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관광축제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 영암 왕인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김동원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방자치가 본격화하면서 각 자치단체들이 대규모 자본 투자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내고 아이디어와 기획력 등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을 통해 경제ㆍ문화ㆍ홍보ㆍ지역교류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의 하나로 지역축제가 급속하게 대두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축제는 관광산업의 발전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기하려는 목적으로 정부가 1995년부터 각 지역축제 중 지속적으로 가능한 문화축제를 발굴하여 지원ㆍ육성하는 문화관광축제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문화관광축제는 외래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목표를 두고 있으며, 지역민에게는 지역문화를 보존ㆍ전수하고 방문객에게는 지역문화를 널리 홍보하는 등 지역사회에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파급효과를 가져다 준다. 이 논문은 문화관광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1999년 21대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된 영암 왕인문화축제의 이미지를 평가하고자 한 것 이다.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적용ㆍ평가ㆍ분석하여 관광객이 지각하고 있는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도출해 내고 다른 축제와 차별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방안, 서비스 개선 등 마케팅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축제 조직자가 향후 실행 계획 및 전략을 수립하는 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축제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조사 대상 지역인 왕인문화축제가 열리는 전남 영암군 왕인박사 유적지 일대의 행사장에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유효표본(413부)을 대상으로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한 30개의 이미지 항목을 설문하였으며, 이를 요인분석하여 유희성, 이용성, 전통성, 체험성, 제의성의 이미지 속성을 얻었다. 또 응답자의 인구통계적인 특성과 일반적인 선택 사항을 분석하고자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그 특성에 따라 세분시장을 도추라기 위해 T검증, 분산분석, 희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왕인문화축제 참여자는 전체적으로 전통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반면에 제의성에 가장 낮은 지각을 보이고 있으며, 세분시장별로 볼 때, 지역내 방문객들과 고령층에서는 이미지 요인에 높은 지각을 나타냈으며, 당일 방문객들의 빈도가 높고, 여러 요인에서도 높은 지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아직은 체류형 관광이 정착되지 않고 있으며, 농ㆍ어ㆍ임ㆍ축산업에 총사하는 방문객 집단이 제의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과 타인에 대한 권유의사는 모든 요인에 유의한 값을 나타냈으나, 제의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종교적인 요소나 민간 토속신앙적인 요소는 축제의 이미지와 서로 상이함을 나타냈다. 왕인문화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축제의 공급자인 조직자는 관광공급 체계를 포함한 축제의 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전반적인 관광 수용 여건을 개선하고, 이에 앞서 축제 방문자가 지각하고 있는 이미지에 대한 파악과 표적 시장 선정, 시장 세분화 등 방문객에 대한 시장분석이 선행해야 할 것이다.

      •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의 실행에 따른 지역축제의 변화 : 이천쌀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진홍국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의 실행에 따른 지역축제의 변화 : 이천쌀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사회민속전공 진홍국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는 1995년에 시작됐으며, 상당히 성공적인 정책이라 평가받고 있다. 20여 년 동안 이어진 호평 속에 이 제도의 영향력은 날이 갈수록 강해져, 한국 축제지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지역축제의 모델로서 어떤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러한 모델이 지역축제의 맥락에서 어떻게 반영됐는지 이천쌀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제도의 영향으로 변화한 축제에서 주요 참여집단인 관광객과 지역주민은 어떤 위상을 갖는지 들여다보았다.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는 운영된 지 20년이 넘은 만큼 상당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도의 변화는 도입기, 조정기, 정착기 등 총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관광객 중심의 축제’를 지역축제의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광객 중심의 축제’란 축제의 주체를 관광객으로 보고, 그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는 것이다. 이천쌀문화축제는 지역축제의 대표적인 소재인 특산물과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1999년에 주민화합축제로 시작하여 2001년에 관광형 축제로 탈바꿈하였다. 그리고 2003년에 처음으로 문화관광축제 예비축제로 선정되어 2013년에 최우수축제 등급을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축제는 2001년 도자기엑스포 연계관광프로그램을 계기로 관광형 축제인 이천햅쌀축제로 바뀌는데, 이때 이미 ‘관광객 중심의 축제’라는 문화관광축제의 모델을 따르기 시작했다. 이천쌀문화축제가,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제시하는 지역축제의 모델을 따라가고 있다는 점은 관광매체, 제재 및 명칭, 참여 및 대표 프로그램, 시공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참여집단인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의 영향으로 변화된 지역축제에서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그 결과 축제가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맞춰져 있음에도, 관광객은 소비자로 대상화된 존재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지역주민은 성공적인 관광객 중심의 축제를 만들기 위한 공급자의 입장에 놓여 있다. 하지만 두 참여집단은 완전히 분리될 수 없고, 상황에 따라서 위상이 교차되기도 한다. 또한 공급자 입장일지라도 축제를 향유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 축제지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지역축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해당 모델에 의해 변화된 축제에서 주요 참여집단인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위상은 어떠한 지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Change of Local Festiv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Based on Icheon Rice Cultural Festival Jin, Hong-Guk Major in Social Folklore Department of Folklore Graduate School Andog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n, Yang-myeong) Abstract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began in 1995 and is judged as quite successful policy. The effect of this policy gets stronger along the consistent favorable comment in 20 years, which has much impact on Korea’s festival topography.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type of local festival model from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and how that model is reflected in the local festival by mainly focusing on Icheon Rice Cultural festival. The status of travelers and local citizens, the main participants, for the changed festival by the effect of policy were researched,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had so many changes in 20 years. The change of policy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hase period, control period and settlement period. The result of researching policy change was that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reflected ‘the festival mainly focusing on travelers’ as the model of local festival. ‘The festival mainly focusing on travelers’ is to concentrate on the traveler’s satisfaction as perceiving them as the main factor of festival. Icheon Rice Cultural Festival was made based on the regional products and traditional culture which are representative features of local festival. It began as citizen harmony festival in 1999 and changed to tourism festival in 2001. Besides, it was chosen as preliminary festival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in 2003 for first time and was awarded with the excellent festival award in 2013. This festival changed to Icheon New Rice Festival, which is tourism festival, on account of 2001 Porcelain Expo’s related tourism program, at this time it already followed the ‘festival mainly focusing on travellers’, which is the model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fact that Icheon Rice Cultural Festival is following the local festival model from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can be checked in travel media, main topic and name, participating and representative program, time and space etc. Finally, the status of travellers and local citizens, who are the participants, was researched according to the effect of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The result was that although the festival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ravellers, travellers are only the target as consumers. Besides, local citizens are in the supplier position to make the successful festival mainly focusing on travellers. However, two groups of participants can’t be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status may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so despite the supplier’s position, they can still enjoy the festival as well.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ing on how the local festival was changed from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which affected Korea’s festival topography. Also, it has importance for proving the status of travellers and local citizens, who are the main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changed festival from designated model.

