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nd how the trends in designing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op art, contemporary photography, and media art exhibitions that we should note is that they are the most accessible to the public nowadays, so it is important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art. To analyze cases studies of exhibitions while accounting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each specific type of contemporary art,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three representative places: Seoul Museum of Art, Samsung Museum of Art(Leeum), and Nam June Paik Art Center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at held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recently. The results of case studies analysis of the three art museums' exhibitions show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firstly, an important medium to reflect the modern society and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Secondly, the use of objets in exhibitions made it easy for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as well as created aesthetic expansion of contemporary art. Thirdly, the synthetic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meaning they go beyond the boundaries of art genres, was clearly reflected as showing and mixing various forms of creative and experimental art resulted in exhibitions free from trite art exhibited in the past. However, this thesis should seeks to further various measures such as education programs and seminars of art museums in order to make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promote even mor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s and therefore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and making it a place for communication that can be approached as a true pop culture. Hopefully, more studies of, and efforts to improve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are expected to appear in the future,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s much as the advanced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of art museums as a true pop culture that breathes in this time.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미술은 미의 기준을 달리하며,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내고, 대중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세기를 지나면서 현대미술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 복잡한 현대사회를 표현하고 대중과 소통하며, 현대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해오고 있다. 현대미술은 미술관 전시를 통해서 대중에게 그 의도가 전달되며 동시대의 한 흐름으로서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대중과 상호작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이론적 고찰과 함께 팝아트, 현대사진, 미디어 아트 전시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진행된 전시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복잡한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현대미술전시 특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현대미술이 미술관 전시와 함께 진정한 대중문화로서 거듭나기 위해서는 미술관들이 전시발전과 함께 대중의 참여를 더욱 활발히 하기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먼저 현대미술전시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전시에 대한 개념 확립과 과거에 비해 현대미술전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의 흐름을 알아보았다. 또한 동시대미술로서 대중과 가장 밀접한 팝아트, 현대사진, 미디어 아트 전시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각 유형별 특징을 이론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현대미술의 유형별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전시사례 분석을 위해서는 현대미술전시가 열렸던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를 포함한 대표적인 세 곳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앞에서 이루어진 세 곳 미술관의 전시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현대미술 전시가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대표되는 특징을 잘 보여주었다. 둘째는 전시 안에서의 오브제의 활용은 현대미술의 미적확대와 대중의 전시참여를 용이하게 만들어주었다. 셋째는 과거의 진부한 미술전시에서 벗어나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다양한 형태의 미술전시를 보여줌으로써 미술장르에 대한 경계를 넘어선 통합적인 현대미술 전시의 특징을 반영하여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 전시가 동시대의 문화예술로서 대중의 보다 많은 참여를 위해서 전시기획만큼이나 미술관들의 교육프로그램과 세미나와 같은 다각도의 대안의 모색함으로써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진정한 대중문화로서 다가갈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미술 전시는 동시대를 호흡하는 진정한 대중문화로서 미술관들의 진보된 현대미술 전시만큼이나 대중과의 소통과 참여를 위한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이식 그리고 독립 : 한국 모던포크 음악의 성립과정(1968년~1975년)

