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리 교과목 기피원인과 극복 방안

        박세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생들이 어렵게 느끼는 물리교과 선택 기피 현상의 원인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물리교과는 현대의 기술문명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배우는 물리교과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학생들이 물리교과 선택 기피의 원인으로는 첫째, 기존의 교육방법이 개념전달 위주의 교수-학습 방법이어서 학생들에게는 물리가 어려운 교과목으로 인식 되어있고, 둘째, 대학 입시 제도상 물리교과에서는 높은 등급을 받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셋째, 물리교과는 과정중심의 교육이 아닌 내용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다양한 교수 학습 방식의 개발하여 학생들이 물리교과를 흥미롭고 재미있는 교과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게 교사들이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며, 물리교과와 관련된 진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물리교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꿔야 할 것이다. 또한, 각 대학에 학생 선발의 자율권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고교 교육의 정상화를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한다. Science and technology play a key role in every field, having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ety, economy, and education of a country. Nevertheless, many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have avoided selecting physics among other science subjects, which may lead to shortage of qualified brains and problem solvers in near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system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ith regard to reasons for physics avoidance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situations: Despite the importance of phys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awareness of many students toward physics is not so positive. One of the reasons to avoid selecting physics is that, firstly, a current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s merely focused on concept delivery made students physics as a hard subject to understand. Secondly, physics is not a subject that students can get a high grade rather easily than any other subjects at the National Entrance Examination. Finally, students feel physics difficult because teaching method of physics is not content-centered, but process-centered. As a strategy for improvement, 1)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help students perceive physics as interesting and fun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2) autonomy to select student should be given to universities, which in turn may serve to normalize high school education, and 3) career choices related to physics should be presented so that students will change their negative attitude toward physics.

      • 20~30대 1인 가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박세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인 가구를 하나의 담론적 구성물로 전제하고, 다양한 담론 하에서 1인 가구 주체가 구성되는 사회 요인들을 밝히고자 했다. 가족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구성물이며, 가족이 담당하고 있는 사회 재생산을 비롯한 여러 역할들을 둘러싸고 다양한 세력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하나의 장(場)이라고 볼 때, 1인 가구 역시 가족이 변화해나가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소비자로 간주되어온 1인 가구를 하나의 담론적 주체로 보기 위한 시도이다. 기존 연구들은 1인 가구를 하나의 소비 주체로 상정하고 실용적 측면에서 1인 가구의 소비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 문화 현상을 탐색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1인 가구는 외부적으로는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개인화의 확대가 가족의 영역까지 확대되는 현상임과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한국 사회의 가족의 변동과 관련한 역사적 특수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의 의미 변화를 탐색하고 언론의 1인 가구에 대한 담론의 성격을 한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그 변화 과정을 추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인 가구 증가를 추동한 한국 사회 역사적 요인들, 그 중에서도 1인 가구 담론 형성의 중심에는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세력들의 의미투쟁관계와 신자유주의가 가져온 시장의 확대가 긴밀히 관련되어 있음에 주목했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의 확대는 가족 내부의 구성원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생활의 영역까지 시장의 범위로 편입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소비문화는 1인 가구의 담론을 그들의 삶의 영역을 ‘라이프 스타일’로 치환해 시장에 의존하는 경향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의 근저에는 본 연구가 지향하는 1인 가구의 담론 성격의 요인을 설명하는 목적을 둔다. 특히 언론이 담당하는 담론 형성 기능과 그 영향력에 바탕을 두고, 궁극적으로는 1인 가구에 대한 담론을 만들어 나가는 데에 관한 언론의 역할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언론의 1인 가구 담론이 변화하는 시기는 한국 사회의 주요 사회 이슈와 변화 기점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IMF 경제위기 이후부터 2000년대 중반은 ‘가족주의담론’이 우세했으며, 2000년대 중후반부터 현재까지는 ‘소비담론’이 비교적 우세했다. 전통적 가족 체계가 변화해 나가는 시점에서 신자유주의가 가져온 시장의 확대, 이로 인한 소비 문화의 확장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1인 가구 담론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 문제적 대상으로 여겨졌던 1인 가구는 새로운 신세대의 문화 현상을 주도하는 긍정적 주체로 자리잡았지만 한편으로는 1인 가구를 새로운 소비주체로 등장시킨 사회적 맥락과 맞물려 등장했다. 소비시장은 시장의 논리와 마케팅의 매커니즘들에 의해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을 소비상품으로 만들어내고 1인 가구는 점차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 ‘라이프스타일화’ 되어가는 모습을 포착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라 각기 다른 담론이 경합하는 양상을 통해 한국 사회의 1인 가구에 대한 담론은 각 시기별로 사회적 변화에 의거해 상이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담론의 흐름은 단선적인 흐름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담론이 정파성과 사회 이슈에 따라 대항담론이 등장하고 각 담론이 서로 경합하는 지점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는 주요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가족제도를 둘러싼 언론에서 보도된 담론의 양상으로 미루어볼 때 여전히 한국사회에서 혼자 사는 것은 그 자체로 하나의 가구로 인정받기보다 ‘가족주의적’ 시선에서 가족을 구성하지 못한 결여된 존재 혹은 소비 주체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1인 가구 그 자체를 하나의 ‘가구’로 인정하는 것은 점차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출발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1인 가구를 가족 변화의 과정 안에서 논하는 것은 특정 제도 안에 가족을 가두지 않고 민주적 가족관계로 나아가는 것을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언론 역시 1인 가구 역시 그 자체로 하나의 '가구'로써 이들이 겪고 있을 문제를 진단하고 대응하는 방법, 즉 가족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 컨테이너 터미널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건 및 컨테이너 속성 생성 방법