      •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속성에 관한 연구

        서정수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For the central government, regional self-governing bodies and local residents, the important values that cultural tourist festivals hold are simply too many to count. However, festivals where the feedbacks on their problems and effects can be discussed through proper evaluation are extremely limited today, and the attributes of evaluating festivals are focused on the visitors-oriented assessment.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has studied what sorts of attributes are prioritized and which of them are important, starting with its purpose that the evaluation of cultural tourist festivals should be executed objectivel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the analysis of weighted value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divergences among group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attributes able to evaluate cultural tourist festivals output from a preceding study. The research set up four factors in the attributes of evaluation: holders, local residents, visito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and detailed attributes of each factor have been observed. First, the areas of holders' evaluation among the attributes by each factor for measurement are the degrees of objectives accomplished, the efficiency of events as wholes, economical efficiency and democratic elements. Second, those of local residents' evaluation are the awareness of the events,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effects. Third, those of visitors' evaluation are experience activities, facilities, service and approachability. Fourth, those of participating companies' evaluation are exhibited direction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events. The research has also verified the priorities in each attribute, the degrees of its importance and the divergences among groups by researching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on the attributes in evaluating cultural tourist festivals. In the verification of measuring factors' reliability from 81 valid samples, a satisfiable outcome has been attained as the whole reliance of holders, local residents, visito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was 0.9 plus. In the priority of each factor, the factors for holders have been prioritized economical efficiency, the efficiency of events, the degrees of objectives accomplished and democratic elements in order. Those for local residents have been prioritized in the order of residents' participation, effects and the awareness of the events. Those for visitors have been prioritized service, experience activities, facilities and approachability. Those for participating companies have been priorotized in the order of exhibited direction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event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a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study of cultural tourist festivals has been carried out in it, it maintains som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however evaluation should include all of its elements, such as objects, periods, time, evaluators, compensational systems, etc., this research has dealt only with the selection of attributes and the decision of priorities. Hence, another research that considers all of the elements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in spite of the fact that evaluation should be not only for the past but also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strategies and vision, this research lacks discussions on those elements. In other words, the attributes in it has not been selected through vision or strategies, but through a bibliographic study as a form of being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circle and the official-dom. The researches hereafter should be to set up strategies and to come up with vision. Third, this research has failed to compare the thoughts of the involved industry on the attributes in evaluating the festivals since it has limited its respondents only to the two groups: the academic and the official people. If the future researches are carried out in the level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indicated above, it is thought that more meaningful results will be obtained.