        박기영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711

        이 논문은 1968년 태동하여 1970년대 청년 문화의 신화를 이끌며 한국 대중음악사상 최초의 세대 혁명을 이루어 냄과 동시에, 트로트와 스탠더드 팝 등 일본과 미국으로부터 이식된 양대 음악 문화가 지배하던 한국의 주류 대중음악 질서를 일거에 전복한 직후, 1975년 12월 유신 정권의 탄압에 의해 일단 몰락의 운명을 걸어야 했던 한국모던포크 음악의 성립 과정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한국 모던포크 음악도 기존의 주류 대중음악이던 트로트나 스탠더드 팝 음악과 마찬가지로 외래의 대중음악을 모방하며 출발했지만 이 음악은 기존의 양대 음악 문화와는 다른 발전 과정을 거치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있어 결정적인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 모던포크 음악이 점차 외래 음악 문화로부터 독립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어떻게 독창적인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모던포크 음악은 20세기 들어 미국에서 탄생한 개념이다. 미국에서는 1930년대 이후 노동운동과 결합한 프로테스트 포크 운동이 활기를 띠었으며 1960년대에는 상업주의 포크 붐이 일면서 미국의 모던포크 음악은 그 절정기를 구가했다. 이러한 미국 모던포크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국과 한국의 모던포크 음악의 성립 과정에 있어서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196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 환경의 변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모던포크 음악 및 청년 문화는 이러한 변화된 음악 환경과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해 가는가를 살펴보았다. 성립기(1968년-1975년) 한국의 모던 포크음악은 크게 세 개의 시기로 구분된다. 1968년부터 1970년까지의 태동기에는 청년 문화의 스타들이 하나 둘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고 외국 팝의 번안곡이 중심이 된 한국 포크음악이 주류 음악시장 질서로 진입하며 시장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보해 나가기 시작한다. 1971년에서 1973년에 이르는 성장기에는 한국 포크 뮤지션의 인프라가 급격하게 확대되기 시작했으며 한국모던포크는 음악시장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굳히게 된다. 1971년 10월 발표된『김민기 1집』이후, 1972년부터 우리 모던포크 음악은 번안곡 전성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본격적인 싱어-송라이터 시대로 진입하게 된다. 이제 대중음악계에서는 포크 음악에 대한 인식이 확실하게 자리를 잡게 되었고 새로운 세대들인 포크 뮤지션群의 실체를 확인하게 된다. 이 시기 우리 포크 음악은 트로트와 스탠더드 팝 계열로 양분된 주류 음악의 질서를 전복하기 위한 내실을 확실히 다짐과 동시에 대중적 입지를 급격히 확산해갔던 것이다. 1974년부터 1975년까지는 우리 포크 음악의 전성기로 분류된다. 1974년에 김세환, 1975년에 송창식이 연이어 대중음악계의 정상을 차지하면서 청년 문화를 주도해 온 한국 모던포크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주류 음악으로서 급부상 하게 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1971년까지 발표된 초창기 한국 모던포크 앨범의 트랙들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양 대중음악의 번안곡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서양의 대중음악이 한국 모던포크 음악의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1972년 이후 출현하는 수많은 싱어-송라이터들에 의해 한국 모던포크 음악은 외래 음악 문화로부터의 이식의 사슬을 끊고 독창적인 텍스트들을 본격적으로 생산해 내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하위 장르가 탄생하기 시작한다. 한국 모던포크 음악은 크게 한국 폴리티컬 포크 Korean Political Folk, 한국 포크 리바이벌 Korean Folk Revival, 싱어-송라이터 Singer-Songwriter, 포크-록 Folk-Rock, 포크-팝 Folk-Pop의 다섯 개 하위 장르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하위 장르별 아티스트들과 창작곡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 모던포크 음악의 정체성을 규명했다. 1975년의 소위 ‘가요 규제 조치’와 ‘대마초 파동’ 등 유신 정권에 의한 일련의 문화적 탄압으로 인해 한국 모던포크 음악과 청년 문화의 신화는 일거에 막을 내리게 되지만 그들의 음악적 유산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장르의 재기 발랄한 뮤지션들과 대중음악 종사자들에게로 이어져 한국 대중음악의 전성기를 활짝 꽃피워가게 되는 바,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립기(1968년-1975년) 한국 모던포크 음악의 음악사적 의의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rocess of forming Korean modern folk music, which was born in 1968 and was destined to collapse in 1975 by the 'Yu-Shin' authoritarian regime. Even though Korean modern folk music started with imitating foreign pop music just like existing main stream popular music, Trot and standard pop music, did, it has developed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popular music into its own idiosyncrasy. Therefore, I focused on how it formed its original identity and develop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foreign music. The concept of modern folk music was formulated in the United States in 20th century. Protest folk movement connected with labor union movement was active in 1930. American modern folk music got to its climax in 1960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folk music. In this point, explaining the formulating process of American modern folk music w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n and Korean modern folk music.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Korean modern folk music and young generation culture and the changed surroundings of popular music was also analysed. The formulating period of Korean modern folk music(1968~1975) is divided into three period. In the first period(1968~1970), Korean modern folk music started to take a position in the main stream music market. Plantation of western popular music is th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In the second period(1971~1973), the infrastructure of Korean folk musician was rapidly expanded and Korean modern folk music took a stable position in the music market. The third period(1974~1975) was the golden age of Korean modern folk music. Korean modern folk music became a main stream of Korean popular music,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young generation culture. After 1972, Korean modern folk music produced original text and various sub-genres were newly born by singer-songwriters terminating the plantation practice of foreign music culture. It is divided into five sub-genres ; Korean Political Folk, Korean Folk Revival, Singer-Song writer, Folk-Rock, Folk-Pop. In this thesis, the identity of Korean modern folk music was addressed by study on various artists of sub-genres and their creative musics. In 1975, even though the myth of Korean modern folk music and young generation culture drew to an end by an authoritarian regime, the inheritance from the formulating period of Korean folk music provided the foundation of heyday of Korean popular music. The formulating period of Korean modern folk music has historical meaning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folk music in terms of plantation and independence.

