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80년대 회화에서 ‘유기적 이미지’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박지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1980년대 후기 현대 회화의 가장 두드러진 양상의 하나인 ‘유기적 이미지(organic image)’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였다. 여기서 ‘유기적 이미지’란 ‘유기(organ)’, ‘유기적(organic)’, ‘유기체(organism)’가 지닌 의미에 근거한 자연 생명체의 속성과 표상을 담은 이미지를 말한다. ‘유기적’이란 사전적으로 ‘생물학적’이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넓은 의미에서 ‘유기체’와 ‘유기적 질서’를 함축하는 개념이다. 즉, 부분과 전체의 상호관련성을 지시하는 유기체적 속성과 생명 자체가 지닌 유기적 질서의 측면을 동시에 내포한다. 이와 같이 ‘유기적’ 의미와 특성을 토대로 하는 유기적 이미지 회화는 자연의 내적 생명성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고, 인간의 의식과 감정의 저변에 흐르는 무의식과 욕망을 표출하며, 그 역동성과 변화를 형상화한다. 유기적 이미지의 회화는 ‘형상과 표현의 복귀’로 대변되는 1980년대의 회화 흐름과 함께 나타났다. 즉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기계적이고 기하학적인 이미지가 퇴조하면서 미완결적이거나 비정형적인 또는 생물 형태적 이미지 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유기적 이미지의 속성을 작품의 동기와 원리로 구현했던 대표적 작가로는 엘리자베스 머레이(Elizabeth Murray),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유기적 이미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들 작품의 형상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는 이들이 유기적 이미지의 속성인 생명체의 ‘살아있음’과 ‘지속적인 변화’를 드러내는 특정한 형상을 선보였기 때문이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유기적 이미지는 각각 ‘생물형태성(biomorphism)’, ‘자동기술성(automatism)’, ‘여성적 감수성(female sensibility)’, ‘환경친화성(eco friendliness)’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생물형태성이란 자연 형상, 즉 동물과 식물 그리고 인간의 구체적인 형상에서 작품의 모티프를 구하고자 하는 경향이다. 엘리자베스 머레이는 자연 형상과 인간의 구체적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생물형태성을 구현한다. 둘째, 우연성이나 자유연상(free association)의 원리를 작업의 바탕으로 하는 쿠사마 야요이는 자동기술법을 작업의 기본으로 하였다. 이러한 태도를 배경으로 그녀는 무의식과 욕망의 세계를 유기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한다. 셋째, 성기 도상학(genital iconology)이나 중심핵의 이미지를 통하여 여성적 감수성의 유기적 이미지를 표현한 작가들 중 조지아 오키프는 유기적 이미지의 확산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녀는 자연현상에서 추상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를 추출하였는데, 특히 식물을 모티프로 하여 분출하는 생명 에너지를 유기적 이미지로 적절히 표현하였다. 넷째,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성을 추구하는 환경 친화성의 유기적 이미지를 대표적으로 구현한 작가인 니키 드 생팔은 임신한 여성이나 지모신(地母神)을 모티프로 환경친화적 이미지의 작품으로 형상화한다. 이상의 네 유형은 각각 독자적인 영역과 특징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내적인 상호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유기적 이미지의 내재적이고 지속적인 생명의 역동성을 담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유기적 이미지는 본 연구자의 작업과 시기, 양식 그리고 정신의 측면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으므로 이들의 유기적 이미지에 관한 고찰은 연구자의 작품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초석이 되었다. 한편 이들 작가들의 작업 형상화 과정 및 연구자의 작업이 지닌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프랑스의 구조의미론자인 그레마스(A.-J. Greimas)가 창안한 ‘조형기호학’ 및 시각적 문법을 다룬 ‘통사 분석’을 방법론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그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네 명의 작가들이 다루고 있는 유기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네 유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 할 수 있었다. 또한 통사 분석의 방법론을 통하여 언어학에서의 문법 체계와 같이, 유기적 이미지에 내재한 규칙적인 속성을 살핌으로써 작품의 구조화 의미를 밝혀내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엘리자베스 머레이의 <항해하는 아기(Sail Baby)>, 쿠사마 야요이의 <꿈속의 잔설(Leftover Snow in the Dream)>, 조지아 오키프의 <칸나 잎(Canna Leaves)>, 니키 드 생팔의 <친애하는 클라리스에게(Ma Ch?re Clarice)> 등의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두 가지 유기적 이미지의 의미층위를 검증했다. 즉, 네 작가의 작품에는 궁극적으로 ‘자연 형상으로부터의 조형적 수용과 비정형성’ 및 ‘자유 의지의 생명력과 미완결성’이라는 유기적 이미지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980년대 유기적 이미지의 기원과 의미층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1980년대 이래 ‘생명성’을 주제로 하여 유기적 이미지의 세계를 일관되게 추구해 온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생명성’연작(1987~2001)을 살펴 본 결과, 본 연구자는 작품 속에서 자연을 유기적 이미지들이 실존하는 모체로 인식하였으며, 그 안에서 내적인 질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생성의 에너지’와 ‘유기적 이미지의 근원’에 대한 탐색이 연구자 작품의 주된 의도였음을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양성적 존재’, ‘원형의 순환’, ‘생성의 의미’로 유기적 이미지를 유형화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1980년대에 부각된 유기적 이미지에 대한 개념 및 이에 대한 회화사적 위치를 밝히고 연구자의 작품 역시 그 연속선 상에 있음을 조형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유기적 이미지가 부각된 현 시기를 기점으로 회화에서는 생명력과 생성의 에너지에 대한 표현이 점차 확산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유기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보편화되리만큼 널리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타당성이 검증된다. 다만 유기적 이미지에 대한 보다 많은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지 못하고 대표성을 띠는 네 명 작가들의 작품과 연구자의 작품으로 제한하고 있는 점에서 그 유형과 의미 분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무용전공생의 내러티브 탐구

