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수준별 문학 교육 방법 연구 : 6학년 이야기교재 수업을 중심으로

        김승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이 2000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시행된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그 때마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표방하는 목표와 방향이 있기에, 그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요구하게 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을 표방하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다. 그러므로 새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패러다임을 반영한 초등학교 수준별 문학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제6차 문학영역의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또한 본고가 제시하는 학습활동 중심의 수준별 문학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이론 중에서 반응 중심 문학교육 이론을 수용하고, 아울러 구성주의 패러다임으로 접근한 문학교육의 실천적 방법인 통합교육과 전체언어적(총체적 언어) 관점을 수용하였다. III장에서는 수준별 문학교육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문학영역에서의 수준은 자로 긋듯이 분명하게 나눌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고 보고, 수준별 교육은 편성이 아니라 운영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방법을 제안하고, 제7차 문학영역 교육과정에서 부각된 '문학의 수용과 창작'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반응 표현 활동을 통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학습활동들은 문학 감상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 반응활동이며, 이와 같은 모든 절차를 바탕으로 문학영역의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기본과정에서는 학습활동의 다양화로 수준별 학습을 실현하며, 심화과정에서는 학습자료와 학습활동을 스스로 선택하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함으로써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 구안한 모형을 바탕으로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 교재 수업의 실제를 보였으며, 평가의 방향도 간략히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은 바로 수행평가의 모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정 중심의 수행 평가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보았으며, 그동안 소홀했던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제대로 함으로써 평가의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완전한 방법적 연구가 아닐지라도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한 수준별 문학교육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A revised 7th education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gradually from March 1st of the year 2000, which initially shall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um has its own goal and direction, it demands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orrespond to the change.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f 'level education' was designed for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refore, at this time the development of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 are very essential. Based upon "above understanding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ethod of level liter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hich reflects the paradigm of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problems raised in the literature area of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examines 7th education curriculum which constitute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mo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s, by the adoption of response-based literature instruction theory which is conducive to liter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view of whole language which the paradigm of constructivism pursued, the foundation of level literary education this thesis suggests has been prepared. The three chapter develops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level literary education. Because the level in the literature area cannot be divided sharply, level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not by a matter of pooling, but by a matter of operation. This chapter also suggests learning method of focusing on learners' activities. The reflec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literature' emerged in 7th education curriculum makes it possible to do individual learning through diverse response writing activities. These learning activities are such response ones aiming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appreciation ability. Based upon these procedures, by level teaching - learning model was created. The basic course diversifies learning activities, and the intensive course focuses on level learning by self-centered learning which one chooses learning data and his own learning activities. The fourth chapter shows the practical lessons for six grade in elementary school under the derived model in the chapter three and suggests the way of evaluation in brief. In this chapter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cess-centered looks desirable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balance of evaluation by evaluating fairly appreciative area which was somewhat ignored during past years. Although this study is not such entire methodological one, this would be very helpful in realizi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which takes consideration of each learner's ability and interest, and which 7th education curriculum pursues.

      • 친일문학 및 친일문인 교육 연구