      • 한영애의 음악스타일 연구

        박현주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한국대중음악의 뿌리는 처음부터 자연스럽게 외래의 문화에 노출된 채 그 줄기를 뻗어오고 있다. 그리고 그 줄기에는 트로트, 포크(Folk),록(Rock), 발라드, 댄스, 민중가요까지 다양한 장르들이 열매를 맺고 있다. 한국의 수많은 뮤지션들과 아티스트들이라면 누구나 아마도 한번쯤은 같은 고민을 해보았을 것이다. 그것은 바로 한국적인 음악을 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다. 한국적인 음악이란 과연 무엇일까? 국악을 적절히 양악과 접목 시키는 방법론, 국악의 리듬을 차용하는 방법론, 국악의 음계를 응용하는 효율적 방법, 국악기를 사용한 편곡에 대한 고민 등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시도를 통해 성공한 음반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명쾌한 해답이 존재할 수 없는 고민이다. 대중이 좋아해야 대중음악이라는 칭호가 붙을 수 있는 자격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해답은 구체적으로 명시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요즘 흔한 말로 국민이란 단어를 붙여 국민 가수, 국민 여동생 등의 칭호를 붙이지만 사실은 대중적인 스타에 국한되는 자격이다. 한국 대중음악계의 대부로 불리는 신중현이 후세에 많은 존경을 받는 이유도 한국적인 스케일을 접목하여 그의 명곡 <미인>에서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상업적인 실패에 대해 두려움을 갖지 않는다 하더라도 음악적으로 많은 고민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쉽지 않은 작업이므로 커다란 용기와 열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 문화적 세대의 분리가 일어나기 시작한 1970년대 청년문화를 이끌었던 포크 음악시대부터 한국 대중음악계의 황금기라 일컬어지는 1980년대를 거쳐, 힙합과 테크노가 유행하는 오늘날까지 한국 대중음악계에 자신만의 영역을 공고히 굳히고 있는 색깔 깊은 여가수가 있다. 바로 한영애라는 여성 아티스트이다. 그녀도 역시 같은 고민을 했고 그러한 산고의 작업을 통해 나름대로의 결과물들을 제시했으며 성공적인 성과를 얻어내었다. 그녀만의 분명한 색채로 강렬한 이미지를 갖고 현실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대로 음악을 끌고 가는 한영애는 다양성과 전문성을 잃어가는 현재의 한국 음악시장에 커다란 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다양한 노력과 도구들로 한국대중음악의 공연 문화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 그리고 대중음악을 대하는 일반인들의 태도를 예술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역할을 하였으며, 그런 이유로 존경 받아야 마땅한 뮤지션이라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녀의 음악적 배경뿐만이 아닌 아티스트로서의 한영애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처음부터 성공적이지는 못했지만 하나의 음반이 탄생될 때마다 자신의 색깔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통해 아무도 흉내 내지 못하는 한영애만의 독특한 예술성의 아우라를 따라 그녀만의 음악적 스타일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Korean pop music has been branching out to various directions, naturally exposing its root to the foreign cultures from the very beginning. On those branches fruits a variety of musical styles, from Korean folk song, rock, ballad to dance and trot. If you're one of those many, many musicians and artists in Korea, chances are, that you may have asked this question to yourself at least once. The question, about doing 'Koreanistic' music. What is 'Koreanistic Music', really? There are methodologies about adequately crossing-over Kuk-Ak (Korean classical music) and western music, about borrowing rhythms from Kuk-Ak, about integrating Korean scales into music, or about arrangements using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etc. Of course, we could find quite a few examples of these sucessful ventures in recordings. However, this is a question with no 'true' answer. There is no set standard to tell us whether we could it 'pop music' only when it's 'generally popular'. Today's trend produced terms like "People's Singer" or "National Sister", but those only apply to already-famous stars. One of the reasons that Shin Joong Hyun, the God-Father of Korean Pop Music, is still honored and respected these days, might be that his attempts to use Koreanistic scales in his music led to a big success on his legendary hit-single "Mee-In". Even if one wouldn’t fear the detachment from commercial success, it still is a very challenging work which comes with lots of effort and musical decisions to be made, it cannot be done without the passion and courage. In this course of pop-culture, there is one female singer with very deep and distinguishing character, who has been active from the folk-music 70’s which produced the separation between cultural generations, through the 80’s- the golden era of Korean pop music, and the current time of Hip-Hop and Techno. Her name is Han Young-Ae. She also went through the same questions and painful process, and presented us with the results which gained her fame and success. With her distinctive color and strong character, she pushed her music with her vision, never backed down or made compromises with the situation. She is a true role-model in current Korean pop music scene, where everyone’s busy following the trend and styles while losing the focus and professionalism. She pushed the limit of performance culture to the next level with enormous effort and methods. She threw in the artistic point of view to the general public's attitude in recognition of pop music. Therefore, I believe she deserves respect and admiration. In this essay, I will try to make a study not only about her musical background, but also about Han Young-Ae as a person and an artist. We’ll go over her unique artistic aura that no one in the present can imitate, which was not very successful from the beginning but found its way to its own color as her music was being produced one by one.