        박지숙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bout inquiring examples of educational course, applying experience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concerning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he way of narrative inquiry. For this research, I stated concretely the details which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actually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examined what those experiences mean. In the concrete, I collected materials from three participants in the forms of autobiographical writings, writings of journal, interviews, conversations, daily records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e-mails. And I reconstructed the collected materials by binding stories in the same context which were correspondent with the research issue and finding the subject word that could best explain the contents. As the result, I discuss the experiences that three participants had through the course of educational practice as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hose meanings as follows. Firstly, they were suffering from lots of conflicts and confusions between their teachings and their own abilities as teachers,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practice at the academy for teachers and the reality on the actual spot of school. Secondly,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acquiring experiences not only as dance teachers, but also as gym teachers, or various experiences for both roles. And they felt overwhelmed by the role of a gym teacher than by the other. Thirdly, they widened their understandings on the actual spots of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educational practice. All the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experienced poor instruments and environments for dance and gym lessons on the actual spots of school, and qualities as a teacher, which they hadn't realized, and various roles. And they also had opportunities through which they could understand students. That was impossible through the past learning of theories. Fourthly, they understood that the actual teaching was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for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simultaneously recovered the confidence in teaching through an advising teacher of school curriculum who is an example to them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practice. they realized that the educational practice was the inevitable course of education for those who are about to be teachers and also the absolute opportunity that they could reduce trial and error on the actual posts. As shown above, the narrative inquiry is important research method, not a method for finding the general principle on experiences of the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which we are able to get vivid actual experiences that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on the actual spots of school during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nd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For those reasons, this research would be able to applied as a basic material to diagnose and prescribe with relation to the pre-education in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academy for dance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for teachers.

