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8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Participants were 592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Participants were 592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were surveyed on childhood trauma, dispositional optimism, interpersonal problem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theory, the investigators created two structural models. In one model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in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In the other model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indirectly influenc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and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hood trauma did not directly affect interpersonal problems, but affected them indirectly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other hand, dispositional optimism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and also affected them indirectly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성향적 낙관성, 대인관계문제, 단절 및 거절도식을 측정하였으며, 선행연구 결과들과 이론적 배경들을 바탕으로 2개의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모형 1은 아동기 외상 및 성향적 낙관성이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대인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고, 모형 2는 아동기 외상은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대인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성향적 낙관성은 대인관계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모형이다. 그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향적 낙관성은 대인관계 문제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창,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학지사 2013

      2 홍상황,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23-940, 2002

      3 노영천,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3 (13): 2175-2202, 2012

      4 한지숙, "피학대아동의 가정복귀 후 심리행동적 적응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김은정,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의 친밀도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이태영,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정서인식 및 표현 부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3 (13): 297-312, 2014

      7 김숙영, "초등학생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구성희, "초기 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255-268, 2013

      9 이현정,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39-59, 2014

      10 곽영희, "청소년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45-64, 2011

      1 김효창,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학지사 2013

      2 홍상황,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23-940, 2002

      3 노영천,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3 (13): 2175-2202, 2012

      4 한지숙, "피학대아동의 가정복귀 후 심리행동적 적응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김은정,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의 친밀도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이태영,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정서인식 및 표현 부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3 (13): 297-312, 2014

      7 김숙영, "초등학생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구성희, "초기 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255-268, 2013

      9 이현정,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39-59, 2014

      10 곽영희, "청소년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45-64, 2011

      11 박시현, "지각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12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18

      13 박은혜,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34 : 385-405, 2014

      14 이유경,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5 최은영,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 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285-302, 2011

      16 하정희, "여대생의 거절민감성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 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47-66, 2019

      17 백혜영, "애정관계에서 낙관성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긍정적 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14, 2008

      18 김해숙,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양식과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19 노영천, "아동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0, 2013

      20 진효정, "아동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1 유현하, "아동의 낙관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2 조은정,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3 박은미,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기 성인기의 친밀한 대인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24 최나윤, "아동기 외상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 및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37-166, 2018

      25 김은정,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605-630, 2010

      26 차미영,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7 이태영,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2273-2291, 2011

      28 고나래,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9 유성진,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 27 (27): 91-117, 2008

      30 Young, J. E., "심리도식치료" 학지사 2003

      31 연세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신입생 실태조사" 2012

      32 권해수,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33 안하얀, "성인애착과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에 따른 집단 분류와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943-969, 2011

      34 진하영, "성격장애성향의 대인관계 문제: 자기-타인지각 비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211-230, 2010

      35 백승아,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들의 내면아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125-146, 2018

      36 김시연,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243-1265, 2008

      37 이민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63-75, 2012

      38 김현진,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77-294, 2004

      39 김지연, "대학생의 외로움 및 우울의 인지적 특성 :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7) : 39-60, 2011

      40 배미향,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49-1870, 2014

      41 김순혜, "대학생의 심리적 분리수준 및 대인관계 성향과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83-97, 2004

      42 남윤정,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초기부적응도식 수준에 따른 집단분류: 부모, 친구, 교수 및 일반적 대인관계 만족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05-321, 2018

      43 최임정,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479-492, 2010

      44 한수경,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 (35): 149-168, 2014

      45 권진희, "단절 및 거절도식과 대인관계 문제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13-24, 2017

      46 유아진,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적 단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41-60, 2017

      47 박준호, "남자 대학생들의 성역할갈등과 상담 의도와의 관계: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 상담에 대한 태도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25-48, 2009

      48 노현숙, "낙관성과 스트레스지각이 갈등해결양식 및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49 조하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호/적대상황에서의 대인관계도식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0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출판사 2007

      51 황정미, "고등학생의 지속성 기질과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이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 손상된 한계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75-300, 2018

