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관 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일·가정 갈등을 통해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상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력관리 문제의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종업원들의 경력몰입과 이직의도를 설명하기 위한 역할 스트레스와 감정노동, 이로 인한 일과 가정의 갈등의 영향을 살펴보고 상사와 동료,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역할 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은 일·가정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역할 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상사·동료·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셋째, 일·가정 갈등은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연구변수인 역할 스트레스, 감정노동, 일·가정 갈등, 사회적지지, 경력몰입과 이직의도는 인구통계적 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결혼여부, 직종, 근무연수 등에 따라 값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문헌연구 및 실증연구를 통해 연구문제의 답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변수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변수의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설문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표본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정한 후 가설검증을 진행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차이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값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는데, t-test와 ANOVA를 실시하여 가설의 지지여부를 확인하였다.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위계적 회귀분석 및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와 결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역할 스트레스 중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가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사회적지지 중 상사지지, 이직의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역할 스트레스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수에서 발견되었다. 셋째, 학력 집단 간 연구변수 값의 차이는 경력몰입에서 발견되었고, 그 외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 상태에 따른 차이는 일·가정 갈등, 경력몰입, 이직의도에서 나타났다. 다섯째, 직종에 따른 차이는 감정노동을 제외한 역할 스트레스, 일·가정 갈등, 사회적지지, 경력몰입, 이직의도의 차이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근무부서 간의 차이는 역할 스트레스, 일·가정 갈등, 경력몰입, 이직의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현재직장 근무경력 별로,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여덟째, 전체직장 근무경력 별로 차이는 일·가정 갈등, 경력몰입, 이직의도에서 발견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역할스트레스는 일·가정 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일부 채택되었고 감정노동은 일·가정 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역시 일부 채택되었다. 역할스트레스 및 감정노동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할 것이다는 일부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갈등은 경력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세부 가설에 따라 일부 채택되었고, 일·가정 갈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일부 채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역할극을 통한 중학교 문화지도 방안 :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중심으로

        오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ways to teach the cultures where English is spoken to enhance the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skill via role pla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culture education, role pla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th are mentioned. In the third chapter, some preceded studies has been presented with the way of designing teaching model where role play is taking place.In the fourth chapter, teaching modeling is applied to role play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is study, first, studying English using role play and learning culture is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teaching modeling based on these can stimulate the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s in a natural way. Students are also able to learn and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more easily by experiencing other cultures for themselves through role play. On this basis, suggestions are added: first, teachers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 suggested to use dialogues or role lays for teaching culture. The first hand experiences such as the role play help learners to absorb the cultural differences more effectively. Second, even though the revision of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putting emphasis on cultural instruction, the contents are not presented enough. It may necessary to provide more rich and suitable cultural input which would stimulat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 Finally, teachers’ training chance for the English-American culture understanding should be given a lot. Although many English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they are lack of cultural knowledge. Getting better understanding of English-American culture and develop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will meet the students’ need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understanding.

