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김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실천철학자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한 동물보호를 위한 논의가 아니다. 싱어는 『동물해방』에서 다음과 같은 윤리적 논의를 전개해간다. 첫째, 『동물해방』은 공장식 농장과 동물실험에서 비롯되는 동물착취의 모습을 고발한다. 왜냐하면 동물을 착취하는 형태의 산업구조는 모두 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싱어는 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로 포함시키기 위하여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에 주목한다. 그는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을 ‘쾌고 감수능력’으로 주장한다. 셋째, 동물을 도덕적 범위로 포함시킨다는 의미는 상호간의 이익을 공평하게 여긴다는 뜻이다. 싱어는 이를 ‘이익 평등고려의 원리’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인간이 동물의 이익을 차별하는 태도를 ‘종차별주의’라고 비판한다. 넷째, 싱어는 종차별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실천적 책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가급적 육류중심의 식생활을 채식으로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 이와 같이 싱어의 주장은 단순한 생명윤리의 영역을 넘어 환경생태윤리의 범위로 확장되는 포괄적인 논의주제라고 할 수 있다.

      • 현대사회의 육식관에 대한 중도적 실천방안 모색 : 동물해방론과 불교의 육식관을 중심으로

        신승현(덕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the human life, dietary choices constitute a paramount necessity, directly linked to survival. Advancements in science have facilitated the mas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at, ushering in an era of excessive carnivorous ideologies. Consequently, various forms of vegetarianism have emerged in modern times, and debates surrounding meat consumption persist worldwide. Notably, the intensive production of meat gives rise to numerous issues, including air and water pollution, deforestation, soil degradation, loss of biodiversity, and increased prevalence of livestock diseases. Excessive meat consumption also leads to various chronic diseases and obesity. Moreover, factory farming practices employed to meet the demand for meat involve severe animal suffering. Peter Singer, a proponent of practical ethics, advocates for ethical vegetarianism and animal liberation. He introduces the capacity to experience pleasure and pain as a foundational principle, challenging the traditional criteria for moral consideration based on rationality and language. Singer seeks to blu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Buddhism, with its emphasis on non-harming (ahimsa), has cultivated compassion for animal suffering over tim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Contemplation on meat consumption has been a constant practice in Buddhism, from the early Buddhist doctrine allowing conditional consumption of meat to East Asian Mahayana Buddhism's pursuit of complete vegetarianism through the teachings of compassion and mercy. Peter Singer's animal liberation theory and early Buddhism share common ground in dissolving hierarchical distinctions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empathizing with animal suffering. Both propose strict control over meat attachment as excessive meat consumption damages ecosystem and, in turn, poses repercussions for humans. Therefore, improving awareness and perception of meat consumption is a necessary precursor to address the contemporary issues stemming from excessive carnivorous ideologies. Despite the shared principles, the practicality of Singer's animal liberation theory and Mahayana Buddhism's extreme vegetarianism may face challenges in daily life. Early Buddh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deration and focuses on the attitude towards food rather than the specific types of food. Thus, extreme vegetarianism might not align with early Buddhist teachings, which prioritize self-control of greed rather than setting rigid dietary restrictions. From an early Buddhist perspective,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moderation of indulgence in food and restraint from unnecessary slaughter of animals, rather than the specific content of one's diet. The moderation-centered approach of early Buddhism could offer a practical alternative for contemporary society grappling with excessive carnivorous ideologies. In this context, consuming more than what is necessary for sustenance and causing unnecessary harm to animals through excessive slaughter and meat consumption are viewed as the primary issues. Early Buddhism's perspectiv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one's mindset and attitudes towards food, which may present a realistic alternative in a society entrenched in excessive meat consumption. The comparison of Peter Singer's animal liberation theory, early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s views on humans and animals serves as a means to foster a balanced attitude towards contemporary carnivorous beliefs. While the timing of the formation of these three philosophies differs, and it may be challenging to find a definitive alternative for excessive meat consumption through comparison, their collective insights can offer new perspectives to modern society, particularly as interest in animal rights continues to rise. Additionally, comparing Singer's philosophy with the views of early and Mahayana Buddhism aims to provide a middle-ground perspective for addressing the prevailing carnivorous ideologies pragmatically.

