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Children's Picture Book -Focus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7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of 5-year-old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the part of social relations in Nuri curriculum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the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5-year-old children in Y-day care center of Gyeonggi-do.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ocial enhancement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was applied for 4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or a total of 15 weeks, and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regular clas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hildren 's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was effective to promot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social relations such as initiative, cooperativeness, and sociability, and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self-recognition and self-expressive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nd control ability for others. As a result,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children’s picture book supports the base of theoretical research related children’s sociality and is effective for promot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of 5-year-old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so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of 5-year-old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the part of social relations in Nuri curriculum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the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5-year-old children in Y-day care center of Gyeonggi-do.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ocial enhancement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was applied for 4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or a total of 15 weeks, and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regular clas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hildren 's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was effective to promot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social relations such as initiative, cooperativeness, and sociability, and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self-recognition and self-expressive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nd control ability for others. As a result,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children’s picture book supports the base of theoretical research related children’s sociality and is effective for promot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하여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사회 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의 사회성에 관한 문헌고 찰과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협의과정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 법, 평가방법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Y시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20명을 대 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그림책을 통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은 실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매회 40분씩, 주 1회 총 15주간을 실시 한 후 효과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관계의 하위요인인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및 표현 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조절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 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하여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사회 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의 사회성에 관한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하여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사회 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의 사회성에 관한 문헌고 찰과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협의과정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 법, 평가방법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Y시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20명을 대 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그림책을 통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은 실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매회 40분씩, 주 1회 총 15주간을 실시 한 후 효과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관계의 하위요인인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및 표현 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조절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 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상, "힐링스토리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성,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141-162, 2016

      2 원계선, "통합교육 환경에서 동화활용 문학적 접근활동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85-403, 2006

      3 김영옥, "친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아교육프로그램" 26 (26): 193-204, 1998

      4 황지영,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자기통제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8) : 229-269, 2018

      5 이영자, "주제중심의 통합적접근방법에 의한 유아 사회교육" 교문사 2001

      6 김규수,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타인정서인식과 자기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57-374, 2004

      7 김명화, "자연물을 이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39-359, 2012

      8 申鉉玉, "자신과 타인 이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9 유하나, "자기표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김영희, "인형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53-280, 2003

      1 강상, "힐링스토리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성,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141-162, 2016

      2 원계선, "통합교육 환경에서 동화활용 문학적 접근활동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85-403, 2006

      3 김영옥, "친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아교육프로그램" 26 (26): 193-204, 1998

      4 황지영,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자기통제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8) : 229-269, 2018

      5 이영자, "주제중심의 통합적접근방법에 의한 유아 사회교육" 교문사 2001

      6 김규수,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타인정서인식과 자기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57-374, 2004

      7 김명화, "자연물을 이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39-359, 2012

      8 申鉉玉, "자신과 타인 이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9 유하나, "자기표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김영희, "인형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53-280, 2003

      11 유경숙,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적응과의 관계-교사-유아관계, 또래관계 및 일과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35-45, 2009

      12 한윤경,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성 발달을 위한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95-316, 2007

      13 윤지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 유능성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김지현, "유아의 정서적 능력 키우기" 양서원 2013

      15 우수경,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6 오숙현,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함양을 위한 주도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17 한수정, "유아의 놀이성, 정서지능 및 자기조절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김세희, "유아와 교사를 위한 문학교육" 양서원 2000

      19 이경우,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 유아도서 추천을 위한기초연구" 양서원 1997

      20 조순옥, "유아사회교육" 창지사 2013

      21 김영옥,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2014

      22 김현희,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1999

      23 김정원,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2014

      24 이태영, "유아를 위한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5 박찬옥,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 프로그램" 양서원 1997

      26 이윤옥, "유아기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또래중재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8 (8): 5-28, 2004

      27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사(제2-219)" 한국사연구사 2011

      28 이영자, "유아 정서지능의 구인타당화 연구" 12 (12): 25-38, 1999

      29 강현경, "유아 사회적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30 권정윤,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41-358, 2010

      31 김영옥, "유아 사회교육의 통합적 운영" 창지사 2001

      32 한보람, "유머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유머 이해, 또래 유능성,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33 김영옥, "우정증진 활동이 유아의 친구관계 개념과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79-301, 2010

      34 권미혜, "오감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5 정지나,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36 조윤경,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공동체 2010

      37 박민혜, "성품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8 이미나, "상호작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표현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39 서미옥, "문학적 접근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상호협력행동에 미치는 효과" 23 (23): 91-113, 2003

      40 김은미, "만1세 그림책 통합활동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129-162, 2017

      41 윤수진,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2 양연숙, "또래 친밀감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구관계 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혜전대학 23 : 99-114, 2005

      43 정계숙, "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언어발달지체 유아를 중심으로" 13 (13): 17-47, 2004

      44 김지영,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331-351, 2016

      45 김지은, "동화를 이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13-28, 2004

      46 문명희,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157-180, 2014

      47 노민자, "누리과정에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보육학회 15 (15): 19-44, 2015

      48 배윤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활용에 적합한 그림책 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49 전방실,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0 오영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정서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69-290, 2004

      51 이기영,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52 박찬옥,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221-244, 2012

      53 강은애, "그림책에 기초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8 : 211-234, 2005

      54 서현아,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33, 2002

      55 박성희,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56 안지혜,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7 김은희, "그림동화책을 통한 토의 및 역할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8 최윤정,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20 (20): 275-291, 1999

      59 이정연,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0

      60 김미야,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61 李炳來, "父母의 心理的 姿勢와 幼兒의 情緖知能과의 關係"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62 Lewis A. C., "Time to Talk of Early Childhood" 83 (83): 103-104, 2001

      63 Zeece, P. D., "Supporting children’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 Literature choices that make a difference" 27 (27): 239-242, 2009

      64 Nikolajeva, M., "Russian Children's Literature and Culture. Edited by Marina Balina and Larissa Rudova" 34 (34): 88-90, 2009

      65 OˊMally, J. M., "Research perspective on social competence" 23 : 29-44, 1977

      66 Bronson, M. B., "Recognizing a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Young Children" 55 (55): 32-37, 2000

      67 Haskins, C., "Power picture books : Tools for teaching peace" 20 (20): 32-37, 2008

      68 Owens, W. T., "More than just pictures : Using picture story books to broaden young learners’ social consciousness" 92 (92): 33-40, 2001

      69 Collaborative fo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mplementing systemic district and school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Collaborative fo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2013

      70 Katz, L. G.,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Vol. 8" NAEYC 1997

      71 Ladd, Gary W, "Children's initial sentiments about kindergarten" 46 (46): 255-279, 2000

      72 박정란, "4세 유아를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73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