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1920년대 성역할 담론의 전개와 수용 : 『동아일보』 부인란 속 여성들의 상호작용과 대응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1920년대 성역할 담론을 전개하고 수용했던 여성들의 모습을 통해 성역할 담론과 여성 주체의 관계를 밝힌 글이다. 3.1운동 이후 개조와 계몽의 분위기 속에서 식민지 조선 여성은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았고 이는 신문과 잡지 등 근대인쇄매체를 통해 빠르게 확산했다. 본 논문은 성역할을 제안하고 수용하는 여성들을 『동아일보』 부인란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1920년대 여성들이 성역할을 전유하는 다양한 방식과 그것의 의미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1924년 전후로 등장한 『동아일보』 부인란은 남성 중심적 위계질서가 언론매체에 반영되어 만들어진 여성 공간이었다. 부인란은 일요호-월요란에서 파생되어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정치, 경제, 사회와 구분된 학예면에 배치되었고 여기자가 운영을 맡았다. 그 속에서 여성은 가정과 결부되어 이야기되었고 이로써 부인란은 여성의 역할을 논하는 성역할 담론장으로 나아갔다. 이처럼 부인란 형성과정은 위계적이고 제한적이었으나 그것의 운영은 소통과 참여를 바탕으로 했다. 부인란은 여성 계몽에 대한 사명감 속에서 기자를 맡았던 여성 지식인들과 여성 독자들에 의해 운영되었고 기자뿐만 아니라 여성 독자들도 투고를 통해 여성의 역할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제안하며 성역할 담론을 전개했다. 기자와 독자의 상호작용은 부인란의 운영과 성격은 물론 성역할 담론 전환에도 영향을 주었다. 초기 부인란에는 여성 계몽적 논설이 다수 게재되었으나 독자들이 육아, 양육, 위생, 건강, 가사정보 등을 요구하며 기자들은 더 정교하고 세밀한 가사관리와 양육, 교육법을 부인란에 게재했다. 이처럼 독자의 요구를 기자가 수용하면서 부인란에서 주부담론은 점차 강화되었고 이후 부인란의 명칭도 ‘부인’에서 ‘가뎡’으로 바뀌었다. 곧 1920년대 후반, 성역할 담론에서 주부담론이 강세를 점하게 된 것은 소수 여성 지식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닌 다수의 여성 독자와 기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여성 독자들은 성역할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성역할 수행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고민을 질문으로 만들어 부인란에 투고했다. 이는 여성들이 성역할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자신을 둘러싼 사회관계와 개인의 욕망 속에서 역할 수행을 결정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성 독자들은 가족 내 역할과 자기실현 사이에서 갈등했으며 교육에 대한 욕망 속에서 특정 정보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때 사회적으로 제시된 성역할과 여성들이 수행하는 성역할 사이에 균열이 발생했는데 이는 성역할이라는 행동규범뿐만 아니라 성역할에 내재한 개인, 자유, 과학 등 근대적 지식과 가치가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충돌하며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 식민지 조선 사회의 현실로부터 완전히 이탈한 정보나 질문도 있었는데 이는 제한적 현실에 안주하고 좌절하기보다 비현실적인 질문일지라도 투고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당시 여성들의 대응 방식을 보여준다. 이처럼 1920년대 성역할 담론은 여성들의 다양한 지향과 욕망,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현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작동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일방적으로 성역할에 의해 억압되기보다 성역할을 부여받는 객체이자 성역할을 제안하고 수용하는 주체로서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삶을 결정하고 운영했다. 그 과정에서 여성들은 모순적이고 비일관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이는 그 자체로 능동적인 여성 주체를 드러내며 나아가 성역할에 내재한 근대적 지식과 가치가 흔들리며 수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discourse and female subjects through women's action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new gender roles of women in colonial Joseon spread rapidly through newspapers and magazines. This study explores the subjectivity of women in the 1920s by analyzing how women proposed gender roles and accepted them in the women’s page of Dong-A Ilbo. The women’s page which appeared around 1924, was a space for women created by reflecting the male-centered hierarchy. The women’s page was derived from the Sunday issue-Monday Section and was placed in the field of arts that was distinguished from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which was regarded as the field of men. Also, the women’s page was operated by female reporters. Women wer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families on the women’s page, and women's ideal roles were discussed. Despite this background of formation, the women’s page operated based 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Representative female intellectuals participated as reporters in a sense of mission for women's enlightenment, and women readers actively communicated through reader’s columns. In other words, the women’s page was a space where women independently proposed and considered their roles in the public media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reporters and reader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porters and the readers on the women’s page greatly influenced the page's operation and character. In the early women’s page, several women's enlightening essays were published, but reporters posted more sophisticated and detailed housework management, parenting, hygiene, health, and education methods as readers demanded. As the reporter accepted the reader's request, the discourse of housewives gradually strengthened in the late 1920s, and the name of the women’s page was also changed from ‘wife(Boo-in)’ to ‘family(Ga-Dyeong)’. This shows the housewife discourse in the late 1920s was not reinforced by a few female intellectuals but appeared in the communication of large numbers of readers and reporters. Female readers not only suggested gender roles but also posted conflicts and concerns related to role performance on the women’s page. According to the questions, women had conflicts with the role performance within the family and self-realization, and they actively demanded information to fulfill the desire for education. This shows that women decided to perform their roles in their situations and values rather than uncritically accepting them. Also, the cracks that occurred at this time reveal the acceptance process of modern knowledge and values inherent in gender roles as well as the behavioral norm of gender roles. Some information and women's questions posted on the women's page were completely out of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society, but it indicates that women were responding to practical limitations by trying through questions that went beyond the limits of reality rather than being complacent. In short, women were not simply unilaterally oppressed by gender roles in the 1920s. Instead, they existed as objects assigned gender roles and subjects who proposed, decided, and performed gender roles. The contradictory and inconsistent actions of women show women were active and subjective subjects and suggest that modern knowledge and values inherent in gender roles were accepted while shaking and intersecting.
역할변수가 개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미국 비교연구
역할변수는 직무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개인의 직무만족을 떨어뜨리고, 사기를 저하시켜, 결국 이직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서구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역할변수에 대한 연구는 효율적 인사관리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고, 주로 서구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역할변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서구에서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기존 국내연구들은 특수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현지 기업에 종사하는 경영자들이 실무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들의 한계점을 검토하여 기업에 종사하는 경영인들에게 효율적인 인사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역할변수,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국가차이에 따라, 즉 문화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미국, 한국 비교연구를 시행하여, 문화에 따른 역할변수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역할변수가 문화차이에 따라 개인 및 조직 가치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음을 본 연구에서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Agarwal(1993)의 연구를 살펴보면 권력간격,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국가인 경우 관료주의적인 체재로 인해 규정 및 절차와 같은 공식화, 집단주의문화에서 나오는 타인에 대한 관심, 사회적 지원, 배려 행위 때문에 역할변수가 조직몰입에 주는 부의 영향력이 서구에 비해 낮았다. 