        박세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urnaround time of ship operations is one of major factors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a container terminal. It is very important procedures to check the quality of a ship operation plan because the ship operation plan give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rvice time of the ship. This study deals with a method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a ship operation plan by using simulation. A procedure of the simulation is proposed. For the simulation of future progress of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vents and containers to handle to the simulation system. This thesis discusses how to generate the number of containers, positions and attributes of the containers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of the corresponding container terminal. For forecasting the attributes of containers, relationships among attributes of containers are analyzed.

      •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현실태와 개선-발전방향

        박세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dvances in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have brought much material affluence to our age, but also generated complicate environmental issues in accordance with those progresses. The resolution of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requires a new harmony of nature and human beings as well as knowledge and education on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urrent feature and developmental progr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ies, and to analyze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the components of science major of the 7th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i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established to date, the aim and contents of a new trend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experiential environmental program and use of internet) were studi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were address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cience major of the 7th education course showed that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the aspect of natural environments comprised the highest portion of the contents. The major learning metho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role-play, learning with field experience, drama, game, and utilization of Internet for education. The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ed implementation of experiential environmental programs with the help of environment experts in the field, develop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sites near schools, changes in way of thinking of institu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gal constitu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n which citizen unions can freely participate, and foundation of cyber graduate schools on environments. 과학기술과 경제의 발전은 우리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으나 이에 따른 복잡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는 자연과 인간 사이의 새로운 조화를 필요로 하며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식과 환경교육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와 외국의 환경교육현황과 발전과정을 비교해 보고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목 내용에서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정립된 환경교육의 이론을 토대로 최근 강조되는 새로운 환경교육 (체험환경프로그램과 인터넷을 이용)의 목표와 내용을 연구하고 이들의 연계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목을 분석한 결과, 환경교육은 자연환경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이 가장 많았다. 환경교육을 위한 주요 학습방법에는 역할놀이, 현장체험학습, 드라마, 게임,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환경교육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해당분야의 환경전문가와 함께 체험환경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학교 인근의 체험학습장을 개발하는 방법, 교육행정을 집행하는 기관의 의식변화, 환경교육추진법 제정,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사이버환경대학원의 신설 등을 제안한다.