      •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마음챙김 매개효과

        최경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17곳의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281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역할스트레스, 감정노동, 마음챙김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여부를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PSS 23.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한 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경로를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 감정노동, 마음챙김이 소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 감정노동, 마음챙김 모두 소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은 소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졌으며, 마음챙김은 소진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 감정노동이 마음챙김에 직접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마음챙김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가짐으로써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할스트레스는 마음챙김에 직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는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ole stress, emotional labor, and mindfulness on the burnout of 281 care worker’s working in 17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emotional labor.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In order to confirm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that roles stress, emotional labor, and mindfulness of care worker’s directly influence the burnout role stress and exhaustion of emotional labor of care worker’s, it has been designed validat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After then it was used to bootstrap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pathwa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ole stress, emotional labor, and mindfulness have a direct effect on burnout. The role stress, emotional labor does positive directly effect the burnout, but mindfulness does negative directly effect the burnout. Second, It examined whether the role stress, emotional labor and mindfulness of the care work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 mindfulness of the care worker’s. As a result, the emotional labor of the care worker’s has a direct effect on the mindfulness, but role stress does not directly affect on the mindfulness. Thir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ole stress of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effect of role stress on burnou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indirect effect) of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other words, the role stress of the care worker’s has a direct effect on exhaustion, but it is confirmed that indirect influence is not caused by the mindfulness mediation. On the other hand, emotional labor of care worker’s had a direct impact on burnout, but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it effects indirectly through mediation of mindful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모성역할긴장이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김지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모성역할긴장과 자기격려가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모성역할긴장과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아1세 ~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20대 ~ 40대 이하의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모성역할긴장 척도, 자기격려 척도, 자아존중감 안정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거나 유효하지 않은 응답 등으로 판단되는 5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295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성역할긴장이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모성역할긴장은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성역할긴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안정성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기격려가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격려는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격려가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셋째, 모성역할긴장이 자아존중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격려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모성역할긴장과 자기격려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모성역할긴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안정성은 감소하였으며 자기격려가 ‘상’인 경우 자기격려가 ‘하’인 경우보다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maternal role strain and self-encouragement to self-esteem stabil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ole strain and self-esteem stability. To enable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300 mothers of 20’s ~40’s age with their infant 1 year old to children les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n the scales of maternal role strain, self-encouragement, self-esteem stability. A total 295 responses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the five respondents who did not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or were considered to be invalid respon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maternal role strain negatively affected self-esteem stability. That is, the higher the maternal role strain, the less the self-esteem stability. Second, self-encour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tability. In other words, as self-encouragement increases, self-esteem stability increases. Third, the effects of maternal role strain on self-esteem stability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esteem stability decreased with higher maternal role strain. In addition, when the self-encouragement was 'High', the slope decreased more sharply than in the case of the self-encouragement 'Low'. Lastly, the proposals for significance, limitation and follow-up studies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진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parental role, emotional competence contribute to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46 children of 3 to 6 year olds,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Seoul, Gyonggi and Cheona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depending on the children;s gender. Second, Mother's caregiving role, management role, nurturing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ir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rol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characterized by gender of children. For boys, Among parental role, management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girls, parental role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urt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higher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e more positively they respond to interaction to circumstances. Fifth, Mother's management role significantly explaine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In addition For boys, mother's caregiving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boy's emotional competence and for gilrs, mother's nurturing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girl's emotional competence. Sixth, Mother's caregiving role, management role, nurturing role significantly not explained girls's social competence. But mother's management role significantly explained boy's social competence. Seventh, The effect of parental rol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mediated throug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부모역할에 관심을 갖고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천안지역의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3-6세 아동 246명과 그들의 어머니 246명, 선생님 21명이었다. 어머니의 부모역할을 측정하기 위하여 현미숙(2004)이 제작한 부모역할 지능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수경(2002)이 관계문헌(Ashiabi, 2000; Bonello, 1998; Katharine, 1996; Saarni, 1990, 1999)과 관련연구(Eisenberg et al., 1996; Greener, 1998; Shield & Cicchetti, 1995)을 토대로 제작한 유아정서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se, Clark & Crase(1979)가 개발한 유아용 아이오와 사회적 유능성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 ISCS)를 박윤정(1997)이 우리나라 유아에게 적합한 문항들로 재구성ㆍ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t-test,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의 성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가 발달자극역할, 양육역할, 관리자 역할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정서능력은 높았다. 셋째, 남아의 경우 부모역할 하위변인 중 어머니가 관리역할을 많이 할수록 남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았다. 하지만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하위변인은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남ㆍ여아 모두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낸다. 즉, 유아의 정서능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관리역할은 유아의 정서능력 형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또한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가 발달자극역할을 많이 할수록, 여아의 경우에는 양육역할을 많이 할수록 정서능력이 높아진다고 평가되었다. 여섯째, 어머니의 발달자극역할, 양육역할, 관리역할은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 형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남아는 어머니가 관리역할을 많이 할수록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남ㆍ여아의 정서능력은 어머니의 발달자극역할, 양육역할, 관리역할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역할과 이들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정서능력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부모역할에 의한 어머니와 아동간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정서능력 및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밀접히 관계가 있으며 따라서 유아의 바람직한 능력향상에 도움을 주기위한 부모교육이나 상담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 역할극의 효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조사 : 의사소통 능력과 흥미도를 중심으로