        정시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그동안 국어교육에서 친일문학과 친일문인에 대한 교육이 오랜 기간 동안 공식적으로 가르쳐지지 않았음과 그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여 친일문인과 친일문학에 대해서 표면적으로나마 가르쳐야 하고, 그렇게 교육을 시행함이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 검인정 절차를 거친 11종 『문학』교과서에 실려 있는 문학 작품들 가운데 친일문인의 작품과 저항문인의 작품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친일문학 및 친일문인 교육을 하게 되었을 때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들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을 보았을 때, 현재의 상황에서도 친일문인과 친일문학 교육이 충분히 가능함을 보았으며 나아가 교육과정의 세부내용 성취에 있어서도 도움이 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한편, 그에 따른 『문학』교과서들을 살펴보았을 때, 친일문인의 작품들이 저항문인의 작품만큼 실려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친일문인과 그들의 작품들이 문학사적 위치, 문학적 권위, 성취 등으로 인해 정전성을 획득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 정전성으로 인해 매우 오랜 시간 동안 학생들에게 계속해서 가르쳐지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친일문학 및 친일문인 교육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과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교육이 행해진다면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친일문학 및 친일문인 교육의 교육적 효과로 문학사 교육 목표 구현, 문학적 학생 선택권 정립 및 보장, 친일문인의 정전성 논의, 비판적 문식성 신장, 작가론적 접근의 교육적 가치 고양에 있어서 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현재 영교육과정으로 제시되고 있는 친일문학 및 친일문인에 대한 교육이 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해 공식적으로 가르쳐져야함과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들을 이론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국어과뿐 아니라 친일문제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야하는 역사과 및 음악과와 미술과등 다른 교과의 친일문제 교육에 있어서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장르 맥락에 따른 현대소설의 영상서사 각색 활동 연구 : 2007~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교과서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김정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의 각색 활동에서 현대소설이 영상으로 각색될 때 맥락을 반영한 구체적인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색 과정에 관여하는 맥락 요소를 규정하고, 이들의 관계에 대해 밝혀 각색 활동에서 맥락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서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학습자의 태도가 요구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서사 읽기에서의 맥락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장르 지식에 대한 탐구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맥락이 장르 지식으로서의 위상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2007개정 국어과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맥락의 개념과 하위요소를 살피어 문학의 수용과 생산에서의 맥락의 기능을 규정하였다. 맥락은 각각의 특성을 내재하여 각색 활동에서 영상서사의 해석의 층위와 생산의 층위에서 상호 교섭하며 작용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각 텍스트에 작용하는 맥락들을 고려하여 비판적 서사읽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창작을 해야 함을 밝혔다. 이상의 고찰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2011 검정 교과서 "문학Ⅰ" 13종, 2013 검정 교과서 "문학" 11종, 2018 검정 교과서 "문학" 10종 내 소설의 영상으로의 각색 활동 양상을 분석하고, 그러한 작용양상의 결과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였다. 우선 각색 활동 양상을 살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색 활동을 위한 지식 자료로써의 맥락을 충분히 제공하였는가. 둘째, 영상서사 해석에서 생산 시점의 맥락을 반영하여 학습활동을 구성하고 있는가. 셋째, 학습자의 수용 시점의 맥락을 반영한 능동적 생산을 위한 학습활동이 구성되어있는가. 먼저 지식 자료의 제공은 각색 과정에 관여하는 장르 맥락이 구체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1 검정 교과서 "문학Ⅰ"은 장르 특성에 대한 지식을 다루었다. 2013 검정 교과서 "문학"은 장르 특성에 대한 지식과 함께 장르의 생산 주체의 태도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 2018 검정 교과서 "문학"은 맥락 간 관계에 대한 자료를 발견할 수 있었지만, 미미한 수준이었다. 다음으로는 장르 이해 활동이 작가 맥락의 해석으로 확장됨을 확인하였다. 2011 검정 교과서 "문학Ⅰ"은 서사방식 비교를 통해 장르별 특성을 발견하는 이해 활동이 대다수였으며, 2013 검정 교과서 "문학"은 수용 측면에서 장르 특성의 심미성을 강조하는 이해 활동으로 나아갔다. 2018 검정 교과서 "문학"은 작품의 생산 의도를 유추를 통해 장르 특성을 이해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산 활동의 경우, 2011 검정 교과서 "문학Ⅰ"은 생산자로 몰입할 수 있는 과정이 단순화 된 활동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3 검정 교과서 "문학"은 학습자에게 생산자의 역할을 부여하여 각본을 기획함으로써 능동적 태도를 유도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2018 검정 교과서 "문학"은 각본의 연출 측면에 한정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학습자의 수용 시점의 맥락을 반영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정 교과서별 변모 양상을 바탕으로 소설교육에 있어 각색활동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영상서사 해석에 필수적인 영상 언어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원작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를 스토리와 담론 층위로 나누어 원작과의 변형, 첨가, 삭제된 지점을 찾고, 소집단별로 각 텍스트의 생산 시점의 맥락을 탐구한 후 이를 고려하여 해석할 수 있다. 각 서사에 작용하는 맥락의 차이를 반영하여 영상서사를 해석함으로써 장르에 대해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생산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소집단별로 작품을 접하는 수용 시점에서의 맥락들을 원작과의 차이 속에서 탐구하고, 이를 반영하여 서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는 영상 언어로의 표현으로 연계되며, 서사를 재구성한 것과 같이 미적 목표와 가치적 목표로 분류되는 생산자 의도에 작용하는 맥락을 반영할 수 있다. 이후 직접 촬영하고 편집하여 결과물을 완성하고, 맥락의 의미구성에 관해 상호 점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의 소설 장르가 다른 미디어 문화콘텐츠와 교섭하면서 관여하는 맥락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서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문자서사와 영상서사를 넘나드는 서사능력을 기르고 서사문화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는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scrutinize how context is related to concrete aspects when modern novels are adapted into images in the adaptation activities of high school literary textbooks. To this end, we specified the contextual elements involved in the adaptation process and disclose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arriving at the conclusion that learners are required to critically accommodate narrativ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context in adaptation activities. Chapter II looked into how context functions in narrative reading. By going over the direction of quest for genre knowledge, we found that context has the status as genre knowledge, and defined the function of context in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by examining the concepts and sub-elements of the context of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Since context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interpretation and production of video narratives in each adaptation activity, learners should read critical narratives and stay creative based on them,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s acting on each text.