      • 문화관광축제포스터의 요소별 선호 결정에 관한 연구

        남승훈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대인에게 있어 관광은 여가 선용의 수단으로 그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단순히 ‘보는 것’에 국한되어 있던 소극적 관광은 시대적 환경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고 전문화된 ‘참여형’ 관광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관광패턴의 변화는 문화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관광과 문화를 접목시켜 상품화하는 한편, 국가관광산업발전을 촉진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95년 6월 지방자치제를 실시하면서 세계화, 지방화, 개방화를 통하여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이미지 제고 및 지역개발의 주요한 수단으로 지역 축제를 지역 활성화의 전략으로 활성화 하였는데 특히 주 5일제 근무의 확산과 웰빙 열풍,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이러한 지역축제의 활성화를 더욱 가속화 시켰다.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지역전통문화의 대외홍보는 물론 지역주민의 화합과 자긍심 고취, 주민과 관광객과의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지만 경제의 개념으로는 하나의 상품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문화관광축제의 보다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국내외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의 대표적인 홍보 수단인 문화관광축제포스터를 대상으로 요소별 선호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문화관광축제포스터의 제작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관광축제포스터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축제의 홍보를 위해 사용하는 인쇄홍보물로 궁극적인 목적은 잠재관광객들로부터 호의적인 이미지를 얻는데 있으며 축제의 상품성을 가시화?유형화시키고 관광상품을 최대한 노출시켜 축제의 참가를 유도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다. 연구 접근방법으로는 2006년 문화관광부에서 선정한 문화관광축제 27개의 축제의 공식포스터로 사용했던 포스터의 조형요소별 선호도 설문조사를 선택하였으며, 지역축제인 점을 감안하여 이동인구가 많은 기차역과 고속버스터미널에서 10대 부터 50대 이상 다양한 연령층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실증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요소별 선호 분석에서는 4개 분야별 상위 5개의 포스터를 기준으로 볼 때 일러스트레이션의 경우 사진 이미지를 활용한 표현보다는 핸드 일러스트레이션의 회화적 표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포그래피에서는 독창성 있는 캘리그래피 스타일의 축제 고유 로고타입디자인의 선호가 높았으며, 컬러에 있어서는 다색 보다는 단색 또는 유사색의 균형적 배합을 선호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레이아웃은 구성요소를 줄이고 충분한 여백을 활용하고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앙에 배치하여 가독성과 주목도를 높인 레이아웃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축제포스터는 축제기간, 장소, 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일반적인 고지성과 단순한 시각적 아름다움인 심미성의 추구를 넘어 대중의 선호도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축제에 대한 방문욕구를 유발시켜 참가를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축제 주최측은 축제의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홍보물 디자인 담당자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매체가 탄생할 수 있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디자인적 가치와 조형성을 갖춘 축제포스터로서 문화관광축제의 이미지가 소비자들에게 전달 될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For most people in recent years, 'sightseeing' gets the increasingly high value as the useful means of leisure. Passive sightseeing has been limited to merely seeing things, but today, it is transformed into the diverse and special 'participatory' sightseeing form,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 Such a changed sightseeing form is highlighted as very crucial factor in the cultural terms. These days, the entire world combines and commercializes culture and sightseeing, but also it uses national sightseeing industrial development as the major facilitator. South Korea has begun to facilitate local festival as the major strategy to revitalize local regions, establish local identities, raise local images, and develop local life,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in June 1995. Particularly, the rising five-weekly working hours‘ system and the fevers of wellbeing along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leisure culture have greatly contributed to accelerating local festival.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lays a pivotal role in not only representing local images and promoting local traditional culture overseas, but also heightening reconciliations and self-esteems among local citizens, and forming linkages with citizens and tourists. But, such a festival can be cited as what's called, one product, in light of economic terms. Thus, local autonomous institutions promote a wide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t home and abroad, as part of a bid to more effectively promot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This research thesis aims at presenting methods to produce effectiv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osters capable of getting efficient visual communications. To do it, this thesis makes an analysis on each preferred determinative factor, with the study of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osters, as the public relations media typical of local festival. Such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osters are known as the printing public relations data necessary for the public relations of local festival used in the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institutions. Their ultimate goal is to secure good images from potential tourists. And, they are the visual communications means to visualize and materialize festival products, exposing sightseeing products at maximum and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festival. As the research approach method, this research thesis has adopted a survey study based on poster pattern factors preferred and used as the public posters for 27 culture and sightseeing festival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6. Considering local festival, the thesis has conducted a substantial analysis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survey was of 450 people in various ages from teenagers to more than the 50, in busy train subways and express bus terminals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 preferred factor analysis, 'hand illustration'-styled drawing expression has been preferred rather than photo image-styled expression. In the aspect of typography, calligraphy-styled log type festival design characteristic with unique form has had the high preferences. For color, the balanced combination with single or similar color rather than multi-color has been highly preferred. Also, 'lay-out' is observed to have got the high preferences by reducing components, using rooms much enough, placing illustration in the central position, and highlighting readability and attention degree. Most festival posters must not just play a role in pursuing 'solidarity' in the aspect of festival period, place, and festival program information and 'aesthetics' in the aspect of visual beauty, but also in making the accurate understandings on the audience's preferences and inducing them to have desire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To do it, the festival-hosting officials must take heed in giving rise to visual communications media right for the current trend, by making communications with public relations managers much enough to express festival information in an accurate way. The result reveals that the above-stated description will create the images of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in combination with design value and pattern to deliver the general consumers.