그리고 이직의사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서구의 경우 개인의 자아 실현을 회사를 통해 이루려는 동기가 동양권 국가보다 더 강하기 때문에 조직몰입은 서구국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Agarwal(1993)의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에 따라 역할변수가 개인 및 조직의 가치에 주는 영향력이 다르기 때문에 국제인사관리 전략 수립시에 현지 경영인들이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함을 실무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즉, 한국과 같이 권력간격과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국가인 경우에는 공식화를 통한 명확한 규정 및 절차를 제시하여야 하며, 미국과 같이 권력간격과 집단주의 성향이 낮은 국가의 경우에는 공식화보다는 개인에게 자율성을 부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서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최근 국제경영분야에서 연구개발부서는 기업의 경쟁우위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연구되어져 왔으나 상대적으로 인사관리측면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부서의 효율적인 인력관리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부서단위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연구개발부서와 대조를 이루는 마케팅, 제조부서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역할과적변수는 마케팅, 제조부서에서, 역할 모호성 변수는 연구개발부서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직무몰입,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케팅, 제조부서의 경우 직무만족이, 연구개발부서의 경우 직무몰입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개발부서의 경우 각 개인이 맡은 업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 제시와 함께, 개인의 업무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며, 마케팅 제조부서의 경우, 개인의 능력에 맞는 업무량을 부과하며, 개인이 맡은 업무에 대해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제도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차이, 구체적으로 학력에 따라 역할변수가 주는 영향력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자체는 높으나 조직몰입에 주는 부정적인 영향이 학력이 낮은 사람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서구의 결과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문화차이, 즉 동양의 독특한 문화차원인 인내, 끈기 등을 나타내는 장기지향성 문화의 영향력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할변수가 주는 영향력은 국가의 문화차이에 따라, 부서에 따라, 개인의 차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기업의 경영자들은 효율적인 인사관리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이러한 연구결과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들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차원을 권력간격과 집단주의차원만을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불확실성 회피차원이나, 남성성, 여성성 차원에 따른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역할변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조직몰입변수 간의 관계를 살폈고, 역할변수는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결국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나, 역할변수 때문에 발생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대답은 해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연구에서는 이러한 역할 스트레스를 문화에 따라, 기업 및 부서에 따라, 개인에 따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복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감들의 삶과 역할을 알아보고 교감들의 학교교육 현장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역할수행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하는 일로 교감에게 직면한 특수한 환경과 모습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교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탐색한다. 둘째, 교감과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로 교감이 교장과 교사의 중간에서 교장을 보좌하고, 구성원 상호간의 의견을 종합하여 교육 지원활동을 하면서 부딪히는 주변 인물과 실제적인 관계 특성을 분석하여 교감의 인간관계가 교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셋째, 학교경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교감이 느끼는 보람을 재조명하여 학교교육현장에서 성공적인 교감의 역할 탐색한다. 넷째, 학교경영의 일선에서 교감이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서 오는 갈등 사례를 분석하여 교감의 역할 개선 방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면담 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면담 대상자인 교감의 선정은 교감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는 부장의 수에 따른 학교의 규모로 분류하고, 각 학교의 규모에 따라 남녀 교감을 각각 1명씩 선정하여 교감의 역할 수행이 남녀교감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고, 면담을 요청한 교감 가운데 부장이 2명인 11학급 이하의 학교와 부장이 4명인 12학급이상 17학급의 학교, 부장이 6명 이상인 18학급 이상의 학교의 교감을 면담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의 지도역할을 하나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내포하지 못하고 중간에서 교장의 의중을 전달하는 데 그치며, 특히 소규모의 학교의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에 투입되는 인원이 적어 교감의 역할이 가중된다. 그리고 여자교감은 섬세하게, 남자교감들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수업의 질 향상에 영향력을 발휘한다. 초등학교 교감은 변화촉진자로 교직사회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로 조직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스스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건설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선도한다. 둘째, 교감은 학교주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면 교사들과 협의하여 생활지도를 하지만, 체벌이나 편애가 민감한 사안으로 부각되면서 교감들의 업무가 더 늘었다. 생활지도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여자교감이 아동과 학부모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쉽다. 교감 업무 중 가장 어려운 일은 인사관리업무로 근무 성적 평정과 성과급 조정 업무 로 최근 교사의 다면평가 실시는 교감을 더 힘들게 한다. 시골학교의 교감들에게는 기간제 교사 임용도 어려운 업무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교감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갖지 못하고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학교경영을 위해 다양한 일을 수행하지만 낮은 인지도에 회의를 갖기도 한다. 셋째, 교장과의 관계에서 교감은 교장을 잘 보좌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갖고 있으며 자신을 인정해 주는 교장을 선호한다. 학교경영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교감의 경우에는 간혹 교장과 의견 대립이 있으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학교장의 철학에 맞추려는 경향이 많다. 교감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부장교사들에게 협조를 많이 받는다고 느끼며 더 호감을 갖는다. 특히 전교조 조합원이 없는 교사집단을 선호한다. 학부모와의 관계는 시골학교의 영세한 학부모들이지만 도시 공동화 지역의 학교보다 지원이 후하다. 규모가 큰 학교의 학부모들은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지원도 많지만 간섭도 많아져서 교감의 업무 부담이 크다. 넷째, 교감은 화목한 직장 분위기를 유지하여 타 학교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자신의 연구 노하우를 교사들에게 전수 해주면서 교사들과 신뢰 있는 관계를 만들어 교사들이 좋은 성과를 얻어 낼 때와 신규 교사의 지도 맨토링으로 차츰 학교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일을 찾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갖는다. 그리고 교감은 구성원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학교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을 때와 학교 현장이 경직된 사회에서 열린사회로 전환되면서 민주적인 학교 풍토가 만들어 졌을 때도 보람을 느낀다. 교감은 변화하는 학교교육에 적극 대처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고 유관기관의 협조를 이끌어 내어 학교교육에 공헌을 하였다고 느낀다. 따라서 교감은 자신감을 갖고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또 교감은 학교경영 전반적인 면에서 교장과 함께 추진하는데 대부분의 업적이 교장에게 돌아가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행복을 느끼며 오고 싶은 학교, 머물고 싶은 학교로 만들어 졌을 때 자신의 꿈이 실현된 마음을 갖게 되어 행복해 한다. 다섯째, 교감들이 가장 갈등을 느끼는 부분은 매사에 비협조적인 교사들이 많을 때이다. 설득을 하고 회유를 해보기도 하지만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을 세우는 교사들은 어쩔 도리가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이런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해 교사 집단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현 체제의 교감은 지위가 애매하기 때문에 교육현장 어떤 자리에서나 당당하지 못한 존재로 느끼고 있는 것이 가장 큰 갈등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감의 삶과 역할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교감은 법령에 정하여져 있는 규정에 의해 학교조직의 경영관리자로 학교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지도하는 위치에 있으나 궂은 일 뒷바라지가 주 업무로 보아는 등 권한이 별로 없고 상하로 압력을 받는 샌드위치로 표현된다. 교감이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감의 일을 도와주는 구성원을 잘 만나야 한다. 그러나 교감은 학교교육현장에서 중추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단순한 조정자보다는 창조적인 지도자로, 순간적인 대응보다는 선견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안해 낡은 틀을 깨고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교감은 구성원들로부터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학교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조직원 개개인을 전인격적으로 대함으로 평등주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신뢰를 기초로 재량권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keep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securing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at the school education site, and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tasks were set: 1. Examination of the unique environment the vice-principal faces in his/her line of work and exploration of the vice-principal's role under such environment. 