        권선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목표는 일상 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초등영어의 기본적인 지도방향은 단순한 암기위주의 기계적인 학습보다는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는 듣기 말하기 중심교육으로 아동의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성취동기를 유발하고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해 수업시간에 실시하고 있는 여러 학습활동 중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역할극을 제시하고, 그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의사소통 능력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G 초등학교 3학년 8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에서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 및 흥미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영어공부에 도움이 되는 학습활동이 역할극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1차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역할극에 대한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역할극을 통한 영어 학습의 효과와 역할극 학습을 통한 영어 이해도, 실생활 적용 정도등에 관해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역할극의 효과에 대한 인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역할극이 듣기와 말하기 학습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언어학습이 효율성을 갖추려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총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사 대상이었던 3학년 학생들은 음성언어 위주의 수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역할극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학습활동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역할극을 통한 영어 학습의 장점에 대한 조사 결과 역할극은 영어로 말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길러준다고 한다. 의사소통에 있어 기본이되는 말하기 학습에 자신감을 갖게 된다는 것은 영어를 처음 배우는 초등학생에게 매우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셋째, 역할극은 학습한 내용을 장기간 기억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나타났다. 실생활과 관련된 상황을 통해 영어를 학습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오래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role play focusing on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questionnaire surveys on 86 third-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first survey investigated students' attitude to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role play was found helpful in learning English. The second survey, whic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on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ole pla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believed that role play is effective i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Although it is desirable for children to improve both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the third-grade students' classes center on spoken language only. For these students, role play is the most effective learning activity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as for the advantage of role play in learning English, students believed that they would be confident in English through role play. Confidence in English speaking is essential in communication. Thus role play is greatly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learn English for the first time. Third, students believed that they were able to remember what they had learned for a long time when they learned English through role play. The students could remember what they learned as they learned English in situations related to their everyday life. The present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because the survey was limited to 86 third-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because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individual students' subjective responses rather than objective tests, there might b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mong students and they might give wrong answers to meet the teacher's expectation.

      • 병원 종사자의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갈등 및 과업갈등의 매개효과

        김태경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연구의 목적은 병원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역할갈등, 역할모호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변수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팀성과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갈등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부산 소재 9개 의료기관 종사자 2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팀성과의 변이를 분석한 결과, 직종별로는 다른 직종에 비해 의료기사직, 직급별로는 하위 직급일수록, 병원근무경력에서는 1-5년 미만인 그룹의 팀성과가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에서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역할갈등은 과업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역할모호성은 관계갈등과 과업갈등, 팀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관계갈등은 과업갈등의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과업갈등은 팀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간접효과 검정 결과, 역할갈등은 과업갈등을 매개로 팀성과에 간접효과를 가지며, 역할모호성도 과업갈등을 매개로 팀성과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역할모호성은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을 매개로 팀성과에 간접효과도 있었다. 넷째, 총효과 검정 결과, 종속변수인 팀성과에는 역할모호성의 총효과가 가장 컸으며, 다음은 과업갈등, 관계갈등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팀성과 인식이 유의하게 낮은 그룹을 파악하여 이들 그룹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며, 총효과 측면에서 역할모호성, 직접효과에서 과업갈등이 가장 중요한 영향 변수이므로 조직 내의 다양한 갈등 중 우선적으로 역할모호성과 과업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역할놀이가 영어 학습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 학습 부진아를 중심으로

