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陸軍 尉官將校의 社會心理摘要因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影響

        박갑용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는 육군 위관장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으며, 기존의 연구들이 간과했던 사회섬리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군의 지휘통솔자 특성요소에 포함시킬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분석을 병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상무대지역 위관장교를 대상으로 339명을 설문조사하고 그 중 335부를 회수하였는데 불충분한 7부는 제외하고 328부의 설문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상무대 지역 위관장교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전·후방 각지역에서 다양한 직책을 경험하였고 소정의 교육과정을 목적으로 모여있기 때문에 설문조사시 표본 추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SP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 T-TEST, 분산분석등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위관장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심각한 편은 아니나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으며, 사회적 요인보다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더 많은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다. 특히 심리적 요인 중에서 유머감각정도요인이 높은 것은 군의 특성이 잘 고려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서는 종교관계요인과 경제적인 형편의 자동차보유관계 요인은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고 가족관계의 형제자매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상·하급자의 갈등 관계요인과 유머 감각정도 관계요인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성격유형관계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합적으로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갈등 관계, 경제적인 형편관계, 종교관계, 유머감각정도관계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계급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군 경험에 따라 줄어드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사회심리적 요인에 있어서는 대위급이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관계는 미혼장교가 기혼장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직책에 따른 관계는 스트레스 정도를 중대장과 대대급 참모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요인에 있어 유머감각관계는 부하 및 부대관리에 대한 책임감 이 있는 소·중대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병과에 대한 관계는 행정병과가 높으며 복무군분에 따른 관계에 있어서는 단기나 복무연장자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절 연구의 필요성에서 밝혔듯이 군 직무특성상 긴장과 경직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급장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개인 및 조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개인특성 위주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수 있다는데 중점을 두고 요인을 검증 하였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부대를 지휘 및 관리하면 전투력이 고양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위관장교들의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업무외적 사회적인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으므로 특히 종교관계와 경제적인 형편관계의 자동차 보유에 있어 관련성이 많으므로 이들 요인을 활용하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위관장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있어 심리적요인인 유머감각관계가 영향이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이를 지휘통솔자의 특성분야에 포함시켜 활용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추정과 대표성에 있어서 연구 대상자는 상무대에 근무 및 교육받고 있는 보병, 포병, 기계화, 공병 , 화학학교를 대상으로 전체 육군위관장교로 확대 해석한데 제한이 있다. 둘째. 사회심리적 요인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동적인 것이나, 시간적 차이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일 시점 조사에 그치고 말았다. This study was started with recognition of extent of which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junior rank Army officers cause their job stress. In order to deteymine requirements of military commanders by analysing the effects of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commanding officers that have been widely neglected so far I reviewed previous literatures regarding job stress caused by various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currently conducted a empirical study. For the survey I handed out questionnaire to the 339 officers below the rank of Major who were serving in Sangmudae and collected 335 of them, of which 7 were disposed and 328 were used in the study. I used SPSS statistics program to conduc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variance analysis, and examined the hypothesis with the results of these tests.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First, though in general the present stress levels of the each surveyed officers were not as serious as first expected they were detected consistently among them and the study suggested sociological factors were causing more stress than psychological factors. Second, with respect to relationship between sociological factors and job stress, it was concluded that while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ownership of automobile) did cause job stress, the factor regarding number of family members did not. Thir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job stress, while the discord with colleagues and the level of sense of humor caused job stress, personality variance did not. Forth, in conclusion, with respect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logical/psychological factors and job stress, what mattered turned out to be discord with colleagues, economic status, religion, and level of sense of humor. Finally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the level of stress tended to diminish along with length of service; Captain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an other rank officers; Single officers tended to get stressed more than married officers; Officers in company commander position and battalion staff positions tended to be more stressed by these factors than officers in other position; Level of sense of humor was more significant to the platoon and company commanders than to the non-commanding officers. Also, more stress was detected from the officers of administrative branch tan other branche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officer's service classification, the officers in sort term service and the officers applying for the longer term service tended to get more stressed. Despite the results demonstrated above, there wer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s far as statistical assumption and representation are concerne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officers taking advanced courses in the Army mobile infantry, artillery, mechanized, engineering and chemical schools. Second, the survey of job stress solely depended upon the questionnaires, thus like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failed to distinguish itself from others methodologically and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Third, effects of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concerned in this study in fact may evolve or change overtime, yet the study was conducted on single time point. Forth, for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provide explanations on the questionnaires prior to the individual survey, there remains a doubt whether the answers of the officers were seriously carried out. In conclusion, the study presents following points. First, as pointed out at the very beginning of this paper, the job stress of junior level officers in intense and stiff environment of military organization was thought to produce serious effects to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thus the study was conducted upon a view that various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an individual officer can be utilized to reduce his or her job stress level.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se factors, which deserve further attention in future stud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ommanders of Korea Army and utilized as catalyst of better communication and trust among the soldiers, which is essential element of improvement of war-fighting capability of the Force. Second, the stress of the officers below the rank of Major was largely caused by the factors outside the work therefore we can expect to reduce their stress level through various sociological factors. In particular, as suggested by the analysis of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factor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ovision of leisure time for these officers. Third,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level of sense of hum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job stress level of the junior rank officers and th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ed upon how this factor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t this point, I can suggest tha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rganization the importance of commanders’ sense of humor must be included in the training manual of command and control of Korea Army.