2. Analysis of the actual relationships the vice-principal has with the principal, teachers, and other persons in the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the effects the vice-principal's interpersonal relations has on his/her life. 3. Exploration of the role of a successful vice-principal by shedding light on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overall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satisfaction felt. 4. Presentation of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vice-principals face during school administration. In-depth face-to-face interview was opted for in completing the above tasks, and the interviewees (vice-principals) were selected based on school scale and sex. To clarify, school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cales based on the number of department heads (assists the vice-principal) and the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vice-principals in their work performance, one male and one female vice-principa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hool's scale. Interviews were then conducted on vice-principals of schools with eleven or less grades (two department heads), with twelve or more but less than seventeen grades (four department heads), and with eighteen or more grades (six or more department heads). The above research method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vice-principals do perform a teaching role in the course of school operation but are unable to integrate their own philosophi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vice-principals are limited to conveying the intents and thoughts of the principal as the middleman. In smaller scale schools, in particular, the vice-principal's role has been aggrav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ersonnel assigned to curriculum operation is limited. However, female vice-principals approach class quality improvement with subtlety, whereas male vice-principals approach with a strong sense of drive. As change agents who correctly understand and are willing to proactively accommodate change in the faculty,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are exhibiting changes in themselves and actively leading constructive changes for the betterment of the organization. Second, vice-principals keep interest in issues from the school vicinity and confer with the teachers when a new problem arises but transformation of corporal punishment and favoritism into sensitive topics have increase the workload for vice-principals. Addressing guidance issues is easier for female vice-principals because they have easier access to student parents. The most difficult task for vice-principals is personnel management, including work performance evaluation and bonus adjustment. In addition, the recently implemented multi-faceted teacher evaluation program have made life even more difficult for vice-principals. For vice-principals of rural schools, employment of contract-based teachers is also a difficult task. As such, vice-principals are forced to take on many responsibilities that do not afford them time to call their own and perform various school administration affairs, but they also hold low recognition level conferences. Third,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principals and the principals at their schools, vice-principals feel compelled to be apt at assisting the principal and generally prefer principals who give them recognition. In the case of vice-principals with a strong sense of drive in matters related to school administration, there are at times disagreements with the principal but they for the most part attempt to cater to the philosophy of the principal.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t the school, vice-principals generally feel they receive more cooperation from department heads and in turn have amicable feelings for them. In particular, vice-principals prefer faculties that do not have a school-wide teacher's associations.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s with student parents, parents of students at rural schools provide more generous support than urban school parents.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large scale schools have greater interest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accordingly provide large support, but their interference is just as severe and results in greater workload for the vice-principal. Fourth, vice-principal feel rewarded when they gain the envy of other schools by maintaining a peaceful workplace environment, when they form relationships of trust with their teachers by passing on their own knowledge to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thereby achieve favorable results, and when they are able to mentor new teachers into the new environment. In addition, vice-principals also feel rewarded when all the members of the school faculty become one to successfully accomplish diverse and complex school events and when the school converts from a rigid social structure to an open one in forming a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Vice-principals feel that they are contributing to school education by responding proactively to changes in school education to gain new information and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concerned organizations. Therefore, vice-principals come to take on the role of a confident leader whose job it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principal gets to take credit for most of school administration achievements despite the vice-principle's role in that process, vice principals find joy in feeling that they have built a school the faculty staff feels happy at, looks forward to coming to, and wants to stay at. Fifth, the source of greatest frustration for vice-principals is when there are many uncooperative teachers on staff. Vice-principals attempt to convince and even appease such problematic teachers, but there isn't much that can be done on teachers who outright refuse to listen or compromise. However, most vice-principals push for teacher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s a way to avoid such conflicts. And, because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is vague under the current faculty hierarchy, not being able to feel valued at the school is another source of frustration for vice-principals. Conclusion from this study on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are as follows: As prescribed by the law, the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 is a faculty administrator who partakes in important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who guides teaching activities of the teachers. The vice-principal is, however, seen as someone whose sole job is to support others without any authority and as someone stuck between pressures applied from both above and beneath him/her. In order for the vice-principal to perform his/her role to the fullest, he/she needs to meet a supportive faculty staff. However, the vice-principal is a pivotal character in our schools. Accordingly, the vice-principal must break through the old frame and pursue new developments by going beyond the role of a simple mediator and taking on the role of a creative leader capable of generating innovative ideas. In order for the vice-principal to have their value recognized by the faculty, they must be capable of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in a self-initiated and proactive manner and address individual faculty members on a very personal level to form an equality-oriented school atmosphere in acquiring discretionary authority based on trust.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관점에서 본 역할극 활동의 이해
이지애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제 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를 바탕으로 역할극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동기이론 중 주목받고 있는 Dörnyei의 제 2언어 동기 자아체계의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동기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Dörnyei의 동기 자아 체계의 관점에서 역할극이 동기 자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이상적 자아 동기 측면에서 역할극 수업은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자신감을 향상시켜 이상적 자아를 확장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필연적 자아 동기 측면에서 역할극은 학습자의 목표달성에 더욱 성공적으로 이르게 했다. 역할극이 필연적 자아 동기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모든 학습자들이 점수나 주변의 압력에 의한 필연적 자아보다는 자신의 꿈이나 이상적 자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경험이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역할극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역할극은 학습자에게 외국인과 대화하는 것과 유사한 언어사용의 기회를 확대시켜줄 뿐 아니라 학습자간 원활한 유대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왔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lementary students’ motivation through the role-play activity under the framework of Dörnyei’s second language motivational system. This study examines motivation based on three factors proposed by Dörnyei's L2 motivational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role-play activity had a positive impact on extending ideal self by eliciting interest and motivation, and improving confidence. (2) The role-play activity helped to reach students' goals successfully from the ought-to self aspect. However not every student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scores or other's expectations but they were affected more by ideal self related to their dreams. (3) From the aspect of learning experience or environment, role-play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ir learning.
