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을 중심으로

        강석균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Ageing society will be accelerating. And neglected old people will increase. This current of the times makes suicide of the old a potential social issue not a passing by eve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the suicide urge of the old, and examine preexisting studies about suicide urg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ld like sex, age, living area,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marital condition, economic condition, solitude or cohabitation, and children's visit, to find out that whether private depressed condition, exterior social support, mental and social isolation, satisfaction of living influence to suicide urge. The cohabited old and the solitude old were separatedly analyzed, and the research objects were 239 cohabited old and solitude old over 60 year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12.0 statistical method. First,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depression influenced directly to the suicide urge. Also, mental and social solitude except satisfaction of living influenced to suicide urge. Second, whether living alone or not like independence or death of children, divorce or death of the spouse, influenced to the factors of suicide urge of the old. According to solitude or not, the solitude old showed comparatively high or low in all areas (mental and social isolation,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f living, suicide urge) compared to the cohabited old. It meaned that the solitude old had lack of social relation and social support and when these become sufficient, the suicide urge will be diminished. Social support network begins with relation with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nd the old who are in lack of these relations think much of suicide by isolation, depression, lack of social support. Finally the possibility of suicide becomes high. Specially, rural district has few social relation ship in psychological or social point of view and lack of access in geographical and cultural conditions. So social support network is very little and possibility of suicide is high. So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 policy for them.

      •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탐색

        송영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으로 규명하여 독거노인의 자살을 예방하고 사회복지실천의 개입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체계 요인, 가족체계 요인, 지역사회체계 요인을 규명하고, 각 체계요인들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독거노인의 생태체계 요인(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이 자살생각(자살생각 및 자살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대구광역시의 2개구를 선정하여 그 지역의 독거노인 One-Stop 지원센터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분석이 가능한 22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노인의 자살생각으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우울, 자아존중감을 포함하는 개인체계 요인과 가족관계, 가족구조, 생활수준을 포함하는 가족체계 요인, 그리고 사회적지지, 사회활동참여를 포함하는 지역사회체계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통제 변수로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 보호구분, 만성질환 유무, 건강상태를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7.0K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주성분 요인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자살생각 및 자살계획’, ‘삶과 죽음에 대한 소망 및 태도’의 두 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체계 요인 중 우울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이 높을수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체계 요인 중 가족구조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구조에 있어 자식 및 손자녀가 있을수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 요인 중 사회활동의 참여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활동의 참여가 활발할수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의 하위 요인 중 ‘자살생각 및 자살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통제 요인에서는 성별이, 개인체계 요인에서는 우울이, 그리고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가족구조로 나타났다. 즉, 성별이 남성일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이 있을수록 ‘자살생각 및 자살계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의 하위요인 중 ‘삶과 죽음에 대한 소망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체계 요인에서는 우울이, 지역사회체계요인에서는 사회활동의 참여로 나타났다. 즉, 우울이 높을수록, 사회활동의 참여가 활발하지 않을수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은 개인체계 뿐만 아니라, 가족체계 및 지역사회체계의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독거노인의 자살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입전략의 수립에 있어서 개인체계를 넘어 가족 및 지역사회차원에서 다양한 수준에서의 개입이 필요함을 실증적 결과를 통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자살문제에 대한 미시적 차원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서비스로의 방향전환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eco-system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took a comprehensive approach by examining personal system, family system, and local community system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of the study came from elderly in Daegu metropolitan area and the subjects who were registered in One-Stop support cent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is styd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linicians and workers from One-Stop support centers and a total of 222 questionnaires analyzed. SPSS 17.0 was used.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were used, and through those metho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suicidal ide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mposed of two factors including ‘suicidal thinking and planning’ and ‘desire and attitude about life and death’. Second, in terms of personal system factor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scor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other wor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depressed, the more they thought about suicide. Third, within the family systerm fac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who had children or grandchildren tended to have more suicidal ideation that others. Fourth, as a local community system factor, the participation into social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In short, the more actively the elderly living alone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the lower they had suicidal ideation. Fifth,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depression within the personal system factors, and the family structure within the family system factors were significant variable influencing on 'suicidal thinking and planning'. In short, elders with families and high depression showed more ‘suicidal thinking and planning’. Sixth, in terms of 'desire and attitude about life and death'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y were depressed and the less they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the more the elderly living alone thought about suicidal ide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terventions intended to reduce suicidal ide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intervene the personal level, Interventions should be comprehensive and targeted to multiple dimensions including the personal, the family, and the local community system.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It is required to develop comprehensive programs and strategies that cover multiple dimensions. Accordingly, the solutions to suicide problem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made in a broad perspective.