      • NCS능력단위요소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취득을 통한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 연구

        박세진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메이크업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270명을 대상으로 NCS능력단위요소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취득을 통해 국가자격증 실기과제의 현장활용성과 국가자격증 취득이 국가자격증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능력단위요소에 따른 실기과제 연구결과 현장활용성은 메이크업샵 안전위생관리와 시대메이크업, 뷰티메이크업 순으로 높게 나타나 국가자격증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p<0.001). 국가자격증 취득실태의 NCS능력단위요소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자격증이 국가자격증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수행능력 전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1). 하지만 일반적 특성과 취득실태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수행능력에 비해 만족도가 다소 낮은 점이 확인되었고, 국가자격증인식이 실기과제의 현장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기초 메이크업과 캐릭터메이크업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과제인식이 시스템인식보다 현저히 낮은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국가자격증인식이 국가자격증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결과에서도 자기효능감을 제외한 2개의 요인에서 실기과제의 내용이 시스템보다 낮은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NCS능력단위요소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자격증의 개선을 통해 국가자격증 취득 후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효율적으로 보완 및 재구성하여 메이크업 자격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구시 어린이집 학부모의 식품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도와 활용도 조사

        박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or the nutrition labeling by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hen purchase their children's snacks. The subjects were four hundreds parents who have three to six year-old child attending daycare center in Daegu. This study was surveyed by self-recording questionnaire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working mother, the most frequency of snacks for their children was more than two times a day(p<0.05) and the most favorite way to prepare 누차 was "purchasing" at the stores(p<0.01). Among the informations on the Food Labeling of the processed foods, the most highly awared information by the subjects were "expiration date" and "manufacturing date". In terms of Nutrition Labeling,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subjects, the higher recognition on the nutrient information such as protein(p<0.01), cholesterol(p<0.01), sodium and calcium(p<0.05). The most frequent acquisition route for the information on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was "learning by themselves". The highest reason for checking the Food Labeling by the subjects was "to confirm the foods safety" and "to confirm the expiration date"(p<0.05). The subjects responded that "expiration date", "ingredient name and content", and "composition of nutrients" are most important in Food Labeling, and "total calories", "trans fat", and "sodium"are most interesting items in Nutrition Labeling.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Food Nutrition Labeling, 54.9% of the subjects answered "strongly necessary", however, reliance for the information on Food Nutrition Labeling and satisfaction for them was answered highest in "average". The utilization of the Labeling system was not proportional to the recognition for them. From the results of this survey, it has been shown that daycare center parents have much interest in Nutrition Labeling system, therefore a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 labeling system by consumers. Furthermore, the labeling must be reconstructed to help consumer's understand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food safety and nutrition. 본 연구는 대구시 일부지역 3~6세 영유아를 자녀로 둔 어린이집 학부모를 대상으로 식품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지 정도와 유아기 자녀를 위한 간식 구입에 있어서 이의 활용도 현황을 조사하여 영유아기 아동의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위한 학부모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1월 7일부터 2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대구광역시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어린이집 2~6세 영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인 학부모의 인원은 총 286명으로 남성 17명(5.9%), 여성 269명(94.1%)이었으며 학력은 고졸이하 49명(17.1%), 대졸이상 237명(82.9%)이었으며 직업 유무는 무직(주부) 184명(64.3%), 유직업 82명(35.7%)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자녀는 총 286명 중 남아 182명(63.6%), 여아 104명(36.4%)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3세~6세였다. 자녀들의 BMI 분포는 저체중 6.3%, 정상체중이 72.9%, 과체중이 12.6%, 비만이 8.2%로 정상 이외의 체중이 약 27%로 나타났다. 직업 있는 경우 하루 2회 이상의 간식 구입횟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간식을 구입해서 먹이는 경우도 높게 나타났다(p<0.01). 간식 구입 시 건강의 유익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간식 구입 시 과일·과일주스, 우유·유제품 등 신선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 정보는 유통기한, 제조연월일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성분 정보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단백질(p<0.01), 콜레스테롤(p<0.01), 나트륨과 칼슘(p<0.05)에 대한 내용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와 영양성분 정보에 대한 습득경로는 식품포장지를 보고 스스로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식 구입 시 식품표시 정보 확인 이유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안전성’과 ‘유통기한 확인을 위함이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p<0.05). 식품표시 정보 중 유통기한, 원재료명 및 함량, 영양성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영양성분 내용 중 총열량, 트랜스지방, 나트륨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식품 영양표시의 필요성은 ‘매우 필요하다’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영양표시 정보 내용의 신뢰도와 영양표시제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영양표시의 필요성에 비해 신뢰도와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식 구입 시 식품표시에서 유통기한, 원재료명 및 함량, 영양성분을 주로 확인하였으며 영양정보를 얻는 것 보다 식품 안전성에 치중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영양성분 정보는 총열량, 트랜스지방, 나트륨을 많이 확인하고 있으며 영양성분 정보를 통해 영양소 함량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식품표시와 영양성분 정보에 대한 인식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활용도는 인식도에 비례할 만큼 높지 않았다. ‘식품포장지를 보고 스스로 알았다’와 ‘TV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가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실시되고 있는 영양표시제가 무의미해지지 않도록 영양표시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영양교육 리플렛과 홍보 영상 자료를 개발하고 어린이집 영양사에게 배포한 후 학부모에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기초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양표시 정보와 신뢰도 회복을 위한 영양표시제 인식 제고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모든 가공식품에 영양표시를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정보제공과 알권리, 선택할 권리를 보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궁중연향음식문화에 나타난 떡(餠)의 위상에 관한 연구 : 고종(高宗)대 연향의궤(宴享儀軌)를 중심으로

