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명윤리교육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생명윤리교육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적용방향을 제시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생명윤리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생명윤리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2. 생명윤리교육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소재하고 있는 병설유치원의 만 5세로, 실험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6명 총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김귀순(2002)과 배용철(2003)이 사용한 생명존중태도에 관한 질문지를 기초로 이희옥(2005)이 유아 수준에 맞도록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도구는 생명존중태도 영역에는 ‘동물들은 꽃과 나무와 같이 살아야 합니다.’등의 8문항, 생명존중지식 영역에는 ‘꽃과 나무도 밤에 잠을 잡니다.’등의 8문항, 생명존중행동 영역에는 ‘나는 길가에 예쁜 꽃이 있으면 꺾어서 집으로 가지고 갑니다,’등의 8문항이다. 작성된 질문지는 유아교육 전문가(교수1인, 유치원 원장 2인, 교사 5인, 박사과정 1인)의 자문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이 측정도구는 3개의 하위영역인 생명존중태도(8문항), 생명존중지식(8문항), 생명존중행동(8문항) 총 24개의 질문지로 구성되어있다. 생명윤리교육의 내용은 박지영(2005), 강두호(2012)등이 제시한 생명존중윤리영역, 생명의료윤리영역, 생명공학윤리영역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의 만 5세 유아의 발달수준, 흥미와 요구를 고려하여 생명, 존중, 태도 중심의 통합적 활동으로 생활 속에서 생명과 관련한 상황을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주요 학습 방법으로는 이야기하기, 사례기반학습, 토론법, 역할놀이이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료의 부호화 과정을 거친 후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 결과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동질집단이 아니었으므로, 이에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생명윤리교육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보다 생명존중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생명존중인식 하위변인인 생명존중태도, 생명존중지식, 생명존중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생명윤리교육은 유아의 생명존중태도를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명윤리교육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생명윤리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잘 살아가는가’의 문제이고 이것은 곧 ‘죽음을 어떻게 준비하는가’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 죽음의 문제는 곧 삶의 문제이며 죽음에 대한 생각은 행복한 삶에 대한 생각인 것이다. 이것은 생명 윤리 교육으로서 중요한 부분이다. 신의 고유 영역이었던 죽음의 문제가 인간 의 선택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되기 시작하였다. 이 문제는 도덕교육과 관련성이 깊고 생명 윤리 교육으로서 유의미하다. 본 연구는 생명 윤리 교육의 주제 중 하나인 안락사 문제를 2009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의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락사의 의미를 제시하고 자의적, 반자의적, 비자의적, 적극적, 소극적 안락사로 분류하였다. 안락사에 대한 정의나 분류는 학자들마다 상이한 견해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쟁점 사안이고, 우리 생애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러한 안락사를 윤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중효과의 원리, 미끄러운 경사길 논변,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에 대하여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세 가지 관점은 안락사 찬반논쟁의 어느 한 쪽의 근거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안락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런 관점에서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제시된 안락사 문제를 목표의 명료성, 내용의 적합성, 구성의 타당성, 내용의 정확성 및 공정성, 발달 단계의 적합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안락사 교육 내용에 대한 제언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안락사에 대한 통합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지적 접근에 그치지 않고 정의적, 행동적 영역까지 통합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지역 사회와 연계된 봉사활동학습과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는 교육은 통합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안락사 교육에 필요한 내용 요소를 충실하게 갖추어야 한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 죽음의 의미, 안락사의 의미와 분류, 현대 사회의 안락사 문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평가, 안락사에 대한 자신의 의견의 내용이 적절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논술과 토론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논술과 면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교과 당위성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신문 활용 교육 등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이용하면 보다 교육적일 것이다. 