      52 Martens, M.,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33 (33): 269-298, 2005

      53 Brissette, I.,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82 (82): 102-111, 2002

      54 Crawford, E.,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maltreatment on interpersonal schemas and subsequent experiences of relationship aggression" 7 : 93-116, 2007

      55 Messman-Moore, T. L.,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abuse on adult interpersonal conflict : The rol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atterns of interpersonal behavior" 7 (7): 75-92, 2007

      56 Peterson, C., "The future of optimism" 55 (55): 44-55, 2000

      57 Young, J. E., "The Schema diary" Cognitive Therapy center of New York 1993

      58 West, 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Inc 56-75, 1995

      59 Lumley, M. N., "Specificity in the relations among childhood adversity,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ymptom profiles in adolescent depression" 31 : 639-657, 2007

      60 Vollmann, M., "Social support as mediator of the stress buffering effect of optimism :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the recipients' and providers' perspective" 25 : 146-154, 2011

      61 Young, J. E., "Schema therapy flashcard" Cognitive therapy center of New York 1996

      62 Beck, A. T., "Prisoner of hate: The cognitive basis of anger, hostility, and violence" Perennial 2000

      63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1998

      64 Bostock, L., "Posttraumatic growth and optimism in health-related trauma : A systematic review" 16 (16): 281-296, 2009

      65 Harris, A. E., "Parental perceptions,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adults" 26 (26): 405-416, 2002

      66 Scheier, M. F., "Optimism, coping and health :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4 (4): 219-247, 1985

      67 Srivastava, S., "Optimism in close relationships : How seeing things in a positive light makes them so" 91 (91): 143-153, 2006

      68 Santos, O., "Optimism in adolescence : Across-sectional study of the influence of family and peer group variable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52 (52): 812-817, 2012

      69 Chang, E. C., "Optimism and pessimism as partially independent constructs : Relationship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3 (23): 433-440, 1997

      70 Assad, K. K., "Optimism : An enduring resource for romantic relationships" 93 : 285-297, 2007

      71 Shrout, P.,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72 Seligman, M. E. P., "Learned optimism" Knopf 1991

      73 Horowitz, L. M.,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56 (56): 885-892, 1988

      74 Eric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W. W. Norton & Company 1994

      75 Gibb, B., "History of childhood maltreatment, negative cognitive styles, and episodes of depression in adulthood" 25 (25): 425-446, 2001

      76 Baranoff, J., "Factor structure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in Korean and Australian samples" 93 : 133-140, 2006

      77 John, J. C,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s, psychological mindedness and self-reported college adjustment" 81 (81): 105-118, 2008

      78 Morgan, C., "Environmental factors in schizophrenia : Childhood trauma-a critical review" 33 (33): 3-10, 2007

      79 Nordahl, H. M.,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or without personality disorder : Does schemas modification predict symptomatic relief?" 12 (12): 142-149, 2005

      80 Hamamci, Z., "Dysfunctional relationship beliefs of late adolescence in adjustment to university" 2 (2): 300-304, 2010

      81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82 Luxenberg, T., "Complex trauma and disorders of extreme stress(DESNOS)Diagnosis, part one : Assessment" 21 : 373-392, 2001

      83 Young, J. E.,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ed approach" Sarasota 1990

      84 Wright, M. O. D.,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later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chemas" 33 : 59-68, 2009

      85 Krause, E.,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 The mediating role emotional inhibition" 27 (27): 199-213, 2003

      86 Spertus, I. L.,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27 : 1247-1258, 2003

      87 Bernstein, D. P.,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onio"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8

      88 Kagan, J., "Biological bases of childhood shyness" 240 : 167-171, 1988

      89 Meevissen, Y. M. C., "Become more optimistic by imagining a best possible self : Effects of a two week intervention" 42 (42): 371-378, 2011

      90 Russell, D. W.,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91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 원리와 실제" 청람 2014

      92 Wei, M,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52 : 14-24, 2005

      93 Vaillant, G. E., "A 60‐year follow‐up of alcoholic men" 98 : 1043-1051,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