      • 대중음악 콘서트의 브랜드화에 관한 연구 : 이문세의 브랜드 콘서트를 중심으로

        송세영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11

        Performing culture in Korea is going through rapid growths and developments in the 21stcentury.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looking into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performing culture, which has positioned itself as the typical public leisure culture, in-depth and examining the social meanings of the performances by Lee Moon Sae, who is loved by many for his typical brand concerts. For the research, the circumstances of modern performances will be brought back into the spotlight, based on the definition of popular music and history of performances by popular sing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studies, analyses of articles and press releases,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by selecting popular music experts and fans, and e-mail written interviews were utilized. Characteristics that are unique to the performances by Lee Moon Sae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and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audience and the singer can enjoy and sing many hit songs that were greatly loved by the public.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eloquence and stage manners that Lee Moon Sae possesses are the abilities that make the audience immerse themselves in the performance. The audience at the performance can listen to the music and joy can be had at the same time, and communication with such an audience become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audience return for another performance.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well-organized composition of Lee Moon Sae concert. The scale of his performance does not fall behind compared to other singers, and Lee Moon Sae displays passionate performances with unconventional ideas and unique concepts every single time, which is a great merit.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lots of time and efforts are put into the performances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s, in terms of the stage, sound and composition, and that the audience can feel the traces of such efforts. The brandization of the performance that has been created by Lee Moon Sae’s concert is one of very important elements when it comes to creating the originality of the performance, and brings several implications to the performing culture. First, the predominant view on the Lee Moon Sae’s performances, which included ‘Lee Moon Sae’s Vocal Recital’ and ‘The Republic of Korea, Lee Moon Sae’, was that the originality is superb. Thus, Lee Moon Sae’s performances gained the credibility when it comes to watching the performance. Second, performances prior to the brand were mainly based on the songs, but the combination of directing and system became crucial after ‘Lee Moon Sae’s Vocal Recital’. In other words, his performance inculcated the belief that his performances are more ready for the audience with pre-planned scenarios and compositions. Third, the brand concert set up big milestone for the popular music industry since it transcended the generation and allowed all age groups to enjoy the concert, and also adapted to the taste of the diversified audience. The biggest success factor of Lee Moon Sae’s performances is no other than the consideration for the audience. Having many hit songs does not guarantee the success of all performances, and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audience is responsible for the failure of the performance. The singer must look at the stage from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In that aspect, the evolution of Lee Moon Sae’s performance is a textbook example. The best staff members in the nation gathered to construct the performance and compressd it into one story. This differentiated Lee Moon Sae’s performance from the performances that consist of songs only, and greatly impressed lots of audience.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that Lee Moon Sae’s brand concerts displayed to the audience. If studies with the right balance of mo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performing culture can be conducted continuously, then more positive meanings can be provided to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대한민국 공연문화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속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민 여가문화로 자리 잡은 공연문화의 변화과정을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브랜드 콘서트로 많은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이문세 공연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를 위해 대중음악의 정의와 대중가수 공연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의 공연의 상황을 재조명 해 볼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기사와 보도자료 분석, 대중음악전문가와 팬들을 선정해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과 이메일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문세 공연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많은 히트곡으로 공연을 찾은 관객들과 함께 즐기고 노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문세라는 가수가 갖고 있는 언변과 무대매너는 관중들을 공연에 몰입하게 만드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에 온 관객들은 음악과 재미를 모두 얻을 수 있고, 이러한 관객과의 소통은 공연을 찾았던 관객들로 하여금 또 다시 공연을 찾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두 번째 특징은 이문세 콘서트의 짜임새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스케일 역시 다른 타 가수의 스케일에 비해 뒤지지 않고 매 공연마다 색다른 아이디어를 가지고 독특한 컨셉으로 열정적인 공연을 보여준다는 것이 커다란 장점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 특징은 타 공연에 비해 무대, 음향, 구성 등 모든 면에 오랜 시간 고민하고 공을 들인다는 점이며, 관객들은 공연을 보면서 이러한 노력의 흔적들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문세 콘서트가 만들어 낸 공연의 브랜화는 공연의 독창성을 창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자 공연문화에 몇 가지 함의를 주고 있다. 첫째, 지금까지 이문세 공연은 독창회, 대한민국 이문세 등으로 그 독창성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이문세 공연은 믿고 볼 수 있다는 신뢰감이 형성되었다. 둘째, 브랜드 이전의 공연은 노래 위주였다면 이문세 독창회 이후에는 연출과 시스템들의 조합이 매우 중요해졌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계획된 각본과 구성으로 좀 더 관객들에게 준비된 공연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게 되었다. 셋째, 브랜드 콘서트는 세대를 넘어서서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즐길 수 있고 다원화된 관객들의 취향에 맞추어 공연을 진행시켰다는 점에서 대중음악 산업에 커다란 이정표를 세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문세 공연의 가장 큰 성공 요인은 역시 관객에 대한 배려이다. 수많은 히트곡을 가지고 있다고 가수들이 모든 공연을 성공시키지는 못한다. 그것은 관객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탓이다. 가수는 관객의 입장에서 무대를 바라보아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문세 공연의 진화는 가장 교과서 적이다. 국내 최고의 스태프들이 모여 공연을 하나의 이야기로 구축하고 압축했다. 그것은 노래만 부르는 공연과 차별화를 해 많은 관객들에게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 그것이 이문세 브랜드 콘서트가 대중들에게 보여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공연문화에 관해 좀 더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이 균형이 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면 대중문화 산업에 보다 긍정적인 의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모던포크음악이 80년대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봉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11