      •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조광근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년기는 경제적 빈곤, 질병, 고독, 상실 등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사건들이 증가하는 반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이나 능력은 저하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스트레스 증가가 노인의 심리에 악영향을 미쳐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많은 사례들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관련요인이라 생각되는 여러 요인들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분석하여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3차년도 자료 중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에 대한 대표성이 있는 자료이며 총 8057명 중 독거중인 노인 316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인구사회학적, 신체적, 정신건강 관련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은 나이가 80대 이상인 경우 60대에 비하여 3.7배 높았고 우울증상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없는 경우 보다 4.9배 높았다.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받는 경우에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보다 8.1배 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즉, 나이가 많을수록, 우울경험이 있는 경우에서,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 자살생각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함의를 갖는다. 첫째, 독거노인들의 스트레스 증가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독거노인 자살예방의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조절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대처 방안의 재강화와 그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대처방안의 탐색이 요청된다. 셋째, 자살관련 기구나 그 밖의 공공기관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자살에 관한 정보공유 및 독거노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독거노인의 건강을 증진하고 자살생각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스트레스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독거노인이 스트레스 덜 받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자살생각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요인들의 분석과 다면적 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을 감소를 시키고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 독거노인, 스트레스, 자살생각

      • 노인의 건강상태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이동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관계를 분석하여 노인들의 자살을 사전에 예방을 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함께 조사한 노인실태조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 가운데 결측치를 제외한 10,07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근거로 연구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평상시 자신이 건강하다고 평가한 노인이 37%(3,727명)였고, 건강이 나쁘다는 부정적 평가는 39.7%(3,998명)로 나타나 자신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노인이 많았다. 자살생각을 해 본 경험이 있는 노인이 6.7%(674명)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13.2%(89명)는 자살을 시행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노인의 우울증을 살펴보면 21.1%(2,125명)의 노인이 우울증을 지니고 있고 여성노인은 24.0%(1,389명), 남성노인은 17.2%(737명)로 나타나 여성 노인이 남성노인보다 6.8%(652명)가 더 우울증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60세 이후 자살생각을 해 본 적이 있는 경우가 6.7%(674명)이었다. 노인의 우울수준은 대체로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변수들 간 관계는 자살생각과 우울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자살생각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노인의 건강상태는 매개변인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건강상태는 종속변인인 자살생각에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노인건강상태와 우울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건강과 우울이 자살생각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계수의 절댓값이 감소하여 노인의 건강상태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제시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은 건강보다 우울 수준을 더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만성질환자에 대한 의료지원 및 요양서비스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빈곤층 노인의 지원대책이 시급하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문제에 적극적, 구체적 관심이 요구되며 특히 건강으로 인한 자살생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s and their suicidal thought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the suicide of elderly people utilizing the secondary source from the 2017 investigation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i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The Ministry and the Institute's investigation targeted 10,073 elderlies, aged 65 or older, which excluded missing values. The analysis of the second source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ly, 37% of the elderly identified themselves as being healthy, while 39.7% evaluated their health as being bad. The majority of the elderly evaluated their health conditions to be negative. 6.7% of the elderly had suicidal thoughts and among that 6.7%, 13.2% attempted suicide. Looking at the depression of the target elderly, 24% were female and 17.2% male. Secondly, 6.7% of the target group, 673 elderlies, contemplated suicide after 60 years old. The scale of their depression was at an average level. Except for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the target group displayed negative (-) effects in all other variables. Last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s and suicidal thoughts, the research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s proved to be a meaningful predictor of depression as a mediator, and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its dependent variable, suicidal thoughts. When both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s and depression were inserted, it predicted suicidal though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mplications of the aforementioned findings are as follows: 1) Suicide prevention programs should take depression into account, more so tha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s. 2) Medical support and treatment services must be improved for those with chronic diseases. 3) Financial support to address elderly poverty is more urgent than ever. Additionally, proactive and specific attention to the elderly's health issues is needed, and measures to prevent the elderly's suicidal thoughts are recommended.

