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스토킹 범죄의 입법적 정비방안에 관한 고찰

        안아름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日常生活で行われていた犯罪がネット上でもそのまま具現化されてサイバー犯罪の種類が増えたが、その一つが'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だ。ストーキング行為そのものが他の犯罪に比べて近代にその危険性が注目されたし、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も同じく他のサイバー犯罪に比べて遅く争点になった。以前から発生されていた被害事例を手遅れて犯罪行為として認識し始めたせいだ。 ストーキングは'こっそり接近する'、'尾行する'という意味の英語表現である'stalk'で由来した用語で、社会学・心理学・犯罪学など学問領域によって概念定義の目的が違って色んな概念定義が発生する。既にストーキング行為を具体的に規制している国では各法律でストーキング行為を定義しているが、ストーキング行為を色んな既存犯罪行為に分け入れて適用している韓国では今まで法的概念が纏めていなくてある。 既存オフライン上の犯罪とネット上の犯罪を完璧に両分できないように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のことを説明する時既存のストーキングの理論が基本になる。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が既存のストーキングとは区別されるそれだけの特徴が知らせるうちに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だけの行為類型分類が必要くなった。オフラインストーキングの中インターネットほかSNSをストーキングの方法として利用するではなく、初めからネット上からストーキングが発生し既存のストーキングとは違う姿でストーキングが進行していてオフラインストーキングの行為類型に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を追加すること以外にサイバーストーキングだけの行為類型分類が行っている。 ストーキングの発生地に構わず、被害者達は日常生活を妨害される程の物理的な被害から外傷後ストレス障害、怒り、パニックなどの精神的な障害、そして自殺に辿り着くまで回復し辛い被害をもらう場合が多い。またネット上で発生したストーキングだとしても放任すると強姦、傷害、殺人などに発展する可能性が大きいのでストーキング行為を規制し被害者を保護・救済する専門的法律の用意が急を要する。 それで外国の様々な立法例と既存韓国内で出させたことがある法律案を分析し、新しい法律案を提案する。

      • 자가 손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안아름 同德女子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desire for beauty have increased, self-managing self-beauty people have increased as well, introducing various beauty methods, however, the reality. I so tha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programs on the management of hands.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ers developed a self-possible hand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targeting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y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ollowing research through the application of i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wenty-one numbers of female students from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self-hand-care education program was executed for four weeks from January 10th of 2012 to February 7th of the same year. Surveys were referred by previous studies of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nail art, and were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situation and awareness of hand skin and nails, general program satisfaction, applic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using the paired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goes as following. The result for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of difficulty on managing hand skin and hand nails have shown that after hand management educations, it was a lot easier to manage the hand. In addition, hand skin management and hand nail management ways were more divers than before. Satisfaction scores on the hand skin management have increased from 40 points before education and 60 points after education, and hand nail management satisfaction scores have also increased from 40 points to 61 pints.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hand skin and nails have actually brought the changes on the question whether there would be changes as expected, and the effect was actually found by increasing confidence on hand skin and nails before and after hand management program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subjects have equally answered 4~5 times of the education were relevant. The most appropriate time range appears from an hour to an hour and thirty minutes. The ideal price willing to pay from the students for the self-hand-care program was ₩37,143 won in average. Although the satisfaction of the effect after the program was comparatively low, but the satisfaction of the contents and reasons for the program were very high, and same for the overall rates. In evaluation and practice of the program, nails coloring and nails shaping education has prove to show most helpful and useful. In other hands, hand-massage education was evaluated as least helpful and useful. As for result analysi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gram's satisfaction and practice, there was no clear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of the program and practice. By showing photos of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to general people & nail technician without informing which photos are treated hands, both group of people answered subjects’ photos of hand-skin treatment after the program were enhanced, and photo evaluation of nail coloring varied. However, overall evaluation of after the education program show positive for both hand-skin treatment & nail coloring compare to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proven the effectiveness of self-hand-care program not only by developing efficient program but by conducting experiments for four times to confirm it was able to impose with positive results and achieve interest from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assisting and providing benefits of hand care.