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velopment Stag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6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발달단계별 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증진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질 높은 보육...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발달단계별 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증진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질 높은 보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등의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연령 및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파워먼트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 전체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영향력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입문수용단계, 능력구축단계, 열중·성장단계와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안일안주단계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 간에도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의사결정에는 동료관계 및 직무자체, 전문성 신장에는 동료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이, 지위에는 능력구축단계와 직무자체가, 자기효능감에는 동료관계가, 자율성에는 동료관계가, 영향력에는 능력구축단계, 동료관계 및 직무자체 만족도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자율성에서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인 입문수용단계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was examined so that the resultant data could be provided so as to promote the characteristics by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job satisfa...

      This study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was examined so that the resultant data could be provided so as to promote the characteristics by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s teachers, and eventually to effectively practice high-quality child 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career among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empowerment according to age and career. Second, the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ed that,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entire empowerment and sub-factors of empowerment,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ve effect were significant. Third, their introductory acceptance stage, competence building stage, and attention·growth st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Their complacent settlement stage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empowerment indicated this: Their decision mak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itself;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ism by colleague relationship, job itself and working environment; their position by the competence building stage and job itself; their self-efficacy by colleague relationship; their autonomy by colleague relationship; their influence by competence building stage,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Meanwhile, the autonomy of child care teacher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ir development stage, which is the introductory acceptance st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소영, "장애 유아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213-231, 2017

      2 김정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따른 전문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201-219, 2015

      3 이윤경,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환경과 조직 헌신성과의 관계연구" 18 (18): 223-241, 1998

      4 이창숙, "유치원교사의 발달단계별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6 (6): 51-68, 1997

      6 이철수,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차이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99-327, 2008

      7 김희수, "유치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 직무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95-517, 2011

      8 주미정,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소진의 인과적 구조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0 심은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4 (4): 159-171, 2003

      1 정소영, "장애 유아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213-231, 2017

      2 김정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따른 전문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201-219, 2015

      3 이윤경,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환경과 조직 헌신성과의 관계연구" 18 (18): 223-241, 1998

      4 이창숙, "유치원교사의 발달단계별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6 (6): 51-68, 1997

      6 이철수,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차이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99-327, 2008

      7 김희수, "유치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 직무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95-517, 2011

      8 주미정,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소진의 인과적 구조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0 심은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4 (4): 159-171, 2003

      11 서지영,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 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15-136, 2002

      12 조은영, "유아교사의 적성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3 이은희,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 6 (6): 5-18, 2018

      14 이수련,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전문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33-54, 2014

      15 황해익,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 및 근무환경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21-246, 2013

      16 문병환, "유아교사 변인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9 (19): 21-39, 2015

      17 김경미, "유아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현장 문제 인식의 차이"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김지연,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13-134, 2016

      19 민혜영,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47-168, 2011

      20 고정리,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93-519, 2015

      21 김미경,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조숙영,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91-211, 2016

      23 이순애,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2011

      24 김정희,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차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45-466, 2011

      25 백영숙, "보육교사의 개인요인과 직무요인, 직무환경요인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 359-378, 2012

      26 김명수,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7 이경선, "보육교사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53-77, 2012

      28 강경석, "교사발달 단계에 따라 교사의 직무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연구소 10 : 1-33, 2004

      29 김상경, "교사가 지각한 영유아 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0 이인숙,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최윤아,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21-43, 2015

      32 장영숙,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21, 2012

      33 Conger, J. A., "The empowerment process : Integrating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13): 471-482, 1988

      34 Lawrence, R. C., "The Evolution of empowerment in management thought: Dimensions predictors and outcome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a study of service quality" University of Arkansas 1997

      35 Burke, P., "Teacher Career Stages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Phi-Delta Kappa 1986

      36 Short, P. M.,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ithin school environment" 52 : 951-960, 1992

      37 Tait, M., "Resilience as a contributor to novice teacher success, commitment, and retention" 35 (35): 57-75, 2008

      38 Lightfoot, S. L., "On goodness of schools : Themes of empowerment" 63 (63): 9-28, 1986

      39 Jorde-Bloom, P.,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for early childhood jop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l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1989

      40 Soodak, L. C., "Implementing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 A call for professional empowerment" 22 (22): 91-102, 2002

      41 Burden, P. R.,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311-328, 1990

      42 Blase, J., "Empowering teachers what successful princeplsdo" Jossccy bass, Inc 1994

      43 Kelley, S. W., "An investigation of positive affect, prosocial, behaviors and service quality" 73 (73): 403-427,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