        이 논문은 우선 1968년 청년문화와 함께 태동하여 70년대에 전성기를 누렸던 한국 모던포크음악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특성들을 보이는지에 대해 고찰하였고, 1975년 유신 정권의 탄압과 대마초 사건으로 청년 문화와 함께 일단락된 후 남아있던 한국적 모던포크의 잔재들을 자양분으로 삼아, 80년대에 중흥기를 이룰 수 있었던 한국 대중음악의 발자취를 더듬어 80년대 다양한 스타일의 대중음악 속에 스며있는 포크적인 양식들을 찾아서 분석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시대상황을 보면, 군사정권 하의 권위주의적 정치질서 속에서 국민들은 사회운동을 통해서 유신체제에 대항하였는데, 이로서 인간적이고 삶의 질이 향상된 민주적 사회로서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급속한 산업화를 이룰 수 있었다. 이에 힘입어 점차 다양한 문화현상이 생기게 되었고 이는 곧 대중음악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서구의 문화들이 여과 없이 유입되었고, 그 중에서 반체제 문화를 상징하는 포크음악이 청년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기성세대의 권위주의와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그들의 변화된 생각들을 포크송의 노래가사에 담아 노래함으로서 포크음악이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대중문화로서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70년대에 이미 포크는 포크 록(Folk Rock), 폴리티컬 포크, (Political Folk), 포크 팝(Folk-pop)등 다양한 스타일로 존재하면서 그 시대를 대변하는 음악이기도 하였고, 김민기, 한대수 등이 보여준 싱어-송 라이터로서의 음악적 시도는 그간 번안곡과 사랑 노래 위주로 흘러오던 대중가요의 흐름을 바꾸어 창작곡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로 돌려놓으면서 대중음악의 독창성을 개발하는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이후 1980년대 후반에 생성된 언더그라운드의 음악스타일을 규명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70년대 한국의 모던포크는 특히 조동진을 비롯한‘포크를 중심으로 한 싱어-송 라이터 사단’의 중심에 있는 뮤지션들, 즉, 언더그라운드 음악 정신을 충실히 구현하고자 하는 뮤지션들의 음악적 노력의 밑바탕이 되었고, 이는 다양한 장르의 수많은 싱어-송 라이터의 탄생으로 이어져 1980년대의 대중음악을 빛나게 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파란만장한 시대적 변화를 겪으며 성장하고 변화되는 과정에 있는 한국 포크음악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잖이 거론되어지는 한국에서의‘Folk’라는 용어사용에 대한 문제점에 있어서도, 1960년대에 미국의 상업주의 포크 붐의 형성으로 절정을 이룬 모던 포크음악의 전개과정과 한국에서의 포크음악이 성립된 과정을 비교하여 유사점을 찾아보고 그 해결점에 어느 정도 근접하고자 했다. 시대가 지나고 삶의 질이 풍성해지면서 더욱 상업화 되고 획일화 되어가는 작금의 대중음악의 흐름에 조금씩 청중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있는‘모던포크’가 70년대에서 80년대로 이식되어 다양하게 응용되고 발전된 사례를 연구함으로서 90년대 이후의 변화된 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록음악에서 기타연주스타일의 발전과정