      • 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지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is an inquiry case on a curriculum carried out by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research investigates experiences of students who specialized in dance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e stated the actual contents of experience concretely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loration was carried out to define what meaning the experiences they have gone through have. In a concrete manner for the performance of this research,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in the forms, such as autobiographic essays, journals, interviews, dialogs, teaching practice diaries, and e-mails, for about seven months from the three participants who had educational experiences at universities or education graduate school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key words which best represent the contents after binding up the stories with the same logical connection that correspond to the matters of this study.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discussion about the experience, which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have gone through as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of socialization process of regular dance teacher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difficulty due to the lots of conflicts and confusion about their own ability and selection of a job after graduation, which were mainly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education received at universities and the reality. It is connected to the fact that the danc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can not play the role of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reality, and the result played a role in hindering the potential growth of the dance students with various capabilities. Therefore, departing from the practical technique-oriented education for dance performance and skills,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efforts to provide academic and educational identity and to help the students identify their own aptitude, course and choose a proper job at the university level is needed.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though the educational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which was designed to cultivate regular dance teachers,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goals separately for each, the major of P.E. education and the major of dance educ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urses. Both educational courses were carried out with priority given to the basic compulsory subject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he level 2 license of secondary P.E. teacher under the common goal of regular dance teacher. As a result, the course for the major of dance education present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established educational goals and the actual educational courses, and it resulted in the lack of the specialty of educational course and the limitation of various educational effects and the capability of regular dance teacher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courses that meet the educational goals to cultiv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regular dance teachers by improvement or partial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graduate schools in the next time. Thirdly,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had been overwhelmed because the courses were centered on P.E. theories at the early time when they entered graduate schools, and the burden was connected to the concern about the practical skills of P.E., so they felt necessity the re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of major practical skills in the cours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They had to under go lots of pressure against the theories related to P.E. they faced for the first time, so they demanded more systematic and organized educational cours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e to face. Therefore, the educational course has to be improved to allow both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P.E. to develop their capability as regular dance teachers by breaking away from the formal educational course ofeducation graduate schools, and above all the P.E. practical skills classes are requested to be improved. Fourthly,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e on-the-job training of teaching was the essential course for preliminary teachers and the absolute chance to understand the actual site of secondary schools as they were experienc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theories and realities. Under th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perceived the limited ability as a P.E. teacher due to the shortage of P.E. practical skills, but they were narrowing difference between theories and realities through the imitation of the guidance teacher in the on-the-job training. So, it is necessary to bring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taining the prior on the-job training program which may provide opportunity to prepare for the actual job-site at schools. As stated in the above conten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an important research method to demonstrate vivid experiences of a dance teacher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o obtain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rather than to seek general principles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diagnose and prescribe the reality of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a dance teacher.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earch provides significant information in building education polices and administrations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직전교사교육단계에 관한 무용전공생들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적용한 교육과정 탐구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이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실제로 경험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그들이 겪은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탐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과 교육대학원의 교육적 경험을 지닌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로 부터 자서전적 글쓰기, 저널쓰기, 인터뷰, 대화, 교육실습 일지, 전자우편 형태로 약 7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부합되는 같은 맥락의 이야기들을 묶어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주제어를 찾아 재구성 하였다. 연구 결과,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로서 연구 참여자가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겪었던 경험과 그 의미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은 졸업 후, 대학에서 배운 교육과 현실과의 괴리로 자신의 능력과 직업 선택에 있어 많은 갈등과 혼란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무용전공생의 직전교사교육 현실에 있어 대학 무용학과가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재능을 가진 무용전공생의 잠재적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용공연과 기능숙달을 위한 실기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무용의 학문적, 교육적 정체성을 갖기 위한 노력과 무용전공생들의 적성, 진로, 직업 선택에 대한 교육이 대학차원에서 요구된다. 