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Chapter III analyzed the pattern of adaptation of the thirteen literary works within the 2011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I”, eleven literary works within the 2013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and ten literary works within the 2018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results of such interacting patterns. To begin with, the criteria for examining the aspects of adaptation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ly, is the context sufficient as a knowledge resource for adaptation activities?, secondly, does the learning activity fully reflect the contex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video narrative?, and thirdly, does the learning activity for active production reflect the context of the learner’s acceptance poin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xt of the genre involved in the adaptation process has been materialized. The 2011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I” covered knowledge of genre characteristics. The 2013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provides not only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but also the attitudes of the producers of the genre. The 2018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was able to find data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xts, but was insignificant. Next, it was confirmed that genre understanding activities were extended to interpretation of the author's context. In 2011, the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I” was mostly understood by genr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narrative methods, and the 2013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went to an understanding activity that emphasized the aesthetics of genr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ceptance. The 2018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rough analogy with the production intention of the work. Finally, for production activities, the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I” confirmed that there was an activity that simplified the process of being immersed as a producer. The 2013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was confirmed to consist of activities to induce an active attitude by giving learners the role of producers. The 2018 authorized textbook “Literature” is organiz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directional aspects of the screenplay,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reflecting the context of the learner's acceptance point. Based on the transformation pattern of each textbook,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daptation activities in novel education was sought. First, it i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video language, which is essential for interpreting video narrative. Based on this, the original text and the video text can be divided into stories and discourse layers to find the points of modification, addition, and deletion compared with the original, and each group can explore the context of the production point of each text and interpret them in consideration of this. By interpreting the visual narrative by reflecting the differences in context acting on each narrative, produc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 Contexts from the point of acceptance in which each group encounters a work can be explored and the narrative can be reconstructed to reflect th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his is linked to the expression in the video language, and can reflect the context acting on the producer's intention, which is classified into an aesthetic goal and a value goal, such as reconstructing a narrative. Afterwards, you can shoot and edit it yourself to complete the results, and check each other's meaning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text in which the novel gen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other media and cultural contents, an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narrative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purpose of education that develops narrative skills that go back and forth between learners' text and video narratives and draws interest in narrative culture.

      • 김원일 분단소설과 문학교육 : 「어둠의 혼」, 「노을」, 「불의 제전」을 중심으로