      • 축제이해관계자의 축제개최효과 인식이 문화관광축제 협력과 지지에 미치는 영향 : 보령머드축제의 Triple Bottom Line 지각을 중심으로

        남문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최근 대다수의 문화관광축제는 ‘축제경영’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정부의 보조금에 의존하던 정책에서 벗어나 자생력을 키워야하는 새로운 과제를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각 지역에서 개최되는 수많은 축제가 이해관계자의 목적의식과 목표를 조율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얻게 되는 개최효과의 세 가지 기본 축(Triple Bottom Line; TBL)에 대한 축제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축제이해관계자의 축제 개최효과 인식이 문화관광축제 협력과 지지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지역개발형 TBL 모델을 창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대표축제에 선정되었던 보령머드축제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보령머드축제가 지역에 미친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성과를 중심으로 TBL 지각 항목을 도출한 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지각 특성과 이해관계자의 지각이 축제의 향후 개발에 대한 협력과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축제와의 관련성에 따른 이해관계자의 지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의 축제와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직접이해관계자, 간접이해관계자, 개발·운영당사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TBL 지각에 대한 조사대상자의 항목별 기술 분석 결과, 보령머드축제는 지역사회에 경제적 측면 외에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축제에 대한 관심과 협력의사, 향후 축제개발에 대한 지지 등 축제에 대한 협력과 지지의사는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보령머드축제는 대천해수욕장의 1지구(시민탑 광장)의 경제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축제 개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TBL 지각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보령머드축제가 지역에 미친 영향은 지역이미지 향상 요인과 관광촉진 요인 측면에서 가장 큰 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분석된 반면, 부정적 요인들은 낮은 결과를 보여 보령머드축제의 향후 발전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총 4개의 연구가설 검증 결과, 축제이해관계자들의 TBL 지각은 협력과 지지에 영향을 주고, 이해관계자 그룹간의 TBL 지각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해관계자 그룹별로 TBL의 가치인식이 협력과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고, 축제이해관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TBL 가치인식과 문화관광축제 개발의 협력과 지지에는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환경적 관심을 포함하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관광이벤트 경영에 적용한 일명 ‘지역개발형 축제의 TBL 모델’을 창출하였고, 축제이해관계자 그룹의 새로운 분류 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경영적 관점에서 축제이해관계자의 지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창출하였으며, 기업 경영에 지속가능경영이 대세를 이루는 상황에서 축제의 지속가능경영 연구 분야에 TBL의 접목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여 관광이벤트의 개최효과 연구를 보다 깊이 있고 명확하게 수행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한편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문화관광축제의 경영 실무진은 전략 수립과정에 축제이해관계자들의 지각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고, 문화관광축제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축제의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적 성과 창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축제 경영 조직에 축제이해관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참고 지표를 제공하게 되었고, 축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경영지표를 창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열거한 제안사항들을 구현하여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축제재단’과 같은 축제 경영 전문가로 구성된 조직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축제의 이해관계자 그룹 중 관광객 그룹이 포함하지 않은 채, 보령머드축제 한 곳에서 조사된 연구로서 연구 결과를 축제의 개최 목적과 성격이 다른 타 문화관광축제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연구에서는 관광객을 이해관계자 그룹에 포함하여 관련 연구를 진행하거나, 축제의 개최목적과 성격, 유형 등이 다른 몇 개의 축제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성이 있다.

      • 문화관광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옥필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tourism industry is a new field of the 21st century in which it is growing at an incredible speed in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and Korea is not an exception. As the tourism industry grows, festivals can be a bate to lure people into the region. A new form of tourism activity is born as there is an integration of both tourism and culture. Festiv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oday's society as the change in tourism takes place. Local festivals promote the color of the town's history, culture, people and other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serves as the solution to achieving the multilateral goals such as various cultural,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bringing together of people, etc. These festivals have established endless possibilities of bringing the true colors of the locals directly to the tourists. Although the interest for these local festivals is increasing, some professionals point out to the low numbers of tourists visiting these festivals again. Even though the heart of success in these festivals rely on excellent programming and quality of service, the lack of both is the primary reason for the unsatisfaction of tourists. The below study measur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s. First, through a generalized analysis and systemization we assessed the service quality of the festivals. Second, we proposed the primary compositions: theoretical, procedural, social aspects that make up service quality in cultural tourist festivals. Third, we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among the clients and their intensions of revisiting the festivals. We analyzed the 10th annual "Boryeong Mud Festival," one of the prestigious festivals named by the Culture Tourist division. We surveyed approximately 200 participants, both Korean and foreigners, at the DaeChon beach between July 14th 2007 and July 22nd 2007.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 consists of a total of four pages, the first page includes the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problem, goal and specific research area and method; the second page consists of theoretical examination of service quality and for a deeper understand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9.1 and AMOS 5.0. As for the statistical techniques, they were conducted using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In order to conduct the population survey we used the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ing/ recommending the Bory대ng Mud Festival to others, we used the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Hypothetical appraisals are: first, there was a higher awareness of service quality among the foreigners than Koreans, women than men, and highest among students in their 20s with higher educat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s and foreigners; however, no common differences among the sexes and satisfaction levels seemed the highest among th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usually in their 20s. Second, it affected all aspects: theoretical, procedural, social aspects of satisfaction in service quality.