둘째, 무용 정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체육교육전공과 무용교육전공으로 교육목표의 성격을 각각 다르게 규정하고 있었지만 실제 두 교육과정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두 전공의 교육과정은 모두 무용 정교사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체육중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전공기본이수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무용교육전공 과정은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와 실제 교육과정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고, 무용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무용 정교사의 역량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의 차기 교육과정 개선이나 부분 개정으로 무용전공생과 무용 정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은 교육대학원 진학 초기, 체육이론에 중점을 두면서 부담감을 느끼게 되며 점차적으로 체육 실기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전공실기에 대한 교육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들은 우선적으로 처음 접하게 되는 체육 관련 이론에 대해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용 전공생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과정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형식적인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무용 정교사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가도록 무용전공생과 체육전공생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체육 실기 수업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 이론과 실제의 분리를 경험함과 동시에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으로 실제 중등학교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회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무용전공생이라는 공통된 특징 아래 체육 실기 능력이 충분하지 않아 교육실습 시 체육교사로서의 능력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지만 실습의 모방상대인 지도교사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혀나가고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학교현장에 대비할 수 있는 사전 실습프로그램을 포함한 직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함이 요구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는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일반화된 원리를 찾기 보다는 무용전공생들이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 현장에서 겪게 되는 실제 생생한 경험들과 경험의 의미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방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과 관련된 교육정책과 교육행정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방자치시대의 장애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장애인 편의증진과 유료도우미제도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박지숙 동덕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를 맞이하였으며, 그에 발맞추어 다른 사회복지와 더불어 장애인복지서비스도 크나큰 변화를 기대하게 되었다. 지방자치제도는 지역 실정에 적합한 지역개발의 활성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 복지의 정착 등으로 인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종래의 사회복지정책은 중앙정부의 정책에 의하여 실시됨으로써 지역 사회의 특성을 도외시하고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욕구에 관계없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장애인들을 비롯하여 사회복지수혜자의 다양한 욕구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했다. 그 동안 장애인복지서비스는 중앙정부의 지침과 지시에 의해 시행되어 왔으며 장애인의 참여와 지역실정에 맞지 않은 정책으로 인해 인간의 기본적 권리차원의 접근이 아니라 시혜적 차원에서 접근했던 것이 사실이다. 장애발생의 원인은 교통사고, 산업재해, 약물 오·남용, 공해문제 등의 사회 구조적인 원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언제나 장애인이 될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고 있다. 세계 각 나라를 살펴보면 정의롭고 건강한 사회는 장애발생과 장애인 문제를 사회적 책임으로 인정하고 장애인에 관련된 모든 책임을 국가와 지방정부가 지고 있다. 우리 사회도 이제는 장애인이 적극적인 완전참여와 평등을 위한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방자치는 장애인복지서비스에 커다란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장애인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을 위해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에서 장애인에게 이미 제공되었거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장애인들에게 생활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장애인복지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서울시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바람직한 방향 설정에 있어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지역통합에 적합한 장애인복지서비스라 할 수 있는 장애인 편의증진과 유료 도우미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인의 접근권과 이동권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내용인 장애인의 접근권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 우리 실정에 맞는 편의시설 점검표를 만들고, 장애인 전용이 아닌 비장애인과 함께하는 겸용의 편의시설을 설치해야하며, 장애인 편의시설에 관한 시민들의 인식을 개선 할 수 있는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 교통권과 관련해서는 버스 및 택시요금 할인제를 도입해야 하고, 이동보조금을 지급해야 하며, 별도로 장애인 편의시설이 정착된 특수교통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도우미 제도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다. 중증재가장애인의 지역통합을 위해서는 공공부조 등 현물서비스가 필수적이지만 이에 못지 않게 중증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가정도우미 제도는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에서는 기존의 민간단체에서 하고 있는 무료자원활동이 아니라 일정정도의 교육을 통해 준전문가 정도의 과학적 지식과 이론을 가지고 중증장애인에게 식사준비, 그릇닦기, 세탁, 청소, 목욕, 쇼핑, 산보 등 유료자원활동가의 양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서울시가 장애인을 위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특히,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지역통합에 적합한 장애인복지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The growth of a society can be measured by prosperity for disabled people. Many disabled people in Korea are still isolated from society and having a hard time keeping their normal lives because of their physical disabilities. Korea now expects a higher quality of social welfare, especially for disabled people, as we start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system should better effect local people with the activation of local welfare programs. The current social welfare system oper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ineffective because it disregards local peculiarities. High percentages of disabilities comes from social structures that we face everyday, such as disasters from work, misuse or overuse of drugs, car accidents and pollution. Many countries maintain social health by responding to the problems faced by disabled and handicapped people. It is time to open eyes to handicapped people in Korea. We need to give equal opportunities and participation to handicapped as normal people have. Thus, the local autonomy system is expected to convert societies.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problems that the handicapped face in Seoul,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of effective and systematic social welfare to improve handicapped life qualities. Finally I suggest securing access and movement for the disabled in society using paid helpers. The problems handicapped people face in Seoul are the inconvenient system of residence registration, the inconvenience of using buildings, roads, and public utilities, the unguaranteed employment and social security, the uncertain homestaying system, the old-minded receptive utility operation, and the lack of specialists for handicapped. I suggest some cures for those problems. First, the access needs to be guaranteed. Seoul needs to figure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utilities and provide public utilities for disabled people as well as advertising to citize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disabled people and their convenience. Also, I propose discounted rate of taxis and operation of disabled-equipped public transportation. Second, paid specialists for helping the handicapped are needed. As volunteers in the past could not take care of serious disabled people efficiently, educated specialists are encouraged. As Seoul faces the local autonomy system, Seoul needs to give more attention to disabled people and provide an efficient social welfare program.