      •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돌봄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용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문제와 관련하여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독거노인 자살예방의 대책을 강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자 243명이며, 사전교육을 받은 노인돌보미의 1:1 면접을 통해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특성에 따라 자살생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 종교유무, 결혼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성과 무교인 독거노인, 배우자가 사망한 독거노인 보다 사별 외(별거, 이혼, 미혼)의 독거노인이 더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 중에서는 월평균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소득수준이 낮은 독거노인 더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에서는 우울정도 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수준이 높은 독거노인이 더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고독감, 경제상태인식(본인인식), 자녀유무, 결혼상태 순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고독감이 높을수록, 본인이 생각하는 경제상태인식이 낮을수록, 자녀가 있을수록, 결혼상태가 사별외(별거, 이혼, 미혼)일수록 자살생각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인적안정망 강화이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대상자들이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지가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 할 때, 노인돌보미의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노인돌보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인상담, 사례관리, 자원개발 등의 전문교육이 사회복지사 법정 보수교육처럼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구체적인 활동 매뉴얼이 보급화 되어야 한다. 또한, 제도적 인적안정망 강화 외 사회적지지가 약화된 지역사회의 노인들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가족을 비롯해 지역 통반장, 부녀회, 이웃 등을 대상으로 인적안정망을 조직화하여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 및 연계를 통해 상시적인 보호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사례관리 또는 자살예방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초기상담 및 자살위험군 발견을 위한 선별조사에서 고독감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인돌보미 등 다양한 인적안정망을 활용하여 고독감이나 자살 위험이 있는 집단을 스크리닝하여 고독감이 높은 독거노인을 위한 맞춤형 노인정서지원 프로그램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 셋째, 경제상태인식이 낮은 독거노인을 위한 소득 지원을 위해 건강한 노인부터, 장애노인 및 신체기능 저하 등으로 건강한 노인에 비해 취업 경쟁력이 낮은 노인 대상까지 맞춤형 일자리가 민관 협력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개발되고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공공근로, 노인일자리 등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가족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 가족과의 정서적으로 융화될 수 있는 가족관리 및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가족복지 차원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포괄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별거, 이혼, 미혼 등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친구 만들기, 대인관계 개선 등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노인이 사회참여를 평생학습 참여나 자원봉사활동 등과 같은 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사회와의 교류가 요구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economic, health, and psychosocial factors on the suicidal ideation elderly care service users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suicide by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and devise measures to prevent suicide by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43 elderly care service users aged at least 65 years residing in Seongnam-si, Gyeonggi-do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conducted by 1:1 interviews by elderly person helpers educated in advance.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logy of population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health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sociology of population factors such as a result which analyzes the differences of gender,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igion, marital status or without. In other words, men and no religion, to bereavement than elderly which the death of spouse, elderly (Separation, divorce, single) of a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are more suicide, it appears that a lot of thought. Among economic factors in any meaningful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average monthly income, income levels are low, it appears that a great deal more elderly people who were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Psychosocial factors like depression in and there are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r,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are more elderly suicide, it appears that a lot of though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present study, the suicidal ide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genders, religious affiliations, and marital states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bsolute poverty, perception of economic conditions (comparison with others), and perception of economic conditions (perception by oneself) among economic factors, and depression, feeling of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psychosocial facto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ideation of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social support had the largest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followed by feeling of loneliness, perception of economic conditions (perception by oneself), the existence of children, and marital states in order of precedence. This means that suicidal ideation is higher when social support is lower, when the feeling of loneliness is higher, when the perception of economic conditions is lower, when there are children, and when marital states are separation by death, etc. (separation, divorced, unmarried). Proposal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uman stability networks for social support for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should be reinforced. First, given that social support was shown to be low despite that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who were using elderly care service, the expertise of elderly person helpers should be reinforced. Counseling for elderly persons, Specialized education for counseling for elderly persons, case management, and resource development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as with the legal refresher training of social workers to secure the expertise of elderly person helpers and concrete activity manuals for social support for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should be supplied. In addition to reinforcing institutional human stability networks, human safety networks should be organized with family members, presidents of neighborhood associations, women's associations, and neighbors that are close to elderly persons in communities with weakened social support to prepare permanent protection systems. Second, hands-on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o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communities should measure the feeling of loneliness during initial counseling and screening surveys for finding groups with the risk of suicide. In addition, groups with the feeling of loneliness or the risk of suicide should be screened utilizing diverse human stability networks such as elderly person helpers to provide customized emotional support programs to for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with intense feeling of loneliness. Third, to support the incomes of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with low perception of economic conditions, customized jobs for all of them ranging from healthy elderly persons to disabled elderly persons and elderly persons with lower employment competitiveness compared to healthy elderly persons due to declined physical functions, etc.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in communiti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Fourth, comprehensive intervention is necessa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enhance family management and family functions that will enable emotional harmony with family members at the level of families and communities and programs that can reinforce social support systems at the level of family welfare. Fifth, programs for making friends, improving human relations, etc. should be provided to elderly persons in the states of separation, divorce, or no marriage.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lifelong learning and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to elderly persons so that they can exchange with society.