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hands-on experience and the variety of the content of the festivals all had. Fourth,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elf satisfaction of the festivals and rate of recommending the festival to others. Sixth, there were strong correlations among the overall satisfaction, intentions of revisiting, and recommending the festival to others. In conclusion, it is a continuous cycle where the satisfaction of quality service of the festival influences the intentions of revisiting and recommending the festival to others. Because there are not many studies conducted on service quality of festivals, I cannot draw to make a conclusion or simple generalization with the few studies that I did even though the findings might be essential to this industry; therefore, there should be further in-depth studies in this area. First, because this study only examined the "Boryeong Mud Festival" we cannot generalize and apply to all other festivals. Second, although it did incorporate theoretical, procedural and social aspects of service quality, we still did not examine all areas of it and cannot make a quick assumption or generalization with just these three area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ere needs to be a division of these cultural festivals by themes and regions. By specializing by themes and regions, the festivals can conduct evaluations post the festival increa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further improving the society of the region and maintaining the numbers of the tourists. 관광산업은 21세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고성장을 예측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관광이 생활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축제는 관광객을 그 지역으로 유인하는 흡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관광과 문화가 접목된 새로운 형태의 관광활동인 문화관광이 등장함에 따라 지역의 문화자원이 관광 상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문화전략으로서 축제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현대사회에서는 더욱 중요해져가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문화적 자원인 지방의 고유한 역사적 문화, 설화, 인적자원과 지역 특산물 등을 활용하여 지역을 홍보하고 지역문화발전, 지역사회통합, 지역축제의 특성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등 복합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문화발전 전략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역의 문화적 잠재력과 정체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문화적 표상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역축제에 대한 관심은 증대하고 있으나 지역축제에 대한 재방문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일회성이라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고 서비스품질에 대한 문제는 지역축제를 포함하는 관광산업에 있어 성공을 위한 결정적인 요인으로 인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내용이나 서비스의 품질의 저하는 방문객들에게 불만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의 서비스품질을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서비스품질을 끌어올리기 위하여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척도가 될 수 있는 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을 체계화시키고 축제에 참가한 방문객들이 지각하고 있는 만족도를 조사하여 재방문과 추천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고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관광축제의 서비스품질 구성차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축제의 서비스품질을 평가하였다. 둘째, 문화관광축제의 서비스품질 구성요인(물리적, 과정적, 사회적 품질)에 따라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셋째, 방문객이 지각한 서비스품질의 만족도를 재방문의사나 추천의사와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실증연구는 문화관광축제로 문화관광부가 선정한 최우수축제의 하나인 제10회 ‘보령머드축제’로 설정 하였고 시간적 범위로 2007년 7월14일부터 7월22일까지 참석한 방문객,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3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공간적 범위로는 머드축제가 열리는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총4장으로 구성되며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문제제기, 목적 그리고 구체적인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관광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서비스품질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선행된 관광문화축제와 서비스품질의 정의 및 연구방법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들이 서비스품질에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되었는가를 규명했다. 그리고 관광문화축제와 서비스품질과의 관계, 그리고 방문객의 만족도가 재방문이나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실증조사를 위한 조사설계, 연구모형설정, 설문지구성 등으로 되어 있으며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재구성된 항목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로 조사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정리하고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코딩(Data coding)을 거쳐, 범용 통계패키지인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9.1과 구조방정식 전용 패키지인 AMOS 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용 통계기법은 크게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방법과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다변량통계분석(Multivariate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기술통계를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문화관광축제인 보령머드축제의 방문객으로 내외국인이 느끼는 서비스품질과 문화관광축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검정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의 인식분석으로 첫째, 내외국인별 축제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며, 모든 서비스품질의 구성개념에 대해 내국인보다 외국인의 인식도가 높았고,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별로는 20대가 교육수준이 높고 전문직일수록 서비스품질의 인식도가 높았다. 둘째, 서비스품질과 관련된 모든 구성개념(물리적, 과정적, 사회적)들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축제에서 오는 기대감과 직접 체험을 통한 만족, 축제의 내용 및 다양성에서 오는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문화관광축제의 만족이 높아질수록 재방문 의사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축제의 재방문 의사와 마찬가지로 축제의 만족이 높아질수록 타인이나 자신에게 추천하고자하는 의사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축제의 전반적 만족도가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효과가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론적으로, 문화관광축제에 대한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가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영향을 주는 연쇄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본연구가 다루고 있는 서비스품질은 학문적 완성도가 아직은 높지 않기에 본 연구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 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관광축제의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또한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첫째, 보령머드축제를 대상으로 연구 범위를 국한했기 때문에 문화관광축제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둘째, 축제 서비스품질을 물리적, 과정적, 사회적 품질로 나누어 연구하였으나 모든 서비스품질의 구성 개념이 포함되지 않았기에 축제 전체 서비스품질을 평가하기에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관광축제를 주제별, 지역별의 표본을 세분화시켜 서비스품질에 대한 후속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서비스품질의 질적 향상을 이루고 방문객의 만족으로 이어져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활성화시키며,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를 기대한다.