      •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창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3

        싱어는 서구 전통 윤리에서 불가침의 원리로 여겨졌던 인간 생명의 ‘신성함’이란 종 차별적인 개념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진부한 윤리로는 현대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유발되는 새로운 상황에 적절한 윤리적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전통적인 도덕성을 넘어 윤리적인 ‘코페르니쿠스적 혁명(Copernican Revolution) ’을 이루려한다. 싱어는 윤리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을 통해 모든 인간 생명이 신성하다는 것에 도전하고자 한다. 그의 주장과 같이 인간과 동물을 영혼이나 이성의 관점에서 질적으로 다른 존재로 보고자 한 전통적 인간관의 관점은 부정되어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피터 싱어가 제안하는 윤리적 혁명이 정합적인지를 검토하고 현대의 윤리적 딜레마들에 적합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논문은 모든 인간 생명은 신성하다는 기존의 관점이 유지될 수 있다고 본다. 기존의 신학적인 입장에서가 아니라 생태계 속에서 인간이 차지하는 고유한 위상으로 인해 모든 인간의 생명은 동물의 생명보다 존귀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생태계 내에서 유일하게 생태계에 간섭하여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다. 그러한 능력을 지닌 ‘종’으로서 인간은 동물을 능가하는 특별한 지위를 지닌다. 전체를 조율해야만 하는 입장에서 한 종의 동물은 전체를 위한 수단으로 삼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오로지 인간만을 위한 수단으로 삼을 수는 없다. 다른 동물을 인간만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입장은 폐쇄적인데 이는 이성적이지 못하다. 전체를 조망하여 조율하는 열린 이성적 입장은 지구상에서 인간만이 갖고 있다. 이 입장에 선다고 하더라도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가하거나 오직 음식 재료로만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싱어와는 달리 인간과 동물은 차이가 있다는 입장에서 그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적 입장들을 정리하고 그 주장의 근거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려 한다. 싱어는 인간과 고통을 받을 수 있는 동물의 이익을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싱어가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주장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고통 받을 수 있는 감각 즉 ‘쾌고감수능력(sentience)’이다. 그는 감각이외의 지능이나 피부색과 같은 기준을 거부한다. 그러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이 갖는 공리주의적 성질에 따라 인격적인 특성인 지능과 자의식이 있는 존재가 전체를 위해 우선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따라 인간을 동물보다 우선시하지 않을 수 있는가에 관해 고찰해 볼 것이다. 그 다음에 이 논문은 싱어의 인간관을 문제 삼을 것이다. 싱어는 자신만의 고유한 인간관으로 생명 윤리적 문제를 해결한다. 그는 인간이란 개념은 인격체(person)라는 의미로 다시 정의하여야 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인간의 생명을 신성하게 여기는 결정적인 기준은 바로 자의식을 가진 합리적인 인격체이냐 아니냐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싱어가 인격성의 특징으로 받아들인 플레처(Joseph Fletcher)가 제안한 ‘인간성의 지표’(Indicater of Humanhood)의 목록이 인간의 근본적인 특징을 나타내기에는 충분한지에 관해 살펴보려 한다. 즉 자의식, 자기통제, 미래감, 과거감, 타인과 관계맺는 능력, 타인에 대한 관심, 의사소통, 호기심 등을 과연 인간과 동물의 질적 차이의 기준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고찰해 볼 것이다. That a life of human being is scared has an inviolable principle in traditional ethics of Europe since the emergence of Christian religion. which implies that the antiquated ethics cannot suggest a proper ethical measure for whole new situations caused by recent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He aims for ethical 'Copernican Revolution' beyond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flings down the gauntlet to the trite remark, saying "All human life is scared.", through the Corpernican Revolution in moral philosophy. Then, should the traditional view of man, which sees man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brutes in terms of soul and reason, be denied after all? However Peter Singer insists that the principle is nothing but an expression of speciesism. This study sees that the existing point of view in favor of the sanctity of human life can be sustained, which connotes that the life of man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nimal, not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science but the intrinsic position of humankind in the ecological system. Man is the only being with an ability to interfere with and take control of the ecosystem. As a 'species' with such ability, man is in a special status higher than any other animals on the globe. Where the whole is regulated by man, animal of a species may be a means for the whole, but may not be a means for man only. A point of view that sees animal as a means for man only is not only closed but irrational. Besides, an open and rational point of view that looks and controls the whole is only inherent to human being across the universe. Still, it is not about inflicting any unnecessary pains upon animals or using them as solely for food materials. This study contemplates upon P. Singer's idea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t there is an obvious difference between man and animal. In the meantime, this study sorts out the bioethical ideas of P. Singer and takes a critical look on the grounds of such argument. P. Singer says that the benefits of huma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qually with those of animals. What he established as a standard for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was so-called 'sentience', the sense of being inflicted. Apart from senses, he flatly denies any standards like intelligence or skin color. However, an entity with human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lligence and self-consciousness takes precedence over the whole, in accordance with the utilitarian features of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his paper digs into the possibility of animal being put before man pursuant to P. Singer's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hen, it raises a question about P. Singer's view of man. He makes the most of his own view of man to solve bioethical problems, and believes that man should be redefined as 'person'. This is because what determines the sanctity of human life is a question whether man is a rational person with the self-consciousness. It also investigates if Joseph Fletcher's list of 'Indicator of Humanhood', approved by P. Singer a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y, is sufficient to represent the intrinsic features of humankind. That is, this paper shall probe into the possibility of self-consciousness, self-control, future feeling, past feeling, ability to build relationship with others, interest in others, communication, and curiosity being accepted as the standards of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man and animal.