역할놀이를 통한 중학교 영어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류장국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본 논문의 목적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역할 놀이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신장시켜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2장에서는 의사 소통 능력에 대한 기본 이론과 의사 소통 중심의 몇 가지 교수법 그리고 역할 놀이를 위한 학습모형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역할 놀이를 교실 상황에 적용 하여 광주 살레시오 중학교 2학년 2개반 104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고 현재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동아 Middle School English 2의 <Dialog> 대화문을 채택하였다. 실험 수행은 학생들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추진하였는데 실험 집단은 역할 카드를 작성하여 계획에 따라 역할 놀이를 실행하였고 비교 집단은 귀에 의한 청취와 입에 의한 발표를 기본으로 하는 외국어 습득의 학습 방법인 Audio-lingual method에 의한 반복적인 대화연습에 의존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악 될 수 있다. 첫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역할 놀이 활동에 매우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갖게되었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영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증대되었다. 즉, 역할 놀이에 의해서 실행한 실험 집단은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보다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실험 집단의 듣기 이해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받게 되었다. 셋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영어 실력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므로 이런 결과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역할 놀이의 학습 기법을 사용하면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은 우리나라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역할 놀이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교실 인원의 감축과 함께 학생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위해서 개별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 한 명이 5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회가 균등하게 주어지는 교실 수업이 어려워서 그 활동에 알맞은 교재와 자료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교사는 영어 학습을 할 때 역할 놀이에 사용할 자료를 재구성하는 반면 학교는 의사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서 교육 자료의 개발을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정해진 역할 놀이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상황에 대비하여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적극적, 창의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서 역할 놀이와 같은 의사 소통 기법을 익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실 상황에서의 역할 놀이는 학습자가 영어로 말을 할 때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영어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가능한 많은 학생들이 역할 놀이에 참여하기를 바라며, 의사 소통에 접근하는 기법이 마련되어 교사들이 매시간 단 몇 분이라도 활용해서 의사 소통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role-play. Basic theori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communicative methods, and models of role-play activities were observed.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al introduction of the role-play into the actual classroom situations, the second-year students of Kwang-ju Salesio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text book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dapted from one published by Du-San Dong-A.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role play,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racticed dialogue drills for accuracy of language using the audio-lingual method.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roved to get mor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students' abilities to express in English the various things happening in everyday life were enhanced. The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rote play became more positive, active, and creative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listening ability more successfully than the comparative group did. The scores of listening comprehen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becom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marks in school record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English achievement test Thus role-play can be very effective in developing the communicative ability. Som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role play to the classroom situ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re must be individualization by reducing the class size in order to drastically improve students' skills in speaking as well as in listening. The current classroom size makes it very difficult for students to achieve comprehens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texts and materials for the role-play. Both materials and the facilities for English learning are not 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each school adopt and develop materials properly and suitably for commtmicative performance in various situations. Third, Korean English teachers should try to be acquainted with discourse roles for different role play contexts. More effective conduct of role-play would require that teachers learn such communicative techniques as the role play by positively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study avaliable. In conclusion, the role play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re likely to reduce some fear of speaking English on the side of learners and to improve the learners'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t as many students as possible to participate in role play. In addition, we are trying to create some special classroom devices where communicative approaches like role play can be implemented.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We must pay attention to senescent marriage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elderly. The reason why the elderly depend on their spouses than anyone else is to satisfy their emotional desires like love or the meaning of life. The harmonious conjugal adaption can be a major factor that gives them individual satisfaction or ego-integrity in the last step of their life. And the quality of senescent conjugal relations will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senescent life as the continued extension of senescence. Under the perception of senescent conjugal problems in such modern society,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by verifying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escent conjugal relation factors. For this, i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attitude,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the namely, come up with measur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can improve senescent conjugal relations by inquiring into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jugal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analysis of the effects on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carried out, summarizing detailed results as follows.