      •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주간보호 노인을 대상으로

        전미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4주간 시행함으로써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제주시 내에 소재한 4개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 중인 장기요양인정등급을 받은 노인 36명을 선정하고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으로 배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전산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하여 검증 Mann-Whitney U test와 사전, 사후, 추후 효과를 위해 Mann-Whitney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우울수준은 사전에 평균 7.06, 사후는 평균 5.61, 추후는 평균 5.78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사전 6.22, 사후 9.17, 추후는 9.06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 측정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우울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에 대해서는 실험집단은 사전에 평균 2.64, 사후는 평균 2.89, 추후는 평균 2.68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사전에 2.61, 사후는 2.57, 추후는 2.56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적인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살생각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자살생각은 사전에 평균 5.69, 사후는 평균 3.35, 추후는 평균 3.78로 나왔고, 통제집단은 사전에 5.53, 사후는 5.46, 추후는 5.64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통합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노인의 자살생각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의 목표였던 노인의 자살생각 수준에 대해서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 처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바, 본 연구의 노인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살생각 감소에 유의하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에 따라, 노인자살에 대한 사회적 대처에 있어서는 연구의 결과와 같이, 보다 이른 시기에 선제적으로 미리 예방하고 개입하여야 하며, 노인에 대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처치가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➀ 복지서비스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 중심과,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며, ➁ 체계화된 노인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전문가의 많은 논의가 필요하고, ➂ 정책을 개발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목표와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후속연구로 이어질 것과, ➃ 개별적인 질적 연구 또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4주간 시행함으로써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제주시 내에 소재한 4개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 중인 장기요양인정등급을 받은 노인 36명을 선정하고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으로 배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전산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하여 검증 Mann-Whitney U test와 사전, 사후, 추후 효과를 위해 Mann-Whitney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우울수준은 사전에 평균 7.06, 사후는 평균 5.61, 추후는 평균 5.78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사전 6.22, 사후 9.17, 추후는 9.06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 측정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우울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에 대해서는 실험집단은 사전에 평균 2.64, 사후는 평균 2.89, 추후는 평균 2.68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사전에 2.61, 사후는 2.57, 추후는 2.56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적인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살생각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자살생각은 사전에 평균 5.69, 사후는 평균 3.35, 추후는 평균 3.78로 나왔고, 통제집단은 사전에 5.53, 사후는 5.46, 추후는 5.64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통합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노인의 자살생각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의 목표였던 노인의 자살생각 수준에 대해서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 처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바, 본 연구의 노인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살생각 감소에 유의하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에 따라, 노인자살에 대한 사회적 대처에 있어서는 연구의 결과와 같이, 보다 이른 시기에 선제적으로 미리 예방하고 개입하여야 하며, 노인에 대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처치가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➀ 복지서비스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 중심과,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며, ➁ 체계화된 노인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전문가의 많은 논의가 필요하고, ➂ 정책을 개발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목표와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후속연구로 이어질 것과, ➃ 개별적인 질적 연구 또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노인 자살생각, 노인 우울, 노인 자아존중감, 자살예방, 노인 자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an integrated suicide prevention program on elderly depressio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that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36 participants who have received a long-term day-care service in four day-care centers found in Jeju city. 18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18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SPSS 18.0, a computational statistic program has run to se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hi-square cross analysis and Mann-Whitney U-test, and to see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effects, Mann-Whitney-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were conducted.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7.06 (pre-test), 5.61 (post-test), and 5.78 (follow-up test). It was 6.22 (pre-test), 9.17 (post-test), and 9.06 (follow-up test) for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post-test measure showe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Relating to the self-esteem of the elders, the average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2.64 (pre-test), 2.89 (post-test). and 2.68 (follow-up test). And it was 2.61 (pre-test), 2.57 (post-test), and 2.56 (follow-up test) for the control group. Thus, the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people. The average level for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5.69 (pre-test), 3.35 (post-test), and 3.78 (follow-up test). While it was 5.53 (pre-test), 5.46 (post-test), and 5.64 (follow-up test) for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integrated program of this stud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ecreasing the elderly suicidal ideation. As a result, the social measure to the elderly suicidal ideation has to be an early state (initiative) preventive and intervening act than implementing programs like that of the present study,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suicide prevention program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1)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tinuous, and profess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through local welfare centers' cooperation. 2) it is necessary to have an organized professional discussion about an integrated elde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s. 3) subsequent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a purpose and an evaluation index tha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licy and implement it. And 4) an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is necessary. Keywords: elderly suicidal ideation, elderly depression, elderly self-esteem, suicide prevention, elderly suicide