      •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가 심리적 요인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변유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81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가 심리적 요인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중년여성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기공을 활용한 프로그램들의 연구가 필요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가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기공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수도권에서 기공에 참여한 중년여성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12부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참여동기, 노화불안,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행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Cronbach’s α 값을 구하여 신뢰성을 구축하였다.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 노화불안, 자아정체감,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와 노화불안과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3단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Sobel Test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와 노화불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의 하위변수인 학습지향형 요인은 노화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의 하위변수인 학습지향형 요인은 자아정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와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공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학습지향형 요인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공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학습지향형 요인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년여성의 기공 참여동기가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습지향형 참여동기가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공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회복에 운동요법으로써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기공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공 프로그램에 학습지향을 촉진시키고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요인을 강화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psychological factors of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for qigong. Against the backdrop of arising need to study qigong programs as countermeasure against psychological problems of middle-aged women has arisen, this study aims at facilitating development of qigong program for psychological recovery of middle-aged women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qigong o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qigo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212 of the surveyed resul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Participation motivation, aging anxiety, self-identity, and resilienc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For exploratory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Then, reliability of the data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obtaining Cronbach's α value. Correlat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in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qigong, aging anxiety, self-identity, and resil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ap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Lastl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qigong and aging anxiety and self-identit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in which the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verifi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learning-oriented factors, a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qigo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aging anxiety of middle-aged women. Second, it was found that learning-oriented factors, a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qigo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identity of middle-aged women. Third,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learning-oriented factors,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qigong, on aging anxiety of middle-aged women. Fourth,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learning-oriented factors,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qigong, on self-identity of middle-aged women. In conclusion, through examining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qigong o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it was found that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factors and that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m. It implicates that qigong can function as exercise therapy aiming at psychological recovery of middle-aged women.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qigong on psychological recovery of middle-aged women,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promote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qigong programs as well as to enhance positive influence of resilience.

