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SSURE 모형 기반의 스마트 기기 활용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심폐지구력 운동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ntervention utilizing smart device based on ASSURE model on the cardiovascular exerci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0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utilizing smart device based on ASSURE instructional model on the cardiovascular exerci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3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of learner analysis based on ASSURE model showed they had no problem in ability and sense for exercise, but they all had obesity and recommended regular cardiovascular exercises. Therefore, to motivate the students to the exercise, the authors had chosen treadmill exercise and audio-visual media through smart device, and let them choose their activities in physical exercise class. Experiment data(performance rate, concentration rate, and amount of exercise) were gathered and analysed through ABAB reversal design in single cas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during the intervention, the performance rate and amount of exercise of all students were greatly improved compared with that in baseline session. The result were also repeated. Second, concentration rate of the students on audio-visual media was resulted to very high level. The authors discussed the result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physical exercise in special schoo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utilizing smart device based on ASSURE instructional model on the cardiovascular exerci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3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utilizing smart device based on ASSURE instructional model on the cardiovascular exerci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3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of learner analysis based on ASSURE model showed they had no problem in ability and sense for exercise, but they all had obesity and recommended regular cardiovascular exercises. Therefore, to motivate the students to the exercise, the authors had chosen treadmill exercise and audio-visual media through smart device, and let them choose their activities in physical exercise class. Experiment data(performance rate, concentration rate, and amount of exercise) were gathered and analysed through ABAB reversal design in single cas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during the intervention, the performance rate and amount of exercise of all students were greatly improved compared with that in baseline session. The result were also repeated. Second, concentration rate of the students on audio-visual media was resulted to very high level. The authors discussed the result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physical exercise in special scho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지혜,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 이성민, "초등학교 정상아와 비만아의 건강관련체력과 신체활동량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1185-1193, 2005

      3 나문희,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김정수, "지적장애 특수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체감형 비디오 테니스 게임 적용 실행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21, 2010

      5 김정애,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설계 : ASSURE 모형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염명조, "정신지체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비만도 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김의수, "정신지체학교 학부모가 기대하는 체육교사의 역할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35-49, 2001

      8 박병도, "정신지체학교 체육수업 담당 교사의 체육교과 인식 및 체육수업 실태 조사" 한국특수체육학회 16 (16): 181-207, 2008

      9 한민규, "정신지체아의 장애정도별 형태학적 특성" 한국특수체육학회 10 (10): 73-80, 2002

      10 문상진,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1 신지혜,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 이성민, "초등학교 정상아와 비만아의 건강관련체력과 신체활동량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1185-1193, 2005

      3 나문희,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김정수, "지적장애 특수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체감형 비디오 테니스 게임 적용 실행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21, 2010

      5 김정애,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설계 : ASSURE 모형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염명조, "정신지체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비만도 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김의수, "정신지체학교 학부모가 기대하는 체육교사의 역할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35-49, 2001

      8 박병도, "정신지체학교 체육수업 담당 교사의 체육교과 인식 및 체육수업 실태 조사" 한국특수체육학회 16 (16): 181-207, 2008

      9 한민규, "정신지체아의 장애정도별 형태학적 특성" 한국특수체육학회 10 (10): 73-80, 2002

      10 문상진,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11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53-480, 2011

      12 김은경, "장애 아동의 성장발달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2004

      13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서" 교육과학기술부 2011

      14 독고혜원, "음악이 발달장애아동의 트레드밀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1

      15 이미란, "음악의 리듬자극이 정신지체아동의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6

      16 송경철, "안드로이드 기반 비만 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 : BMI 및 운동량 산출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강희정,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주의집중 행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13-232, 2006

      18 강호수,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류 분류하기가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분류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19 김수현,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박현정,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중학교 특수학급 정신지체 학생의 수업방해행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홍후조, "스마트시대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계획에 따른 교육적 쟁점에 관한 성찰" 2011

      22 이인숙, "스마트러닝 학습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345-357, 2013

      23 김건희,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2000-2012년 국내 논문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91-218, 2013

      24 송승민, "스마트교육 기반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25 이승환, "스마트 폰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게임적 보상이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3

      26 황현철,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발달장애 학생의 복지일자리 정책 직무수행에 미치는 효과 : 사무보조 업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7 이승훈, "스마트 기기 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28 유창제, "배경음악이 유산소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3 : 65-80, 1993

      29 서정희,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30 신진숙, "동영상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33-53, 2008

      31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체육 교사용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32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1999

      33 홍기칠,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10판" 아카데미프레스 2011

      34 홍기칠,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10판" 아카데미프레스 2011

      35 손미,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피어슨에듀케이션 코리아 2002

      36 홍미영, "감각통합 치료 동영상 모델링이 정신지체 아동의 자발성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9

      37 이세흠, "u-러닝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기기 활용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38 이경미, "ASSURE 모형을 활용한 음수 지도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9 송정원, "ASSURE 모형을 활용한 10학년 감상수업 지도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0 신효선, "ASSURE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생활화 영역' 수업지도 방안"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1 권혜진, "ASSURE 모형을 적용한 기하의 증명 지도 방안 : 중학교 수학2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2 우미향, "ASSURE 모형을 이용한 교수매체 선정 및 활용 : 컴퓨터교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3 박형웅, "ASSURE 모델을 적용한 풍물수업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44 문경화, "ASSURE 모델을 적용한 웹기반 학습지도안 설계 및 구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5 천승애, "ASSRUE[실은 ASSURE] 모형을 적용한 7학년 음악수업의 대중가요 활용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6 정재훈, "21세기 학습능력 및 스마트 러닝 교수설계 모형 연구" 20 (20): 151-154, 2012

      47 교육과학기술부, "2012 교육정보화백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48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도 하반기 u-러닝 연구학교 워크샵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