      • 수학학습에서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학습이 수학 불안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학습을 수학학습에 적용했을 때 학습자의 수학 불안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학습이 수학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학습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제천시 J고등학교 1학년 4학급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고 4학급을 2개의 실험집단과 2개의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1 즉,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 학습을 실시한 집단은 일정시간 문제를 풀고 교사가 제공한 채점기준안에 의거 스스로 채점한 후에 본인이 틀린 문항에 대해 왜 틀렸는지 이유와 수정한 오류에 대한 내용을 문항별로 쓰기란에 기록하도록 하였고, 실험집단2. 즉, 자기평가학습만 실시한 집단은 채점만 하는 것으로 하였다. 비교집단의 학생들 역시 실험집단과 동일한 학습지를 제작하여 나누어주었는데 비교집단1 즉, 실제 현장에서 주로 실시하는 평가 후 교사 피드백 제공집단은 일정시간 동안 문제를 풀고 옆의 학생과 바꾸어 교사가 제시한 정답에 맞게 채점한 후 본인에게 돌려주고 많은 학생이 틀린 문항에 대해서만 교사가 풀이를 제공하였다. 또, 비교집단2 즉, 기존의 자기평가관련 논문에서 실험한 방법의 집단은 일정시간 동안 문제를 풀고 문제지에 이미 제시된 채점기준안에 의거 주관적인 채점을 하고 제출한 후 교사가 다시 채점하여 학생에게 돌려주고 학습에 대한 반성을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사후 수학불안점수가 사전 수학불안점수보다 낮아지는 반면, 자기평가학습만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사후 수학불안점수가 사전 수학불안점수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학습을 한 실험집단은 오히려 수학불안이 높아졌다. 둘째, 반성적 사고를 수반한 자기평가학습을 한 집단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what change learners had when they applied self-evaluation learning to their math study,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is learning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o get the aim of this research, I set up two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 First, What influence did the self-evaluation lear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have on their mathematics anxiety? Second, What influence did self-evaluation lear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hav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research were th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of 4 classrooms in Je Cheon city. They were separated from two different groups.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is a Comparative Group. And each group divided into two classes. Experimental Group 1 : Students in this group were asked to solve some math ques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scored them by themselves with an rating scale given by the teacher and wrote the reason why they were incorrect. Finally, they recorded the contents of corrected errors on the writing column for each question. Experimental Group 2 : Students in this group were only asked to score their math questions. Comparative Group students were given the same math questions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olved. Comparative Group 1 : After tests which were normally practiced in the classroom activity, this group students who received teacher's feedback solved some math ques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hanged their test paper with their partner, and scored the questions with correct answers presented by teacher. Then the test papers were given back to the students. Teacher only supplied the explanation of the questions which many students didn't solve. Comparative Group 2 : This group students solved some math ques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questions were the same methods of questions which were experimented on former theses of self-evaluation. After solving the questions, they scored their own test paper with a given rating scale. When they finished the scoring, they submitted their test paper to the teacher. Then the teacher scored the students' test paper again, and gave it back to the students to let the students self-examine their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the following. : First, post mathematics anxiety score of the students in Comparative Group was lower than pre mathematics anxiety score. On the other hand, post mathematics anxiety score of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ho took only the self-evaluation learning was not different with pre mathematics anxiety score. Specially, mathematics anxiety of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ho took self-evaluation lear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were high.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ho took self-evaluation lear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was the highest.