      • 무용전공자들의 심리적요인과 수업만족도와의 관계

        강희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98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들의 심리적 요인에 따라 수업만족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또한 심리적 요인과 수업만족도의 얼마나 많은 상관이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변인에 있어서는 심리적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수업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수집은 서울과 충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무용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였다. 표집방법은 단순무선 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서울과 충남지역에서 무용전공자 대학생으로 총 3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무용전공자의 심리적 요인과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전공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둘째, 가설검증은 상관관계분석과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각 가설의 유의 수준은 α= .05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전공특성(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에 따른 심리적요인에는 모든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전공특성(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에 따른 수업만족도에는 사회적만족과, 심리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체적만족과 교육적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심리적요인과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는 우선 1) 교육적만족도에서는 예민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불안성, 온정성, 정열성 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체적만족도에서는 예민성과 온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불안성, 정열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적만족도에서는 온정성, 불안성, 예민성, 정열성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심리적만족도에서는 온정성만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성, 정열성, 예민성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유한규 숙명여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97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들 중에서 심리적 요인들인 비합리적 자기기대 신념, 비합리적 타인배려 신념, 대인관계 신뢰, 자존감, 자기도피를 선택하여 비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느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또 비행을 여러 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서 어떤 심리적 요인이 각각의 비행 영역을 예측해 주는지를 보려고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원에 소재한 세 개의 보호관찰소에서 수강명령을 받은 비행청소년 185명과 서울 강남과 강서에 소재한 세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일반청소년 25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모두 여섯 개의 측정도구로서 Joe가 제작한 비합리적 신념 검사를 박재황이 번안 제작하고 여춘자가 선별 수정한 것을 비합리적 자기기대 신념과 비합리적 타인배려 신념 척도로 사용하였다. 대인관계 신뢰 척도로는 Rotter의 척도를 김향구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자존감 척도로는 Rosenberg의 자존감 질문지를 김문주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도피 척도는 Baumeister의 이론에 입각하여 신민섭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비행척도는 김하연의 것을 김정원이 수정한 것이다. 이들 중 예비조사를 통하여 문항이나 단어를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일반 청소년 집단과 비행 청소년 집단과의 비행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요인들 중에서 어떤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비행의 각 하위 영역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반청소년 집단과 비행청소년 집단은 비행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대인관계 신뢰, 자존심, 자기도피가 청소년 비행과 관계가 있는 요인임이 분석 결과 밝혀졌다. 그 중에서 대인관계 신뢰와 자기도피는 일반청소년 비행과 관계가 있고, 자존감과 자기도피는 비행청소년 비행과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셋째, 비행의 각 하위 영역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을 알아본 결과 불량행위 비행, 성관련 비행, 침해적 비행, 가족이탈적 비행, 집단폭력적 비행등 모든 비행은 자기도피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청소년에게는 대인관계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대안책이 필요하고, 비행청소년에게는 자존감을 높이는 대안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 the irrational belief of self-expectation, the irrational belief of others consideration, the reliance of personal relationships, the self-esteem, and the escape from self. The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which of these factors are most closely relevant to the juvenile delinquency in general, and, subsequently, which type of delinquency, e.g., misdeeds, violences, sexual offences, separation from family, mob-violences, is the most influenced by a given factor.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chosen 185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presently placed under probation in Seoul and Soowon areas, and 250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Kangam-gu and Kangsuh-gu, Seoul. Six kinds of measurement scales were employed : the scale of irrational self-expectation-belief and irrational others-consideration-belief which were originally been constructed by Joe, and later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by J.-H. Park and C.-J. Yeo, repectively; the scale of personal -relationship reliance by Rotter which were translated by H.-K. Kim; the scale of self-esteem, designed by Rosenberg and translated by M.-J. Kim; the scale of escape-from-self, constructed on the basis of Baumeister by M.-S. Shin; latent delinquency questionnaire designed by H.-Y. Kim and modified by J.-W. Kim.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all the related questionairs was appropriately modifi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the sample juvenile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means such as percentage, frequenc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s : (ⅰ) The juvenile delinquents are apparently higher than the normal juvenile in degree of delinquency. (ⅱ) The personal relationship reliance, the escape-from-self, and the self-esteem are the most related, among other psychological factors, to juvenile delinquency in general. Particularly, the juvenile deliquents are more heavily influenced by the escape-from-self and the self-esteem, while the normal juveniles by the personal relationship reliance and the escape-from-self. (ⅲ) It is, therefore, strongly suggested that a means should be taken to enhance the personal-relationship-reliance for the normal juveniles, the potential deliquents, and the self-esteem for the juvenile deliquents.