        박세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Focusing on the fact that Tteok(Korean rice cake) has been traditionally developed and used in every event, ceremony, and rite in Korean history and food culture, this thesis was conducted to see the significance and the rank of Tteok in Korean culture and the royal feast cuisine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through Yeonhyang Uigwe -a collection of the royal protocols which recorded and prescribed the important ceremonies and rites of royal feast through texts and stylized illustrations - of the Gojong er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focused on considering how to use Tteok on the royal feast table in contrast to other foods. The contents starts from examin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teok. Tteok has been developed in a various and characteristic way of Korea as one of rice producing countri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shows the special cultural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teok in Korean culture. In addition, the readers could see the sacredness and effect of Tteok given in daily life as well as special events or ceremonies. More than all, Tteok culture reached its peak in Joseon dynasty in full flourish within royal and noble families. Moreover, while Korean history has changed and developed over diverse and numerous dynasties, the culture of the royal court was continuously inherited throughout the changes in dynasties. Especially, the Joseon dynasty fundamentally developed royalty and nobility stressed courtesy in Sung Confucianism, the doctrines of Chu-tz, and Tteok was influenced by this as well. Therefore, we could see the essence of the Joseon food culture through the royal feast, the most magnificent ceremony. Of course, there was active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royalty and nobility with valuable ways for spreading noble culture to democratic culture. After all, the royal food culture was on representative of the whole Joseon food culture.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rank of Tteok, a very important food of Korean tradition, through the records of Yeonghyang Uigwe, specially written in Gojong er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o investigate how it was used in the royal feast. On the feast table, Tteok had the most varieties among the food served. Though the denomination or assortment of Tteok has been changing a bit with the times, more plates for Tteok were always served than those of other foods. Furthermore each plate of Tteok consisted of a diverse variety of Tteok, while other foods were served alone on each plate. Moreover, the part for 'Food' section in the Uigwe always starts from the record about Tteok. Additionally Tteok was always the first food recorded in the beginning of the feast food records. First, Tteok was located in centre of every feast table. Especially, on a round table, the only plate for Tteok on a round table was placed on the very heart of the circle decorated with Suparyeon, the most beautiful and high ranked paper flower to decorate foods. Considering the rank of Suparyeon, we coul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food decorated with Suparyeon was not to be on the same level with other food decorated with other smaller flowers. Second, Tteok was one of the foods that was stacked high among the various foods prepared on the table, which symbolized dominant power and authority; the higher a food was piled up, the higher the rank of food was considered to be. For example, at Oeyeon, the feast for men, Tteok was piled up on a plate with by far the highest height in contrast to other foods. As piling foods up high symbolizes dominant power and authority, the more foods laid high, the more rank of foods high. This study wass focused on the rank of Tteok as the important cultural food of Korea in the royal feast cuisine.