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이 높아지면서 스스로 관리하는 셀프 뷰티족이 늘어나며 다양한 뷰티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손 관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스스로 할 수 있는 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아래와 같은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21명을 대상으로 2012년 1월 10일부터 2월 7일까지(설 연휴 제외) 4주간 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미용 교육 프로그램과 네일아트 등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일반적 특성, 손 피부와 손톱에 관한 인식 및 상태,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실천도 등을 재구성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손 피부 관리와 손톱 관리에 관한 어려움에 대한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손 관리 교육 후 손 관리가 쉬워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손 피부 관리와 손톱 관리 방법도 교육 전에 비해 관리법이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손 피부 관리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교육 전 평균 40점대에서 교육 후 60점대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손톱 관리에 대한 만족도 점수도 평균 40점대에서 61점대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가 손 관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손 피부와 손톱이 변화될 것이라는 질문에 변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효과만큼 실제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 관리 프로그램 교육 전, 후 손 피부와 손톱에 대한 자신감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 손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적정 교육 횟수는 교육 전, 후 4∼5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정 교육 시간도 1시간∼1시간 3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 손 관리 프로그램의 지불의사 금액은 평균 37,143원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자체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나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총 만족도의 점수는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자가 손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및 실천도에서는 프로그램의 도움도와 실천도 모두 네일 컬러링 교육과 네일 쉐입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손 마사지 교육에 대한 도움도와 실천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실천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실천도는 프로그램의 내용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으나 효과 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결과로 조사되었다. 자가 손 관리 교육 전, 후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교육 전과 후의 사진이 어떤 것인지 알리지 않고 일반인과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손 피부 관리는 교육 후가 더 깔끔하다고 나타났고 네일 컬러링은 일반인과 전문가의 평가가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손 피부 관리와 네일 컬러링 모두 교육 후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가 손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 적용사례를 4회 차의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고 여대생의 손 관리에 도움을 주어 손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존 스튜어트 밀 사상의 중심과 그 확장 : 사회적경제를 통한 인간 발전

        안아름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존 스튜어트 밀의 저서를 통해서 그의 사상의 중심이 인간 발전으로 귀결된다는 점을 밝히고, 이를 현실에서 실현 및 확장하는데 사회적경제가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피력하는 글이다. 존 스튜어트 밀의 연구 대상은 인간이었다. 인간은 유한하지만 진보(를 추구)하는 존재였다. 밀은 그런 인간이 행복하기를 바랐다. 모두가 지적, 감정적, 도덕적 능력을 최대한 발현하고 골고루 발전시켜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견지하고 함양하는 질적 쾌락을 향유하면서 고차원적인 행복을 구가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먼저 사회적 존재인 인간에게 있어 도덕 능력과 감정, 사회성을 발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그 자체로 쾌락이자 행복이라는 사실을 주지시켰다. 그리고 개개인이 최대한 다양하게 자기 발전할 수 있는 사회를 디자인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를 설계하는 데 있어 토대가 되는 가치는 자유였다. 유한한 인간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생각과 삶의 방식을 가지고 나눌 수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이에 생각과 토론의 자유와 개별성의 존중을 절실하게 피력했다. 개별성과 사회성이 동시 발양 되어야 한다는 점도 역설했다. 가장 이상적인 정부 형태는 공적인 참여로 구성원들을 실천적 단련시키면서 숙련엘리트가 더욱 역할을 할 수 있는 대의제였다. 제도적 개선뿐만 아니라 정신습관에 있어서의 질적 변화도 필요했다. 이에 민주주의로 현 질서를 개선하는 동시에 사회주의적인 실험도 적극 전개하여 사회와 사람들을 성숙시켜 사회주의를 점진적으로 대망해가기를 주문했다. 체제와 제도의 가변성을 강조하는 한편, 급진적인 혁명은 배척했다. 밀의 모든 고뇌는 인간의 발전, 인간의 행복, 인간을 향하고 있었다. 그가 조화시킬 수밖에 없던 것들은 인간에게 있어 모두 필요한 것들이었다. 그런 점에서 사회적경제는 밀 사상의 현신일 수밖에 없다. 사회적경제는 사람존중아래 모든 것을 복무시키는 운동이기 때문이다. 밀의 개별성과 사회성은 사회적경제의 자립과 협동에 대응된다. 사회적경제 또한 다르고 대립하는 주체와 가치들을 절충하므로 번뇌한다. 사회적경제는 밀 사상을 현실사회에서 실현하고 확장하는데 유의미하게 역할 할 수 있다. 비지성인도 계도하는 리더가 아닌 함께하는 리더와 함께 참여와 토론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고, 사욕추구자도 사욕에 정신적 효용을 포함시켜 질적 쾌락을 추구하게끔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밀 사상의 적용 범위를 이성적인 인간에서 모든 인간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생명공동체사상을 통해서 다름을 얻는 대상을 인간에서 생명으로 확대하고, 토론에 타 생명과의 조응 및 공생이라는 발전방법을 더하여, 밀 사상의 논의 범위를 모든 인간에서 모든 생명으로 확장할 수 있다. 우열優劣을 무마하여 생각과 토론의 자유의 근저를 다질 수도 있다. 공공에의 참여를 최대한 확대하는 일에도 널리 기능할 수 있다. 정치영역에서는 공공문제를 직접 참여해서 함께 해결하는 문화를 사회전반에 조성할 수 있다. 경제적 민주주의 운동이자 자기실현 운동으로서 경제영역에서의 공공에의 참여를 실현할 수 있다. 사회를 회복하는 운동으로서 생활전반에의 참여까지 진작할 수 있다. 결정적으로 사회적경제는 현존체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새로운 체제를 실험하는 밀의 사회변혁전략에 완벽히 부합한다. 때문에 이를 실제 구현하는 운동으로서 밀 사상과 시사점을 주고받을 수 있다. ‘점진적’인 변혁이 장기화되면서 표류하지 않도록, 사람존중을 전략 수행 시의 행동 목표이자 행동 원리로 세우기를 제안할 수 있다. 현 체제 속에서 개선하는 전략을 취한 결과, 사람존중의 시장자본주의를 실현한 면면과 과정의 운동이자 긍정의 운동, 사람을 닮은 운동이 되었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 한편, 사회적경제는 밀 사상으로부터 서로 다른 모든 것들이 존중되며 함께 가야한다는 메시지를 환기할 수 있다. 이에 사람존중 아래 영역과 방식을 막론하는 실천운동이자 점진적 사회변혁의 실행 원리와 방법을 구체화·고도화하는 실용학문, 현 질서는 담지 못하지만 사람존중을 필두로 벌이는 이색적인 실험들까지 적극 담아내는 진정한 제3부문의 그릇이 되기를 제언할 수 있다. 밀 사상과 사회적경제는 인간 발전을 실현하는 문제로 만났다. 근본적으로는‘사람존중’으로 마주한 것이다. 이들은 사람을 주체적이고도 협력적으로 살게 한다. 사회 속에서 내가 생생히 살아있으면서 어우러지는 것이야말로 진정 한 사람이 존중받는 길이기 때문이다. 밀과 사회적경제는 사람을 향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매순간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사회를 바꾸는 최선의 길이다. 서로 존중하며 협력하는 것이야말로 진정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길이다. 한명 한명이 주체로서 상생하는 사람존중의 사회와 경제를 만드는 것이 밀과 사회적경제가 지향하는 바이다.