넷째, 자기 주도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탐구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생전 유언 작성, 역할 채택 등의 다양한 탐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다양한 자료들이 효과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락사 교육 정책에 대한 제언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를 대상으로 교과서 평가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개발 과정에 교사, 학생, 시민들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 등의 안락사와 관련된 학습 자료를 다양한 개발하여 보급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넷째,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실시할 수 있는 봉사 활동 학습의 활성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 선발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로 교과서 평가를 추가하고 안락사와 관련된 생명윤리 분야의 요소를 강화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생명 윤리 교육에서의 안락사 문제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검정교과서 체제에서의 교과서 개발 및 활용에 기여하여 보다 발전적인 도덕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이렇게 안락사와 관련된 생명윤리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은 인간의 삶이 얼마나 고귀한 것인지에 대하여 교육하는 것과도 같다. 안락사 문제는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중요하고 의미 있는 요소이므로, 교육현장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이필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학교폭력, 자살 등 최근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생명경시현상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게 한다. 그리고 생물공학과 유전학 등의 생명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은 그 기술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점에 있는데 다양하고 새로운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생명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생명존중정신의 내면화를 통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에 있고, 도덕적 정체성 형성은 도덕 교과의 과제이기에 도덕 교과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책임성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된다. 즉 도덕교과에서는 통합적 인격교육이라는 교육적 이념을 바탕으로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향상, 생명존중 가치의 내면화 및 도덕적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능력 제고, 실천의지 강화 등의 도덕성의 요소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의 체계화,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성 구상에 도움을 주고자 현대사회의 청소년에게 필요한 생명윤리교육은 무엇인지 고등학교 도덕 교과를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먼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분석틀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과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즉 교과서에서 어떤 내용을 선정하고 그 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있는지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생명존중윤리’, ‘생명의료윤리’, ‘생명공학윤리’ 영역과 ‘자신(인간)의 생명 존중’, ‘다른 생물의 생명 존중’, ‘환경과 관련된 생명 존중’, ‘출생․죽음, 성결정과 관련된 생명 윤리’, ‘환자의 권리와 관련된 윤리 의식’, ‘첨단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생명공학 연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 범주로 내용을 구분한 뒤, 지식제공과 경험․활동제공의 제시목적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교육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여 현대 청소년들의 생명경시풍조를 해결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며 마무리하였다. 문제점과 방향성을 요약하면, 첫째, 현실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실성 있는 생명윤리의 내용들이 부족하기에 추가가 요구되고, 단편적인 소개에 그치고 있는 제재들의 관련내용은 보다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그러한 내용들을 연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재구조화를 통해 사고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본문의 내용에 대한 민감성을 높여줄 수 있는 보충자료가 추가되어야 하는데, 특히 도덕적 동기와 흥미유발을 강화할 수 있는 주제와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시각적 자료와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례들을 포함한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논술과 토론 등의 경험․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활동이 대학 입시준비를 위한 활동이 아닌 도덕 교과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활동의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도덕적 감정과 민감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방법과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도덕적 감정과 민감성은 우리로 하여금 도덕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해주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동기를 유발시켜 주며, 도덕적 행동을 가능케 하는 정서적 추진력이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통합과 체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즉『윤리와 사상』교과와 『생활과 윤리』교과를 통합하여 『윤리와 사상』교과가 가진 현실 유리적인 이론교과로서의 단점과 『생활과 윤리』교과가 가지는 배경지식의 부족의 문제점을 서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도덕 교과의 정당성은 생명존중의 윤리적 자세와 태도를 지닌 바람직한 인격의 청소년들 육성에 있기에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이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심층적인 논의와 방향성 모색이 요청된다.

