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교육과정에서 학생봉사활동과 봉사학습의 확장 = Extending of service-learning and student service in the secondary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0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urriculum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and students service a lot of interest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learning and student service training. The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at the school site for student service applied in secondary education, analysis of the ambiguity of service learning, which is understood in student outreach and student service boundaries and areas of activities and service learning It had to be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extended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learning to run the school curriculum in our country.
      The study first, by studying previous research and studies, operational reports analyzed the execution status and problems of student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in schools, a student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aligned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a foreign curriculum wa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aligned service learning. Second, in second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boundaries and areas of student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it was an ambiguous classification, aligned through a training course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learning derived expand service learning in secondary education. Extended service learning curriculum in the study were deduced the possibility of structuring a service learning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could be aligned with the center. The issue of compulsory student service up to this point could be solved by applying service learning.
      번역하기

      In the curriculum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and students service a lot of interest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learning and student service training. The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at the school site for student ser...

      In the curriculum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and students service a lot of interest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learning and student service training. The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at the school site for student service applied in secondary education, analysis of the ambiguity of service learning, which is understood in student outreach and student service boundaries and areas of activities and service learning It had to be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extended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learning to run the school curriculum in our country.
      The study first, by studying previous research and studies, operational reports analyzed the execution status and problems of student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in schools, a student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aligned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a foreign curriculum wa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aligned service learning. Second, in second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boundaries and areas of student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it was an ambiguous classification, aligned through a training course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learning derived expand service learning in secondary education. Extended service learning curriculum in the study were deduced the possibility of structuring a service learning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could be aligned with the center. The issue of compulsory student service up to this point could be solved by applying service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량, "한양대학교 사회봉사단 10년 백서" 한양대학교 사회봉사단 2005

      2 조강모,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봉사학습프로그램의 평가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 13 : 228-257, 2003

      3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체험활동 교육과정해설.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5 한승희,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방향"

      6 박선향, "청소년의 민주시민교육과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67-186, 2010

      7 박선향, "청소년의 민주시민교육과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3

      8 정한숙, "청소년봉사학습 역할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7

      9 허성욱, "청소년 참여로서의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3 : 181-198, 2006

      10 황우진,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효과성 진단과 발전방안" 푸르덴셜사회공헌재단 2008

      1 김종량, "한양대학교 사회봉사단 10년 백서" 한양대학교 사회봉사단 2005

      2 조강모,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봉사학습프로그램의 평가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 13 : 228-257, 2003

      3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체험활동 교육과정해설.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5 한승희,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방향"

      6 박선향, "청소년의 민주시민교육과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67-186, 2010

      7 박선향, "청소년의 민주시민교육과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3

      8 정한숙, "청소년봉사학습 역할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7

      9 허성욱, "청소년 참여로서의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3 : 181-198, 2006

      10 황우진,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효과성 진단과 발전방안" 푸르덴셜사회공헌재단 2008

      11 윤기종,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론" 한국학술정보(주) 2009

      12 오선희, "청소년 봉사활동 실태·의식·만족도" 서울시립 청소년지원봉사센터 2006

      13 정창우, "청소년 봉사학습의 문제점과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7) : 85-112, 2008

      14 김태경, "청소년 봉사 학습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2004

      15 김은영, "참여자 관점에서 본 학습포트폴리오 활동과 그 의미" 교육종합연구소 11 (11): 93-118, 2013

      16 전보애, "지리적 탐구방법과 통합된 봉사학습: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의 실행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323-337, 2010

      17 박태영, "중·고교생의 자원봉사와 복지교육" 3 (3): 354-369, 1997

      18 한인영, "전공교육과 연계한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연구: 사회복지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251-276, 2005

      19 이해숙, "자원봉사와 생활" 성안당 2008

      20 박태영, "자원봉사론" 공동체 2009

      21 염동문, "자원봉사론" 청목출판사 2009

      2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활동 네트워크 연구학교 봉사활동 연구·운영 보고서"

