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五經百篇』 수록 『詩經』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higyeong which is Included in the Ogyeong-Baegpy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8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正祖朝 親撰 『五經百篇』 제 3권 「詩」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와 인용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고, 나아가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지닌다.
      『오경백편』은 문장의 正宗을 제시해야 했던 시대적 상황과 고문을 지향하고 주자학을 존숭했던 정조의 문체관 및 초록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학문적 사상이 융합되어 행해진 ‘선본 편찬’이라는 배경에 의해 편찬되었다. 『오경백편』은 易經, 書經, 詩經, 春秋, 禮記 오경 중에서 99편의 글을 선정하여, 각 경서별로 한 권씩 총 5권이 한 帙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 3권 「시」는 67편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양이 많은데, 유가에 있어서 ‘시’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정치적․사회적․외교적 측면에서 그 가치를 재조명 받아 반드시 익혀야 하는 경전인 『詩經』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는 점, 그리고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경』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였다는 점에서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과 선별 기준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오경백편』 「시」 수록 작품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먼저 「風」 160편 중 21편, 「雅」 105편 중 36편, 「頌」 40편 중 10편을 수록하여, 각각 13.1%, 34.3%, 25%의 비율을 보인다. 수록된 「풍」 21편의 내용은 주로 天子와 后妃의 덕을 찬미하는 내용, 어진 임금을 찬미하는 내용, 잘못된 정사를 풍자하는 내용과 의로써 군대를 일으키는 내용, 백성들의 농사일에 대해 노래한 내용, 병사들의 노고를 표현하고 주공과 성왕의 행적에 대해 서술한 내용 등이다. 「아」 36편은 연회자리에서 불리는 대표적인 시, 벗과 이웃 사이의 우정을 노래한 시, 전쟁에서 돌아온 병사들을 위로하는 시, 公卿大夫가 농사에 힘써서 종묘 제사를 받드는 과정을 서술한 시를 비롯하여 훌륭한 정사를 펼친 聖王들의 행적에 대해 노래한 시를 수록하였다. 「송」 10편은 성왕의 출생과 업적 및 말씀을 상세하게 서술하거나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살펴야할 덕목을 서술하여 역사적,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시를 수록하였다.
      이를 ‘人倫’, ‘愛情’, ‘讚美’, ‘行蹟’, ‘諷刺’, ‘儀禮’ 등 6가지 주제로 분류해보면 ‘행적’ 주제의 작품이 27수로 4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그 다음으로 ‘인륜’, ‘의례’ 항목 순으로 그 수가 많았다. 여기에서 정조가 『오경백편』을 통해 성왕, 현인의 모범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귀감으로 삼을 수 있게 하려는 교육적 의도와, 夏․殷․周 삼대시절의 성왕과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한 정치적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수록된 작품들은 중요한 공통점이 있었는데, 다른 경서에서 직접 인용되었거나 널리 쓰이는 고사의 원전이 되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 인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문장의 형용을 목적으로 다양한 범위의 문체에서 폭 넓게 인용된 경우, 문장의 품격을 높이고 일반 문장과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학자가 자신의 주장을 개진할 때에 근거로 삼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성현으로 받들어지는 여러 인물들의 구체적인 행적을 서술하고자 인용된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조가 『오경백편』 「시」에 적용한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범적인 인륜상인 삼강오륜을 묘사하여 읽는 이를 교화시킬...
      번역하기

      본 연구는 正祖朝 親撰 『五經百篇』 제 3권 「詩」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와 인용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고, 나아가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