      •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박혜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에 의해 1996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하고 2003년 최종적으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는 등 과학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다. 생명공학의 발달은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욱 풍요로운 삶을 제공하고 있지만 기술발달에만 치중하여 그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에 대해 간과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에 소홀한 실정이다. 앞으로 미래의 과학자가 될 청소년들과 우리 모두가 생명과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생명공학의 기술발달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이로 인해 생기는 많은 문제점들을 생각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생명윤리에 대한 바른 정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 교과서의 생명윤리 관련 주제들에 대해서 제시되어 있는 방법과 생명공학기술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 그로 인한 문제점, 그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교과서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비교분석을 통한 교과서 내의 문제점으로는 생명공학기술의 이용방안은 체계적으로 설명한 반면 생명공학의 발달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이지 않은 내용 제시와 그 내용 또한 부족하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의 제시로써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 이에 대해 개선방안으로 교과내용적인 측면에서 기존 생물II 교과의 ‘V.생물학과 인간의 미래’단원에 부족한 생명공학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과 생명윤리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는 방안과 생명공학의 발달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내용 제시와 생명윤리의 개념 및 필요성을 다루기 위해 ‘생명과학과 윤리’라는 새로운 단원을 제안한다.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는 빠르게 발달하는 사회에 맞추어 학생들에게 흥미유발을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영화미디어를 활용한 수업방안’을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이니만큼 윤리교과와의 연계를 제안한다. 생물II 교과서는 고등학교 자연계 학생들의 심화선택과목이므로 미래의 과학자가 될 수 있는 학생들에게 생명 과학 기술의 연구와 성과에 대한 교육에 앞서 생명공학의 근본적인 목적이 인류의 삶을 보다 행복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함이고 그러기 위해서 생명윤리의식이 밑바탕 되어야 함을 가르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류미아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생명공동체정신의 부재로 침몰하는 한국사회를 일으키기 위해 더디더라도 현 교육 속에 생명을 불어넣고 공동체성을 깨우는 것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러한 교육은 상대방을 “공동체 내의 사람(person in community)” 으로서 마주할 수 있게 해주며 타인의 생명에 공공의 책임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공동체윤리를 고찰하고 이를 발현시키는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제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사회를 ‘우리사회’로 전환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인격주의 생명윤리 기반 인성교육으로서 참여형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엄기홍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the need for sex education to form a rich personality of adolescents in an era of loss of human dignity, referred to as the "culture of dea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articipatory sex education program as a the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sonalism bioethics' that can contribute to comprehensive school sex education for a healthy and happy life of youth. To do this,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while pursuing comprehensiveness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on the personalism, the personalism bioethics, the personality education, sex education, and the participatory education method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ontological personalism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human beings are personality, and human dignity is a priority above any value. The personalism bioethics, which maintains a human view that emphasizes human dignity, uniqueness, and sociality, is a new and comprehensive study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to respect, protect, and promote life for all lives. Second, the personality education aims to enhance the unique and inherent personality of mental activity. Elevated personality must be comprehensively addressed i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in order to choose and assist in life as a good person. This inclusiveness requires not only the content and method but also the inclusion of the subjects of education, so personality enhancement can be achieved when teachers, classrooms, schools, families, and social communities all work together. Under this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sex education is the personality education that not only prevents sexual problems and damage, but also forms desirable human relationships while enriching personality by building up correct values ​​based on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ociety. Third, the possibility that the personalism bioethics can contribute to the controversial conversation of sex education in school was presented based on 'The Joy of Love'. It responded to the request for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modernization of sex education and reviewed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content. Fourth, when various participatory