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core of John Stuart Mill’s idea comes down to human development through his books, and that the social economy is very useful in realizing and expanding it. John Stuart Mill's subjects of study were humans. In his idea, Human beings were finite but seeking progress and Mill wanted such a man to be happy. It was hoped that everyone would express their intellectual, emotional, and moral abilities as much as possible and develop them evenly to enjoy the quality pleasure of maintaining and cultivating human dignity. Therefore, he advised that social beings such as humans understand that expressing and developing moral ability, emotion, and sociality is a pleasure and happiness itself. And he began to design a society where individuals can develop themselves as diverse as possible. The core value underlying the design of the society was freedom. This is because for finite humans to develop, they must be able to share different thoughts and lifestyles. In result, he strongly expressed the importance of freedom of thought and discussion and respect for individuality. He also stressed that individuality and sociality should be developed at the same time. He argued that the most ideal form of government was a representative government in which skilled elites could play a more role while practicing their members with public participation. Mill believed that the quality changes in mental habits were needed as well as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erefore, it was urged to improve the current order with democracy and actively conduct socialist experiments to mature society and people and gradually aspire to socialism. While Mill emphasized the variability of systems and systems, radical revolutions were ostracized. All the anguish of Mill is focused on human development and human happiness. The things that he reconciled were what all human beings needed. In this regard, the commonalities of social economy and Mill’s thought were found. Because the Social Economy is a movement that serves everything under respect for people. The individuality and sociality argued by Mill correspond to independence and cooperation in the Social Economy. The social economy also suffers because it compromises different subjects and values. The social econom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alizing and expanding the idea of Mill in the real world. By showing that non-adult leaders can develop in a way of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with co-leaders, and that self-interest seekers can also pursue qualitative pleasure by including mental utility in self-interest, the scope of secret thought can be extended from rational human to all humans. Social Economy proves that Non-intellectual men could be developed by participation and debates with cooperating leaders and by adding mental utility to one’s desire, selfish men could seek for qualitative comfort. In other words, with Social Economy, Mill’s Idea could expand from rational human to all Human beings. Through the idea of life community that is common in Social Economy, the study of Mill could be extended from Human to all lives on earth and by adding the method of coordination and symbiosis with other lives. By overcoming the idea of superiority, the foundation for freedom could be strengthened. It can also function widely in fully expanding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sphere, a culture of directly participating in public affairs and solving them together may be created across the society. In the case of economic areas, the social economy itself is an economic democracy movement and a self-realization movement. Furthermore, it can lead to a participation in life in general by functioning as a campaign to restore society. Crucially, the social economy fits perfectly with Mill's social transformation strategy of improving the existing system and testing the new one. Therefore, as a movement that implements the ideas of Mill, it is possible to exchange ideas and implications. It can be proposed to set respect for people as an action goal and principle of action in implementing strategies so that "gradual" transformation does not drift due to prolonged transformation. As a result of taking strategies to improve under the current system, it can be shown that it has become a movement of aspects and processes that realized market capitalism of respect for people, a movement of positivity, and a movement that resembles people. Meanwhile, the social economy can evoke a message from the idea of Mill that all different things are respected and cooperate.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o be a real third sector vessel that actively captures practical activities such as 1) movement regardless of the area under the idea of human respect, 2) Practical studies that refine and advance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gradual social transformation 3) and even unique experiments led by the idea of respect for peopl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idea of both Mill and the social economy focuses on realizing human development and essentially 'respect for people'. Both suggest people to live independently and cooperatively. In conclusion, Both Mill and the social economy focuses on peopl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The common goal of Mill and the social economy is to improve a society and economy where everyone is respected and coexists as a main agent. And the best way to improve the society is one’s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And for true pleasure and happiness, every man must be respected and cooperate.

      • 박완서 소설의 자전적 텍스트성 연구

        안아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글은 박완서의 소설세계를 구성하는 중심축이자 모든 해석을 한 곳으로 끌어당기는 강력한 구심력으로서의 ‘자전성’을 박완서 소설세계의 핵심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자전성’을 발현하게 하는 ‘자전적 텍스트성’을 통해 박완서 소설세계를 통합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고는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박완서 소설의 ‘자전성’의 근원을 추적함으로써 ‘자전성’이 단지 작가의 과거 체험을 반영하는 소설만이 아닌 타자와 사회, 동시대를 반영하는 다양한 소설에서도 포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박완서의 40여 년의 소설세계와 다양한 주제의식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본고는 이러한 ‘자전성’에 대한 규명을 통해 작가의 실제 삶과 소설의 밀접한 관계, 자서전과 소설의 장르적 경계를 무화시키는 박완서 소설세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설, 인터뷰, 산문 등 작품세계 전반을 살펴볼 때 박완서의 실제 삶과 소설은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핵심이자 시발점에 위치한 ‘나’로 인해 박완서의 소설은 ‘나’를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자서전의 양상을 보이며, 박완서 소설세계는 한 개인의 ‘자서전 쓰기’의 과정과 그 결과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박완서 소설은 자기 자신, 즉 ‘나’를 구성하는 ‘자전적 텍스트성’을 가지며, 박완서는 한 개인으로서의 ‘삶-살기’와 작가로서의 ‘소설-쓰기’라는 이중의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가 된다. 