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sex for a hypothesis 1-1 -- Is there a difference in sex-role attitud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women have a higher perception of the sex-capacity and -role difference than men. Meanwhile, the preception of the elderly for sex-role attitude showed that for general sex-role attitudes,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under the age of 64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age of 65-69, and over the age of 70, which the high age decreases the understanding of sex-role attitud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nder 2 survival childr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4 survival children, and over 5 survival children, which the low survival children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sex-role attitud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3 cohabiting famil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2 cohabiting families, and 1 cohabiting family, which the many cohabiting familie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sex-role attitude, and the long marriage period decreased the general sex-role attitude and sex-capacity perception. The high academic background increased the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and the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who have a job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who have no job. Second,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leeping in separate bedrooms for a hypothesis 1-2 -- Is there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all groups such as general communication, the elderly of close relationship, the elderly of passive relationship and the elderly of exclusive relationship,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who don't sleep in separate bedrooms is more active than in the elderly who do sleep in separate bedrooms. For academic background,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 was most active, followed by middle school graduate, and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e. For the elderly of close relationship,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under middle school graduate was most active, followed by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 and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e. Third,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age for a hypothesis 1-3 -- Is there a difference in sexual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the general sexu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in the age of under 6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 the age of 65-69, and in the age of over 70. This phenomenon showed same results in all positive propensity, relationship retention propensity, passive propensity and dissatisfaction propensity groups, which the high age decreased the sexual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of 1 cohabiting famil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 the elderly of more than 3 cohabiting families, and in the elderly of 2 cohabiting families, which living together with a great number of children could improve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healthy elderly could have a high sexual satisfaction. Fourth,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leeping in separate bedrooms for a hypothesis 2 -- Is there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the general marital satisfac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ho don't sleep in separate bedrooms is higher than in the elderly who do sleep in separate bedrooms, which the healthy elderly and the elderly who have a job can have a high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lderly of high academic background could have a high marital satisfaction. Fifth, basic models were designed for hypothesis 3 test to use Chi-square, CFI, TLI and RMSEA for the evaluation of the their fitness, which the their fitness was good. For the pa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factors and between each sub-factors(p<0.01, the sex-role attitude was p<0.05). The path coefficient test showed that a hypothesis 3 is suppor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f senescent marital lif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firming that it is important to perceive the male/female role and capacity caused by sex differences in their daily life for their happy marriage until senescence. The additional hypothesis test using modified mediation models for a hypothesis 3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is significant in the path coeffici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ogenous variables and endogenous variables in modified mediation models(p<0.05), while the sex-role attitude are not significant. A hypothesis 3-1 -- the marital satisfaction will depend on the sex-role attitude -- was rejected, and a hypothesis 3-2 -- the marital satisfaction will depend on the communication -- was supported. A hypothesis 3-3 -- the sexual satisfaction will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 was also supported. Sixth,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the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were come up with, and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which are finally applied to this study using the modified exponential models, were designed by additionally putting the parameters, sexual satisfaction variables into basic models to build the mode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tness of modified mediation models and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hi-square value, significance probability, CFI, TLI and RMSEA are 195.251, 0.000, 0.836, 0.757 and 0.120, respectively, which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are generally fit. In other words, the fitness of modified mediation models was more improved than that of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A hypothesis 4 predicted that the sexual satisfaction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 analysis of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0.724 and 0.482) is most important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sexual satisfaction(0.355). Analysis showed that the sex-role perception and conjugal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have an impa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sexual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And the communication had priority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which a conjugal active conversation was a top priority for their happy marriage through good conjugal relations in the twilight years of their life. Seventh, the effects such as the indirect, direct and total effects between variables showed that a dependent variable, marital satisfaction receives a direct effect of 0.891 from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0.143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05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and indirect effect of 0.019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737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And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received a direct effect of 0.021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827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Comparing the size of the total effect, the communication and sex-role attitude had an effect of 0.787 and 0.162 on the sexual satisfaction for the factors affecting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the communication of 0.787 had a bigger effect than the sex-role attitude of 0.162 for a dependent variable, marital satisfaction. There are limitations caused by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tools in the processes of this study,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by verifying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escent conjugal relation factors. First, in reference to sampling, there's a limit as to the generalization of findings for the total elderly of our country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Seoul area. Second, there's a limit that controls and explains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esides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effect by these variables could be produc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have a complete control due to the nature of a social survey; they were inquired into only in term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insignificant test values of som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may have an incomplete control of a survey. 