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examine all the Yeonhyang Uigwe of Joseon dynasty, thus only with ones compiled in Gojong era were examined. Besides, there could be limitations in inspecting the meaning of Tteok in Korean food culture with only examining the royal feast cuisine. Therefore, a profound study to observe other Uigwe edited before Gojong era and for other events is suggested. Moreover,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amine whether if different plates for Tteok can be used with other foods or not and it could be the conclusive evidence to explicati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eight of food piled up and the rank of food. 본 연구는 우리 음식 문화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고수하며 발전해 온 떡이 여러 중요한 행사나 의식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서 떡의 의미와 조선왕조 연향 상차림에서 떡이 가지는 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 고종대의 연향의궤를 통하여 떡이 어떤 식으로 상차림에 오르고 있는지를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음식 문화에서 다른 음식에 비해 떡이 중시되어 온 현황을 밝히면서 떡이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논의의 전개는 농경의 시작과 함께 발달하게 된 떡의 기원과 시기에 따른 발달과정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쌀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발달해 온 떡이지만 그 중에서도 독자적이고 가장 다양하게 떡 문화를 발전시켜 온 한국 떡 문화의 특징을 정리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한국에서 떡이라는 음식이 가지는 독특한 문화적 의미와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특별한 행사나 의식 등에서도 떡에 부여했던 신성성 등의 의미까지를 확장해서 확인해 보았다. 이렇게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발전해 온 떡은 궁중과 반가음식 위주로 발전해 온 조선왕조에 가장 다양화되었고 발달할 수 있었다. 한국의 역사가 고조선부터 시작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 발전해왔지만 궁중의 문화는 왕조가 바뀌면서도 계승을 해 왔으므로 이전 왕조의 것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시대적인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떡의 종류 역시 탄생했기 때문이다. 특히, 조선왕조의 경우 성리학의 영향으로 의례를 중시함에 따라 궁중과 사대부가를 중심으로 문화가 발전해왔고, 떡 역시 이러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례 중 가장 화려했던 궁중연향의 상차림은 고급화된 조선왕조의 음식문화의 최고 정수를 보여준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궁중과 반가의 활발한 문화교류와 반가의 문화 역시 서민의 문화에 확산되는 제도적인 장치가 있었기에 궁중의 음식문화는 조선왕조를 대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의 연향에 대한 그 전후의 모든 과정 및 특이사항들을 기록한 궁중연향의궤를 통해 한국인에게 의미가 깊은 음식인 떡이 어떻게 궁중잔치에서 이용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떡의 위상을 찾고자 하였다. 연향의 상차림에서 우선 가장 많은 종류가 올랐던 찬품은 단연 떡이었다. 시대별로 약간씩 그 명칭이나 종류의 차이는 있었으나 항상 다른 찬품들에 비해 떡은 여러 그릇이 올랐으며 한 그릇에 한 종류만의 떡이 오른 것이 아니라, 그릇 하나에도 다양한 종류의 떡이 일정한 법칙에 의해 고여졌다. 또한 의궤의 찬품조의 처음은 언제나 떡으로 기록이 시작되고 있으며, 어떠한 연향의 상차림에서도 가장 먼저 기록된 음식은 떡이었다. 떡은 항상 상차림의 중심부분에 위치하였고, 가장 높이 고인 음식 중 하나였다. 특히 원반에서는 원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에 떡이라는 하나의 찬품이 놓였고, 수파련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수파련은 음식을 장식하는 상화 중에서 가장 격이 높은 꽃이었다. 상차림의 중심에 가장 높게 고인 음식에 가장 격이 높은 상화로 화려하고 아름답게 장식했던 음식이라면 그만큼 궁중연향 상차림에서 위계가 높은 음식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차림에 이용된 떡의 종류, 상에 놓이는 위치, 고임 높이, 상화와의 관계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궁중연향 상차림 중 떡은 다른 찬품들에 비해 상당히 비중 있는 찬품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궁중 연회의 상차림에서 떡이 가지는 중요한 위상을 밝혀보고자 하였으나, 모든 연향의궤를 다룰 수는 없었기에 고종대의 연향의궤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궁중 연향만을 놓고 조선왕조, 또 한국의 음식문화에서 떡이 가지는 의미를 조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이후에 지속될 떡 문화의 연구에서는 고종대 이전 왕들의 시대에 기록된 의궤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며, 잔치에서 실제로 떡에 이용된 기용이 다른 찬품들을 올렸던 기용과 차이가 있었는지의 여부도 살펴보아 확실한 떡의 고임 높이와 위상과의 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다양한 시대별, 종류별 의궤를 통해서도 떡과 다른 찬품들과의 관계와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차이점이 심도 있게 탐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