educ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reflect the needs of adolescents for sex education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learning, interest arousal,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high, and the effectiveness of achieving educational goals was also high. While applying various methods, Role playing, which is an important tool for psychodrama and sociodrama, was presented. Role playing is a tool that integrates cognitive insight, emotional purification, and behavioral practice. It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other than sex education. Satisfaction was also high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Fifth,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 program named 'Sai-사이' was develop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comprehensive content based on the personalism bioethics', 'the school sex education system', 'language that young people can understand', and 'various participatory education methods' were 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that it attempted to integrate philosophy, theology, ethics, pedagogy and psychology so that religion could reasonably contribute to the debate on sex education in school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죽음의 문화’라고 일컬어진 인간 존엄성 상실의 시대에 청소년의 풍요로운 인격 형성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이 요청된다는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포괄적 학교 성교육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는 인격주의 생명윤리 기반 인성교육으로서 참여형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인격주의, 인격주의 생명윤리, 인성교육, 성교육, 참여형 교육 방법 등에 관해 학제적 대화를 통한 포괄성을 추구하면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학적 인간학의 존재론적 인격주의에 의하면 인간은 곧 인격이며, 인간존엄성은 어떠한 가치보다 최우선한다. 이렇게 인간의 존엄성, 고유성, 사회성을 강조한 인간관을 견지하는 인격주의 생명윤리는 모든 생명을 대상으로 생명존중, 수호, 증진을 위하여 학제적 대화를 통한 새롭고 포괄적인 학문이다. 인격주의 생명윤리는 주요 원리에 따라 이성적인 근거를 제시하면서 각 사람과 공동체가 자기실현과 공동선의 목표를 추구한다. 둘째, 인성교육은 정신활동의 주체로서 고유하고 유일무이한 인격의 고양을 목적으로 한다. 고양된 인격자가 훌륭한 인격자로서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돕기 위해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서 포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 포괄성은 내용과 방법만이 아니라 교육의 주체들의 포괄성까지 요구하므로 교사, 교실, 학교, 가정, 사회 공동체가 다 함께 노력할 때 인격 고양을 이루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에 대한 이해 아래 성교육은 자기이해와 타인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관을 쌓아 올려 인격을 풍요롭게 하면서 성관련 문제와 피해 예방뿐 아니라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인성교육으로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것이다. 셋째, 학교 성교육의 논쟁적 대화에 인격주의 생명윤리가 대화에 참여하면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사랑의 기쁨』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성교육의 학제적 대화와 현대화의 요청에 부응하고 내용의 포괄성을 검토하였다. 넷째, 성교육에 대한 청소년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의 효과와 실천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참여형 교육 방법이 적용될 때 흥미유발, 동기부여, 만족도 등이 높았으며, 교육 목표 달성의 효과성도 높았다.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되 심리극과 사회극의 중요한 도구인 역할극을 제시하였는데 역할극은 인지적 통찰, 정서적 정화, 행동 연습을 통합적으로 이루어 나가는 도구로 성교육 외에도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만족도 또한 높았다. 다섯째, 이상의 선행연구 검토와 분석을 토대로 인격주의 생명윤리를 기반으로 하는 포괄적인 내용, 학교 성교육의 체제, 청소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 다양한 참여형 교육 방법에 대한 고려사항을 염두에 두고 ‘사이’라고 명명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성교육 논쟁에서 종교가 합리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철학, 신학, 윤리학, 교육학, 심리학의 통합을 시도했다는 연구의의와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기대하는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의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 탐색

        남궁수경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현대 사회는 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의 생활에 이로움과 편리함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학의 발전과 상충하여 많은 윤리적인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과학교육에서도 과학의 윤리적 측면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가치 있는 판단을 하려는 기본 토대인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2011년에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영역에 속하는 교수-학습 주제를 추출하고, 추출한 주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주제 추출을 위한 근거로 ‘현상·상황·사건·개념’을 사용하고,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동일 주제 연구 자료들을 참고하여, 주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주제를 ‘생명윤리 교육의 7가지 내용 범주’에 따라 교수-학습 주제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생명윤리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주제는 총 97개이며, 중학교 과학은 31개, 고등학교의 융합형 과학은 10개, 생명과학Ⅰ은 39개, 생명과학Ⅱ는 17개였다.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 각 교육과정에서 비교한 주제의 빈도가 비슷하였다. 추출한 주제를 ‘생명윤리 교육 내용의 구분’ 표를 이용하여 일곱 가지 내용 범주로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의 성격을 분석한 결과 자신(인간)의 생명존중과 환경과 관련된 생명존중의 빈도가 높았고, 생명공학 연구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에 대한 범주의 빈도가 가장 낮았다. 이 연구는 생명윤리 교수-학습의 기본 토대인 생명윤리의 주제를 탐색함으로써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 판단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수업 자료 및 수업 모형 개발과 같은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보았다.