        안우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김원일은 유년시절 직접 체험한 6.25 전쟁과 그로 인한 분단의 상처 등을 소재로 삼아 자신의 작품 세계를 꾸준히 심화·확장시켜온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김원일의 분단소설에서는 전쟁을 체험한 소년 화자의 육체적·정신적 상처. 성장과정에서의 의식 변화, 더 나아가 역사적 정황도 살펴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기 체험의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분단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김원일의 작품들을 문학 교육과 연관시켜 연구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문학 교과서에는 전쟁으로 인한 고통과 상처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주제화한 작품들이 많이 실려있다. 그러나 통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학생들이 문학 교과서에 실려있는 분단소설을 제대로 이해한다는 것은 힘든 일일 것이다. 이 점에서 소년 화자 시점을 사용하고 있는 김원일의 분단소설을 주목한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는 전쟁의 직접 체험을 소년 화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어둠의 혼」 만 실려있지만, 여기서는 더 나아가 「어둠의 혼」 을 확대시켜 극복의 의지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노을」 과 다양한 인물들을 등장 시켜 분단현실을 총체적으로 다룬 「불의 제전」 을 선택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 세 작품 「어둠의 혼」 . 「노을」 , 「불의 제전」, 의 전개 양상을 통해 김원일의 분단소설이 문학교육에서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분단문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바람직한 분단문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일인칭 소년 화자 시점을 채택하여 쓴 「어둠의 혼」 과 「노을」 을 통해 학생들은 전쟁이 남겨준 비극과 상처를 깨닫게 된다. 순진한 소년의 시각으로 전쟁을 바라보았기 때문에 이데올로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으면서도 이데올로기 대립의 참상을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이다. 「어둠의 흔」 과 「노을」 에서는 분단의 상처가 잊어버리거나 도피해야 할 것이 아니라 극복해야 할 과제임을 학생들��시사해주고 있다. 작품에 드러나는 이러한 작가의식은 학생들��남북 분단의 비극을 더 큰 사랑으로 껴안아 극복하자고 말해주는 것이다. 이 두 작품에서 심화·확대된 「불의 제전」 에서는 삼인칭 전지적 작가시점을 택하여 다양한 인물들을 등장시켰다. 학생들은「불의 제전」 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와 역사적 정황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회 또한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분단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적인 생각과 남북 이원화 등의 문제점을 분단의 극복 혹은 갈등의 해소에 초성을 맞추어 교육하는 것은 학생들��꼭 필요한 작업이다. 분단문학을 교육하는 데 있어 분단에 대해 다양한 문제의 식을 지닌 작품들을 선정하는 것은 바람직한 분단문학교육을 위한 기본 전 제이다. 이 점에서 김원일 분단소설이 갖는 의미는 크다. 학교에서 학습한 문학교육에 따라 학생들은 현실에 대한 인식은 물론 가�奐沮層�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일에 대한 인식이 희박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학생들��문학을 통해 분단문제에 대한 관심과 분단 극복 의지를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Wonil Kim is being evaluated as the author who has constantly deepened and expanded his own world of works with the Korean War directly experienced by him in his infancy and the wound of division due to it and so on as the subject mattes. In his division novels, it is characteristic that one can examine the physical and spiritual wounds of a boy speaker experiencing the war, the changes of his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his growth, and, furthermore, also the historical scene. They have the limit of not Setting out of the stage of his experience, but it is very meaningful to study his works in connection with literary education in the reality in which division continues. In literary textbooks are many works making sufferings and wounds due to the war subjects in various ways carried. However, it will be hard for the students with insufficient recognition of unification to properly understand the division novels carried in the textbooks. In this respect, I Pay attention to Wonil Kim's division novels using a boy speaker's point of view. In the literary textbooks of high schools is only 'The soul of darkness' seeing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war from the perspective of a boy speaker carried, but, furthermore, here, I chose 'Dusk' expanding the work and clearly showing the will to overcoming the division and 'The festival of fire' dealing with divided reality generally by having various characters appear and made them the objects of analysis. In this thesis, through the developing aspects of the three interrelated works of 'The soul of darkness', 'Dusk', and 'The festival of fire', I have examined what meaning his division novels can have in literary education. Furthermore, I wanted to seek for the problems of educating division literature peformed in school fields, and look for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ng the literature. Through 'The soul of darkness and 'Dusk' written by adopting the point of view of a boy speaker of the first person, students come to perceive the tragedy and the wounds left by the war. Since they saw the war from the perspective of a naive boy, the works could show the disastrous scene that ideologies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out directly taking up the problems which ideologies itself have. 'The soul of darkness and 'Dusk' suggest to students that the wound of division is not the thing to have to forget or evade, but that it is the task to have to overcome. Such consciousness of the author's which is revealed in the works tells the students that they should embrace with greater love the tragedy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and overcome it. 'The festival of fire deepened and expanded in these two works chose the point of view of an omniscient author of the third person and had various characters appear. Through 'The festival of fire', students can have the opportunity that they can recognize the historical scene generally as well as the one that they can experience various lives of characters. It Is the working just required to students to educate the problems of the fixed thought about the division, making South and North Koreas heterogeneous and so on by focusing on overcoming the division or dissolving the conflict. Selecting the works with various problematic consciousness about the division in educating division literature is the basic presupposition for desirable education of the literature. In this point, Wonil Kim's division novels have great meaning. According to the literary education learnt in schools, students can have different values as well as different recognition for re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out in that students are made to have the concern with the problem of the division and the will to overcoming the division through literature in the reality in which the recognition of unification becomes scarce.