      • 여자프로 골프선수의 경기수준 별 체력적, 심리적 요인 비교 분석

        박금숙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96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프로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경기수준 간(1, 2, 3군) 체력적, 심리적 요인의 차이를 비교한 후, 체력적 및 심리적 요인과 경기력(경기결과)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 여자프로 골프협회에 가입되어 있는 1군 선수 103명, 2군 선수 103명, 3군 선수 107명, 총313명을 대상으로 경기수준 간 체력적 요인(근력, 유연성, 평형성)과 심리적 요인(심리기술, 경쟁불안상태)의 차이와 경기력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기수준 간 체력적 요인 중 배근력에서 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1군이 2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성에서는 앉아몸통 우측 회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2군, 3군이 1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서몸통 우측 회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3군이 1군, 2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쪽 고관절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1군이 3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에서는 스틱 테스트와 직선보행검사 모두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경기수준 간 심리기술에 대한 내용 중 목표설정 및 정신준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2군이 3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 불안에서는 인지불안에 대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1군이 3군보다 유의하게 낯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경기력과 체력적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평형성 요인이 좌측외발서기의 기록이 높을수록, 그리고 동적 평형성 요인인 후행 직선보행검사의 편차가 적을수록 경기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경기력과 심리기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성조절, 위기관리, 목표설정, 및 정신준비, 주위집중, 걱정의 점수가 높을수록 경기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관관계가 강하지는 않았다. 경쟁상태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불안, 신체적 불안, 상태 자신감의 점수가 높을수록 경기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관관계가 강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여자프로 골프선수의 체력적,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여러 변인 중 전술한 일부 변인에서 경기수준 간 및 경기력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performance and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factor, after comparison between differences of game level(the first-degree, second-degree, third-degree) and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factor in female professional golfers. One hundred-three the first-degree female professional golfers, one hundred-three the second-degree female professional golfers, and one hundred-seven the third-degree female professional golfers participated for the stud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it was found out that the first-degre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back strength than second-degre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flexibility among the groups. However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alance among the groups. 2.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grade of goal establishment and mind preparation among the groups.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grade of cognitive unrest, the first-degree group showed significantly a lower cognitive unrest than third-degree group. 3. It was found ou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of game and physical fitness factor, especially the stork stand and rectilineal walking examination are concerned in ability of game. 4. It was found ou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of game and psychological factor, the grade of arousal control, crisis management, goal establishment and mind preparation, attention, anxiety are concerned in ability of game.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mpetitive state anxiety. It was concluded that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athletic performance and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factor in female professional golfers.

      • 창업지원정책과 심리적요인이 창업의지를 매개로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에 참여한 청년창업가 중심으로

        박세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83

        본 연구는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의 창업자금지원, 창업교육지원 그리고 창업자의 심리적요인인 사업실패부담감,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를 매개로 창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특별히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부의 정책 중 창업과 관련된 핵심 부처라 할 수 있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에 참여한 청년창업가를 70명을 대상으로 검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자금, 교육, 시설, 금융 등의 정책 중에 창업의 구성요소인 창업자, 자금, 아이디에 가장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라 판단되는 창업자금지원과 창업교육으로 한정했다. 그리고 창업을 하고자 하는 구체적 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창업자의 사업실패부담감과 자기효능감의 심리적요인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알아본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에 창여했던 청년 창업자에게 창업자금지원과 자기효능감은 창업 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창업교육지원과 사업실패부담감은 영향력이 작았다. 둘째, 이미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에 창여했던 청년 창업자에게 창업자금지원, 창업교육지원, 사업실패부담감,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았다. 하지만 이미 창업한 창업자에게 조차 창업자금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창업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비춰보아 창업자금지원과 자기효능감은 창업자의 창업결정에도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창업자금지원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의 다양성과 개발은 정부가 기대하는 창업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근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종별 근로여건과 사회심리적 요인의 비교 및 모형 개발