      •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尹順愛 인천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43

        21세기는 생명 과학과 의료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생명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1970년대부터 생명(bio·life)의 문제와 윤리(ethics)의 문제가 생명윤리(bioethics)라는 합성 용어로 만들어저 완전히 새로운 학문분야로 발전하였고, 생명 윤리는 21세기의 기술로 인해 야기되는 신체와 생명 및 인격의 자유와 존엄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는 학문과 연구에는 어디서나 요구되는 것이다. 생명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최고의 가치로써 생명의 개념에 관한 문제는 인류의 끊임없는 추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생명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며, 일회적이기 때문애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생명은 대체로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는 것을 분간해 주는 기준, 즉 목숨을 의미한다.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생명의 개념이 논의 된다고 하더라도 생명이란 의미 있고 가치가 충만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생명의 가치라는 말은 효용가치 또는 쾌락 가치와는 다른 의미를 담고 있어서, 생명의 가치는 우리에게 생명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며, 살아 있는 것은 모두 그 자체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이 다른 사람의 편리를 위하여 그리고 다른 사람의 결정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는 경우들이 생기면서 인간 생명의 절대성에 커다란 금이 생겨났다. 의사들에게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관련되어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의료행위를 통한 의사의 연구와 치료행위가 환자의 건강과 복지를 우선적인 목적으로 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공수정, 임신중절, 안락사, 뇌사, 장기 이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오늘날 이러한 문제들이 최근에 더욱 긴박한 주제로 부상하게 된 것은 의료기술의 발전, 사회적 여건의 변화, 도덕적 가치관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생명의 위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모색되어질 수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으로 생명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에 21세기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6차 교육과정에 와서 이데올로기 단원의 삭제와 민족 교육 내용의 강화, 생명 존중, 환경, 과학과 윤리의 신설, 전통 윤리에 대한 인간성과 도덕성 회복의 강조, 근로와 직업 교육 및 경제 윤리와 직장 윤리의 중시로 지도 내용이 체계화와 되었다. 이렇게 서서히 교과 과정 속에 생명윤리에 대한 문제 의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7차교육과정에는 6차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았던 인간 생명을 다루기 시작했다 하더라도 그 내용과 체계가 아직까지는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사회의 심각한 문제들로 인식되고 있는 생명의 위기, 특히 인간의 생명과 관계되는 많은 논쟁들을 극복하기 위한 도덕·윤리과 교육에 도입, 강화되어야 하는 생명윤리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생명위기 현상의 원인과 생명윤리에 관한 현대사회의 교육적 욕구를 조사하고,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의 목적, 성격과 범위 및 교재내용의 구성의 방안으로 나누어 모색해 보고자 한다. Entirely new ethical problems concerning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have surfaced as life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ies have made a dazzling development up till now in the 21st century. Since its birth as a compound word of bio(or life) and ethics in the 1970s, bioethics has made its own way as a science dealing with matters of life and ethics. Bioethics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academy and research which has the potential that the freedom and dignity of body, life and individuality might be threatened by technologies in the 21st century. The values of life don't share the same meaning as effective values or pleasure values. They require us to respect life and to regard everything alive as having special worth of its own. The absolute quality of human life, however, has been impaired very bad as there happen the cases in which it can be decided for the convenience' sake of or at the will of others. As for the doctors who are in trouble with the matters of values and dignity of human beings, they don't put priority on the heath and welfare of their patients in doing their medical treatments to serve a research and a therapy. In these circumstances, a lot of various problems including artificial insemination, artificial abortion, euthanasia,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are taking place and gaining on people. In addition,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changes of social conditions, and alteration of moral senses of values are giving more urgency to these matters nowadays. There can be a great number of ways to approach and solve the life crisis situation. But most of all, the essential measure should be taken which is to search for new values of life, based upon which the new directions of the bioethic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should be forwarded This paper was intended to prepare plans for bioethics education which should be included and reinforced in the morality and ethics curriculum in school in order to overcome many arguments regarding the life crisis, in particular human life matters which are perceived as serious ones in the modern society. It investigated the causes of the life crisis situ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bioethics in the modern society. It also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ality and problems of bioethics education. Finally, it tried to establish new senses of values by approaching bioethics in the following three sectors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scope, and the composition of textbook contents.