      • 高等學校 文學敎育에 있어서 口碑文學 敎育의 問題點과 改善方向에 關한 硏究

        김연수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의 한 분야인 口碑文學 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현장 교육은 교육과정 운영상 교수 학습의 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를 받는 특성을 감안, II장에서는 口碑文學 교육의 목표를 논의하고, III장에서는 교육과정 운영면과 현장 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종합 口碑文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IV장에서는 개선방향 제시를 위하여 이에 대한 이론 정립과 口碑文學 교육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口碑文學 교육에 대한 이론은 아직 입론 단계에 머물러 있다. 문학 교과서에 口碑文學의 제재 수록 상황도 영세하고 교수 학습 역시 독해 중심이나 문헌 자료에 그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口碑文學은 개인과 집단의 共有적 想像과 體驗의 확대 재생산으로 학생의 창작력 배양과 口演 話法 신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르이다. 현대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분석, 종합, 응용력을 높이는 데는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效用이 큰 분야이기도 한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현장의 口碑文學 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서는 무엇보다도 교사, 학생의 口碑文學에 대한 認識과 태도 중요하다는 반응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口碑文學교육에 대한 이론 정립도 학생 스스로가 口碑文學에 참여하고 體驗을 확충하는데에 두어야 학생이 삶의 총체성을 체득할 수 있게 되어 진다.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口碑文學의 제재에 대해서도 친근하게 접근하기가 어렵고 단편적이라는 견해가 있는데 이는 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보완해야 될 내용이다. 학생 개인의 수준과 요구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원리를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향토 사회의 자료를 활용하는 방안, 교재에 준하는 학습 자료의 제시 등의 교육과정의 광역화도 검토될 만하다. 학생이 자율적으로 口碑文學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제공하는 학습 모형으로서 사례, 과제별로 전과정에서 구조와 유형을 탐색 재창조해 간다면 口碑文學 교육의 本領에 접근하는 방법이 여기에서 제시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improving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oral literature which is a branch of literature curriculum in high schoo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the field education is directed about teaching, goal of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o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chapter II discusses the goals of the education of oral literature and chapter III examines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field education by questionnaire and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o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chapter IV discusses the establishment of theory and direction of oral literature education to suggest the improving directions. The theory of oral literature education is still in the level of argument. Inclusion of the oral literature on the literature textbook is insufficient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 carried out centering around reading and are limited to the literary materials. The oral literature is a genre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and to extending the oral narration due to the extension and reproduction of common imagination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 and group. The effects of potential curriculum are important to enhance the powers to analyze, generalize and apply which the modern socienty requires. As the result of questionnaire, the 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oral literature of teachers and students are important as the device for improving the oral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when the establishment of theory of oral literature is accompanied by the participation and extension of experiences of students in the handigng down of oral literature, the wholeness of life can be obtained. There are opinions that it is difficult for us to approach to the themes of oral literature collected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ey are too fragmentary, and it should be complemented. The various learning principles should be originally applied considering individual level and requirement and the device utilizing the materials of local society,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s suitable to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extens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examined. If the learning model which can offer the time and place students take part in the handing down of oral literature voluntarily can be developed, the methods that approach the original nature of oral literature education which can explore and recreate the structure and style in the whole process by cases and tasks can be suggested.