        채우리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80

        근로만족도는 업무의 질과 직장동료, 가족 구성원에게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노동자의 직업특성 및 사회·심리적인 요인 등 근로여건에 관련된 개인적인 요인들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각 요인들이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나 그로 인한 직무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근로여건과 사회심리적 요인이 근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계도를 모형으로 개발하여 각 요인이 직무열의에 매개한 근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17년도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를 대상으로 근로여건과 사회심리적 요인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요인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업군 별 경로모형을 도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근로여건, 사회심리적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근로환경 만족도, 직무열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왜도와 첨도를 통해 정규성 가정 충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근로여건, 사회심리적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근로환경 만족도, 직무열의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 요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사무직 종사자의 사무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일-생활 밸런스가 좋을수록, 일-생활 불균형이 낮을수록, 직무환경이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따라서 상기 요인이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근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무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적고, 일-생활 밸런스가 높으며, 일-생활 불균형이 낮고, 직무환경이 좋으며, 우울감이 낮음으로써 직무열의가 높아지고, 직무열의가 높아짐으로써 직업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생산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많을수록, 일-생활 밸런스가 좋을수록, 일-생활 불균형이 낮을수록, 직무환경이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많고, 일-생활 밸런스가 높으며, 일-생활 불균형이 낮고, 직무환경이 좋으며, 우울감이 낮음으로써 직무열의가 높아지고, 직무열의가 높아짐으로써 직업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각 직종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직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각 직종에 대한 근로환경 및 직무열의 개선으로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소비자의 화훼 상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유한나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79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화훼 상품 구매 행동의 일부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 및 화훼 소비시장 활성화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심리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화훼 상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은 하위 변수로 유행지향형, 절약지향형, 여가지향형, 사회지향형, 가족지향형 요인을 제시하였으며, 심리적 요인의 하위 변수는 인지적 동기, 정서적 동기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표본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화훼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206부의 최종자료를 활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고 통계적인 실증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 Win Ver. 21.0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요인 및 심리적 요인과 구매만족도 및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하고, 구매만족도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하였다. 이들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심리적 요인이 화훼 상품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요인의 인지적 동기 요인, 정서적 동기 요인이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심리적 요인이 화훼 상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중 유행지향형, 사회지향형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절약지향형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심리적 요인 중 인지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 요인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훼 상품 구매만족과 화훼 상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매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화훼 상품에 대한 구매만족도와 구매행동에 대해 개인적 특성이 반영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요인과 내적 동기가 포함된 심리적 변수를 강조하여 변수 사이의 영향 관계를 학문적으로 재 증명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연구가 그리 많지 않은 것을 미루어 보아 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화훼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과 아름다움, 상징적 의미에 더불어 기능적 특징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및 정서적 동기가 강해질수록 소비자의 화훼 상품 구매만족도와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한 점은, 화훼매장에서 고객 유치와 매출 증대를 위한 방향성 및 판매 촉진 마케팅전략 구사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모션테이핑이 어깨 충돌 증후군이 있는 중장년 여성의 근육, 통증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영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therapeutic effect appears when motion taping is applied to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on middle-aged women.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muscle, pain,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the application of motion taping for 8 weeks to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Muscle activity, muscle tone, and stiffness were measured for muscle,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measured for depression scal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46.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in the control group. Selection criteria were: the ones diagnosed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by a specialist, middle-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less than 60, the ones with pain of VAS 4 or more, the ones with shoulder pain lasting for more than 3 months, and having two or more positive tests in a special test. Those who had neurological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rather than musculoskeletal problems and those whose shoulder joint problems were diagnosed as diseases, not implemented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were excluded. Rdgarding physical factors, muscle measurements were measured using an electromyography device to measure muscle activity, and muscle tone and stiffness were measured using a Myoton pro device. Changes in pain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short 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Regarding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scal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s a tool used for the depression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Scale test questionnaire tool was used. For self-esteem, the self-esteem measurement questionnaire tool was used, and for the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 factor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shortened questionnaire tool. In the intervention through motion taping, therapeutic intervention (physical therapy) was applied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o the experimental group, motion taping was applied using elastic tape after physical therapy was applied. Motion taping was applied to muscles by examining motions that are more restricted in paired movements such as flexion and extension of joints through joint range of motion (ROM) testing. When attaching the tape, the length was not stretched, The body was attached in a relaxed state. The