      •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희경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raditional western ethics system has not vested an independent value in animal. The primary limit of tradional western ethics system argues that the capacity for suffering and enjoyment doesn't act a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having interests, and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is hard to receive support of people. We have treated animal as a means to human prosperity, namely material resources for man. Peter Singer names such an anthropocentric attitude the speciesism, and argues that the atttitude should naturally be abandoned. The authority of this assertion resides in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Peter Singer has defended the moral standing of animal on utilitarian grounds. According to utilitarianism, we are to act so as to bring about the grestest possible balance of good over evil, for example, the grestest possible balance of satisfaction over dissatisfaction. Peter Singer's Animal Liberation might afford raising animal intensively in farms or using them routinely in laberatory. Because it might lead the grestet possible blance of satisfaction over dissatisfaction. Thus, Singer's theory might provide a basis for speciesist praction. The essence of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is that a being that has the capacity for suffering and enjoyment has interests and his interests should receive equal consideration. And Peter Singer asserts that the use of animal for food and experimenting on animals should be interrupted, but the present writer will make clear that the production of social agreement with regarding to interruption of these practics is not easy for attainment. In conclusion, I agree with him on point of animal liberation, and he has been gaining support among today's utilitariarist. He tried to convert our attitude and practice and make us to be interested in bigger ecosystem. In other words, he has vestowed value on other species not just on human being, further more, he insisted on unification of reason and practice in terms of animal liberation.