노년기 부부관계는 노인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노인은 애정이나 삶의 의미 같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 누구보다 배우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조화로운 부부간의 적응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개인의 만족이나 자아통합감을 갖게 하는 주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노년기가 계속 연장되어짐에 따라 노년기의 삶의 만족은 부부관계의 질이 어떠하냐에 좌우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현대 사회에서의 노년기 부부간의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들에 대한 상호 역동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부부의 성역할태도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성생활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부부간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성생활만족이 노인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노년기의 부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성생활만족에 대한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대해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가설 1-1의 개인특성별 성역할태도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성별 능력 차이에 대한 인식 및 성별 역할차이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성역할 태도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인 성별 역할 태도는 64세 이하 노인연령대의 인식력이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65-69세, 70세 이상으로 조사되어 연령이 많을수록 성역할태도에 대한 이해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전반적 성역할태도에 대해 생존자녀수가 2명 이하인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3-4명인 노인, 5명 이상의 노인 순으로 나타나 생존 자녀수가 적을수록 성역할태도는 긍정적이라고 해석되어진다. 전반적 성역할태도 정도에 대해 동거 가족수가 3명 이상인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2명인 노인, 1명인 노인 순으로 나타나 동거 가족수가 많을수록 성역할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혼인기간이 길수록 전반적 성역할태도 및 성능력 인식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성역할태도 정도에 대해 학력이 높을수록 노인의 성역할태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업이 없는 노인보다는 직업이 있는 노인의 성역할태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1-2의 개인특성별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각방 사용유무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의사소통, 긴밀한 관계의 노인, 소극적 관계의 노인, 배타적 관계의 노인 모든 집단에서 각방을 사용하는 노인집단보다 각방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집단에서 의사소통이 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상인 집단이 가장 의사소통이 활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졸 집단, 초졸이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집단의 경우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의사소통이 활발한 가운데 고졸이상, 초졸이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1-3의 개인특성별 성생활만족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연령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성생활 만족정도는 64세 이하의 연령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65-69세, 70세 이상 연령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적극적 성향 집단, 관계유지형 성향 집단, 수동적 성향 집단, 불만족 성향 집단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연령이 많을수록 성생활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동거가족수가 1명인 집단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3명 이상인 집단, 2명인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수의 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것이 노인의 성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해석되며, 건강한 노인일수록 성생활 만족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2의 개인특성별 결혼만족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각방 사용여부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결혼 만족정도에 대해 각방을 사용하는 노인보다 각방을 사용치 않는 노인 집단에서 결혼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한 노인일수록 결혼 만족 정도는 높다고 해석된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결혼 만족 정도는 높으며, 직업을 갖고 있는 노인의 결혼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3의 검증을 위해 기초모형을 설계하고 모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카이제곱, CFI, TLI, RMSEA를 이용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성역할태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간의 관계 및 각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를 살펴보면, 모든 요인간 및 각 하위요인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성역할태도는 p<0.05). 이 경로계수 검증 결과 연구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 부부간의 생활 중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특성이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를 통해서 노년기까지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성별 차이로 발생하는 남녀별 역할 및 능력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가설 3의 경우에는 수정 매개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가설검증을 한 바, 수정매개모형에서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에서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성역할태도는 유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만족도는 성역할태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3-1은 기각되었고, 결혼만족도는 의사소통에 따라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3-2는 지지되었다. 또한, 성생활만족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3-3도 지지되었다. 여섯째,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초모형에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 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모형을 구축하여 기본 매개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수정지수를 이용한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사용한 수정 매개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정된 매개모형과 기본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195.251이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나타났으며, CFI는 0.836, TLI는 0.757, RMSEA는 0.120으로써 전반적으로 수정 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기본 매개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보다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4는 노인들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생활만족이 매개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측이었으며, 수정매개모형 분석 결과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0.724 및 0.482)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성생활만족(0.355)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노인들의 성역할 인식과 부부간의 의사소통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생활만족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황혼기의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부부간의 활발한 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일곱째, 변인간 간접효과 및 직접효과, 총효과 등 효과를 분해하여 살펴보았으며, 종속변수인 결혼만족도는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으로부터 0.891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고, 독립변인인 성역할태도로부터 0.143, 의사소통으로부터 0.05의 직접효과와 성역할태도로부터 0.019, 의사소통으로부터 0.737의 간접효과를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은 독립변인 성역할태도로부터 0.021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으며, 의사소통으로부터는 0.827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다. 총효과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이 0.787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역할태도는 0.162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속변인인 결혼만족도에는 성역할태도 0.162 보다는 의사소통 0.787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들에 대한 상호 역동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연구대상, 조사도구 설정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연구의 표집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 권역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노인에게 일반화하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이외에 노인의 성역할태도 및 의사소통, 성생활만족,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에 대하여 통제하고 설명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사회조사의 특성상 완전한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들 변인들에 의한 결과의 오염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개인적 특성 범주 내에서만 고찰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성생활만족, 결혼만족도 특성 중 일부 개인특성 변인들에 대한 검증 결과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도 설문조사의 불완전한 통제의 문제로 사려 된다.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이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변화는 심화되고 있다.