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 The Impact of Family Healthfulness, Stress-Coping Methods by Adolescents Joining the Army to Adaptation to Military Service Life: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Recogniz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9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how family health and stress coping methods affect the adaptation to Special Warfare Soldiers. It also focused 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family health and stress-coping methods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are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military lif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family health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great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the adolescents have, the great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The whil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mediating effects.
      Social suppor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se study findings can help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unctions and develop a stress-coping program. By doing so, a positive impact will be made in helping those adolescents who have a lower level of family health or less capability of stress-copying, or suffer mal-adaptation to military life increase psychological resources useful for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번역하기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how family health and stress coping methods affect the adaptation to Special Warfare Soldiers. It also focused 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adaptation to mili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how family health and stress coping methods affect the adaptation to Special Warfare Soldiers. It also focused 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family health and stress-coping methods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are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military lif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family health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great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the adolescents have, the great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The whil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mediating effects.
      Social suppor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se study findings can help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unctions and develop a stress-coping program. By doing so, a positive impact will be made in helping those adolescents who have a lower level of family health or less capability of stress-copying, or suffer mal-adaptation to military life increase psychological resources useful for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에서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방식일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으며,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군 생활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가족건강성이 낮거나 스트레스 대처에 미흡했던 군 입대 청소년 및 군 생활 부적응 청소년의 개인역량 강화 등 군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에서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변인...

      본 연구는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에서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방식일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으며,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군 생활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가족건강성이 낮거나 스트레스 대처에 미흡했던 군 입대 청소년 및 군 생활 부적응 청소년의 개인역량 강화 등 군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홍식, "훈련병의 의사소통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2 최경순, "후기청소년의 자율성 욕구, 군 조직통제 정서, 우울감, 스트레스가 병영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3 정윤경, "현역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병영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4 최선희,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5 김경훈, "학업중단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관훈,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7 임순선,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발달의 통합모형개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미숙,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9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10 정순복, "청소년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 학교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4

      1 백홍식, "훈련병의 의사소통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2 최경순, "후기청소년의 자율성 욕구, 군 조직통제 정서, 우울감, 스트레스가 병영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3 정윤경, "현역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병영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4 최선희,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5 김경훈, "학업중단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관훈,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7 임순선,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발달의 통합모형개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미숙,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9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10 정순복, "청소년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 학교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4

      11 박경원,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 및 사회적지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12 김현중,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격려와 성격강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14 김현택, "인간의 이해 심리학" 학지사 2001

      15 이대식, "육군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2

      16 김홍희,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17 김은미,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대학원 2015

      18 서현석,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후기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19 위종희,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20 박재현, "신세대 병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갈등해결방식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3

      21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국방연구원 21 (21): 199-216, 2005

      22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3 하만식, "신병교육훈련 병사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가 병영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2014

      24 구세희, "스마트폰의 애착 형성 요인과 중독 경향성에 관한 연구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25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26 김광률, "상사의 공감수준과 부하의 복무적응간의 관계 연구" 한국상담학회 11 (11): 1537-1549, 2010

      27 윤병권, "병영 스트레스와 군 복무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8

      28 서혜석, "병사의 무망감, 스트레스, 우울과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23-144, 2010

      29 김정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개인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연구 :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30 이혜영, "병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군 생활 적응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31 김화경,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적 환경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32 이종원,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진로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간의 구조적관계" 숭실대학교대학원 2015

      33 한영민,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34 변상해, "꽃보다 아름다운 부부상담"

      35 장정기, "군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경험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36 이윤수, "군생활내 의사소통증진을 위한 군사회사업 필요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7 김효영, "군복무 스트레스에 따른 군생활 적응 :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8 금병규,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9 박상희, "군 장병들의 개인전투능력 수준이 자아존중감 및 군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 군 초급간부 및 병사들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2

      40 최혜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9

      41 이인석, "군 사회복지제도화를 위한 사회복지병과 창설방안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4

      42 김진서, "군 병사의 외상경험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군 생활 스트레스 대처,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43 도미향, "건강가정론" 신정 2009

      44 유영주, "건강가정 육성을 위한 가족복지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9 (9): 45-63, 1991

      45 이희춘, "가출청소년의 부모학대 경험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46 어은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145-155, 1995

      47 구성본, "가정환경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8 김정옥, "가정의 건강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웰니스 패러다임적 접근"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37-56, 2008

      49 李允熙, "軍隊生活에의 適應"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963

      50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51 Otto, H. A, "What is Strong Family?" 24 : 77-78, 1962

      52 Guinn, N., "Screening for Adaptability to Military Service"

      53 Stauffer, R. C., "Science and Civiliz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49

      54 Folkman, S, "Personal Control and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alysis" 46 : 839-852, 1984

      55 Wethington, E.,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27 : 78-89, 1986

      56 Block, J. H.,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 13" Eribaum 39-101, 1980

      57 Cobb, S., "Hypertension, Peptic Ulcer and Diabetes in Air Traffic Controllers" 224 : 489-492, 1976

      58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24-174, 1950

      59 Dubow, E. F.,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18 : 52-,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1 2.11 2.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7 2.33 2.15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