이러한 시각으로 접근할 때 박완서의 소설세계는 그 자체로 ‘나’를 구성하기 위한 자전적 주체의 자기형상화와 자기존재 증명의 욕망이 글쓰기를 통해 발현되는 것이다. 자서전은 ‘스스로’, ‘자신의 삶’에 대해 ‘쓰는’ 것이며 이때 자전적 주체인 ‘나’가 쓰는 것은 ‘자신의 과거’, ‘살아온 삶’이 된다. ‘나’와 ‘내가 살아온 시대’, 그것에 대한 ‘글쓰기’라는 세 차원을 다루는 자서전은 단지 ‘나’에 대한 글쓰기만이 아니며, 단지 과거에 대한 연대기적 나열도 아니다. 그것은 ①과거의 ‘나’와 내가 살아온 과거의 시간, ②현재의 ‘나’와 내가 살고있는 현재의 시간, ③과거와 현재,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이어주는 매개로써의 ‘글쓰기’가 동시에 존재하는 장(場)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미셸 보주르의 ‘문학적 자화상’ 개념을 통해 자전적 주체의 자기형상화가 과거 체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현재를 통해 구성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문학적 자화상’은 박완서의 개별 작품들이 그 자체로 독자적 특수성을 갖는 동시에 작품세계 전체적으론 ‘나’를 구성하는 보편적 동일성, 즉 ‘자전적 텍스트성’을 가진다는 점을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박완서의 소설은 ‘나’에 대한 말하기인 동시에 사회와 시대에 대한 말하기가 되며, ‘나’의 얼굴은 사회와 시대를 반영하는 ‘타자’의 얼굴과 겹쳐진다. 이는 ‘나’의 분열이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나’와 ‘타자’의 중첩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각도로 이루어지는 ‘나’의 분열은 ‘나’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게 하며, 이는 곧 박완서 소설세계가 ‘자전적 텍스트성’을 바탕으로 갱신되고 확장됨을 보여준다. 즉 박완서의 소설은 ‘나’라는 자전적 주체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글쓰기라는 점에서 ‘나’를 반복적으로 생성하지만 동시에 끊임없이 다른 얼굴로 분열되기도 한다. 이러한 ‘나’의 생성과 분열의 반복은 그 자체로 ‘자전적 텍스트성’이 된다. ‘나’라는 구심점과 구심력으로 인해 소설은 끊임없이 ‘나’를 형성하며, 분열하고, 다시 형성되는 운동의 반복으로 인해 박완서 소설세계의 외연은 확장되며, 다시 그 힘으로 박완서 소설의 ‘자전성’은 공고해진다. ‘나’라는 존재를 그 자체로 반영한다는 점에서 박완서의 소설은 ‘자기반영적’이며 동시에, ‘나’를 설명하고 지시한다는 점에서 ‘자기지시적’, ‘자기참조적’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소설쓰기는 그 행위 자체로 ‘나’를 반복적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자기형성적’이고, 이 과정에서 ‘나’라는 존재를 다양하게 분열, 중첩시키며 스스로에 대한 객관적 거리를 확보한다는 점에서 ‘자기반성적’이다. 나아가 이러한 이미 쓰인 소설과 이후 새롭게 쓰여진 소설들은 작가의 소설세계에 끊임없이 새로운 몽타주를 형성하게 한다는 점에서 ‘자기갱신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제와 주장을 통해 본고의 Ⅱ, Ⅲ, Ⅳ장은 자전적 주체의 태도를 바탕으로 ‘자기형성적’, ‘자기반성적’, ‘자기갱신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자전적 주체의 자기형상화 양상을 ‘작가의 자의식’, ‘생존자의 경제 감각’, ‘증언자의 윤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박완서 소설의 구심점인 ‘나’의 ‘자기형성’ 과정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소설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는 곧 전쟁이 박완서 삶과 소설의 중대한 누빔점이 됨을 의미하는데, 그것은 고통스러운 경험이지만 동시에 그 경험을 소설화함으로써 ‘나’로 하여금 상실한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박완서 소설에서 드러나는 자기형성의 첫 번째는 바로 작가로서 상실한 자신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이때 재정립하는 과거의 ‘나’란 일제 강점기 문화와 교육의 말살로 인해 주체성 자체가 형성되지 못한 존재이며, 전쟁으로 인해 인간성과 젊음 등을 상실한 존재이다. 이 시기들의 자신을 재형성함으로써 박완서는 작가로서의 자의식을 드러낸다. Ⅲ장에서는 전쟁 서사를 통해 자기 정체성의 정립을 시도한 자전적 주체가 전쟁 이후의 시대 속에서 자신을 (전쟁에서 생존한) ‘생존자’의 삶으로 규정하는 소설들을 다룬다. 전쟁체험 소설들이 시간적 간극으로 스스로에 대한 거리두기를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할 수 있는 데 반해, 전쟁체험 외의 소설들은 당대를 살아가는 ‘사는 존재’로서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거리감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전적 주체로서의 작가가 선택한 것이 타인의 얼굴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과 같은 생존자이지만 거리감을 확보할 수 있는 타인에 대해 서술함으로써 현재를 사는 존재로 자신을 정립해 나간다. 시대와 사회의 문제와 타인에 대한 비판적 시선은 자연히 자전적 주체의 자기반성적 태도로 이어지며, 이는 전쟁체험 서사가 가지고 있던 ‘나’라는 개인을 타인과 사회, 시대로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Ⅳ장에서는 작가 자신을 시대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존재’로서 ‘증언자’에 위치시키고, 증언의 책무를 스스로에게 부여하고 이를 수행하는 태도가 드러나는 소설들을 다룬다.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구성하고 중첩 시키며, 과거의 문제가 곧 현재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나’는 연속되는 시간 속의 존재로서 책임의식을 갖게 된다. Ⅳ장에서 다루는 소설들은 ‘사는 존재’로서의 자신에 대한 자기반성이 나타나며, ‘쓰는 존재’로서 시대에 대한 비판과 직시를 드러낸다. 따라서 시대의 문제에 대해 작가 나름의 답을 소설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자기갱신적’ 태도가 드러나는 소설들이다. 이 소설들은 개인에 대한 탐구로서 자신의 내부로 향하던 시선(照鑒)을 사회 속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선(鳥瞰)으로 확장시키는 작가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박완서 소설의 ‘자전성’이 어떻게 소설세계 전체를 구성하는 ‘텍스트성’이 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박완서 소설세계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전적 텍스트성’을 통해 살펴본 박완서의 ‘소설-쓰기’는 박완서와 그의 ‘삶-살기’와 공명하며 소설세계를 형성해간다. 이 과정에서 삶과 소설의 경계는 ‘삶-쓰기’와 ‘소설-살기’로 그 경계가 무화된다. 이처럼 본고는 한 예술가의 삶과 작품의 관계를 세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autobiographicality’ identified as the pivot and centripetal force to embrace the novel world of Park Wan-Seo. The purpose of the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Park Wan-Seo’s novels world throughout the oeuv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autobiographicality’ to ‘autobiographical textuality’ and its manifestation on the novel world of the writer. In other wor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e value of the ‘autobiographicality’ of Park Wan-Seo’s novel upon the discourse thus far. The study attempts to highlight the ‘autobiographicality’ delineated throughout Park Wan-Seo’s novels that portray the ‘others’, ‘society’, and the contemporary and further achie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various themes and author’s novel world. Also, based on the observation of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writer’s life and the novel through the notion of ‘autobiographicality’, the study focuses on the feature of Park Wan-Seo’s novel world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autobiography and fiction. From Park Wan-Seo’s novel world revealed in her novels, interviews, and prose,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of Park Wan-Seo’s life and the novel is perceived. There is "I" at its core and starting point. Park Wan-Seo’s novel implies autobiographical aspects. Park Wan-Seo’s novel world is considered both the process of composing autobiography and its result, and Park Wan-Seo’s novels embody ‘autobiographical textuality’ that forms ‘I’. Park Wan-Seo