        류민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이 논문은 1960년대 중반 태동하여 70-8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를 견인했던 한 축인 한국 록음악과, 그 록음악에서 커다란 표현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악기인 기타의 연주법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국전쟁 후 한국에 주둔하게 된 미 8군을 위해 연주하던 한국 연주자들이 60년대 중반 경이면 한국인을 위한 무대에도 등장하게 된다. 이 시기 신중현 등의 연주자들을 통해 소개된 록 적인 가요인 이른바 소울-사이키, 그리고 그룹사운드 음악의 시대를 거치면서 록음악이 태동하게 된다. 70년대 초반에 이르면 사이키델릭 록을 시작으로 한국에도 본격적인 록음악이 등장하였으며 이후 포크 록, 펑크(funk)를 거쳐 80년대에는 소프트/팝 록, 블루스 록, 헤비메탈/하드 록, 퓨전 록 등 다양한 록의 하위 장르들이 차례로 소개되면서 록은 트로트, 스탠더드 팝, 포크와 함께 한국대중음악을 대표하는 장르로 성장했으며 그 전성기를 구가하게 된다. 연주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는 70년대에 록을 연주하던 미 8군 무대 출신 연주자들의 화려한 테크닉의 연주와, 포크록에서의 섬세하고 완성도 높은 연주가 함께 발전하게 되는데 이런 미 8군 무대 출신의 음악인들과 포크 진영의 음악인들이 서로 만나 영향을 주고받다가 ‘사랑과 평화’와 같은 슈퍼밴드를 탄생시키게 된다. 이런 만남은 이후 80년대 ‘들국화’ 등의 걸출한 아티스트들의 탄생과 소프트/팝 록과 블루스 록, 퓨전 록 발전의 밑거름이 된다. 이런 배경 하에 80년대에는 곡의 전체적인 균형을 중시한 연주가 한층 더 발전하게 되고 곡의 테마를 중시하는 연주가 늘어간다. 한편 80년대 중후반에는 이런 흐름과는 별개로 명인적인 연주의 테크닉을 중시한 헤비메탈/하드 록도 선보이게 된다. 본문에서는 위와 같은 한국 록음악의 흐름과 연주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있으며 또한 한국 록을 대표하는 곡들 및 기타연주들을 분석해 봄으로서, 작가와 연주인들이 자신들의 음악성과 곡의 테마를 청각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쏟은 치열하고 섬세한 노력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또한 이와 같이 연주자가 직접 음 하나하나에 에너지를 쏟아 붓고 감정을 이입한 무형의 결과물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70-80년대 한국 록음악이 가지는 높은 수준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했다. 90년대 접어들면서 한국대중음악의 연주는 연주자가 직접 악기를 통해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로 연주하는 것이 대세가 되어버렸다. 2000년대 들어서는 그러한 컴퓨터 음악의 빈도가 점점 더 많아지더니 근래 들어서는 보컬리스트의 노래조차 전적으로 컴퓨터에 의존하는 곡까지 등장하였고, 2009년 현재에는 그런 곡들이 대중음악의 주류의 자리를 차지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시장에서 팔릴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상품으로서의 운명을 지닌 대중음악에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예술적 가치를 요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대중음악이 가지는 예술적 가치를 생각하면 현재 한국대중음악의 획일화 경향과 컴퓨터에의 의존도는 그 도가 지나치지 않나 싶다. 그리고 이러한 음악 시장의 변화의 가장 큰 피해자는 대중음악의 수용자들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이런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상업적 가치로서의 대중음악뿐만 아니라 예술적 가치로서의 대중음악에 대한 관심이 제고될 때 21세기 한국대중음악은 다시 한 번 도약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대중음악에 대한 이러한 음악적 접근, 예술적 접근이 대중음악의 예술적 가치를 제고하는데 미약하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 이 분야에서 더욱 훌륭하고 섬세한 분석과 연구들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음악장르가 공존할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하는데 있어 작은 실마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나아가 한국대중음악이 컴퓨터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시금 그 스스로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표현양식을 가지게 됨으로서 균형 잡힌 수용자 층의 재건이라는 해묵은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큰 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revolves around the prosperity process of Korean rock music, which led Korean music to a golden age in 70~80's, and the guitar technique, which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expression of rock in music. In the early days, Korean musicians used to play for the United States