      • 문화관광축제의 진정성 인식과 참가가치와의 관계성 연구 : 2011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중심으로

        박주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 초록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된 행사로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 독일의 ‘뮌헨 옥토버페스트’, 일본 삿포로의 ‘눈축제’, 스페인의 ‘토마토축제’, 영국의 ‘에딘버러 축제’ 등과 같은 관광 상품의 성격을 가진다. 문화관광의 일환으로, 문화관광축제는 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 특유의 전통적,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관광이미지 홍보효과 등 고부가가치산업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우리나라 전국 곳곳에서 1년 간 개최되는 축제의 수는 무려 1,200여개나 된다. 이러한 문화관광축제가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 독일의 ‘뮌헨 옥토버페스트’, 스페인의 ‘토마토축제’와 같이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고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행사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축제가 가지는 진정성(authenticity)이 명확해야 하며, 축제를 참가하는 참가자의 참가가치에 대한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장경 조판 천년을 맞아 개최된 ‘2011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중심으로, 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축제를 경험한 후 인식하게 되는 진정성을 측정하고, 진정성 인식과 참가자들의 축제 경험에 따른 참가가치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문화관광축제의 진정성 인식의 중요성을 알고, 진정성으로 인한 문화관광축제 고유의 독특성을 찾고 보존할 수 있는 시사점과 참가자들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진행되었다. ‘2011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일대에서 2011년 9월 23일부터 11월 6일까지 45일간 개최되었다. 축제기간동안 축제 참가 경험이 있는 18세 이상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식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진정성 인식의 구성개념은 Wang(1999)의 ‘관광대상 관련 진정성’과 ‘관광활동 관련 진정성’의 객관적, 구성적, 실존적 진정성을 중심으로 각 진정성 별 세부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진정성 구성개념들과 참가가치와의 관계성을 연구하기 위해, 객관적, 구성적, 실존적 진정성과 참가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연구모형을 구성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연구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여 이론모형과 실제 측정모형을 비교, 인과관계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의 단계를 거쳤다. 객관적 진정성의 7개 항목, 구성적 진정성의 5개 항목, 실존적 진정성의 5개 항목, 참가만족도의 6개 항목, 재방문의도의 6개 항목들 중 신뢰도 분석을 통해 신뢰계수를 저해하는 항목들을 제거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에 적절하지 않은 항목들을 제거,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적합한 연구모형으로 객관적 진정성 3개 항목, 구성적 진정성 3개 항목, 실존적 진정성 4개 항목, 참가만족도 4개 항목, 재방문의도 3개 항목을 추출하였다. 변수들 간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객관적 진정성의 경우 참가만족도와 재방문의도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적 진정성의 경우 참가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재방문의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존적 진정성의 경우 참가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재방문의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가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항목들이 있어, 인과효과분석을 통해 직·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존적 진정성은 참가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의도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문화관광축제를 참가하는 방문객이 인식하는 객관적, 구성적, 실존적 진정성 중 구성적 진정성과 실존적 진정성 인식이 참가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실존적 진정성은 참가만족도를 통해 재방문의도에까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정성과 참가가치간의 영향관계는 일부만 성립되었으나, 참가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광축제에서의 진정성 인식은 축제의 프로그램과 콘텐츠에 대한 문제점을 알 수 있는 요소로, 향후 축제의 질적인 발전과 규모의 발전을 함께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축제행사의 경우 참가자의 진정성인식이 행사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문화재에서 참가자들의 진정성 인식이 행사를 구성하는 프로그램보다 앞서는 것으로 문화관광 프로그램이 진정성을 바탕으로 구성된다면, 행사의 질과 만족을 모두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정량적인 연구만으로는 축제방문객이 본질적으로 축제에 대한 진정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깊이 있게 알지 못한다는데 그 한계점이 있다. 물론 다양한 정성적 선행연구들을 통해 관광객이 인식하는 진정성의 의미를 살펴볼 수는 있으나,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이 인식하는 진정성에 대한 연구는 축제 경험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축제에서 구매하는 토산품이나 기념품, 축제 프로그램, 구체적인 체험 활동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방문객들에 국한된 연구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의 관점, 주최자의 관점, 행사 관계자의 관점에서 축제의 진정성 인식에 대한 연구를 확대시켜 나아가는 것은 본 연구를 향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Values of Participation Focusing on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Joo Young Park Department of College of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Academic Advisor Prof. Chulwon Kim Cultural tourism festival is the event that exhibits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region, in which the festival is held. Brazil’s ‘Rio Carnival,’ Germany’s ‘Munich Oktoberfest,’ Japan’s ‘Sapporo Snow Festival,’ Spain’s ‘La Tomatina,’ and UK’s ‘Edinburgh Festival’ are some of the most iconic cultural tourism festival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products that generate profit by attracting tourists to the region. Thus, cultural tourism festival is considered a part of cultural tourism.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cultural tourism festivals sufficiently serve as value-added industry by providing the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ir regionally unique culture and tradition, and, in turn, invigorate the regional economy and advertise the region as tourist attraction. It’s been reported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1,200 festivals held in Korea annuall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negative aspects of holding festivals are often being pronounce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elements of success of the world’s most distinguished festivals.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the culturally iconic festival of the region, a festival must maintain its authenticity.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how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s participants’ value assessment of the festival.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thesis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their value assessment of the festival at the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celebrating the one thousandth anniversary of the cre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It will verify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perception, and will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based on authenticity that positively contribute to participants’ level of satisfaction. The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was held in and around Haein-sa, Hapcheon-gun, Kyeongsangnam-do for 45 days from September 23rd to November 6th, 2011. The construct of perception of authenticity consists of itemized elements deducted from each of the objective, constructive, and existential authenticities from Wang’s ‘Rethinking Authenticity in Tourism Experience’(1999). This study hypothesizes a mutually e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ypes of authenticities and participators’ level of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 of the deducted authenticities and participation value assessment. Through confirmatory fator analysis, the study eliminates irrelevant factors of the analysis; consequently extracting three factors of objective authenticity, three of constructive authenticity, four of existential authenticity, three for participatory satisfaction, and three factors of revisit inten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or an adequate research model.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factors of objective authenticity demonstrat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articipatory satisfaction or revisit intention, the constructive authenticity factors show direct relationship with participatory satisfaction but not with revisit intention, and the existential factors directly affect participatory satisfaction but not the revisit intention. Additionally, participatory satisfaction has shown to directly affect revisit intention. Some of the variables that demonstrated no direct relationship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however,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thus, these factors have been studied further through cause-and-effect analysis to determine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s result,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showed direct relationship with participatory satisfaction, and indirect relationship with revisit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in cultural tourism festivals can, in fact, serve as a determinant of shortcomings of contents and program of the festival, and further provide the opportunity to enhance the quality and expand the scale of such festivals. Particularly in case of festivals centered around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fact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authenticity demonstrate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articipatory satisfaction denotes the superiority of the effect of perception of authenticity, compared to that of the event’s program, on participatory satisfaction. Therefore,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will enhance the quality and participatory satisfaction of the cultural tourist festival if its program further pronounces it. Despite this research’s operational and educational value, the study has limitations from a few standpoints. The fact that the questions in the survey are extracted from an existing research could bring about the criticism that the study does not fully comprehend the participants’ level of authenticity perception in essence. Researches in the future need to focus on naturalistic inquiry to better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of the festival from not only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but also the locals’, hosts’, and administrative personnel’s. To survey for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of participants’ at cultural tourism festivals centered on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such as the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additional questionnair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ocal products or souvenirs purchased at the event, the program, and specific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be valuable for the research.