practices ‘life-living’ as a human and ‘fiction-writing’ as a writer. Upon this viewpoint, Park Wan-Seo’s novel world disclosed in her writing exposes the desire in self-demonstration and self-representation to form ‘I’. Autobiography writing is about ‘self' and ‘life’. What ‘I’ as the subject of the autobiography defines is the ‘past of times’ and ‘life in pursuit’. The autobiography comprises three realms: ‘I’, ’life of oneself’, and the ‘writing’ of it. Hence, the autobiography is not mere writing of ‘I’ nor a chronology of the past. In fact, it is the "I" of the past, and the past of my life. It is also the ‘I' of the present and the present where I live. It is a writing that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I’ of the past and ‘I’ of the present. Autobiography is a channel that allows the coexistence. Through Michelle Bozur's concept of ‘literature self-portrai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elf-portrait of an autobiographical subject is composed via the present beyond the past experiences. The ‘literature self-portrait’ explains an independently distinctive characteristic behind Park Wan-Seo’s work and the pertaining of ‘autobiographical textuality’ imbued with a universal identity that constitutes ‘I’. Therefore, Park Wan-Seo’s novels illustrate ‘I’ in parallel with society and times, the face of ‘I’ overlaps with the face of the ‘others’ that reflect the society and times. The superposition of 'I' and the ‘others’ shapes the division of ‘I’. The division of ‘I’ occurred in multifarious aspects pushes the boundary of ‘I’ in which Park Wan-Seo’s novel world gains a new establishment and expansion based on the ‘autobiographical textuality’. In other words, Park Wan-Seo’s novel is an autobiographical subject ‘I’ centered writing that forms ‘I’ repeatedly, but ‘I’ is simultaneously fragmented into ‘different faces’. A repetitive creation and fragmentation of ‘I’ relate to the ‘autobiographical textuality’. With the ‘pivot’ and ‘centripetal force’ as ‘I’, the novel makes a constant flow of creation, fragmentation, and re-creation of ‘I’. Park Wan-Seo’s extension denotation of novel world is furthered into a much broader sense which fosters the ‘autobiographicality’ within his novels. Park Wan-Seo’s novel is concerned with ‘self-reflective’ value in terms of representing ‘I’, and ‘self-referential’(self-guided) in terms of self-demonstration on ‘I’. Also, the novel composition is deemed ‘self-formative’ in a way that ‘I’ is repetitively formed. In this process, ‘I’ is ‘self-reflective’ when fragmented, overlapped, and detached. Moreover, it is ‘self-renewal’ in the sense that the precedented novels and newly written novels outline a new montage employed in the author’s novel world. From the premises and arguments, chapters II, III, and IV of this study are compartmentalized into ‘self-formation’, 'self-reflection', and ‘self-renewal' based on the attitude of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Besides, the ‘self-demonstration’ aspect of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is distinguished and analyzed into ‘writer’s self-consciousness’, ‘survivor’s economic sense’, and ‘witness’s ethic’. Chapter II focuses on the "self-formation" process of ‘I’, the centerpiece of Park Wan-Seo's novels. Park Wan-Seo incorporates historical images that portray the war scenes.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the war in Park Wan-Seo’s life and her novel with an important pivot. Fictionalizing of distressing experience in wartime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store the lost identity of ‘I’. So, the first step of ‘self-formation’ is to redefine the lost individual as a writer. The old ‘I’ was unable to form identity ami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s humanity and youth were taken away during the war. Park Wan-Seo’s reformation of herself during this period reveals her self-consciousness as a writer. Chapter III discusses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defining herself as a "survivor" in the post-war era. The war-experience novels allow the distancing of ‘I’ in the past, but the rest is dissimilar. Therefore, the subject, ’I’, narrates the ‘others’ in the distance who is also a survivor.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I’, constitutes herself as ‘the living existence’. The critical evaluation of the times, societal issues, and the ‘others’ results in the self-reflection attitude of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tend ‘I’ as an individual to the others, society, and the times. Chapter IV concerns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as a ‘witness’ who records and conveys the times. ‘I’ project myself with an obligation of testimony and fulfill the duty. ‘I’ become aware of the impact of old matters on the present, and carry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subject within continuous time. Chapter IV regards self-reflection, criticism, and contemplation on times. The autobiographical subject, ‘I’, proposes an answer to the problem of times via novel and reveals a ‘self-renewal’ attitude. The writer intents to expand self-contemplation into ‘I’ involved in society.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autobiographicality’ that makes Park Wan-Seo’s novel world. Based on the analysis,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Park Wan-Seo’s novel world is suggested. Park Wan-Seo’s ‘fiction-writing’ from the ‘autobiographical textuality’ viewpoint resonates with Park Wan-Seo’s ‘life-living’ and finally forms her oeuvre. In this process, the boundary between 'fiction-writing' and 'life-living' is blurred to 'life-writing' and ‘fiction-living'. This study conveys significance in shedding light on the artist’s relationship with her work throughout a profound analysis.