      • 환경교육의 실태와 환경윤리교육의 강화에 대한 연구

        양민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5

        Anyone can feel the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are generalized in our everyday lif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Result of 21st century Nation consciousness'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statistics show that those having a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88.8%, an increase of more than 6% compared that of 5 years ago, therefore these results convey the message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an issue that should be dealt with first above all other things. Even though we decreased the economic development is 89.9%, which is 12%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3 years ago. Respondents stated that economic policy should be treated first among all the other government policies. However, as a result of duplicated results, interest in environment policy ranked the top. This study tried to find various issue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nd the specific teaching method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o search for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environmental ethics at the basis of this change of consciousness. The preexistence consciousness for science and society come to the period of change totally. It is needed Descartes' and Newton's world view of mechanism and dhyana should be changed into world view of holism and non-dhyana. According to the world view of Holism, if some problems happen in one global village, it doesn't affect another place, it can affect the whole world.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eeping the balance of ecosystem, economy and society, a lot of populations live together. Therefore, we should rely on each other and cooperate to survive. In Chapter 2, I studied various issues about the environment that focused on human being-centered Environment ethics, Singer's Theory of Animal Release, Taylor's Life-Centered theory, Holism Environment ethics and Further Ecology. It is necessary that our generation should educate the next generation in order to make them realize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and the phenomenon of the various potential crisis and the new environmental ethics. So I contemplated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environmental ethics in Chapter 3. First, I considere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 divided the basic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schoo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nd society, and schoo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nd then I looked into many kinds of methods of schoo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at would be useful in real school class. Lastly, I researched specific teaching methods of school environmental ethics. First of all, I checked the history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of our country.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is being developed, currently we still have many problems. So I studied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merica, Japan and Germany after considering the systemic problem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problems with the teaching method, and the problem with the chief subject. As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increased, I studied the reinforced way of increased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which is most important. especially, I investigated the device of legalistic, systemic reinforcement, reinforcement way through improvement of contents in environment ethics education,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Reinforcement device through improvement of evaluation, and through the system of environmental teacher training. These days, speedy technological improvement is causing the serious environmental degradation. Furthermore, the original cause for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comes from the lack of ethics and the lack of sense of value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us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by only technical, political, or legalistic aspects. So more original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Thus, the role of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reconstructing our thought and attitude towards the world we live in. We can say that it is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at we need for basic environmental education.

      • 동물 중심 윤리의 초등도덕교육적 의의

        유은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대표적인 동물 중심 윤리에 해당하는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론과 톰 레건의 동물 권리론을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동물 중심 윤 리가 갖는 초등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인간은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중에서 특히 동물은 어떠한 생명체보다도 인간과 가까운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음식, 의복, 노동력, 즐거움 등을 얻기 위해 동물을 이용한다. 이처럼 인간의 이익과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동물을 취급하는 태도에는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이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 우월주의는 서양 전통의 인간중심주의에서 비롯된 다. 서양의 인간 중심적 윤리에서는 오직 인간만이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 싱어와 레건은 이와 같은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면서 서로 다른 도덕적 논리 에 근거하여 동물에게도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였다. 싱어는 공리주의 원리에 따 라 동물의 이익을 인간의 이익과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싱어는 도덕적 고려의 기준을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인 ‘유정성’에 두고, 이익 평등 고려의 원리에 따라 인간의 것이든 동물의 것이든 고통을 동등하게 고려할 것 을 요구하였다. 반면, 레건은 권리이론에 기초하여 인간과 동등한 동물의 도덕 적 권리를 상정한다. 레건은 인간과 동물이 삶의 주체라는 점에서 평등하며 동 등한 내재적 가치를 지니므로, 존중의 원리에 따라 그들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 장함으로써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였다. 인간의 도덕적 고려 대상의 영역에 동물을 포함해야 한다는 싱어와 레건의 동물 중심 윤리는 동물에 대해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던 초등 도덕교육에 시사 점을 제공한다. 초등 도덕과에서 동물은 자연에 포함되는 존재로서 생명 존중 교육 안에서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 사회의 많은 부분이 동물 착취와 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등 도덕교육은 내용과 분량의 측면에서 동물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동물을 인간과 공존 해야 하는 존재로서 존중하고, 윤리적 성찰을 바탕으로 동물과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일은 태도와 가치관이 형성되는 시기인 아동기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동물 중심 윤리는 동물이 인간과 마찬가지로 지각 능력을 갖춘 존재임을 깨 닫게 하고, 동물도 인간처럼 생존할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알게 함으로써 동물 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반성하게 한다. 이러한 동물 중심 윤리는 초등학생들에 게 동물 착취와 이용에 대한 윤리적 반성을 통해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검토하 고 올바른 관계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초등도덕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동물 중심 윤리에 근거한 초등 동물윤리교 육은 아이들에게 우리가 인간만이 사는 곳이 아닌 동물과 함께 공존하는 세상 에서 살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동물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여 동물이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덕적 실천을 도모하고 더 윤리적인 삶 을 살아가게 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동아시아 <손 없는 색시> 설화 비교 연구