        송유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role play would affect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n low-level middle school students.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elementary student role play activities and also on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is role play teaching method.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n low-level middle school student. For this study, fiv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a group. The group learned English for 3 to 4 hours in a week for 1 month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udent's study motivation in English improved better after learning English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for 1 month, ; (2) Integrative motivation was a more affective change than instrumental motivation, ; (3) Reading, speaking and vocabulary ability improved better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than without them. This result showed that the role play activity was a very useful method for improving English study motivation of low-level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ints were suggested ; (1) role play activities have an effect of stimulating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ow-level students so, we have to constantly study them. ; (2) Because of a short research schedule, this study limited the grades of distribution to 50 to 60. But, a more extended study on low-level students is needed. ; (3) The careful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icient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role play.

      • 초등교과서 각색을 통한 연극역할연습 교수모델에 관한 연구

        김미은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Role-Play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focuses on developing elementary-school students' English skills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by utilizing children's stories. This method combines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nd allows students to apply these skills simultaneously. In the classroom, Role-Playing scripts will be made by the teacher. These Role-Playing scripts will help the students' English practices by requiring them to read the text aloud, practice their pronunciation and listening activity. This method can be called a Dramatic Role Play. This may have a positive side in terms of teaching students about other cultures since many of the stories originate from different countries. As a result, the classroom learning experience will become more student-centered rather than teacher-centered. The Dramatic Role-Playing can be used as an adjustable and easily adaptable teaching method, which, in fact, has the benefit of allowing students to not only express themselves linguistically but non-linguistically as well. The Dramatic Role-Playing will require the students to practice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bodily gestures, like as this activity is very common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However, considering that Korean educational curricula are so inflexible because of financial restraints, the small size of classrooms in general, and the limited time available to cover an entire semester's study materials, implementing this method is very challenging. This is especially true if the Dramatic Role-Playing practice is forced to make a conventional stag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Dramatic Role-Playing is different from a traditional stage play in that factors such as music, lighting, and costumes are minimized for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in the classroom. In fact, Dramatic Role-Playing boils down the elements of a dramatic performance to its bare minimum where only a room, actors - in this case, students and a script are needed. Therefore, its adaptability and usability become very practical. In additional contrast to a theater production, where there exists a hierarchy of main actors and secondary actors, the Dramatic-role Playing gives all students the chance to have their main role. Because of this, the Dramatic Role-Playing not only provides students a fun way to learn English but also helps their confidence and self-esteem. This, consequently, aids to erode their fear of speaking English aloud with bodily gesture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this thesis presents dramatizations of three stories from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this thesis shows how the stories were chosen, translated and adapted into dramatic scripts. The proper utilization of these dramatic scripts may allow an enriching and rewarding learning experience for young learners of English. 