      • 중년여성의 대중음악 적용 발레핏 프로그램의 효과 : 개인적 흥미, 삶의 질, 피트니스 스크리닝 테스트의 심리적∙신체적 변화

        안아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대중음악 적용 발레핏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에 대하여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9세 중년여성 중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 총 30명을 표집하였고 주 2회, 총 24회로 각 회당 70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대중음악을 적용한 발레핏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클래식 발레 음악으로 발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질적연구를 모두 사용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고 결과에 따른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과 피트니스 스크리닝 테스트 레벨 전체와 하위요인인 하프 스쿼트, 시티드 힙 어덕션, 제트-시팅, 롤업, 슈퍼맨, 프론 숄더 플렉션, 프론 프레스 업, 프론 니드 밴드 8가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개인적 흥미에 대한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는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유능성에서는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욕구와 개인적 관련성에서는 사전·사후검사에서 차이가 없었으므로, 대중음악을 적용한 발레핏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에서 심리적 영역은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적 영역은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사후검사의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에서는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험집단의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은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므로 대중음악을 적용한 발레핏 프로그램은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에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양적연구결과를 보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참여 후 경험에 대하여 귀납적 내용 분석을 통해 분류하였고, 프로그램 수행 후 경험에 대한 세부적으로 ‘심리적’, ‘신체적’ 총 2가지의 대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심리적에서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긍정적 요인은‘흥미’, ‘삶의 질 향상’ 총 2가지, 부정적 요인은 ‘집중력 저하’ 총 1가지의 중영역으로 분류되었고, 대영역 중 신체적-긍정적 요인은 ‘신체 능력 향상’, ‘운동 지속 증가’로 총 2가지, 부정적 요인으로 ‘운동 수행능력 저하’ 총 1가지의 중영역이 분류되었다. 따라서, 대중음악을 적용한 발레핏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에게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신체적 변화가 급격한 중년여성에게 발레와 피트니스를 결합한 신개념 복합 운동인 발레핏과 대중음악의 정서가 부여됨으로써 발레 관련 프로그램의 음악사용에 대한 확장을 이루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년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범위를 세분화하여 노년 및 청소기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효과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popular music-applied balletfit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of middle-aged women. To this end, a total of 30 wo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49 dwell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ampled in the analysis. Among the participants, 15 women particip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of the half as the control group. A 70-minut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with a total of 24 sessions. The program applied popular music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lassical ballet music for the control group.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as utiliz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ub-factors of quality of life, such as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Moreover, all levels of the fitness screening test and its sub-factors, such as half squat, seated hip adduction, Z-sitting, roll-up, superman exercise, prone shoulder flexion, prone press up, and prone knee b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Second, the post-test scores for personal inter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Similarly, the post-test scores for the positive emotion and competence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Among the sub-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gnitive needs and personal relevance in the pre-and post-test, so the effectiveness of the popular music applied balletfit program was not verified in this regard. Third, the post-test scores for the psychological factor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the pre-test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the post-test scor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 were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ugges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ose areas compared to the pre-test. Hence,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popular music applied balletfit program improved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urth, to support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the program participating experiences were classified by conducting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Specifically, the experiences were sorted into two primary areas, i.e.,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The psychological factors were sub-categoriz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Under the sub-category, the positive aspec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another sub-category, such as interest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In contrast, negative factor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another sub-category, i.e., decreased concentration. Moreover, among the primary elements, physical-positiv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sub-categories, i.e., improvement of physical ability and increase in exercise continuation. Negative aspect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another sub-category, i.e., reduce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s the research suggests, the balletfit program applying popular music can lead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for middle-aged women. Ballet-related programs such as balletfit exercise, a new type of exercise combined with ballet and pilates, can be extended by adding popular music to the program, specifically for middle-aged women undergoing rapid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various age groups to verify the effect by considering the physical features of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adolescents.

      • A매치 경기 결과를 이용한 월드컵 결과의 통계적 예측 :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사례를 중심으로

        안아름 고려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승부를 예측하는 많은 방법들이 있으며, 그 중 축구와 같은 쌍으로 된 선호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 중 하나인 Bradley-Terry Model을 이용하여 2014 브라질 월드컵 16강 진출국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국제축구연맹(http://www.fifa.com)에서 제공하는 2009년부터 2014 브라질 월드컵 직전까지 최근 6년간 205개 국가의 A매치 경기 결과이다. 데이터는 경기일자, 출전국, 승패로 구성되어 있으며, Bradley-Terry Model을 통하여 각 국가들의 모수를 추정한 후 각 조별 각 국의 승패를 예측하였다. 현재 국가들의 실력에 오래된 경기의 결과의 영향력은 매우 작으므로 최근 년도 기준 년차별로 나누어 모형을 통해 예측한 결과 2012년부터 2014년 월드컵 직전까지 최근 3년간 누적 데이터를 적용한 모형이 16강 진출국 중 12개 국가를 예측해 75.0%의 높은 예측률을 보였다. 월드컵 경기 결과를 예측하는 다른 기관들은 기존의 월드컵 경기 결과, 홈팀 여부, FIFA 순위, 국가의 경제력 등 여러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전문적인 방법을 통해 결과를 예측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A매치 결과를 이용해 결과를 예측한 점에서 의미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결과가 서로 크게 다르지 않아 Bradley-Terry Model을 통해 경기의 승패를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RTI)을 이용한 떡살(다식판)의 보존처리과정 연구

        안아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RTI기법을 활용하여 열화가 진행 중이며 제작한지 약 100여년 정도 된 떡살(다식판)의 보존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덟 가지의 떡살(다식판) 시료 중에 손상이 심한 세 가지 시료에 대하여 클리닝 처리와 왁스 코팅을 통한 보존 작업 과정을 진행하면서 오염 및 손상 등에 의해 가려져 있던 떡살의 문양을 일반 디지털 이미지와 RTI렌더링 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관찰하였다. RTI 측정은 Dome RTI를 사용하였고, 여러 각도에서 광원을 조사하면서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를 RTI Processor를 통해 렌더링 하였다. RTI Viewer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하게 처리 된 이미지를 비교하면서 보존 처리 전후의 떡살의 문양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RTI 기법을 활용하면서 일반 디지털 이미지나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물리적 열화 흔적이나 원래 문양 등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rough this research, RTI technique was used for restoration of the deteriorating tteok-sal  which is estimated to be hundred years old. Out of the eight tteok-sal samples, three samples with the most damages and contaminations went through cleaning and waxing conservation process. During the conservation work, comparison of RTI Rendering image and regular digital image was performed. RTI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Dome RTI. Multiple images captured with different light angles were rendered through the RTI Processor program. Subsequently followed by the RTI Viewer program, various processed images were obtained. From those images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by RTI Viewer was seen. As a result, RTI technique was able to capture the trace of deterioration and original designs where regular digital image and visual were not successful.