        황소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9498

        본 논문은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손 없는 색시> 유형의 설화를 비교하여 내용적 동이(同異)와 의미를 밝히고, 나아가 서구 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문화적 맥락을 구명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12편, 중국 46편, 일본 67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거기에 나타난 여성 통제와 해방, 가부장제와 탈가부장제 등의 문제에 대해 고찰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동아시아 <손 없는 색시> 설화의 유형과 성격에 대해 조망하였다. 이 유형의 설화는 시가축출형(6개 단락)과 시가이탈형(5개 단락)으로 나누었다. 이어서 시가축출형의 성격을 비교해 보았다. A단락은 계모의 음모 방식이 다양하지만 세 나라 설화는 계모의 학대와 부정 누명을 씌우는 화소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조력자의 유무, 손의 절단 공간, 계모의 성격 등의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B단락은 남녀 주인공의 결혼, 은신과 발각 화소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남주인공의 신분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일본 설화의 경우 곰과 원숭이 조력자가 등장하는 화소가 특징적이다. C단락에서 여주인공은 편지조작 때문에 축출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그 내용으로는 여주인공이 비정상적인 아이를 출산한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D단락에서는 여주인공의 손이 물을 통해 재생되는데 그 과정에서 조력자가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은 친어머니와 새, 중국은 도교신선과 동물, 일본은 불교 신불과 동물이 조력자로서 등장한다. E단락에서 남주인공은 장사꾼(한국), 승려(일본)로 분장하여 여주인공을 찾아 나선다. F단락에서 악한 계모를 징치하는 주체는 피해자 여주인공이 아니라 하늘, 신, 남편, 아버지, 아들 등 제3자로 그려진다. 2장 3절에서는 세 나라의 시가이탈형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A단락에서는 한국의 경우 계모의 음식 먹이기, 조력자 이복형제 자매의 등장이 특징적이고, 중국의 경우 친어머니와 간부 적대자 화소가 특징적이다. 일본의 경우 여주인공의 베 짜기 솜씨에 대한 질투가 나타나는데, 이는 시가축출형에 없는 화소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B단락에서는 한국의 경우 남주인공의 신분이 다양하게 그려지고, 중국의 경우 토끼의 조력이 나타난다. C단락에서는 여주인공이 능동적으로 시댁을 떠나는데, 그 이유는 남주인공을 마중 나가거나 친정에 가거나 기도하러 나가기 위함이다. 중국 설화에서는 여주인공의 남편 찾기 과정에서 여성의 주체성이 드러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일본 설화에서는 여주인공이 아이를 돌보지 못하는 것 때문에 자살하려다가 손이 재생된다는 내용이 그려지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F단락의 경우, 한국의 설화에는 쥐똥을 통해 계모의 음계를 밝히는 화소가 있다. 시가이탈형은 여주인공의 능동적인 시가 이탈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시가축출형에 잘 보이지 않는 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들 화소는 다른 설화나 소설 작품에도 등장하는데, 이로써 서로의 교섭 양상과 함께 <손 없는 색시>의 다양한 변이를 확인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세 나라의 설화에 드러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면서 그 의미를 추출해보았다. 1절에서는 여성 통제와 여성 만들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 세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음모 화소는 바로 여주인공에게 부정 누명을 씌우는 것이다. 특히 낙태조작으로 인해 처벌받은 여주인공을 통해 여성의 성(性)과 출산에 대한 인식과 함께 여성의 몸이 가부장제 사회에서 통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손은 성과 관련되는 신체 부위이고, 손의 절단은 상징적인 죽음으로 그려진다. 