      23 김영인, "시민성함양 방안으로서 청소년 봉사활동지도에 관한 연구 -봉사학습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185-210, 2003

      24 김동배,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학지사 2005

      25 한정란, "세대공동체 봉사학습을 통한 청소년의노인에 대한 태도변화"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75-100, 2004

      26 최상민, "세대공동체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청소년과 시설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163-177, 2007

      27 이경숙, "사회과 참여학습으로서의 지역사회 봉사학습"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8 이규은,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291-311, 2010

      29 김성봉, "봉사학습과 교육과정 탐구 영역의 확장"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229-249, 2004

      30 원미순, "봉사학습 경험 대학생의 지역사회참여의식에 관한 연구" 3 : 43-69, 2003

      31 서은희, "봉사-학습이 예비 여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35-49, 2009

      32 서은희, "봉사-학습이 예비 여교사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437-456, 2010

      33 서은희, "봉사-학습이 예비 여교사들의 교직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93-111, 2008

      34 김정숙, "봉사-학습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또래교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5 서은희, "봉사-학습에서의 교수경험이 여자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477-489, 2009

      36 이유리, "미용관련학과의 봉사활동 실태 및 봉사학습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0

      37 김성봉, "미국의 봉사학습이 한국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31 (31): 287-305, 2004

      38 이용교, "디지털사회복지" 인간과 복지 2002

      39 원미순, "대학생의 봉사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0 권순철,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효과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3 (13): 143-165, 2015

      41 김통원, "대학생 봉사학습에 관한 실증적 사례연구" 47 : 148-177, 2001

      42 조용하, "대학봉사학습의 동향과 과제" 동아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2002

      43 Barbara Jacoby, "대학교육과 봉사학습 : 이론적 관점과 실제" 학지사 2008

      44 박경일, "대학과 지역사회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연계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청소년자원봉사학교 참사랑 봉사 School을 중심으로-" 6 (6): 24-52, 2000

      45 함수연, "대학 사회봉사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46 방기용, "근거이론을 적용한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 요인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3-54, 2014

      47 Ormrod, J. E., "교육심리학" 아카데미프레스 2011

      48 강현숙,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49 김숙, "교육과정 조정에 의거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및 평가 분석" 경북대학교 2007

      50 이연숙, "교육과정 정렬에 의거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서 내용분석"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1 김숙, "교육과정 정렬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1-139, 2009

      52 김경선, "공학에서 봉사학습 프로그램 운영 전략 모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4-23, 2009

      53 University of Louisiana System, "ULS Serves : service learning report"

      54 Kirkham, M., "Sustaining service-learning in Wisconsin: What principals, teachers, and students say about service-learning, 2000-2001"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001

      55 장경원, "Service-Learning에 기반한 ‘교육봉사’과목 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73-393, 2010

      56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Maryland's 7 Best Practices, Aligned!"

      57 The National Youth Leadership Council, "K-12 service-learning standards for quality practice"

      58 Carol W. Kinsley, "Enriching the curriculum through service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5

      59 Glatthorn, A. A., "Developing a quality curriculum" Alexandria 1994

      60 Seifer S. D., "Community campus partnerships for health. Faculty Toolkit for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National Service-Learning Clearinghouse 2007

      61 Jane C. Kendall, "Combining service and learning: A resource book for community and public service. Vol 1" National Society for Internships and Experiential Education 1990

      62 Billig, S. H., "Case Studies of effective practices in the partnership in character education project: Evaluation for the School District of Philadelphia" RMC Research Corporation 2007

      63 Tyler, Ralph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64 김성봉, "21세기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도서출판 세림 2004

      65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학년도 중·고등학교 학생 봉사활동 지도서" 혜성기획 2010

      66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교육과정 개정고시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종합연구소 -> 교육종합연구원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71 2.408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