      • 신문을 활용한(NIE) 고등학교 생명윤리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이수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교수법의 일종인 NIE(Newspaper In Education)를 활용하여 학교에서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생명윤리 교육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NIE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고, 고등학교 생물Ⅰ, 생물Ⅱ, 고급생물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다룬 부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신문에서 생명윤리에 관한 기사를검색하여 이를 학생들의 생명윤리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의 생명윤리 인식의 함양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글쓰기 수업까지 가능하도록 수업모형을 구성하였다. NIE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이 정보를 스스로 찾고 구성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김으로서 구성주의 관점을 충족시킨다. 또한 신문에서는 순수 과학의 내용보다는 과학과 사회, 기술의 개발 등과 같은 내용을 다루므로 학생에게 과학, 기술, 사회의 연관성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이므로 STS 교육의 관점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NIE 교육은 구성주의, STS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생물Ⅰ, 생물Ⅱ 교과서의 「생물학과 인간의 미래」 단원에서 제시한 생명윤리를 NIE 수업을 할 수 있는 단원으로 설정하고 NIE를 적용한 수업모형을 구성하였다.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신문기사를 검색하여 5개 종합 일간지에서 총 327건의 기사를 얻었다. 또한 이를 게재 지면으로 분류하였는데 생명과학에 관련된 기사가 과학·기술면 보다는 사회면에 실린 비율이 더 높았다. 과학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윤리적 문제가 생명과학의 발달할수록 문제가 되어 왔기 때문이다. 교사는 신문기사를 수업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학생에게 오개념을 심어주지 않도록하기 위해 항상 중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한 자료를 선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NIE 수업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직접 지식을 전달하기 보다는 학생 스스로 지식을 얻기 위한 안내자 역할을 하고, 어려운 용어를 풀이해주며, 학생의 질문에 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목을 우리의 실생활의 사건과 연계시켜서 학생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방법 중 하나인 NIE를 이용하여 쉽고 재미있게 교과서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학생은 교과서의 지식과 신문이라는 또다른 교과서를 이용하여 폭넓은 지식을 획득하고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NIE 학습은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수업을 흥미있게 진행시키기 위해 수업 시작 후 10~20분 동안 교사가 찾은 신문기사를 찾아 학생에게 보여주고 간단히 설명함으로서 수업내용과 실생활의 연계성과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또한 학습과제로 수업시간에 제공한 신문기사를 토대로 생명윤리에 관련된 신문기사를 더 찾아서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 입장에서 글쓰기를 하도록 함으로서, 한 가지 주제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과정을 이끌어내도록 하여 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이끌어내는데 의의를 두었다. Present research, in using NIE (Newspaper In Education) as teaching method, aims to help conduct education in bio-ethics more effectively than is formally being treated at present. For this e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NIE is first examined,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ose sections in current textbooks of Biology I, II, and Advanced Biology for high school students which are devoted to ethical issues in developing bio-science. Additionally, present research surveys articles on bio-ethics in the newspapers and applies them to bio-ethics classes for students, resulting in construction of a teaching model which not only increases students' consciousness for bio-ethics but also improves their writing skills. In an NIE class, students can fulfill their structural perspectives by valuing the process of finding and constructing information on their own. Moreover, since most newspapers deal with social science and technical aspects rather than pure scientific research, they can become effective as a teaching tool, showing students the interconnection found among science, technique, and society. This is in fulfillment of the viewpoint emphasized in STS education. Thus NIE education can be defined as structuralism and an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ethod in STS education. Based on such understanding, setting the contents for bio-ethics provided in the chapter <biology and human's future> in textbooks of Biology I and II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NIE class, a teaching model applying NIE can be constructed as the following process: presentation of problem, investigation of problem, research for solution of problem, suggested plans for solution of problem, and practice. Through retrieval of newspaper articles usable as teaching data, a total of 327 articles from 5 different general daily papers are secured. Then they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ection in which they are reported. This shows that articles related to bio-science are reported more often in social, rather than scientific or technical sec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bio-science has spurred great social and ethical interest in our society. In using newspapers as teaching data, the teacher, in order not to misguide his or her students, needs to select proper kinds of data, while always maintaining a neutral viewpoint. Moreover, in an NIE class, the teacher, rather than merely transmitting factual knowledge to his or her students, should try to guide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quire knowledge on their own, offer explanations related to technical terms, and try best to answer the questions asked by the students. In present research, employment of NIE as one of the methods in inducing curiosity from students through relating textbook contents with their actual daily lives, can deliver what's in the textbooks to the students more effortlessly and creatively. Moreover, besides textbooks, students can acquire a broader range of knowledge using newspapers as their second textbook, inducing a self-led learning in which they can organize their thoughts on their own. This is how an NIE class can be effective for high school learning. Moreover, asking students to scrap further newspaper articles on bio-ethics as their assignment for class, inducing them to write on the pros and cons on a certain topic, and helping them come up with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at topic will be meaningful in developing their logical reasoning and self-led learning abilities.