troops, who were stationed in South Korea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However, Korean musicians started to appear onstage for native audiences in the middle of 60's. These were the early beginnings of Korean rock music, going through the times of Soul-Psychy and Group Sound music introduced by the musicians like Shin Joong-Hyun. The major rock music -beginning with Psychydelic rockappeared in early 70's. Since then, evolving to Pork rock and Funk in 80's, the sub-genre of Rock music such as Soft Pop/Rock, Blues Rock, Heavy Metal/Hard Rock, and Fusion Rock have been introduced one by one and Rock music grew rapidly and became a mainstream genre of the Korean Pop music scene. The technique of guitar playing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The flamboyant playing skills by the rock musicians who played in front of the U.S troops in 70's, and the delicate touch created by the Folk Rock musicians. Those two sides affected each other in a positive way, and created Super bands like 『Love & Peace』, 『Deul Guk Hwa』, and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ft Pop/Rock, Blues Rock, and Fusion Rock. With this background, the 80's was when guitar playing which emphasized overall balance and themes developed. Meanwhile, in the late 80's skillful guitar playing using flamboyant techniques grew popular. In this paper, the trends of Korean rock music stated above and changes in playing techniques are studied. Investigating representative music pieces and guitar plays, I would like to reevaluatethe endeavor of musicians and players to give themes and musicality of the pieces, auditory forms. Also through studies on products, on which players had to put energy and emotions into each single note, I would like to judge the artistic value of the Korean rock music in the 70's and 80's. Entering the 90's, playing by the computer became more common than by the musician themselves. In the 21st Century, computer music got more popular and even influenced the vocal sound. Most of the Korean pop songs in 2009 are those 'Computer-made' songs. We cannot expect high artistic qualities from pop music, which destined to be sold as commercial mainstream products in the market. However, considering the artistic qualities of contemporary pop music, it is a problem that the Korean contemporary music is overly uniformed and depending too much on computer-effects. Furthermore, the ones who suffer most from these changes in music market would be the listeners. Thus I began this study. Considering pop music as not only commercials but also artworks, the Korean pop music in the twenty-first century would be able to prosper once more. I wish that this musical and artistic approach towards Korean pop music would bring about a reconsideration of the artistic qualities of pop music. There should be many sensible and detailed inquiries and studies on this field to make a solid foundation forthe coexistence of various musical genres. Korean pop music should be free from mere-computer sounds, but once again become an expressive medium with artistic values. This would result in resettling the balance of the range of listeners, which has been a long-aged problem.