      •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박지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자는 학교교육이 올바른 인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고 이에 초등학교 수학과의 목표가 수학학습자로서의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를 기르는 것임에 초점을 두어, 인성을 삶에 대한 마음가짐이며 교육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인간의 인지적이며 정의적인 특성이라고 정의하고, 올바른 인성을 기르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고려하여,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살펴보고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실태를 알아보며 셋째, 초등수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아본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지를 제작하고 부산시 초등학교에 근무중인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인성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바탕으로 교과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강조점인 인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고, 기존 교과서보다 새 교육과정이 적용된 교과서에 인성 교육적 요소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수학적 의사소통과 문제해결이 많다고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의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인성교육의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는 인성교육에 관한 많은 연수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을 교과교육 적용시키고 있었으나 수학시간에 인성교육을 하는 초등학교 교사는 그리 많지 않았는데 이는 교과내용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올해부터 적용된 1, 2학년 교사는 이와 달리 인성 교육적 요소가 교과서에 많이 반영되어 수업에서 적용한다고 하였다. 수학시간에 실시하는 인성교육의 방법은 주로 학생의 태도와 함께 교과내용과 연결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는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목적을 수학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으로 보고 있으며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가 함양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내용으로 적합한 덕목을 협동, 인내, 공정, 정직, 배려 등이라고 하였으며 이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필요한 덕목이 협동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초등 교사는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자료의 부족과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 교육적 덕목의 부조화 및 교육과정의 이해 부족을 들고 있다. 따라서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 자료 개발이 시급하며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적합한 덕목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인성 교육적 내용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둘째, 수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자료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자는 앞으로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수학학습자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수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아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인재로 성장해 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표집 대상이 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속의 일부 초등학교 교사로 한정되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에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보다 많은 표집 대상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더 정확한 결과와 제언을 바란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 수집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사들과의 면담과 수업의 관찰이 함께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교사의 실제 수업 장면을 바탕으로 보다 세부적 논의가 필요하다.

      •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박지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hild's social behaviors in ecological context.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86 students of 1th and 2th grade, which were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ur questionnaires such as child's Temperamental Scale, Emotional Regulation Scal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cale and child's social behavior were us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child's temperament(activity level) on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However,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democratic, coercive, overprotective)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ssociated with child's emotion regulation. Second, regression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child temperament(activity level) and parenting(democratic, coercive, overprotective) were significant variable associated with child's emotion regulation. Third,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s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s competence of emotion regul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child's aggression, and child's activity level was also significant variable. In addition,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s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s competence of emotion regul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child's withdrawal, and child's approach and activity level were also significant variables.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적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주 효과를 살펴봄과 동시에 이들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밝히고, 각 변인들이 아동의 사회적 행동인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3개 초등학교 1~2학년 아동 286명과 어머니 및 교사들이며, 어머니는 아동의 기질 및 양육행동에 관해, 교사는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관해 응답하였다. 아동의 기질을 평가하는 척도는 Windel와 Lenner(1986)의 개정판 기질차원 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를 번안·수정한 이명숙(1994)의 ‘아동 및 청소년 기질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 양육행동은 박성연, 이숙(1990)과 이미정(1998)의 연구를 토대로 한 임희수(2001)의 연구를 참고로 어머니의 민주적, 과보호적, 강압적 양육행동을 측정하였다.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Goleman(1995), Saarni(1990), Salovey, Mayer(1996)의 연구를 토대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정서지능 척도 중 일부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사회적 행동은 Schwartz, Farver, Chang 그리고 Lee-Shin(2002)의 사회적 위축척도 5문항, Schwartz, Farver, Chang(2000)의 척도를 박혜경(2001)이 번안, 수정한 문항에서 외현적 공격성 5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 및 사후검증을 위한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서조절능력에 대해 기질 중 활동성의 주효과가 나타나 활동성이 높은 아동이 정서조절능력이 낮았다. 그러나 아동의 접근성과 긍정적 정서 및 어머니 양육행동은 정서조절에 대해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활동성 기질은 어머니의 민주적, 과보호적, 강압적 양육행동과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즉, 민주적 양육행동이 낮을 때는 활동성의 정도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민주적 양육행동이 높을 때는 활동성이 낮은 아동이 높은 아동보다 정서조절능력을 더 높게 나타내었다. 또한 과보호적 양육행동과 강압적 양육행동이 낮을 때는 활동성의 정도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의 차이가 나타나 활동성이 낮은 아동이 활동성이 높은 아동보다 정서조절능력을 더 높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과보호적 양육행동과 강압적 양육행동이 높을 때는 활동성의 높고 낮음에 따른 정서조절능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아동의 공격성에 대한 제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변인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며 다음으로 아동의 활동성 기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변인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며, 다음으로 아동의 기질 중 접근성 및 활동성 기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민주적, 과보호적, 강압적 양육행동은 활동성이 높은 아이들의 정서조절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활동성이 낮은 아이들에게는 양육행동이 민주적일수록, 과보호가 낮을수록, 강압이 낮을수록 아동은 더 높은 정서조절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대한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볼 때, 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을 가장 중요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정서조절능력이었으며, 다음으로 공격성에 대해서는 활동성이, 사회적 위축에 대해서는 접근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아동의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적응적인 사회화를 위한 양육방안을 시사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