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 전체 혼인에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은 답보 상태이며, 특히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이 낮게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은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그동안 사회과 다문화교육에서는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시민을 양성하고자 여러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그 노력은 대개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체계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고, 교육목표의 달성에 효과적인 교수기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전략 중 하나로 여겨지는 역할극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유아 혹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이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 문제로 삼고 다음과 같이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 주 가설: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은 강의식 다문화수업보다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효과적일 것이다. ▪ 하위가설 1 :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은 강의식 다문화수업보다 다문화수용성의 하위요소인 다양성 증진에 효과적일 것이다. ▪ 하위가설 2 :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은 강의식 다문화수업보다 다문화수용성의 하위요소인 관계성 증진에 효과적일 것이다. ▪ 하위가설 3 :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은 강의식 다문화수업보다 다문화수용성의 하위요소인 보편성 증진에 효과적일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의 3개 고등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각 학교에서 1개 학급은 강의식 다문화수업을 수강하는 비교집단으로, 또 다른 1개 학급은 역할극을 활용한 다문화수업을 수강하는 처치집단으로 설정하고 사전, 사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중 최종적으로 유효한 응답을 보인 12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이 강의식 다문화수업보다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이에 따라 주가설과 하위가설 3개를 모두 채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사회과 다문화교육을 통해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용 체계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교수기법에 대한 고려 역시 중요하다. 둘째, 고등학교 사회과 다문화수업에서도 역할극과 같이 학생의 참여와 체험이 중심이 되는 교수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 다문화수업 구성 시 학습자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Multicultural changes in Korean society are intensifying.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births among all children and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marriages in all marriages are both on the rise. However,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 adolescents is at a standstill, and in particular,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s low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ituation suggests that practic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meantime,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has made various efforts to cultivate citizens suitable for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 efforts were mostly focused on developing the goal and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and there was a lack of discussion on what teaching techniques would be effective in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 In addition, researches related to role-play,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strategies, have been mainly conducted on infants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affects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 Main hypothesis: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will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lecture-style multicultural instruction. ▪ Sub-hypothesis 1: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will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diversity, a sub-factor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lecture-style multicultural instruction. ▪ Sub-hypothesis 2: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will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relationship, a sub-factor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lecture-style multicultural instruction. ▪ Sub-hypothesis 3: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will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universality, a sub-factor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lecture-style multicultural instruction.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In each school, one class was set as a comparison group taking lecture-style multicultural instruction, and the other class was set as a treatment group taking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Pre-survey 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on both group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126 people who finally showed valid responses. As a result of conduct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it was found that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using role-play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lecture-style multicultural instruction. Accordingly, the main hypothesis and three sub-hypotheses were all adopted.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through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it is essential not only to pay attention to the content system but also to consider teaching techniques. Second,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eaching techniques that focu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such as role-play. Third,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learners when organizing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시대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사회는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들에게 역할을 주고 일을 하게 만들고 있다. 주부의 역할만 하던 여성에게도 가정과 직장 사이의 다중 역할을 맡김으로써 생산의 효과를 극대화로 끌어 올리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단순히 역할이 있다고 모든 것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일을 하다보면 역할 담당자들 사이에 갈등이 생기게 마련이다. 가령, 겨울에 시냇가를 보면 얼어붙은 얼음 아래로 물 흐르는 소리만 들릴 뿐 꽁꽁 얼어붙은 얼음을 볼 수 있다. 이를 역할갈등이라 생각하면 역할갈등을 보다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기존의 가정-직장 역할의 기혼 여성의 역할갈등에서 벗어나 모든 재직자 여성의 역할갈등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기업을 대상으로 결혼여부, 연령, 직종, 재직년수, 학력, 갈등대상에 따라 재직자 여성의 역할갈등과 대처행동을 조사 · 분석하였다. 이에 재직자 여성들이 역할갈등에 따른 대처 행동 방식을 Nicholoson와 Coh(1983)가 정의한 이론을 근거로하여 개인-역할 갈등, 역할간 갈등, 전달자내 갈등, 전달자간 갈등 등으로 분류하였다. 재직자 여성의 역할갈등에 따른 적극적, 적응, 회피의 대처행동이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역할갈등에 직면한 재직자 여성들의 대처행동 유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자료 처리는 SPSSWIN 12.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등을 통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재직자 여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차이검증에 있어서는 결혼여부, 연령, 직종, 재직년수, 학력, 갈등대상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재직자 여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대처행동 차이검증에 있어서는 결혼여부, 연령, 직종, 재직년수, 학력, 갈등대상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재직자 여성의 갈등대상에 따른 역할갈등과 대처행동에서는 갈등대상이 상사, 업무자체, 동료, 가족 등의 순서로 나왔다. 이는 기존의 가정-직장역할의 갈등에서 갈등대상이 가족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상사라는 새로운 갈등대상이 나타났다. 넷째, 재직자 여성의 역할갈등과 대처행동에 있어서는 역할갈등에서는 개인-역할 갈등, 역할간 갈등, 전달자내 갈등, 전달자간 갈등에 상관이 있었고 역할간 갈등과 적응과 회피에서는 상관이 있었고 전달자간 갈등과 적극적, 회피에서도 상관이 나타났다. 대처행동간에는 적극적, 적응 등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재직자 여성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역할갈등과 대처행동에 영향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역할간 갈등을 겪는 기혼 여성을 비롯하여 모든 재직자 여성들의 역할갈등이 변화된 것을 의미로, 본 연구가 재직자 여성들의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역할갈등 완화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rapid changes, our society is compelling each of its members to have a job. The reality today is that traditional housewives are now having multiple roles between home and work,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ir productivity. However such situation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a natural progress and a working situation can result in conflicts among the many role players. For instance, when we look at a stream in the winter we can only see the frozen ice on top, although we can hear the water running underneath the ice. We can understand role conflicts better when it is analogized with such an example. Nowadays, we are required to not only focus on the role conflicts of married women who are engaged in both home and work but also on the role conflicts experienced by all working women. In present study, the role conflicts and coping behaviors of the working women in companies from all over