      • 문학교육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경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교 문학교육이 학습자의 창의‧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창의‧인성교육 중점 요소를 추출한 후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문학수업을 설계하고, 성북구 소재 개운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여섯 가지 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후 해당 수업을 받은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응답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문학교육과 창의‧인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문학수업을 통해 함양되는 창의‧인성교육 중점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문학교육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의 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첫 번째 시도라는 점에 있다. 기존의 연구가 교육학적 접근에서 국어교과로 충분히 연계되거나 확장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면, 본 연구는 중학교 국어교과의 문학수업을 통해 어떻게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연구 결과 문학교육이 창의성 교육에 적합하다는 기존의 우려와 달리 공감, 배려, 반성, 도덕적 판단력 등 인성 요소를 길러 줌으로써 학습자의 인성 함양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문학교육을 통해 창의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교육연극을 통한 고전문학 교육 방법 연구 : 「홍길동전」 을 중심으로

        윤은종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전문학이 지닌 교육적 성격을 보면, 고전소설은 상상력을 기를 수 있게 해주며, 언어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해 준다. 그리고 문학적 체험을 풍부하게 하고, 조화로운 삶의 태도와 방법을 익힐 수 있게 해 주며, 진한 감동을 주어 정서를 순화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기를 수 있게 해 준다. 또 전통문화를 계승 · 발전시켜 나갈 수 있게 해 주며, 비판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해 준다. 고전문학이 지닌 이러한 교육적 성격을 교육적 측면에서 활용한다면, 올바른 사고력과 상상력을 지닌 인간, 우리만의 특성과 아름다움을 알고 바르게 사용하는 능력을 지닌 인간, 한국적 정서와 가치관을 지닌 인간, 웃음과 재치를 지니면서도 비판적인 안목을 지닌 인간을 육성하고, 전통문화를 계승 · 발전시켜 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금의 고전문학교육은 이런 성격은 무시된 체 교사의 중심에서 지식적인 요소의 주입으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언어의 해독, 장르적 특성, 작품의 구조 분석, 창작과 향유 당시의 상황 등을 암기만하는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고전문학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교육연극을 적용한 고전문학교육을 제시하였다. 교육연극은 연극이란 학습 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배역을 맡아서 연극적 상황의 연출과 실행과정을 경험하고, 이 때 말과 몸짓으로 표현하는 문학 양식의 속성과 본질을 파악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문학 작품을 바르게 이해 · 감상할 수 있는 문학 능력도 함양할 수는 효과적인 수업방법이다. 이에 실제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고전문학작품 중 <홍길동전>을 들어 그 수업방법에 교육연극을 적용해 보았다. 학습자는 연극을 통해 고전작품 속의 인물이 되어 봄으로써 고전작품을 친숙한 것으로 느끼고 흥미를 갖게 된다. 또한 조상들의 지혜와 가치관을 배우고, 민족적 정서와 사상을 이어받아 현 시대에 맞게 재창조 하는 활동이 될 수 있다. 이에 효과적인 고전문학교육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classics have a lot of educational effects. First, they can increase our imagination and linguistic ability. Second, they can make our literary experiences richer. Third, they can help us to learn the harmonious attitude in life. Fourth, they move and purify our hearts. Fifth, we can get a good sense of values from them. Sixth, we can succeed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e by reading them. And finally they can help us to increase our critical ability. If we utilize these qualities in education, we can foster people who have thinking faculty and imagination, people who know our own beauty and character and use them properly, people who have Korean feelings and values, people who have wit and critical eyes at the same time. And we can also succeed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e. However, today's Korean classics education ignores these character and it is being done as a cramming education. Teachers are in the center of education, not students. Teachers just make students memorize the interpretation of unaccustomed language, the character of the genre,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imes, etc. So in this thesis, I indicate several problems of today's Korean classics education and recommend the method of Education Theatrical as an alternative. Education Theatrical is a teaching method that students experience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the theatrical situation by having a role in the play. At this moment they can grasp the essence and character of literary style which is expressed by language and gesture. After all students can cultivate abilitie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ry works correctly. There upon in this thesis, I apply Education Theatrical to 'Honggildongjeon' which is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Learners get to feel familiar with the Korean classics and have interests in that by having a role in the play. And they also learn wisdom and values of our ancestors. In addition, they can succeed our national spirit and recreate it in line with the present time. So I suggest Education Theatrical as an effective method of the Korean classics education.