      •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이용 노인의 음주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미혼여부의 조절효과

        진겸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3

        최근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이 노인자살문제이다. 이미 이 문제는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문제로 인식 된지 오래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자살이라는 문제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그 요인들을 사전에 차단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이 자살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음주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관계가 미혼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해보았다. 분석대상은 서울시 은평구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이용자 중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독거노인 총 354명을 포함하고 있다. 분석결과 독거노인의 음주행동 점수가 높아질수록 자살생각 또한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음주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혼여부(결혼경험)에 따라 달라졌다. 즉 미혼인 경우 음주행동은 자살생각을 높이는 경향성을 보인 반면, 미혼이 아닌 경우(결혼경험이 있는 경우) 음주행동과 자살생각의 인과관계는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대상자 관리에 있어 기본적인 생사확인 등의 모니터링에서 벗어나 대상자들의 자살생각, 음주행동, 나아가 미혼여부와 같은 사회적 관계 경험의 히스토리까지 좀 더 확장된 관리가 시급하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Recently, our country faces a problem in increasing elderly suicide rates with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This problem is recognized not as an individual or a family problem but as a nation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suicidal ideation for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and monitored by a community welfare center. Specifical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e elderly drinking behavior impacted upon suicidal ide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age and suicidal ideation was moderated by staying single(coded as staying single or not). The analytic sample includes 354 older people who are over age 65, live in Eunpyeong District, Seoul, and get basic care services from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results are following. Alcohol Drinking Behaviors are likely to increase suicidal ide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age and suicidal ideation is moderated by staying single. The implication of results were discussed. Key words: the elderly living alone, suicidal ideation, alcohol drinking behavior, staying single, moderation