Korea,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type, work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objects of conflict, a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n, based on the theory proposed by Nicholoson and Coh (1983), coping behaviors of working women according to the role conflicts are categorized into person-role conflict, interrole conflict, intra-sender conflict, and inter-sender conflic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active, adoptive, and evasive coping behaviors to role conflicts among working wome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types of coping behaviors of working women faced with role conflicts. Data process for this study has utilized SPSSWIN 12.0 and has analyzed the following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First, in terms of proving the difference of role conflicts as a resul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there was differe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ge, occupation type, work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objects of conflict. Second, in relation to proving the difference of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marital status, age, occupation type, work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objects of conflict. Third, in terms of role conflict and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objects of conflict for working women, the objects for conflict were in receding order of the boss, the work itself, colleagues, and family members. This shows that compared to traditional home-work role conflicts the object for which was mainly limited to family members, there now appears a new object of conflict, the boss. Fourth, in terms of role conflict and coping behaviors of working women, a correlation was proved among person-role conflict, interrole conflict, intra-sender conflict, and inter-sender conflict. And active and adoptive coping behaviors also had a correlation. This study has proved the existence of influence on role conflict and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Since present study has enlarged the scope for role conflicts from traditional conflicts between roles experienced by married women to the role conflicts experienced by all working wome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studies of working women and contribute in lessening the degree of their role conflicts.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연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현대사회의 다각적인 변화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증대와 영․유아기에 대한 인식변화는 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을 실질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지각수준과 인구학적 특성(연령, 학력, 어린이집 유형, 경력)에 따른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의 차이, 역할갈등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을 해소시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남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4명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와 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보육교사의 역할갈등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며, 하위요인별로 보면 개인 내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 수준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하위요인 별로는 인간관계 만족도와 직무자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수 및 승진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연령, 학력, 어린이집 유형, 경력)에 따라 역할 갈등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결과 중 연령에 따른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역할갈등은 전문대졸 이상자보다 고졸자가 높게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대졸이상자가 고졸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역할갈등은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역할갈등은 3~5년 미만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보육교사가 지각한 역할갈등이 직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있어 r=-.609(p<0.1)의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갈등의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전체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전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므로 보육교사의 처우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겠다. 역할갈등은 외부 환경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측면에서 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해 교사로서 사명감과 올바른 교직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적절한 보수체계의 정비는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되고 있는 보수기준과 학력, 경력에 따른 역할을 고려한 보수체계의 도입이 전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보육교사에게 적절한 업무량과 경력에 적합한 업무내용으로 업무에 대한 재량권을 부여하는 것은 역할갈등 하위요인 중 개인 내 갈등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과학교육에 있어 세포분열이란 단원은 중요하고도 어려운 단원이다. 학생들은 중요한 단원일수록 내용이 어려워 접근하지 못하고 생각하기도 싫어져 그 단원에서 점점 더 멀어져 가고 수업에 대한 흥미와 집중력도 떨어지게 된다. 학생들이 스스로 기획하며 참여하는 수업 형태가 짜임새 있는 일제식 강의보다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학습 효율을 높이며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이 같은 맥락에서 어려운 내용을 재미있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역할놀이 학습을 생각하게 되었다. 역할놀이를 통해 교과내용을 학습한다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세포 분열과 같은 어려운 내용도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중학교 3학년 「세포분열」단원을 가지고 실시한 역할놀이가 과학학업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3학년 149명이며 2개 학급은 역할 놀이를 실시하고 2개 학급은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처치 전, 후의 학업 성취도와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 검사지를 이용한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 학습태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역할 놀이 학습반이 전통적 수업반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그리고 학업 성취수준면에서 상위 학생들에 비해 하위 학생들에게 역할놀이 학습효과가 더 뚜렷했다(p<.05). 태도에 미치는 학습의 효과에서는 감정적 태도와 인지적 영역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Cell division in biological education is an important and unintelligible unit. Most of students have no interest in learning the content, and don't concentrate on it because Cell division unit contains relatively difficult content.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induce students' positive participation to science teaching, exclusive of existing collection instruction, which will be able to helpful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desire and their learning efficiency. In this vein, during considering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s, the researcher found role-play as the method for students' positive access to important and unintelligible learning content. Judging from previous experience, the researcher thought that science learning through the utilization of role-play is ultimately useful to improve not only the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but also the apprehension of unintelligible content like cell division. Effect of role-play on their learning achievement of sicience was analysed through the Chapter of cell division on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re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divided this students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y 2 classe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nstructed by role-play and by traditional teaching method, respectively. Before putting into practice this instruction, there took into account the before and after of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nd their learning attitude by using same questionnaire.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 put into practice co-variate analysis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as the measurement method. From the results, experiment group by role-pla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spect of learning achievement by p<.05, considering comparison group by traditional method. With regard to the level of their learning achievement, the researcher found that science learning by role-play was more effective to slow learners than excellent learners.(p<.05) On the other hand, at the aspect of their learning attitude, the researcher could ascertain that they showed affirmative response to affectional and cognitional domain.(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