영어교육 방법론은 오랫동안 논의되어지고 연구되어져 왔다. 과거에는 영어교수 방법론 중에서도 문법중심의 교육법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그 이유는 그것이 제일로 편리한 방법이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문법중심의 교육방법으로 교육되어졌기 때문이다. 영어가 거의 제2외국어가 되어감에 따라 이러한 방법을 통한 언어교육은 영어로 의사소통하기에는 더 이상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언어교육의 보다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이 시급히 요구되는 이 시점에서 연극 역할 연습극을 통한 영어교육은 학생들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다. 교육연극 수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는 연극적 기법과 역할극적 방법의 장점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끊임없는 상호작용과 더불어 반복적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목표어를 구사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해당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습득시키는데 그 일차적인 의미가 있다. 또 하나는 새로운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 지향, 학습자 중심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다. 연극 역할극은 언어, 행동과 함께 감성과 표정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예술적 교육 매체 중 하나이다. 이는 아동들이 자신을 스스로를 발견하게 하고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 협의하는 과정을 통해 포괄적인 사고능력과 정서의 발달을 가져다준다. 역할연기를 하면서 끊임없이 상상력이 동원되며 공연이라는 과정을 통해 대본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연기하면서 자신감과 성취감이 고조된다. 연극 역할극을 경험한 아이들은 영어 학습에 대하여 보다 흥미를 갖게 될 것이다. 아이들은 주변에서 보는 것을 보고 모방하는 놀이를 좋아한다. 이것은 역할놀이의 시작한다고 말할 수 있다. (Sandy 1). 아동들은 일상놀이에서도 자기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가상으로 극화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상의 역할을 친구들과 함께 정하고 역할 놀이를 함으로써 가상인물을 통해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하고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한다. "연극놀이란 아동들이 경험하는 세계 속에서 주변 사람들의 성격적인 특징과 행위를 모방하면서 자신들의 세계를 표출하는 아주 자연스러운 행동" 이라고 정의했다(McCaslin 6). 이러한 역할놀이는 얼굴표정, 몸짓, 목소리의 고저와 강약 등 비언어적 표현을 동반한다. 이렇게 아동들이 즐겨하는 연극놀이의 장점을 이용하여 아동들에게 언어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교수 활용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연극기법의 적용을 통해 아동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자연스럽게 학습동기를 유발시켜 각색된 대본을 통해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제공한다. 이를 연극역할극으로서 학습함으로써 아동들은 자신도 모르게 영어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아동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교육연극의 최종 목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초등학교 영어교사들 사이에 교육영어연극의 필요성을 느끼고 초등교육 커리큘럼 안에서 영어연극을 시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초등교과서에는 아동들이 여러 형태의 사람들과 함께 성장하면서 겪는 다양한 사건과 함께 느낌을 공유할 수 있는 동화들이 많이 있다. 동화는 문학의 한 영역으로 아이들이 가장 즐겨 읽는 문학 장르이다. 동화를 영어교육연극과 접목시켜 효과적인 영어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동화가 문학교육을 위한 텍스트로서 언어교육의 자료로 쓰이기 위해서는 각색이라는 창조적 과정이 필요하다. 즉 문학작품의 장점인 언어적 풍부함을 장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비유적인 표현이나 서술성이 강한 문학적 언어를 실용적으로 의사소통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문학적 자료들을 언어교육에 필요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골고루 학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연구와 실제적용을 통한 평가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한 예로 초등학교 교사 5명이 교육연극을 위한 극본 자료를 개발하여 발표하였다. 그들의 연구에서 역할 연습극의 각색방법과 각색된 자료들이 초등수업에서 얼마나 필요한지를 말해준다. 간단히 말하면 교수들이 동화를 각색하여 극본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재미있고 유익한 학습 자료들을 필요할 때마다 극본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교사들에게 요구되고 있다…역할극으로 해보고 싶어도 극본으로 되어 있는 자료가 드물고, 각색하여 지도하고 싶어도 극본으로 각색하는 방법에 숙달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다(김재수 61)." 이러한 연극적 어려움을 극복한다면 연극 역할연습은 아동교육을 위한 매우 효율적인 영어교육 방법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논문과 관련 책자들이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연극놀이와 역할극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본 논문은 교사의 관점에서 연극역할 연습극을 위한 동화를 선정하고 극화 과정을 통해 연극역할극 대본을 만들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현장중심의 교수법을 제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다시 말해, 초등학교 교과서 읽기 교재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각색한 다음 이를 교육연극 교재로 만들고 이를 활용함으로서 아동을 지도하는 실제적 활용방법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이 논문은 연극 역할극이라는 학문적 영역과 가능성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언어 학습적 효용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첫째,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있는 동화를 분석하여 활용가치를 알아보고, 둘째, 연극역할 연습극을 위한 동화선정 방법과 대본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살펴본다. 셋째, 실제대본을 통해 연극역할 연습극의 수업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연극역할극 공연 후 평가방법과 내용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