      본 연구는 正祖朝 親撰 『五經百篇』 제 3권 「詩」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와 인용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고, 나아가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지닌다.
      『오경백편』은 문장의 正宗을 제시해야 했던 시대적 상황과 고문을 지향하고 주자학을 존숭했던 정조의 문체관 및 초록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학문적 사상이 융합되어 행해진 ‘선본 편찬’이라는 배경에 의해 편찬되었다. 『오경백편』은 易經, 書經, 詩經, 春秋, 禮記 오경 중에서 99편의 글을 선정하여, 각 경서별로 한 권씩 총 5권이 한 帙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 3권 「시」는 67편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양이 많은데, 유가에 있어서 ‘시’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정치적․사회적․외교적 측면에서 그 가치를 재조명 받아 반드시 익혀야 하는 경전인 『詩經』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는 점, 그리고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경』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였다는 점에서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과 선별 기준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오경백편』 「시」 수록 작품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먼저 「風」 160편 중 21편, 「雅」 105편 중 36편, 「頌」 40편 중 10편을 수록하여, 각각 13.1%, 34.3%, 25%의 비율을 보인다. 수록된 「풍」 21편의 내용은 주로 天子와 后妃의 덕을 찬미하는 내용, 어진 임금을 찬미하는 내용, 잘못된 정사를 풍자하는 내용과 의로써 군대를 일으키는 내용, 백성들의 농사일에 대해 노래한 내용, 병사들의 노고를 표현하고 주공과 성왕의 행적에 대해 서술한 내용 등이다. 「아」 36편은 연회자리에서 불리는 대표적인 시, 벗과 이웃 사이의 우정을 노래한 시, 전쟁에서 돌아온 병사들을 위로하는 시, 公卿大夫가 농사에 힘써서 종묘 제사를 받드는 과정을 서술한 시를 비롯하여 훌륭한 정사를 펼친 聖王들의 행적에 대해 노래한 시를 수록하였다. 「송」 10편은 성왕의 출생과 업적 및 말씀을 상세하게 서술하거나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살펴야할 덕목을 서술하여 역사적,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시를 수록하였다.
      이를 ‘人倫’, ‘愛情’, ‘讚美’, ‘行蹟’, ‘諷刺’, ‘儀禮’ 등 6가지 주제로 분류해보면 ‘행적’ 주제의 작품이 27수로 4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그 다음으로 ‘인륜’, ‘의례’ 항목 순으로 그 수가 많았다. 여기에서 정조가 『오경백편』을 통해 성왕, 현인의 모범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귀감으로 삼을 수 있게 하려는 교육적 의도와, 夏․殷․周 삼대시절의 성왕과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한 정치적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수록된 작품들은 중요한 공통점이 있었는데, 다른 경서에서 직접 인용되었거나 널리 쓰이는 고사의 원전이 되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 인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문장의 형용을 목적으로 다양한 범위의 문체에서 폭 넓게 인용된 경우, 문장의 품격을 높이고 일반 문장과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학자가 자신의 주장을 개진할 때에 근거로 삼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성현으로 받들어지는 여러 인물들의 구체적인 행적을 서술하고자 인용된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조가 『오경백편』 「시」에 적용한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범적인 인륜상인 삼강오륜을 묘사하여 읽는 이를 교화시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六經常覽"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유학대

      3 "한국고전번역DB: 한국문집총간"

      4 강미정,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시경 인용 양상과 그 문학치료적 의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수경, "조선시대 韓日ㆍ韓中 외교 필담ㆍ창화에 나타난 ≪詩經≫인식과 援用" 중국어문연구회 (53) : 227-252, 2012

      6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7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 해석사 2000

      8 류화선, "정조대 문체반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경무, "유학의 경서와 학적 전통" 범한철학회 (30) : 283-308, 2003

      10 지의선, "시경의 <국풍>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 "六經常覽"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유학대

      3 "한국고전번역DB: 한국문집총간"

      4 강미정,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시경 인용 양상과 그 문학치료적 의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수경, "조선시대 韓日ㆍ韓中 외교 필담ㆍ창화에 나타난 ≪詩經≫인식과 援用" 중국어문연구회 (53) : 227-252, 2012

      6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7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 해석사 2000

      8 류화선, "정조대 문체반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경무, "유학의 경서와 학적 전통" 범한철학회 (30) : 283-308, 2003

      10 지의선, "시경의 <국풍>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1 이채문, "선진제가의 《시경》 인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1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3 박현모, "正祖의 聖王論과 지방통치 방식" 한국학중앙연구원 23 : 2000

      14 오수형, "正祖의 古文 指向과 御定 《唐宋八子百選》" 한국중국어문학회 67 : 135-166, 2011

      15 심지희, "正祖의 『御定陸奏約選』 편찬 의도와 그 배경" 동양한문학회 38 : 91-119, 2014

      16 "大學中庸: 附諺解" 학민문화사 2008

      17 朴仁和, "四書에 引用된 詩經詩 硏究" 公州師範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18 "五經百選"

      19 "五經百篇"

      20 "二經英華"

      21 조계영, "『오경백편』의 선사와 규장각의 문서 행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97-135, 2012

      22 최미라, "『시경』의 수양철학적 의미"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10

      23 김소희, "『사기영선』의 편찬과 간행에 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1 (40) : 127-154, 2012

      24 박종훈, "《시경·국풍》 의 사회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5 정원호, "≪朝鮮王朝實錄≫의 ≪詩經≫ 活用例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6 박순철, "≪四書集註≫의 ≪詩經≫引用詩 註解와 ≪詩集傳≫ 註解 比較硏究" 중국인문학회 (50) : 165-187, 2012

      27 김경천, "‘經’ 개념의 성립과 經書化 과정" 중국어문연구회 (49) : 135-152, 2011

      28 장개충, "(정조, 이산의) 오경백편" 느낌있는책 2009

      29 신승운, "(譯註)禮記集說大全" 전통문화연구회 2004

      30 성백효, "(懸吐完譯)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6

      31 성백효, "(懸吐完譯)孟子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5

      32 성백효, "(懸吐完譯)大學․中庸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2

      33 이병찬, "'詩經' '關雎' 장에 대한 韓․中의 견해 비교 고찰" 근역한문학회 17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KCI등재
      2019-03-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1.1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