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 텍스트의 글, 그림, 파라텍스트 기능 및 관계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5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의 각 텍스트들, 즉 글, 그림, 파라텍스트의 기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각 텍스트의 기능을 탐색하고, 이를 그림책을 예시로 들어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의 각 텍스트들, 즉 글, 그림, 파라텍스트의 기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각 텍스트의 기능을 탐색하고, 이를 그림책을 예시로 들어 제시하고자 한다. 탐색 결과 글 텍스트의 기능은 그림을 이해하는 맥락을 제공하고, 그림과 그림을 연결하며, 독자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세부사항을 강조한다. 또한 그림의 의미를 확장하고 유추하도록 안내하고, 등장인물의 심리묘사를 표현하는데 그림 보다 경제적이며, 의성어, 의태어 등 그림이 표현하기 힘든 것들을 쉽게 표현함으로써 그림책의 이야기를 더욱 실제에 가까운 것으로 느끼게 만든다. 둘째, 그림 텍스트는 글이 표현하지 않은 세세한 부분까지 장면 가득 정보를 담아 글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글 텍스트에서 부분적으로 언급되거나 불확실한 이야기를 구체화하고 명료화 한다. 또한, 글보다 많은 정보를 쉽게 제공함으로써 이야기를 효율적으로 전개시키며 전체적인 의미를 한 장면으로 한 번에 드러내고, 이야기의 연속성, 인물의 움직임, 여러 공간에서 일어나는 동시적 사건들을 쉽게 표현해 준다. 셋째, 파라텍스트는 그림책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책 속의 내용을 예측하고, 독자가 책을 탐구하도록 유혹하며, 책의 구성 방식과 책의 목적에 대한 단서를 제공 한다. 또한, 그림책의 이야기를 연장하고 확장시키는 기능을 하고, 책과 독자를 이어주는 매개적 기능을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그림책의 속성에 대해 중요하게 다룸으로써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무엇을 강조해야 하며, 글, 그림, 파라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여야 할지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unctions of texts in picture books, that is to say the functions of text, picture and paratext.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following functions based on the advanced studies, and suggest met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unctions of texts in picture books, that is to say the functions of text, picture and paratext.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following functions based on the advanced studies, and suggest method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First, function of texts is to provide a context for understanding of pictures, connect picture and picture, and emphasize details by suggesting a direction that readers should pay attention. In addition, texts make the story of picture books to be closer to the reality by guiding readers to expand and analogize meaning of pictures, and are economical than pictures in expressing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characteristics, and easily expressing things that cannot be expressed by pictures such as onomatopoeic words, mimetic words etc. Second, pictures and texts expand the story of texts by filling scenes with information in every minute detail that are not expressed by texts, materializing and clarifying a story mentioned partially in texts or uncertain.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texts and pictures develop a story effectively and show overall meaning in a single scene by providing much information with ease than texts, and easily express continuity of a story, movement of characters and simultaneous incidents that occur in various spaces. Third, paratext enables readers who read a picture book to predict contents of the book and attract readers to explore the book, providing them with a clue for format and purpose of the book. Paratext also extends and expand the story of picture books with a mediating role to connect books and readers.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find what we should emphasize in the course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how we can understand and use texts, pictures and paratext by dealing with attribute of picture book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of picture book read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글 텍스트의 기능
      • Ⅲ. 그림 텍스트의 기능
      • Ⅳ. 파라텍스트의 기능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글 텍스트의 기능
      • Ⅲ. 그림 텍스트의 기능
      • Ⅳ. 파라텍스트의 기능
      • Ⅴ. 글, 그림, 파라텍스트의 관계
      • Ⅵ.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wis, D., "현대 그림책 읽기" 작은씨앗 2008

      2 장혜원, "한국의 유아용 글 없는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3 이수정, "한국 민화를 응용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1세-6세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4 신세니,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5 임선영, "평면 조형적 구성요소로 접근한 일러스트레이션 특성 분석"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7

      6 김지연, "타이포그래피의 예술적 관점에서 본 구체시의 정신성과 조형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7 서민주, "칼데콧 수상 그림책에 나타난 밤의 의미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157-174, 2015

      8 김상욱, "익숙한 관계, 새로운 모색; 그림책의 글과 그림" 4 (4): 41-59, 2006

      9 박영선, "이코노텍스트의 관점에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 연구 -볼로냐아동도서전 라가지상 한국작가 수상작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113-125, 2012

      10 이조은,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 Lewis, D., "현대 그림책 읽기" 작은씨앗 2008

      2 장혜원, "한국의 유아용 글 없는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3 이수정, "한국 민화를 응용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1세-6세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4 신세니,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5 임선영, "평면 조형적 구성요소로 접근한 일러스트레이션 특성 분석"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7

      6 김지연, "타이포그래피의 예술적 관점에서 본 구체시의 정신성과 조형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7 서민주, "칼데콧 수상 그림책에 나타난 밤의 의미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157-174, 2015

      8 김상욱, "익숙한 관계, 새로운 모색; 그림책의 글과 그림" 4 (4): 41-59, 2006

      9 박영선, "이코노텍스트의 관점에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 연구 -볼로냐아동도서전 라가지상 한국작가 수상작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113-125, 2012