      • 소아와 성인에서 패스트푸드, 식이 패턴과 비만

        안아름 건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Background The consumption of fast food is increasing, and health related problems are also emerging. Obesity is growing rapidly and i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Although fast food intake’s relationship with obesity has been widely researched, the results have often been contradicting. Objective Fast food and obesity-related studies have rarely been studied in Asians, and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ietary patterns for the remainder of food intak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ults, regardless of fast food consumption. Methods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onducted from 2010 to 2014,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on 5,732 children aged 6-18 years and 19,017 adults aged 19-65 years old. Dietary patterns, excluding for fast food, were grouped into three food patterns. Children: Grains and fruits / White rice / Meat, oil, and soda. Adults: Other grains and fruit / White rice and kimchi / Meat and alcohol. Results In children, overweight/obese children accounted for 18.8%. Among food patterns, 19.7% of the white rice pattern had higher overweight /obesity rates than other food patterns. The consumers of fast food included fewer legumes, nuts, vegetables, fruits, eggs, fish, milk in their diet, and had higher intake of oil and soda. The meat, oil, and soda food patterns were more frequent in the fast food consumers. Fast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obesity. In the white rice patter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In adults, 48.5% were overweight/obese. In the meat and alcohol food patterns, 61.6% had higher overweight/obesity rate than other food patterns. The consumption of white rice, grain, legumes, nuts, vegetables, fruits, fishes, and kimchi was low in the fast food consumers and the consumption of meat, oil, soda, alcohol, milk was high. The meat and alcohol patterns and the other grain and fruits patter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st food consumers. Fast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overweight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the meat and alcohol patterns. Conclusion The fast food group had a food intake known to be unhealthy and was not associated with obesity/overweight. Certain dietary patterns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diets high in the white rice food pattern in children and the meat and alcohol food patterns in adults. 연구 배경 서구화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패스트푸드의 섭취 또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건강 관련 문제의 하나로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패스트푸드 섭취가 비만과 관련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관련 연구에서는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고, 연관성은 불분명하다. 연구 목적 패스트푸드와 비만 관련성 연구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거의 연구되지 않았으며, 또한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 소아와 성인에서 패스트푸드와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과 비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10년에서부터 2014년까지 (제5기~제6기)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6-18세 소아 5,732명, 19-65세 성인 19,017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하였다.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을 범주별로 그룹 지어, 소아의 경우에 3개의 패턴(Grains and fruits / White rice / Meat, oil, and soda)으로, 성인의 경우에 3개의 패턴 (Other grain and fruit / White rice and kimchi / Meat and alcohol)으로 분류하였다. Multivariable adjusted linear &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통해 패스트푸드,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아에서 과체중/비만 어린이는 18.8%이었다.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 중 ‘White rice’패턴군에서 19.7%(881명)로 다른 패턴군에 비해 과체중/비만 비율이 높았다. 패스트푸드 비섭취군과 비교했을 때, 섭취군은 콩류, 견과류, 야채, 과일, 달걀, 생선, 유제품 섭취량이 적고, 오일과 소다는 더 많이 섭취했다. 패스트푸드 섭취군은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단에서 ‘Meat, oil, and soda' 패턴이 많았다. 그러나 패스트푸드 섭취는 소아 과체중/비만 유병률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고,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 중 'White rice' 패턴군에서만 소아 과체중/비만의 유병률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성인에서 패스트푸드 섭취군 중, 과체중/비만한 사람은 48.5%(904명)이었다.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 중‘Meat and alcohol’ 패턴군에서 61.6%로 다른 패턴군에 비해 과체중/비만율이 높았다. 패스트푸드 비섭취군에 비해 섭취군에서 흰 쌀밥, 곡류, 콩류, 견과류, 야채, 과일, 어류, 김치의 섭취는 적고, 고기류, 오일, 소다, 알코올, 유제품류 섭취가 많았다. 패스트푸드 섭취군은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단에서‘Meat and alcohol’패턴과‘Other grain and fruits’ 패턴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패스트푸드 섭취는 성인 과체중/비만 유병률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고,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 중 ‘Meat and alcohol’ 패턴군에서 과체중/비만과 복부 비만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패스트푸드 섭취군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이 패턴을 가지고 있었으나, 비만/과체중과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를 제외한 식이 패턴(성인 ‘Meat and alcohol’소아 ‘White rice’패턴)이 비만과 연관성이 있었다. 앞으로, 패스트푸드와 비만, 패스트푸드 제외한 식이 패턴과 비만과의 인과관계 및 기전을 밝히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브랜드 사랑에 따른 소비자 반응 :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안아름 세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Contemporary consumers are seeking more emotional ties to the product or brand which goes beyond simple consumption behaviors. Consumers feel that the brand they're consuming from is like creating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ultimately forming the feeling of love and attachment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through brand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a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increases, brand love from custom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crisis and relieving negative emotions. In effect, this draws up brand recognition and love in the contact service proces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search on how brand love is perceived in the consumer's mind and how it affects consumers' behaviors in the domestic food service market. In this study, it propose a service failure situation that can be occurred in a coffee shop. This specific brand actively interacted with customers through contact service, and it verified the positive effects of brand love even in a negativ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derived brand personal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brand love and brand identification, which is a moderator variable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brand love, was derives. After service failure, 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and love on the consumer responses (empathy, forgiveness, loyalty, word of mouth) in two different groups.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were designed for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using coffee shops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by dividing the group with high brand love and low brand love. The survey period was allocated a total of 450 copies from July 1, 2018 to August 31, with 244 high-group and 206 low-group units.