      • 어린이 체험전시의 예술교육프로그램 연구

        임성연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711

        오늘날 문화 예술의 가치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기본적인 의식주가 충족되고 늘어나는 여가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대중들의 움직임과 감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문화의 흐름으로 인해 자신의 정서적 가치 만족을 위해 기꺼이 지출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러한 현상이 유지되면서 여가활동과 지적가치의 산물로 여겨지는 예술활동은 폭 넓게 발전해왔으며,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 대중들의 수준향상을 촉진시켜 문화 예술의 발전과 변화를 이끈다. 이는 예술을 문화 산업으로 발돋움 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되었고, 문화산업의 발전에 따라 예술분야에서 중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각적 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전시 관람자의 수준향상과 영향력은 전시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이미지와 엔터테이너적 요소들이 즐비한 즐길 거리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대중들은 단순한 관람의 형태인 전시에 만족하지 못하고 변화를 요구한다. 대중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현대 사회에서 박물관과 미술관은 오감을 만족시키고 교육적 효과와 재미까지 주는 다양한 기획전시와 프로그램을 대중에게 선보이려 한다. 특히 어린이를 상대로 하는 체험전시와 교육프로그램에서 많은 변화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능력개발에 필수조건인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문화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 예술교육은 어린이들의 삶과 생활 전반에서 감성자극으로 인한 인지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학문적 가치가 있으며,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창의성 발현을 위한 감각교육의 중요성을 받아들여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체험전시가 만들어지고 활성화 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있는 미술관과 박물관은 학교외의 통합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이 더 확대 되어야 하고, 대중들의 접근성이 용이한 전시의 특성을 이용해 예술교육의 장으로서 어린이 체험전이 활용되어야 한다. 다양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감각교육은 어린이 미래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 되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어린이 체험전의 구조는 놀이와 재미위주의 상업적 전시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의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어린이 나이별 행동발달시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감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며, 국내 어린이 체험전시의 유형별 분석과 예술교육프로그램 선행사례를 연구하고 현장에 대입시켜본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교육의 장으로서 어린이 체험전시에서 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모색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oday culture and arts are elemen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fe. Thanks to the public’s desire to enjoy leisure time that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necessities of life have beenfulfilled and the trend of modern society that emphasizes emotion, more and more people are eager to spend money for the satisfaction of their emotional values. As such phenomena continue in all areas of society, a wide range of artistic activities, which are considered the product of leisure activities and intellectual value, have advanced. Such activities promote the public’s level of appreciation of culture and arts, and in turn, they lead to the advancement and change in culture and art. These artistic activities have played the role of having arts emerge as cultural industry, an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which signifies that the consumers now have higher expectation toward visual elements, which occupy considerable importance in arts.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exhibition visitors and the increase in their influence have brought much change in the form of exhibitions. The public who are always exposed to entertainments and diverse images are not satisfied to exhibitions inthe format of simple viewing and therefore request changes. In keeping with such requests of the public, museums and art galleries have made effort in showcasing various special exhibitions and programs that can satisfy the five senses of the public whileeducating and entertaining them at the same time. Particularly, exhibition-study programs and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children have attempted many changes, which is becaus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nurture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necessary conditions for individuals’development of competencies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considered importa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academic values as it can develop children’s cognitive skills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the children in all areas of theirlife, an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e perceptual education for realizing creativity has been recognized crucial. As a result, various exhibition-study programs should be created and promoted. Art galleries and museums, which are at the center of such programs, should expand their role as the place for comprehensive educationin collaboration with schools, and exhibition-study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used as the place for arts education based on the nature of exhibitions, which is that exhibitions make the public’s access to arts easier. Perceptual education through various arts education programs will become an important medium for realizing creativity of children in the future. As such, although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has greatly emerged, most of exhibition-study programs for children in Korea are commercial-based, focusing mainly on entertainment and fun. Therefo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for children,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y age and behavioral development periods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perceptual education according accordingly. Furthermore, the study conducts a case study of arts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s the exhibition-study programs forchildren in Korea by format, and based on such a survey, it aims at examining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plans of arts education programs in exhibiton-study programs for children as means of perceptual education.

      • 기업협력을 위한 공연예술단체의 마케팅 전략 연구

        신용창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711

        2011년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단체들은 약 4천여 개에 달하고 있으며 해마다 공연장, 전시장 등의 문화예술 인프라와 문화산업콘텐츠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국내외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와 문화예술 관련 수요, 즉, 문화향유층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어서 공연예술 시장의 경쟁은 날로 치열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재정적인 면이나 조직력에서 열세에 놓여 있는 많은 중소규모 예술단체들의 경쟁력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으며, 재정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단체들이 양질의 예술작품을 반복적으로 창조해 내는 데는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중소규모 예술단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기업협력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고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주제의 접근에 있어서는 마케팅 분야의 특성상 국내외 연구 자료와 사례들을 토대로 하되, 기업과 예술단체들과의 협력 사례를 위주로 연구하는 실증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기업의 조직문화와 기업이 추구하는 협력 사업의 방향 및 목적성에 대한 이해를 도와 예술단체들이 기업협력 사업 추진 시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을 통해 예술단체들이 기업협력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기업수요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개개 단체의 재정의 안정성을 통한 지속적인 예술작품의 순환 창조는 물론이고 공연예술 시장 전반에 있어 대중화를 촉진시키고 안정적인 수요 창출을 통하여 시장의 규모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바라는 바이다. Whileas private group or firms based on arts and performance are estimated at 4,000 in nation in 2011 and infrastructures on culture and arts such as theatres and exhibition halls and their contents are steadily increased, worldwide economic situation is still in recession as well as demand for the arts and performance market is very limited comparing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which means the competition in the market could be more and more intensified. Those group which has weakness in financial or organizational aspects may lose there competitiveness, and they could encounter big difficulties in repeatedly creating their new articles. The researcher is going to make process i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busines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s with business partner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group.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researches and cases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terials due to the specialty of the marketing field, but mostly is oriented on such cases as cooperation between the business partners and the group. Furthermore, understandings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f the companies, directions and purposes of their pursuing cooperative models for arts and performance are considered to help plan more efficient strategies. Circulated creation of new articles on financial stabilities can facilitate the popularization of the whole market of the arts and performance by gradually developing a new market of business demand and by increasing the possibilities of business cooperation. The researcher finally hope that each group who makes business on arts and performance should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successfully constructing long-term business relations with their business partners, and the scale of the industry should be expectedly extended through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