      •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최윤정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역축제 즉,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고용 창출은 물론 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분야 발전에 기여하며, 그 지역만의 특별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효과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에 사회·경제·문화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들 문화관광축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온라인 홍보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 디지털 미디어의 급격한 발달로 온라인 미디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용자가 증가하는 환경 아래서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발전 방안은 무엇인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난 10년간 최우수내지 우수축제로 선정한 문화관광축제 36개이며, 이들 축제의 공식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의 운영 실태가 1차 분석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온라인 홍보 실태 조사를 위해 각 온라인 홍보채널을 직접 방문 조사하고, 홈페이지의 운용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 유목을 적용하여 양적인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 문화관광축제 모두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홈페이지를 온라인 홍보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홈페이지의 운용 정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한 결과, 먼저 타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축제 공식 홈페이지로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알아보는 접근성은 연구 대상 문화관광축제 중 50% 이상이 타 기관 홈페이지 4곳 이상에서 접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즉 정보의 양, 최신성, 필수·부가정보, 제공 방법을 분석한 결과, 홈페이지에 게재된 정보의 양은 축제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 이미지(사진)이나 동영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최신 정보와 필수·부가 정보 제공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홍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상호작용성의 경우 단순 상호작용 공간 구축은 잘 되어 있었으나 실제 답변이 요구되는 게시판과 Q&A/FAQ 공간은 분석 대상의 50%만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게시판과 Q&A/FAQ 모두 그 공간에 게재된 모든 글에 답변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았다. 요약하면 모든 축제가 형태상으로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온라인 홍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실제 운용성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상호작용성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새로운 온라인 홍보 통로로 많이 논의되는 SNS의 경우에는 분석 대상 축제 36개 중 14개 즉, 39%가 활용 중이었으며, SNS 유형 중 페이스북 활용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트위터의 순이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이용자 수가 적어 아직 축제의 SNS를 활용한 홍보는 초기 단계의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실제 축제의 온라인 홍보를 담당하거나 이와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한 결과, 그 문제점으로 오프라인 시대의 홍보시스템 존속, 온라인 홍보를 위한 전문 인력 부재, 그리고 SNS 특성과 기능에 대한 담당자들의 낮은 이해 등을 들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에 맞는 홍보시스템 도입 및 구축, 온라인 홍보 전문 인력 확보 및 교육, 홍보 기간 재설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온라인 홍보에 적극적인 축제들을 사례 분석한 결과에서도 다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앞으로 디지털 환경의 발달과 함께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 변화를 반영하는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는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존 홈페이지 중심의 단순한 온라인 홍보보다는 SNS까지 홍보의 범위를 넓히되, 형식상 도입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이들 온라인 매체의 특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홍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 전환과 투자가 요구된다.

      • 메타평가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사영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에 대하여 메타평가를 통한 평가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의 개념을 가진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실행하였다. 왜냐하면, 문화관광축제 평가가 진행된 10여년 동안 대내외 적으로 끊임없이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되어 왔고, 그 근본적인 문제를 찾기 위해서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에 대한 일부분이 아닌 평가체계 전반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메타평가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를 평가환경, 평가투입, 평가수행, 평가활용측면 등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문화관광축제에 적합한 메타평가 평가모형을 설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자, 피평가자,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동시에 문헌연구 및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문화관광축제에 대한 메타평가 결과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영역에 대한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먼저 평가환경 영역에서는 축제 평가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알리며, 이를 위해 문화관광축제의 등급별로 각각의 발전방향을 명시하고, 그에 따른 축제 평가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평가투입 영역에서는 축제의 자료와 평가인력에 대한 개선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중앙단위 평가관리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집단과 방문객 의견을 반영을 통해 개선의 여지가 주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평가수행 영역에서는 평가지표별 비율을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을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평가결과를 정리한 종합평가보고서에 대해서도 평가내용과 평가과정 등 내용적인 부분에서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평가활용 영역에서는 축제 평가의 컨설팅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을 제시한 바, 담당 컨설팅팀 조직과 평가 결과에 대한 관계자 포상 관련 제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방안은 평가체계 전체적인 체계에 대한 거시적인 제언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충실히 다루지 못한 부분들은 후속연구에서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전라남도 문화관광축제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안순이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문화관광축제는 전통문화와 독특한 주제를 배경으로 한 지역축제 중 관광상품성이 큰 축제를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외래관광객 유치 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본방향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최근의 문화관광축제 평가 보고서를 보면 관광객들이 단순히 보는 관광보다는 직접 체험하는 관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전략으로 문화관광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그리고 지역별 축제추진위원회는 공동으로 기획하여 축제의 본질과 지역 전통문화의 주체성 유지에 바탕을 두고 관광객 참여형 축제로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문제점은 첫째, 관광수용여건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관광안내소나 주차장, 숙박시설, 휴게실, 화장실 등의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둘째, 축제의 운영·관리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축제의 개최시기가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축제를 매력있는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고 상품화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우 아래로부터 자생적 축제이기보다는 인위적인 축제가 대부분이어서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구조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셋째, 축제의 지역특성화의 문제이다. 