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of effective samples with 200 high-group and 200 low-group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2.0, us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s follows. First, brand personality; sincerity, excitement, competency, sophistication, ruggedness was positively (+) influenced by brand love, and Hypothesis 1 was adopted. Second, brand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excitement, sophistication and Hypothesis 2 is partially adopted. Third, Hypothesis 3 was adopted when service recovery after the same service failur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 brand love than in the low group, because the empathy, forgiveness, loyalty, and word of mouth were higher.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demonstrates an importance emphasis on the consumers' brand love in the competitive coffee market in Korea. Additionally, it suggests a new model for the study of restaurant brand. This study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brand love as a strategy to resolve the crisis and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by verifying the positive effect of brand love over negative situations consumers face every day. 현대의 외식 소비자들은 브랜드와의 관계에서 제품을 소비하는 단순한 소비행동을 넘어 그 이상의 감성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이에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하여 지속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하며 브랜드를 마치 자신과 가까운 사람처럼 느끼며, 대인관계에서처럼 궁극적으로 사랑의 감정을 형성한다. 따라서 소비자-브랜드 간의 감성적 관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고객이 가진 브랜드 사랑은 접점서비스 과정에서 브랜드의 인식 형성과 사랑을 이끌어 내어 브랜드가 처한 위기의 상황을 이해하고 부정적 감정을 해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따라서 브랜드 사랑이 국내의 외식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어떻게 인지되며 소비자들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가 접점서비스를 통하여 고객과 활발히 상호관계가 형성되는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실패 상황을 제시하여 부정적 상황에서 브랜드 사랑이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브랜드 사랑의 선행변수인 브랜드 개성을 도출하였으며,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사랑에서 브랜드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 반응(공감, 용서, 충성도, 구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커피전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사랑이 높은 집단과 브랜드 사랑이 낮은 집단을 나누어 설문조사하였다. 설문기간은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고집단 244부와 저집단 206부 총 450부를 배부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50부를 제외한 고집단 200부, 저집단 200부 총 400부의 유효표본에 대해 SPSS Statistics 2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개성의 진실성,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 강인함은 브랜드 사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1은 채택되었다. 둘째, 브랜드 동일시는 브랜드 개성의 흥미성, 세련됨과 브랜드 사랑의 영향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2는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동일한 서비스 실패 후 서비스 회복이 있을 경우, 브랜드 사랑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공감, 용서, 충성도, 구전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3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치열한 환경에 처해있는 커피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브랜드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외식 브랜드 연구에 있어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기업의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브랜드 사랑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 서울 일부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교육 요구도 분석

        안아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영양지식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교육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총 290명으로 평균 신장 162 ㎝, 체중 52.8 ㎏, BMI 20.1 수준으로 대부분 정상체중군에 속하고 있었으며 영양지식수준을 평가한 결과 20점 만점에 전체 평균이 12.99점이였고, 이를 기준으로 상,중,하 그룹으로 분류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식생활은 수명과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94.1%)로 나타나 학생들이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태도를 Likert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식사를 즐겁게 한다’(4.04)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나는 체중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2.85)는 가장 낮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영양지식수준에 따른 그룹별 식생활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 ‘알고 있는 영양지식을 식생활에 실천하려고 노력한다.’의 경우 영양지식 그룹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영양지식을 식생활에 실천하려고 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영양교육요구도 분석결과 분석 대상 학생의 과반수이상의 학생이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영양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희망하는 영양교육 수업방법으로는 ‘조리실습’이 가장 높았고(50%), 수업매체로는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32.8%) 이론위주의 수업보다는 활동적이고 시각적인 면을 중요시하는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영양교육 주제는 ‘체중조절방법 및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56.9%)으로 정상 체중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절한 체중조절 방법에 관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체계적인 영양교육 계획 설정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청소년들의 영양지식 향상은 식생활태도 및 영양개선을 통하여 질병예방 및 건강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looked into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education demand caused by different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at would help forming of proper dietary habits.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below. A total of 29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y were 162cm in height and 52.8kg in weight on average with 20.1 of BMI. Most of the subjects were included in a standard weight group and the students achieved average 12.99 points out of 20 on nutrition knowledge evaluatio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upper, the middle and the lower groups based on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evaluation. Among the nutrition knowledge evaluation qusrtions. ‘How you eat in everyday life affects a lifespan and health’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correct answer rate (94.1%), and that was what proved how the students ar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right dietary life. Based on the analysis of dietary attitudes with Likert five-point scale the greatest level was found in ‘I enjoy having meals’ (4.04) while the lowest level was found in ‘I am satisfied with my weight’ (2.85). The analysis on each group’s dietary attitude depending on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demonstrated that a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the harder the subjects try to practice the nutrition knowledge in their dietary life (p<.05).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nutrition education demand showed that more than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increases with a great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p<.001). In regard to a desired nutrition educational method, ‘cooking practice’ appeared to be most popular (50%) and as for an educational material, the subjects preferred either videos or animations the most (32.8%). After all, the study observed the greater demand for active, visual education than for theoretical classes. The subjects were most willing to learn ‘healthy ways to control and lose weight’ (56.9%), and the study now assumes that the subjects need to receive nutrition education for right understanding on normal weight and proper ways to control weight. What had been discussed suggest that follow-up researches are required to establish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lan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The improvement in adolescents’ nutrition knowledge will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dietary attitudes and which would eventually help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