      •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생명윤리 교육

        김민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3343

        1950년대부터 크게 발전하기 시작한 분자생물학은 생명체의 인위적인 개조와 합성을 다루는 생명공학 분야를 개척하기에 이르렀다. 이 후 생명공학의 급속한 발달은 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아지게 하였는데, 앞으로 생명공학 시대를 살아 갈 학생들이 생명공학과 관련해 의사결정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겠다. 이것은 생명윤리(bioethics)교육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생명윤리교육은 STS(Science-Technology-Society)교육사조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STS 교수-학습법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STS 교육사조가 반영된 제5차와 제6차,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생명윤리 교육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제5차와 제6차, 그리고 제7차 생물과 교육과정은 STS 교육사조를 반영하는 교육목표를 포함하고 있어 모두 생명윤리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가졌다. 하지만, 객관적인 수업목표가 제시되어 있는 5차와 7차 교과서를 비교분석한 결과 7차 교과서가 5차 교과서에 비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였다. 둘째, '교수 단원 계획'의 기본이 되는 단원을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대단원으로 단원제시형태가 바뀌었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만 생명윤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것을 명시하고 있었다. 이것은 교과서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7차 교과서는 단원제시형태가 바뀌었고, '생명공학의 문제점'이라는 생명윤리와 관련된 내용을 소단원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은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보다 더 넓은 개념을 명시하고 있었다. 이것이 반영된 7차 교과서도 5차와 6차 교과서에 비해 좀 더 다양한 과학적 개념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생명윤리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자료를 교과서에서 분석한 결과 5차와 6차 교과서는 일부 교과서에서 본문과 개인적인 생각을 묻는 형식으로 자료를 제공하였다. 반면, 7차 교과서는 생명윤리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STS 교수-학습법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였다. 이와 같이 제7차 교육과정과 7차 교과서는 같은 STS 교육사조를 반영한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보다 생명윤리 교육을 수행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가 좀 더 다양한 주제를 제공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어서 보조 자료로 NIE(Newspaper In Education)활용과 인터넷 활용을 제안하였다. Molecular biology that was developed dramatically since the 1950s, opening new fields of biotechnology handling artificial reorganization and synthesi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chieved several affirmative results, it has also been a subject of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moral problems. Consequently, present day students, who live in a time of mass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will have to be guided to make the right decisions of further development. Bioethics has its origin on the trend of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can be effective under STS studying methods. Studies were held to understand whether or not the 7th biology textbook is suitable for such education accounted for above by an analytical comparison of the 5th, 6th, and 7th biology education courses and their text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5th, 6th and 7th biological education course contains educational purpose reflected by on the trend of STS, it looks to have its basis on bioethics. However, comparison between the 5th and 7th textbooks which presents an objective studying purpose, the 7th textbook is shown to more substantially reflect its educational course. Second, concerning the analysis on the section based on a design of studying, the 7th educational course was a unit form unlike 5th, 6th course. Also only the 7th course cleary stated a content of bioethics. Directly applied to textbooks, the 7th textbook has a unit form and a content concerning bioethics the problem of biotechnology was interposed in the textbook as a unit. Third, the 7th educational course more described its concepts with more width compared to the 5th and 6th courses. Also in the 7th textbook, more various scientific concepts were stated compare to the 5th and 6th textbook. Fourth, some 5th and 6th textbooks offered documents in the form of text and questions, to help execute the education of bioethics. On the other hand, the 7th textbook offers various documents available for STS studying methods. Thus, the 7th education course and textbook is more acceptable to accomplish a bioethics education compare to the 5th and 6th education courses and textbooks. However, through out all the text books, there was a lack of various subjects, demanding practical use of NIE(Newspaper In Education) and internet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