이는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에게 부과하는 폭력이자 순종적인 여성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2절에서는 동아시아 <손 없는 색시>의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주인공 처벌 화소에서 나타난 가부장의 위상을 살펴보면, 가부장의 권위는 한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중국에서 가장 무능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적대자 처벌 화소에서는 계모에 대한 징치와 아버지에 대한 관대한 태도를 읽어낼 수 있다. 한국 설화의 경우 아버지의 집안이 망하거나 여주인공이 아버지를 모시고 산다는 내용이 그려지는데, 이는 가부장 위상의 약화와 구세대의 가부장권이 신세대에 포섭됨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중국의 몇몇 각편에는 아버지에 대한 처벌과 양부모를 모시고 사는 내용이 있어 기존 가부장제에 대한 반항과 부계 혈연관계에 대한 도전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 설화의 남녀 주인공은 적대자 징치에 대부분 무관심한 태도를 보인다. 이는 일본의 가족제도가 한국이나 중국과 달리 가족의 구성 요건으로 혈연관계를 우선시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동물 조력자의 형상화의 차이에 대해 검토하였다. 한국은 친어머니가 새로 변하는, 여성의 동물되기를 통해 생전에 하지 못한 일을 새의 모습으로 자유롭게 수행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중국의 여러 각편에서는 동물이 은혜를 갚기 위해 사람의 모습으로 변하는, 동물의 사람되기를 통해 여주인공을 도와주는 모습이 그려진다. 일본 설화에서 여주인공은 동물의 외양을 하지는 않지만, 동물과 함께 살아가며 상징적인 동물되기를 수행하고 야생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세 나라의 설화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도전을 드러내고, 나아가 탈가부장화로 이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그려낸다. 이어서 손 재생 화소에 나타난 종교적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은 도교가 개입되고, 일본은 불교가 개입된다. 두 종교는 여성을 차별화하지 않는다. 바로 이 점에서 여성들은 종교적 힘을 통해 가부장제의 질곡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한국 설화에서는 죽은 친어머니가 조력자로 등장함으로써 성모(여신)에 대한 호명이 지속된다. 3절에서는 설화에 나타난 대립적 가족관계와 여성해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주인공과 계모/아버지 사이의 갈등은 수직적 갈등이자 신세대와 기존세대/가부장제 사이의 갈등이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는 남성의 협력이 필요하다. 수평적 동반자에 대한 여성의 강력한 기대가 <손 없는 색시>의 남주인공과 같은 인물 형상, 곧 이상적인 남성상을 창안했다고 할 수 있다. 여주인공은 가족으로부터 두 차례 분리한다. 첫 번째 분리에서 여주인공은 스스로를 야생화함으로써 자기정체성을 확인하며 주체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만들고, 적극적으로 남주인공과 소통하고 유대감을 형성하며 여성해방의 동지를 확보한다. 두 번째 분리에서 여주인공은 자연 속에서 손이 재생되는 기적을 경험한다. 특히 시가이탈형에서 여주인공은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경직된 삶과 가족 관계에서 이탈하여 외부로 향하는데, 이 과정에서 여주인공은 해방감을 느끼게 된다. 이 유형에서 여주인공의 능동성은 축출형에서보다 한층 강화된다. 4장에서는 동아시아와 서구의 <손 없는 색시>를 비교해 보았다. 동아시아 설화에서는 여주인공의 성과 출산의 통제를 통해 가부장제 체제에 대한 불만과 반항을 조절하고 있다. 반면 서구 설화에서는 영유아살해와 같은 특징적인 화소를 통해 여성을 마녀화하고, 나아가 마녀 퇴치를 통해 여성들의 가부장제 체제에 대한 불만을 통제한다. 유교 문화와 기독교 문화의 차이가 동아시아와 서구 <손 없는 색시>의 적대자의 형상과 음모의 차이를 빚어냈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조력자의 기능적 차이를 고찰하였다. 서구 <손 없는 색시>에서 손이 잘린 여성의 구원은 기독교에 있다. 그런데 문제는 기독교가 가부장제를 지지하는 유일신교라는 것이다. 동아시아 <손 없는 색시>에서 여주인공을 조력하는 신불은 유일신도 아니고, 배타적이지도 않으며 여성을 특별히 차별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손 없는 색시>에 나타나는 신성한 조력자들이 가부장제의 극복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는 존재라 할 수 있다면 서구 <손 없는 색시>에 조력자로 등장하는 신과 성자들은 그 가능성을 닫고 있는 존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