      •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김옥선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논문은 독거노인만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여 독거노인 자살예방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자살의 연속선상(자살생각→자살시도→자살수행)에 있는 노인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의 이해 및 분석을 위하여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서 건강문제, 경제문제 독거기간 등과 정서적 문제에서 우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등의 요인과 같은 제 변수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규명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9년 3월 30일부터 4월 10일까지 12일간이며,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 65세 이상 독거노인 중 노인보건복지 연계 센터에서 수혜받는 독거노인 약 370명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고,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13.0이 사용되어졌다. 연구가설에 입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통계 변인이 순수하게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여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유무, 독거기간은 유의성이 없게 나타났고, 종교 및 신앙정도와 혼인상태 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종교가 없는 경우가 자살생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온 반면 천주교를 믿는 노인의 경우 자살생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신앙정도로 보면 신앙이 깊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노인의 혼인상태별로 보면 이혼한 경우가 가장 높고 다음이 사별 이였으며 별거 및 기타 사유의 순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건강상태 및 경제상태가 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력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인의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우울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독거노인의 우울정도가 상승하면 노인의 자살생각도 유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서 의미 있는 타자(시회복지사, 간호사, 종교관련자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가족이나 친척, 친구 및 이웃보다 유의미한 타자의 지지가 많을수록 자살생각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가설검증에 따른 결론에서는 종교가 없는 경우, 이혼한 경우, 건강상태 및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우울 할수록, 의미 있는 타자의 지지가 적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관련된 설문문항에 대한 응답의 기술통계량을 정리한 결론에서는 ‘최근에 죽고 싶은 생각을 해 본적이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보통의 사람들에게도 자살생각을 유발시킬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해 볼 때 노화로 인해 삶의 역동성이 저하되고 새로운 희망을 갖기가 어려우며 지지체계가 상대적으로 적은 독거노인에게는 자살생각에 더 크게 작용 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대상인 일반노인에서 독거노인만을 대상으로 단일화 시킴으로서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독거노인의 자살 예방과 다양한 노인층의 증가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기초자료의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아직까지 독거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이 다양한 측면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독거노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겠다. 주요어 : 독거노인, 자살생각, 우울, 지각된 사회적지지, 주관적 경제 및 건강상태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icide-thinking of solitary eld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lativity of various factors from the socio-economic status of solitary elderly, health and financial status, period of solitude, depress in the emotional problems to recognized social support, an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elative factors affecting to the series of the suicide thinking (suicide thinking-attempt-completion). The total of 370 subjects was questioned from Mar.30. 2009 to Apr.12. 2009. The research area was confined to the Euijeongbu city. The elderly living alone of this zone, mainly above 75years old man, a low cost living, a low formal school education, and average alone period of above 10 years were studi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 13.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hypothesis are like as follows ; Firstly,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some factors such as sex, age, education, job, period of solitude have not important meaning to the suicide thinking, but other factors such as religion, status of faith and marriage have significant meaning. In other words, many old atheists frequently thought about suicide but old persons who believe the Catholic did not think about it. In view of the faith state, deeply old religious persons shows the lowered tendency of suicide. View from the old persons' state of marriage, divorced persons revealed the highest rate of suicide and second is death-separation and third rate is separation and others, respectively. Secondly, health and monetary state can be confirmed to the important factors of suicide-thinking to the old solitude persons. Therefore, the better state of health and money meaningfully shows the low tendency of suicide-thinking to the aged. Thirdly, i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suicide-thinking. if the status of depress rose, suicide-thinking of the aged people ascended. Fourthly, meaningful results appeared in case of the many social supporters(social-welfare-officers, nurses, religionists and others) can reduce the suicide-thinking of old persons. The results shows that if someone has many social supporters, who are not member of family, friend and neighbors, suicide-thinking is very low. Therefore, conclusion of this thesis revealed that atheists, divorced persons and bad condition of health and money, depressed men, persons who has not others supporting much more thought about suicide. Also conclusion of survey responses derived from technical statistics data related to the suicide-thinking of solitude the aged revealed that "recently I thought that I'd like to die" is the highest responses. These results could be estimated that common people might be induced on suicide and, furthermore, lowering the vitality in life, difficult of thinking new hope and relatively dispossessing the supporting system by aging can lead the suicide to the old solitude people. This study is the objectives of survey from general old people to solitude the aged, expecting more and more the increase of old-solitude-persons-suicide and its prevention in the future, will be a meaningful work providing the basic data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old people's increase. But there needs to produce the basic data preventing the suicide of solitude the aged, because of the factor analysis from the various view point influencing to the suicide thinking of solitude the aged did not still comple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