      10 이조은,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지현,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표지디자인의 타이포그래피와 색채에 관한 연구" 3 (3): 74-83, 2007

      12 이혜수,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시각언어로서의 빛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13 원윤선, "우리나라 전래그림동화 속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아개념에 대한 내용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4 송진희, "우리나라 번역 그림책 표지의 시각적 변형 연구- 2004년~2014년 칼데콧 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7 (17): 145-152, 2014

      15 송희진, "우리나라 그림책의 프랑스 번역판의 파라텍스트 변형 연구-판형과 제본, 표지, 면지, 종이 재질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267-281, 2014

      16 유동관,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대한 어린이의 선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5-175, 2011

      17 임헌혁, "앤서니 브라운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내재된 조형요소 상징성 분석 연구" 11 (11): 35-46, 2008

      18 Nikolajeva, M.,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19 장일향, "아동그림책에 나타난 대비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0 조명숙,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21 조성윤, "상호작용성을 활용한 유아용 그림책의 편집디자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2 김성도, "상호매체성의 융합기호학적 함의: 하이퍼미디어에서 발현되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3 : 29-56, 2002

      23 정근수, "문학 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모형 개발 연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4 한성옥, "매체로서의 그림책에 날개를 달자" 4 (4): 69-76, 2006

      25 김이산, "똑!똑!똑! 그림책" 현암사 2004

      26 손영은, "독서경험 확장을 위한 북 콘텐츠 시각화 방안에 대한 연구 : 파라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7 박일우, "글과 그림" 1 (1): 377-402, 1995

      28 김영수, "그림책의 조형적 구성요소로서 타이포그래피 연구: 마이라 칼만(Maira Kalman)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6 (16): 33-40, 2013

      29 김시정, "그림책의 장르별 시간적 배경과 플롯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30 김정선, "그림책의 의미작용 : 이중서술체계와 매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31 신명호, "그림책의 세계" 김영사 2009

      32 Salisbury, M., "그림책의 모든 것" 시공사 2012

      33 현은자, "그림책의 그림읽기" 마루벌 2004

      34 Nikolajeva, M, "그림책을 보는 눈: 그림책의 분석과 비평" 마루벌 2011

      35 Takeuchi, O., "그림책은 재미있다" 문학동네 2008

      36 김정준, "그림책에 나타난 파라텍스트의 의미 분석: 볼로냐 라가치상 국내 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179-202, 2016

      37 장혜미, "그림책에 그려진 성인 등장인물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15-26, 2008

      38 김영수, "그림책 화면의 일부로서의 글자 연구: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의미작용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33-40, 2010

      39 이소영, "그림책 플롯의 절정을 표현한 예술적요소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257-267, 2013

      40 조경희, "그림책 텍스트의 융합기호 표현연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41 이차숙, "그림책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작용 방식에 대한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149-172, 2015

      42 나선희, "그림책 작가의 쓰기 및 유아 독자의 읽기 전략으로서의 상호텍스트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43 최 진, "그림책 읽기의 해석학적 순환과정에 대한 이해"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44 안영길, "그림책 읽기의 이해방식과 지도방안 탐색 - 기호학과 해석학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375-401, 2016

      45 이차숙, "그림책 읽기의 의미 구성적 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55-80, 2012

      46 박성연,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정서 표현에 대한 조형 요소 연구 : 기본적 정서를 다룬 4권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7 김혜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 : 국내외 그림책 수상작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8 나선희, "그림책 면지와 서사의 관계 -한국 그림책을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9) : 93-118, 2010

      49 서정숙, "그림책 면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읽기흥미도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75-93, 2010

      50 Nodelman, P., "그림책 론: 어린이 그림책의 서사 방법" 보림 출판사 2011

      51 유동관, "그림보고 그림읽기" 미진사 2005

      52 김수현, "그림동화 감상을 위한 발문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3 Arizpe, E., "그림 읽는 아이들: 시각 언어에 대한 아동의 이해" 미진사 2004

      54 홍혜연, "공감각적 맥락에서 본 아동 그림책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493-507, 2006

      55 Pantaleo, S., "Young children engagewith the metafictive in picturebooks" 28 (28): 19-37, 2005

      56 Shulevitz, U., "Writing with Pictures; How To Write and Illustrate Children's Books" Watson-Guptill Publications 10036-, 1985

      57 Schwarcz, J., "Ways of the Illustrator: Visu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2

      58 Sipe, L. R., "Shattering the looking glass: Challenge, risk, and controversy in children's literature" Christopher-Gordon Publishers 2008

      59 Nerlich, M., "Qu'est-ce qu'un iconotext? Re′flexions sur lerapport text e-image photographique dans "La femme se de′couvre"" Ophrys 1990

      60 Genette, G., "Paratexts: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1 Stewig, W., "Looking at the picturebooks" Highsmith Press 1995

      62 Russell, D., "Literature for Children: A Short Introduction" Order Dept., Addison-Wesley 01867-, 1991

      63 Moebius, W., "Introduction to picturebook codes" 2 (2): 141-158, 1986

      64 Glazer, J. I.,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 Prentice-Hall, Inc 1997

      65 이유나,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66 Lukens, R. J., "A Critical Handbook of Children's Literature" Allyn and Bacon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