      • 지역 문학의 교육 방법 연구 : 광주·전남 현대시를 중심으로

        최승권 全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speculate educational methods of regional literature centering on modern poetry of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in order to prepare a base of educational methods of regional literature. When it is considered that our generation with multiple origination is making every effort to revive identity of community cul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s communit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educational methods of regional literature which reflect identities of community people and patterns of their expression. For the purpose, it focused on students-oriented, activity-oriented, curriculum-oriented and definition-oriented thinking activities according to nature and goals of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is to prepare a base for further studies by speculating research on regional literature and education that provide foundations of such discussion. This study intends to decide nature and goals of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by speculating nature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accordingly, seek for practical principle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The nature of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Education to encourage multi-origination is designed to teach common values and attitudes of community villages and prepare identities through literature, which can bring to better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of other communities. Specificity of a region is derived from its distinct tradition in term of cultural science, and it can be expanded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own culture and other people's. Also, it can be said that subjects of a region is correlated with others and communities, and create history and reality of the region. According to nature of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its goals are decided. Reality is represented based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language, society, economy, geography, and culture, and the people who love regional literature can share the same emotion and understanding. Specificity has a meaning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cultivate literary capability based universal values through creative activities. Regional identities are prepared through language as a medium, and can be a literary mechanism that reflects community-conscious nature and national consciousness. Practical principles of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are decided according to its nature and goals as follows: principles of preservation, remembrance, creation and expansion.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protects ecological-environmental elements surrounding authors or their environment from artificial changes. The principle of remembrance creates regional memories. The principle of regional identity provides standards of action, shared recognition, and pride as community people through regional literature. The principle of community reality is created through historical, social and folk properties. The principle of creation indicates that regional literature is created through geographical, historical and folk interaction. The principle of expansion indicates all the processes such as appreciation and reproduction that regional literature is accepted through its educational actions. Also,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principle of many experiences with the same goal. This study provides learning and criticizing for preservation and remembrance, and feeling and enjoying for creation and expansion. It develops a teaching model using compensation for learning, and a teaching model using a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for criticizing. It develops a teaching model of feeling folk emotion for feeling education, and prepares a teaching plan according to the model. Finally, this study presents parodies and low-level creation for enjoying education. 본고는 지역 문학 교육 방법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광주·전남 현대시를 중심으로 지역 문학의 교육 방법을 살펴보았다. 다원화 시대인 오늘날에는 거대 담론의 획일성을 탈피하여 소수의 가치가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을 우리나라 교육의 교육과정이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각 지역 문학 문화와 그 가치를 살리는 교육의 필요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우선 지역화 교육으로서 국어 교육이 실천될 필요성과 국어 교육의 하위 항목인 문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 속에서 지역 문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를 살폈다. 이 때 지역 문학은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현장을 담고 있으며, 지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따라서 지역 문학의 교육 방법은 지역 문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맞춰 학생 중심, 활동 중심, 교육과정 중심, 정의중심적 사고 활동이라는 관점을 취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고는 우선 지역 문학 교육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 문학 교육의 성격은 다원성을 살리는 교육, 지역 사회의 공통적 가치와 태도를 익히는 교육,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교육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지역 문학 교육의 성격은 자신의 사회 문화적 위치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타자에 대한 이해 교육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담고 있다. 왜냐하면 지역적 주체는 타자 및 지역 공동체와의 상호 연결된 존재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문학 교육의 성격은 학습자가 위의 가치 수용을 통해 지역의 역사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창조하는 주체를 교육하는 토대 형성에도 있었다. 이러한 성격에 따라 지역 문학 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현장성의 이해이다. 현장성은 지역의 언어, 사회, 경제, 지리, 문화 등의 여러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지역의 문학 향수자는 이에 동질적 정서와 인식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특수성의 인식과 보편화이다. 지역적 특수성의 인식과 실천이 창조적인 활동을 통해 보편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지역 정체성의 형성이다. 지역의 정체성은 지역 언어를 매개로 지역의 공동체 의식을 담보하며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편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문학 능력을 배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성격과 목표에 따라 지역 문학 교육의 실천 원리를 보존과 기억의 원리, 생성과 확산의 원리로 설정하였다. 보존의 원리는 작가나 작가를 둘러싼 생태환경적 요소를 인위적 변화 없이 지켜내는 것이며, 기억의 원리는 지역 기억을 형성하는 것이다. 형성의 원리는 지역 정체성의 형성 원리와 지역 현장성의 형성 원리로 구분하였다. 지역 정체성의 형성 원리는 지역 문학을 통해 지역인의 행위 규범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형성하는 것이고. 지역 현장성의 원리는 역사, 사회를 인식하여 향토애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생성의 원리는 지리적·역사적·문화적 상호 관계 속에서 지역 문학이 탄생하는 것을 말하며, 확산의 원리는 생성이 이루어진 지역 문학을 교육적 작용을 통해 지역 공동체가 수용하는 감상적 차원과 재창조 차원에까지 이르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 이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동경험 다목표 학습의 원리와 다경험 동목표 학습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교수·학습의 실천 방법은 보존과 기억을 위한 방법으로 알기와 따지기를, 생성과 확산을 위한 방법으로 느끼기와 즐기기를 제시하였다. 알기는 보상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따지기는 인지적 도제 이론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느끼기는 향토적 정감 느끼기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즐기기는 패러디와 낮은 단계의 창작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