각 축제들이 처해 있는 여건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축제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는 획일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지역성이 결여되어 있다. 넷째, 축제의 재정적 문제이다. 물론 예산이 적다고 해서 반드시 축제의 질적 수준이 떨어진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축제의 내용과 예산은 비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축제예산이 상급기관의 보조금 의존도가 매우 높고 공공부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축제의 자생적인 발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본 문제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수용여건의 개선을 들 수 있다. 먼저 안내시설을 체계화시켜야 하며 편의시설·서비스의 개선을 해야 한다.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사 자체를 위한 준비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관광수용여건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운영·관리의 체계화이다. 이를 위해서 지역관광업계와의 효과적인 연계를 이뤄야하며, 홍보전략을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적 축제의 주제 설정시 중심주제가 뚜렷하여야 하며 독창적인 이벤트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관광성수기에 집중되어 있는 축제의 개최시기를 조절해야 하고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벤트의 중요성 및 효과를 교육, 설득시키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게끔 해야 하며 축제의 기회, 운영, 홍보 등 축제를 체계적으로 통제 조정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방문객시장에 대한 사전분석이다. 방문객들의 여행형태에 대한 분석은 축제의 공급자 입장에서 축제를 운영·관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표적시장을 정확히 파악하여 분석을 토대로 행사 프로그램이나 축제의 기획 전략에 반영한다면 효과적인 축제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다. 넷째, 재정확충의 다각화를 꾀하여야 한다. 따라서 축제와 관련있는 민간업체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협찬 및 지원을 통해 기부금을 확보하고 상품 매장의 일부분을 민간기업에 배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민간업체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역사를 반영하고 지역민의 삶을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모색 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역색이 풍부한 개성있는 문화창조를 통해 궁극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의 시간과 공간에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축제의 주제와 특성에 따라 발전방향에 대해서 차별화가 되어야한다. 모든 지역축제에 다 같은 문제점이 있을 수는 없고 또 문제점에 대해 다 같은 해결 방안을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문화관광축제의 성격에 따라 축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의 문화관광축제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does peculiar tradition culture and subject to the background. The product among the area festival selects big festival and the concentration is rearing and put the basis direction in an tourist detention increase and area economy activation and are propeling. The tourists of recent days have been revealed that we prefer the sight-seeing to experience directly. A government and each groups plan together to the strategy according to this and we are based on an independence hold with the true nature and are pursuing the switch to an involvement festival. The problem to deduce the investigation result to the natural disposition. First, we are properly the sight-seeing reception condition the thing not to be equipped. The sight-seeing information center, the convenience equipment of the lounge the lodging equipment Station back of the rest room is not equiped properly. We can raise first the problem of the festival of the operation. The gaechoisigi of the festival is concentrated and the effort to develop to charm sight-seeing resource lacks the area festival. Also, the involvement of the area inhabitant is lacked. We are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a third area does not exist. The condition which each festivals are in unfavorable position is different each other regard then the structure of a festival program is similiar. It is the problem on financial of a fourth festival. It can not say that a qualitative level falls off because the estimate writes of course. The estimate is generally proportional with the content of the festival but. As well a festival estimate's subsidy dependence of the upper class engine is very high. And the development of the festival which is for oneself is depending absolutely on the public section and is impossible. We are as follows if we look into an activation plan about the problem which sees in there. We can raise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sight-seeing reception condition and must formulate a system first the guidance equipment and must do the improvement of the convenience equipment. The improvement of general sight-seeing reception condition must be supported as well as readiness for an event oneself. We are the officer of a second operation. We must efficient link of an area sight-seeing industry and improve the relation strategy for this besides the center subject must be clear and must make effort on an event development which is the creative. We must adjust the date of the festival and the education must order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event with area inhabitants. We must do so that we induce spontaneous involvement execute the program to persuade and need the expansion of a telegram manpower which the control can modify the festival systematically. We are the dictionary analysis about a third visitor market. The analysis about the travel form of visitors becomes important data in managing the festival therefore a festival activation grasps the objective object market and will be possible if we reflect at a planning programming and budgeting system strategy of the festival. We must do a finance expansion through the consent of a fourth company of the province government. Consequently must reserve the contribution to induce the involvement of the festival and private company to be related and do the division at the private company the one part of a product burial and need to induce the involvement of the private company. The area festival reflects the history of the area and must be groped to the direction to materialize the life of inhabitants. We need careful with the time of the area festival at the space plan for it. The distinction need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festival and characteristic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We can not have the problem all same at all area festival and can not apply same solution plan all about the problem. They must deduce the problem of the festival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a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and we present the plan to solve and must develope th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of the area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