values pre and post interv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measure muscle activity, muscle tone, stiffness, pain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each group. For this, a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And the change value pre and post interventio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muscle chang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Both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ase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muscle activit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ltoid muscl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the trapezius shoul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ton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change valu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iffnes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pai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all of the sensory items, emotional items, pain grades, and pain intensity (p<.05).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nsory and qualitative item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grade and pain intensity. As for the change of psychological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ression scal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ression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5). Through this study, motion taping gave positive changes to the improvement of muscles and pain in the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group,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helping them live a better life. Such motion taping can be widely applied as a very effective and good intervention method for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본 연구의 목적은 40대 이후 중장년 여성들에게 급격히 늘어나는 어깨질환 중 어깨 충돌 증후군을 대상으로 하여 모션테이핑을 적용하였을 때 치료적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려 실시하였다. 어깨 충돌 증후군이 있는 40~50대 중장년 여성에게 8주간 모션테이핑 적용이 근육, 통증, 심리적 요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근육은 근활성도, 근긴장도, 근경직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 요인은 우울척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어깨 충돌 증후군이 있는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수는 총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23명은 실험군으로, 23명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선정기준은 전문의에 의해 어깨 충돌 증후군 진단을 받은 자,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 여성, 통증이 VAS 4이상인 자, 어깨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된 자, 특수검사에서 2개 이상의 양성반응을 보이는 자로 하였다. 근골격계 문제가 아닌 중추신경계에 대한 신경학적 질환을 가진 자와 어깨 관절의 문제가 어깨 충돌 증후군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진단된 자는 제외하였다. 신체적 요인에서 근육 측정은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실행하였고, 근긴장도와 근경직도는 Myoton pro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통증은 한국형 단축 맥길 통증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심리적 요인은 우울척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로 측정하였다. 우울척도에 사용한 도구는 한국판 우울 척도 검사 설문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 측정 설문도구를, 삶의 질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심리적 요인을 측정하였다. 모션테이핑을 통한 중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치료적 중재(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에는 물리치료 적용 후 탄력테이프를 이용하여 모션테이핑을 적용하였다. 모션테이핑 적용 방법은 관절가동범위(ROM) 검사를 통해 관절의 굽힘과 폄과 같은 짝이 되는 움직임 더 많이 제한되는 동작을 검사하여 움직임에 더 제한되는 근육에 부착하는 것으로 테이프 부착 시 테이프 길이는 늘리지 않고, 신체는 이완시킨 상태에서 부착하였다. 집단 별 근활성도, 근긴장도, 근경직도, 통증 및 심리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중재 전과 후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후 변화값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중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육의 변화에서 근활성도는 위 등세모근과 앞톱니근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중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아래 등세모근의 경우 두 집단 모두 근활성도의 증가가 나타났고, 유의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어깨세모근은 실험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깨세모근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근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위 등세모근, 아래 등세모근, 앞톱니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긴장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중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하지만, 두 집단 간 중재 변화값에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경직도는 실험군은 중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통증의 경우 감각항목, 정서항목, 통증등급, 통증강도 모두에서 중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감각항목, 정성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통증등급, 통증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적 요인의 변화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중재에 따라 우울척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우울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자아존중감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중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삶의 질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중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해 모션테이핑은 어깨 충돌 증훈군의 근육과 통증의 개선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고, 이는 결국 중장년 여성 어깨 충돌 증후군 환자의 심리적 요인에 긍적적으로도 영향을 미쳐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션테이핑은 어깨 충돌 증후군을 가진 중장년 여성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좋은 중재방법으로 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제조업 사업장 사무직 남성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김연이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사업장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요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D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남성 근로자 35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직업관련 특성에서는 직위가 낮을수록,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주당 잔업시간이 길수록, 질병으로 인한 결근횟수가 많을수록, 건강관련행위 특성에서는 흡연군, 음주군,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 여가시간 없다는 군, 외래진료를 받은 적이 있다는 군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특히 사회심리적 요인에서는 A형 행동유형이 높을수록, 자기존중감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job stress of white-collar male workers working in manufacturing industries. During the period from May 1 to June 30, 2019, a survey of 358 white-collar male worker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workshop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anonymous self-report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increased job stress of male workers in manufacturing workplaces is characterized by low subjective health levels, low education levels, low job titles, low work experience and working hours per week, absentee groups, smoking groups and drinking. Occupational stress increased in the outpatient treatment group, the sleep deprived group, and the lack of leisure group. In particular, in psychosocial factors, the higher the Type A behavior type and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job stress was selected as a significant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